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2688A - 차량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2688A
KR20190062688A KR1020170161139A KR20170161139A KR20190062688A KR 20190062688 A KR20190062688 A KR 20190062688A KR 1020170161139 A KR1020170161139 A KR 1020170161139A KR 20170161139 A KR20170161139 A KR 20170161139A KR 20190062688 A KR20190062688 A KR 201900626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module
boot
order
boot order
start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1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5285B1 (ko
Inventor
유혜원
이상석
김세원
박영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1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285B1/ko
Publication of KR20190062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2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07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specific way of measuring or calculating an air or coolant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3Countermeasures against the physical destruction of the steering l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주차 상태를 저장하는 저장부; 멀티미디어 장치, 내비게이션 장치, 후방 카메라 장치, 공조 장치를 포함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저장된 주차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모듈의 부팅 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부팅 순위에 따라 상기 제어 모듈을 부팅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및 그 제어방법{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가 구비된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기본적인 주행 기능 외에도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공조 제어, 시트 제어, 조명 제어 등의 사용자 편의를 위한 부가적인 기능을 포함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오디오 장치와 비디오 장치 및 내비게이션 장치 등이 통합되어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현된 장치로서, 라디오, CD(Compact Disk) 등의 오디오 서비스, DVD(Digital Versatile Disk) 등의 비디오 서비스와, 목적지 안내 기능과 같은 내비게이션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차량용 에이브이엔 장치(Audio Video Navigation; 이하, "AVN 장치"라 한다)가 차량 내에 구비된다.
일 측면은 사용자 편의를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제어 모듈의 부팅을 제어할 수 있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시동 명령의 종류를 감지하는 감지부; 멀티미디어 장치, 내비게이션 장치, 후방 카메라 장치, 공조 장치를 포함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감지된 시동 명령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모듈의 부팅 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부팅 순위에 따라 상기 제어 모듈을 부팅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주차 상태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시동 명령의 종류 및 상기 저장된 주차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모듈의 부팅 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부팅 순위에 따라 상기 제어 모듈을 부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시동 명령의 종류가 원격 시동 명령인 경우, 상기 제어 모듈 중 상기 공조 장치 및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의 부팅 순위가 다른 제어 모듈보다 우선되도록 상기 제어 모듈의 부팅 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부팅 순위에 따라 상기 제어 모듈을 부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시동 명령의 종류가 시동키를 이용한 시동 명령인 경우, 상기 제어 모듈 중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의 부팅 순위가 제1순위가 되고, 상기 공조 장치의 부팅 순위가 제2순위가 되도록 상기 제어 모듈의 부팅 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부팅 순위에 따라 상기 제어 모듈을 부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된 주차 상태가 후면 주차인 경우, 상기 제어 모듈 중 상기 후방 카메라 장치의 부팅 순위가 마지막 순위가 되도록 상기 제어 모듈의 부팅 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부팅 순위에 따라 상기 제어 모듈을 부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시동 명령의 종류가 원격 시동 명령이고 상기 저장된 주차 상태가 후면 주차인 경우, 상기 제어 모듈 중 상기 공조 장치 및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의 부팅 순위가 상기 후방 카메라 장치의 부팅 순위보다 우선되도록 상기 제어 모듈의 부팅 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부팅 순위에 따라 상기 제어 모듈을 부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된 상기 주차 상태가 평행 주차 또는 전면 주차인 경우, 상기 제어 모듈 중 상기 후방 카메라 장치의 부팅 순위가 제1순위가 되도록 상기 제어 모듈의 부팅 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부팅 순위에 따라 상기 제어 모듈을 부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모듈 각각의 설정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제어 모듈 각각이 부팅되는 경우, 상기 저장된 설정 정보 중 상기 제어 모듈에 대한 전원이 오프(OFF)되기 전의 마지막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모듈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현재 온도 정보를 감지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모듈 중 상기 공조 장치가 부팅되는 경우, 상기 감지된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조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모듈 중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가 부팅되는 경우, 상기 저장된 상기 설정 정보 중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에 대한 전원이 오프(OFF)되기 전의 마지막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은 시동 명령의 종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시동 명령의 종류에 기초하여 제어 모듈의 부팅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부팅 순위에 따라 상기 제어 모듈을 부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주차 상태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팅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시동 명령의 종류 및 상기 주차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모듈의 부팅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팅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시동 명령의 종류가 원격 시동 명령인 경우, 상기 제어 모듈 중 공조 장치 및 내비게이션 장치의 부팅 순위가 다른 제어 모듈보다 우선되도록 상기 제어 모듈의 부팅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팅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시동 명령의 종류가 시동키를 이용한 시동 명령인 경우, 상기 제어 모듈 중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의 부팅 순위가 제1순위가 되고, 상기 공조 장치의 부팅 순위가 제2순위가 되도록 상기 제어 모듈의 부팅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팅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주차 상태가 후면 주차인 경우, 상기 제어 모듈 중 후방 카메라 장치의 부팅 순위가 마지막 순위가 되도록 상기 제어 모듈의 부팅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팅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시동 명령의 종류가 원격 시동 명령이고 상기 주차 상태가 후면 주차인 경우, 상기 제어 모듈 중 공조 장치 및 내비게이션 장치의 부팅 순위가 상기 후방 카메라 장치의 부팅 순위보다 우선되도록 상기 제어 모듈의 부팅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팅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주차 상태가 평행 주차 또는 전면 주차인 경우, 상기 제어 모듈 중 후방 카메라 장치의 부팅 순위가 제1순위가 되도록 상기 제어 모듈의 부팅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모듈 각각의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을 부팅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모듈 각각이 부팅되는 경우, 상기 저장된 설정 정보 중 상기 제어 모듈에 대한 전원이 오프(OFF)되기 전의 마지막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모듈 각각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온도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 각각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모듈 중 공조 장치가 부팅되는 경우, 상기 감지된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조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모듈 각각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모듈 중 멀티미디어 장치가 부팅되는 경우, 상기 저장된 설정 정보 중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에 대한 전원이 오프(OFF)되기 전의 마지막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차량 사용자의 구체적 상황에 적합한 기능을 제공하는데 필요한 활성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진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같이, 차량의 일 실시예는 차량(1)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 차량(1)을 이동시키는 차륜(21, 22), 차량(1)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도어(14), 차량(1) 내부의 운전자에게 차량(1)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전면 유리(17), 운전자에게 차량(1)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18, 19)를 포함한다.
차륜(21, 22)은 차량의 전방에 마련되는 전륜(21), 차량의 후방에 마련되는 후륜(22)을 포함하며, 전륜(21) 또는 후륜(22)은 후술할 구동장치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본체(1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어(14)는 본체(10)의 좌측 및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개방 시에 운전자가 차량(1)의 내부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폐쇄 시에 차량(1)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킨다.
전면 유리(17)는 본체(10)의 전방 상측에 마련되어 차량(1)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 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윈드쉴드 글라스(Windshield Glass)라고도 한다.
또한, 사이드 미러(18, 19)는 본체(10)의 좌측에 마련되는 좌측 사이드 미러(18) 및 우측에 마련되는 우측 사이드 미러(19)를 포함하며, 차량(1)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 측면 및 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은 운전자 등이 탑승하는 시트(110)와, 기어 박스(120), 센터페시아(130) 및 스티어링 휠(140) 등이 마련된 대시보드(150)(Dashboard) 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 박스(120)에는 차량(1) 변속을 위한 변속 레버(124)와, 차량(1)의 기능 수행을 제어하기 위한 다이얼 조작부(123)가 설치될 수 있다.
대시보드(150)에 마련된 스티어링 휠(140)은 차량(1)의 주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 운전자에 의해 파지되는 림(141) 및 차량(1)의 조향 장치와 연결되고 림(141)과 조향을 위한 회전축의 허브를 연결하는 스포크(14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스포크(142)에는 차량(1) 내의 각종 장치, 일례로 오디오 장치 등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 장치(142a, 142b)가 형성될 수 있다.
대시보드(150)에 마련된 센터페시아(130)에는 공조 장치(244), 시계(132), 오디오 장치(133) 및 디스플레이(134) 등이 설치될 수 있다.
공조 장치(244)는 차량(1) 내부의 온도, 습도, 공기의 청정도,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여 차량(1)의 내부를 쾌적하게 유지한다. 공조 장치(244)는 센터페시아(130)에 설치되고 공기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131a)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페시아(130)에는 공조 장치(244) 등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나 다이얼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운전자 등의 탑승자는 센터페시아(130)에 배치된 버튼을 이용하여 공조 장치(244)를 제어할 수 있다.
시계(132)는 공조 장치(244)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나 다이얼 주위에 마련될 수 있다.
오디오 장치(133)는 오디오 장치(133)의 기능 수행을 위한 다수의 버튼들이 마련된 조작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133)는 라디오 기능을 제공하는 라디오 모드와 오디오 파일이 담긴 다양한 저장매체의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미디어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133)를 통해 생성되는 소리는 차량(1) 내부에 마련되는 스피커(16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4)는 운전자에게 차량(1)과 관련된 정보를 이미지, 또는 텍스트의 형태로 제공하는 UI(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134)는 센터페시아(130)에 매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의 설치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134)는 차량(1)의 센터페시아(130)와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34)는 내비게이션 장치(도 3, 242)로도 활용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장치(도 3, 242)는 사용자에게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내비게이션 장치(도 3, 242)는 차량(1)에 설치된 장치들의 제어와 관련된 각종 제어 화면 또는 내비게이션 장치(242)에서 실행할 수 있는 부가 기능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장치(242)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에 대응될 수 있다. AVN 장치는 오디오, 비디오 및 내비게이션 기능을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AVN 장치는 내비게이션 장치(101)를 통해 오디오 화면, 비디오 화면 및 내비게이션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200)의 제어와 관련된 각종 제어 화면 또는 AVN 단말에서 실행할 수 있는 부가 기능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AVN 단말은 공조장치와 연동하여, 디스플레이(134)를 통해 공조장치의 제어와 관련된 각종 제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차량(1)의 내부에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160)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200)은 스피커(160)를 통해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및 기타 부가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필요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내비게이션 장치(242)는 스피커(160)를 통해 차량(1) 내의 온도 등과 관련된 정보뿐만 아니라, 공조 장치(244)의 동작 상태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차량(1)은 사용자가 차량(1) 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후방 카메라 장치(243)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차량(1)은 본체(10)의 전방 및 사이드에 각각 마련되는 카메라 장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차량(1)은 시동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시동키를 통해 사용자는 차량(1)에 시동 명령을 내릴 수 있으며, 시동 명령이 내려지면 차량(1)은 차륜(21, 22)을 회전시킬 수 있는 동력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시동키를 통해 구동 장치를 제외한 차량(1) 내 전자 장치들에 전원을 인가할 수도 있다.
시동키는 운전석 스티어링 휠(140) 아래 대시보드(15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시동키는 자동차 키와 결합 가능한 홈을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버튼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은 시동 명령의 종류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210), 주차 상태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230), 다양한 정보와 편의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제어 모듈(240) 및 제어 모듈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210)는 차량(1)에 대한 시동 명령의 종류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감지부(210)가 감지할 수 있는 시동 명령의 종류는 스마트 키의 Door Unlock 버튼에 의한 시동 명령, 스마트 키를 이용한 원격 시동 명령, 외부 서버를 통한 원격 시동 명령 및 차량(1) 내 시동키를 이용한 시동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감지부(210)는 외부와 통신할 수 있는 텔레매틱스 모듈로 구현될 수 있고, 감지부(210)에 의해 감지된 시동 명령의 종류는 후술할 제어부(220)의 제어 기초가 될 수 있다.
또한, 감지부(210)는 현재 온도 정보를 감지할 수도 있고, 후술할 제어부(220)의 공조 장치(244) 제어에 기초가 될 수 있다.
저장부(230)는 주차 상태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주차 상태는 전면 주차, 후면 주차 및 평행(일렬) 주차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1)의 주차 상태는 차량(1) 내의 카메라 장치에서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행 주차는 전방 카메라 장치 및 후방 카메라 장치에서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차량(1) 전방 및 후방에 다른 차량이 인식되는 경우일 수 있다.
또한, 저장부(230)는 후술할 제어 모듈(240) 각각의 설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 때 설정 정보는 제어 모듈(240)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 정보는 차량(1)의 오디오 장치(133)에서 재생되는 음원 및 볼륨 크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공조 장치(244)의 ON/OFF 정보 및 희망 온도 정보, 내비게이션 장치(242)의 설정 정보, 블루투스 사용 정보, WIFI 사용 정보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 모듈(240)은 멀티미디어 장치(241), 내비게이션 장치(242), 후방카메라 장치(243) 및 공조 장치(2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모듈(240) 각각은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차량(1)의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 및 편의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 모듈(240) 중 멀티미디어 장치(241)는 도 2의 오디오 장치(133)를 포함할 수 있고, 내비게이션 장치(242), 후방카메라 장치(243) 및 공조 장치(244)는 도 2의 설명과 동일하다.
제어부(220)는 미리 정해진 부팅 순위에 따라 제어 모듈(240)을 부팅할 수 있고, 미리 정해진 부팅 순위를 변경하여 변경된 부팅 순위에 따라 제어 모듈(240)을 부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20)는 감지부(210)에서 감지된 시동 명령의 종류에 기초하여 제어 모듈(240)의 부팅 순위를 변경할 수 있고, 변경된 부팅 순위에 따라 제어 모듈(240) 각각을 부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감지부(210)에서 감지된 시동 명령의 종류가 원격 시동 명령인 경우, 제어 모듈(240) 중 공조 장치(244) 및 내비게이션 장치(242)의 부팅 순위가 다른 제어 모듈(240)보다 우선되도록 미리 정해진 부팅 순위를 변경할 수 있다. 이 때, 원격 시동 명령은 스마트 키를 이용한 원격 시동 명령, 외부 서버를 통한 원격 시동 명령을 포함하는 원격 시동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220)는 감지부(210)에서 감지된 시동 명령의 종류가 시동키를 이용한 시동 명령인 경우, 제어 모듈(240) 중 내비게이션 장치(242)의 부팅 순위가 제1순위가 되고, 공조 장치(244)의 부팅 순위가 제2순위가 되도록 미리 정해진 부팅 순위를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220)는 감지부(210)에서 감지된 시동 명령의 종류가 스마트 키의 Door Unlock 버튼에 의한 시동 명령인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부팅 순위를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저장부(230)에 저장된 주차 상태에 기초하여 제어 모듈(240)의 부팅 순위를 변경할 수도 있고, 변경된 부팅 순위에 따라 제어 모듈(240) 각각을 부팅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저장부(230)에 저장된 차량(1)의 주차 상태가 후면 주차인 경우, 제어 모듈(240) 중 후방 카메라 장치(243)의 부팅 순위가 마지막 순위가 되도록 미리 정해진 부팅 순위를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220)는 차량(1)의 주차 상태가 평행 주차 또는 전면 주차인 경우, 제어 모듈(240) 중 후방 카메라 장치(243)의 부팅 순위가 제1순위가 되도록 미리 정해진 부팅 순위를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제어 모듈(240)로부터 제어 모듈(240) 각각의 설정 정보를 저장부(230)에 저장할 수 있고, 이러한 설정 정보 중 제어 모듈(240)에 인가되는 전원이 오프(OFF)되기 전의 마지막 설정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제어 모듈(240)에 대한 전원이 오프되기 전의 마지막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모듈(240)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모듈(240)의 설정 정보에 기초한 제어는 각 제어 모듈(240)의 부팅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멀티미디어 장치(241)가 부팅되는 경우, 저장부(230)에 저장된 설정 정보 중 멀티미디어 장치(241)에 대한 전원이 오프되기 전의 마지막 설정 정보인 재생 음원 및 볼륨 크기 정보에 기초하여 멀티미디어 장치(241)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220)는 공조 장치(244)가 부팅되는 경우, 저장부(230)에 저장된 설정 정보 중 공조 장치(244)에 대한 전원이 오프되기 전의 마지막 희망 온도 정보를 공조 장치(244)의 희망 온도로 하여 제어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220)는 공조 장치(244)가 부팅되는 경우, 감지부(210)에 의해 감지된 현재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공조 장치(244)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20)는 현재 온도 정보가 공조 장치(244)에 대한 전원이 오프되기 전의 마지막 희망 온도 정보 보다 높은 경우, 토출하는 공기의 온도를 낮추거나 토출하는 공기의 세기가 커지도록 공조 장치(244)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 및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은 시동 명령 종류를 감지할 수 있다(410). 제어부(220)는 감지된 시동 명령 종류 및 미리 저장된 주차 상태에 기초하여 제어 모듈(240) 간의 부팅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420).
제어부(220)는 변경된 부팅 순서에 따라 제어 모듈(240)을 부팅하고, 미리 저장된 제어 모듈(240)의 설정 정보에 따라 제어 모듈(240)을 제어할 수 있다(430). 이 경우, 설정 정보는 제어 모듈(240)에 대한 전원이 오프되기 전의 마지막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은 시동 명령 종류를 감지할 수 있다(510). 제어부(220)는 감지된 시동 명령이 원격 시동 명령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520), 이 경우 원격 시동 명령은 스마트 키를 이용한 원격 시동 명령, 외부 서버를 통한 원격 시동 명령을 포함하는 원격 시동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원격 시동 명령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220)는 제어 모듈(240) 중 공조 장치(244) 및 내비게이션 장치(242)의 부팅 순위를 변경할 수 있다(530).
구체적으로, 제어부(220)는 공조 장치(244) 및 내비게이션 장치(242)의 부팅 순위가 다른 제어 모듈(240)보다 우선되도록 미리 정해진 부팅 순위를 변경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220)는 저장부(230)에 저장된 주차 상태가 후면 주차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540), 후면 주차인 경우 후방 카메라 장치(243)의 부팅 순위가 마지막 순위가 되도록 부팅 순위를 변경할 수 있다(550).
부팅 순위가 변경된 이후, 제어부(220)는 각 제어 모듈(240)의 부팅 순위에 기초하여 제어 모듈(240)을 부팅할 수 있다(560).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220)는 시동 명령 종류에 따라 부팅 순위를 변경한 이후 주차 상태에 따라 부팅 순위를 변경할 수 있으나, 주차 상태에 따라 부팅 순위를 변경한 후 시동 명령 종류에 따라 부팅 순위를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시동 명령 종류 및 주차 상태를 동시에 고려하여 부팅 순위를 변경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제어 모듈(240)의 부팅 순서가 차량(1)의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변경됨으로써, 사용자에게 필요한 제어 모듈(240)에 대한 활성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진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210: 감지부
220: 제어부
230: 저장부
240: 제어 모듈
241: 멀티미디어 장치
242: 내비게이션 장치
243: 후방카메라 장치
244: 공조 장치

Claims (22)

  1. 주차 상태를 저장하는 저장부;
    멀티미디어 장치, 내비게이션 장치, 후방 카메라 장치, 공조 장치를 포함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저장된 주차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모듈의 부팅 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부팅 순위에 따라 상기 제어 모듈을 부팅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2. 시동 명령의 종류를 감지하는 감지부;
    멀티미디어 장치, 내비게이션 장치, 후방 카메라 장치, 공조 장치를 포함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감지된 시동 명령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모듈의 부팅 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부팅 순위에 따라 상기 제어 모듈을 부팅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3. 제1항에 있어서,
    시동 명령의 종류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시동 명령의 종류 및 상기 저장된 주차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모듈의 부팅 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부팅 순위에 따라 상기 제어 모듈을 부팅하는 차량.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시동 명령의 종류가 원격 시동 명령인 경우, 상기 제어 모듈 중 상기 공조 장치 및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의 부팅 순위가 다른 제어 모듈보다 우선되도록 상기 제어 모듈의 부팅 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부팅 순위에 따라 상기 제어 모듈을 부팅하는 차량.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시동 명령의 종류가 시동키를 이용한 시동 명령인 경우, 상기 제어 모듈 중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의 부팅 순위가 제1순위가 되고, 상기 공조 장치의 부팅 순위가 제2순위가 되도록 상기 제어 모듈의 부팅 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부팅 순위에 따라 상기 제어 모듈을 부팅하는 차량.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된 주차 상태가 후면 주차인 경우, 상기 제어 모듈 중 상기 후방 카메라 장치의 부팅 순위가 마지막 순위가 되도록 상기 제어 모듈의 부팅 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부팅 순위에 따라 상기 제어 모듈을 부팅하는 차량.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시동 명령의 종류가 원격 시동 명령이고 상기 저장된 주차 상태가 후면 주차인 경우, 상기 제어 모듈 중 상기 공조 장치 및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의 부팅 순위가 상기 후방 카메라 장치의 부팅 순위보다 우선되도록 상기 제어 모듈의 부팅 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부팅 순위에 따라 상기 제어 모듈을 부팅하는 차량.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된 상기 주차 상태가 평행 주차 또는 전면 주차인 경우, 상기 제어 모듈 중 상기 후방 카메라 장치의 부팅 순위가 제1순위가 되도록 상기 제어 모듈의 부팅 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부팅 순위에 따라 상기 제어 모듈을 부팅하는 차량.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모듈 각각의 설정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제어 모듈 각각이 부팅되는 경우, 상기 저장된 설정 정보 중 상기 제어 모듈에 대한 전원이 오프(OFF)되기 전의 마지막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모듈 각각을 제어하는 차량.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현재 온도 정보를 감지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모듈 중 상기 공조 장치가 부팅되는 경우, 상기 감지된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조 장치를 제어하는 차량.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모듈 중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가 부팅되는 경우, 상기 저장된 상기 설정 정보 중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에 대한 전원이 오프(OFF)되기 전의 마지막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를 제어하는 차량.
  12. 주차 상태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주차 상태에 기초하여 제어 모듈의 부팅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부팅 순위에 따라 상기 제어 모듈을 부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3. 시동 명령의 종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시동 명령의 종류에 기초하여 제어 모듈의 부팅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부팅 순위에 따라 상기 제어 모듈을 부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시동 명령의 종류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팅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시동 명령의 종류 및 상기 주차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모듈의 부팅 순위를 결정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부팅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시동 명령의 종류가 원격 시동 명령인 경우, 상기 제어 모듈 중 공조 장치 및 내비게이션 장치의 부팅 순위가 다른 제어 모듈보다 우선되도록 상기 제어 모듈의 부팅 순위를 결정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부팅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시동 명령의 종류가 시동키를 이용한 시동 명령인 경우, 상기 제어 모듈 중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의 부팅 순위가 제1순위가 되고, 상기 공조 장치의 부팅 순위가 제2순위가 되도록 상기 제어 모듈의 부팅 순위를 결정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부팅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주차 상태가 후면 주차인 경우, 상기 제어 모듈 중 후방 카메라 장치의 부팅 순위가 마지막 순위가 되도록 상기 제어 모듈의 부팅 순위를 결정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부팅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시동 명령의 종류가 원격 시동 명령이고 상기 주차 상태가 후면 주차인 경우, 상기 제어 모듈 중 공조 장치 및 내비게이션 장치의 부팅 순위가 상기 후방 카메라 장치의 부팅 순위보다 우선되도록 상기 제어 모듈의 부팅 순위를 결정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부팅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주차 상태가 평행 주차 또는 전면 주차인 경우, 상기 제어 모듈 중 후방 카메라 장치의 부팅 순위가 제1순위가 되도록 상기 제어 모듈의 부팅 순위를 결정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20.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 각각의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을 부팅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모듈 각각이 부팅되는 경우, 상기 저장된 설정 정보 중 상기 제어 모듈에 대한 전원이 오프(OFF)되기 전의 마지막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모듈 각각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현재 온도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 각각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모듈 중 공조 장치가 부팅되는 경우, 상기 감지된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조 장치를 제어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 각각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모듈 중 멀티미디어 장치가 부팅되는 경우, 상기 저장된 설정 정보 중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에 대한 전원이 오프(OFF)되기 전의 마지막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를 제어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KR1020170161139A 2017-11-29 2017-11-29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485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139A KR102485285B1 (ko) 2017-11-29 2017-11-29 차량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139A KR102485285B1 (ko) 2017-11-29 2017-11-29 차량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688A true KR20190062688A (ko) 2019-06-07
KR102485285B1 KR102485285B1 (ko) 2023-01-06

Family

ID=66849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1139A KR102485285B1 (ko) 2017-11-29 2017-11-29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52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4581B1 (ko) * 2020-09-16 2021-04-26 (주) 캔랩 복수의 카메라들을 부팅하는 방법 및 차량 단말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4090Y2 (ja) * 1991-12-12 1997-11-12 カルソニック株式会社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KR19980048424A (ko) * 1996-12-17 1998-09-15 박병재 원격시동시 자동차 에어컨 자동 제어장치
JP2007269274A (ja) * 2006-03-31 2007-10-18 Aisin Aw Co Ltd ナビ起動制御システム及びナビ起動制御方法
KR20100058163A (ko) * 2008-11-24 2010-06-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단말기의 부팅 방법
JP2016117434A (ja) * 2014-12-22 2016-06-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遠隔エンジン始動システム
KR20170070293A (ko) * 2015-12-11 2017-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카클라우드 기반 무인 자동주차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4090Y2 (ja) * 1991-12-12 1997-11-12 カルソニック株式会社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KR19980048424A (ko) * 1996-12-17 1998-09-15 박병재 원격시동시 자동차 에어컨 자동 제어장치
JP2007269274A (ja) * 2006-03-31 2007-10-18 Aisin Aw Co Ltd ナビ起動制御システム及びナビ起動制御方法
KR20100058163A (ko) * 2008-11-24 2010-06-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단말기의 부팅 방법
JP2016117434A (ja) * 2014-12-22 2016-06-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遠隔エンジン始動システム
KR20170070293A (ko) * 2015-12-11 2017-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카클라우드 기반 무인 자동주차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4581B1 (ko) * 2020-09-16 2021-04-26 (주) 캔랩 복수의 카메라들을 부팅하는 방법 및 차량 단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5285B1 (ko) 2023-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96502B2 (ja) 車載コンピューティングシステムにおけるオペレーティングシステムの置換
CN106671913B (zh) 车辆及控制车辆的方法
US10650787B2 (en)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060155429A1 (en) Vehicle entertainment and accessory control system
US20120221188A1 (en) Vehicle hmi replacement
JP2015032314A5 (ko)
US9988015B2 (en) Apparatus for cutting off dark current, vehicle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416665B2 (en) Vehicle remote control method, and vehicl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US10515621B2 (en) Vehicle,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and audio device for vehicle
KR20080078080A (ko) 표시 장치
US20180370363A1 (en) Vehicle center console that automatically rotates toward driver and console positioning method thereof
US9232200B2 (en) External vehicle projection system
US10864866B2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00103642A (ko) 문맥 및 인식 버튼이 없는 화면 아티큘레이션
JP2002293194A (ja) 車載用表示装置
JP2007210473A (ja) 車載バッテリの電圧監視装置
US20190248365A1 (en) Integrated control system for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6799990B (zh) 车辆及其控制方法
KR102485285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646676B1 (ko) 차량용 부품 업데이트 장치 및 그 방법
JPH11134090A (ja) 操作信号出力装置
US20180170275A1 (en) Multiple temperature sensor car radio installation kit
JP2009220810A (ja) 自動車用情報提供システム
JP3970307B2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US9880731B1 (en) Flexible modular screen apparatus for mounting to, and transporting user profiles between, participating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