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6676B1 - 차량용 부품 업데이트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부품 업데이트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6676B1
KR102646676B1 KR1020160170310A KR20160170310A KR102646676B1 KR 102646676 B1 KR102646676 B1 KR 102646676B1 KR 1020160170310 A KR1020160170310 A KR 1020160170310A KR 20160170310 A KR20160170310 A KR 20160170310A KR 102646676 B1 KR102646676 B1 KR 102646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parts
current consumption
update
exp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0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8526A (ko
Inventor
김남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0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6676B1/ko
Publication of KR20180068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8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 B60W10/2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40/09Driving style or behavi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30Driving sty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재 배터리 잔량에서 운전자에게 필요한 주요 부품들에 대해서는 업데이트를 진행할 수 있는 차량용 부품 업데이트 장치 및 그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차량용 부품 업데이트 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업데이트 대상 부품의 업데이트 시에 예상되는 소모 전류를 계산하고, 현재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여 배터리 잔량이 예상 소모 전류보다 작으면, 운전자 습관을 기반으로 배터리 잔량 내에서 업데이트 가능한 부품의 우선 순위를 정하여 업데이트를 진행함으로써 낮은 배터리 잔량 상태에서도 운전자에게 필요한 주요 부품들에 대해서 효과적으로 업데이트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부품 업데이트 장치 및 그 방법{UPDATE APPARATUS OF COMPONENT FOR VEHICL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용 부품을 업데이트하는 차량용 부품 업데이트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출시되는 차량에는 오디오 장치와 비디오 장치 및 내비게이션 장치 등이 통합되어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현된 멀티미디어 장치가 기본적으로 탑재되고 있다.
또한, 차량 내에는 멀티미디어 장치 이외에, 메모리 시트, 룸미러 위치, 사이드미러 위치 등을 자동 조절하는 바디 제어 모듈(BCM)과, 조향 및 현가 장치(Suspension), 제동 장치의 제어에 관련된 샤시 제어 유닛과, 각각 변속기 및 엔진을 제어하는 파워트레인 제어 유닛(TCU) 및 엔진 제어 유닛(ECU) 등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 차량용 부품들이 탑재되어 있다.
차량용 부품들에는 각각의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가 구비되어 있고,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차량의 성능을 개선하거나 오작동에 대비하여 새로운 소프트웨어로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사용자는 부품을 업데이트할 때 시간도 오래 걸리고 운전 중에 기능을 사용하지 못하게 되므로, 업데이트를 미루는 경우가 많다. 이에 예약 또는 심야 업데이트를 지원하여 차량을 사용하지 않을 때 업데이트하는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그런데, 예약 업데이트의 경우 배터리 잔량이 낮으면 방전의 우려가 있다.
이에, 종래에는 현재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여 일정 수준 이하이면 업데이트를 진행하지 않고,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에만 업데이트를 진행하므로 운전자에게 필요한 주요 부품들에 대해서도 업데이트가 진행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현재 배터리 잔량에서 운전자에게 필요한 주요 부품들에 대해서는 업데이트를 진행할 수 있는 차량용 부품 업데이트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차량용 부품 업데이트 장치는, 배터리 센서를 통해 배터리 잔량을 모니터링하는 배터리 잔량 모니터링부; 차량용 부품들의 업데이트 시에 예상되는 부품별 전류 소모 수치를 저장하는 전류 DB; 운전자의 습관에 기반한 운전자 정보를 저장하는 운전자 DB; 모니터링한 배터리 잔량 정보, 부품별 전류 소모 정보 및 운전자 습관 정보를 이용하여 배터리 잔량 내에서 업데이트 가능한 부품들의 우선 순위를 산출하는 우선 순위 산출부; 산출된 우선 순위를 기반으로 업데이트 가능한 부품들의 업데이트를 진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배터리 잔량 모니터링부는, 배터리 센서로부터 SOC 수치를 입력 받고, 배터리로부터 전압 수치를 입력 받아 배터리의 현재 잔존 용량을 모니터링한다.
전류 DB는, 업데이트 대상 부품들의 업데이트 시에 예상되는 전류 소모 수치를 부품별로 측정하여 저장한다.
운전자 DB는, 운전자가 운전 중에 자주 사용하는 기능들을 확인하여 운전자의 습관에 기반한 부품들의 우선 순위를 저장한다.
우선 순위 산출부는, 배터리 잔량 정보, 부품별 전류 소모 정보 및 운전자 습관 정보를 종합하여 배터리 잔량 내에서 업데이트 가능한 대상 부품들의 정보를 산출한다.
우선 순위 산출부는, 차량의 안전에 관련된 핵심 부품을 제1조건으로 하고, 운전자의 습관을 기반으로 자주 사용하는 부품을 제2조건으로 하여, 제1조건과 제2조건을 모두 고려한 우선 순위를 산출한다.
우선 순위 산출부는, 우선 순위가 정해진 상위 부품들의 예상 소모 전류를 예측하여 배터리 잔량 내에서 우선 순위를 고려하여 업데이트 가능한 대상 부품을 선정한다.
제어부는, 사용자가 설정한 예약 업데이트 진행 시각이 되면, AVN 장치의 헤드 유닛을 웨이크 업(Wake-up)시킨다.
제어부는, 업데이트 파일 내 업데이트 대상 부품 리스트 정보를 추출한다.
우선 순위 산출부는, 전류 DB에 저장된 부품별 예상 소모 전류를 기반으로 부품들의 전체 업데이트 시에 예상되는 소모 전류를 계산하고; 배터리 잔량과 계산된 예상 소모 전류를 비교하여 배터리 잔량이 예상 소모 전류보다 크면, 업데이트 대상 부품 리스트에 추출된 부품들을 모두 업데이트하는 것;을 포함한다.
우선 순위 산출부는, 배터리 잔량이 예상 소모 전류보다 크지 않으면, 운전자 습관 정보를 기반으로 업데이트 대상 부품 리스트 중 우선 순위를 선정하여 배터리 잔량 내에서 대상 부품을 선정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차량용 부품 업데이트 장치는, 배터리 센서를 통해 배터리 잔량을 모니터링하는 배터리 잔량 모니터링부; 차량용 부품들의 업데이트 시에 예상되는 부품별 전류 소모 수치를 저장하는 전류 DB; 운전자의 습관에 기반한 운전자 정보를 저장하는 운전자 DB; 전류 DB에 저장된 부품별 예상 소모 전류를 기반으로 부품들의 전체 업데이트 시에 예상되는 소모 전류를 계산하고, 배터리 잔량과 계산된 예상 소모 전류를 비교하여 배터리 잔량이 예상 소모 전류보다 크지 않으면, 운전자 습관 정보를 기반으로 배터리 잔량 내에서 업데이트 가능한 대상 부품의 우선 순위를 산출하는 우선 순위 산출부; 산출된 우선 순위를 기반으로 배터리 잔량 내에서 업데이트 가능한 대상 부품의 업데이트를 진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차량용 부품들의 업데이트 시에 예상되는 부품별 전류 소모 수치를 저장하고, 저장된 부품별 예상 소모 전류를 이용하여 업데이트를 진행하는 차량용 부품 업데이트 방법에 있어서, 부품들의 전체 업데이트 시에 예상되는 소모 전류를 계산하고; 배터리 센서를 통해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고; 배터리 잔량과 계산된 예상 소모 전류를 비교하고; 배터리 잔량이 예상 소모 전류보다 크지 않으면, 배터리 잔량 정보, 부품별 전류 소모 정보 및 운전자 습관 정보를 이용하여 배터리 잔량 내에서 업데이트 가능한 부품들의 우선 순위를 산출하고; 산출된 우선 순위를 기반으로 업데이트 가능한 부품들의 업데이트를 진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우선 순위를 산출하는 것은, 우선 순위가 정해진 상위 부품들의 예상 소모 전류를 예측하여 배터리 잔량 내에서 우선 순위를 고려하여 업데이트 가능한 대상 부품을 선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차량용 부품 업데이트 방법은, 배터리 잔량이 예상 소모 전류보다 크면, 부품들의 전체 업데이트를 진행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차량용 부품 업데이트 방법은, 사용자가 설정한 예약 업데이트 진행 시각이 되면, 업데이트 파일 내 업데이트 대상 부품 리스트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차량용 부품 업데이트 방법은, 차량용 부품들의 업데이트 시에 예상되는 부품별 전류 소모 수치를 저장하는 전류 DB와, 운전자의 습관에 기반한 운전자 정보를 저장하는 운전자 DB를 구비하는 차량용 부품 업데이트 방법에 있어서, 업데이트 파일 내 대상 부품 리스트를 확인하고; 전류 DB에 저장된 부품별 예상 소모 전류를 기반으로 대상 부품들의 전체 업데이트 시에 예상되는 소모 전류를 계산하고; 배터리 센서를 통해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고; 배터리 잔량과 계산된 예상 소모 전류를 비교하고; 배터리 잔량이 예상 소모 전류보다 크지 않으면, 운전자 DB에 저장된 운전자 습관 정보를 기반으로 대상 부품 리스트 중 우선 순위를 산출하고; 우선 순위 상위 부품들의 예상 소모 전류를 예측하여 배터리 잔량 내에서 업데이트 가능한 부품을 선정하고; 선정된 부품에 대한 업데이트를 진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차량용 부품 업데이트 방법은, 차량용 부품들의 업데이트 시에 예상되는 부품별 전류 소모 수치를 저장하는 전류 DB와, 운전자의 습관에 기반한 운전자 정보를 저장하는 운전자 DB를 구비하는 차량용 부품 업데이트 방법에 있어서, 업데이트 파일 내 대상 부품 리스트를 확인하고; 전류 DB에 저장된 부품별 전류 소모 정보를 이용하여 대상 부품들의 전체 업데이트 시에 예상되는 소모 전류를 계산하고; 배터리 센서를 통해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고; 배터리 잔량과 계산된 예상 소모 전류를 비교하여, 배터리 잔량이 예상 소모 전류보다 크지 않으면, 배터리 잔량 정보, 부품별 전류 소모 정보 및 운전자 습관 정보를 이용하여 배터리 잔량 내에서 업데이트 가능한 부품들의 우선 순위를 산출하고; 산출된 우선 순위를 기반으로 업데이트 가능한 부품들의 업데이트를 진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차량용 부품 업데이트 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업데이트 대상 부품의 업데이트 시에 예상되는 소모 전류를 계산하고, 현재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여 배터리 잔량이 예상 소모 전류보다 작으면, 운전자 습관을 기반으로 배터리 잔량 내에서 업데이트 가능한 부품의 우선 순위를 정하여 업데이트를 진행함으로써 낮은 배터리 잔량 상태에서도 운전자에게 필요한 주요 부품들에 대해서 효과적으로 업데이트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부품 업데이트 장치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부품 업데이트 방법을 도시한 동작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부품 업데이트 파일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 요소는 제2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차량용 부품 업데이트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1)은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 차량(1)을 이동시키는 차륜(21, 22), 차륜(21, 22)을 회전시키는 구동 장치(24), 차량(1)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도어(14), 차량(1) 내부의 운전자에게 차량(1)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전면 유리(17), 운전자에게 차량(1)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18, 19)를 포함한다.
차륜(21, 22)은 차량의 전방에 마련되는 전륜(21), 차량의 후방에 마련되는 후륜(22)을 포함하며, 구동 장치(24)는 본체(1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전륜(21) 또는 후륜(22)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동 장치(24)는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 회전력을 생성하는 엔진(engine) 또는 축전기(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motor)를 채용할 수 있다.
도어(14)는 본체(10)의 좌측 및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개방 시에 운전자가 차량(1)의 내부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폐쇄 시에 차량(1)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킨다.
전면 유리(17)는 본체(10)의 전방 상측에 마련되어 차량(1)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 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윈드쉴드 글래스(windshield glass)라고도 한다.
또한, 사이드 미러(18, 19)는 본체(1)의 좌측에 마련되는 좌측 사이드 미러(18) 및 우측에 마련되는 우측 사이드 미러(19)를 포함하며, 차량(1)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 측면 및 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외에도 차량(1)은 후방의 장애물 내지 다른 차량을 감지하는 근접 센서, 강수 여부 및 강수량을 감지하는 레인 센서 등의 감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 센서의 일 예로서, 차량의 측면 또는 후면에 감지 신호를 발신하고, 다른 차량 등의 장애물로부터 반사되는 반사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수신된 반사 신호의 파형을 기초로 차량(1) 후방의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고, 장애물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근접 센서는 초음파를 발신하고, 장애물에 반사된 초음파를 이용하여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검출하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1)은 EV(Electric Vehicle), HEV(Hybrid Electric Vehicle) 또는 FCEV(Fuel Cell Electric Vehicle)와 같은 전기 차량을 적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 차량(1)의 내부에는 탑승자가 앉는 시트(DS, PS), 차량(1)의 동작을 제어하고 차량(1)의 운행 정보를 표시하는 각종 계기가 마련되는 대시 보드(30; dashboard), 차량(1)의 방향을 조작하는 스티어링 휠(60)이 마련될 수 있다.
시트(DS, PS)는 운전자가 앉는 운전석(DS), 동승자가 앉는 조수석(PS), 차량(1) 내 후방에 위치하는 뒷좌석(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대시 보드(30)에는 주행과 관련된 정보를 표기하는 속도 계기, 연료 계기, 자동 변속 선택 레버 표시등, 타코 미터, 구간 거리계 등의 계기판(31)과, 기어박스(40), 센터페시아(50) 등이 마련될 수 있다.
기어박스(40)에는 차량 변속을 위한 변속 기어(41)가 설치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가 AVN 장치(100)나 차량의 주요 기능의 수행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110)가 설치된다.
센터페시아(50)에는 공조 장치, 시계, AVN 장치(100) 등이 설치될 수 있다. 공조 장치는 차량(1) 내부의 온도, 습도, 공기의 청정도,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여 차량(1)의 내부를 쾌적하게 유지한다. 공조 장치는 센터페시아(50)에 설치되고 공기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페시아(50)에는 공조 장치 등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나 다이얼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운전자 등의 사용자는 센터페시아(50)에 배치된 버튼이나 다이얼을 이용하여 차량(1)의 공조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AVN 장치(100)는 차량(1) 내 오디오와 비디오 장치 및 내비게이션 장치 등이 통합되어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현된 장치로서, 차량(1) 내에서 사용자에게 지상파 라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라디오를 재생하는 라디오 서비스, CD(Compact Disk) 등을 재생하는 오디오 서비스, DVD(Digital Versatile Disk) 등을 재생하는 비디오 서비스와, 사용자에게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내비게이션 서비스, 차량(1)과 연결된 통신 단말기의 전화 수신 여부를 제어하는 전화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또한, AVN 장치(100)는 사용자의 조작이 아닌 음성을 입력받아 상술한 라디오 서비스, 오디오 서비스, 비디오 서비스, 내비게이션 서비스,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음성 인식 서비스 또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AVN 장치(100)는 대시 보드(30) 상에 거치식으로 설치될 수 있고, 센터페시아(50) 내부에 매립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AVN 장치(100) 중 터치스크린 화면을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부(120) 만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AVN 장치(100)를 통해 라디오 서비스, 오디오 서비스, 비디오 서비스 및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AVN 장치(100)는 내비게이션 단말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지칭될 수 있으며, 그 밖에 당업자들에게 사용되는 다양한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AVN 장치(100)는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등을 장착하여 스마트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MPEG Audio Layer-3)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의 통신 단말기와 연결되며 오디오 및 비디오 파일을 재생시킬 수도 있다.
스티어링 휠(60)은 차량의 주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 운전자에 의해 파지되는 림(61) 및 차량의 조향 장치와 연결되고 림(61)과 조향을 위한 회전축의 허브를 연결하는 스포크(6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스포크(62)에는 차량(1) 내의 각종 장치, 일례로 AVN 장치(100) 등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 장치가 형성될 수 있다.
AVN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부(120)를 통해 라디오 화면, 오디오 화면, 비디오 화면, 내비게이션 화면, 전화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1)의 제어와 관련된 각종 제어 화면 또는 AVN 장치(100)에서 실행할 수 있는 부가 기능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AVN 장치(100)는 상술한 공조 장치와 연동하여 터치 스크린부(120)를 통해 공조 장치의 제어와 관련된 각종 제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AVN 장치(100)는 공조 장치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여 차량(1) 내의 공조 환경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AVN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부(120)를 통해 운전자에게 목적지까지의 경로가 표시된 지도를 표시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부(12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패널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화면 표시 기능 및 지시나 명령의 입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부(120)는 AVN 장치(100)를 구동 및 제어하기 위한 운영 체계(OS, operation system), AVN 장치(100)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따라 소정의 화상을 포함하는 화면을 외부로 출력하거나 또는 지시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터치 스크린부(120)는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따라서 기본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기본 화면은 터치 조작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 터치 스크린부(120)가 표시하는 화면을 의미한다.
터치 스크린부(120)는 상황에 따라서 터치 조작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터치 조작 화면은 사용자로부터 터치 조작을 입력 받을 수 있는 화면을 의미한다.
터치 스크린부(120)의 입력 방식은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하는 저항식 터치 스크린 방식, 정전 용량 커플링 효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하는 정전식 터치 스크린 방식, 적외선을 이용하는 광학식 터치 스크린 방식이나 초음파를 이용하는 초음파 터치 스크린 방식을 이용한 것일 수도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입력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부(120)는 차량(1)에 마련된 AVN 장치(100)와 사용자 간에 상호 작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로, 터치 인터렉션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고, 터치 스크린부(120) 상에 표시되는 문자나 메뉴가 선택됨으로써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는 장치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부품 업데이트 장치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3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부품 업데이트 장치(200)는 제어부(210), 배터리 잔량 모니터링부(220), 전류 DB(230), 운전자 DB(240), 우선 순위 산출부(250) 및 통신 모듈(260)을 포함한다.
제어부(210)는 사용자의 예약 업데이트 설정에 따라 업데이트 정보 표시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부(210)는 사용자가 설정한 예약 업데이트 진행 시각을 입력 받으며, 업데이트 예약된 시각에 AVN 장치(100)의 헤드 유닛만 웨이크 업(Wake-Up)하여 업데이트 파일(Binary) 내 업데이트 대상 부품 리스트 정보를 추출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업데이트 장치(200)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서, 업데이트 장치(100) 내에 내장된 각종 모듈, 기기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10)는 업데이트 장치(200)에 내장된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될 수 있으며, 업데이트 장치(200) 내에 내장된 각종 모듈, 기기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헤드 유닛의 전원 제어, 주변 유닛의 업데이트 등을 진행하는 헤드 유닛 제어부로서, 헤드 유닛 시스템 전체의 제어를 담당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어부(210)는 업데이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 업데이트 장치의 동작 제어 중 사용되는 기준 데이터, 업데이트 장치가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동작 데이터, 업데이트 장치가 소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예약 업데이트 설정 데이터 등과 같은 설정 정보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내장할 수 있다.
배터리 잔량 모니터링부(220)는 배터리 센서(310)를 통해 배터리(300)의 잔존 용량(state of charge, SOC)을 모니터링한다.
이와 같이, 배터리 잔량 모니터링부(220)는 배터리 센서(310)를 통해 SOC 수치를 입력 받아 시동 오프 시에 비교적 정확한 SOC 수치를 저장하고(Kalman Filtering 기반 SOC), 배터리(300) 자체로부터 전압 수치를 입력 받아 업데이트 예약된 시각에 웨이크 업하여 오차가 다소 있는 SOC 수치를 계산한다(Voltage Method 기반 SOC).
배터리 센서(310, BS: Battery Sensor)는 차량(1)에 전원을 공급하는 차량용 배터리(300)에 장착되어 현재 배터리(300)의 상태를 측정하여 배터리 잔량 모니터링부(220)에 전달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300)의 전압 및 전류 잔량을 측정하여 배터리 잔량 모니터링부(220)에 전달할 수 있다.
배터리 센서(310)는 배터리(300)의 전압, 전류 및 온도를 측정하여, 배터리(300)의 잔존 용량(state of charge, SOC), 배터리(300)의 잔존 수명(state of health, SOH) 및 배터리(300)의 성능(state of function, SOF)을 측정한다. 배터리 센서(310)에서 측정된 전압, 전류, SOC, SOF, 온도 등의 배터리 상태 정보는 차량 배터리 제어기(320, ECU: Engine Control Unit)를 통해 배터리 잔량 모니터링부(220)에 전달된다.
SOC는 현재 배터리(300)가 완전 충전된 배터리와 어느 정도 다른지를 나타내고, SOH는 현재 배터리(300)가 새로운 배터리와 얼마나 다른지를 나타낸다.
그리고, SOF는 배터리(300)를 사용하는 도중에 배터리(300) 성능이 실제 요구 조건에 얼마나 부합하는지를 나타내기 때문에, SOC, SOH, 배터리(300) 작동 온도 및 충/방전 이력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전류 DB(230)는 업데이트 대상 부품들의 업데이트 시 예측되는 전류 소모 수치를 부품별로 저장한다. 부품별 전류 소모 수치를 미리 측정하여 저장되어 있다.
운전자 DB(240)는 차량(1)의 운전 시에 운전자의 조작 정보를 서버(400)에 전달하고, 서버(400)로부터 해당 운전자의 습관에 기반하여 가장 중요한 부품들의 우선 순위를 전달받아 저장한다.
우선 순위 산출부(250)는 현재 배터리(300) 잔량 정보와 부품별 전류 소모 정보, 운전자 습관 정보를 종합적으로 관리하여 현재 배터리(300) 잔량 상태에서 업데이트할 수 있는 부품들의 정보를 산출하여 제어부(210)에 전달한다.
서버(400)는 차량(1)에서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운전자가 평소 운전 중에 자주 사용하는 기능 등을 취득하여 빅 데이터 DB화하여 구축하고, 운전자의 습관에 기반한 DB를 생성하여 전달한다.
통신 모듈(260)은 외부 서버(400)와 정보를 주고 받는 것을 지원하는 것으로, 서버(400)와 통신 가능하도록 업데이트 장치와 서버(400)를 네트워크 연결시킨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260)은 무선 접속 장치(Access Point) 등을 통하여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에 접속하는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통신 모듈, 단일의 외부 장치와 일-대-일로 통신하거나 소수의 외부 장치와 일-대-다로 통신하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방송신호 수신 모듈 및 위성 등으로부터 차량(1)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수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260)은 GSM/3GPP 계열의 통신 방식(GSM, HSDPA, LTE 어드밴스드), 3GPP2 계열의 통신 방식(CDMA 등) 또는 와이맥스 등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다른 장치와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통신 모듈(260)은 GPS 위성과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현재 차량(1)의 위치 정보를 GPS 위성으로부터 송수신하거나, 원격지에 위치한 서버(400)로부터 지도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차량(1)의 위치 정보 및 지도 정보는 사용자가 설정한 목적지로 이동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260)은 다른 장치와 연결되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모듈(260)은 차량(1) 근처에 위치한 이동 단말 또는 원격지에 위치한 서버(400)와 연결되어, 이동 단말 또는 서버(400)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260)은 서버(400)와 연결되어 서버(400)에 저장된 운전자 습관 DB를 수신 받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부품 업데이트 장치 및 그 방법의 동작 과정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부품 업데이트 방법은 사용자가 예약 업데이트 진행 시각을 설정하며, 예약한 시각이 되면 AVN 장치(100)의 헤드 유닛만 웨이크 업하여 예약 업데이트 진행을 시작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부품 업데이트 방법을 도시한 동작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부품 업데이트 파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 사용자가 예약 또는 심야 업데이트 진행 시각을 설정하면(500), 제어부(210)는 사용자가 설정한 예약 업데이트 진행 시각을 입력 받아 업데이트 예약된 시각에 AVN 장치(100)의 헤드 유닛만 웨이크 업(Wake-Up)한다.
이어서, 제어부(210)는 업데이트 파일(Binary) 내 업데이트 대상 부품 리스트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추출하여 확인한다(502).
또한, 제어부(210)는 전류 DB(230)에 저장된 부품별 예상 소모 전류를 기반으로 대상 부품들의 전체 업데이트 시에 예상되는 소모 전류를 계산하고(504), 배터리 잔량 모니터링부(220)를 통해 현재 배터리(300) 잔량을 확인한다(506). 배터리 잔량 모니터링부(220)는 배터리 센서(310)를 통해 SOC 수치를 입력 받아 시동 오프 시에 비교적 정확한 SOC 수치를 저장하고(Kalman Filtering 기반 SOC), 배터리(300) 자체로부터 전압 수치를 입력 받아 업데이트 예약된 시각에 웨이크 업하여 오차가 다소 있는 SOC 수치를 계산한다(Voltage Method 기반 SOC).
이와 같이, 배터리 잔량 모니터링부(220)는 이전 파워 사이클에서 차량 배터리 제어기(320)로부터 전달받은 SOC 레벨과 배터리(300)에서 직접 읽은 전압 레벨을 기반으로 SOC 수치를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10)는 단계 506에서 확인된 현재 배터리(300) 잔량과 단계 504에서 계산된 예상 소모 전류를 비교하여, 현재 배터리(300) 잔량이 예상 소모 전류보다 큰가를 판단한다(508).
단계 508의 판단 결과, 현재 배터리(300) 잔량이 예상 소모 전류보다 크지 않으면, 우선 순위 산출부(250)는 운전자 DB(240)에 저장된 운전 습관을 기반으로 제공 가능한 전류량 및 파워 값을 산출하여 대상 부품 리스트 중 우선 순위를 산출한다(510).
이때, 우선 순위 산출부(250)에서 우선 순위를 산출하는 기준은 차량의 안전에 관련된 핵심 부품을 제1조건으로 하고, 운전자의 습관을 기반으로 자주 사용하는 부품을 제2조건으로 하여, 제1조건과 제2조건을 모두 고려하여 우선 순위를 산출한다.
따라서, 우선 순위 산출부(250)는 우선 순위가 정해진 상위 부품들의 예상 소모 전류를 예측하여 현재 배터리(300) 잔량 범위 내에서 우선 순위를 고려하여 업데이트 가능한 대상 부품을 선정하여 제어부(210)에 전달한다(512).
즉, 우선 순위 산출부(250)는 우선 순위 부품들의 소모 전류 합산이 배터리(300) 잔량을 넘지 않은 범위까지 대상 부품을 선정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210)는 업데이트 대상으로 선정된 부품들에 대해 업데이트를 진행한다(514).
한편, 단계 508의 판단 결과, 현재 배터리(300) 잔량이 예상 소모 전류보다 크면, 제어부(210)는 업데이트 대상 부품 리스트에 추출된 대상 부품들을 모두 업데이트한다(516)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과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닌 설명적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이 아닌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차량 100 ; AVN 장치
200 : 차량용 부품 업데이트 장치 210 : 제어부
220 : 배터리 잔량 모니터링부 230 : 전류 DB
240 : 운전자 DB 250 : 우선 순위 산출부
260 : 통신 모듈 300 : 배터리
310 : 배터리 센서 400 : 서버

Claims (20)

  1. 배터리 센서를 통해 배터리 잔량을 모니터링하는 배터리 잔량 모니터링부;
    차량용 부품들의 업데이트 시에 예상되는 부품별 전류 소모 수치를 저장하는 전류 DB;
    운전자의 조작 정보를 서버에 전달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운전자의 습관에 기반한 운전자 습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운전자 DB;
    상기 모니터링한 배터리 잔량 정보, 상기 부품별 전류 소모 정보 및 상기 운전자 습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 잔량 내에서 업데이트 가능한 부품들의 우선 순위를 산출하는 우선 순위 산출부;
    상기 산출된 우선 순위를 기반으로 상기 업데이트 가능한 부품들의 업데이트를 진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부품 업데이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잔량 모니터링부는,
    상기 배터리 센서로부터 SOC 수치를 입력 받고,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압 수치를 입력 받아 상기 배터리의 현재 잔존 용량을 모니터링하는 차량용 부품 업데이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DB는,
    업데이트 대상 부품들의 업데이트 시에 예상되는 전류 소모 수치를 부품별로 측정하여 저장하는 차량용 부품 업데이트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DB는,
    상기 운전자가 운전 중에 자주 사용하는 기능들을 확인하여 상기 운전자의 습관에 기반한 부품들의 우선 순위를 저장하는 차량용 부품 업데이트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 산출부는,
    상기 배터리 잔량 정보, 상기 부품별 전류 소모 정보 및 상기 운전자 습관 정보를 종합하여 상기 배터리 잔량 내에서 업데이트 가능한 대상 부품들의 정보를 산출하는 차량용 부품 업데이트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 산출부는,
    상기 차량의 안전에 관련된 핵심 부품을 제1조건으로 하고, 상기 운전자의 습관을 기반으로 자주 사용하는 부품을 제2조건으로 하여, 상기 제1조건과 상기 제2조건을 모두 고려한 우선 순위를 산출하는 차량용 부품 업데이트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 산출부는,
    상기 우선 순위가 정해진 상위 부품들의 예상 소모 전류를 예측하여 상기 배터리 잔량 내에서 상기 우선 순위를 고려하여 업데이트 가능한 대상 부품을 선정하는 차량용 부품 업데이트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설정한 예약 업데이트 진행 시각이 되면, AVN 장치의 헤드 유닛을 웨이크 업(Wake-up)시키는 차량용 부품 업데이트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업데이트 파일 내 업데이트 대상 부품 리스트 정보를 추출하는 차량용 부품 업데이트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 산출부는,
    상기 전류 DB에 저장된 부품별 예상 소모 전류를 기반으로 상기 부품들의 전체 업데이트 시에 예상되는 소모 전류를 계산하고;
    상기 배터리 잔량과 상기 계산된 예상 소모 전류를 비교하여 상기 배터리 잔량이 상기 예상 소모 전류보다 크면, 상기 업데이트 대상 부품 리스트에 추출된 부품들을 모두 업데이트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용 부품 업데이트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 산출부는,
    상기 배터리 잔량이 상기 예상 소모 전류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운전자 습관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업데이트 대상 부품 리스트 중 우선 순위를 선정하여 상기 배터리 잔량 내에서 대상 부품을 선정하는 차량용 부품 업데이트 장치.
  12. 배터리 센서를 통해 배터리 잔량을 모니터링하는 배터리 잔량 모니터링부;
    차량용 부품들의 업데이트 시에 예상되는 부품별 전류 소모 수치를 저장하는 전류 DB;
    운전자의 조작 정보를 서버에 전달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운전자의 습관에 기반한 운전자 습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운전자 DB;
    상기 전류 DB에 저장된 부품별 예상 소모 전류를 기반으로 상기 부품들의 전체 업데이트 시에 예상되는 소모 전류를 계산하고, 상기 배터리 잔량과 상기 계산된 예상 소모 전류를 비교하여 상기 배터리 잔량이 상기 예상 소모 전류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운전자 습관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배터리 잔량 내에서 업데이트 가능한 대상 부품의 우선 순위를 산출하는 우선 순위 산출부;
    상기 산출된 우선 순위를 기반으로 상기 배터리 잔량 내에서 상기 업데이트 가능한 대상 부품의 업데이트를 진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부품 업데이트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 산출부는,
    상기 배터리 잔량이 상기 예상 소모 전류보다 크면, 상기 부품들의 전체 업데이트를 진행하는 차량용 부품 업데이트 장치.
  14. 차량용 부품들의 업데이트 시에 예상되는 부품별 전류 소모 수치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부품별 예상 소모 전류를 이용하여 업데이트를 진행하는 차량용 부품 업데이트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품들의 전체 업데이트 시에 예상되는 소모 전류를 계산하고;
    배터리 센서를 통해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고;
    상기 배터리 잔량과 상기 계산된 예상 소모 전류를 비교하고;
    상기 배터리 잔량이 상기 예상 소모 전류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배터리 잔량 정보, 상기 부품별 전류 소모 정보 및 운전자 습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 잔량 내에서 업데이트 가능한 부품들의 우선 순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우선 순위를 기반으로 상기 업데이트 가능한 부품들의 업데이트를 진행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운전자 습관 정보는 운전자의 조작 정보를 서버에 전달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어 저장된 운전자의 습관에 기반한 운전자 습관 정보인 것인 차량용 부품 업데이트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를 산출하는 것은,
    상기 우선 순위가 정해진 상위 부품들의 예상 소모 전류를 예측하여 상기 배터리 잔량 내에서 상기 우선 순위를 고려하여 업데이트 가능한 대상 부품을 선정하는 차량용 부품 업데이트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잔량이 상기 예상 소모 전류보다 크면, 상기 부품들의 전체 업데이트를 진행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부품 업데이트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설정한 예약 업데이트 진행 시각이 되면, 업데이트 파일 내 업데이트 대상 부품 리스트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부품 업데이트 방법.
  18. 차량용 부품들의 업데이트 시에 예상되는 부품별 전류 소모 수치를 저장하는 전류 DB와, 운전자의 조작 정보를 서버에 전달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운전자의 습관에 기반한 운전자 습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운전자 DB를 구비하는 차량용 부품 업데이트 방법에 있어서,
    업데이트 파일 내 대상 부품 리스트를 확인하고;
    상기 전류 DB에 저장된 부품별 예상 소모 전류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 부품들의 전체 업데이트 시에 예상되는 소모 전류를 계산하고;
    배터리 센서를 통해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고;
    상기 배터리 잔량과 상기 계산된 예상 소모 전류를 비교하고;
    상기 배터리 잔량이 상기 예상 소모 전류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운전자 DB에 저장된 운전자 습관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 부품 리스트 중 우선 순위를 산출하고;
    상기 우선 순위 상위 부품들의 예상 소모 전류를 예측하여 상기 배터리 잔량 내에서 업데이트 가능한 부품을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부품에 대한 업데이트를 진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용 부품 업데이트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잔량이 상기 예상 소모 전류보다 크면, 상기 부품들의 전체 업데이트를 진행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부품 업데이트 방법.
  20. 차량용 부품들의 업데이트 시에 예상되는 부품별 전류 소모 수치를 저장하는 전류 DB와, 운전자의 조작 정보를 서버에 전달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운전자의 습관에 기반한 운전자 습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운전자 DB를 구비하는 차량용 부품 업데이트 방법에 있어서,
    업데이트 파일 내 대상 부품 리스트를 확인하고;
    상기 전류 DB에 저장된 부품별 전류 소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부품들의 전체 업데이트 시에 예상되는 소모 전류를 계산하고;
    배터리 센서를 통해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고;
    상기 배터리 잔량과 상기 계산된 예상 소모 전류를 비교하여, 상기 배터리 잔량이 상기 예상 소모 전류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배터리 잔량 정보, 상기 부품별 전류 소모 정보 및 상기 운전자 습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 잔량 내에서 업데이트 가능한 부품들의 우선 순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우선 순위를 기반으로 상기 업데이트 가능한 부품들의 업데이트를 진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용 부품 업데이트 방법.
KR1020160170310A 2016-12-14 2016-12-14 차량용 부품 업데이트 장치 및 그 방법 KR102646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310A KR102646676B1 (ko) 2016-12-14 2016-12-14 차량용 부품 업데이트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310A KR102646676B1 (ko) 2016-12-14 2016-12-14 차량용 부품 업데이트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526A KR20180068526A (ko) 2018-06-22
KR102646676B1 true KR102646676B1 (ko) 2024-03-13

Family

ID=62768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0310A KR102646676B1 (ko) 2016-12-14 2016-12-14 차량용 부품 업데이트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66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7084B1 (ko) * 2018-09-05 2023-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업데이트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592827B1 (ko) * 2018-11-05 2023-10-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제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540932B1 (ko) * 2018-11-16 2023-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업데이트 제공 장치 및 컴퓨터 기록 매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1647A (ja) * 2004-06-23 2006-01-12 Fujitsu Ten Ltd ソフトウェア管理装置
JP2011121396A (ja) * 2009-12-08 2011-06-23 Toyota Motor Corp プログラム更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6357A (ko) * 2012-11-23 2014-06-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다중 mcu 환경에서의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1647A (ja) * 2004-06-23 2006-01-12 Fujitsu Ten Ltd ソフトウェア管理装置
JP2011121396A (ja) * 2009-12-08 2011-06-23 Toyota Motor Corp プログラム更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526A (ko) 2018-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0368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oftware update of vehicle
US10324703B2 (en) Terminal,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720680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wirelessly updating vehicle systems
US10305304B2 (en) Cloud server,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US10744884B2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620400B1 (ko) 전기 차량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109305116B (zh) 车辆状态监测系统和车辆
CN104768130B (zh) 车辆内通知呈现调度
US8941463B2 (en) Electric vehicle reserve charge authorization and distribution
US9910660B2 (en) Operating system replacement for in-vehicle computing system
US11569678B2 (en) System for estimating initial SOC of lithium battery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20221188A1 (en) Vehicle hmi replacement
JP6567642B2 (ja) オペレーティングシステム起動加速
KR102646676B1 (ko) 차량용 부품 업데이트 장치 및 그 방법
KR102621295B1 (ko) 차량용 배터리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130037A (ko) 차량, 차량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시스템 및 차량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
US9563246B2 (en) Interface device,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3796159A1 (en) Operating system startup acceleration
JP6577566B2 (ja) オペレーティングシステム起動加速
KR102585564B1 (ko) 헤드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헤드 유닛의 차량 제어 방법
KR102375172B1 (ko) 차량용 배터리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US20170364138A1 (en) In-vehicle computing system with power conserving maintenance tasks
KR102425886B1 (ko) 차량의 배터리 충전 상태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2485285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20240038072A1 (en) Vehicle footprint based parking identif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