KR20140028523A - 무안경 3d 방식을 이용한 성형외과 운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안경 3d 방식을 이용한 성형외과 운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8523A
KR20140028523A KR1020120094986A KR20120094986A KR20140028523A KR 20140028523 A KR20140028523 A KR 20140028523A KR 1020120094986 A KR1020120094986 A KR 1020120094986A KR 20120094986 A KR20120094986 A KR 20120094986A KR 20140028523 A KR20140028523 A KR 20140028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surgery
patient
molding
autostereoscopic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4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병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쓰리디팩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쓰리디팩토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쓰리디팩토리
Priority to KR1020120094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8523A/ko
Publication of KR20140028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85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13Medical image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6Image-producing devices or illumination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90/361Image-producing devices, e.g. surgical camer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20Finite element generation, e.g. wire-frame surface description, tesselation
    • G06T17/205Re-mesh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urge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Econom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iophys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안경 3D 카메라를 이용하여 성형하고자 하는 환자의 얼굴을 입체 촬영하고 성형 후 예측되는 이미지를 3차원 이미지로 제공함으로써 성형 상담시 보다 실제감을 극대화한 자료로 진료가 가능하고, 특히 성형외과 내부에 수술 환자들의 성형 전, 후의 이미지를 3차원 이미지로 제공하여 성형외과의 광고용으로 활용함으로써 성형에 대한 잠재 고객의 기대감을 높여주는 성형외과 운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안경 3D 방식을 이용한 성형외과 운영 시스템 및 방법{PLASTIC SURGE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AUTOSTEREOSCOPIC THREE-DIMENSIONAL PHOTOGRAPH}
본 발명은 성형외과 운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안경(auto-stereoscopic) 방식의 3차원 입체 기술을 기반으로 환자의 성형 전, 성형 후의 부위를 3차원 이미지로 제공함으로써 성형 상담시 실제감을 극대화한 자료를 기초로 진료가 가능하고, 성형외과의 광고용으로 활용하여 성형에 대한 잠재 고객의 기대감을 높여주는 무안경 3D 방식을 이용한 성형외과 운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은 생활 중에 사고에 의해, 또는 사업이나 업무 등의 문제로, 또는 개인적인 미적 추구를 위해 자신의 신체를 성형하길 원한다.
사람의 인체를 성형하는 것은 고도의 의술에 대한 지식과 많은 경험을 필요로 하지만, 이러한 지식과 경험을 겸비한 의사를 찾기란 그렇게 쉽지 않을뿐더러, 찾았다 하더라도 의사가 사람들의 다양한 기호, 취향 등을 모두 만족시켜 주기는 힘들다.
따라서, 사람들은 보통 성형 수술한 사람들의 성형 전, 후의 이미지를 미리 확인하고 마음에 드는 성형외과를 선택하여 상담 또는 수술을 의뢰하는데, 미리 보여주는 이미지가 단순히 평면 사진을 기반으로 한 자료이기 때문에 현실성 또는 실제감이 떨어지고, 잠재 고객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지는 못하고 있다.
또한, 성형외과에서 사람들의 성형 후 모습을 미리 시뮬레이션하여 보여주는 소프트웨어를 도입하여 상담에 활용하긴 하지만, 단순히 평면 사진을 기반으로 시뮬레이션을 하기 때문에 성형 후의 모습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없다는 큰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무안경 3D 카메라를 이용하여 성형하고자 하는 환자의 얼굴을 입체 촬영하고 성형 후 예측되는 이미지를 3차원 이미지로 제공함으로써 성형 상담시 보다 실제감을 극대화한 자료를 기초로 진료할 수 있고, 특히 성형외과 내부에 수술 환자들의 성형 전, 후 이미지를 3차원 이미지로 제공하여 성형외과의 광고용으로 활용함으로써 성형에 대한 잠재 고객의 기대감을 높여주는 성형외과 운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성형외과 운영 시스템은, 환자의 성형 부위를 촬영하여 무안경으로 입체를 볼 수 있는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는 무안경 3D 카메라; 다수의 사용자 단말; 재생 스케줄에 따라 무안경 방식의 3차원 이미지를 표시하는 무안경 3D 디스플레이; 및 상기 무안경 3D 카메라로부터 생성한 3차원 이미지를 수신하여 각 환자의 성형 전, 후의 3차원 이미지를 저장하고, 환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다수의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무안경 3D 디스플레이로 성형 전, 후의 3차원 이미지를 제공하며, 성형 상담 시 성형 전 3차원 이미지를 토대로 성형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성형외과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른 성형외과 운영 방법은, 성형외과 관리 서버에서 무안경 3D 카메라를 통해 환자의 성형 부위를 촬영한 성형 전 3차원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성형외과 관리 서버가 상기 환자의 성형 전 3차원 이미지를 토대로 환자가 원하는 표본형을 반영하여 성형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 성형 후, 상기 성형외과 관리 서버가 상기 무안경 3D 카메라로부터 상기 환자의 성형 부위를 촬영한 성형 후 3차원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성형외과 관리 서버가 환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환자의 성형 전, 후의 3차원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성형외과 관리 서버가 환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환자의 성형 전, 후의 3차원 이미지를 무안경 3D 디스플레이 제공하여 성형외과의 광고용으로 활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의 성형 부위를 입체 촬영하고 성형 후 예측되는 이미지 또한 3차원 이미지로 제공함으로써 성형 상담 시 실제감을 극대화한 성형외과 상담 및 광고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특히, 성형외과에서 무안경 3D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이미 수술한 환자들의 성형 전, 후의 이미지를 3차원 입체로 보여줌으로써 일반 고객들의 관심을 이끌어 성형외과의 광고 효과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잠재 고객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성형외과 운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성형외과 운영 시스템에 이용되는 무안경 3D 카메라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성형외와 운영 시스템의 무안경 3D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성형외과 운영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의 서비스 방법에서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 합성의 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며,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함에 유의한다.
또, 본 발명에서 혼용하는 '3D', '3차원', '입체'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또, 본 발명은 이해의 편의상 사람들의 얼굴을 특징지어 얼굴을 촬영하고 이의 3차원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얼굴 외, 가슴, 다리, 특정 부위 등 성형하고자 하는 모든 부위(이하, 성형 부위)에 본 발명의 기술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성형외과 운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성형외과 운영 시스템에 이용되는 무안경 3D 카메라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성형외과 운영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성형외과 관리 서버(100)와, 무안경 3D 카메라(200), 사용자 단말(400), 무안경 3D 디스플레이(500)를 포함하여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성형외과 관리 서버(1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 3차원 이미지 관리부(120), 성형 시뮬레이션부(130), 저장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성형외과 관리 서버(100)는 무안경 3D 카메라(200)로부터 촬영한 환자의 성형 전 또는 성형 후의 3차원 이미지를 제공받아 관리하고, 통신망(300)을 통해 다수의 사용자 단말(400)과 무안경 3D 디스플레이(500)로 각 환자의 3차원 이미지를 제공한다. 이때, 다수의 사용자 단말(400)과 무안경 3D 디스플레이(500)로 제공하는 각 환자의 3차원 이미지는 환자의 성형 전, 후에 촬영한 3차원 이미지일 수 있고, 또는 성형 수술을 하지 않고 진료 상담만 받은 환자의 경우 성형 전 3차원 이미지와 시뮬레이션한 가상 3차원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전자의 경우, 성형 전, 후의 3차원 이미지뿐만 아니라 시뮬레이션한 가상 3차원 이미지까지 포함할 수 있다.
무안경 3D 카메라(200)는 성형 상담을 위해 방문한 환자의 얼굴(또는 성형 부위)을 촬영하여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무안경이라 함은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을 별도로 촬영하고 이를 구분할 수 있는 필터를 포함한 안경을 착용하여 좌안과 우안 시차를 이용한 안경방식 입체 시스템과 구별되는 개념으로, 안경을 쓰지 않고도 입체 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2개 이상의 시점(예, 4안방식, 8안방식, 9안방식)에서 촬영하는 다안방식 (Multi-View) 무안경 시스템을 이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안경 3D 카메라(2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렌즈(200-1 내지 200-8)를 이용하여 촬영한 영상을 카메라 내부에서 합성하여 하나의 3차원 이미지를 출력한다. 일 예로, 도 2에서는 8개의 카메라 렌즈를 이용한 2안 방식의 무안경 3D 카메라(200)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안경 3D 카메라(200)는 카메라 렌즈 수에 한정되지 않고 8안 이상의 다안으로도 구현 가능하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성형외과 관리 서버(100)는 각 환자의 3차원 이미지를 관리하고, 성형 상담시 각 환자의 성형 후의 모습을 가상으로 시뮬레이션하며, 시뮬레이션한 결과 이미지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한 구성으로, 성형외과 관리 서버(100)의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무안경 3D 카메라(200)와 다수의 사용자 단말(400) 및 무안경 3D 디스플레이(500)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각 세 단말과의 통신 규격이 동일한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하나의 모듈로 통신이 가능하고, 각 세 단말과의 통신 규격이 다른 경우에는 각 규격에 맞는 모듈을 모두 포함한다.
따라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무안경 3D 카메라(200)과 통신하여 무안경 3D 카메라(200)로부터 촬영한 3차원 이미지를 수신하고, 이와 동시에 환자 또는 성형외과 관리 서버(100)의 요청에 따라 각 환자의 3차원 이미지를 다수의 사용자 단말(400) 또는 무안경 3D 디스플레이(500)로 전송한다.
3차원 이미지 관리부(12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수신한 성형 전, 후의 3차원 이미지를 저장부(140)에 환자별로 저장하고 저장한 데이터의 갱신, 삭제 등을 관리한다. 또한, 3차원 이미지 관리부(120)는 환자 또는 성형외과 관리자로부터 3차원 이미지의 요청이 있으면 해당 환자의 3차원 이미지를 저장부(140)로부터 불러 와 다수의 사용자 단말(400) 또는 무안경 3D 디스플레이(500) 측으로 제공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이미지 관리부(120)는 무안경 3D 카메라(200)로부터, 촬영과 동시에 생성된 3차원 이미지를 제공받기 때문에 후처리 작업 없이도 무안경 3차원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3차원 이미지 관리부(120)는 무안경 3D 디스플레이(500)로 제공할 각 환자의 3차원 이미지에 대하여 재생 스케쥴을 관리할 수 있다. 즉, 하나의 무안경 3D 디스플레이(500)를 포함하는 경우 해당 디스플레이의 시간 스케쥴에 따라 각 환자들의 3차원 이미지의 재생 순서를 정할 수 있다. 또, 무안경 3D 디스플레이(500)가 여러 대인 경우에는 각 무안경 3D 디스플레이(500)별로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장부(140)는 기본적으로 환자별로 3차원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는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가 마련되고, 본 발명의 성형 시뮬레이션을 위한 프로그램 및 시뮬레이션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를 저장한다.
특히, 성형 부위별 표본 DB(144)는 성형하고자 하는 스타일, 성향, 닮고 싶은 특정 연예인에 대한 표본 얼굴형을 부위별로 저장한다. 표본 얼굴형에는 해당 얼굴형을 특징지을 수 있는 특징점 정보를 포함하고, 부가적으로 특징점 정보를 이미지화하여 시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성형하고자 하는 스타일 및 성향은 눈의 경우 쌍커풀이 진한 눈, 부드러운 눈, 매서운 눈, 쳐진 눈을 보완하는 눈, 동그란 눈, 찢어진 듯한 눈 등을 의미한다.
사용자별 성형 이미지 DB(142)는 3차원 이미지 관리부(120)에서 저장하는 환자의 3차원 이미지를 환자별로, 성형 전후별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또 성형 시뮬레이션부(130)를 통해 시뮬레이션한 가상 3차원 이미지를 환자별로 함께 저장한다.
성형 시뮬레이션부(130)는 3차원 이미지 관리부(120)에서 제공받은 환자의 성형 전 3차원 이미지를 환자가 성형하고자 하는 표본 얼굴형에 기초하여 가상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이때, 성형 시뮬레이션부(130)는 성형 부위별 표본 DB(144)에 기 저장된 표본 얼굴형을 부위별로 화면에 제공하고, 제공한 화면을 통해 상담 의사와 환자가 상담하면서 환자에게 가장 어울릴 것 같은 또는 환자가 원하는 표본 얼굴형을 선택하도록 제공한다.
따라서, 성형 시뮬레이션부(130)는 입력부를 통해 환자가 원하는 표본 얼굴형이 입력되면 원하는 표본 얼굴형의 특징점 정보를 성형 부위별 표본 DB(144)로부터 추출하여 환자의 성형 전 3차원 이미지로부터 해당 부위의 특징점을 변경한다. 그리고, 변경한 특징점을 3D 와이어 프레임에 합성하여 가상의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한 환자의 가상 3차원 이미지를 사용자별 성형 이미지 DB(144)에 기록한다. 이때, 합성은 변경한 특징점을 포함한 전체 얼굴을 재합성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고, 또는 변경한 특징점만 합성하는 부분 합성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날카로운 눈매를 부드럽게 성형하고자 하는 경우, 상담 중에 사용자는 기 저장된 표본 얼굴형에서 부드러운 눈매에 대한 표본 얼굴형을 선택하거나 또는 부드러운 눈매를 가진 특정 연예인의 표본 얼굴형을 선택할 수 있다. 이를 입력받은 성형 시뮬레이션부(130)는 환자가 선택한 표본 얼굴형의 특징점 정보에 대하여 성형 부위별 표본 DB(144)로부터 제공받고, 이를 환자의 3차원 이미지에서 추출한 성형 전 눈의 특징점 정보와 변경함으로써 가상 성형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한 결과는 3차원 이미지로 보여지고 환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400)로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400)은 통신망(300)을 통해 성형외과 관리 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이다.
또한, 사용자 단말(400)은 성형외과 관리 서버(100)로부터 자신의 성형 전, 후의 모습을 3차원 이미지로 제공받아 화면에 표시하고 이의 저장도 가능하다. 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3차원 이미지를 표시하는 경우 좌우 롤업(roll-up) 기능을 통해 3차원 이미지를 다각도로 볼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400)은 핸드폰, 스마트 폰, PC, 태블릿 PC, PDA, 노트북 등이 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의 기능(성형외과 관리 서버(100)으로의 접속 및 3차원 이미지 표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단말이라면 단말의 종류에 관계없이 적용 가능하다.
통신망(300)은 2G, 3G, 4G, WiBro, WiMax, LTE 등 다양한 세대의 이동 통신망이나, 위성통신망, 또는 무선랜(WLA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의 근거리 통신망, RFID,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근접 통신망을 포함한다.
무안경 3D 디스플레이(500)는 성형외과의 상담용 및 광고용으로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무안경 3D 구현이 가능한 단말이다.
무안경 3D 디스플레이(500)가 성형외과 내부에 설치되는 경우, 성형외과 관리 서버(100)와 연결할 수 있는 통신망(300)은 유선랜, 무선랜, 또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다. 또는, 무안경 3D 디스플레이(500)가 옥외 또는 공공 장소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통신망(300)이 근거리 통신망보다는 인터넷망 등을 통해 성형외과 관리 서버(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무안경 3D 디스플레이(500)는 성형외과 관리 서버(100)로부터 재생 스케쥴에 따라 각 환자의 성형 전후의 3차원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한 3차원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여러 환자의 3차원 이미지를 수신하여 일정 시간 간격으로 이미지를 변경하면서 보여줄 수 있다. 따라서, 성형외과를 방문한 일반 사람들이 진료 대기 시간에 성형한 환자들의 3차원 이미지를 무안경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무안경 3D 디스플레이(500)를 이용하여 성형외과의 담당의사 등은 환자와의 상담을 더욱 실감나고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무안경 3D 디스플레이(500)에서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안경 3D 디스플레이(500)는 성형외과 관리 서버(100)로부터 재생 스케쥴에 따라 환자들의 성형 전, 후의 3차원 이미지를 수신하여, (a)와 같이 하나의 화면에 성형 전 3차원 이미지(510)와 성형 후 3차원 이미지(520)를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또, (b)와 같이 하나의 화면에 성형 전 3차원 이미지(510)와, 시뮬레이션한 3차원 이미지(530), 성형 후 3차원 이미지(520)를 동시에 표시하여 환자의 성형 전/후, 또는 시뮬레이션한 결과와 실제 성형 후의 모습을 비교하여 성형외과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고, 고객의 불안을 해소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성형외과 운영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도 1의 구성요소를 연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무안경 3D 카메라(200)를 이용하여 성형 전 환자의 성형 부위 즉, 얼굴을 촬영한다(S100). 그리고, 촬영한 성형 전 3차원 이미지를 사용자별 성형 이미지 DB(142)에 저장한다(S110). 3D 촬영은 주로 성형외과에 방문한 환자에 한하여 가능하나, 성형외과로부터 떨어진 원격지에서도 가능할 것이다.
여기서, 환자의 얼굴은 성형하고자 하는 부위 중 대표적인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3D 촬영은 환자의 얼굴뿐만 아니라 성형이 가능한 부위라면 그 어디에도 상관없이 촬영이 가능하다.
이처럼 3D 촬영을 통해 환자의 얼굴을 촬영한 성형 전 3차원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담 시 성형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S120). 그리고, 시뮬레이션한 가상 3차원 이미지를 사용자별 성형 이미지 DB(142)에 저장할 수 있다(S130).
성형 시뮬레이션하는 방법은 도 5의 예시와 같이, 무안경 3D 카메라로 촬영한 3차원 이미지로부터 얼굴 외과선, 눈, 코, 입 귀 등의 부위별로 특징점을 추출하고, 추출한 특징점을 환자가 원하는 표본 얼굴형의 특징점으로 변경하여 변경한 특징점 정보를 다시 3D 와이어 프레임에 합성하는 과정으로 가상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환자가 원하는 표본 얼굴형은 성형외과 관리 서버(100)의 저장부(140)에 부위별로 저장되어 있어서, 시뮬레이션 화면에 기 저장된 표본 얼굴형을 제공하고, 제공한 화면을 통해 상담 의사와 환자가 상담하면서 원하는 표본 얼굴형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또, 성형 시뮬레이션을 통해 환자가 원하는 얼굴형이 아닌 경우, 다시 다른 종류의 표본 얼굴형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표본 얼굴형의 특징점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으로 성형 시뮬레이션을 재 수행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이후, 성형 수술한 환자에 대하여 다시 무안경 3D 카메라(200)를 이용하여 성형한 부위를 촬영한다(S140). 그리고 촬영한 성형 후 3차원 이미지를 사용자별 성형 이미지 DB(142)에 저장한다(S150).
이후, 환자의 요청에 따라 본 발명의 성형외과 관리 서버(100)가 사용자 단말(400)로 성형 전후, 또는 시뮬레이션한 가상 3차원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S160).
또, 성형외과 관리 서버(100)가 재생 스케쥴에 따라 무안경 3D 디스플레이(500)로 성형 전후 또는 시뮬레이션 가상 3차원 이미지를 제공하여 성형외과의 광고용 또는 상담용으로 활용할 수 있다(S170).
이상, 상기의 과정에서 설명하지 않은 방법 및 기능은 도 1에서 설명한 기능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을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트(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성형외과 관리 서버
110: 통신 인터페이스부 120: 3차원 이미지 관리부
130: 성형 시뮬레이션부 140: 저장부
142: 사용자별 성형 이미지 DB 144: 성형 부위별 표본 DB
200: 무안경 3D 카메라 300: 통신망
400: 다수의 사용자 단말 500: 무안경 3D 디스플레이

Claims (10)

  1. 환자의 성형 부위를 촬영하여 무안경으로 입체를 볼 수 있는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는 무안경 3D 카메라;
    다수의 사용자 단말;
    재생 스케줄에 따라 무안경 방식의 3차원 이미지를 표시하는 무안경 3D 디스플레이; 및
    상기 무안경 3D 카메라로부터 생성한 3차원 이미지를 수신하여 각 환자의 성형 전, 후의 3차원 이미지를 저장하고, 환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다수의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무안경 3D 디스플레이로 성형 전, 후의 3차원 이미지를 제공하며, 성형 상담 시 성형 전 3차원 이미지를 토대로 성형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성형외과 관리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외과 운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안경 3D 디스플레이부는 성형외과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성형외과 관리 서버로부터 재생 스케쥴에 따른 3차원 이미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외과 운영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외과 관리 서버는,
    상기 무안경 3D 카메라, 상기 다수의 사용자 단말, 상기 무안견 3D 디스플레이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무안경 3D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각 환자의 성형 전, 후의 3차원 이미지를 저장하고 환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 3차원 이미지를 기 저장된 이미지로부터 불러 와 제공하는 3차원 이미지 관리부와,
    상기 각 환자의 성형 전 3차원 이미지를 토대로 성형하고자 하는 표본형을 반영하여 성형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3차원 이미지로 출력하는 성형 시뮬레이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외과 운영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이미지 관리부는,
    상기 무안경 3D 디스플레이로 제공할 각 환자의 성형 전, 후의 3차원 이미지에 대하여 재생 스케쥴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외과 운영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시뮬레이션부는
    화면에 기 저장된 표본형을 부위별로 제공하고, 제공한 표본형에서 환자가 원하는 표본형을 선택하도록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외과 운영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외과 관리 서버는,
    성형 시뮬레이션한 가상 3차원 이미지를 환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다수의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무안경 3D 디스플레이로 각 환자의 성형 전, 후의 3차원 이미지와 함께 포함하여 제공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외과 운영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안경 3D 카메라는
    상기 환자의 성형 부위를 8안 이상으로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외과 운영 시스템.
  8. 성형외과 관리 서버에서 무안경 3D 카메라를 통해 환자의 성형 부위를 촬영한 성형 전 3차원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성형외과 관리 서버가 상기 환자의 성형 전 3차원 이미지를 토대로 환자가 원하는 표본형을 반영하여 성형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
    성형 후, 상기 성형외과 관리 서버가 상기 무안경 3D 카메라로부터 상기 환자의 성형 부위를 촬영한 성형 후 3차원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성형외과 관리 서버가 환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환자의 성형 전, 후의 3차원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성형외과 관리 서버가 환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환자의 성형 전, 후의 3차원 이미지를 무안경 3D 디스플레이 제공하여 성형외과의 광고용으로 활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외과 운영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무안경 3D 디스플레이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성형외과 관리 서버가 각 환자에 대하여 성형 시뮬레이션한 가상 3차원 이미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외과 운영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무안경 3D 디스플레이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성형외과 관리 서버가 무안경 3D 디스플레이로 제공할 각 환자의 성형 전, 후의 3차원 이미지에 대하여 재생 스케쥴을 관리하고 상기 재생 스케쥴에 따라 환자들의 성형 전, 후의 3차원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외과 운영 방법.
KR1020120094986A 2012-08-29 2012-08-29 무안경 3d 방식을 이용한 성형외과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285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986A KR20140028523A (ko) 2012-08-29 2012-08-29 무안경 3d 방식을 이용한 성형외과 운영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986A KR20140028523A (ko) 2012-08-29 2012-08-29 무안경 3d 방식을 이용한 성형외과 운영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8523A true KR20140028523A (ko) 2014-03-10

Family

ID=50641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4986A KR20140028523A (ko) 2012-08-29 2012-08-29 무안경 3d 방식을 이용한 성형외과 운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2852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4138A (ko) * 2014-03-31 2015-10-12 (주)트라이큐빅스 가상 성형 sns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150124052A (ko) * 2014-04-25 2015-11-05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 맞춤형 코 보형물 자동 디자인 방법
CN106774879A (zh) * 2016-12-12 2017-05-31 大连文森特软件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ar虚拟现实技术的整形手术体验系统
KR20210156796A (ko) * 2020-06-18 2021-12-27 주식회사 디엠에프 3차원 안면 스캔데이터를 이용한 의료 시술 결과비교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4138A (ko) * 2014-03-31 2015-10-12 (주)트라이큐빅스 가상 성형 sns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150124052A (ko) * 2014-04-25 2015-11-05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 맞춤형 코 보형물 자동 디자인 방법
CN106774879A (zh) * 2016-12-12 2017-05-31 大连文森特软件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ar虚拟现实技术的整形手术体验系统
CN106774879B (zh) * 2016-12-12 2019-09-03 快创科技(大连)有限公司 一种基于ar虚拟现实技术的整形手术体验系统
KR20210156796A (ko) * 2020-06-18 2021-12-27 주식회사 디엠에프 3차원 안면 스캔데이터를 이용한 의료 시술 결과비교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9686B1 (ko) 단일 깊이 추적 순응-수렴 솔루션
CN105992965B (zh) 响应于焦点移位的立体显示
CN106484116B (zh) 媒体文件的处理方法和装置
CN110809149B (zh) 用于计算机生成现实的媒体合成器
WO2019067895A1 (en) ACCESSING EXTERNAL DEVICE FUNCTIONS USING REALITY INTERFACES
BR112015014629A2 (pt) método para operar um sistema que possui um monitor, uma câmera e um processador
KR20150114138A (ko) 가상 성형 sns 서비스 방법 및 장치
CN107302694B (zh) 通过虚拟现实设备呈现场景的方法、设备及虚拟现实设备
KR20140028523A (ko) 무안경 3d 방식을 이용한 성형외과 운영 시스템 및 방법
CN103067727A (zh) 一种3d眼镜和3d显示系统
US20140354633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device
KR102658961B1 (ko) 다수의 사람들이 등장하는 개인화된 비디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US2020011834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220385808A1 (en) Selfie setup and stock videos creation
Parsa et al. Current and future photography techniques in aesthetic surgery
US20230290082A1 (en) Representation of users based on current user appearance
EP3087727B1 (en) An emotion based self-portrait mechanism
CN112506336A (zh) 具有触觉输出的头戴式显示器
KR20170011261A (ko) 헤어스타일 3차원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20140006138A (ko) 가상성형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가상성형 시스템
JP2014182597A (ja) 仮想現実提示システム、仮想現実提示装置、仮想現実提示方法
KR20170081456A (ko) 가상현실 기반 개인형 체험요소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4904268A (zh) 一种虚拟形象的调整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11543655B1 (en) Rendering for multi-focus display systems
CN106327588B (zh) 智能终端及其图像处理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