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1063A - 회전 전기의 회전자 및 회전 전기의 회전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회전 전기의 회전자 및 회전 전기의 회전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1063A
KR20190061063A KR1020197013222A KR20197013222A KR20190061063A KR 20190061063 A KR20190061063 A KR 20190061063A KR 1020197013222 A KR1020197013222 A KR 1020197013222A KR 20197013222 A KR20197013222 A KR 20197013222A KR 20190061063 A KR20190061063 A KR 20190061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yoke
permanent magnet
holder
electric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3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토루 나카다
아키라 하시모토
아츠시 사카우에
다카시 우메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61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10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7Ro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02K1/2786Outer rotors
    • H02K1/2787Outer rotors the magnetisation axis of the magnets being perpendicular to the rotor axis
    • H02K1/2789Outer rotors the magnetisation axis of the magnets being perpendicular to the rotor axis the rotor consisting of two or more circumferentially positioned magnets
    • H02K1/2791Surface mounted magnets; Inset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rotating magnetic parts on to, or to, the roto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7Ro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02K1/2786Outer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02K15/03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having permanent 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ermanent Field Magnets Of Synchronous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원통 형상의 요크와, 요크의 내주면에 장착된 홀더와, 홀더에, 둘레 방향으로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영구 자석을 구비하고, 홀더는 요크의 둘레 방향 또는 축방향으로 분할된 분할 홀더로 구성되어 있으며, 분할 홀더는 복수의 영구 자석 중 적어도 1개를 보지시키는 영구 자석 보지부와, 영구 자석 각각과 요크 사이에 마련된 개구부를 갖는다.

Description

회전 전기의 회전자 및 회전 전기의 회전자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회전 전기(回轉電機)에 이용되는 회전자 및 회전 전기의 회전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엘리베이터의 권상기에 있어서의, 고정자의 외주측에 회전자가 배설되는 아우터 로터식의 회전 전기의 회전자와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회전 전기의 방식으로서, 고정자의 티스부가 외주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고정자의 외주측에 회전자가 배설되는 아우터 로터식이 있다. 이 아우터 로터식의 회전 전기는, 회전자를 구성하는 원통 형상의 요크의 내주면에 복수의 영구 자석이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영구 자석의 장착 위치가 불균일하거나, 영구 자석이 받는 토크에 의해 영구 자석이 진동하기 때문에, 회전 전기의 효율이 악화되거나 자석이 손상되는 등의 품질의 문제가 발생한다. 상술한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영구 자석은, 요크의 내주면에의 위치 결정이 필요하게 된다. 이 영구 자석의 위치 결정을 위해, 요크 자체에 기계 가공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요크의 내주면에 다면체 가공을 실시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가공이 복잡하며 가공비가 증가한다.
이 때문에, 요크의 내주면에 영구 자석의 위치 결정을 하는 부재인 스페이서 링을 장착하는 것에 의해 요크에 기계 가공을 하지 않고, 영구 자석의 위치 결정을 하는 것 및 영구 자석의 토크를 받는 것을 실현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 2009-278838 호 공보
상술한 특허문헌 1에 있어서는, 스페이서 링은 금속제의 것이면 다면체 가공을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가공이 복잡하며 가공비는 증대한다.
가공비를 억제하기 위해, 스페이서 링으로서 수지제의 것을 사용한 경우에는 강도 확보를 위해 스페이서 링을 두껍게 할 필요가 있어서, 요크와 영구 자석 사이에 클리어런스가 생긴다. 그 결과, 자속 밀도가 저하하고, 이로써 회전 전기의 효율이 악화된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고정자의 외주측에 회전자가 배설되는 아우터 로터식의 회전 전기의 회전자와 그 제조 방법에 있어서, 가공비를 억제하면서, 요크와 그 내주면에 배치되는 영구 자석과의 사이에 클리어런스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전기의 회전자는, 원통 형상의 요크와, 요크의 내주면에 장착된 홀더와, 홀더에 둘레 방향으로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영구 자석을 구비하고, 홀더는 요크의 둘레 방향 또는 축방향으로 분할된 분할 홀더로 구성되어 있으며, 분할 홀더는 복수의 영구 자석 중 적어도 1개를 보지시키는 영구 자석 보지부와, 영구 자석 각각과 요크 사이에 마련된 개구부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전기의 회전자의 제조 방법은, 서로 분리된 하측 링 및 상측 링을 원통 형상의 요크의 내주면에 원환 형상이 되도록 장착하고, 요크를 회전시키면서, 하측 링 및 상측 링에 대하여, 복수의 영구 자석 각각의 하측 부분 및 상측 부분을 보지하는 영구 자석 보지부를 형성시키는 금형을 축방향 또는 반경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가압시키는 것에 의해, 영구 자석 보지부를 갖는 분할 홀더로 구성된 홀더를 성형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전기의 회전자의 제조 방법은, 복수의 영구 자석 각각을 보지하는 영구 자석 보지부와, 복수의 영구 자석 각각의 요크측의 면을 요크의 내주면에 밀착시키는 개구부를 갖는 분할 홀더로 구성된 홀더에 미착자(未着磁)의 복수의 영구 자석을 장착하고, 복수의 영구 자석 각각의 내주면을 비자성의 커버로 덮고 복수의 영구 자석 각각을 착자시키고, 복수의 영구 자석 각각의 내주면을 커버로 덮은 채로 홀더를 요크의 내주면에 장착하고, 복수의 영구 자석 각각을 개구부를 거쳐서 요크의 내주면에 밀착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통 형상의 요크의 내주면에 배치하는 홀더를, 복수의 영구 자석 각각을 보지시키는 영구 자석 보지부와, 복수의 영구 자석 각각의 요크측의 면을 요크의 내주면에 밀착시키는 개구부를 갖는 분할 홀더로 구성했으므로, 영구 자석은 요크의 내주면에 직접 밀착되기 때문에, 클리어런스가 생기기 어려워, 자속 밀도가 저하하지 않아서, 회전 전기의 효율이 악화되지 않으며, 그리고 영구 자석을 장착했을 때의 강도가 확보되는 회전 전기의 회전자를 가공비를 억제한 형태로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전기의 회전자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회전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회전자를 반경을 따라 수직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회전자에 있어서 영구 자석을 일부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회전자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전기의 회전자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분할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전기의 회전자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영구 자석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전기의 회전자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회전자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하는 회전자에 있어서 영구 자석을 일부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회전자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하는 홀더의 부분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전기의 회전자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회전자를 제조하는 하나의 공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전기의 회전자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회전자를 제조하는 하나의 공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전기의 회전자의 실시형태 4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권상기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전기의 회전자와 그 제조 방법의 실시형태를 상기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회전 전기의 회전자>
실시형태 1.
권선 기술의 향상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권상기의 박(薄)형화가 진행되어, 카실과 승강로 사이에 권상기를 설치할 수 있게 되어서, 기계실을 필요로 하지 않는 권상기가 시장에 유통되고 있다. 건물의 레이아웃의 사정상, 권상기의 박형화의 수요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엘리베이터의 보수 부품에는 브레이크가 있으며, 브레이크에는 회전자의 외주측으로부터 회전자의 회전을 억제하는 외접식(外接式)과, 내주측으로부터 회전자의 회전을 억제하는 내확식(內擴式)이 있다. 외접식의 브레이크의 경우, 회전자가 고정자의 내주측에 배치되는 이너 로터식의 회전 전기에서는, 외주측으로부터 브레이크로 억제되도록 회전자를 고정자의 단부면으로부터 나올 때까지 축방향으로 돌출시킬 필요가 있다.
한편, 회전자가 고정자의 외주측에 배치되는 아우터 로터식의 회전 전기에서는, 외주측에 배치되어 있는 회전자의 외주면을 브레이크로 억제하면 충분하기 때문에, 아우터 로터식이 엘리베이터의 권상기를 박형으로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브레이크 이외의 보수 부품에 시브(sheave)가 있다. 내확식의 브레이크는 브레이크와 시브를 역방향으로 보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유지 보수성이 좋지 않지만, 외접식의 브레이크는 시브와 동일한 방향으로 보수를 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유지 보수성이 좋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의 권상기에 있어서의, 박형화 및 유지 보수성이 뛰어난 아우터 로터식의 회전 전기의 구조 및 제조 방법에 있어서, 특히 회전자의 특성 및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회전 전기에 이용되는 회전자(100)는, 원통 형상의 요크(1)와, 요크(1)의 둘레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영구 자석(2)과, 요크(1)의 내주면(3)에 장착된 홀더(4)로 구성된다. 이 홀더(4)는 전체 둘레에서, 예를 들면, 6개의 분할 홀더(5)가 원환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분할 홀더(5)는 영구 자석(2)의 양측에 위치하는 가이드부(6)와, 가이드부(6)끼리를 연결하는 하측 브릿지부(7)와 상측 브릿지부(8)로 구성되어 있으며, 1개의 영구 자석(2)을 보지하는 것이어도 좋다. 영구 자석(2)은 요크(1)의 내주면(3)에 직접 밀착된다. 이들 가이드부(6)와 하측 브릿지부(7)와 상측 브릿지부(8)로 영구 자석 보지부를 구성하고 있으며, 영구 자석(2)은, 축방향 또는 반경 방향으로부터, 이 영구 자석 보지부에 삽입되고 보지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요크(1)에 다면체의 기계 가공을 하지 않아도 영구 자석(2)의 위치 결정을 할 수 있다. 또한, 영구 자석(2)에 가해지는 토크를 홀더(4)가 받기 때문에, 회전자(100)의 진동을 억제할 수도 있다. 또한, 영구 자석(2)은 요크(1)의 내주면(3)에 직접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영구 자석(2)과 요크(1) 사이의 클리어런스에 의해 자속 밀도가 저하하지 않아서, 회전 전기의 효율이 악화되지 않으며, 또한 영구 자석(2)을 장착했을 때의 강도가 확보된다.
도 1에 도시한 회전자(100)는 도 2의 단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요크(1)의 내주측에는 시브 보지부(9)가 배치되어 있으며, 요크(1)와 시브 보지부(9)는, 연결부(10)에 의해 연결되어서 일체로 되어 있다. 시브 보지부(9)의 외주에는 시브(11)가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회전자를 구비한 아우터 로터식의 회전 전기를 엘리베이터의 권상기로서 실현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본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회전자는, 도 1에 도시한 회전자(100)의 1개의 분할 홀더(5)로부터 영구 자석(2)을 부분적으로 제거한 것이다. 분할 홀더(5)는, 가이드부(6)에 둘레 결정면(12)을 갖고 있으며, 이 둘레 결정면(12)과 영구 자석(2)이 접한 상태로, 영구 자석(2)은 내주면(3)에 밀착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영구 자석(2)의 둘레 방향의 위치 결정을 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전기를 구동시키고 있을 때에, 영구 자석(2)이 받는 둘레 방향의 토크를 홀더(4)에서 받을 수 있으므로, 영구 자석(2)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분할 홀더(5)에 있어서, 가이드부(6), 하측 브릿지부(7) 및 상측 브릿지부(8)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은, 개구부(14)로 되어 있으며, 이 개구부(14)에 영구 자석(2)을 통과하게 하는 것에 의해 영구 자석(2)을 내주면(3)에 직접 밀착시킬 수 있다.
분할 홀더(5)는, 하측 브릿지부(7)에 축 결정면(13)을 갖고 있으며, 이 축 결정면(13)과 영구 자석(2)이 접한 상태로, 영구 자석(2)은 내주면(3)에 밀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영구 자석(2)의 축방향의 위치 결정을 할 수 있다. 또한, 영구 자석(2)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본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분할 홀더(5)에서는, 5개의 영구 자석(2)이 장착되도록 되어 있지만, 이 예에서는, 그 중에서 2개의 영구 자석(2)이 제거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분할 홀더(5)는, 둘레 결정면(12)보다 외주측에 반경 결정면(15)을 갖는다. 이 반경 결정면(15)과 영구 자석(2)이 접한 상태로, 영구 자석(2)은 내주면(3)에 밀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영구 자석(2)의 반경 방향의 위치 결정을 할 수 있어서, 영구 자석(2)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분할 홀더(5)는 반경 결정면(15)보다 외주측(반경 방향)에 릴리프부(relief portions; 16)를 갖고 있으며, 이 릴리프부(16)는 영구 자석(2)의 축방향과 간섭하지 않도록 개방되어 있다.
가이드부(6)의 외주측의 단부면인 반경 접촉면(徑接面)(17)은, 요크(1)의 내주면(3)과 접하므로, 상측 브릿지부(8)는, 반경 방향에 플랜지부(8a)를 갖고, 이 플랜지부(8a)의 축방향의 하측의 단부면인 축 접촉면(18)은, 요크(1)의 축방향의 상측의 단부면과 접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요크(1)와 분할 홀더(5)의 반경 방향 및 축방향의 상대 위치가 정해지기 때문에, 요크(1)와 영구 자석(2)의 반경 방향 및 축방향의 상대 위치가 결정된다.
또한, 도 4에 있어서, 하측 브릿지부(7) 및 상측 브릿지부(8)는, 분할 홀더(5) 내에서 전부 연결되어 있지만, 분할 홀더(5)가 분단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는, 하측 브릿지부(7) 또는 상측 브릿지부(8)의 일부가 끊겨 있어도 본 실시형태 1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홀더(4) 및 분할 홀더(5)의 재료는 수지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착자가 완료된 영구 자석(2)을 요크(1)에 밀착할 때에 자력에 의해 영구 자석(2)이 강한 충격을 받아도, 수지의 탄성에 의해 충격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영구 자석(2)으로의 충격을 저감하여, 영구 자석(2)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영구 자석(2)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석 외주면(19)과, 이 자석 외주면(19)의 반대측의 자석 내주면(20)을 갖고 있다. 자석 외주면(19)은 원호 형상이고, 자석 내주면(20)은 평탄하며, 자석 외주면(19)을 외주측을 향하게 하고 자석 내주면(20)을 내주측을 향하게 하여 요크(1)에 장착하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자석 내주면(20)이 평탄하기 때문에, 자석 내주면(20)과 자석 외주면(19)의 양면을 원호 형상으로 하는 것보다, 영구 자석(2)의 가공이 용이하다. 또한, 원호 형상인 자석 외주면(19)을 외주측을 향하게 하는 것에 의해, 반경 결정면(15)과 내주면(3) 사이의 수지를 두껍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영구 자석(2)을 요크(1)에 밀착할 때에 자력에 의해 영구 자석(2)이 강한 충격을 받아도, 영구 자석(2)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상기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회전 전기의 회전자에 있어서는, 요크(1)에 영구 자석(2)을 장착할 때에, 영구 자석(2)의 측면을 파지하여 축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한 상태에서 요크(1)의 안쪽까지 들어가고, 그 후, 영구 자석(2)이 축방향에 대하여 평행이 되도록 내주측으로부터 가압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영구 자석(2)의 장착시의 동작이 복잡하게 되어, 설비비가 든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 2에서는, 영구 자석(2)의 측면에 배치되는 가이드부(6)의 일부를 절결하는 것에 의해, 영구 자석(2)의 측면을 파지한 채로 요크(1)에 장착할 수 있어서, 동작을 간이하게 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본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회전 전기의 회전자(100a)는, 상기의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원통 형상의 요크(1)와, 요크(1)의 둘레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영구 자석(2)과, 요크(1)의 내주면(3)에 장착된 홀더(4)로 구성되어 있다.
홀더(4)는, 하측 홀더(21)와 상측 홀더(22)로 구성되어 있다. 하측 홀더(21)는 영구 자석(2)의 양측에 위치하는 하측 가이드부(23)와, 이 하측 가이드부(23)끼리를 연결하는 하측 브릿지부(7)로 구성되어 있다. 상측 홀더(22)는 영구 자석(2)의 양측에 위치하는 상측 가이드부(24)와, 이 상측 가이드부(24)끼리를 연결하는 상측 브릿지부(8)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영구 자석(2)은 하측 가이드부(23) 및 상측 가이드부(24)에 접한 상태에서 요크(1)의 내주면(3)에 직접 밀착되어 있다.
이 경우, 하측 홀더(21)의 영구 자석 보지부는, 영구 자석(2)의 각각의 양측에 위치하는 가이드부(23)와, 가이드부(23)의 인접하는 것끼리를 연결하는 하측 브릿지부(7)로 구성되며, 상측 홀더(22)의 영구 자석 보지부는, 영구 자석(2)의 각각의 양측에 위치하는 가이드부(24)와, 상기 가이드부의 인접하는 것끼리를 연결하는 상측 브릿지부(8)로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요크(1)에 다면체의 기계 가공을 하지 않아도, 영구 자석(2)의 위치 결정을 할 수 있다. 또한, 영구 자석(2)에 가해지는 토크를 홀더(4)가 받기 때문에, 회전자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영구 자석(2)은 요크(1)의 내주면에 직접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영구 자석(2)과 요크(1) 사이의 클리어런스에 의해 자속 밀도가 저하하는 일이 없고, 회전 전기의 효율은 악화되지 않으며, 또한 영구 자석(2)을 장착했을 때의 강도가 확보된다.
도 7에 도시하는 본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회전 전기의 회전자는, 도 6에 도시한 회전자(100a)의 홀더(4)로부터 일부의 영구 자석(2)을 없앤 것이다. 영구 자석(2)은 하측 가이드부(23)의 하측 둘레 결정면(25) 및 상측 가이드부(24)의 상측 둘레 결정면(26)에 접한 상태로, 내주면(3)에 밀착되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영구 자석(2)의 둘레 방향의 위치 결정을 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전기를 구동시키고 있을 때에, 영구 자석(2)이 받는 둘레 방향의 토크를 홀더(4)에서 받을 수 있으므로, 영구 자석(2)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영구 자석(2)은 하측 브릿지부(7)의 축 결정면(13)에 접한 상태로, 내주면(3)에 밀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영구 자석(2)의 축방향의 위치 결정을 할 수 있다. 또한, 영구 자석(2)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본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홀더(4)에 있어서, 하측 홀더(21)는, 하측 둘레 결정면(25)보다 외주측에 하측 반경 결정면(27)을 갖고, 상측 홀더(22)는, 상측 둘레 결정면(26)보다 외주측에 상측 반경 결정면(28)을 갖는다. 하측 반경 결정면(27) 및 상측 둘레 결정면(26)과 영구 자석(2)이 접한 상태에서, 영구 자석(2)은 내주면(3)에 밀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영구 자석(2)의 반경 방향의 위치 결정을 할 수 있다. 또한, 영구 자석(2)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측 홀더(22) 및 하측 홀더(21)는 각각, 상측 반경 결정면(28) 및 하측 반경 결정면(27)보다 외주측에 릴리프부(16)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영구 자석(2)의 축방향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의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영구 자석(2)을 요크(1)에 밀착할 때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 3. <실시형태 2의 회전자의 제조 방법>
도 9에는 본 실시형태 2에 의한 회전 전기의 회전자의 제조 공정이 도시되어 있으며, 특히 하측 홀더(21) 및 상측 홀더(22)를 제작하는 도중의 하나의 공정이 도시되어 있다. 이 공정에서는, 하측 링(29) 및 상측 링(30)을 요크(1)의 내주면 상에 원환 형상이 되도록 장착한 후, 요크(1)를 회전시키면서, 또한, 금형(31)을 축방향 또는 반경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하측 링(29) 및 상측 링(30)에 가압하는 것에 의해, 하측 가이드부(23) 및 상측 가이드부(24)를 성형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하측 가이드부(23) 및 상측 가이드부(24)를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금형으로부터 하측 가이드부(23) 및 상측 가이드부(24)를 성형하기 때문에, 하측 가이드부(23) 및 상측 가이드부(24)의 형상이 균일하게 되어, 영구 자석(2)의 위치 결정 정밀도는 향상한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홀더(4)의 재료는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착자가 완료된 영구 자석(2)을 요크(1)에 밀착할 때에, 자력에 의해 영구 자석(2)이 강한 충격을 받아도, 수지의 탄성에 의해 충격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영구 자석(2)으로의 충격을 저감하여, 영구 자석(2)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금형에 의해 하측 가이드부(23) 및 상측 가이드부(24)를 성형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실시형태 4. <실시형태 1의 회전자의 제조 방법>
상기의 실시형태 1 및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회전 전기의 회전자에 있어서는, 요크(1)에 홀더(4)를 장착한 후에, 영구 자석(2)을 요크(1)에 장착하고 있다. 이와 같이, 홀더(4) 뒤에 영구 자석(2)을 장착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영구 자석(2)을 1개씩 장착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장착 시의 작업 시간이 길어져, 작업성이 나빠진다. 또한, 홀더(4)를 요크(1)에 장착하는 부재가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재료비가 들게 되어 버린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 3에서는, 복수의 영구 자석(2)을 동시에 요크(1)에 미리 장착하는 것에 의해 작업 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도 10에는 본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회전 전기의 회전자의 제조 공정이 도시되어 있으며, 특히, 영구 자석(2)은 분할 홀더(5)에 장착된 상태로, 요크(1)에 장착되는 하나의 공정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영구 자석(2)을 동시에 요크(1)에 미리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분할 홀더(5)를 요크(1)에 장착하는 부재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재료비를 저감시킬 수 있다.
착자가 완료된 영구 자석(2)을 분할 홀더(5)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먼저 장착한 인접하는 영구 자석(2)끼리와의 사이에 작용하는 흡인력 또는 반발력이 있기 때문에, 영구 자석(2)을 장착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도 10에 도시하는 분할 홀더(5)의 상태에서 영구 자석(2)을 착자한 경우에는, 분할 홀더(5)의 내주측으로부터 영구 자석(2)이 빠질 우려가 있기 때문에, 내주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미착자의 영구 자석(2)을 분할 홀더(5)에 장착한 후, 영구 자석(2)의 내주측을 비자성의 커버로 덮어, 영구 자석(2)을 착자한다. 그 후, 영구 자석(2)의 내주측을 커버로 덮은 채로 분할 홀더(5)를 요크(1)에 장착하고, 영구 자석(2)을 요크(1)의 내주면(3)에 밀착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착자가 완료된 영구 자석(2)을 분할 홀더(5)에 장착하는 것보다도 용이하게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실시형태 5. <실시형태 1의 회전자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도 11에 본 실시형태 4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권상기가 도시되어 있다. 회전자(100)의 내경측에 대향하여 고정자(40)가 배설되어 있으며, 고정자(40)는, 철심(41)의 주위에 코일(42)이 권선되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코일에 전류를 흘리는 것에 의해, 자속을 발생시켜 회전자와 고정자 사이에 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다. 고정자(40)는, 하우징(43)에 장착되어 있다. 하우징(43)과 고정자(40) 사이에는, 베어링(44)이 배설되어 있어서, 회전자(100)가 매끄럽게 회전할 수 있다. 하우징(43)과 고정자(40) 사이에는, 각도 검출기(45)가 배설되어 있어서, 고정자에 대한 회전자의 각도를 검출할 수 있다. 하우징(43)에는, 브레이크(46)가 장착되어 있으며, 회전자(100)에 제동 토크를 부여할 수 있다. 회전자(100)에는, 시브(9)가 장착되어 있으며, 토크를 외부에 전달할 수 있다.
1 : 요크 2 : 영구 자석
3 : 내주면 4 : 홀더
5 : 분할 홀더 6 : 가이드부
7 : 하측 브릿지부 8 : 상측 브릿지부
9 : 시브 보지부 10 : 연결부
11 : 시브 12 : 둘레 결정면
13 : 축결정면 14 : 개구부
15 : 반경 결정면 16 : 릴리프부
17 : 반경 접촉면 18 : 축 접촉면
19 : 자석 외주면 20 : 자석 내주면
21 : 하측 홀더 22 : 상측 홀더
23 : 하측 가이드부 24 : 상측 가이드부
25 : 하측 둘레 결정면 26 : 상측 둘레 결정면
27 : 하측 반경 결정면 28 : 상측 반경 결정면
29 : 하측 링 30 : 상측 링
31 : 금형 40 : 고정자
41 : 철심 42 : 코일
32 : 하우징 44 : 베어링
45 : 각도 검출기 46 : 브레이크
100, 100a : 회전자

Claims (16)

  1. 원통 형상의 요크와,
    상기 요크의 내주면에 장착된 홀더와,
    상기 홀더에, 둘레 방향으로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영구 자석을 구비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요크의 둘레 방향 또는 축방향으로 분할된 분할 홀더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분할 홀더는 상기 복수의 영구 자석 중 적어도 1개를 보지시키는 영구 자석 보지부와, 상기 영구 자석 각각과 상기 요크 사이에 마련된 개구부를 갖는
    회전 전기의 회전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분할 홀더를 복수 개 일체로 형성한 것을 원환 형상으로 배치하여 구성되어 있는
    회전 전기의 회전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서로 분리된 하측 홀더와 상측 홀더로 구성되며,
    상기 하측 홀더에 있어서의 상기 분할 홀더의 상기 영구 자석 보지부 및 상기 상측 홀더에 있어서의 상기 분할 홀더의 상기 영구 자석 보지부는 각각, 상기 복수의 영구 자석 각각의 하측 부분 및 상측 부분을 보지하는
    회전 전기의 회전자.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영구 자석 보지부는, 상기 영구 자석 각각의 양측에 위치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인접하는 것끼리를 연결하는 하측 브릿지부 및 상측 브릿지부로 구성되어 있는
    회전 전기의 회전자.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둘레 결정면을 갖고 있으며, 상기 둘레 결정면과 상기 영구 자석이 접한 상태로 상기 영구 자석이 상기 개구부를 거쳐서 상기 요크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회전 전기의 회전자.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둘레 결정면보다 외주측에 배치되며 상기 둘레 결정면에 접속된 반경 결정면을 갖고 있으며, 상기 반경 결정면과 상기 영구 자석이 접한 상태로 상기 영구 자석이 상기 개구부를 거쳐서 상기 요크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회전 전기의 회전자.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반경 결정면보다 외주측에 릴리프부를 가지며, 상기 릴리프부는 상기 영구 자석의 축방향과 간섭하지 않도록 개방되어 있는
    회전 전기의 회전자.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측 브릿지부는 축 결정면을 갖고 있으며, 상기 축 결정면과 상기 영구 자석이 접한 상태로 상기 영구 자석이 상기 개구부를 거쳐서 상기 요크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회전 전기의 회전자.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외주측의 단부면인 반경 접촉면은 상기 요크의 내주면과 접하며, 상기 상측 브릿지부의 반경 방향의 플랜지부의 축방향의 하측 단부면인 축 접촉면은 상기 요크의 축방향의 상측 단부면과 접하고 있는
    회전 전기의 회전자.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의 내주면에는 시브 보지부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요크와 상기 시브 보지부는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서 일체로 되어 있으며, 상기 시브 보지부에는 시브가 장착되어 있는
    회전 전기의 회전자.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 자석은 자석 외주면과, 상기 자석 외주면의 반대측에 자석 내주면을 갖고 있으며, 상기 자석 외주면은 원호 형상이고, 상기 자석 내주면은 평탄하며, 상기 자석 외주면을 외주측을 향하게 하고 상기 자석 내주면을 내주측을 향하게 하여 요크에 장착되는
    회전 전기의 회전자.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재료는 수지인
    회전 전기의 회전자.
  13. 서로 분리된 하측 링 및 상측 링을 원통 형상의 요크의 내주면에 원환 형상이 되도록 장착하고,
    상기 요크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하측 링 및 상측 링에 대하여, 복수의 영구 자석 각각의 하측 부분 및 상측 부분을 보지하는 영구 자석 보지부를 형성시키는 금형을 축방향 또는 반경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가압하는 것에 의해, 상기 영구 자석 보지부를 갖는 분할 홀더로 구성된 홀더를 성형하는
    회전 전기의 회전자의 제조 방법.
  14. 복수의 영구 자석 각각을 보지하는 영구 자석 보지부와, 상기 복수의 영구 자석 각각의 요크측의 면을 요크의 내주면에 밀착시키는 개구부를 갖는 분할 홀더로 구성된 홀더에 미착자의 상기 복수의 영구 자석을 장착하고,
    상기 복수의 영구 자석 각각의 내주면을 비자성의 커버로 덮고 상기 복수의 영구 자석 각각을 착자시키고,
    상기 복수의 영구 자석 각각의 내주면을 상기 커버로 덮은 채로 상기 홀더를 상기 요크의 내주면에 장착하고,
    상기 복수의 영구 자석 각각을 상기 개구부를 거쳐서 요크의 내주면에 밀착시키는
    회전 전기의 회전자의 제조 방법.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회전 전기의 회전자와 고정자를 구비하고 있는
    회전 전기.
  16. 청구항 15에 기재된 회전 전기를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KR1020197013222A 2016-11-15 2017-11-07 회전 전기의 회전자 및 회전 전기의 회전자의 제조 방법 KR201900610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22200 2016-11-15
JP2016222200 2016-11-15
PCT/JP2017/040011 WO2018092628A1 (ja) 2016-11-15 2017-11-07 回転電機の回転子および回転電機の回転子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063A true KR20190061063A (ko) 2019-06-04

Family

ID=62146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3222A KR20190061063A (ko) 2016-11-15 2017-11-07 회전 전기의 회전자 및 회전 전기의 회전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WO2018092628A1 (ko)
KR (1) KR20190061063A (ko)
CN (1) CN109923759A (ko)
DE (1) DE112017005750T5 (ko)
WO (1) WO201809262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2105B1 (ko) * 2022-12-14 2023-11-14 하이젠알앤엠 주식회사 외륜형 영구 자석 모터의 회전자 및 이를 포함하는 외륜형 영구 자석 모터를 제조하는 외륜형 영구 자석 모터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32741A (zh) * 2018-07-13 2018-11-16 广州博捷电机有限公司 一种外转子永磁电机的外转子结构
CN112910196A (zh) * 2019-12-04 2021-06-04 东芝生活电器株式会社 转子以及洗衣机的转子的制造方法
US20220181931A1 (en) * 2020-12-04 2022-06-09 Aurora Flight Sciences Corporation, a subsidiary of The Boeing Company Rotor for electric motor
WO2023118109A1 (de) * 2021-12-21 2023-06-29 Robert Bosch Gmbh Rotor, nabenmoto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rotor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78838A (ja) 2008-05-19 2009-11-26 Meidensha Corp アウターロータ型永久磁石式電動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59460A (en) * 1981-08-03 1982-04-09 Shokichi Kumakura Formation of anisotropic annular magent for bicycle generator
JPS59135084U (ja) * 1983-03-01 1984-09-10 株式会社三ツ葉電機製作所 磁石発電機の回転子
JP2003244917A (ja) * 2002-02-19 2003-08-29 Denso Trim Kk 磁石式発電機
TWI258913B (en) * 2004-03-11 2006-07-21 Yung Tay Engineering Co Ltd Exterior permanent magnet motor
JP5997654B2 (ja) * 2013-04-25 2016-09-28 ミネベア株式会社 モータ用ロータ、アウターロータ型モータおよびファンモータ
JP6429115B2 (ja) * 2014-12-25 2018-11-28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78838A (ja) 2008-05-19 2009-11-26 Meidensha Corp アウターロータ型永久磁石式電動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2105B1 (ko) * 2022-12-14 2023-11-14 하이젠알앤엠 주식회사 외륜형 영구 자석 모터의 회전자 및 이를 포함하는 외륜형 영구 자석 모터를 제조하는 외륜형 영구 자석 모터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92628A1 (ja) 2018-05-24
CN109923759A (zh) 2019-06-21
JPWO2018092628A1 (ja) 2019-03-14
DE112017005750T5 (de) 2019-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61063A (ko) 회전 전기의 회전자 및 회전 전기의 회전자의 제조 방법
US20070120436A1 (en) Motor
EP2475078B1 (en) Rotating electrical machine and rotating apparatus
KR20120089585A (ko) 회전 전기 및 회전 장치
US10886810B2 (en) Brushless motor and winding method for stator
JP2014072971A (ja) 表面磁石貼付型回転電機の回転子とその製造方法
JP7080831B2 (ja) アキシャルギャップ型回転電機の製造方法
JP2007195281A (ja) 回転電機用ステータコアおよびそのステータコアを用いたステータ
KR101611519B1 (ko) 영구자석형 로터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897635B (zh) 薄型卷扬机以及电梯设备
JP2007074844A (ja) ステータコア、モータ
JP6169247B2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
KR101247685B1 (ko) 로터, 이를 구비한 모터 및 로터 제조방법
JP2016182015A (ja) 埋込磁石型電動機、及びこの埋込磁石型電動機を用いたエレベータ用巻上機、及びこのエレベータ用巻上機を用いたエレベータ、及びこの埋込磁石型電動機を用いたインホイールモータ装置
CN210898688U (zh) 一种电机电枢绕组及含有该电枢绕组的双磁盘径向无铁芯永磁电机
WO2018088489A1 (ja) 回転電機の電機子、回転電機、エレベータ用巻上機、及び電機子の製造方法
JP2014190531A (ja) ブレーキ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0178386A (ja) ロータ及び表面磁石型回転電機
WO2017104345A1 (ja) 回転電機の組立装置および回転電機の製造方法
US20220302781A1 (en) Rotor
US20230001780A1 (en) Rotating electric machine and electrical wheel using this
CN212304917U (zh) 一种盘式电机及其转子
CN218243152U (zh) 一种绕线定子及其曳引机
KR19980033428U (ko) 교류 서보모터의 로터
JP2011176902A (ja) 電機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