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1783A - 가상현실 콘텐츠 생성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가상현실 콘텐츠 생성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1783A
KR20190061783A KR1020170160507A KR20170160507A KR20190061783A KR 20190061783 A KR20190061783 A KR 20190061783A KR 1020170160507 A KR1020170160507 A KR 1020170160507A KR 20170160507 A KR20170160507 A KR 20170160507A KR 20190061783 A KR20190061783 A KR 20190061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reality
image
determining
reality conten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0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2902B1 (ko
Inventor
김무아
Original Assignee
김무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무아 filed Critical 김무아
Priority to KR1020170160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2902B1/ko
Priority to US16/119,086 priority patent/US20190164323A1/en
Publication of KR20190061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1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4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 H04N21/8153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comprising still images, e.g. texture, background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04Context-preserving transformations, e.g. by using an importance map
    • G06T3/047Fisheye or wide-angle transfor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00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24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involving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rchitectur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컴퓨터가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의 배경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에 포함될 하나 이상의 객체를 결정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 각각은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기 설정된 시나리오를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배경 및 하나 이상의 객체를 포함하는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가상현실 콘텐츠 생성방법 및 프로그램 {METHOD AND PROGRAM FOR GENERATING VIRTUAL REALITY CONTENTS}
본 발명은 가상현실 콘텐츠 생성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은 어떤 특정한 환경이나 상황을 컴퓨터로 만들어서,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이 마치 실제 주변 상황·환경과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 것처럼 만들어 주는 인간-컴퓨터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말한다.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은 사용자가 눈으로 보는 현실세계에 가상 물체를 겹쳐 보여주는 기술이다. 현실세계에 실시간으로 부가정보를 갖는 가상세계를 합쳐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므로 혼합현실(Mixed Reality, MR)이라고도 한다.
최근에는 가상현실 장비의 보급으로 인해 다양한 가상현실 영상 개발도구들이 제공되고 있으나, 개발자가 아닌 비전문가가 원하는 형태의 가상현실 영상을 만들어내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간단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비전문가도 가상현실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및 서비스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가상현실 콘텐츠 생성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라 컴퓨터가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은,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의 배경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에 포함될 하나 이상의 객체를 결정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 각각은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기 설정된 시나리오를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배경 및 하나 이상의 객체를 포함하는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경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의 근경(近景)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의 원경(遠景)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경을 결정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배경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배경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배경을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의 배경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경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의 배경으로 이용될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이미지를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의 배경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경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이미지가 360도 이미지가 아닌 경우, 상기 획득된 이미지를 360도 이미지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획득된 이미지를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이미지를 360도 영상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미지의 왜곡에 대응하는 왜곡패턴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왜곡패턴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획득된 이미지를 왜곡시키는 단계 및 상기 왜곡된 이미지를 360도 영상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를 결정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객체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객체를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의 모양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의 시나리오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시나리오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의 등장조건, 등장위치, 등장시점,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 인식방법,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대한 반응 및 상기 사용자와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 사이의 상호작용에 따른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성된 가상현실 콘텐츠를 공유하는 단계 및 상기 공유된 가상현실 콘텐츠에 대한 피드백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라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콘텐츠 생성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에서 독출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배경과 객체를 선택함으로써 손쉽게 가상현실 콘텐츠를 생성하고, 공유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개시된 실시 예에 따라 가상현실 콘텐츠를 생성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콘텐츠 생성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개시된 실시 예에 따라 가상현실 콘텐츠를 생성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라 생성된 가상현실 콘텐츠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획득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가상현실 콘텐츠를 생성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이미지의 왜곡을 통해 360도 이미지를 생성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컴퓨터가 획득할 수 있는 왜곡패턴 이미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또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 또는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또는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상현실 및 가상현실 영상은 VR(Virtual Reality) 및 VR 영상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과 가상현실 영상,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과 증강현실 영상, 혼합현실(MR, Mixed Reality)과 혼합현실 영상 및 일반 영상을 모두 포함하며, 또한 이에 제한되지 않고 현실, 가상 및 현실과 가상이 혼합된 모든 종류의 영상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가상현실 장비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 예들은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 혼합현실(MR, Mixed Reality) 및 일반 영상 모두에 적용가능함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개시된 실시 예에 따라 가상현실 콘텐츠를 생성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상현실 콘텐츠를 생성하는 시스템은 사용자 클라이언트(100) 및 서버(200)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콘텐츠를 생성하는 시스템은 가상현실 장비(10)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콘텐츠를 생성하는 시스템은 복수의 다른 사용자 클라이언트들(1)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100) 및 서버(200)는 컴퓨터 또는 컴퓨터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에서, 컴퓨터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데스크탑, 노트북(랩탑),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를 의미한다.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따라 가상현실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의 일부 또는 전부는 사용자 클라이언트(100) 또는 서버(200)에서 수행된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100)는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콘텐츠 생성방법에 이용되는 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하고, 서버(200)는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콘텐츠 생성방법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 클라이언트(100)에 전송한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100)는 서버(200) 또는 다른 외부 서버로부터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콘텐츠 생성방법을 수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100)는 웹 페이지를 통하여 서버(200)에 접속하되,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SPA(Single Page Application)를 이용하여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콘텐츠 생성방법을 수행한다.
상술한 실시 예들은 예시로서 제공된 것이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따라 가상현실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가 사용자 클라이언트(100) 또는 서버(200)에서 수행되는 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클라이언트(100) 또는 서버(200)에 의하여 생성된 가상현실 콘텐츠를 가상현실 장비(10)와 사용자 클라이언트(100)를 이용하여 시청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클라이언트(100) 또는 서버(200)에 의하여 생성된 가상현실 콘텐츠를 사용자 클라이언트(100)를 이용하여 360도 영상 형태로 시청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100) 또는 서버(200)에 의하여 생성된 가상현실 콘텐츠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공유되고, 복수의 다른 사용자 클라이언트들(1)은 공유된 가상현실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콘텐츠 생성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각 단계들은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클라이언트(100) 또는 서버(200)에서 시계열적으로 수행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각 단계들이 "컴퓨터"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서술하나, "컴퓨터"는 사용자 클라이언트(100) 또는 서버(200) 어느 쪽이라도 될 수 있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각 단계들의 수행주체는 제한되지 않고, 그 전부 또는 일부가 사용자 클라이언트(100) 또는 서버(200)에서 각각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110에서, 컴퓨터는 가상현실 콘텐츠의 배경을 결정한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콘텐츠의 배경은 가상현실 콘텐츠의 배경으로 사용되는 360도 영상을 포함한다. 360도 영상은 2D 영상일 수도 있고, 렌더링된 3D 영상일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콘텐츠의 배경은 근경(近景)과 원경(遠景)을 포함한다.
개시된 실시 예에서, 근경은 가상현실 콘텐츠 내의 환경(environment)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근경은 가상현실 콘텐츠에서 사용자의 시점으로부터 가까운 주변 환경이 사막인지, 숲인지, 산인지, 바다인지 또는 건물이 있는지, 건물이 있다면 어떠한 건물이 있는지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경은 가상현실 콘텐츠 내의 지상(地上)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근경은 3D로 렌더링된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서, 원경은 가상현실 콘텐츠 내에서 사용자의 시점으로부터 멀리 보이는 배경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원경은 가상현실 콘텐츠 내의 하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컴퓨터는 가상현실 콘텐츠의 배경으로 이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배경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제공하고, 제공된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배경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한다. 컴퓨터는 선택된 배경을 가상현실 콘텐츠의 배경으로 결정한다.
일 실시 예에서, 컴퓨터는 가상현실 콘텐츠의 근경으로 이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배경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제공하고, 제공된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배경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한다. 컴퓨터는 선택된 배경을 가상현실 콘텐츠의 근경으로 결정한다.
일 실시 예에서, 컴퓨터는 가상현실 콘텐츠의 원경으로 이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배경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제공하고, 제공된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배경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한다. 컴퓨터는 선택된 배경을 가상현실 콘텐츠의 원경으로 결정한다.
일 실시 예에서, 근경과 원경은 서로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컨텐츠에 표시되는 근경은 원경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표시될 수 있고, 원경 역시 근경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개시된 실시 예에 따라 가상현실 콘텐츠를 생성하는 화면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콘텐츠를 생성하는 화면에는 가상현실 콘텐츠의 근경(352)을 선택할 수 있는 리스트(310)와, 가상현실 콘텐츠의 원경(354)을 선택할 수 있는 리스트(320)가 표시된다.
예를 들어, 리스트(310)에는 가상현실 콘텐츠의 근경이 될 수 있는 산, 바다, 건물 등이 표시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가상현실 콘텐츠의 근경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기 설정된 근경 외에 사용자가 입력한 영상이 가상현실 콘텐츠의 근경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가상현실 콘텐츠의 근경이 생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리스트(320)에는 가상현실 콘텐츠의 원경이 될 수 있는 맑은 하늘, 달이 뜬 밤하늘, 석양, 구름 등이 표시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가상현실 콘텐츠의 원경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기 설정된 원경 외에 사용자가 입력한 영상이 가상현실 콘텐츠의 원경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선택 결과에 따라 생성되는 가상현실 콘텐츠의 예시 화면(350)이 표시된다.
예를 들어, 리스트(310)에서 선택된 근경이 예시 화면(350)의 근경으로 표시되고, 리스트(320)에서 선택된 원경이 예시 화면(350)의 원경으로 표시된다.
일 실시 예에서, 컴퓨터는 가상현실 콘텐츠의 배경으로 이용될 이미지를 획득한다. 컴퓨터는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를 획득하거나, 외부 단말로부터 전송된 이미지를 획득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촬상 장치를 이용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서 컴퓨터가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컴퓨터는 획득된 이미지를 가상현실 콘텐츠의 배경으로 결정한다.
일 실시 예에서, 컴퓨터는 획득된 이미지를 가상현실 콘텐츠의 원경으로 결정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획득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가상현실 콘텐츠를 생성하는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컴퓨터는 가상현실 콘텐츠의 배경이 될 이미지(500)를 획득한다. 획득된 이미지(500)는 가상현실 콘텐츠(600)의 원경(610)으로 표시된다.
비록 도 5에 도시된 가상현실 콘텐츠(600)의 이미지가 좌우로 긴 파노라마 이미지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도 5에 도시된 가상현실 콘텐츠(600)는 360도 가상현실 영상으로 표시되고, 도 5에 도시된 이미지는 이를 펼쳐서 표시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획득된 이미지(500)가 360도 이미지가 아닐 수 있다. 이 경우, 컴퓨터는 이미지(500)를 360도 이미지로 변환한다.
일 실시 예에서, 이미지(500)가 360도 이미지로 말아질(roll) 수 있는 파노라마 이미지인 경우, 단일 이미지(500)가 360도 이미지로 변환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이미지(500)가 360도 이미지로 말아지기 어려운, 좌우가 짧은 이미지일 경우, 이미지는 미러링되거나 복사되어 복수 개의 이미지가 연결되고, 연결된 이미지가 360도 이미지로 변환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500)는 확대되거나 크롭(crop)되어 360도 이미지로 변환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이미지를 360도 이미지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이미지가 왜곡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사진(800)을 360도(또는 180도, 120도 등을 포함) 이미지로 변환하는 경우 왜곡이 발생하여 왜곡된 이미지(810)가 생성된다.
따라서, 컴퓨터는 이미지(800)를 360도 영상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미지의 왜곡에 대응하는 왜곡패턴 이미지를 획득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컴퓨터가 획득할 수 있는 왜곡패턴 이미지(900)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컴퓨터는 획득된 왜곡패턴 이미지(900)에 기초하여 이미지(800)를 왜곡시킨다. 컴퓨터는 왜곡된 이미지(820)를 360도 영상으로 변환하여, 왜곡이 없는 결과물(830)을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120에서, 컴퓨터는 가상현실 콘텐츠에 포함될 하나 이상의 객체를 결정한다. 하나 이상의 객체 각각은 가상현실 콘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사용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기 설정된 시나리오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객체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한다. 컴퓨터는 선택된 객체를 가상현실 콘텐츠에 추가한다.
일 실시 예에서, 객체는 모양과 시나리오를 포함한다.
따라서, 컴퓨터는 가상현실 콘텐츠에 추가될 하나 이상의 객체를 결정하는 데 있어, 하나 이상의 객체의 모양을 결정하고, 하나 이상의 객체의 시나리오를 결정한다.
일 실시 예에서, 컴퓨터가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객체를 포함하는 리스트에는 이미 모양과 시나리오가 조합되어 있는 객체들이 포함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모양과 시나리오가 결정되어 있는 객체가 가상현실 콘텐츠에 추가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컴퓨터는 각 객체의 모양과 시나리오를 별도로 결정하여 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객체의 시나리오만이 포함된 리스트를 제공하여 선택받고, 각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객체의 모양을 별도로 선택받아 조합함으로써 생성된 객체를 가상현실 콘텐츠에 추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컴퓨터는 사용자로부터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이미지를 객체의 모양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객체의 시나리오는, 객체의 등장조건, 등장위치, 등장시점,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 인식방법,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대한 반응 및 상기 사용자와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 사이의 상호작용에 따른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하지만 객체의 시나리오의 종류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더 많은 시나리오에 따른 액션을 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객체를 포함하는 리스트(330) 및 리스트(330)에서 선택된 객체(356)가 예시 화면(350)에 표시되어 있는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가상현실 컨텐츠에 표시되는 객체들은 기 설정된, 또는 랜덤화된 특정 시점에 표시되고, 기 설정된, 또는 랜덤화된 움직임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가상현실 컨텐츠에는 하나 이상의 객체들이 표시될 수 있으며, 한 종류의 객체가 복수 개 표시되어 사용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종류의 객체들이 표시되어 사용자와 상호작용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라 생성된 가상현실 콘텐츠 화면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비록 도 4에 도시된 가상현실 콘텐츠(400)의 이미지가 좌우로 긴 파노라마 이미지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도 4에 도시된 가상현실 콘텐츠(400)는 360도 가상현실 영상으로 표시되고, 도 4에 도시된 이미지는 이를 펼쳐서 표시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현실 콘텐츠(400)에서는 중앙 부근에 마커(450)가 표시될 수 있다. 마커(450)는 사용자의 시야방향에 표시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컴퓨터는 마커(450)를 통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마커(450)를 이용하여 특정 객체를 소정의 시간 이상 지시하거나, 마커(450)를 이용하여 특정 객체를 지시한 상태에서 버튼이나 터치를 통한 추가 입력을 수행하는 경우, 마커(450)가 지시하는 객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 인식된다.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객체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호작용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객체는 다른 위치로 이동하거나, 커지거나, 작아지거나, 빛나거나, 색이 변하거나, 사라지거나, 아이템 또는 포인트를 사용자에게 지급할 수 있다.
객체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호작용할 수 있는 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상호작용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식하거나, 사용자가 이용하는 가상현실 컨트롤러를 인식하거나,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인식하여, 사용자가 객체를 선택하는 선택 입력을 인식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미지가 결합된 객체(730)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콘텐츠(700)가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컴퓨터는 객체(730)에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이미지를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객체(730)의 모양을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이미지로 결정하고, 가상현실 콘텐츠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광고는 가상현실 콘텐츠의 배경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 이미지 또는 영상이 360도 이미지 또는 영상으로 변환되어, 가상현실 콘텐츠의 원경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광고는 가상현실 콘텐츠는 광고 이미지 또는 영상을 가상현실 콘텐츠의 근경 또는 원경의 일부와 결합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는 가상현실 콘텐츠의 원경의 일부 공간에 표시되거나, 근경 또는 원경에 포함된 대상체(예를 들어, 구름, 해, 비행선 등)와 결합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광고를 선택하면, 가상현실 컨텐츠 내에서 광고와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거나, 광고에 대응하는 링크로 이동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광고는 객체와 결합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하고자 하는 제품의 이미지가 객체(730)와 결합되어, 객체(730)에 포함된 시나리오에 따라 사용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광고가 객체와 결합되는 경우, 광고에 의하여 기 설정된 시나리오가 객체의 시나리오에 추가되거나, 객체의 시나리오를 대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에 객체(730)에 포함된 시나리오는 사용자의 선택이 인식되면 사라지거나 소정의 포인트를 지급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도 5에 도시된 이미지가 객체(730)에 결합됨으로써, 객체(730)는 사용자의 선택이 인식되면 비누거품을 뿜어내는 액션을 수행하고, 사용자에게 소정의 보상을 지급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지급되는 보상은 현금화 가능하거나 제품과 교환가능한 포인트일 수 있고, 제품교환권일 수도 있다. 이는 예시를 위하여 설명된 것으로, 사용자에게 지급될 수 있는 보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또 다른 예로서, 객체(730)는 사용자의 선택이 인식되는 경우 소정의 확률로 경품(예를 들어, 제품교환권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 따라 생성된 가상현실 콘텐츠에서 객체가 사용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객체와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에 따라 배경이 변경될 수도 있다. 배경의 변경은 소정의 규칙에 따라, 또는 임의로 변경될 수 있다.
객체는 기 설정된 모양이나 입력된 이미지뿐 아니라,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콘텐츠는 객체들을 이용하여 퍼즐, 퀴즈, 문제, 영단어 등을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가 객체를 선택하는 방법이나 순서에 따라 학습효과가 발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콘텐츠의 배경에 문제가 표시되고, 서로 다른 정답을 포함하는 객체들이 표시될 때, 사용자는 정답에 대응하는 객체를 선택함으로써 소정의 보상을 받거나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콘텐츠의 배경에 만화나 영화 등 콘텐츠가 표시되고, 소정의 분량이 재생 또는 표시된 후 정지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객체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소정의 게이미피케이션된 미션을 수행하도록 요구될 수 있고, 사용자가 미션을 수행하였을 때 콘텐츠가 추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단계 S130에서, 컴퓨터는 단계 S110에서 결정된 배경 및 단계 S120에서 결정된 하나 이상의 객체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콘텐츠를 생성한다.
생성된 가상현실 콘텐츠는 서버(200)를 통하여 공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생성된 가상현실 콘텐츠를 공유하거나 판매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고, 사용자들은 가상현실 콘텐츠를 생성하여 업로드할 수 있다.
업로드된 가상현실 콘텐츠는 무상으로 공유될 수도 있고, 소정의 비용으로 판매될 수도 있다.
가상현실 콘텐츠를 업로드한 사용자는, 업로드된 가상현실 콘텐츠에 대한 피드백을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가 획득할 수 있는 피드백은, 다른 사용자들이 가상현실 콘텐츠 내에서 객체들과 상호작용한 결과물이나, 가상현실 콘텐츠에 대한 평가, 또는 가상현실 콘텐츠의 이용에 따른 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가상현실 콘텐츠의 이용에 따른 보상은, 가상현실 콘텐츠를 이용한 사용자가 지불한 금액의 일부일 수도 있고, 가상현실 콘텐츠를 다른 사용자들이 이용한 횟수나 시간 등에 따라 산정되어 서버(200)가 운영하는 플랫폼 사업자로부터 제공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가상현실 콘텐츠에 포함된 광고에 의하여 발생한 광고수익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상현실 콘텐츠에 특정 광고를 의도적으로 넣을 수도 있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가상현실 콘텐츠에 광고를 포함시킬지 여부를 선택하는 것만으로도, 서버(200)가 가상현실 콘텐츠에 자동으로 광고를 삽입할 수도 있다.
공유되는 가상현실 콘텐츠들은 기본적으로 객체와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재미를 줄 수 있는 게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가상현실 콘텐츠는 다양한 기능들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콘텐츠는 사진을 공유하는 SNS와 같이, 가상현실 콘텐츠를 생성한 사용자가 촬영한 사진들을 포함하고, 포함된 사진들은 가상현실 콘텐츠의 배경에 표시되거나, 객체와 결합되어 표시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가상현실 콘텐츠를 이용하여 일종의 여행기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이 방문한 순서에 따라 사진이 객체와 결합되어 등장할 수 있도록 설정하고, 다른 사용자들은 순차적으로 객체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객체는 가상현실 콘텐츠의 배경에 표시되어, 다른 사용자들이 가상현실 콘텐츠를 생성한 사용자가 여행한 순서에 따라 가상현실로 여행을 체험할 수 있는 가상현실 콘텐츠를 완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가상현실 콘텐츠는 알람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가상현실 콘텐츠는 특정 시간에 알람을 울리도록 설정되고, 알람을 끄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가상현실 콘텐츠에서 객체와 기 설정된 상호작용을 통해 미션을 해결해야 알람이 꺼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콘텐츠는 영상통화에 활용되어, 서로 다른 사용자가 상대방의 모습을 가상현실 콘텐츠의 배경을 통해 시청하면서 함께 객체들과 상호작용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실시 예에 따라 가상현실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은, 배경과 객체, 그리고 객체와 상호작용 가능한 시나리오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가상현실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예시들에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콘텐츠들이 생성될 수 있으며, 이는 서버(200)를 통한 플랫폼을 이용하여 공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 복수의 다른 사용자 클라이언트
10 : 가상현실 장비
100 : 사용자 클라이언트
200 : 서버

Claims (10)

  1. 컴퓨터가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의 배경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에 포함될 하나 이상의 객체를 결정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 각각은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기 설정된 시나리오를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배경 및 하나 이상의 객체를 포함하는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의 근경(近景)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의 원경(遠景)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을 결정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배경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배경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배경을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의 배경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의 배경으로 이용될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이미지를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의 배경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이미지가 360도 이미지가 아닌 경우, 상기 획득된 이미지를 360도 이미지로 변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이미지를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이미지를 360도 영상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미지의 왜곡에 대응하는 왜곡패턴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왜곡패턴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획득된 이미지를 왜곡시키는 단계; 및
    상기 왜곡된 이미지를 360도 영상으로 변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를 결정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객체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객체를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에 추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의 모양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의 시나리오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시나리오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의 등장조건, 등장위치, 등장시점,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 인식방법,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대한 반응 및 상기 사용자와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 사이의 상호작용에 따른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가상현실 콘텐츠를 공유하는 단계; 및
    상기 공유된 가상현실 콘텐츠에 대한 피드백을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1 항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에서 독출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KR1020170160507A 2017-11-28 2017-11-28 가상현실 콘텐츠 생성방법 및 프로그램 KR102022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507A KR102022902B1 (ko) 2017-11-28 2017-11-28 가상현실 콘텐츠 생성방법 및 프로그램
US16/119,086 US20190164323A1 (en) 2017-11-28 2018-08-31 Method and program for generating virtual reality cont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507A KR102022902B1 (ko) 2017-11-28 2017-11-28 가상현실 콘텐츠 생성방법 및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783A true KR20190061783A (ko) 2019-06-05
KR102022902B1 KR102022902B1 (ko) 2019-09-19

Family

ID=66633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0507A KR102022902B1 (ko) 2017-11-28 2017-11-28 가상현실 콘텐츠 생성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90164323A1 (ko)
KR (1) KR1020229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2288B1 (ko) * 2020-09-16 2021-06-08 주식회사 다베로아트 실감형 전시 영상 구현 시스템
WO2023095935A1 (ko) * 2021-11-23 2023-06-01 이은령 증강현실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38375B1 (ja) * 2021-10-22 2022-09-16 クラスター株式会社 端末装置、仮想現実空間編集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仮想現実空間編集方法
KR20240025384A (ko) * 2022-08-18 2024-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맞춤형 메타버스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4260B1 (ko) * 2016-02-17 2017-06-09 주식회사 코스코이 모바일 기반의 캐릭터 피규어 3차원 프린팅 제작 및 판매 응용 서비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4260B1 (ko) * 2016-02-17 2017-06-09 주식회사 코스코이 모바일 기반의 캐릭터 피규어 3차원 프린팅 제작 및 판매 응용 서비스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utorial] Unity3d-360 Virtual Tour", YouTube, https://www.youtube.com /watch?v=2q9wc9Y35wg. 1부.* *
"Skybox creation In unity 5", YouTube,https://www.youtube.com /watch?v= QT-6u6NLaus. 1부.*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2288B1 (ko) * 2020-09-16 2021-06-08 주식회사 다베로아트 실감형 전시 영상 구현 시스템
KR20220036842A (ko) * 2020-09-16 2022-03-23 주식회사 다베로아트 레이저 센서를 이용한 인터렉티브 전시 영상 구현 시스템
WO2023095935A1 (ko) * 2021-11-23 2023-06-01 이은령 증강현실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2902B1 (ko) 2019-09-19
US20190164323A1 (en) 2019-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73741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RU2621644C2 (ru) Мир массового одновременного удаленного цифрового присутствия
US8933965B2 (en) Method for calculating light source information and generating images combining real and virtual images
Portalés et al. Photogrammetry and augmented reality for cultural heritage applications
US20170127023A1 (en) Virtual conference room
CN109865289B (zh) 一种基于增强现实技术的实景环境娱乐系统及其方法
KR102022902B1 (ko) 가상현실 콘텐츠 생성방법 및 프로그램
CN102540464A (zh) 提供环绕视频的头戴式显示设备
CN109155083A (zh) 响应于取向传感器数据的数字模型优化
Lugrin et al. CaveUDK: a VR game engine middleware
US20230290043A1 (en) Picture generation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medium
US10955911B2 (en) Gazed virtual object identification module, a system for implementing gaze translucency, and a related method
CN111142967B (zh) 一种增强现实显示的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onstantine et al. Project esky: Enabling high fidelity augmented reality on an open source platform
JP7004825B2 (ja) 公共福祉活動の可視化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11711494B1 (en) Automatic instancing for efficient rendering of three-dimensional virtual environment
US11593989B1 (en) Efficient shadows for alpha-mapped models
KR101893038B1 (ko) 개별 영상신호 출력을 이용한 매핑 유사홀로그램 제공 장치 및 방법
Peters Evaluation of interactive collaboration for 3D spacecraft development in Augmented Reality
Halik et al. EXTENDED REALITY (XR)
JP7479473B2 (ja) メタバース空間提供プログラム
Seligmann Creating a mobile VR interactive tour guide
CN111651048B (zh) 多虚拟对象排列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Melenbrink et al. Fulldome Interfacing
CN117389338B (zh) 无人机的多视角交互方法、装置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