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3995A - 곡면 연마장치 - Google Patents

곡면 연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3995A
KR20190063995A KR1020170163225A KR20170163225A KR20190063995A KR 20190063995 A KR20190063995 A KR 20190063995A KR 1020170163225 A KR1020170163225 A KR 1020170163225A KR 20170163225 A KR20170163225 A KR 20170163225A KR 20190063995 A KR20190063995 A KR 20190063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curved surface
polishing
strip
surfac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3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2756B1 (ko
Inventor
김성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테크씨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테크씨앤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테크씨앤아이
Priority to KR1020170163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2756B1/ko
Publication of KR20190063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3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2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2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1/00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 B24B21/004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using abrasive rolled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1/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pherical surfaces or parts of spherical surfaces on work;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1/00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 B24B21/18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곡면 연마장치는, 연마스트립이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연마부와, 연마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연마대상물의 곡면부가 연마스트립과 대향되게 연마대상물을 지지하는 지그부와, 곡면부를 연마스트립에 접촉하여 곡면부에 돌출된 게이트를 연마할 때 곡면부와 접촉되는 부위의 연마스트립이 곡면부와 대응하는 곡률이 되도록 연마부와 지그부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곡면 연마장치{APPARATUS FOR GRINDING CURVED SURFACE}
본 발명은 곡면 연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마대상물의 곡면부를 균일하게 연마하는 곡면 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피커 케이스 등과 같은 제품 성형 후 제품 표면에 돌출된 부분이나 거친 표면을 다듬는 후처리 공정을 수행하게 되는데, 특히 곡면부에 돌출된 게이트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곡면부를 균일하게 연마할 필요가 있다.
종래기술로서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14396호에 "곡면 연마가 가능한 연마패드"가 개시되어 있다. 공개특허공보에 의하면, 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마부재를 회전시켜 가공부재의 곡면을 연마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연마하므로 곡면부가 파이거나 볼록 튀어나오게 되어 곡면부의 균일한 연마가 어렵고, 또한 곡면부의 불균일한 연마로 인하여 제품 불량률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14396호(2017.02.08.)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존 수작업이 아닌 자동화 공정을 통해 곡면 연마할 수 있으며, 곡면부의 균일한 연마가 가능한 곡면 연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연마장치는, 연마스트립이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연마부; 상기 연마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연마대상물의 곡면부가 상기 연마스트립과 대향되게 상기 연마대상물을 지지하는 지그부; 및 상기 곡면부를 상기 연마스트립에 접촉하여 상기 곡면부에 돌출된 게이트를 연마할 때 상기 곡면부와 접촉되는 부위의 상기 연마스트립이 상기 곡면부와 대응하는 곡률이 되도록 상기 연마부와 상기 지그부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그부는, 지그고정대; 및 상기 지그고정대의 상부에 상기 연마스트립을 향해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곡면부가 상기 연마스트립과 대향되게 상기 연마대상물을 지지하는 지그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그몸체는, 상기 연마대상물의 곡면부를 삽입할 수 있도록 원형 개구부가 전면에 형성되는 원형의 제 1 지그블록; 및 상기 제 1 지그블록의 후면에 결합되고, 상기 연마대상물의 하측면부를 지지하는 반원형의 제 2 지그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지그고정대의 후단부에 고정된 고정판의 나사홀을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고, 선단부가 상기 지그몸체에 결합되는 스크류볼트를 포함하되, 상기 스크류볼트를 회전 시 상기 나사홀과의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스크류볼트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지그몸체를 상기 연마스트립에 대하여 미세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연마대상물의 곡면부를 균일하게 연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그고정대에는 길이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고, 고정볼트가 상기 지그고정대의 하부에서 상기 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지그몸체의 하부에 체결되며, 상기 스크류볼트를 통해 상기 지그몸체와 상기 연마스트립의 미세 간격을 조절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볼트를 회전시켜 상기 지그몸체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마부는, 장치본체의 상부에 고정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일측 하단부에 구비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풀리; 상기 지지판의 일측 상단부에 구비되는 종동풀리; 상기 지지판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판에 형성된 장공을 따라 전후로 이동 가능한 이동풀리; 상기 구동풀리, 종동풀리 및 이동풀리에 의해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하는 연마스트립; 및 상기 이동풀리의 샤프트에 결합되고, 상기 이동풀리를 전후로 이동시켜 상기 연마스트립의 텐션을 조절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판에 상기 이동풀리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곡면 연마장치에 따르면, 연마대상물의 곡면부와 접촉되는 부위의 연마스트립의 곡률이 곡면부와 대응하는 곡률이 되도록 연마부와 지그부의 미세 간격을 조절한 상태에서 연마대상물의 곡면부를 회전하는 연마스트립에 접촉시켜 곡면부를 연마함으로써, 곡면부가 파이거나 볼록 튀어나오지 않게 곡면부를 균일하게 연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수작업이 아닌 자동화 공정을 통해 연마대상물의 곡면부를 연마하므로 생산성이 높고 불량률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연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연마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곡면 연마장치의 지그부 및 간격조절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측면도.
도 6은 도 4의 평면도.
도 7은 도 4의 분해사시도.
도 8은 곡면 연마장치에 연마대상물을 안착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곡면 연마장치에서 연마스트립과 지그몸체의 간격조절 및 연마대상물의 곡면부를 연마하는 작동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1은 곡면 연마장치를 이용하여 연마대상물의 곡면부를 연마하기 전후의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 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는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연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연마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고, 도 4는 곡면 연마장치의 지그부 및 간격조절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 도 6 및 도 7은 도 4의 측면도, 평면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연마장치(10)는 장치본체(1)의 상부테이블(2)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곡면 연마장치(10)는 연마대상물(11, 도 11 참조)의 곡면부(11a, 도 11 참조)에 돌출된 게이트(11b, 도 11 참조)를 기존 수작업이 아닌 자동화 공정을 통해 곡면 연마할 수 있으며, 곡면부(11a)의 균일한 연마가 가능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연마대상물(11)은 스피커의 상부케이스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곡면부(11a)가 형성된 모든 연마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다.
곡면 연마장치(10)는 연마부(100), 지그부(200) 및 간격조절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연마부(100)는 연마스트립()이 무한궤도로 회전하면서 연마대상물(11)의 곡면부(11a)를 연마한다.
연마부(100)는 지지판(110), 구동풀리(120), 종동풀리(130), 이동풀리(140), 연마스트립(150) 및 고정레버(16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판(110)은 장치본체(1)의 상부테이블(2)에 직립되게 고정된다.
지지판(110)은 지그부(200) 방향의 일측 상단부와 하단부에 종동풀리(130)와 구동풀리(120)의 샤프트가 관통하는 샤프트홀이 각각 형성되고, 지그부(200)와 반대쪽 타측에 후술할 이동풀리(140)의 샤프트가 관통한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장공(111)이 형성된다.
구동풀리(120)는 지지판(110)의 일측 하단부에 구비되어 구동모터(3)에 의해 회전한다. 구동폴리(120)의 샤프트(4)는 베어링 블록(5)에 의해 지지되고 구동모터(3)에 벨트(6)로 연결되어 구동풀리(120)를 회전시킨다.
종동폴리(130)는 지지판(110)의 일측 상단부에 구비된다.
이동풀리(140)는 지지판(110)의 타측에 구비되고, 이동풀리(140)의 샤프트가 지지판(110)에 형성된 장공(111)를 관통한 상태에서 장공(111)을 따라 전후로 이동 가능하다.
연마스트립(150)은 구동풀리(120), 종동풀리(130) 및 이동풀리(140)에 의해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한다. 연마스트립(150)은 스트립 외측면에 연마제가 부착되어 있다.
구동풀리(120)와 종동풀리(130) 사이의 연결스트립(150) 부분이 연마대상물(11)의 곡면부(11a)와 접촉하면서 곡면부(11a)를 연마시킨다.
고정레버(160)는 이동풀리(140)의 샤프트에 결합되고, 이동풀리(140)를 전후로 이동시켜 연마스트립(150)의 텐션을 조절한 상태에서 지지판(110)에 이동풀리(14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지그부(200)는 연마부(100)와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연마대상물(11)의 곡면부(11a)가 연마스트립(150)과 대향되게 연마대상물(11)을 지지할 수 있다.
지그부(200)는 지그고정대(210) 및 지그몸체(220)를 포함할 수 있다.
지그고정대(210)는 평판블록 형태로 제작되고, 장치본체(1)의 상부테이블(2)에 볼트로 고정된다.
지그고정대(210)는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장공(211)이 형성되고, 고정볼트(230)가 지그고정대(210)의 하부에서 장공(211)을 관통하여 후술할 지그몸체(220)의 하부에 체결된다.
이를 통해 후술할 스크류볼트(320)를 통해 지그몸체(220)와 연마스트립(150)의 미세 간격(G, 도 9 참조)을 조절한 상태에서 고정볼트(230)를 회전시켜 지그몸체(22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지그몸체(220)는 지그고정대(210)의 상부에 연마스트립(150)을 향해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연마대상물(11)의 곡면부(11a)가 연마스트립(150)과 대향되게 연마대상물(11)을 지지할 수 있다.
지그몸체(220)는 제 1 지그블록(221) 및 제 2 지그블록(2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지그블록(221)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연마대상물(11)의 곡면부(11a)를 삽입할 수 있도록 원형 개구부(221a)가 전면에 형성된다.
제 2 지그블록(222)은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제 1 지그블록(221)의 후면에 결합되고, 연마대상물(11)의 하측면부를 지지한다.
간격조절부(300)는 연마대상물(11)의 곡면부(11a)를 연마스트립(150)에 접촉하여 게이트(11b)가 돌출 형성된 곡면부(11a)를 연마할 때 곡면부(11a)와 접촉되는 부위의 연마스트립(150)이 곡면부(11a)의 곡률(r1)과 대응하는 곡률(r2)이 되도록 연마부(100)와 지그부(200)의 간격(G, 도 9 참조)을 조절할 수 있다.
간격조절부(300)는 지그고정대(210)의 후단부에 고정된 고정판(310)의 나사홀(311)을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고, 선단부가 지그몸체(220)에 결합되는 스크류볼트(32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류볼트(320)를 회전 시 나사홀(311)과의 나사 결합에 의해 스크류볼트(32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지그몸체(220)를 연마스트립(150)에 대하여 미세 간격(G)을 조절하여 연마대상물(11)의 곡면부(11a)를 균일하게 연마할 수 있다.
또한, 스크류볼트(320)를 통해 지그몸체(220)와 연마스트립(150)의 미세 간격(G)을 조절한 상태에서 고정볼트(230)를 회전시켜 지그몸체(22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8은 곡면 연마장치에 연마대상물을 안착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곡면 연마장치에서 연마스트립과 지그몸체의 간격조절 및 연마대상물의 곡면부를 연마하는 작동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11은 곡면 연마장치를 이용하여 연마대상물의 곡면부를 연마하기 전후의 사진이다.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마부(100)의 이동풀리(140)를 장공(111)을 따라 전후로 이동시켜 연마스트립(150)의 텐션을 조절한 후 고정레버(160)를 회전시켜서 이동풀리(140)의 위치를 고정시킴으로써 연마대상물(11)의 곡면부(11a)를 연마하기 위한 최적의 연마스트립(150) 텐션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류볼트(320)를 회전시키면 나사홀(311)과의 나사 결합에 의해 스크류볼트(32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지그몸체(220)를 연마스트립(150)에 대하여 간격(G)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연마대상물(11)의 곡면부(11a)를 연마스트립(150)에 접촉하여 곡면부(11a)를 연마할 때 곡면부(11a)의 균일 연마를 위하여 곡면부(11a)와 접촉되는 부위의 연마스트립(150)의 곡률(r2)이 곡면부(11a)와 대응하는 곡률(r1)이 되도록 연마부(100)와 지그부(200)의 미세 간격(G)을 조절한 후, 고정볼트(230)를 회전시켜 지그몸체(220)의 위치를 지그고정대(210)에 고정시킨다.
이처럼, 지그몸체(220)와 연마스트립(150)의 미세 간격(G)을 최적화로 조절한 후, 작업자는 게이트(11b)가 돌출된 곡면부(11a)가 제1지그블록(221)의 개구부(221a)를 통해 연마스트립(150)을 향하도록 연마대상물(11)을 지그부(200)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연마대상물(11)의 곡면부(11a)를 회전하는 연마스트립(150)에 접촉시켜 곡면부(11a)를 연마하게 된다.
이때, 곡면부(11a)와 접촉되는 부위의 연마스트립(150)의 곡률(r2)과 곡면부(11a)의 곡률(r1)이 대응되므로 곡면부(11a)가 파이거나 볼록 튀어나오지 않게 곡면부(11a)를 균일하게 연마할 수 있다.
또한, 기존 수작업이 아닌 자동화 공정을 통해 연마대상물(11)의 곡면부(11a)를 연마하므로 생산성이 높고 불량률을 낮출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자격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 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곡면 연마장치 11 : 연마대상물
11a : 곡면부 11b : 게이트
100 : 연마부 110 : 지지판
120 : 구동풀리 130 : 종동풀리
140 : 이동풀리 150 : 연마스트립
160 : 고정레버 200 : 지그부
210 : 지그고정대 220 : 지그몸체
221 : 제 1 지그블록 222 : 제 2 지그블록
230 : 고정볼트 300 : 간격조절부
310 : 고정판 320 : 스크류볼트

Claims (6)

  1. 연마스트립이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연마부;
    상기 연마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연마대상물의 곡면부가 상기 연마스트립과 대향되게 상기 연마대상물을 지지하는 지그부; 및
    상기 곡면부를 상기 연마스트립에 접촉하여 상기 곡면부에 돌출된 게이트를 연마할 때 상기 곡면부와 접촉되는 부위의 상기 연마스트립이 상기 곡면부와 대응하는 곡률이 되도록 상기 연마부와 상기 지그부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하는 곡면 연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부는,
    지그고정대; 및
    상기 지그고정대의 상부에 상기 연마스트립을 향해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곡면부가 상기 연마스트립과 대향되게 상기 연마대상물을 지지하는 지그몸체;를 포함하는 곡면 연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몸체는,
    상기 연마대상물의 곡면부를 삽입할 수 있도록 원형 개구부가 전면에 형성되는 원형의 제 1 지그블록; 및
    상기 제 1 지그블록의 후면에 결합되고, 상기 연마대상물의 하측면부를 지지하는 반원형의 제 2 지그블록;을 포함하는 곡면 연마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지그고정대의 후단부에 고정된 고정판의 나사홀을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고, 선단부가 상기 지그몸체에 결합되는 스크류볼트를 포함하되,
    상기 스크류볼트를 회전 시 상기 나사홀과의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스크류볼트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지그몸체를 상기 연마스트립에 대하여 미세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연마대상물의 곡면부를 균일하게 연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연마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고정대에는 길이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고,
    고정볼트가 상기 지그고정대의 하부에서 상기 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지그몸체의 하부에 체결되며,
    상기 스크류볼트를 통해 상기 지그몸체와 상기 연마스트립의 미세 간격을 조절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볼트를 회전시켜 상기 지그몸체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연마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는,
    장치본체의 상부에 고정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일측 하단부에 구비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풀리;
    상기 지지판의 일측 상단부에 구비되는 종동풀리;
    상기 지지판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판에 형성된 장공을 따라 전후로 이동 가능한 이동풀리;
    상기 구동풀리, 종동풀리 및 이동풀리에 의해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하는 연마스트립; 및
    상기 이동풀리의 샤프트에 결합되고, 상기 이동풀리를 전후로 이동시켜 상기 연마스트립의 텐션을 조절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판에 상기 이동풀리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레버;를 포함하는 곡면 연마장치.
KR1020170163225A 2017-11-30 2017-11-30 곡면 연마장치 KR102012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225A KR102012756B1 (ko) 2017-11-30 2017-11-30 곡면 연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225A KR102012756B1 (ko) 2017-11-30 2017-11-30 곡면 연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995A true KR20190063995A (ko) 2019-06-10
KR102012756B1 KR102012756B1 (ko) 2019-10-21

Family

ID=66848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3225A KR102012756B1 (ko) 2017-11-30 2017-11-30 곡면 연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27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5917B1 (ko) * 2021-07-14 2022-09-21 이동국 축 연마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0196A (ja) * 1996-05-17 1997-11-25 Sanshin Kogyo Kk ベルト研磨機
KR20140002304U (ko) * 2013-02-07 2014-04-22 이기환 휴대용 연마장치
KR20150101666A (ko) * 2014-02-27 2015-09-04 (주)위시스 박판 자재의 사이드 에지 연마 장치
KR20170014396A (ko) 2015-07-30 2017-02-08 (주)제이아이코리아 곡면 연마가 가능한 연마패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0196A (ja) * 1996-05-17 1997-11-25 Sanshin Kogyo Kk ベルト研磨機
KR20140002304U (ko) * 2013-02-07 2014-04-22 이기환 휴대용 연마장치
KR20150101666A (ko) * 2014-02-27 2015-09-04 (주)위시스 박판 자재의 사이드 에지 연마 장치
KR20170014396A (ko) 2015-07-30 2017-02-08 (주)제이아이코리아 곡면 연마가 가능한 연마패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5917B1 (ko) * 2021-07-14 2022-09-21 이동국 축 연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2756B1 (ko) 201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33247B2 (en) Electric sharpener
KR101366762B1 (ko) 볼밸브용 볼 연마장치
KR101860438B1 (ko) 금형 사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형 가공방법
US9358655B2 (en) Outer periphery polishing apparatus for disc-shaped workpiece
TW201726309A (zh) 研磨模組、研磨機器及研磨方法
KR20160148431A (ko) 소재 고정용 진공 지그가 구비된 연마 장치
KR20190063995A (ko) 곡면 연마장치
JPH09300196A (ja) ベルト研磨機
KR200454203Y1 (ko) 다이아몬드 다이스 연마 가공기
KR101623734B1 (ko) 사출금형의 코어 표면의 헤어라인 가공 장치
US7666067B2 (en) Method and device for sharpening a cutting tool
KR101441276B1 (ko) 톱날 연마 장치
KR101546618B1 (ko) 스펀지 연마성형장치
JP2009004579A (ja) 半導体ウェーハノッチ端面の研磨装置及びこれに使用する研磨ヘッド
JP3040926B2 (ja) ウエハノッチ部の鏡面加工装置
KR101759278B1 (ko) 가공장치
US3526061A (en) Honing machine
JPH0957588A (ja) 刃物の刃付装置および刃付方法
KR20110114139A (ko) 드릴나사못 연삭장치
JP2004082241A (ja) 面取り研磨装置におけるワーク支持具
KR200395499Y1 (ko) 목공 공구용 칼날의 연마각도 조절장치
EP1604778A1 (en) Method and device for sharpening a cutting tool
US4254587A (en) Pivotal work holding device for grinding gemstones
KR200424859Y1 (ko) 연마장치
KR20070029403A (ko) 장식용 프레임 연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