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3024A - 새싹채소 재배용 키트 - Google Patents

새싹채소 재배용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3024A
KR20190063024A KR1020170161779A KR20170161779A KR20190063024A KR 20190063024 A KR20190063024 A KR 20190063024A KR 1020170161779 A KR1020170161779 A KR 1020170161779A KR 20170161779 A KR20170161779 A KR 20170161779A KR 20190063024 A KR20190063024 A KR 20190063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ntainer
powder
seed
vermicul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1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4933B1 (ko
Inventor
도현민
Original Assignee
도현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현민 filed Critical 도현민
Priority to KR1020170161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4933B1/ko
Publication of KR20190063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3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4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4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01G24/1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containing soil minerals
    • A01G24/15Calcined rock, e.g. perlite, vermiculite or clay aggreg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3Solid substances, e.g. granules, powders, blocks, tabl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 Y02P60/216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oi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 상기 용기 내에 담겨지는 펄라이트와 질석이 혼합된 베이스층; 상기 용기에 투입되는 일정량의 물; 상기 베이스층 위에 올려지는 새싹채소의 씨앗층; 및 상기 씨앗층 위에 올려지며, 전처리된 편백나무분말과 황토분말과 편백나무 칩이 혼합된 도포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채소 재배용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펄라이트와 질석의 혼합물이 물을 조금씩 흡수하여 씨앗에 적정량의 수분을 공급하는 베이스층을 형성하고, 편백나무분말과 황토분말과 편백나무 칩의 혼합물이 도포층을 형성하여 씨앗의 발아에 필요한 온도와 수분을 유지시키고 곰팡이의 생성을 억제하여 발아의 최적 환경을 유지시켜주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물을 주거나 관리할 필요가 없이 가정에서 손쉽게 새싹채소를 재배할 수 있 효과가 있다. 또한, 물만 있으면 어느 장소에서나 재배가 가능하기 때문에 판촉용, 식용, 교육용, 관람용 및 인테리어용 등으로 보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새싹채소 재배용 키트{Sprout Growing Kits}
본 발명은 새싹채소 재배용 키트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가정에서 손쉽게 새싹채소를 재배할 수 있는 새싹채소 재배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새싹채소는 씨앗을 발아시켜 순순한 물만으로 10cm 이내가 되게 5일 내지 15일 정도 재배하여 돋아난 새싹채소를 수확하여 먹는 속성재배채소를 의미한다.
이러한 새싹채소는 신선하고 부드러우며 향기가 독특하고 영양성분이 풍부하여 웰빙식품으로 좋고 건강 기능면에서도 매우 우수하여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새싹채소를 재배하는 방법으로는 바구니 같은 곳에 씨앗을 담고 그 위에 빛을 차단하는 커버를 덮어씌운 후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하여 씨앗을 발아시켜서 재배하는 방법과, 육묘상자에 솜이나 스펀지 등을 일정한 두께로 깔고 물을 공급한 후 그 위에 씨앗을 뿌려 재배하는 방법과, 비닐하우스 내부에 상토와 모래 또는 흙 등을 골고루 뿌린 후 그 위에 씨앗을 조밀하게 뿌려 물을 공급하여서 재배하는 방법 등이 이용되어 왔으며, 근래에는 가정에서 수경재배를 통해 직접 새싹채소를 재배할 수 있는 새싹채소 재배 키트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새싹채소 재배 키트들은 새싹을 발아시키기 위해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해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부피가 커서 제조단가가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2741호 (2012.03.06. 공고)
(특허문헌 2) 한국 등록특허 제10-1386043호 (2004.04.22. 공고)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에 담을 수 있도록 포장된 펄라이트와 질석의 혼합물, 그 위에 뿌릴 수 있도록 포장된 각종 새싹채소씨앗, 그리고, 새싹채소씨앗 위에 뿌릴 수 있도록 포장된 편백나무분말과 황토분말과 편백나무 칩의 혼합물로 구성되어 물만 있으면 어느 장소에서나 재배가 가능하고 지속적으로 물을 주거나 관리할 필요가 없이 가정에서 손쉽게 새싹채소를 재배할 수 있는 새싹채소 재배용 키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새싹채소 재배용 키트는 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 상기 용기 내에 담겨지는 펄라이트와 질석이 혼합된 베이스층; 상기 용기에 투입되는 일정량의 물; 상기 베이스층 위에 올려지는 새싹채소의 씨앗층; 상기 씨앗층 위에 올려지며, 편백나무분말과 황토분말과 편백나무 칩이 혼합된 도포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용기에는 물의 투입량을 표시하는 표시부가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용기에 담아지는 내용물의 성분비는 물 60 내지 80 중량%, 펄라이트와 질석의 혼합물 15 내지 30중량%, 새싹채소의 씨앗 3 내지 5 중량%, 전처리된 편백나무분말과 전처리된 황토분말과 편백나무 칩의 혼합물 1 내지 6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펄라이트와 질석은 5 : 1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편백나무분말과 황토분말의 전처리는 분쇄 후 체에 200메쉬(mesh)로 통과 후 수소수에 6 내지 8시간 담근 후 물 빼고 60℃에서 8시간 열풍 건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편백나무 칩(chip)은 가로 × 세로 × 높이를 5mm×5mm×5mm로 정오면체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처리된 편백나무분말과 전처리된 황토분말과 편백나무 칩은 1 : 1 : 1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새싹채소의 씨앗은 소독이 되지 않은 씨앗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새싹채소의 씨앗은 브로콜리, 다채, 알팔파, 적양배추, 적무, 클로버, 배추, 보리, 경수채, 밀, 겨자, 들깨, 루꼴라, 적콜라비, 청경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기는 내부에 알루미늄 코팅이 되어서 방수되며, 상기 용기의 내부에는 천연 살균제 메디락스로 소독한 코르크 마개가 용기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물은 증류수와 수소수를 1 : 1 비율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새싹채소 재배방법은 용기에 재배용 물을 투입하는 단계; 상기 물이 채워진 용기에 펄라이트와 질석을 투입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층 위에 새싹채소의 씨앗을 뿌리는 단계; 상기 씨앗층 위에 전처리된 편백나무분말과 황토분말과 편백나무 칩을 올려 상기 씨앗을 덮는 단계; 및 실온에서 6 내지 9일간 재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지속적으로 물을 주거나 관리할 필요가 없이 가정에서 손쉽게 새싹채소를 재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물만 있으면 어느 장소에서나 재배가 가능하기 때문에 판촉용, 식용, 교육용, 관람용 및 인테리어용 등으로 보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새싹채소 재배용 키트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키트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새싹채소 재배용 키트에서 용기의 양측에 메디록스로 소독된 코르크 마개가 일정간격으로 부착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새싹채소 재배용 키트를 이용한 새싹채소 재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새싹채소 재배용 키트를 이용한 새싹채소 재배과정을 도시한 공정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새싹채소 재배용 키트에서 7일 동안 새싹채소가 재배되는 상태를 보인 사진 이미지.
이하의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에 대한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새싹채소 재배용 키트는 용기, 펄라이트, 질석과, 물, 씨앗, 편백나무분말, 황토분말, 편백나무 칩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용기(100)는 내부에 알루미늄 코팅이 되어서 방수되는 것으로서, 컵의 형태이거나 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의 형태면 무방하고,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좋다.
그리고, 용기 내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천연 살균제 메디락스로 소독한 코르크 마개가 용기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부착된다.
이러한 용기의 외측면에는 물의 투입량을 표시하는 표시부(101)가 표시된다.
펄라이트(Perilite)는 화산 작용으로 생긴 진주암을 850 내지 1200℃로 가열, 팽창해 만든 인공 토양이다. 진주암을 순간적으로 고열로 가열하면 안에 있던 수분이 밖으로 나와 팽창하는 현상을 이용해 생산된다. 이러한 펄라이트는 미세한 공극이 많아서 아주 가볍고, PH는 6 내지 7정도로 알칼리성이며, 가열시 소독이 되기 때문에 무균상태로 잡초종자나 해충이 없어 주로 식물재배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특히 수경재배에 이용하면 좋고 번식과 파종상, 프러그묘 생산, 이식, 실내조경 등에 많이 활용되고 있다.
질석은 운모계의 광석을 1000℃정도로 가열하면 층간수가 탈수하고 이때 결정수에서 발생하는 압력 때문에 밑면방향으로 박리 팽창하여 거머리와 같이 늘어나는 성질이 있어 라틴어로 버미큐라이트(VERMICULITE)라고 불린다. 팽창질석은 내화, 단열, 경량, 흡음, 결로 방지성 등이 뛰어나 건축 산업소재로 널리 사용될 뿐 아니라 뛰어난 보수, 보비, 경량, 배수성으로 농원예용 토양개량재로도 탁월한 기능을 발휘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편백나무는 침엽수 중에서 가장 많은 양의 피톤치드를 방출하는 나무이며, 피톤치드는 식물이 병원균 해충, 곰팡이에 저항하려고 내뿜거나 분비하는 물질을 일컫는다. 편백나무는 과수분과 새싹채소가 자라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곰팡이를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황토는 신비의 점토로서 근자에 이르러 학계에서도 활발한 연구 대상이 되고 있고 이의 물리화학적 성질이 다각도로 규명되어 가고 있는바, 이의 특성중 황토가 갖는 원적외선 방사효과, 식물성장촉진, 중금속정화, 통기 및 용존산소의 활성화등은 매우 특기할만한 성상으로 이를 식물재배나 양어에 도입할 경우 그 효과가 탁월하다. 또한, 대량의 탄산칼슘을 함유하여 물과 섞이면 찰흙이 되어 식물의 뿌리를 고정시켜 주고 양분을 많이 함유할 수 있으며, 황토로 재배한 작물은 수분이 많고 당도가 높아 맛이 더 좋다고 한다.
용기(100)에 담아지는 내용물의 구성요소 성분비는 물 60 내지 80 중량%, 펄라이트와 질석의 혼합물 15 내지 30중량%, 새싹채소의 씨앗 3 내지 5 중량%, 편백나무분말과 황토분말과, 편백나무 칩의 혼합물 1 내지 6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편백나무분말과 황토분말은 전처리된 것이 사용되며, 편백나무분말과 황토분말의 전처리는 편백나무 또는 황토를 분쇄한 후 체에 200메쉬(mesh)로 통과 시킨 다음 수소수에 6 내지 8시간 담근 후 물 빼고 60℃에서 8시간 열풍 건조시킨 것이다.
그리고, 편백나무 칩(chip)은 가로 × 세로 × 높이를 5mm×5mm×5mm로 정오면체(피라미드형태)로 제조한 것을 사용한다.
용기(100)에 표시된 표시부(101)는 구성요소의 성분비에 해당되는 물 60 내지 80 중량%에 맞춰 표시되고, 용기에 투입되는 물은 증류수와 수소수를 1:1 비율로 혼합한 것을 사용한다.
그리고, 베이스층(120)을 형성하는 펄라이트와 질석의 혼합물은 펄라이트와 질석이 5: 1의 비율로 혼합되며, 도포층(140)을 형성하는 편백나무분말과 황토분말과 편백나무 칩의 혼합물은 편백나무분말과 황토분말과 편백나무 칩이 1 : 1 : 1의 비율로 혼합된다.
여기서, 펄라이트와 질석은 비율에 따라 새싹의 발아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베이스층(120)을 펄라이트로만 사용할 경우 발수력이 높아 물보다 훨씬 높게 떠 씨앗에 까지 물이 잘 전달되지 않게 되고, 질석으로만 사용할 경우 물에 가라앉게 되어 씨앗이 함께 물에 가라앉게 된다. 따라서, 펄라이트와 질석의 비율은 새싹의 발아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베이스층(120)을 형성하는 펄라이트와 질석은 5 : 1의 비율로 혼합되며, 혼합물은 구성요소 성분비의 15 내지 30중량% 포장되어 제공된다. 이때, 질석은 팽창질석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새싹채소의 씨앗(130)은 소독이 되지 않은 새싹채소 종자가 사용되며, 씨앗은 구성요소 성분비의 15 내지 30중량% 포장되어 제공된다.
여기서, 새싹채소의 씨앗(130)은 브로콜리, 다채, 알팔파, 적양배추, 적무, 클로버, 배추, 보리, 경수채, 밀, 겨자, 들깨, 루꼴라, 적콜라비, 청경채 중 어느 하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씨앗(130)이 펄라이트와 질석의 혼합물인 베이스층(120)에서 자라기 위해서는 최소한의 수분이 필요한데 편백나무분말과 황토분말과 편백나무 칩은 씨앗(130)에 적정량의 수분을 공급하고, 새싹채소가 자라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곰팡이를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편백나무분말과 황토분말과 편백나무 칩의 비율에 따라 곰팡이의 억제력에 차이가 있으며, 편백나무분말과 황토분말과 편백나무 칩은 1 : 1 : 1의 비율로 혼합될 때, 곰팡이의 억제력이 가장 좋았다.
따라서, 1 : 1 : 1의 비율로 혼합된 편백나무분말과 황토분말과 편백나무 칩의 혼합물은 구성요소 성분비의 1 내지 6중량% 포장되어 제공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싹채소 재배용 키트는 먼저, 용기에 표시된 표시부(101)까지 물을 채운다.(S10단계)
그리고, 포장된 펄라이트와 질석의 혼합물을 개봉하여 용기(100)에 투입한다.(S20단계) 이때, 펄라이트와 질석의 혼합물은 물위에 뜨게 된다.
이어, 포장된 씨앗을 개봉하여 펄라이트와 질석으로 이루어진 베이스층 위에 골고루 뿌린다.(S30단계)
이어, 포장된 편백나무분말과 황토분말과 편백나무 칩의 혼합물을 개봉하여 씨앗이 덮어지도록 씨앗 위에 뿌린다.(S40단계)
실온에서 6 내지 9일간 재배한다.(S50단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주일 후, 새싹채소가 자라나 있으며, 신선한 새싹채소를 먹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펄라이트와 질석의 혼합물이 물을 조금씩 흡수하여 씨앗에 적정량의 수분을 공급하는 베이스층을 형성하고, 편백나무와 황토분말의 혼합물이 도포층을 형성하여 씨앗의 발아에 필요한 온도와 수분을 유지시키고 곰팡이의 생성을 억제하여 발아의 최적환경을 유지시켜주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물을 주거나 관리할 필요가 없이 가정에서 손쉽게 새싹채소를 재배할 수 있다.
또한, 물만 있으면 어느 장소에서나 재배가 가능하기 때문에 판촉용, 식용, 교육용, 관람용 및 인테리어용 등으로 보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0: 용기 101: 표시부
102: 코르크 마개 110: 물
120: 베이스층 130: 씨앗
140: 도포층

Claims (10)

  1. 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
    상기 용기 내에 담겨지는 펄라이트와 질석이 혼합된 베이스층;
    상기 용기에 투입되는 일정량의 물;
    상기 베이스층 위에 올려지는 새싹채소의 씨앗층; 및
    상기 씨앗층 위에 올려지며, 전처리된 편백나무분말과 황토분말과 편백나무 칩이 혼합된 도포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채소 재배용 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에는 물의 투입량을 표시하는 표시부가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채소 재배용 키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에 담아지는 내용물의 성분비는 물 60 내지 80 중량%, 펄라이트와 질석의 혼합물 15 내지 30중량%, 새싹채소의 씨앗 3 내지 5 중량%, 전처리된 편백나무분말과 전처리된 황토분말과 편백나무 칩의 혼합물 1 내지 6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채소 재배용 키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펄라이트와 질석은 5 : 1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채소 재배용 키트.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편백나무분말과 황토분말의 전처리는 분쇄 후 체에 200메쉬(mesh)로 통과 후 수소수에 6 내지 8시간 담근 후 물 빼고 60℃에서 8시간 열풍 건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편백나무 칩(chip)은 가로 × 세로 × 높이를 5mm × 5mm × 5mm로 정오면체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처리된 편백나무분말과 전처리된 황토분말과 편백나무 칩은 1 : 1 : 1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채소 재배용 키트.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새싹채소의 씨앗은 소독이 되지 않은 씨앗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채소 재배용 키트.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새싹채소의 씨앗은 브로콜리, 다채, 알팔파, 적양배추, 적무, 클로버, 배추, 보리, 경수채, 밀, 겨자, 들깨, 루꼴라, 적콜라비, 청경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채소 재배용 키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내부에 알루미늄 코팅이 되어서 방수되며, 상기 용기의 내부에는 천연 살균제 메디락스로 소독한 코르크 마개가 용기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채소 재배용 키트.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은 증류수와 수소수를 1:1 비율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채소 재배용 키트.
  10. 용기에 재배용 물을 투입하는 단계;
    상기 물이 채워진 용기에 펄라이트와 질석을 투입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층 위에 새싹채소의 씨앗을 뿌리는 단계;
    상기 씨앗층 위에 전처리된 편백나무분말과 황토분말과 편백나무 칩을 올려 상기 씨앗을 덮는 단계; 및
    실온에서 6 내지 9일간 재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채소 재배방법.
KR1020170161779A 2017-11-29 2017-11-29 새싹채소 재배용 키트 KR102034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779A KR102034933B1 (ko) 2017-11-29 2017-11-29 새싹채소 재배용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779A KR102034933B1 (ko) 2017-11-29 2017-11-29 새싹채소 재배용 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024A true KR20190063024A (ko) 2019-06-07
KR102034933B1 KR102034933B1 (ko) 2019-10-22

Family

ID=66850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1779A KR102034933B1 (ko) 2017-11-29 2017-11-29 새싹채소 재배용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49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952B1 (ko) 2020-02-17 2020-11-10 우현정 채소 재배용 하이드로 겔 및 이를 이용한 채소의 재배 키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6154A (ko) * 2008-12-09 2010-06-17 주식회사 흙살림 친환경 새싹채소 재배용 키트 및 그를 이용한 새싹채소 재배방법
KR101386043B1 (ko) 2011-11-25 2014-04-22 백철민 새싹채소 재배용 일체형 키트
KR20160118802A (ko) * 2015-04-03 2016-10-12 한진수 피톤치드 향을 발하는 향가습기와 연동되어 적용되는 식물재배기
KR200482741Y1 (ko) 2014-10-14 2017-02-28 김정현 새싹 재배용 키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6154A (ko) * 2008-12-09 2010-06-17 주식회사 흙살림 친환경 새싹채소 재배용 키트 및 그를 이용한 새싹채소 재배방법
KR101386043B1 (ko) 2011-11-25 2014-04-22 백철민 새싹채소 재배용 일체형 키트
KR200482741Y1 (ko) 2014-10-14 2017-02-28 김정현 새싹 재배용 키트
KR20160118802A (ko) * 2015-04-03 2016-10-12 한진수 피톤치드 향을 발하는 향가습기와 연동되어 적용되는 식물재배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삭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4933B1 (ko) 2019-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7509347A (ja) 水耕屋内園芸方法
JP2012147765A (ja) 植物栽培装置
CN104904576B (zh) 一种红掌无土栽培方法
KR20190132527A (ko) 비냉장 저장 환경에서 식물 생존력을 연장하기 위한 방법 및 물질
CN104186294A (zh) 一种温室无土栽培种植茄子的方法
CN101189941A (zh) 蔬菜芽苗菜快速生产方法
JPH1056875A (ja) ランの栽培方法
JP3727327B1 (ja) もやしの製造方法
KR20190063024A (ko) 새싹채소 재배용 키트
KR20040067336A (ko) 종자부착형 식물재배블럭
CN102771283A (zh) 一种盆栽活体有机果蔬的方法
CN105230462A (zh) 一种玫瑰花卉育苗的方法
KR101709338B1 (ko) 새순식물 재배기구 및 재배방법
CN108812259A (zh) 提高温室有机基质型无土栽培厚皮甜瓜品质和产量的栽培方法
CN114467657A (zh) 一种辣椒栽培方法
JP2021119746A (ja) 野菜の栽培方法
JPH07155052A (ja) 植物生育用支持体および植物体ならびに植物の栽培方法
KR100689755B1 (ko) 관상용 이끼식물 석재 및 그 제조 방법
CN110476755A (zh) 一种紫香糯稻的种植方法
CN110476754A (zh) 一种无公害紫香糯稻种植方法
Pennisi Growing indoor plants with success
JPH11155363A (ja) 種子固着培土及び植物製品
Trinklein Starting plants indoors from seeds
KR100899656B1 (ko) 천사의 눈물을 화분에 식재하는 방법
Tiwari Cultivation of Vegetables in Win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