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3762A - 온도 센서를 구비한 뇨당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온도 센서를 구비한 뇨당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3762A
KR20190063762A KR1020170162781A KR20170162781A KR20190063762A KR 20190063762 A KR20190063762 A KR 20190063762A KR 1020170162781 A KR1020170162781 A KR 1020170162781A KR 20170162781 A KR20170162781 A KR 20170162781A KR 20190063762 A KR20190063762 A KR 20190063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sensor
urine
sensor
sugar detection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2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기
김준만
오동현
Original Assignee
비케이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케이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케이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2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3762A/ko
Priority to PCT/KR2017/013916 priority patent/WO2019107611A1/ko
Publication of KR20190063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37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K13/02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moving fluids or granular materials capable of fl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G01N27/327Biochemical electrodes, e.g. electrical or mechanical details for in vitro measur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71Thermal or temperature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소변의 온도에 따른 뇨당 농도 보상이 가능하도록 온도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뇨당 검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당 검출 장치는 WE, RE 및 CE로 당 농도를 검출하는 당 검출 센서 및 당 검출 센서의 주변에 형성되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뇨당 검출 장치에 뇨당 검출 센서 외에 온도 센서가 더 구비되어 있어, 소변의 온도에 따른 뇨당 농도 보상이 가능하므로, 정확한 뇨당 농도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온도 센서를 구비한 뇨당 검출 장치{Urine Glucose Sensing Apparatus with Temperature Sensor}
본 발명은 바이오 센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화학 방식을 이용하여 뇨당을 검출하는 뇨당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뇨당 검출 장치는 소변 속의 글루코오스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당뇨 수치를 모니터링하는 비침습적인 당뇨병 자가 진단 장치이다. 성인병 예방과 건강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수요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건강 검진은 물론이고 일상생활에서도 손쉽게 배뇨 중 당 농도를 확인할 수 있어 당뇨 환자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의료계에 따르면 세계 당뇨 환자에 소요되는 비용은 오는 2018년 114조원에 이를 전망이다. 관련 의료기기 시장 역시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뇨당 검출 장치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정확한 뇨당 농도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이므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뇨당 검출 장치를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변의 온도에 따른 뇨당 농도 보상이 가능하도록 온도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뇨당 검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당 검출 장치는 WE(Working Electrode), RE(Reference Electrode) 및 CE(Counter Electrode)로, 당 농도를 검출하는 당 검출 센서; 및 당 검출 센서의 주변에 형성되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한다.
그리고, 온도 센서는, 당 검출 센서의 일 측면과 상부를 둘러싸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온도 센서는, 당 검출 센서의 타 측면을 더 둘러싸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온도 센서는, "ㄹ" 자가 연속되는 패턴인 것일 수 있다. 이 때, "ㄹ" 자의 가로획의 길이는 위치에 따라 가변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ㄹ" 자의 가로획의 길이는, 동일 선 상에 있는 당 검출 센서의 가로 폭에 의해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ㄹ" 자의 가로획의 길이는, 동일 선 상에 있는 당 검출 센서의 가로 폭에 반 비례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ㄹ" 자의 세로획의 길이는, 위치에 따라 불변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온도 센서는, 외곽이 사각형일 수 있다.
또한, 당 검출 센서는, 뇨당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뇨당 검출 장치에 뇨당 검출 센서 외에 온도 센서가 더 구비되어 있어, 소변의 온도에 따른 뇨당 농도 보상이 가능하므로, 정확한 뇨당 농도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주어진 뇨당 검출 센서의 형상 하에서, 정확도가 가장 높은 구조의 온도 센서를 구현함으로써, 소변 농도 측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뇨당 검출 장치가 PCB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뇨당 검출 장치의 상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뇨당 검출 장치가 PCB(Printed Circuit Board)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PCB(10)는 뇨당계(미도시)에 장착되어 뇨당 측정에 필요한 정보들을 제공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뇨당 검출 장치(100)의 상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뇨당 검출 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WE(Working Electrode)(110), RE(Reference Electrode)(120) 및 CE(Counter Electrode)(130) 및 온도 센서(140)를 구비한다.
WE(110), RE(120) 및 CE(130)는 뇨당 검출 센서를 구성하는 전극체들이다. WE(110)는 원형 형상으로 구현되고, RE(120)와 CE(130)는 WE(110)의 주변을 등간격으로 둘러싸는 형상으로 구현된다.
WE(110), RE(120) 및 CE(130)의 말단에는 패드가 형성되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패드들은 PCB(10)의 배선들과 각각 연결되어 도통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뇨당 검출 센서(110, 120, 130)의 주변에는 소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140)가 형성된다. 즉, 온도 센서(140)는 뇨당 검출 센서(110, 120, 130)의 주변을 둘러싸는 형상이다.
구체적으로, 온도 센서(140)는 뇨당 검출 센서(110, 120, 130)의 좌측면, 상부 및 우측면을 둘러싸는 형상이다.
그리고, 온도 센서(140) 자체는 "ㄹ" 자가 연속되는 패턴으로 구현되는데, 패턴의 규격은 둘러싸고 있는 뇨당 검출 센서(110, 120, 130)의 규격에 연동하여 가변적이다.
구체적으로, 온도 센서(140)의 패턴을 형성하는 "ㄹ" 자의 가로획의 길이는 위치에 따라 가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ㄹ" 자의 가로획의 길이는, 동일 선 상에 있는 뇨당 검출 센서(110, 120, 130)의 가로 폭에 의해 결정된다.
즉, 동일 선 상에 있는 뇨당 검출 센서(110, 120, 130)의 가로 폭이 길수록, 온도 센서(140)의 패턴을 형성하는 "ㄹ" 자의 가로획의 길이는 짧아진다. 도 2에서 온도 센서(140)의 하부 영역이 그러하다.
또한, 동일 선 상에 있는 뇨당 검출 센서(110, 120, 130)의 가로 폭이 짧을수록, 온도 센서(140)의 패턴을 형성하는 "ㄹ" 자의 가로획의 길이는 길어진다. 도 2에서 온도 센서(140)의 중상부 영역이 그러하다.
특히, 온도 센서(140)의 상부 영역에는 동일 선 상에 뇨당 검출 센서(110, 120, 130)가 형성되어 있지 않았으므로, 온도 센서(140)의 패턴을 형성하는 "ㄹ" 자의 가로획의 길이가 가장 길다.
이와 같이, 온도 센서(140)의 패턴을 형성하는 "ㄹ" 자의 가로획의 길이는, 동일 선 상에 있는 뇨당 검출 센서(110, 120, 130)의 가로 폭와 반 비례 관계에 있다.
반면, 온도 센서(140)의 패턴을 형성하는 "ㄹ" 자의 세로획의 길이는 위치에 따라 불변한다. 온도 센서(140)의 우측 상부 부분에는 단일 패턴으로 온도 센서를 구현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ㄹ" 자의 세로획의 길이가 길어졌는데, 이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들에서 온도 센서(140)의 패턴을 형성하는 "ㄹ" 자의 세로획의 길이는 균일하다.
나아가, 온도 센서(140)는 뇨당 검출 센서(110, 120, 130)를 둘러싸는 관계로, 온도 센서(140)는 내곽은 뇨당 검출 센서(110, 120, 130)의 형상에 따라 결정된다. 반면, 온도 센서(140)의 외곽은 사각형 형상이다.
지금까지, 온도 센서를 구비한 뇨당 검출 장치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다.
뇨당 검출 센서(110, 120, 130)에 의해 측정된 뇨당 정보와 온도 센서(140)에서 측정된 온도 정보는 PCB(10)를 통해 뇨당계로 전달되며, 뇨당계는 온도 정보를 이용하여 뇨당 정보를 보상하게 된다.
위 실시예에서, 온도 센서(140)는 뇨당 검출 센서(110, 120, 130)의 좌측면, 상부 및 우측면을 모두 둘러싸는 형상으로 구현하였는데, 예시적인 것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이를 테면, 온도 센서(140)가 뇨당 검출 센서(110, 120, 130)의 좌측면과 상부만을 둘러싸는 형상이거나, 뇨당 검출 센서(110, 120, 130)의 우측면과 상부만을 둘러싸는 형상인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위 실시예에서는 뇨당 검출 장치를 상정하였는데, 뇨당이 아닌 혈당 검출 장치로 구현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 WE(Working Electrode)
120 : RE(Reference Electrode)
130 : CE(Counter Electrode)
140 : 온도 센서

Claims (10)

  1. WE(Working Electrode), RE(Reference Electrode) 및 CE(Counter Electrode)로, 당 농도를 검출하는 당 검출 센서; 및
    당 검출 센서의 주변에 형성되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당 검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온도 센서는,
    당 검출 센서의 일 측면과 상부를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 검출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온도 센서는,
    당 검출 센서의 타 측면을 더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 검출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온도 센서는,
    "ㄹ" 자가 연속되는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 검출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ㄹ" 자의 가로획의 길이는 위치에 따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 검출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ㄹ" 자의 가로획의 길이는,
    동일 선 상에 있는 당 검출 센서의 가로 폭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 검출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ㄹ" 자의 가로획의 길이는,
    동일 선 상에 있는 당 검출 센서의 가로 폭에 반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 검출 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ㄹ" 자의 세로획의 길이는,
    위치에 따라 불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 검출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온도 센서는,
    외곽이 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 검출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당 검출 센서는,
    뇨당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 검출 장치.
KR1020170162781A 2017-11-30 2017-11-30 온도 센서를 구비한 뇨당 검출 장치 KR2019006376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781A KR20190063762A (ko) 2017-11-30 2017-11-30 온도 센서를 구비한 뇨당 검출 장치
PCT/KR2017/013916 WO2019107611A1 (ko) 2017-11-30 2017-11-30 온도 센서를 구비한 뇨당 검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781A KR20190063762A (ko) 2017-11-30 2017-11-30 온도 센서를 구비한 뇨당 검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762A true KR20190063762A (ko) 2019-06-10

Family

ID=66665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2781A KR20190063762A (ko) 2017-11-30 2017-11-30 온도 센서를 구비한 뇨당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063762A (ko)
WO (1) WO2019107611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37769A (ja) * 2009-12-29 2011-07-14 Nipro Corp バイオセンサを有する測定装置
US8888973B2 (en) * 2011-07-29 2014-11-18 Roche Diagnostics Operations, Inc. Encoded biosensors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thereof
GB201216862D0 (en) * 2012-09-20 2012-11-07 Univ Southampton Apparatus for sensing at least one parameter in water
US9395319B2 (en) * 2013-05-02 2016-07-19 Lifescan Scotland Limited Analytical test meter
KR20150073782A (ko) * 2013-12-23 2015-07-01 전자부품연구원 요당 감지 기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07611A1 (ko) 2019-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arooqui et al. Low cost inkjet printed smart bandage for wireless monitoring of chronic wounds
US8858072B2 (en) Multiple temperature measurements coupled with modeling
US6982930B1 (en) Wristwatch with the function of sensing heart pulses
EP3487628B1 (en) Capacitive continuous fluid level sensor
ATE529036T1 (de) Techniken zur bestimmung des glucosegehaltes
JPH10137218A (ja) 身体機能測定装置、および皮膚温度測定装置
US9247905B2 (en) Wide band field response measurement for glucose determination
WO2014125431A4 (en) Personal health data collection
US20200323438A1 (en) Flow volume measuring device, flow volume measuring method, pressure measuring device, and pressure measuring method
US20160051193A1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detecting biological information
JP4711333B2 (ja) 計測表示器、及び血糖値計測表示器
TW201538193A (zh) 分析物量測器
WO2017171660A1 (en) Foot joint health diagnosis system
JP2020514727A5 (ko)
TWI740389B (zh) 耳式體溫計
KR101345381B1 (ko) 혈압측정장치
Horn et al. Small nerve fiber involvement is frequent in X-linked adrenoleukodystrophy
Chambers et al. Clinical comparison of the Spiegelberg parenchymal transducer and ventricular fluid pressure
JP7026582B2 (ja) 尿のpHを検出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90063762A (ko) 온도 센서를 구비한 뇨당 검출 장치
JP3928432B2 (ja) 光式生体情報測定装置
Takenaka et al. Evaluation of rebound tonometer for measuring intraocular pressure at deviated angle and position
KR20200016344A (ko) 포도당 테스트 배열체 및 방법
KR101098993B1 (ko) 전극을 이용한 질병진단용 바이오센서 및 이의 측정장치
US9207200B2 (en) Biosensor str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265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807

Effective date: 2020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