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2123A - Dna 채취 키트 - Google Patents

Dna 채취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2123A
KR20190062123A KR1020180054625A KR20180054625A KR20190062123A KR 20190062123 A KR20190062123 A KR 20190062123A KR 1020180054625 A KR1020180054625 A KR 1020180054625A KR 20180054625 A KR20180054625 A KR 20180054625A KR 20190062123 A KR20190062123 A KR 20190062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rod
main
liquid
dna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4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9667B1 (ko
Inventor
이준희
Original Assignee
이준희
이희성
(주)조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희, 이희성, (주)조아테크 filed Critical 이준희
Publication of KR20190062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2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26Inoculator or sampler
    • C12M1/28Inoculator or sampler being part of container
    • C12M1/30Sampler being a swab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0Processes for the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of DNA or RNA
    • C12N15/1003Extracting or separating nucleic acids from biological samples, e.g. pure separation or isolation methods; Conditions, buffers or apparatus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02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able microorganisms
    • C12Q1/24Methods of sampling, or inoculating or spreading a sample; Methods of physically isolating an intact microorganism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06Preparing nucleic acids for analysis, e.g. for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ssa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염됨 없이 간단한 방식으로 액체를 DNA 채취용 흡수 부재에 제공할 수 있는 DNA 채취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DNA 채취 키트는, 채취대상에서 DNA를 채취하기 위한 DNA 채취 키트로, 양단이 개방된 길다란 관 형상의 메인 로드; 상기 메인 로드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메인 흡수 부재; 상기 메인 로드의 타단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액체; 상기 액체를 상기 메인 로드를 통해 상기 메인 흡수 부재에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액체 공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DNA 채취 키트{DNA sampling kit}
본 발명은 범죄 현장이나 경찰서나 병원 등에서 사용되는 DNA 채취 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DNA(Deoxyribonucleic acid, 데옥시리보핵산)은, 게놈(genome)을 이루는 24종류의 염색체 각각에 실타래처럼 얽힌 긴 사슬 모양의 분자이며, 이 중 일부가 유전자의 작용을 한다.
이러한 DNA의 염기 배열은 지문과 마찬가지로 사람에 따라 다르므로 이러한 차이를 이용하여 범인의 특징이나 친자관계 입증 등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람의 DNA의 기본적인 구조나 유전자의 종류는 누구나 다 같지만 DNA의 염기배열의 일부는 사람에 따라 차이가 있다. 염기배열이 다른 부분은 유전자의 기능과 상관없는 부분이다. 이 염기배열에는 STR(short tandem repeat) 좌위가 있으며 2-4개의 염기가 반복되는 특성을 갖는데, 이 부위는 다형성을 갖기 때문에 개인식별이 가능하다.
DNA는 동일인물이라면 어느 세포를 취해도 똑같다. 범죄수사 등에서는 현장에 남겨진 혈액 등의 DNA와 범인의 DNA 염기배열을 비교하여 동일인물인지 아닌지를 특정할 수 있다. 이렇게 수사에 사용하는 지문과 마찬가지로 DNA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DNA 지문법"이라고도 부르고 있다.
이러한 지문과도 같은 DNA를 채취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 한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1-0007809호에 개시된 개인 유전자 채취 및 보관 키트는, 유전자 열화를 방지하는 조성물을 가지는 기지를 구비하여 유전자를 보관하는 유전자 카드와, 멸균 처리된 구강상피세포 채취용 면봉과, 자외선 차단 필름으로 이루어진 유전자 보관용 봉투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건식의 면봉을 사용하게 되므로 DNA 채취가 효율적이지 못하고, 나아가 채취대상(즉, 피채취물)에 물기가 없을 경우 DNA 채취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DNA채취에 필요한 부재들을 일체화하고 간단한 방식으로 액체를 DNA 채취용 흡수 부재에 제공하여 오염됨 없이 간편하게 DNA를 채취할 수 있는 휴대성 높은 DNA 채취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NA 채취 키트는, 채취대상에서 DNA를 채취하기 위한 DNA 채취 키트로, 양단이 개방된 길다란 관 형상의 메인 로드; 상기 메인 로드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메인 흡수 부재; 상기 메인 로드의 타단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액체; 상기 액체를 상기 메인 로드를 통해 상기 메인 흡수 부재에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액체 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액체 공급부는, 상기 메인 로드의 타단을 막는 마개; 및 상기 마개에 구멍을 형성시키는 핀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NA 채취 키트는, 상기 메인 로드의 외면을 감싸는 중간 연결 부재; 상기 중간 연결 부재의 선단부를 감싸고 지지하는 손잡이; 및 상기 중간 연결 부재의 후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메인 로드의 노출된 부분 및 상기 메인 흡수 부재를 수용하여 외부와 격리시키는 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NA 채취 키트는, 상기 손잡이와 상기 덮개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그 사이를 밀봉시키는 테이핑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핀부는, 상기 손잡이의 선단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버튼 부재; 및 상기 버튼 부재의 말단에 구비되되 상기 마개를 향해 구비되는 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핀부는, 상기 버튼 부재의 선단에 구비되며 상기 버튼 부재보다 큰 외경 또는 너비를 가지는 걸림 부재; 및 상기 걸림 부재와 상기 손잡이의 선단부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슬라이딩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NA 채취 키트는, 상기 손잡이에 일단부가 구비되고 타단부가 상기 메인 로드와 나란하게 놓이며 중공된 관 형상 또는 중실된 봉 형상을 가지는 보조 로드; 및 상기 보조 로드의 타단에 구비되며 상기 메인 흡수 부재에 접하는 보조 흡수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로드의 노출된 부분 및 상기 보조 흡수 부재는 상기 덮개에 수용되어 외부와 격리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의 표면에는 기록용 라벨이 부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DNA 채취 키트는, 채취대상에서 DNA를 채취하기 위한 DNA 채취 키트로, 양단이 개방된 길다란 관 형상의 메인 로드; 상기 메인 로드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메인 흡수 부재; 상기 메인 로드의 타단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액체; 상기 액체를 상기 메인 로드를 통해 상기 메인 흡수 부재에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액체 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액체 공급부는, 상기 메인 로드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액체가 상기 메인 로드의 상기 일단부를 향해 유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마개; 및 상기 메인 로드의 타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액체가 상기 메인 로드의 타단부를 향해 유동되는 것을 차단하고 필요시에 상기 마개에 구멍을 형성시키는 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핀부는, 상기 메인 로드의 상기 타단부의 내부에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마개를 향해 후단부가 뾰족한 형상을 가진 핀 부재; 및 상기 메인 로드의 내면에 구비되며 상기 메인 로드의 내면과 상기 핀 부재의 외면을 밀봉시키는 실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핀부는, 상기 마개에 구멍이 형성되면 외부의 공기를 상기 메인 로드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외부 공기 유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DNA 채취 키트는, 상기 핀 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안내공이 형성된 선단부와 상기 메인 로드의 상기 타단부의 외면을 감싸는 후단부를 가지는 중간 연결 부재; 상기 중간 연결 부재의 상기 선단부를 감싸고 지지하는 손잡이; 및 상기 중간 연결 부재의 상기 후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메인 로드의 노출된 부분 및 상기 메인 흡수 부재를 수용하여 외부와 격리시키는 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DNA 채취 키트는, 상기 덮개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통기공; 및 상기 통기공을 막도록 구비되며 세균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의 유입을 막고 공기만 통과시키는 필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핀부는, 상기 손잡이의 선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핀 부재의 선단부의 누름을 방지시키는 누름 방지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핀부는, 상기 마개에 구멍을 형성시키기 전 상기 핀 부재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핀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DNA 채취 키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채취대상에서 DNA를 채취하기 위한 DNA 채취 키트로, 메인 로드와, 메인 흡수 부재와, 액체와, 액체 공급부를 포함하고, 메인 로드는 그 양단이 개방된 길다란 관 형상을 가지고, 메인 흡수 부재는 메인 로드의 일단에 구비되며, 액체는 메인 로드의 타단부의 내부에 수용되고, 액체 공급부는 액체를 메인 로드를 통해 메인 흡수 부재에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액체 공급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액체가 메인 흡수 부재로 유입될 수 있어, 오염됨 없이 액체를 메인 흡수 부재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NA 채취 키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DNA 채취 키트에서 덮개가 손잡이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DNA 채취 키트를 III-III 선으로 잘라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핀부에 의해 마개가 뚫린 상태에서 액체가 이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DNA 채취 키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덮개를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DNA 채취 키트에 덮개가 덮힌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DNA 채취 키트를 VII-VII 선으로 잘라 본 단면도이다.
도 8은 핀부에 의해 마개가 뚫린 상태에서 액체가 이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DNA 채취 키트를 IX-IX 선으로 잘라 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NA 채취 키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DNA 채취 키트에서 덮개가 손잡이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DNA 채취 키트를 III-III 선으로 잘라 본 단면도이고, 도 4는 핀부에 의해 마개가 뚫린 상태에서 액체가 이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NA 채취 키트(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취대상에서 DNA를 채취하기 위한 DNA 채취 키트로, 메인 로드(110)와, 메인 흡수 부재(120)와, 액체(130)와, 액체 공급부(S10)를 포함한다. 액체 공급부(S10)는 마개(140)와 핀부(150)를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계속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메인 로드(110)는 액체(130)를 수용하며 필요시에 수용된 액체(130)를 메인 흡수 부재(120)로 안내하는 구성요소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양단이 개방된 길다란 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필요시"란 채취대상에서 DNA를 채취하기 위한 때이다. 나아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로드(110)의 내부 압력 중 액체(130)와 마개(140) 사이의 부압(負壓)이 대기압의 유입으로 해제되면서 액체(130)는 메인 흡수 부재(120)로 안내될 수 있다. 이러한 부압은 핀부(150)가 마개(140)를 뚫으면 해제될 수 있다.
메인 흡수 부재(120)는, 채취대상에 접촉되어 채취대상의 DNA를 이에 묻게 하여 DNA를 실질적으로 채취하는 구성요소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로드(110)의 일단에 구비될 수 있다. 특히,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시 메인 로드(110)를 통해 액체(130)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흡수 부재(120)는, 위생을 위해 탈지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대략 타원구 형태로 메인 로드(110)의 일단을 감쌀 수 있다.
액체(130)는, 메인 흡수 부재(120)의 DNA 채취률을 높이기 위해 필요시 메인 흡수 부재(120)를 촉촉하게 적시기 위한 구성요소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로드(110)의 타단부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액체(130)로는 위생을 위해 증류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마개(140)는, 메인 로드(110)의 내부 압력 중 액체(130)와 마개(140) 사이의 압력을 부압(負壓)으로 만들기 위한 구성요소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로드(110)의 타단을 막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메인 로드(110)의 내부에 액체(130)를 주입하고 나서, 압력을 가해 액체(130)를 메인 로드(110)의 타단부로 이동시킨 후, 메인 로드(110)의 타단을 마개로 막으면, 액체(130)와 마개(140) 사이에 부압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개(140)는 핀부(150)에 의해 용이하게 뚫릴 수 있도록, 얇은 막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핀부(150)는, 필요시 마개(140)에 구멍을 형성시키는 구성요소이다. 핀부(15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따라서, 위와 같은 구성요소들이 제공되므로, 핀부(150)가 마개(140)를 뚫을 경우 메인 로드(110)의 내부 압력 중 액체(130)와 마개(140) 사이의 부압이 대기압의 유입으로 해제되면서 액체가 메인 흡수 부재(120)로 유입될 수 있어, 오염됨 없이 간단한 방식으로 액체(130)를 메인 흡수 부재(12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NA 채취 키트(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연결 부재(165), 손잡이(160), 그리고 덮개(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간 연결 부재(165)는 메인 로드(110)의 외면을 감싸며 고정될 수 있고, 손잡이(160)는 중간 연결 부재(165)의 선단부를 감싸고 이 선단부를 지지할 수 있고, 덮개(170)는 중간 연결 부재(165)의 후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메인 로드(110)의 노출된 부분 및 메인 흡수 부재(120)를 수용하여 이들을 외부와 격리시킬 수 있다. 나아가, 손잡이(160)의 표면에는 기록용 라벨(161)이 부착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NA 채취 키트(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60)와 덮개(170)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그 사이를 밀봉시키는 테이핑 부재(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이핑 부재(180)로는 재 사용이 가능하더라도 접착력을 보유할 수 있는 접착 테이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채취에 앞서 접착 테이프(180 참조)를 떼어 내 덮개(170)를 손잡이(160)와 분리하고, 채취가 완료되면 손잡이(160)에 덮개(170)를 끼워 접착 테이프(180 참조)로 붙이면 덮개(170)의 내부가 밀봉되면서 채취된 DNA의 오염을 막을 수 있다.
핀부(15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 부재(151)와 핀 부재(152)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 부재(151)는 손잡이(160)의 선단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고, 핀 부재(152)는 버튼 부재(151)의 말단에 구비되되 마개(140)를 향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취자가 버튼 부재(151)를 누르면 핀 부재(152)에 의해 마개(140)가 뚫리면서 메인 로드(110)의 내부 압력 중 액체(130)와 마개(140) 사이의 부압이 대기압의 유입으로 해제되면서 액체(130)가 메인 흡수 부재(120)로 유입될 수 있다.
나아가, 핀부(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 부재(153)와 슬라이딩 방지 부재(1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걸림 부재(153)는 버튼 부재(151)의 선단에 구비될 수 있고 버튼 부재(151)보다 큰 외경(또는 너비)를 가질 수 있고, 슬라이딩 방지 부재(154)는 걸림 부재(153)와 손잡이(160)의 선단부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DNA 채취 키트(100)를 사용할 때에만 슬라이딩 방지 부재(154)를 제거하여 버튼 부재(151)를 누를 수 있도록 하여, 사용하지 않을 때에 버튼 부재(151)가 눌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NA 채취 키트(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로드(191)와 보조 흡수 부재(19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로드(191)는, 손잡이(160)에 그 일단부가 구비되고 그 타단부가 메인 로드(110)와 나란하게 놓일 수 있다. 나아가, 보조 로드(191)는, 메인 로드(110)와 같이 중공된 관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메인 로드(110)와 달리 액체(130)를 수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중실된 봉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보조 흡수 부재(192)는 메인 흡수 부재(120)에 접하도록 보조 로드(191)의 타단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흡수 부재(120)가 액체(130)에 의해 촉촉하게 적셔지면 이에 접한 보조 흡수 부재(192)로도 이 액체(130)가 흡수될 수 있다.
궁극적으로, 메인 흡수 부재(120)와 보조 흡수 부재(192) 모두를 이용하여 채취대상의 DNA를 채취하게 되므로 보다 많고 보다 용이하게 효율적인 DNA 채취가 가능할 수 있다.
나아가, 보조 로드(191)의 노출된 부분 및 보조 흡수 부재(192)는 덮개(170)에 수용되어 외부와 격리될 수 있다. 또한, 메인 로드(110)와 보조 로드(191)는 연결 고리(도 5의 "B" 참조)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DNA 채취 키트(2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DNA 채취 키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덮개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DNA 채취 키트에 덮개가 덮힌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7은 도 6의 DNA 채취 키트를 VII-VII 선으로 잘라 본 단면도이다. 도 8은 핀부에 의해 마개가 뚫린 상태에서 액체가 이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DNA 채취 키트를 IX-IX 선으로 잘라 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DNA 채취 키트(200)는,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공급부(S20), 중간 연결 부재(265), 손잡이(260), 그리고 덮개(270)를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이들을 위주로 설명한다.
액체 공급부(S20)는, 액체(도 7의 130)를 메인 로드(110)를 통해 메인 흡수 부재(120)에 선택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240)와 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마개(240)는 메인 로드(1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액체(130)가 메인 로드(110)의 일단부를 향해 유동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고, 핀부(250)는 메인 로드(110)의 타단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액체(130)가 메인 로드(110)의 타단부를 향해 유동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고 필요시에 마개(240)에 구멍을 형성시킬 수 있다.
여기서, "필요시"란 채취대상에서 DNA를 채취하기 위한 때이다. 또한, 마개(240)는 핀부(250)에 의해 용이하게 뚫릴 수 있도록 얇은 막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핀부(25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중간 연결 부재(26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 부재(251)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안내공(265a)이 형성된 선단부와 메인 로드(110)의 타단부의 외면을 감싸는 후단부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중간 연결 부재(265)를 통해 손잡이(260)와 덮개(270)가 연결될 수 있다.
손잡이(26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연결 부재(265)의 선단부를 감싸고 지지될 수 있다. 나아가, 손잡이(260)의 표면에는 기록용 라벨(도 1의 161 참조)이 부착될 수 있다.
덮개(27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연결 부재(265)의 후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고, 메인 로드(110)의 노출된 부분 및 메인 흡수 부재(120)를 수용하여 외부와 격리시킬 수 있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계속 참조하여, 핀부(25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핀부(25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 부재(251)와 실링 부재(252)를 포함할 수 있다. 핀 부재(251)는 메인 로드(110)의 타단부의 내부에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마개(240)를 향해 그 후단부가 뾰족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실링 부재(252)는 메인 로드(110)의 내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메인 로드(110)의 내면과 핀 부재(251)의 외면을 밀봉시킬 수 잇다. 이러한 실링 부재(25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로드(110)의 내면에 고정될 수 있고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핀부(25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 부재(251)의 이동으로 마개(240)에 구멍이 형성될 경우 외부의 공기를 메인 로드(110)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외부 공기 유입부(2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공기 유입부(253)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 부재(251)의 제1 구간의 외주면에 그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공기 유입홈(253a)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핀 부재(251)의 이동으로 마개(240)에 구멍이 형성되면 실링 부재(252)의 내주면과 핀 부재(251)의 제1 구간의 외주면이 공기 유입홈(253a)을 통해 이격되면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어, 메인 로드(110)의 내부의 부압이 해제되면서 액체(130)가 원활하게 메인 로드(110)를 따라 메인 흡수 부재(120)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핀 부재(251)의 제1 구간은 핀 부재(251)의 이동으로 마개(240)에 구멍이 형성되기 직전과 형성된 후에 실링 부재(252)와 접할 수 있는 구간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핀부(250)는, 도 7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260)의 선단부에 구비되며 핀 부재(251)의 선단부의 누름을 방지시키는 누름 방지 캡(25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누름 방지 캡(254)은 손잡이(260)의 선단부의 관통공에 고정 브라켓(미도시)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있다가 사용자가 누르면 고정 브라켓(미도시)이 부러지면서 핀 부재(251)의 선단부를 함께 누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핀부(250)는, 마개(240)에 구멍이 형성되기 전 핀 부재(251)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핀 고정부(2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핀 고정부(255)는, 메인 로드(110)의 내주면에 고정된 실링 부재(252)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핀 부재(251)의 외주면에 요입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DNA 채취 키트(2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270)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통기공(271)과, 통기공(271)을 막도록 구비되며 세균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의 유입을 막고 공기만 통과시키는 필터 부재(2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통기공(271)을 통해 메인 흡수 부재(120)가 건조되므로 채취된 DNA가 부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200: DNA 채취 키트 110: 메인 로드
120: 메인 흡수 부재 130: 액체
140, 240: 마개 150, 250: 핀부
151: 버튼 부재 152, 251: 핀 부재
153: 걸림 부재 154: 슬라이딩 방지 부재
156, 265: 중간 연결 부재
160, 260: 손잡이 161: 라벨
170, 270: 덮개 180: 테이핑 부재
191: 보조 로드 192: 보조 흡수 부재
252: 실링 부재 253: 외부 공기 유입부
254: 누름 방지 캡 255: 핀 고정부
271: 통기공 271: 필터 부재

Claims (7)

  1. 채취대상에서 DNA를 채취하기 위한 DNA 채취 키트로,
    양단이 개방된 길다란 관 형상의 메인 로드;
    상기 메인 로드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메인 흡수 부재;
    상기 메인 로드의 타단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액체; 및
    상기 액체를 상기 메인 로드를 통해 상기 메인 흡수 부재에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액체 공급부;
    를 포함하는
    DNA 채취 키트.
  2. 제1항에서,
    상기 액체 공급부는,
    상기 메인 로드의 타단을 막는 마개; 및
    상기 마개에 구멍을 형성시키는 핀부;
    를 포함하는
    DNA 채취 키트.
  3. 제2항에서,
    상기 DNA 채취 키트는,
    상기 메인 로드의 외면을 감싸는 중간 연결 부재;
    상기 중간 연결 부재의 선단부를 감싸고 지지하는 손잡이; 및
    상기 중간 연결 부재의 후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메인 로드의 노출된 부분 및 상기 메인 흡수 부재를 수용하여 외부와 격리시키는 덮개;
    를 더 포함하는,
    DNA 채취 키트.
  4. 제3항에서,
    상기 핀부는,
    상기 손잡이의 선단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버튼 부재; 및
    상기 버튼 부재의 말단에 구비되되 상기 마개를 향해 구비되는 핀 부재;
    을 포함하는
    DNA 채취 키트.
  5. 제1항에서,
    상기 액체 공급부는,
    상기 메인 로드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액체가 상기 메인 로드의 상기 일단부를 향해 유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마개; 및
    상기 메인 로드의 타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액체가 상기 메인 로드의 타단부를 향해 유동되는 것을 차단하고 필요시에 상기 마개에 구멍을 형성시키는 핀부;
    를 포함하는
    DNA 채취 키트.
  6. 제5항에서,
    상기 핀부는,
    상기 메인 로드의 상기 타단부의 내부에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마개를 향해 후단부가 뾰족한 형상을 가진 핀 부재; 및
    상기 메인 로드의 내면에 구비되며 상기 메인 로드의 내면과 상기 핀 부재의 외면을 밀봉시키는 실링 부재;
    를 포함하는
    DNA 채취 키트.
  7. 제6항에서,
    상기 핀부는,
    상기 마개에 구멍이 형성되면 외부의 공기를 상기 메인 로드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외부 공기 유입부
    를 더 포함하는
    DNA 채취 키트.
KR1020180054625A 2017-11-28 2018-05-14 Dna 채취 키트 KR1020496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60568 2017-11-28
KR1020170160568 2017-1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123A true KR20190062123A (ko) 2019-06-05
KR102049667B1 KR102049667B1 (ko) 2019-11-28

Family

ID=66845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4625A KR102049667B1 (ko) 2017-11-28 2018-05-14 Dna 채취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966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23219A1 (en) * 2007-07-16 2009-01-22 Forensic Id, Llc Specimen gathering device and method of us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23219A1 (en) * 2007-07-16 2009-01-22 Forensic Id, Llc Specimen gathering device and method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9667B1 (ko) 2019-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12308B2 (ja) 検体テストユニット
EP0986751B1 (en) Sample collection device with extraction sleeve
JP4865709B2 (ja) 結腸直腸細胞試料採取装置並びにこの装置を備えたキット
JP2005513513A5 (ko)
EP2863806B1 (en) A device for collecting, transferring and conserving samples of biological material
US8940547B2 (en) Evidence collector with integral quantified reagents and method of modulating specimen drying time
EP2538906B1 (en) Evidence collector with integral quantified reagents and method of modulating specimen drying time
CN103857346B (zh) 用于采集生物样品的装置和相应的方法
GB2073416A (en) Disposable swab and culture unit
WO2009018607A1 (en) Device and method for biological sampling
KR960033399A (ko)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구강액 샘플 수집 장치 및 이 장치의 우송을 위한 포장
JP2010502991A (ja) 収納式分解生物分子採集スワブシステム
US9052254B2 (en) Evidence collector with integral quantified reagents and method of modulating specimen drying time
JPS5889275A (ja) 針保持組立体用鎧装
JP2008542775A (ja) 生体試料の採取、収集および移送のための装置
KR20110006453U (ko) 검체 보존용기
CA2458128C (en) A bag system comprising a means of associating sampling receptacles
JP4492396B2 (ja) 検体採取液容器
CN114563558A (zh) 一体式自测套件
JP2006329728A (ja) 検体採取液容器
WO2011096515A1 (ja) 検査器具
JP2009195554A (ja) 内視鏡用洗浄消毒評価装置
KR20190062123A (ko) Dna 채취 키트
US4562847A (en) Instrument for obtaining samples from uterus of animals
CN111970961A (zh) 感染检测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