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0916A - 핀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핀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0916A
KR20190060916A KR1020170158878A KR20170158878A KR20190060916A KR 20190060916 A KR20190060916 A KR 20190060916A KR 1020170158878 A KR1020170158878 A KR 1020170158878A KR 20170158878 A KR20170158878 A KR 20170158878A KR 20190060916 A KR20190060916 A KR 20190060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elastic member
fixing device
fixing
engag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8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6696B1 (ko
Inventor
지영교
Original Assignee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8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6696B1/ko
Publication of KR20190060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0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6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6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1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 F16B21/12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locking-pins or split-pins thrust into holes
    • F16B21/125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locking-pins or split-pins thrust into holes radially resilient or with a snap-action member, e.g. elastic tooth, pawl with spring, resilient coil or w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된 탄성 부재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핀을 고정하기 위한 핀 고정 장치로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전방부로부터 상기 몸체의 외부로 연장되는 결합부 및 상기 몸체의 후방부에 형성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핀; 및 상기 결합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홈을 갖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핀이 후진하여 상기 탄성 부재가 압축되고, 상기 결합부가 제1 위치로 회전한 후, 상기 핀이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서 전진하여 상기 결합부가 상기 고정부의 상기 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핀이 고정되고, 상기 핀이 후진하여 상기 탄성 부재가 압축됨으로써 상기 핀이 상기 홈에서 이탈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회전한 후, 상기 핀이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서 전진함으로써 상기 핀이 분리되는 핀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핀 고정 장치{MEAN FOR FASTENING PIN}
본 발명은 핀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압축된 탄성 부재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핀을 고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계 장치는 보통 전동 요소, 축계 요소, 운동조정용 요소 등 다양한 하위 부품 및 결합용 요소로 구분될 수 있다. 이중 결합용 요소는 부품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결합용 요소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경우, 기계의 진동 및 거동이 설계한 것과 다르게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곧 기계 장치의 내구성 및 안전성과 직결될 수 있다. 결합용 기계 요소의 예로는, 나사, 볼트와 너트, 핀, 키 및 리벳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핀은, 작은 지름의 환봉으로서, 주로 접촉면의 미끄럼 방지, 나사의 풀림 방지, 위치의 고정 등 작은 힘이 걸리는 곳에 쓰인다. 그 종류로는 평행 핀 및 테이퍼 핀 및 분할 핀 등을 들 수 있다.
그런데 핀 단독으로는 결합력이 약할 수가 있어서, 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 볼트를 사용하여 핀을 고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결합 방식에 의해, 볼트의 변형 및 파손과 같은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핀과 볼트의 조립 및 해체 과정은 별도의 복잡한 공정을 요구하여 불편이 가중되는 상황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탄성 부재를 이용하여, 탄성 부재의 압축 시 발생하는 복원력에 의해 핀의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는 핀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핀이 미리 정해진 위치로 회전할 때 탄성 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핀이 고정되고, 다시 핀이 다른 미리 정해진 위치로 회전할 때 탄성 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핀이 분리되는 등 간편한 고정 및 분리가 가능한 핀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핀에 원치 않는 진동이 가해질 때 탄성 부재에 의해 외부의 진동이 감쇄되고, 핀이 고정부에 그대로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는 핀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압축된 탄성 부재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핀을 고정하기 위한 핀 고정 장치로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전방부로부터 상기 몸체의 외부로 연장되는 결합부 및 상기 몸체의 후방부에 형성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핀; 및 상기 결합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홈을 갖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핀이 후진하여 상기 탄성 부재가 압축되고, 상기 결합부가 제1 위치로 회전한 후, 상기 핀이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서 전진하여 상기 결합부가 상기 고정부의 상기 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핀이 고정되고, 상기 핀이 후진하여 상기 탄성 부재가 압축됨으로써 상기 핀이 상기 홈에서 이탈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회전한 후, 상기 핀이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서 전진함으로써 상기 핀이 분리되는 핀 고정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이 상술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해결 수단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 부재의 압축 시 발생하는 복원력에 의해 핀의 고정력이 유지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핀의 회전에 의해 결정되는 위치에 의하여 탄성 부재의 복원력이 핀을 고정하거나, 핀을 분리하도록 작용되도록 조절됨으로써, 간편한 핀의 고정 및 분리가 가능해질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 부재에 의해 핀이 고정됨으로써, 핀에 원치 않는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외부의 진동이 감쇄되고, 핀이 고정부에 그대로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 고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핀 고정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 고정 장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핀 고정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핀 고정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 고정 장치가 분리 상태에서 고정 상태로 변경되는 작동을 순서대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 고정 장치가 고정 상태에서 분리 상태로 변경되는 작동을 순서대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핀 고정 장치는 압축된 탄성 부재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핀을 고정하기 위한 핀 고정 장치로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전방부로부터 상기 몸체의 외부로 연장되는 결합부 및 상기 몸체의 후방부에 형성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핀; 및 상기 결합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홈을 갖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핀이 후진하여 상기 탄성 부재가 압축되고, 상기 결합부가 제1 위치로 회전한 후, 상기 핀이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서 전진하여 상기 결합부가 상기 고정부의 상기 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핀이 고정되고, 상기 핀이 후진하여 상기 탄성 부재가 압축됨으로써 상기 핀이 상기 홈에서 이탈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회전한 후, 상기 핀이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서 전진함으로써 상기 핀이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에서의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위치에서의 상기 결합부에 비하여 90°만큼 회전한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핀 고정 장치는 상기 몸체의 전방부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핀은 회전이 용이하도록 실린더 형이고, 상기 결합부는 판 형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핀 고정 장치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핀 고정 장치는 결합용 기계 요소의 하나로서, 탄성 부재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핀을 고정시키는 장치이다. 핀 고정 장치에 의하면 핀을 회전시키는 간단한 동작을 통해서 핀의 고정 및 분리가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 고정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핀 고정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핀 고정 장치는 핀 및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핀은, 기계 부품들을 서로 연결 및 고정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계 요소이다. 핀의 일측에는 탄성 부재가 위치할 수 있다. 핀은 직선운동에 의해 탄성 부재를 압축할 수 있다. 탄성 부재와 반대편에 위치하는 핀의 타측에는 고정부가 위치할 수 있다. 핀은 고정부에 의해 그 거동이 제한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핀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특징을 제외하고는 관련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핀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핀의 재질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핀과 같이 강성의 금속 물질일 수 있다.
핀은 몸체, 결합부, 손잡이 및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는 핀의 외형을 결정하는 구성으로서, 몸체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대체로 몸체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봉 또는 실린더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핀이 평행핀인 경우 몸체의 직경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고, 또는 핀이 테이퍼 핀인 경우 몸체의 직경이 한쪽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질 수 있으며, 핀이 분할 핀인 경우 몸체가 머리핀처럼 두 개의 다리로 나누어질 수 있다.
몸체는 외력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직선 운동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방은, 탄성 부재가 이완되는 방향일 수 있고, 후방은 탄성 부재가 수축되는 방향일 수 있다.
결합부는 고정부와 결합함으로써 핀을 고정시키는 구성이다.
결합부는 몸체의 전방부에 위치할 수 있다.
결합부는 전후 방향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 몸체의 외부로 연장되는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가 몸체 외부로 연장되는 방향은 미리 정해진 방향 및 범위에 한정될 수 있다. 따라서 핀이 회전함에 따라서 결합부가 위치하는 방향이 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핀이 미리 정해진 위치로 회전하여 결합부의 위치에 고정부가 있는 경우, 결합부와 고정부가 결합할 수 있다. 다시 핀이 회전하여 결합부의 위치와 고정부의 위치가 어긋나는 경우, 결합부와 고정부가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부는 고정부 내 홈에 삽입됨으로서 고정부와 결합할 수 있다. 관련 내용은 이하 고정부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손잡이는 핀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손잡이의 회전 시 몸체 및 결합부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손잡이는 파지가 용이하도록 몸체에서 돌출되는 형태일 수 있다. 손잡이는 창을 구비할 수 있다. 조작자는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로 몸체를 회전시킬 수 있고, 또는 조작자는 창에 기구를 결합하고 상기 기구를 회전시킴으로써 몸체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탄성 부재는, 핀이 고정부에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탄성 부재는 기계 장치의 동작 중 발생할 수 있는 외력, 이로 인한 진동에 대하여 핀과 고정부의 결합이 해제되지 않도록 충분히 강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탄성 부재는 변형이 일어나면, 변형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일으키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성 부재는 강 스프링, 고무 스프링, 가스 스프링 및 공/유압 스프링 등일 수 있다.
탄성 부재는 핀의 후방부에 위치함으로써, 핀의 후진 시 몸체 후방부에 의해 압축될 수 있다.
고정부는, 핀의 결합부와 결합함으로써 핀을 고정하는 구성이다.
고정부는 핀의 결합부를 수용할 수 있는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홈으로 결합부가 탄성 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삽입될 수 있고, 결합부가 홈에 밀착됨으로써 핀과 고정부가 결합할 수 있다.
홈에 핀의 결합부가 삽입되면, 핀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홈은 결합부와 동일하거나 조금 큰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홈은 회전 방지벽을 구비할 수 있고, 결합부는 회전 방지벽에 의해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홈에 핀의 결합부가 삽입되면, 핀은 전방으로는 고정부에 가로막혀 진행할 수 없다. 또한 핀은 후방으로는 탄성 부재의 탄성력보다 큰 힘이 작용하지 않는 이상 햐향으로 진행할 수 없다.
핀 고정 장치는 추가적으로 가이드부 및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가이드부는 핀의 전진 및 후진 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가이드부에 의해 핀은 전진 및 후진 운동의 방향이 어긋나지 않고, 직선 운동할 수 있다. 가이드부에 의해 핀은 상하 또는 좌우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부는 핀 고정 장치의 일 구성 요소일 수도 있으나, 또는 가이드부는 핀에 의해 결합되는 부품의 일 부분일 수도 있다.
지지부는 핀의 후방에 위치하면서 핀의 후진 시 탄성 부재가 압축되도록 탄성 부재의 후진을 막는 구성일 수 있다. 지지부와 핀의 거리가 좁혀짐에 따라 탄성 부재가 압축될 수 있다.
지지부는 핀 고정 장치의 일 구성 요소일 수도 있으나, 또는 지지부는 핀에 의해 결합되는 부품의 일 부분일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 고정 장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핀 고정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핀 고정 장치의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도 1 및 도 2에 비하여, 핀이 후진해 있고, 이에 따라 탄성 부재가 압축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이 때 도 1 및 도 2에 비하여 결합부가 회전하여 결합부가 고정부에 결합될 수 있는 방향으로 위치해 있음을 알 수 있다. 탄성 부재는 복원력에 의해 전방으로 몸체 후방부를 밀고, 이에 따라 결합부가 고정부의 홈 내부로 삽입 및 밀착됨을 알 수 있다. 결합부는 고정부 내에서 회전이 방지되고, 복원력보다 큰 외력이 후방으로 핀에 인가되지 않는 한 핀과 고정부의 결합이 유지될 수 있다.
핀 고정 장치가 탄성 부재에 의해 핀을 고정함으로써 핀 고정 장치가 갖는 이점은 다음과 같다.
핀을 누르고, 회전하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서 핀이 간편하게 고정 또는 분리될 수 있다.
기존에 사용되던 핀 결합 방식은 복잡하고, 시간 및 힘이 많이 드는 방식이었다. 예를 들어, 기존에는 핀의 회전 방지를 위해서 별도의 볼트를 사용하는 경우가 일반적이었다. 이 때 핀을 조립하거나, 해제하기 위해서 볼트를 수없이 회전시키는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볼트가 일부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경우 회전이 더욱 힘들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핀 고정 장치는 탄성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탄성 부재는 복원력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압축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을 가하여 탄성 부재를 압축시킴으로써, 쉽게 핀을 고정부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탄성 부재의 복원력에 의해서 탄성 부재가 스스로 전진하기 때문에, 작업자는 외력을 제거하여 핀이 전진하도록 함으로써, 간단하게 핀을 고정 장치로부터 제거하거나, 핀을 고정부에 밀착시켜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핀 고정 장치는 기존의 핀 결합 방식에 비해 매우 간편한 핀의 고정 및 분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이점으로는, 핀 고정 장치의 탄성 부재가 진동에 대한 댐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라는 점이다.
기계 장치의 작동 중 불필요하게 발생하는 진동은, 부품 간 결합을 느슨하게 하고, 부품의 파손을 야기하는 등 장기적으로 기계 장치의 내구성을 약화시키는 요소일 수 있다.
핀 고정 장치는 탄성 부재를 이용해 부품을 결합시킴으로써, 원치 않는 진동을 감쇄시키고,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볼트의 풀림과 같이 부품 간 결합이 약화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진동이 발생하는 동안에도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핀은 고정부에 지속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 고정 장치가 분리 상태에서 고정 상태로 변경되는 작동을 순서대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핀과 고정부는 분리된 상태이다. 핀의 결합부가 고정부와 결합되지 않도록, 결합부의 연장 방향이 고정부를 향하지 않는 상태이다. 예를 들면 결합부가 돌출 연장되는 방향은, 몸체가 연장되는 전후 방향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 0° 또는 180°를 향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이후 외력이 작용하여 핀이 후진하고, 이에 따라 탄성 부재가 압축될 수 있다. 이로써, 결합부가 고정부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이후 핀은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탄성 부재는 여전히 압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핀이 회전함으로써 결합부와 고정부가 결합될 수 있는 위치에 결합부가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합부의 돌출 연장 방향은 전후 방향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 90° 또는 270°를 향할 수 있다. 회전 방향은 예를 들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일 수 있다.
도 5(d)를 참조하면, 이후 외력이 제거되고 탄성 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핀이 전진할 수 있다. 결합부가 고정부 내 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면 핀의 전진은 중단된다. 고정된 상태에서 핀은 회전할 수 없고, 전진할 수 없으며, 복원력보다 큰 힘이 후방으로 작용하지 않는 이상 후진할 수 없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서 핀은 분리된 상태에서 고정된 상태로 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 고정 장치가 분리 상태에서 고정 상태로 변경되는 작동을 순서대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핀은 고정부에 결합되어 고정된 상태이다. 핀의 결합부가 고정부 내 홈에 삽입 및 밀착될 수 있다. 결합부의 돌출 연장 방향은, 예를 들면 전후 방향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 90° 또는 270°를 향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이후 외력이 작용하여 핀이 후진하고, 이에 따라 탄성 부재가 압축될 수 있다. 이로써, 결합부가 홈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고, 결합부가 고정부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이후 핀은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탄성 부재는 여전히 압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핀이 회전함으로써, 결합부가 홈에 삽입될 수 없도록 결합부의 돌출 연장 방향이 홈을 향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결합부의 돌출 연장 방향은 전후 방향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 0° 또는 180°를 향할 수 있다. 회전 방향은 예를 들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일 수 있다.
도 6(d)를 참조하면, 이후 외력이 제거되고 탄성 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핀이 전진할 수 있다. 핀이 전진하더라도, 결합부의 방향이 고정부를 향하지 않으므로 핀은 고정되지 않고 분리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서 핀은 고정된 상태에서 분리된 상태로 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핀 고정 장치 10
핀 100
몸체 120
결합부 140
손잡이 160
고정부 200
홈 220
탄성 부재 300
가이드부 400
지지부 500

Claims (4)

  1. 압축된 탄성 부재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핀을 고정하기 위한 핀 고정 장치로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전방부로부터 상기 몸체의 외부로 연장되는 결합부 및 상기 몸체의 후방부에 형성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핀; 및
    상기 결합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홈을 갖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핀이 후진하여 상기 탄성 부재가 압축되고, 상기 결합부가 제1 위치로 회전한 후, 상기 핀이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서 전진하여 상기 결합부가 상기 고정부의 상기 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핀이 고정되고,
    상기 핀이 후진하여 상기 탄성 부재가 압축됨으로써 상기 핀이 상기 홈에서 이탈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회전한 후, 상기 핀이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서 전진함으로써 상기 핀이 분리되는
    핀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에서의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위치에서의 상기 결합부에 비하여 90°만큼 회전한 상태인
    핀 고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 고정 장치는,
    상기 몸체의 전방부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핀 고정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회전이 용이하도록 실린더 형이고,
    상기 결합부는 판 형인
    핀 고정 장치.
KR1020170158878A 2017-11-24 2017-11-24 핀 고정 장치 KR102046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878A KR102046696B1 (ko) 2017-11-24 2017-11-24 핀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878A KR102046696B1 (ko) 2017-11-24 2017-11-24 핀 고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0916A true KR20190060916A (ko) 2019-06-04
KR102046696B1 KR102046696B1 (ko) 2019-11-21

Family

ID=66811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8878A KR102046696B1 (ko) 2017-11-24 2017-11-24 핀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669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2130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일체형 선바이저 리테이너의 조립구조
JPH11280724A (ja) * 1998-03-30 1999-10-15 Nec Data Terminal Ltd カバー固定構造および方法
KR20040079951A (ko) * 2002-02-11 2004-09-16 펨 매니지먼트 인코퍼레이티드 두 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스냅 결합되는 패널 패스너
KR20100065311A (ko) * 2007-08-06 2010-06-16 낸시 테데시 브레이크어웨이를 포함한 나사 및 이를 이용하기 위한 방법
KR20160004240U (ko) * 2015-06-02 2016-12-12 조승자 배관 연결용 클램프
KR20170013953A (ko) * 2014-06-02 2017-02-07 메탈로제니아 리서치 앤드 테크놀러지스 에스.엘. 마모 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잠금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2130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일체형 선바이저 리테이너의 조립구조
JPH11280724A (ja) * 1998-03-30 1999-10-15 Nec Data Terminal Ltd カバー固定構造および方法
KR20040079951A (ko) * 2002-02-11 2004-09-16 펨 매니지먼트 인코퍼레이티드 두 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스냅 결합되는 패널 패스너
KR20100065311A (ko) * 2007-08-06 2010-06-16 낸시 테데시 브레이크어웨이를 포함한 나사 및 이를 이용하기 위한 방법
KR20170013953A (ko) * 2014-06-02 2017-02-07 메탈로제니아 리서치 앤드 테크놀러지스 에스.엘. 마모 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잠금 장치
KR20160004240U (ko) * 2015-06-02 2016-12-12 조승자 배관 연결용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6696B1 (ko) 2019-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42157A1 (en) Fastening structure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US20070125900A1 (en) Tape holding device
US20170225218A1 (en) Compression connection device for pipe
US20180255654A1 (en) Bracket for fixing electronic device and mechanism for fixing electronic device
TWM525260U (zh) 夾取裝置
KR101828945B1 (ko) 블라인드 볼트
KR20190060916A (ko) 핀 고정 장치
TWI640138B (zh) 壓接手工具
US20200003961A1 (en) Pin removal device for a fiber optic connector, and a combination of pin removal device and fiber optic
US3665581A (en) Flaring tool
KR102552500B1 (ko) 호스 클램프
KR101776099B1 (ko) 오일부스에 대해 샤프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지그 장치
JP6543806B2 (ja) インパクト工具
KR100398134B1 (ko) 패널 고정용 지그 핀 장치
US3062503A (en) Ring clamp compressor
JP3187068U (ja) 緩み防止ナット
WO2021149755A1 (ja) 物品の連結具、及びそれを用いた連結構造
JP7142353B2 (ja) トルクレンチ
KR101395066B1 (ko) 리벳 제거 장치
JP2014140908A (ja) クリップ装着装置
KR102663728B1 (ko) 전동공구
AU2017100765A4 (en) Easily-operated pickup device for an encoder
RU2506467C1 (ru) Узел крепления двух объектов
JP2010007821A (ja) クリップ
JP2016056840A (ja) 内面接合継手及びその接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