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4396A - 곡면 연마가 가능한 연마패드 - Google Patents

곡면 연마가 가능한 연마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4396A
KR20170014396A KR1020150107719A KR20150107719A KR20170014396A KR 20170014396 A KR20170014396 A KR 20170014396A KR 1020150107719 A KR1020150107719 A KR 1020150107719A KR 20150107719 A KR20150107719 A KR 20150107719A KR 20170014396 A KR20170014396 A KR 20170014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shing
edge
abrasive
elastic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7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업
Original Assignee
(주)제이아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아이코리아 filed Critical (주)제이아이코리아
Priority to KR1020150107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4396A/ko
Publication of KR20170014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43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7/00Lapping machines or devices; Accessories
    • B24B37/11Lapping tools
    • B24B37/20Lapping pads for working plane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7/00Lapping machines or devices; Accessories
    • B24B37/11Lapping tools
    • B24B37/20Lapping pads for working plane surfaces
    • B24B37/22Lapping pads for working plane surfaces characterised by a multi-layered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7/00Lapping machines or devices; Accessories
    • B24B37/11Lapping tools
    • B24B37/20Lapping pads for working plane surfaces
    • B24B37/24Lapping pads for working plane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properties of the pad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7/00Lapping machines or devices; Accessories
    • B24B37/11Lapping tools
    • B24B37/20Lapping pads for working plane surfaces
    • B24B37/26Lapping pads for working plane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apping pad surface, e.g. groov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부재의 수평면 및 엣지면을 가공할 수 있는 곡면 연마가 가능한 연마패드에 관한 것으로, 가공부재 중 엣지면을 가공하기 위해 연마부재의 가장자리에 엣지 연마부 또는 그에 상응한 변형이 발생할 수 있는 탄성부재 및 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로 구성되어, 가공부재에 형성된 엣지면의 균일한 연마를 할 수 있는 곡면 연마가 가능하고, 연마시 이용하는 냉각유체를 원활히 배수하면서 가공부재와 연마부재 간의 밀착력을 높여 균일한 연마를 할 수 있는 곡면 연마가 능한 연매패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곡면 연마가 가능한 연마패드{A polishing pad for curve polishing}
본 발명은 가공부재의 수평면 및 엣지면을 가공할 수 있는 곡면 연마가 가능한 연마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연마패드는 연마장치에 부착되어 가공부재 표면을 연마하는 구성으로 통상 고속회전하는 연마장치에 부착되어 사용된다.
한편, 곡면 연마를 위한 유연성 연마제품을 개발하기 위한 시도가 많이 있어 왔는데, 이와 관련된 종래 기술로는 먼저, 실용신안공개 제1998-0028510호(1996.09.04) 『연마판』,
실용신안등록 제0141532호(1998.12.31) 『용기 내부 연마용 버프』,
그리고 특허등록 제0528884호(2005.11.09) 『에지 연마 장치 및 에지 연마방법』이 있으나, 이들은 연마 디스크들을 일정 두께로 적층하여 모터의 축에 연결하여 사용하며, 디스크가 적층되어 이루어진 원통 형상의 연마 구조체의 측면이 연마에 사용되는 형태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특허등록 제0256922호(2000.02.25) 『전착을 이용한 연삭 및 연마공구의 제조방법』에서는 금속판이나 금속망으로 이루어진 모재를 제시하고 있어 보다 완벽한 유연성을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고, 특허등록 제0264140호(2000.05.25) 『섬유망에서의 패턴 전착을 이용한 연마공구의 제조방법』이 있으나, 특허등록 제0413639호(2003.12.18) 『연마패드 제조방법』 및 특허공개 제2003-0079195호(2003.10.10) 『콜크분말이 첨가된 석재 연마용 패드 및 그 제조방법』 등의 두 특허에 기초한 제품은 모두 모재와 지립층 사이의 결합력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한편, 특허공개 제2005-0025665호(2005.03.14) 『연마 제품, 이의 제조 및 사용 방법 및 제조장치』가 공개된 바 있다.
하지만, 상술한 공개특허에서 사용되는 모재는 단순히 유연한 후면부재만을 제시하고 있을 뿐, 연마시 엣지부분에 대한 가공을 할 수 있을 만한 수단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곡면 연마가 가능한 연마패드는 가공부재에 형성된 엣지면의 균일한 연마를 할 수 있는 곡면 연마가 가능한 연마패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마시 이용하는 냉각유체를 원활히 배수하면서 가공부재와 연마부재 간의 밀착력을 높여 균일한 연마를 할 수 있는 곡면 연마가 능한 연매패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연마부재에 엣지 연마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가공부재의 엣지면의 직경과 동일한 두께의 탄성부재를 형성하여 가공부재의 엣지면을 균일하게 연마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를 구성하여 연마장치를 통한 가공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탄성력이 부가되어 균일한 연마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 및 연마부재를 폴리우레탄폼 계열로 형성하여 연마시 공급되는 냉각유체의 배수성이 향상됨은 물론 가공부재와의 밀착력 및 탄성력을 그대로 유지하여 균일한 연마면을 형성해 연마 가공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아울러, 탄성부재 및 연마부재에 부과된 밀도 및 경도에 의해 연마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곡면 연마가 가능한 연마패드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 엣지 연마부를 형성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곡면 연마가 가능한 연마패드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곡면 연마가 가능한 연마패드를 이용해 가공부재를 가공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 실시 예
우선,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연마부재(10)는 천, 가죽, 펠트 등으로 만들어진 버프에 연마제를 고정시켜 제작되어 유리와 같은 가공부재(1) 표면을 연마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서의 연마부재(10)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연마장치(도면에 미도시)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따라서, 연마부재(10)는 전체적으로 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원형형상 중 가장자리 부분은 가공부재(1) 중 엣지면(1a)을 가공할 수 있도록 엣지면(1a)과 동일한 직경으로 이루어진 라운드 형태의 엣지 연마부(11)가 형성되고, 엣지 연마부(11)의 내측은 가공부재(1)의 수평면(1b)을 가공하기 위해 평평한 형태의 수평 연마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지지부재(30)는 상술한 연마부재(10)의 하측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통상 접착제(도면에 미도시)를 이용하여 접착하여 결합된다.
상기 지지부재(30)는 연마장치에 본 발명을 결합한 후 사용하였을 때에 연마부재(10)를 지지하면서 일부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부착부재(40)는 본 발명을 연마장치에 결합시 결합하기 위한 구성으로 통상적으로 부직포 형태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술한 연마부재(10)에 형성된 연마부(11)의 형상 가공은 도 3에서와 같이 연마부재(10)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재(30)의 일부를 가장자리를 따라 절개하여 절개면(31)으로 구획한 상태에서 절개면(31) 사이 공간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가공부재(1)의 엣지면(1a)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금형 프레스(P)를 이용해 일정 온도 및 압력을 가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연마부재(10) 및 지지부재(30)에 사이에 지지부재(30)보다 경도가 낮은 탄성부재(20)를 더 형성하여 연마장치를 통한 가공부재(1)의 연마시 탄성력을 부여하여 가공부재(1)의 연마면이 고르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마부재(10)의 엣지 연마부(11)의 형성은 탄성부재(20)를 형성하더라도 상기와 같이 지지부재(30)의 일부를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탄성부재(20) 및 지지부재(30)를 폴리우레탄폼 계열로 형성하고 있다.
이는, 통상 연마하는 과정이 냉각유체를 분사시키면서 이루어지는 관계로 고속회전시 이러한 냉각유체를 원활히 배출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탄성력 및 밀착성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하고자 발포된 폼을 사용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의 탄성부재(20)는 밀도 : 76 ∼ 78㎏/㎡, 경도 : 26 ∼ 30㎏/314㎠인 폴리우레탄폼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술한 탄성부재(20)는 연마부재(10)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연마작용시 가공부재(1)와의 밀착력 향상 및 일정한 힘을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만약, 탄성부재(20)의 밀도를 상술한 임계치 미만으로 형성할 경우 탄성부재(20)의 탄성력이 저하되고,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에는 연마가공할 때에 분사하는 냉각수가 탄성부재(20) 내에서 원활히 배수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탄성부재(20)의 경도는 임계치 미만일 경우에는 너무 연질로 이루어지게 되어 연마가공시 탄성 복원력이 저하되어 연마부재(10)를 밀어주는 탄성력이 저하됨으로 인해 가공부재(1)와의 밀착성이 저하되고,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에는 너무 경질로 이루어지게 되어 연마장치의 가압력이 가공부재(1) 표면으로 전달되지 못함으로써 가공부재(1) 표면을 고르게 연마시킬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지지부재(30)도 상술한 탄성부재(20)와 마찬가지로 냉각유체를 원활히 배출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연마부재(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폴리우레탄폼 계열로 제작된다.
이러한, 지지부재(30)는 밀도 89 ∼ 91㎏/㎡, 경도 40 ∼ 44㎏/314㎠인 폴리우레탄폼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술한 지지부재(30)의 밀도가 임계치 미만을 경우에는 지지력이 약해지며,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에는 냉각수의 배수능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지지부재(30)의 경도를 임계치 미만으로 형성할 경우 연마부재(1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력이 약해지게 되고, 임계치를 초과하게 될 경우 지지력은 향상되지만 탄성력 저하로 인해 가공부재(1)와의 밀착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곡면 연마가 가능한 연마패드의 작용효과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곡면 연마가 가능한 연마패드(5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부직포로 이루어진 부착부재(40)를 이용하여 연마장치에 장착한 후 고속 회전을 통해 가공부재(1)를 연마하게 된다.
이때에, 연마부재(10)는 실질적으로 가공부재(1)의 표면과 맞닿아 연마를 하게되며, 이 과정에서 탄성부재(20)는 탄성력을 부가하여 연마장치를 통한 연마시 연마부재(10)와 가공부재(1)의 탄성에 의한 밀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되고, 지지부재(30)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형상을 유지한채로 연마부재(10)를 지지하되, 일부는 탄성력을 부여하여 가공부재(1)와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는 가공부재(1)의 수평면(1b)을 가공하는 수평 연마부(12) 이외에 가공부재(1)에 형성되어 있는 엣지면(1a)을 가공하기 위한 엣지 연마부(11)가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엣지 연마부(11)는 가공부재(1)에 형성된 엣지면(1a)과 동일한 직경으로 이루어져 있어, 엣지 연마부(11)를 통한 가공부재(1)의 가공시 엣지면(1a)과 균일하게 맞닿아 균일한 힘으로 엣지면(1a) 표면을 연마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의 엣지 연마부(11)는 지지부재(30)를 후가공하여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에 따른 단가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의 탄성부재(20) 및 지지부재(30)는 폴리우레탄 폼계열로 구성되어 있어 연마장치를 이용한 연마과정시 냉각유체가 공급되더라도 원활하게 냉각유체가 배수되면서 탄성력 및 그에 따른 밀착력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균일한 상태의 연마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제2 실시 예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 예는 제1 실시 예와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제2 실시 예에 따른 곡면 연마가 가능한 연마패드(50a)는 도 4에서와 같이 가공부재(1)의 엣지면(1a) 및 수평면(1b)을 가공하기 위한 연마부재(10a)가 구성되어 있고, 이 연마부재(10a)의 하측에는 탄성부재(20a) 및 지지부재(30a) 및 부착부재(40a)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술한 탄성부재(20a)는 제1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연마부재(10)에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작용과 더불어 가공부재(1)의 엣지면(1a)을 가공할 때에 엣지면(1a)에 의해 연마부재(10a)의 가장자리 부분이 엣지면(1a)과 동일한 형상으로 눌릴 수 있도록 하여 엣지면(1a)의 연마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작용이 추가된다.
즉, 본 발명에서의 연마부재(10a)와 탄성부재(20a)를 합친 두께(t)는 가공부재(1)의 엣지면(1a)을 구성하고 있는 직경과 동일한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를 통해 가공부재(1)의 수평면(1b)을 연마할 때에는 연마부재(10a)의 전체 면적이 수평면(1b)을 가공하게 되고, 이때에 탄성부재(20a)는 연마부재(10a)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가공부재(1a)와 밀착시키도록 작용함으로써 연마면이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작용한다.
그러다가, 가공부재(1)의 엣지면(1a)에 맞닿을 경우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엣지면(1a)에 맞닿은 연마부재(10a) 가장자리 부분이 눌리게 되어 엣지면(1a)과 동일한 형상을 형성하게 되어 엣지면(1a)과 밀착되어 연마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상술한 탄성부재(20a)의 두께를 엣지면(1a)을 형성하고 있는 직경보다 큰 치수의 두께로 형성할 경우 연마부재(10a)의 가장자리 부분에서의 탄성력 저하 및 지지력이 약해지게 되어 균일한 연마면을 형성할 수 없게 되고, 엣지면(1a)을 형성하고 있는 직경보다 작은 치수의 두께로 형성할 경우에는 눌리는 두께가 작기 때문에 연마부재(10a) 중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재(30a)에 의해 더 이상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따라서, 엣지면(1a) 형상으로 가장자리 부분의 연마부재(10a)가 형상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결국에는 엣지면(1a)의 연마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 가공부재 1a : 엣지면 1b : 수평면 P : 프레스 금형
10, 10a : 연마부재
11 : 엣지 연마부 12 : 수평 연마부
20, 20a : 탄성부재
30, 30a : 지지부재
31 : 절개면
40, 40a : 부착부재
50, 50a : 곡면 연마가 가능한 연마패드

Claims (7)

  1. 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측면에는 가공부재(1) 중 라운드로 이루어진 엣지면(1a)을 연마하기 위해 가공부재(1)의 엣지면(1a)과 동일한 직경으로 이루어진 엣지 연마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엣지 연마부(11) 내측에는 가공부재(1)의 수평면(1b)을 연마하기 위한 수평 연마부(12)가 형성되는 연마부재(10);
    상기 연마부재(10)를 탄성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30);
    상기 지지부재(30)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부착부재(40);로 이루어져 가공부재(1)의 수평면(1b) 및 라운드 처리된 엣지면(1a)을 연마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곡면 연마가 가능한 연마패드.
  2. 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연마부재(10a);
    상기 연마부재(10a)의 하측에 형성되어 연마부재(10a)를 통한 가공부재(1) 가공시 연마부재(10a)의 가장자리 부분이 가공면(1) 중 라운드를 형성하고 있는 엣지면(1a)을 연마할 때에 엣지면(1a)과 동일한 형상으로 눌리면서 가공시 가압되는 힘에 의한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해 형성되는 탄성부재(20a);
    상기 탄성부재(30a)의 하측에 형성되어 연마부재(10a) 및 탄성부재(20a)를 탄성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30a);
    상기 지지부재(30a)의 하측에 형성되는 부착부재(40);로 이루어져 가공부재의 수평면 및 엣지면을 연마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곡면 연마가 가능한 연마패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재(10)와 지지부재(30) 사이에는 연마시 가압되는 힘에 의한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탄성부재(2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곡면 연마가 가능한 연마패드.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20, 20a)와 지지부재(30, 30a)는 냉각유체의 배수력이 좋으면서 밀착성 탄성력이 뛰어난 폴리우레탄폼 계열로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곡면 연마가 가능한 연마패드.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20, 20a)는 밀도 : 76 ∼ 78㎏/㎡ 경도 : 26 ∼ 30㎏/314㎠이고, 지지부재(30, 30a)는 밀도 89 ∼ 91㎏/㎡, 경도 40 ∼ 44㎏/314㎠인 것에 특징이 있는 곡면 연마가 가능한 연마패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재(10)의 엣지 연마부(11)는,
    연마부재(10)와 지지부재(30)를 접착한 상태에서 지지부재(30)의 일부를 절개하여 절개면(31)을 형성하고, 절개면(32) 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엣지면(1a)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프레스 금형(P)을 이용해 가공하여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곡면 연마가 가능한 연마패드.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재(10a)와 탄성부재(20a)를 합친 두께(t)는 가공부재(1) 중 엣지면(1a)의 직경과 동일한 수치로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곡면 연마가 가능한 연마패드.
KR1020150107719A 2015-07-30 2015-07-30 곡면 연마가 가능한 연마패드 KR201700143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719A KR20170014396A (ko) 2015-07-30 2015-07-30 곡면 연마가 가능한 연마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719A KR20170014396A (ko) 2015-07-30 2015-07-30 곡면 연마가 가능한 연마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396A true KR20170014396A (ko) 2017-02-08

Family

ID=58155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7719A KR20170014396A (ko) 2015-07-30 2015-07-30 곡면 연마가 가능한 연마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439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1035A (ko) 2017-07-24 2019-02-01 주식회사 덕성 곡면 글라스 연마용 연마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63995A (ko) 2017-11-30 2019-06-10 주식회사 현테크씨앤아이 곡면 연마장치
KR101958565B1 (ko) 2017-09-12 2019-07-04 강상구 곡면 강화유리 연마장치
KR102105151B1 (ko) * 2019-08-28 2020-04-27 주식회사 에이디하이텍 디스플레이 글라스의 곡면 성형용 폴리우레탄 패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75817B1 (ko) * 2020-01-22 2021-07-09 주식회사 이오테크닉스 지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가공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1035A (ko) 2017-07-24 2019-02-01 주식회사 덕성 곡면 글라스 연마용 연마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958565B1 (ko) 2017-09-12 2019-07-04 강상구 곡면 강화유리 연마장치
KR20190063995A (ko) 2017-11-30 2019-06-10 주식회사 현테크씨앤아이 곡면 연마장치
KR102105151B1 (ko) * 2019-08-28 2020-04-27 주식회사 에이디하이텍 디스플레이 글라스의 곡면 성형용 폴리우레탄 패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75817B1 (ko) * 2020-01-22 2021-07-09 주식회사 이오테크닉스 지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가공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14396A (ko) 곡면 연마가 가능한 연마패드
US5910041A (en) Lapping apparatus and process with raised edge on platen
US6048254A (en) Lapping apparatus and process with annular abrasive area
US6523215B2 (en) Polishing pad and system
EP2292379B1 (en) A method for cleaning a polished hard floor surface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US8572797B2 (en) Buffing pad centering system
EP3152002B1 (en) Abrasive tool for machining surfaces
WO2014183091A1 (en) Blade sharpening system for a log saw machine
US20250018536A1 (en) Conformable abrasive article
CN107000173A (zh) 研磨刷
CN106392854B (zh) 用于蓝宝石产品外形抛光的装置、系统及抛光方法
US20100095470A1 (en) Buffing device
JP2000042901A (ja) 研磨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793724B2 (ja) 金属塗装面の研磨方法
JPH0727754U (ja) 研磨加工用装置
JP6604472B2 (ja) 研磨パッド
EP3321033B1 (en) Abrasive tool
JP4791291B2 (ja) Cmpパッド
JP2006055964A (ja) スムージング工具
JP3942573B2 (ja) スムージング工具及びスムージング方法
RU2289501C2 (ru) Насадка шлифовальная, полировальная с дисковым рабочим органом (варианты)
CN1618571B (zh) 用于手持式磨削机的磨削盘
JP2006142439A (ja) 研磨パッドおよびこれを用いた研磨方法
CN112677034A (zh) 一种湿式研磨系统
WO2015163136A1 (ja) 研磨パ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