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1897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1897A
KR20190061897A KR1020170160751A KR20170160751A KR20190061897A KR 20190061897 A KR20190061897 A KR 20190061897A KR 1020170160751 A KR1020170160751 A KR 1020170160751A KR 20170160751 A KR20170160751 A KR 20170160751A KR 20190061897 A KR20190061897 A KR 20190061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disposed
guide rail
discharg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0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7655B1 (ko
Inventor
류지원
박현욱
황경호
엄태인
박재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0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7655B1/ko
Priority to US16/767,186 priority patent/US11635229B2/en
Priority to PCT/KR2018/014307 priority patent/WO2019107823A1/ko
Publication of KR20190061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1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7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7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68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formed as perforated walls, ceilings or fl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4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g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토출유로와 상기 토출유로를 형성하는 제 1토출 벽과 상기 제 1토출 벽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 2토출 벽을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제 1토출 벽의 내측에 마련되는 제 1위치와 상기 제 1토출 벽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 2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기류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개시한다. 이에 따라 일반적인 블레이드 구성 없이 기류제어 유닛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량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토출 기류를 제어할 수 있고, 원형 형상을 갖는 토출유로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기류를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류제어 유닛을 가지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 밸브, 증발기, 송풍팬 등을 구비하고,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의 온도, 습도, 기류 등을 조절하는 장치이다. 공기 조화기는 실내에 배치되는 실내기와 실외에 배치되는 실외기를 갖는 분리형과, 하나의 하우징 안에 실내기와 실외기가 모두 배치되는 일체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냉매와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와,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과,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모터를 구비하여,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시킨다.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를 통해 냉각 또는 난방된 공기를 다양한 방향으로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 기류 제어 수단을 갖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토출 기류 제어 수단은 토출구에 마련되는 수직 또는 수평 블레이드와, 이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로 구성된다. 즉,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블레이드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여 토출기류의 방향을 제어한다.
이러한 블레이드를 이용한 토출 기류 제어 구조에 의하면 블레이드에 의해 공기 흐름이 방해 받기 때문에 토출되는 공기량이 저하되고, 블레이드 주변에 발생하는 난류에 의해 유동 소음이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블레이드를 포함하지 않고 기류제어 유닛을 통해 토출기류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원형 형상을 갖는 토출유로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기류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토출유로와 상기 토출유로를 형성하는 제 1토출 벽과 상기 제 1토출 벽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 2토출 벽을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제 1토출 벽의 내측에 마련되는 제 1위치와 상기 제 1토출 벽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 2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기류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류제어 유닛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회전 부재에 의해 상기 제 1위치와 상기 제 2위치 사이를 이동한다.
또한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회전 부재가 회전되면서 상기 가이드 부재를 상기 제 2토출 벽 측으로 가압하거나 상기 가이드 부재를 상기 제 1토출 벽 내측으로 가압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 의해 이동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류제어 유닛은 상기 구동부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부재에 전달하는 제 1기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는 내주부와, 외주부와, 상기 내주부에 배치되고 상기 기어부와 치합되는 제 2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제 1기어부와 상기 제 2기어부의 치합에 의해 회전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는 환형 형상을 가지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회전부재 상의 제 1영역과 상기 제 1영역에 대해 상기 회전부재의 반경 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회전부재 상의 제 2영역을 교대로 통과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 1영역에 배치될 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 1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 2영역에 배치될 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 2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제 2영역에 대해 상기 회전부재의 반경 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회전부재 상의 제 3영역에서부터 상기 제 1영역까지 연장되게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 3영역에 배치될 시,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제 2영역에 배치될 때보다 더 상기 제 1토출벽 외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제 1영역과 상기 제 2영역 사이를 왕복하도록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과 함께 일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가이드 돌기를 가압한다.
또한 상기 기류제어 유닛은, 상기 가이드 부재가 상기 제 1위치와 상기 제 2위치 사이에서 병진 운동하도록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하는 보조 가이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 1가이드 부재와 제 2가이드 부재와 제 3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되면서 상기 제 1가이드 부재를 상기 제 2토출 벽 측으로 가압하거나 상기 가이드 부재를 상기 제 1토출 벽 내측으로 가압하는 제 1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 2가이드 부재를 상기 제 2토출 벽 측으로 가압하거나 상기 가이드 부재를 상기 제 1토출 벽 내측으로 가압하는 제 2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 3가이드 부재를 상기 제 2토출 벽 측으로 가압하거나 상기 가이드 부재를 상기 제 1토출 벽 내측으로 가압하는 제 3가이드 레일를 포함하고, 상기 제 1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 1가이드 레일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 의해 이동되는 제 1가이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 2가이드 레일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 의해 이동되는 제 2가이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3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 3가이드 레일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 의해 이동되는 제 3가이드 돌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가이드 레일은 상기 회전부재 상의 제 1영역과 상기 제 1영역에 대해 상기 회전부재의 반경 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회전부재 상의 제 2영역을 교대로 통과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각각의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각각의 가이드 레일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 1영역에 배치될 시 각각의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 1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각각의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각각의 가이드 레일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 2영역에 배치될 시 상기 각각의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 2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각각의 가이드 레일은 서로 다른 형상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는 일 방향으로 회전 후 반대 방향으로 왕복 회전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각각의 가이드 돌기는 상기 회전부재가 1회 왕복 회전할 시, 적어도 1회 이상 상기 제 1위치와 상기 제 2위치 사이를 왕복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가 1회 왕복 회전할 시, 상기 제 1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 2위치를 2회 왕복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2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 2위치를 4회 왕복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3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 2위치 사이를 1회 왕복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 1가이드 레일의 일단과 타단은 상기 제 1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 1가이드 레일은 적어도 2회 이상 상기 제 1영역과 상기 제 2영역 사이를 관통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2가이드 레일의 일단과 타단은 각각 상기 제 1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 2가이드 레일은 적어도4회 이상 상기 제 1영역과 상기 제 2영역 사이를 관통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가이드 레일 중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레일은 폐 루프(closed loop) 형상으로 마련된다.
또한 상기 토출유로에 의해 형성되는 토출구는 환형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토출구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 1가이드 부재와 제 2가이드 부재와 제 3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제 1가이드 부재를 이동시키는 제 1회전 부재와, 상기 제 2가이드 부재를 이동시키는 제 2회전부재와, 상기 제 3가이드 부재를 이동시키는 제 3회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 1회전 부재를 회전시키는 제 1구동부와, 상기 제 2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제 2구동부와 상기 제 3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제 3구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환형 형상을 가지는 토출구와 상기 토출구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제 1토출벽과 상기 토출구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제 2토출벽을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토출 기류의 방향을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상기 기류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기류제어 유닛은 상기 토출구의 반경 방향으로 상기 제 1토출벽의 내측에 마련되는 제 1위치와 상기 제 1토출벽의 외측에 마련되는 제 2위치 사이를 왕복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와, 회전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를 상기 제 1위치와 상기 제 2위치 사이로 왕복 이동시키는 회전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가 상기 제 1위치와 상기 제 2위치 사이에서 왕복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를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가 일 방향으로 회전한 뒤 반대 방향으로 왕복 회전 할 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레일에 의해 적어도 1회 이상 상기 제 1위치와 상기 제 2위치 사이를 왕복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가 n개로 마련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레일은 상기 n개의 가이드 부재에 대응되도록 n개로 마련되고, 상기 n개의 가이드 레일은 상기 회전부재가 1회 왕복 회전되는 동안 상기 n개의 가이드 부재가 각각 상기 제 1위치 또는 상기 제 2위치로 배치되는 경우의 수가 2n개가 되도록 상기 n개의 가이드 부재를 가이드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는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회전부재가 1회 왕복 회전되는 동안,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 시작 지점에서 제 1각도로 회전될 시 상기 복수의 가이드 부재는 모두 제 1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 시작 지점에서 제 2각도로 회전될 시 상기 복수의 가이드 부재는 모두 제 2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 시작 지점에서 제 3각도로 회전될 시 상기 복수의 가이드 부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 1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가이드 부재 중 나머지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 2위치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토출 기류의 방향을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상기 기류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기류제어 유닛은, 상기 토출구의 외측에 마련되는 제 1위치와 상기 토출구 상에 마련되는 제 2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와, 회전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를 상기 제 1위치와 상기 제 2위치 사이로 왕복 이동시키는 단일의 회전부재와, 상기 단일개의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단일의 구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조화기는 일반적인 블레이드 구성 없이 기류제어 유닛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량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토출 기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조화기는 원형 형상을 갖는 토출유로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기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일부를 확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일부를 확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기류제어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기류제어 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기류제어 유닛의 일부 구성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가이드 부재가 회전부재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8에 개시된 A-A'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회전부재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회전부재의 일부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부 구성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1)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일부를 확대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일부를 확대한 측단면도이다.
공기조화기(1)는 천장(C')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적어도 일부분이 천장(C')에 매립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마련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30)와,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4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수직 방향으로 바라볼 때 대략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타원형 형상 또는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하우징(10)은 천장(C')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부 하우징(11)과, 상부 하우징(11)의 아래에 결합되고 천장(C')외 외측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하부 하우징(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부 하우징(11)과 하부 하우징(12)의 사이에는 추가적인 중간 하우징이 배치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12)의 중앙부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20)가 배치되고, 흡입구(20)의 상측에는 흡입구(20)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송풍팬(40) 측으로 유입되도록 흡입구(20)와 송풍팬(40)을 연결하는 흡입유로(21)가 마련될 수 있다.
흡입구(20)의 반경 방향 외측, 그리고 열교환기(30)의 반경 방향 외측에는 흡입구(20)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기(30)와 열교환하여 토출되도록 마련되는 토출유로(50)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유로(50)는 수직 방향으로 바라볼 때 대략 환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토출유로(50)는 곡선형 구간을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토출유로(50)는 환형 형상으로 마련되는 열교환기(30)와 원통형상으로 마련되는 하우징(10)에 의해 환형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토출유로(50)의 일측은 열교환기(30)와 연결되고 타측은 하부 하우징(12)측에 마련되는 토출구(56)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써, 공기 조화기(1)는 하측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냉각 및 난방시킨 후에 다시 하측으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흡입구(20)는 흡입유로(21)의 직경과 대략 대응되게 형성되는 원형의 흡입 패널(22)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흡입 패널(22) 상에 흡입구(20)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흡입 패널(22)의 상측에는 흡입구(20)로 흡입되는 공기에서 먼지를 걸러내도록 그릴(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열교환기(30)는 하우징(10)의 내부에 마련되며, 흡입구(20)와 토출구(56) 사이의 공기의 유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30)는 냉매가 유동하는 튜브(미도시)와, 외부 냉매관과 연결되어 튜브에 냉매를 공급하거나 회수하는 헤더(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튜브에는 방열 면적을 확대하도록 열교환핀이 마련될 수 있다.
열교환기(30)는 수직 방향으로 바라볼 때 대략 환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열교환기(30)의 형상은 하우징(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열교환기(30)의 형상은 토출구(56)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열교환기(30)는 드레인 트레이(16)에 놓여져서 열교환기(3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드레인 트레이(16)에 집수될 수 있다.
송풍팬(40)은 열교환기(30)의 반경 방향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송풍팬(40)은 축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 방향으로 토출시키는 원심팬일 수 있다. 공기조화기(1)에는 송풍팬(40)의 구동을 위한 송풍 모터(41)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공기조화기(1)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냉각시킨 후에 실내로 토출시키거나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난방시킨 후에 실내로 토출시킬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하우징(10) 외측에서부터 열교환기(30)와 연결되며 냉매가 흐르는 열교환기 파이프(31) 및 드레인 트레이(16)에 집수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 파이프(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 파이프(31)와 드레인 파이프(17)는 상부 하우징(11)의 일측을 관통하여 외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환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토출유로(50)를 포함하며 적어도 일부가 환형 형상의 토출유로(50)와 대응되는 환형 형상의 토출구(56)를 포함하고 있다.
토출유로(50)는 하측부에 마련되고 환형의 토출유로(50)를 형성하는 제 1토출벽(51)과 제 2토출벽(52)을 포함할 수 있다. 토출유로(50)의 상측부에는 상부 하우징(11)의 내주면과 열교환기(30)에 의해 환형의 공간이 형성되며, 열교환기(30) 아래측에 위치하는 토출유로(50)의 하부 하우징(12)에 형성되는 제 1토출벽(51)과 제 2토출벽(52)에 의해 환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토출벽(51)은 토출유로(50)의 내주면을 형성하고 제 2토출벽(52)은 토출유로(50)의 외주면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제 1토출벽(51)과 제 2토출벽(52)은 상부 하우징(11)에서 연장될 수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부 하우징(11)과 하부 하우징(12) 사이에 마련될 수 있는 중간 하우징과 같은 다른 구성에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구성을 통해 제 1토출벽(51)과 제 2토출벽(52)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토출벽(51)과 제 2토출벽(52)은 각각 곡면 형상으로 마련되고 토출유로(50)의 반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곡면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곡면부(53)는 토출구(56)와 인접한 측에 마련될 수 있다.
토출유로(50)를 통해 토출구(56)로 토출되는 공기는 곡면부(53)를 따라 곡면이 만곡되는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따라서 토출구(56)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곡면부(53)가 연장되는 방향인 토출유로(50) 반경 방향 외측 방향을 따라 하우징(10) 외측으로 토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공기조화기(1)는 공기가 사방으로 퍼지는 와이드 기류와 토출기류를 하측으로 집중시키는 하강기류를 선택적으로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대부분 하강 기류를 형성하는 바 토출 기류를 제어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기존의 공기조화기의 경우 하우징 및 열교환기가 사각형상으로 마련되고 이에 따라 토출구가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었었다. 토출구가 사각형상으로 마련됨에 따라 열교환기의 둘레를 따라 반경 방향 외측 전체를 커버하도록 토출구를 배치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토출 기류가 토출되는 구간이 한정되어 있으며, 토출구가 배치되지 않는 측에는 기류가 원활하게 전달되지 않아 발생하는 사각지대가 문제가 되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토출유로(50)가 환형 형상으로 마련되며 이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환형 형상을 포함하는 토출구(56)에 의해 사각지대 없이 사방으로 기류를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토출구는 기존의 공기조화기와 달리 환형 형상을 가지는 토출구 형상을 포함하는 바 토출구 내측에 배치되어 토출기류를 제어하는 블레이드를 배치시키기 용이하지 않다. 환형으로 마련되는 토출구에는 블레이드 축을 배치하기가 불리하여 환형 형상의 토출구에서는 블레이드를 회전시키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형 형상의 토출유로(50)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1)는 블레이드가 아닌 다른 구성을 통해 토출구(56)로 토출되는 토출기류를 제어해야 한다.
이를 위해 공기조화기는 기류제어 유닛(100)을 구동시켜 토출기류를 제어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경우 블레이드의 배치각도를 달리하여 하강기류와 와이드기류를 제어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기류제어 유닛(100)을 구동하여 하강기류와 와이드기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블레이드를 사용하지 않고 토출 기류를 제어할 경우 블레이드에 의해 공기 흐름이 방해 받기 때문에 토출되는 공기량이 저하되고, 블레이드 주변에 발생하는 난류에 의해 유동 소음이 증가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도 3에 개시된 바와 같이 기류제어 유닛(100)이 토출기류를 하강기류로 토출기류를 제어할 시 기류제어 유닛(100)의 가이드 부재(200)는 제 1토출벽(51)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류제어 유닛(100)은 하방으로 형성되는 토출기류의 흐름을 제한하지 않는다.
즉, 가이드 부재(200)가 제 1토출벽(51) 내부에 배치될 시의 위치를 제 1위치(A)라고 할 때, 가이드 부재(200)가 제 1위치(A)에 배치될 시 공기조화기(1)는 하강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기류제어 유닛(100)은 제1토출벽(51)측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기류제어 유닛(100)은 환형의 형상을 포함하고(도 5참고), 환형 형상의 제 1토출벽(51)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류제어 유닛(100)은 상하 방향으로 제 1토출벽(51)의 대략 중간부분에 배치될 수 있으며, 기류제어 유닛(100) 자체가 제1토출벽(51)을 형성하는 구성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기류제어 유닛(100)의 외주면은 제 1토출벽(51)의 곡면과 대응되는 곡면을 가질 수 있으며, 기류제어 유닛(100)의 외주면 자체가 제 1토출벽(51)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류제어 유닛(100)의 외주면도 제 1토출벽(51)과 함께 토출기류를 가이드 할 수 있다.
기류제어 유닛(100)의 가이드 부재(200)가 토출구(56)의 반경 방향에 대해 제 1토출벽(51)의 내측, 외측 사이를 이동하면서 토출구(56)를 토출하는 토출기류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에 개시된 바와 같이 기류제어 유닛(100)이 토출기류를 와이드기류로 제어할 시 기류제어 유닛(100)의 가이드 부재(200)는 제 1토출벽(51) 외측으로 돌출되어 토출구(56)상에 가이드 부재(200)가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류제어 유닛(100)은 하방으로 형성되는 토출기류의 흐름을 제한하고 하방의 토출기류가 가이드 부재(200)와 충돌함에 따라 하측으로 향하던 기류의 흐름을 측면으로 향하게 할 수 있다.
즉, 가이드 부재(200)가 제 1토출벽(51) 외측에 배치될 시의 위치를 제 2위치(B)라고 할 때, 가이드 부재(200)가 제 2위치(B)에 배치될 시 공기조화기(1)는 와이드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기류제어 유닛(100)은 가이드 부재(200)를 제 1위치(A) 또는 제 2위치(B)에 배치시킴에 따라 토출 기류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부재(200)는 제 1위치(A)와 제 2위치(B) 사이를 왕복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200)의 왕복 이동에 대하여는 자세하게 하술한다.
이하에서는 기류제어 가이드 유닛(100)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기류제어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기류제어 유닛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가이드 부재가 회전부재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류제어 유닛(100)은 환형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기류제어 유닛(100)의 외주면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토출벽(51)의 하단에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기류제어 유닛(100)은 중공을 포함하고 기류제어 유닛(100)의 중공에 공기조화기(1)의 흡입유로(21)가 형성될 수 있다.
기류제어 유닛(100)은 제1하우징(110)과 제 2하우징(120)과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류제어 유닛(100)은 제 1하우징(110)과 제 2하우징(120) 사이에 배치되고 토출기류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가이드 부재(200)와 회전을 통해 가이드 부재(2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회전부재(30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기류제어 유닛(100)은 회전부재(300)를 구동하도록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하우징(110)과 제 2하우징(120)은 각각 환형 형상을 포함하고 제 1하우징(110)과 제 2하우징(120) 내부에 배치되는 가이드 부재(200)와 회전부재(300)의 조립성을 위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하우징(110)의 외주면(111)과 제 2하우징(120)의 외주면(121)은 각각 제 1토출벽(51)과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하우징(110)의 외주면(111)과 제 2하우징(120)의 외주면(121)은 제 1토출벽(51)의 일부로 제 1토출벽(51)을 형성하거나, 제 1토출벽(51)의 하부에서 제 1토출벽(51)과 함께 토출유로(50)를 형성할 수 있다.
제 1하우징(110)의 외주면(111)과 제 2하우징(120)의 외주면(121) 사이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가이드 부재(200)는 개구를 관통하여 제 1위치(A)와 제 2위치(B) 사이를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제 1하우징(110)은 가이드 부재(200)가 제 1위치(A)와 제 2위치(B) 사이를 왕복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보조 가이드(112)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가이드(112)는 가이드 부재(200)가 제 1위치(A)에서 제 2위치(B)로 병진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 부재(200)를 가이드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자세하게 후술한다.
구동부(400)는 구동 모터(410)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이에 따라 회전부재(3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부(400)는 제 1하우징(110)과 제 2하우징(120)의 내주면 측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부 하우징(100)의 상부에 배치되거나 제 1하우징(110)의 외주면(111) 또는 제 2하우징(120)의 외주면(121)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구동부(400)는 가이드 부재(200)의 이동을 제한하지 않게 위치될 수 있다.
구동부(400)는 구동 모터(410)에서 발생한 회전력을 회전부재(300)에 전달하는 제 1기어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재(300)는 제 2하우징(120) 상측에 배치되고 구동부(400)에 의해 일 방향 및 반대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회전부재(300)는 환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재(300)는 외주부(301)와 내주부(30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전부재(300)는 내주부(302) 상에 배치되고 구동부(400)에서 발생한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 2기어부(30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기어부(303)는 제 1기어부(420)와 치합 결합되어 회전부재(300)가 회전될 수 있다.
회전부재(300)는 회전부재(300)의 상면에 배치되고 가이드 부재(2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310,320,330)과 회전부재(300)의 하면에 배치되고 회전부재(300)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회전돌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돌기(미도시)는 회전부재(300)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고, 제 2하우징(120)에 마련되는 가이드 홈(122)에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 홈(122)은 회전부재(300)의 원주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 연장되게 마련될 수 있으며, 회전돌기(미도시)는 가이드 홈(122)을 따라 이동되어 회전부재(300)가 회전 시 제 2하우징(1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회전부재(300)가 일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회전부재(300)의 상면에는 가이드 부재(200)가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200)는 회전부재(300)의 일방향 또는 반대방향의 회전에 연동되어 제 1위치(A)와 제 2위치(B) 사이를 왕복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200)는 제 1가이드 부재(210)와 제 2가이드 부재(220) 및 제 3가이드 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가이드 부재(200)는 단일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3개의 가이드 부재(210,220,230)보다 이하 또는 이상의 개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가이드 부재(210)와 제 2가이드 부재(220) 및 제 3가이드 부재(230)는 회전부재(3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310,320,330) 제 1가이드 부재(210)를 이동시키는 제 1가이드 레일(310)과 제 2가이드 부재(220)를 이동시키는 제 2가이드 레일(320)과 제 3가이드 부재(230)를 이동시키는 제 3가이드 레일(33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310,320,330)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가이드 부재(200)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가이드 레일(310,320,330)은 회전부재(300)의 상면에 슬롯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 1가이드 부재(210)는 제 1가이드 레일(310)에 삽입되는 제 1가이드 돌기(211)를 포함하고, 제 2가이드 부재(220)는 제 2가이드 레일(320)에 삽입되는 제 2가이드 돌기(221)를 포함하고, 제 3가이드 부재(230)는 제 3가이드 레일(330)에 삽입되는 제 3가이드 돌기(231)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가이드 돌기(211,221,231)은 대칭되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각각의 한 쌍의 가이드 돌기(211,221,231)에 대응되도록 각각의 가이드 레일(310,320,330) 또한 대칭되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각의 가이드 돌기(211,221,231)은 단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대응되도록 각각의 가이드 레일(310,320,330)도 안일로 형성될 있다. 또한 각각의 가이드 돌기(211,221,231)와 가이드 레일(310,320,330)은 3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한 쌍의 각각의 가이드 돌기(211,221,231)과 한 쌍의 각각의 가이드 레일(310,320,330) 중 하나의 각각의 가이드 돌기(211,221,231)과 하나의 각각의 가이드 레일(310,320,330)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각각의 가이드 돌기(211,221,231)은 각각의 가이드 레일(310,320,330)에 삽입되어 회전부재(300)가 일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시 가이드 레일(310,320,330) 내측에서 가이드 레일(310,320,330)에 가압되어 각각의 가이드 부재(210,220,230)가 제 1위치(A)와 제 2위치(B) 사이를 왕복할 수 있다.
회전부재(300)는 각각의 가이드 돌기(211,221,231)가 각각의 가이드 레일(310,320,330)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되고, 각각의 가이드 레일(310,320,330)은 회전부재(300)와 함께 일 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되는데 이에 따라 각각의 가이드 레일(310,320,330) 내부에 삽입된 각각의 가이드 돌기(211,221,231)가 각각의 가이드 레일(310,320,330)이 회전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각각의 가이드 돌기(211,221,231)가 이동되고, 각각의 가이드 돌기(211,221,231)의 이동에 의해 각각의 가이드 부재(210,220,230)가 이동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300)의 상면은 회전부재(300)의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영역(C)과 제 1영역(C)에 대해 회전부재(300)의 반경 방향으로 제 1영역(C)의 외측에 형성되는 제 2영역(D)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 1가이드 레일(310)은 제 1영역(C)과 제 2영역(D)을 적어도 2회 이상 교차하도록 연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 1가이드 돌기(211)는 회전되는 제 1가이드 레일(310)에 의해 제1영역(C) 또는 제 2영역(D)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가이드 돌기(211)가 제 1영역(C)상에 배치될 시 제 1가이드 부재(210)는 제 1위치(A)에 배치될 수 있다. 이 후, 제 1가이드 레일(310)의 가압에 의해 제 1가이드 돌기(211)가 제 2영역(D)상에 배치될 시 제 1가이드 부재(210)는 제 2위치(B)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영역(D)이 제 1영역(C)보다 회전부재(300)의 반경 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 1가이드 돌기(211)와 연동하여 제 1가이드 부재(210)는 제 2토출벽(53)측으로 이동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제 1가이드 레일(310)의 일단은 제 1영역(C)에 배치되는 바 제 1가이드 돌기(211) 또한 제 1영역(C)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제 1가이드 부재(210)는 제 1위치(A)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가이드 레일(310)은 회전부재(300)의 원주 방향에 대해 제 1영역(C)에서 제 2영역(D) 방향으로, 또는 제 2영역(D)에서 제 1영역(C) 방향으로 사선으로 연장되는 이동 영역(311)과 회전부재(300)의 원주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 영역(3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가이드 레일(310)은 이동 영역(311)과 관통 영역(312) 교차적으로 형성되도록 회전부재(3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 1영역(C)에 배치된 제 1가이드 돌기(211)는 회전부재(300)의 회전에 따른 제 1가이드 레일(310)의 일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이동 영역(311)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이 때 이동 영역(311) 내부에서 제 1가이드 돌기(211)는 제 1가이드 레일(310)의 회전에 의해 회전부재(300)의 원주 방향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영역(C)에 배치되어 있던 제 1가이드 돌기(211)는 이동 영역(311)에 가압되어 제 2영역(D)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제 1하우징(110)에 마련되는 보조 가이드(112)는 제 1가이드 돌기(211)가 제 1영역(C)에서 제 2영역(D)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가이드 돌기(211)가 제 1가이드 레일(310)에 의해 사선 방향으로 가압되어 제 1가이드 돌기(211)가 제 1영역(C)에서 제 2영역(D) 방향으로 병진운동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보조 가이드(112)는 제 1가이드 돌기(211)가 직진 이동할 수 있도록 제 1가이드 돌기(211)를 가이드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보조 가이드(112)는 회전부재(300)의 반경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릿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가이드 돌기(21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가이드 레일(310)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나, 제 1가이 레일(310)의 반대측으로도 돌출될 수 있다. 즉, 제 1가이드 레일(310)은 제 1가이드 부재(200)의 양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 1가이드 레일(310)의 반대측으로 돌출되는 제 1가이드 돌기(211)는 보조 가이드(112)에 삽입되어 보조 가이드(112)의 슬릿 형상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조 가이드(112)는 회전부재(300)의 반경 방향으로 직선을 포함하는 슬릿 형상을 가지므로 제 1가이드 돌기(211)는 보조 가이드(112)에 의해 제 1영역(C)에서 제 2영역(D)까지 직선 이동될 수 있다. 반대로 제 1가이드 돌기(211)가 제 2영역(D)측에서 제 1영역(C)으로 이동될 시 보조 가이드(112)를 따라 직선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가이드 돌기(211)는 제 1가이드 레일(310)에 의해 가압되고 보조 가이드(112)를 따라 제 1영역(C)에서 제 2영역(D)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 1가이드 부재(200)는 제 1위치(A)에서 제 2위치(B)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가이드 부재(200)는 제 1가이드 돌기(211) 외 보조 가이드(112)에 삽입되는 보조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 1가이드 돌기(211)는 제 1가이드 부재(200)를 기준으로 일면 측으로만 돌출될 수 있으며, 보조 돌기는 반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가이드 돌기(211)에 의해 제 1가이드 부재(200)가 이동될 시 보조 가이드(112)를 따라 제 1가이드 부재(200)는 제 1위치(A)에서 제 2위치(B)로 직진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보조 가이드(112)는 제 1하우징(110)이 아닌 제 2하우징(120)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 1가이드 돌기(211)를 제 제 1가이드 레일(310)을 관통하여 보조 가이드(112)에 삽입될 수 있으며, 제1가이드 레일(310)은 제 1가이드 돌기(211)가 관통될 수 있도록 중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영역(311)에 의해 제 2영역(D) 상에 배치된 제 1가이드 돌기(211)는 회전부재(300)의 추가적인 일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제 1가이드 레일(310)을 따라 이동 영역(311)에서 연장되는 관통 영역(31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관통 영역(312)은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부재(300)의 원주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 제 1가이드 레일(310)은 제 1가이드 돌기(211)를 가압하지 않고 제 1가이드 돌기(211)를 관통하면서 회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제 1가이드 레일(310)은 제 1가이드 돌기(211)를 가압되지 않은 상태로 회전되기 때문에 제 1가이드 돌기(211)는 제 2영역(D)의 위치를 유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 1가이드 부재(210)는 제 2위치(B)에 배치될 수 있다.
이 후,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회전 부재(300)가 일 방향으로 추가적으로 회전되면서, 제 1가이드 돌기(211)는 관통영역(312)에서 연장되는 이동 영역(312)에 다시 배치되고 이에 따라 제 2영역(D)에서 다시 제 1영역(C)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제 1가이드 돌기(211)는 보조 가이드(112)를 통해 제 2영역(D)에서 제 1영역(C)까지 직진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가이드 부재(200)는 제 2위치(B)에서 제 1위치(A)로 직진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가이드 부재(200)는 제 1위치(A)에서 제 2위치(B)로 다시 제 2위치(B)에서 제 1위치(A)로 왕복 이동될 수 있다.
제 1가이드 돌기(211)가 제 1영역(C)으로 이동된 뒤, 회전부재(300)가 일 방향으로 추가적으로 회전되면서, 제 1가이드 돌기(211)는 이동 영역(312)에서 연장되는 관통영역(312)에 다시 배치되고, 이에 따라 제 1가이드 돌기(211)는 제 1영역(C) 상의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제 1가이드 레일(310) 타단과 제 1가이드 돌기(211)가 접하기 전까지 회전부재(300)는 일 방향으로 계속 회전될 수 있다. 이 후, 제 1가이드 레일(310) 타단과 제 1가이드 돌기(211)가 접하는 시점에서 회전부재(300)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이 되고, 다시 제 1가이드 돌기(211)가 제 1가이드 레일(310)의 일단과 접하기 전까지 회전부재(300)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회전부재(300)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 1가이드 돌기(211)는 상술한 설명과 반대로 제 1영역(C)과 제 2영역(D)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이는 회전부재(300)의 회전 방향만 반대로 형성되고 제 1가이드 돌기(211)가 이동되는 원리는 동일한 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 2가이드 레일(320)에 삽입되는 제 2가이드 돌기(221) 및 제 3가이드 레일(330)에 삽입되는 제 3가이드 돌기(231)가 이동되는 원리 또한 상술한 제 1가이드 레일(310)에 삽입되는 제 1가이드 돌기(211)와 동일한 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각각의 가이드 부재(200)가 이동되는 특징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가이드 부재가 회전부재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가이드 부재(200)는 각각 대응되는 가이드 레일(310,320,330)의 회전에 의해 제 1위치(A)와 제 2위치(B) 사이를 왕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각각의 가이드 부재(200)가 모두 동시에 제 1위치(A)에 배치되거나 제 2위치(B)에만 배치될 경우, 공기조화기(1)의 기류제어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환형 토출구(56)를 가짐에 따라 공기조화기(1)의 360도 전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이 때, 360도 방향 중 일 부 방향에는 하강 기류가 필요하고 다른 일부에서는 와이드 기류가 필요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데 각각의 가이드 부재(200)가 동시에 제 1위치(A)와 제 2위치(B) 사이를 동일하게 왕복 할 경우 이와 같은 상황에서 사용자에게 만족도를 높여줄 수 있는 기류 제어를 할 수 없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의 기류제어 유닛(100)은 각각의 가이드 부재(200)가 동시에 제 1위치(A)와 제 2위치(B)를 왕복 이동할 뿐만 아니라 각각의 가이드 부재(200)가 제 1위치(A)와 제 2위치(B) 중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배치되도록 각각의 가이드 부재(200)를 배치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달리 각각의 가이드 부재(200)를 독립적으로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경우, 즉 제 1가이드 부재(210)를 구동시키는 제 1구동부와, 제 2가이드 부재(220)를 구동시키는 제 2구동부와, 제 3가이드 부재(230)를 구동시키는 제 3구동부를 포함하는 경우, 기류제어 유닛(100)은 용이하게 제 1위치(A)와 제 2위치(B) 중 각각의 가이드 부재(200)를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배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구동부가 증가됨에 따라 구동부와 가이드 부재(200)를 연결하는 회전부재(300)가 추가적으로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공기조화기(1) 내부에 조립되는 구성이 증가하여 공기조화기(1)의 부피가 증가하고 제조 단가가 올라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류제어 유닛(100)은 단일의 구동부(400)와 단일의 회전부재(300)를 통해 각각의 가이드 부재(200)를 사로 다른 위치에 배치하도록 각각의 가이드 부재(2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자세하게는 기류제어 유닛(100)은 회전부재(300)가 일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 후 다시 소정의 각도로 반대 방향으로 왕복 1회전하는 동안 회전부재(300)가 회전을 시작한 회전 시작 지점에서 제 1각도로 회전될 시 각각의 가이드 부재(200)는 모두 제 1위치(A)에 배치되고, 회전 시작 지점에서 제 2각도로 회전될 시 각각의 가이드 부재(200)는 모두 제 2위치(B)에 배치되고, 회전 시작 지점에서 제 3각도로 회전될 시 각각의 가이드 부재(2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부재는 제 1위치(A)에 배치되고, 나머지 가이드 부재는 제 2위치(B)에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기류제어 유닛(100)은 회전부재(300)가 1회 왕복 회전하는 동안 회전부재(300)가 회전되는 각도에 따라 각각의 가이드 부재(200)가 제 1위치(A)와 제 2위치(B)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다.
이 때, 제 1가이드 부재(210)와 제 2가이드 부재(220) 및 제 3가이드 부재(230)가 각각 1위치(A)와 제 2위치(B)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시 전체 가이드 부재(200)의 배치를 포지션(p)이라 정의할 시, 기류제어 유닛(100)은 3개의 가이드 부재(210,220,230)을 포함하는 바 발생할 수 있는 포지션(p)은 총 23로 8개의 포지션(p)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기류제어 유닛(100)은 회전부재(300)가 1회 왕복 회전하는 동안8개의 포지션(p)에 3개의 가이드 부재(210,220,230)이 배치되도록 각각의 가이드 부재(210,220,23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가이드 부재(200)가 n개로 마련될 시 기류제어 유닛(100)은 회전부재(300)가 1회 왕복 회전하는 동안2n개의 포지션(p)이 발생하도록 n개의 가이드 부재(2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포지션(p)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각각의 가이드 레일(310,320,330)은 모두 다른 형태로 제 1영역(C)과 제 2영역(D)을 통과하면서 회전부재(3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 레일(310)과 제 2가이드 레일(320)과 제 3가이드 레일(330)은 각각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가이드 레일(310)의 경우 2개의 이동 영역(311)과 3개의 관통 영역(312)을 포함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제 1가이드 레일(310)에 의해 제 1가이드 부재(210)는 회전부재(300)가 1회 왕복 회전하는 동안 총 2번 제 1위치(A)와 제 2위치(B)를 왕복할 수 있다.
제 2가이드 레일(320)의 경우 4개의 이동 영역(321)과 5개의 관통 영역(322)을 포함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제 2가이드 레일(320)에 의해 제 2가이드 부재(220)는 회전부재(300)가 1회 왕복 회전하는 동안 총 4번 제 1위치(A)와 제 2위치(B)를 왕복할 수 있다.
제 3가이드 레일(330)의 경우 2개의 이동 영역(331)과 2개의 관통 영역(332)를 포함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제 3가이드 레일(330)에 의해 제 3가이드 부재(230)는 회전부재(300)가 1회 왕복 회전하는 동한 총 1번 제 1위치(A)와 제 2위치(B)를 왕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가이드 레일(310,320,330)의 형상을 다르게 형성함에 따라 기류제어 유닛(100)은 각각의 가이드 부재(210,220,230)가 왕복 이동되는 횟수 및 왕복 이동되는 타이밍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기류제어 유닛(100)은 회전부재(300)가 1회 회전 왕복되는 동안 모든 포지션(p)의 경우의 수가 발생할 수 있도록 가이드 레일(310,320,330)의 형상을 조정할 수 있는데,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류제어 유닛(100)이 포함하는 가이드 부재(200)의 개수에 따라 가이드 레일의 개수와 그 형상이 다르게 세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류제어 유닛(100)은 3개의 가이드 부재(210,220,230)를 포함하고 3개의 가이드 부재(210,220,230)에 대응되도록 적어도 3개 이상의 가이드 레일(310,320,330)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가이드 부재(210,220,230)에 따라 각각의 가이드 레일(310,320,330)은 동일한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기류제어 유닛(100)은 총 6개의 가이드 레일(310,320,33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1개의 가이드 부대(210,220,230) 당 각각 단일의 가이드 레일(310,320,330)이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한 쌍의 가이드 레일(310,320,330) 중 하나의 가이드 레일(310,320,330)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3개의 가이드 레일(310,320,330) 중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레일(330)은 폐루프(closed loof)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제 3가이드 레일(330)은 폐루프 형상으로 마련되고 제 1가이드 레일(310)과 제 2가이드 레일(320)은 각각 일단과 타단이 형성되도록 회전부재(3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는 회전부재(300)의 원주의 길이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3개의 가이드 레일(310,320,330)이 모두 회전부재(3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될 경우, 각각의 가이드 레일(310,320,330)의 세팅된 회전부재(300)로의 연장길이의 합이 회전부재(300)의 원주 길이보다 더 긴 길이가 요구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상황이 발생할 시, 회전부재(300)는 더 큰 원주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야 하고, 이 때문에 공기조화기(1)의 부피가 불필요하게 넓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기류제어 유닛(100)이 복수의 가이드 레일(310,320,330)을 포함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레일(330)은 폐루프 형상으로 마련되어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레일(330)의 회전부재(300)의 원주 방향에 대한 총 연장 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가이드 레일(310) 또는 제 2가이드 레일(320)이 추가적으로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3개의 가이드 레일(310,320,330)의 총 연장길이의 합이 회전부재(300)의 원주 길이보다 작을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달리 제 3가이드 레일(300) 또한 폐루프 형태가 아닌 일단과 타단을 포함하도록 회전부재(300)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포지션(p)에서의 각각의 가이드 레일(310,320,330)의 배치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300)가 회전되기 전인 시작지점에 배치될 시 제 1가이드 돌기(211)는 제 1가이드 레일(310)의 일단에 배치되고, 제 2가이드 돌기(221)는 제 2가이드 레일(320)의 일단에 배치되고, 제 3가이드 돌기(231)는 제 3가이드 레일(330)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가이드 레일(310)의 일단과 제 2가이드 레일(320)의 일단과 제 3가이드 레일(330)의 일단은 각각 가이드 부재(200)가 모두 제 1위치(A)에 배치되도록 제 1영역(C)에 배치될 수 있다.(도 7a 참고)
이와 같이 3개의 가이드 부재(210,220,230)가 모두 제 1위치(A)에 배치되고 회전부재(300)의 시작지점에서의 각각 가이드 부재(210,220,230)의 포지션(p)을 제 1포지션(p1)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포지션(p1)에서 회전부재가 일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될 시, 제 1가이드 돌기(211)는 제 1가이드 레일(310)의 이동 영역(311)에 의해 제 2영역(D)에 배치되고(도7c 참고), 제 2가이드 돌기(221)는 제 2가이드 레일(320)의 이동 영역(321)에 의해 제 2영역(D)에 배치되고, 제 3가이드 돌기(231)는 제 3가이드 레일(330)의 이동 영역(331)에 의해 제 2영역(D)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3개의 가이드 부재(210,220,230)은 모두 제 2위치(B)에 배치되고 이와 같은 3개의 가이드 부재(210,220,230)의 포지션(p)을 제 2포지션(p2)이라 정의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포지션(p2)에서 회전부재가 일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 더 회전될 시, 제 1가이드 돌기(211)는 제 1가이드 레일(310)의 관통 영역(312)에 의해 제 2영역(D)에 계속 배치되고, 제 2가이드 돌기(221)는 제 2가이드 레일(320)의 이동 영역(321)에 의해 제 1영역(C)에 이동 배치되고, 제 3가이드 돌기(231)는 제 3가이드 레일(330)의 관통 영역(332)에 의해 제 2영역(D)에 계속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3개의 가이드 부재(210,220,230) 중 제 1가이드 부재(210)와 제 3가이드 부재(230)는 제 2위치(B)에 배치되고 제 2가이드 부재(220)는 제 1위치(A)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3개의 가이드 부재(210,220,230)의 포지션(p)을 제 3포지션(p3)이라 정의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포지션(p3)에서 회전부재가 일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 더 회전될 시, 제 1가이드 돌기(211)는 제 1가이드 레일(310)의 이동 영역(311)에 의해 제 1영역(C)에 이동 배치되고, 제 2가이드 돌기(221)는 제 2가이드 레일(320)의 이동 영역(321)에 의해 다시 제 2영역(D)에 이동 배치되고, 제 3가이드 돌기(231)는 제 3가이드 레일(330)의 관통 영역(332)에 의해 제 2영역(D)에 계속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3개의 가이드 부재(210,220,230) 중 제 2가이드 부재(220)와 제 3가이드 부재(230)는 제 2위치(B)에 배치되고 제 1가이드 부재(210)는 제 1위치(A)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3개의 가이드 부재(210,220,230)의 포지션(p)을 제 4포지션(p4)이라 정의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포지션(p4)에서 회전부재가 일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 더 회전될 시, 제 1가이드 돌기(211)는 제 1가이드 레일(310)의 관통 영역(312)에 의해 제 1영역(C)에 계속 배치되고, 제 2가이드 돌기(221)는 제 2가이드 레일(320)의 이동 영역(321)에 의해 다시 제 1영역(C)에 이동 배치되고, 제 3가이드 돌기(231)는 제 3가이드 레일(330)의 관통 영역(332)에 의해 제 2영역(D)에 계속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3개의 가이드 부재(210,220,230) 중 제 3가이드 부재(230)는 제 2위치(B)에 배치되고 제 1가이드 부재(210)와 제 2가이드 부재(220)는 제 1위치(A)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3개의 가이드 부재(210,220,230)의 포지션(p)을 제 5포지션(p5)이라 정의할 수 있다.
제 5포지션(p5)에서의 제 1가이드 돌기(211)는 제 1가이드 레일(310)의 타단에 배치되고, 제 2가이드 돌기(221)는 제 2가이드 레일(320)의 타단에 배치되고, 제 3가이드 돌기(231)는 제 3가이드 레일(330)의 타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기 각각의 가이드 돌기(211,221,231)가 각각의 가이드 레일(310,320,330)의 타단에 배치됨에 따라 회전부재(300)는 더 이상 일 방향으로 회전되지 못하고, 일 방향으로의 회전이 정지된다.
즉, 회전부재(300)는 각각의 가이드 돌기(211,221,231)가 각각의 가이드 레일(310,320,330)의 일단에서 타단에 배치될 시까지 일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세팅될 수 있다. 이 후, 회전부재(300)는 각각의 가이드 돌기(211,221,231)가 각각의 가이드 레일(310,320,330)의 타단에 배치될 시 회전부재(300)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회전부재(300)가 1회 왕복 회전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5포지션(p5)에서 회전부재가 반대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 회전될 시, 제 1가이드 돌기(211)는 제 1가이드 레일(310)의 관통 영역(312)에 의해 제 1영역(C)에 계속 배치되고, 제 2가이드 돌기(221)는 제 2가이드 레일(320)의 이동 영역(321)에 의해 다시 제 2영역(D)에 이동 배치되고, 제 3가이드 돌기(231)는 제 3가이드 레일(330)의 이동 영역(331)에 의해 제 1영역(C)에 이동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3개의 가이드 부재(210,220,230) 중 제 1가이드 부재(210)와 제 3가이드 부재(230)는 제 1위치(A)에 배치되고 제 2가이드 부재(220)는 제 2위치(B)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3개의 가이드 부재(210,220,230)의 포지션(p)을 제 6포지션(p6)이라 정의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6포지션(p6)에서 회전부재가 반대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 더 회전될 시, 제 1가이드 돌기(211)는 제 1가이드 레일(310)의 이동 영역(311)에 의해 제 1영역(D)에 이동 배치되고, 제 2가이드 돌기(221)는 제 2가이드 레일(320)의 이동 영역(321)에 의해 다시 제 1영역(C)에 이동 배치되고, 제 3가이드 돌기(231)는 제 3가이드 레일(330)의 관통 영역(332)에 의해 제 1영역(C)에 계속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3개의 가이드 부재(210,220,230) 중 제 2가이드 부재(220)와 제 3가이드 부재(230)는 제 1위치(A)에 배치되고 제 1가이드 부재(210)는 제 2위치(B)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3개의 가이드 부재(210,220,230)의 포지션(p)을 제 7포지션(p7)이라 정의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7포지션(p7)에서 회전부재가 반대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 더 회전될 시, 제 1가이드 돌기(211)는 제 1가이드 레일(310)의 관통 영역(312)에 의해 제 1영역(D)에 계속 배치되고, 제 2가이드 돌기(221)는 제 2가이드 레일(320)의 이동 영역(321)에 의해 다시 제 2영역(D)에 이동 배치되고, 제 3가이드 돌기(231)는 제 3가이드 레일(330)의 관통 영역(332)에 의해 제 1영역(C)에 계속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3개의 가이드 부재(210,220,230) 중 제 3가이드 부재(230)는 제 1위치(A)에 배치되고 제 1가이드 부재(210)와 제 2가이드 부재(220)는 제 2위치(B)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3개의 가이드 부재(210,220,230)의 포지션(p)을 제 8포지션(p8)이라 정의할 수 있다.
제 8포지션(p8)에서 회전부재가 반대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 더 회전될 시. 회전부재(300)는 1회 왕복 회전을 종료하고 각각의 가이드 돌기(211,221,231)가 최소 시작지점으로 복귀하여 각각의 가이드 부재(210,220,230)는 제 1포지션(p1)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부재(300)가1회 왕복 회전을 하면서 각각의 가이드 부재(210,220,230)는 최대의 경우의 수인 총 8개의 포지션(p)의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공기조화기(1)의 토출 기류를 전 방향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가이드 레일(310,320,330) 중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3가이드 레일(330)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회전부재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7은 도 8에 개시된 A-A'의 단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회전부재의 일부의 사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부재(300)의 원주의 길이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3개의 가이드 레일(310,320,330)이 모두 회전부재(3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될 경우, 각각의 가이드 레일(310,320,330)의 세팅된 회전부재(300)로의 연장길이의 합이 회전부재(300)의 원주 길이보다 더 긴 길이가 요구될 수 있기 때문에 제 3가이드 레일(330)은 폐루프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가이드 돌기(231)가 제 2영역(D)에 배치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 1이동 영역(331a)와 제 1관통 영역(332a) 및 제 3가이드 돌기(231)가 제 1영역(C)에 배치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 2이동 영역(331b)와 제 2관통 영역(332b)이 모두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이에 따라 제 3가이드 돌기(231)는 제 3가이드 레일(330)의 일측(334a)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부재(300)가 일 방향(S1)으로 회전될 시 제 1이동 영역(331a)의해 제 2영역(D)으로 이동된 뒤 제 1관통 영역(332a)에 의해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회전부재(300)의 계속되는 일 방향(S1)으로의 회전을 통해 제 3가이드 돌기(231)는 제 3가이드 레일(330)의 타측(334b)에 배치될 수 있다.
이 후 회전부재(300)가 반대 방향(S2)으로 회전될 시 제 2이동 영역(331b)에 의해 다시 제 1영역(C)으로 이동된 뒤 제 2관통 영역(332b)에 의해 그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회전부재(300)의 계속되는 반대 방향(S2)으로의 회전을 통해 제 3가이드 돌기(231)는 다시 제 3가이드 레일(330)의 일측(334a)에 배치될 수 있다. 이 후 다시 회전부재(300)가 일 방향(S1)으로 회전될 시 제 3가이드 돌기(231)는 다시 제1이동 영역(331a)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제3가이드 레일(330)이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 3가이드 돌기(231)가 제 3가이드 레일(330)의 일측(334a)에 배치될 시, 회전부재(300)의 일 방향(S1)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 1이동 영역(331a)에 의해 제 3가이드 돌기(231)가 제 2영역(D)으로 이동되지 않고 제 2관통영역(332b)을 관통하여 제 3가이드 돌기(231)가 제 1영역(C)에 계속 위치될 수 있다.
즉, 제 3가이드 레일(330)의 제 1이동 영역(331a)과 제 2관통영역(322b)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 부재(300)의 회전에 의해 제 3가이드 돌기(231)가 제 1이동 영역(331a)이 아닌 제 2관통 영역(332b)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제 3가이드 돌기(231)가 제 3가이드 레일(330)의 타측(334b)에 배치될 시, 회전부재(300)의 반대 방향(S2)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 3가이드 돌기(231)가 제 2이동 영역(331b)에 의해 가이드 되지 않고 제 1관통 영역(332a)를 관통하여 제 1영역(C)으로 이동되지 못하고 제 2영역(D)에 머무를 수 있다.
이를 방지하지 위하여 제 3가이드 레일(330)은 제 3가이드 돌기(231)가 제 3가이드 레일(330)의 일측(334a)에 배치될 시, 제 3가이드 돌기(231)가 제 2관통영역(332b)에 의해 가이드되지 않도록 마련되는 제 1방지턱(333a)과 제 3가이드 돌기(231)가 제 3가이드 레일(330)의 타측(334b)에 배치될 시, 제 3가이드 돌기(231)가 제 1관통영역(332a)에 의해 가이드되지 않도록 마련되는 제 2방지턱(333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가이드 돌기(231)는 제 1,2방지턱(333a,333b)에 의해 제 2관통영역(332b)과 제 1관통영역(332a)에 가이드되지 않도록 제 3가이드 부재(230)에 대해 탄성부재(23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 3가이드 부재(230)는 탄성부재(232)가 수용되는 수용부(233)를 포함하고, 탄성부재(232)는 수용부(233)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 3가이드 돌기(231)의 일측(231a)은 탄성부재(232)와 같이 수용부(233)에 삽입될 수 있으며, 제 3가이드 돌기(231)의 타측(231b)은 제 3가이드 레일(330)에 삽입되어 제 3가이드 레일(330)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탄성부재(232)는 제 3가이드 돌기(231)를 제 3가이드 레일(330) 측으로 가압하여 제 3가이드 돌기(231)가 가이드 레일(330)의 저면(330a)에 밀착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탄성부재(232)에 의해 제3가이드 돌기(231)는 제 3가이드 레일(330)의 저면(330a)에 밀착되게 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 1방지턱(333a) 또는 제 2방지턱(333b)에 의해 제 2관통영역(332b)과 제 1관통영역(332a)에 가이드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즉,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방지턱(333a)과 제 2방지턱(333b)은 제 3가이드 레일(330)의 저면(330a)에 대해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3가이드 돌기(231)는 제 1방지턱(333a)에 의해 제 2관통영역(332b)에 의해 가이드되지 않고 제 1이동영역(331a)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 3가이드 돌기(231)는 제 2방지턱(333b)에 의해 제 1관통영역(331b)에 의해 가이드되지 않고 제 2이동영역(331b)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제 1관통영역(332a)과 제 2관통영역(322b) 상에 마련되는 제 3가이드 레일(330)의 저면(330a)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1관통영역(332a)상의 저면(330a)은 제3가이드 레일(330)의 일측(334a)에서 제 3가이드 레일(330)의 타측(334b)으로 향할수록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관통영역(332b)상의 저면(330a)은 제 3가이드 레일(330)의 타측(334b)에서 제3가이드 레일(330)의 일측(334a)으로 향할수록 상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방지턱(333a)와 제 2방지턱(333b)은 각각 제 3가이드 레일(330)의 저면(330a)에 대해 높이를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기류제어 유닛(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회전부재(300') 이 외의 구성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기류제어 유닛(100)의 구성과 동일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재(300')는 복수의 가이드 레일(31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 위해 복수의 가이드 레일(310') 중 하나의 가이드 레일(310')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도 19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부 구성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300')의 상면은 회전부재(300')의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영역(C)과 제 1영역(C)에 대해 회전부재(300')의 반경 방향으로 제 1영역(C)의 외측에 형성되는 제2영역(D)과 제 2영역(D)에 대해 회전부재(300')의 반경 방향으로 제 2영역(D) 외측에 형성되는 제 3영역(E)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310')은 제1영역(C)과 제 2영역(D) 및 제 3영역(E)을 적어도 1회 이상 교차하도록 연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가이드 돌기(211)는 회전되는 가이드 레일(310')에 의해 제 1영역(C) 또는 제 2영역(D) 또는 제 3영역(E)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211)가 제 3영역(E)에 배치될 시 가이드 부재(210)는 제 2위치(B)보다 제 2토출벽(52) 측으로 더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 실시예와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류제어 유닛(100)은 토출 기류의 방향을 좀 더 섬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기류제어 유닛(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기류제어 유닛(100') 이 외의 구성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의 구성과 동일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류제어 유닛(100')은 제 1가이드 부재(210)와 제 2가이드 부재(220) 와 제 3가이드 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가이드 부재(210,220,230)에 대응되는 제 1회전부재(500)와 제 2회전부재(600)와 제 3회전부재(7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3개의 회전부재(500,600,700)를 회전시키도록 마련되는 제 1구동부(800)와 제 2구동부(900)와 제 3구동부(1000)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구동부(800,900,1000)는 각각의 회전부재(500,600,700)를 독립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각각의 회전부재(500,600,700)가 독립적으로 회전됨에 따라 각각의 회전부재(500,600,700)에 연결된 각각의 가이드 부재(210,220,230)은 독립적으로 제 1위치(A)와 제 2위치(B) 사이를 또는 제 2위치(B)보다 제 2토출벽(52)과 인접한 위치까지 왕복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가이드 레일(310,320,330)과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회전부재(500,600,700)에 마련되는 가이드 레일(510,610,710)은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회전부재(500,600,700)가 독립적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각각의 가이드 레일(510,610,710)이 동일하게 형성되어도 각각의 가이드 부재(210,220,230)가 각각 서로 다른 제 1위치(A) 또는 제 2위치(B) 또는 제 2위치(B)보다 제 2토출벽(52)에 인접한 위치 중 어느 위치에 자유롭게 배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 1가이드 부재(210)의 제 1가이드 돌기(211)와 제 2가이드 부재(220)의 제 2가이드 돌기(221)와 제 3가이드 부재(230)의 제 3가이드 돌기(231)는 각각 동일하게 형성된 제 1가이드 레일(510)과 제 2가이드 레일(610) 및 제 3가이드 레일(710)에 삽입될 수 있고, 각각의 회전부재(500,600,700)가 동일한 각도로 일 방향으로 회전될 시 각각의 가이드 부재(210,220,230)는 동일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다만, 기류제어 유닛(100')의 제어에 의해 제 1회전부재(500)와 제 2회전부재(600)와 제 3회전부재(700)는 각각 다른 각도로 회전되도록 하여 각각의 가이드 부재(210,220,230)가 각각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세팅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공기조화기 10 : 하우징
11 : 상부 하우징 12 : 하부 하우징
16 : 드레인 트레이 20 : 흡입구
30 : 열교환기 40 : 송풍팬
50 : 토출유로 51 : 제 1토출벽
52 : 제 2토출벽 100 : 기류제어 유닛
110 : 제1하우징 120 : 제 2하우징
200 : 가이드 부재 211, 221,231 : 가이드 돌기
300 : 회전 부재 310,320,330 : 가이드 레일
400 : 구동부

Claims (20)

  1. 토출유로와 상기 토출유로를 형성하는 제 1토출 벽과 상기 제 1토출 벽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 2토출 벽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 1토출 벽의 내측에 마련되는 제 1위치와 상기 제 1토출 벽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 2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기류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제어 유닛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회전 부재에 의해 상기 제 1위치와 상기 제 2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공기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회전 부재가 회전되면서 상기 가이드 부재를 상기 제 2토출 벽 측으로 가압하거나 상기 가이드 부재를 상기 제 1토출 벽 내측으로 가압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 의해 이동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제어 유닛은 상기 구동부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부재에 전달하는 제1기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는 내주부와, 외주부와, 상기 내주부에 배치되고 상기 기어부와 치합되는 제 2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제 1기어부와 상기 제 2기어부의 치합에 의해 회전되도록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환형 형상을 가지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회전부재 상의 제 1영역과 상기 제 1영역에 대해 상기 회전부재의 반경 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회전부재 상의 제 2영역을 교대로 통과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 1영역에 배치될 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 1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 2영역에 배치될 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 2위치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제 2영역에 대해 상기 회전부재의 반경 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회전부재 상의 제 3영역에서부터 상기 제 1영역까지 연장되게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 3영역에 배치될 시,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제 2영역에 배치될 때보다 더 상기 제 1토출벽 외측으로 돌출되는 공기조화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제 1영역과 상기 제 2영역 사이를 왕복하도록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과 함께 일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가이드 돌기를 가압하는 공기조화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제어 유닛은,
    상기 가이드 부재가 상기 제 1위치와 상기 제 2위치 사이에서 병진 운동하도록 상기 가이드 부재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하는 보조 가이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 1가이드 부재와 제 2가이드 부재와 제 3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되면서 상기 제 1가이드 부재를 상기 제 2토출 벽 측으로 가압하거나 상기 가이드 부재를 상기 제 1토출 벽 내측으로 가압하는 제 1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 2가이드 부재를 상기 제2토출 벽 측으로 가압하거나 상기 가이드 부재를 상기 제 1토출 벽 내측으로 가압하는 제 2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 3가이드 부재를 상기 제 2토출 벽 측으로 가압하거나 상기 가이드 부재를 상기 제 1토출 벽 내측으로 가압하는 제 3가이드 레일를 포함하고,
    상기 제 1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 1가이드 레일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 의해 이동되는 제 1가이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 2가이드 레일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 의해 이동되는 제 2가이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3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 3가이드 레일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 의해 이동되는 제 3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가이드 레일은 상기 회전부재 상의 제 1영역과 상기 제 1영역에 대해 상기 회전부재의 반경 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회전부재 상의 제 2영역을 교대로 통과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각각의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각각의 가이드 레일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 1영역에 배치될 시 각각의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 1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각각의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각각의 가이드 레일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 2영역에 배치될 시 상기 각각의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 2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각각의 가이드 레일은 서로 다른 형상으로 연장되는 공기조화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일 방향으로 회전 후 반대 방향으로 왕복 회전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각각의 가이드 돌기는 상기 회전부재가 1회 왕복 회전할 시, 적어도 1회 이상 상기 제 1위치와 상기 제 2위치 사이를 왕복하도록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가 1회 왕복 회전할 시,
    상기 제 1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 1위치와 상기 제 2위치를 2회 왕복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2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 1위치와 상기 제 2위치를 4회 왕복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3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 1위치와 상기 제 2위치 사이를 1회 왕복하도록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가이드 레일의 일단과 타단은 각각 상기 제 1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 1가이드 레일은 적어도 2회 이상 상기 제 1영역과 상기 제 2영역 사이를 관통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2가이드 레일의 일단과 타단은 각각 상기 제 1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 2가이드 레일은 적어도 4회 이상 상기 제 1영역과 상기 제 2영역 사이를 관통하도록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가이드 레일 중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레일은 폐 루프(closed loop) 형상으로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유로에 의해 형성되는 토출구는 환형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토출구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 1가이드 부재와 제 2가이드 부재와 제 3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제 1가이드 부재를 이동시키는 제 1회전 부재와, 상기 제 2가이드 부재를 이동시키는 제 2회전부재와, 상기 제 3가이드 부재를 이동시키는 제 3회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 1회전 부재를 회전시키는 제 1구동부와, 상기 제 2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제 2구동부와 상기 제 3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제 3구동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6. 환형 형상을 가지는 토출구와 상기 토출구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제 1토출벽과 상기 토출구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제 2토출벽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토출 기류의 방향을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상기 기류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기류제어 유닛은,
    상기 토출구의 반경 방향으로 상기 제 1토출벽의 내측에 마련되는 제 1위치와 상기 제 1토출벽의 외측에 마련되는 제 2위치 사이를 왕복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와,
    회전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를 상기 제 1위치와 상기 제 2위치 사이로 왕복 이동시키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가 상기 제 1위치와 상기 제 2위치 사이에서 왕복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를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가 일 방향으로 회전한 뒤 반대 방향으로 왕복 회전 할 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레일에 의해 적어도 1회 이상 상기 제 1위치와 상기 제 2위치 사이를 왕복하는 공기조화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가 n개로 마련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레일은 상기 n개의 가이드 부재에 대응되도록 n개로 마련되고,
    상기 n개의 가이드 레일은 상기 회전부재가 1회 왕복 회전되는 동안 상기 n개의 가이드 부재가 각각 상기 제 1위치 또는 상기 제 2위치로 배치되는 경우의 수가 2n개가 되도록 상기 n개의 가이드 부재를 가이드하는 공기조화기.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회전부재가 1회 왕복 회전되는 동안,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 시작 지점에서 제 1각도로 회전될 시 상기 복수의 가이드 부재는 모두 제 1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 시작 지점에서 제 2각도로 회전될 시 상기 복수의 가이드 부재는 모두 제 2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 시작 지점에서 제 3각도로 회전될 시 상기 복수의 가이드 부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 1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가이드 부재 중 나머지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 2위치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20. 토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토출 기류의 방향을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상기 기류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기류제어 유닛은,
    상기 토출구의 외측에 마련되는 제 1위치와 상기 토출구 상에 마련되는 제 2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와,
    회전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를 상기 제 1위치와 상기 제 2위치 사이로 왕복 이동시키는 단일의 회전부재와,
    상기 단일개의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단일의 구동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70160751A 2017-11-28 2017-11-28 공기조화기 KR102527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751A KR102527655B1 (ko) 2017-11-28 2017-11-28 공기조화기
US16/767,186 US11635229B2 (en) 2017-11-28 2018-11-21 Air conditioner
PCT/KR2018/014307 WO2019107823A1 (ko) 2017-11-28 2018-11-21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751A KR102527655B1 (ko) 2017-11-28 2017-11-28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897A true KR20190061897A (ko) 2019-06-05
KR102527655B1 KR102527655B1 (ko) 2023-05-03

Family

ID=66665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0751A KR102527655B1 (ko) 2017-11-28 2017-11-28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635229B2 (ko)
KR (1) KR102527655B1 (ko)
WO (1) WO201910782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1128A1 (ko) * 2021-12-23 2023-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3903B1 (ko) * 2017-05-25 2021-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JP6756988B2 (ja) * 2018-05-31 2020-09-16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1290A (ko) * 2015-01-23 2016-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20170048128A (ko) * 2015-10-23 2017-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4626B1 (ko) 2000-06-24 2003-03-04 만도공조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오토셔터 가이드장치
KR100459458B1 (ko) * 2002-08-14 200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냉기토출장치
KR101444361B1 (ko) 2008-11-04 2014-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205897474U (zh) 2016-08-12 2017-01-1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吊顶式空调末端导风结构和空调器
CN107366978B (zh) 2017-08-31 2023-07-28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天花机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1290A (ko) * 2015-01-23 2016-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20170048128A (ko) * 2015-10-23 2017-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1128A1 (ko) * 2021-12-23 2023-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7655B1 (ko) 2023-05-03
WO2019107823A1 (ko) 2019-06-06
US11635229B2 (en) 2023-04-25
US20200309406A1 (en) 2020-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2259B1 (ko) 공기 조화기
KR102379983B1 (ko) 공기 조화기
EP1596136B1 (e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with a linearly oscillating blower
KR102541386B1 (ko) 공기조화기
KR102504098B1 (ko) 공기 조화기
KR20190061897A (ko) 공기조화기
KR102519931B1 (ko) 공기조화기
CN110662923B (zh) 吊顶式空气调节设备用空气引导件及具备其的吊顶式空气调节设备
CN109974092B (zh) 空调
KR20050022680A (ko) 에어컨 실내기
KR200443817Y1 (ko) 다중토출장치를 구비한 에어컨
KR100657529B1 (ko)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풍향 조절장치
KR0175623B1 (ko) 공기조화기의 풍향날개장치
KR20040031112A (ko) 공기조화기
KR20230085394A (ko) 공기조화기
KR200180527Y1 (ko) 공기조화장치의 실내기용 축류팬 조립체
KR200219551Y1 (ko) 환기장치를 갖춘 공기조화기
KR100564454B1 (ko) 공기조화기
KR100614225B1 (ko)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풍향 조절장치
KR0136045Y1 (ko) 공기조화기의 풍향날개
KR100776436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050089200A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토출구 개폐구조
KR20050048868A (ko) 공기조화기
KR20000014291U (ko) 에어컨용 블레이드 고정장치
KR20060124955A (ko) 공기조화기의 송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