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4357A - 모의 화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 - Google Patents

모의 화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4357A
KR20190064357A KR1020170163830A KR20170163830A KR20190064357A KR 20190064357 A KR20190064357 A KR 20190064357A KR 1020170163830 A KR1020170163830 A KR 1020170163830A KR 20170163830 A KR20170163830 A KR 20170163830A KR 20190064357 A KR20190064357 A KR 20190064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housing
pressure switch
cover member
sim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3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9358B1 (ko
Inventor
강종진
Original Assignee
강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종진 filed Critical 강종진
Priority to KR1020170163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9358B1/ko
Publication of KR20190064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4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3/00Adaptations for training; Gun simulators
    • F41A33/02Light- or radiation-emitting guns ; Light- or radiation-sensitive guns; Cartridges carrying light emitting sources, e.g. la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CSMALLARMS, e.g. PISTOLS, RIFLES; ACCESSORIES THEREFOR
    • F41C27/00Accessories; Details or attach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26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 F41G3/2616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using a light emitting device
    • F41G3/2622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using a light emitting device for simulating the firing of a gun or the trajectory of a projectile
    • F41G3/2655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using a light emitting device for simulating the firing of a gun or the trajectory of a projectile in which the light beam is sent from the weapon to the targ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의 화기의 총구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방아쇠 조작에 따라 총열 내부에 생성되는 공기압에 의해 작동되는 압력 스위치, 상기 압력 스위치의 인가 신호에 따라 레이저를 발사하도록 배치되는 레이저 모듈 및 상기 레이저 모듈로부터 발사되는 레이저가 통과하도록 관통홀을 구비하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모의 화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모의 화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LASER TRANSMITTER FOR SIMULATION GAMING FIREARMS}
본 발명은 모의 화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의 화기의 총구에 장착되어 총열 내부의 공기압에 따라 레이저를 발사하는 모의 화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현대인의 레저 스포츠로서 자리잡고 있는 서바이벌 게임은 적군과 아군으로 나뉘어 미리 정해진 필드 에어리어(Field Area) 내에서 개인마다 모의 화기류나 헬멧, 고글 등과 같은 장비를 착용한 상태에서 게임이 행해진다.
종래에는 피아간의 모의 화기류에서 발사되는 페인트 볼(paint ball)이나 비비탄(BB bullet) 등과 같은 총알에 맞으면 물감이 묻어나거나 소리 등의 표식이 가해지며, 이러한 상황이 메인 서버로 전송되어 상대방 병사들이 모두 전사하거나 상대편 표시 깃발을 빼앗을 경우 양방의 승패가 결정된다.
그런데, 상기 페인트 볼을 이용한 서바이벌 게임에서는 인체나 의복에 페인트가 묻어 후처리가 번거롭고, 비비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모의 화기에서 발사되는 비비탄의 속도가 빨라서, 인체에 강한 충격을 줄 수 있으며, 특히 근거리에서 눈을 타격하는 경우 상당한 부상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세심한 주의를 요하게 된다.
이외에도, 아동용 완구형 비비탄 총기류의 경우에는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단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개개인의 눈을 타격하는 경우에는 안전 사고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593153(2016.02.12. 공고)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레이저 발사 전용 총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제조 및 판매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모의 화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모의 화기의 총구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방아쇠 조작에 따라 총열 내부에 생성되는 공기압에 의해 작동되는 압력 스위치, 상기 압력 스위치의 인가 신호에 따라 레이저를 발사하도록 배치되는 레이저 모듈 및 상기 레이저 모듈로부터 발사되는 레이저가 통과하도록 관통홀을 구비하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모의 화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총구 측 단부가 개방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의 길이 방향을 따른 반대측 단부에 상기 커버 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 형성되고, 상기 총구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압력 스위치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나사부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되고, 상기 압력 스위치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모듈은 상기 커버 부재와 상기 전원 공급부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의 관통홀의 중심과 상기 레이저 모듈의 레이저 발사구는 동심원 상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레이저 발사 전용 총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제조 및 판매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기존 서바이벌 총기 보유자는 별도의 총기를 다시 구매할 필요가 없게 되어 추가 비용 부담이 저감되므로 소비자의 구매 저항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아동용 완구형 비비탄 총기류에 장착될 수 있으므로 개개인의 눈을 타격하여 발생하는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의 화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가 모의 화기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의 화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의 레이저 모듈을 확대 하여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의 화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가 모의 화기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의 화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의 레이저 모듈을 확대 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의 화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는 압력 스위치(112), 레이저 모듈(114) 및 커버 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시되고 있는 모의 화기(1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모의 화기(10)로서, 에어건, 가스건 방식 또는 아동용 완구형 BB탄 총기류 등을 의미할 수 있으며, 에어건은 방아쇠의 조작 시에 피스톤이나 실린더 및 스프링의 탄성 작용을 통해 탄창 내에 장착된 비비탄을 발사하게 되고, 가스건의 경우에는 구동원으로서 압축된 가스의 힘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구성은 모두 공지 기술에 해당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하우징(110)은 모의 화기(10)의 총구(11)에 결합될 수 있도록 모의 화기(10)의 총구(11)의 직경에 대응되고, 총구(11)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10)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우징(110)의 총구(11) 측 단부가 개방되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개구부의 길이 방향을 따른 반대측 단부에는 후술하는 커버 부재(120)가 하우징(110)의 결합부(116)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하우징(110)의 개구부에는 총구(1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나사부(111)가 형성되어 총구(11)에 나사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사부(111)는 나사산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하우징(110)이 총구(11)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 결합되는 구성 이외에도 복수의 돌기 형상 또는 마찰 부재 등으로 이루어져 총구(11)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압력 스위치(112)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되되, 공압 출력 장치(미도시)에 의해 생성되는 공기압의 손실이 최소화되도록 나사부(111)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압력 스위치(112)는 모의 화기(10)에 설치되는 공압 출력 장치(미도시)에 의해 생성되는 공기압에 의해 가압되어 구동되도록 배치되는 것으로서, 종래의 비비탄 또는 페인트 볼 등을 이용하는 모의 화기(10)에서 공압으로 탄을 발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장치일 수 있으며, 상기 공압 출력 장치의 기구적 메커니즘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당업자에게는 이미 공지된 구성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압력 스위치(112)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13)는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될 수 있고, 압력 스위치(112)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13)는 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일 수 있고, 이 경우 충전을 위한 충전 단자가 하우징(110)에 더 포함될 수 있으며, 모의 사격이 종료된 후 재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레이저 모듈(114)은 커버 부재(120)와 전원 공급부(113) 사이에 개재되어, 압력 스위치(112)의 인가 신호에 따라 레이저를 발사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레이저 모듈(114)의 레이저 발사구(115)를 통하여 발사되는 레이저 빔은 커버 부재(120)의 관통홀(121)을 통과하여 외부로 발사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커버 부재(120)는 하우징(110)의 일단부를 폐쇄하되, 커버 부재(120)의 중심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121)이 레이저 모듈(114)의 레이저 발사구(115)와 동심원 상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레이저 빔의 진행 경로가 외부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어긋나더라도 기설정된 방향을 향하도록 발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커버 부재(120)의 관통홀(121)의 원중심이 레이저 모듈(114)의 레이저 발사구(115)의 원중심과 동축 상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더하여,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됨으로써 모의 화기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어부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압력 스위치는 압력 센서로 대체될 수 있으며, 총열 내부에 방아쇠 작동에 의한 압력이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소정 압력이 생성되어 압력 센서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기설정 압력값이 검출되는 경우 제어부를 통하여 레이저 모듈(114)의 작동 명령을 지령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모의 화기의 고장으로 인한 이상 작동 시에 기설정 압력값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에는 레이저 발사 신호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도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의 화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에 의해 모의 화기(10)의 방아쇠(12)가 격발되면 공압 출력 장치에 의해 화기의 총열 내부로 공압이 순간적으로 분출된다.
이때, 방출된 공압에 의해 압력 스위치(112)에 누름 압력이 가해지고 압력 스위치(112)의 인가 신호가 생성되며, 이러한 인가 신호가 레이저 모듈(114)로 전송된다.
레이저 모듈(114)은 레이저 발사구(115)를 통하여 레이저 빔을 발사하고, 이 과정에서 상기 레이저 빔은 커버 부재(120)의 관통홀(121)을 통하여 외부로 발사될 수 있게 된다.
이 외에도, 레이저 빔 수광부(미도시)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모의 화기가 겨냥하는 목표물의 피격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다 현실감 있는 모의 사격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의 화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모의 화기의 총구(11)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별도의 장치이므로 사용자가 직접 간편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고, 저비용으로 이용이 가능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레이저 발사 장치
110: 하우징
112: 압력 스위치
113: 전원 공급부
114: 레이저 모듈
115: 레이저 발사구
120: 커버 부재
121: 관통홀

Claims (7)

  1. 모의 화기의 총구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방아쇠 조작에 따라 총열 내부에 생성되는 공기압에 의해 작동되는 압력 스위치;
    상기 압력 스위치의 인가 신호에 따라 레이저를 발사하도록 배치되는 레이저 모듈; 및
    상기 레이저 모듈로부터 발사되는 레이저가 통과하도록 관통홀을 구비하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모의 화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총구 측 단부가 개방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의 길이 방향을 따른 반대측 단부에 상기 커버 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화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 형성되고, 상기 총구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나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화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스위치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나사부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화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되고, 상기 압력 스위치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화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모듈은 상기 커버 부재와 상기 전원 공급부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화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의 관통홀의 중심과 상기 레이저 모듈의 레이저 발사구는 동심원 상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화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
KR1020170163830A 2017-11-30 2017-11-30 모의 화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 KR101989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830A KR101989358B1 (ko) 2017-11-30 2017-11-30 모의 화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830A KR101989358B1 (ko) 2017-11-30 2017-11-30 모의 화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357A true KR20190064357A (ko) 2019-06-10
KR101989358B1 KR101989358B1 (ko) 2019-06-17

Family

ID=66848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3830A KR101989358B1 (ko) 2017-11-30 2017-11-30 모의 화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93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8914B1 (ko) * 2019-08-12 2020-10-22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수중발사체의 안전스위치
KR20220080308A (ko) * 2020-12-07 2022-06-14 김무중 레이저 조준기가 장착된 엽총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9934A (ko) * 2003-02-08 2003-03-07 박영국 착탈식 레이저 표적지시장치
KR100376208B1 (ko) * 2000-04-21 2003-03-26 한성아이엘에스(주) 사격훈련시스템
KR101593153B1 (ko) 2013-12-18 2016-02-12 소리텔레콤(주) 모의 총기용 적외선 발사유닛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6208B1 (ko) * 2000-04-21 2003-03-26 한성아이엘에스(주) 사격훈련시스템
KR20030019934A (ko) * 2003-02-08 2003-03-07 박영국 착탈식 레이저 표적지시장치
KR101593153B1 (ko) 2013-12-18 2016-02-12 소리텔레콤(주) 모의 총기용 적외선 발사유닛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8914B1 (ko) * 2019-08-12 2020-10-22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수중발사체의 안전스위치
KR20220080308A (ko) * 2020-12-07 2022-06-14 김무중 레이저 조준기가 장착된 엽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9358B1 (ko) 2019-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2814B2 (en) Simulated hand grenade having a multiple integrated laser engagement system
US8282486B2 (en) Live combat simulation
US20100003643A1 (en) Simulated magazine and gun simulator using the simulated magazine
KR101989358B1 (ko) 모의 화기용 레이저 발사 장치
KR101593153B1 (ko) 모의 총기용 적외선 발사유닛
WO2008147820A1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projectile play
RU2347171C2 (ru) Система лазерного имитатора стрельбы (слис)
KR20100136274A (ko) 공압 감지를 이용한 레이저 발사형 모의 화기
KR101301350B1 (ko) 무선통신기반으로 레이저저격피격인지기능 및 레이저발사횟수의 제어를 가능하도록 한 마일즈시스템.
US9114312B2 (en) Multi-functional device for a toy gun
JP3193261U (ja) 赤外線発射装置
KR20160043248A (ko) 서바이벌 게임용 모의화기의 독립적 발사장치
KR20050072353A (ko) 총기 모사시스템
KR101370727B1 (ko) 레이저저격피격인지기능과 훈련자간의 의사소통 및 훈련범위를 확장한 마일즈시스템.
KR200228419Y1 (ko) 서바이벌 게임용 완구
RU2680172C2 (ru) Насадка для имитации боевой стрельбы
KR200372377Y1 (ko) 서바이벌 게임용 완구세트
JP6238210B2 (ja) 模型銃用装着具
KR102178929B1 (ko) 모의 총기 시스템
EP2783182B1 (en) Weapon
CN211885344U (zh) 一种互动投影游戏枪
KR20230097391A (ko) 스마트 건 디바이스
CN212593914U (zh) 游戏装置
KR20230081473A (ko) 스마트 헬멧 디바이스
CN209204652U (zh) 玩具武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