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5066B1 - 리벳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리벳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5066B1
KR101395066B1 KR1020120148243A KR20120148243A KR101395066B1 KR 101395066 B1 KR101395066 B1 KR 101395066B1 KR 1020120148243 A KR1020120148243 A KR 1020120148243A KR 20120148243 A KR20120148243 A KR 20120148243A KR 101395066 B1 KR101395066 B1 KR 101395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rivet
moving rod
moving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8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음용진
Original Assignee
(주)로보티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로보티즈 filed Critical (주)로보티즈
Priority to KR1020120148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50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5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5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5/00Riveting
    • B21J15/38Accessories for use in connection with riveting, e.g. pliers for upsetting; Hand tools for riveting
    • B21J15/50Removing or cutting devices for riv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11/00Nail, spike, and staple ex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00Hand hammers; Hammer heads of special shape or materials
    • B25D1/04Hand hammers; Hammer heads of special shape or materials with provision for withdrawing or holding nails or spi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리벳 제거 장치는, 이동로드 및 상기 이동로드로부터 분기되어 전단이 상기 이동로드의 중심축으로부터 외측으로 편향된 복수의 고정로드를 구비하는 슬라이더;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가 수용되는 내부공간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전단이 개방되며,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내부공간을 따라 이동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더가 후퇴할수록 상기 고정로드의 편향각은 감소한다.

Description

리벳 제거 장치{RIVET REMOVING APPARATUS}
본 발명은 리벳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결합재를 상호 결합한 리벳을 제거할 수 있는 리벳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2 이상의 피결합재들을 상호 결합하기 위한 종래의 결합체 중 대표적인 것이 볼트와 너트이며, 볼트와 너트는 나사체결을 통해 피결합재를 견고하게 연결한다. 그러나, 볼트는 일자 홈이나 십자 홈을 가지며, 드라이버와 같은 별도의 공구를 일자 홈이나 십자 홈에 삽입하여 볼트를 너트에 체결해야 한다. 따라서, 볼트를 반복적으로 사용할 경우, 일자 홈이나 십자 홈이 공구에 의해 마모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플라스틱과 같이 강도가 낮은 재료로 이루어진 볼트와 너트를 사용할 경우, 볼트 및 너트의 체결력에 의해 나사산이 마모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플라스틱 가루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볼트와 너트로 연결된 피결합재에 지속적인 충격이 가해지거나, 피결합재가 반복적인 운동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체결된 볼트와 너트의 결합이 느슨해질 수 있으며, 심지어 피결합재가 분리될 수 있다.
조립식 로봇, 블럭 완구 등의 경우에는 다수의 피결합재들을 다중 결합하여 사용자가 의도하는 로봇, 완구 등을 완성하며, 피결합재들은 반복적 다중 결합과 회전이 가능해야 한다. 그러나, 볼트와 너트 결합의 경우, 피결합재 간의 결합이 항상 고정결합이므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피결합재들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는 제한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2008-0066382호 2008. 07. 16.
본 발명의 목적은 피결합재를 상호 결합한 리벳을 제거할 수 있는 리벳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은 힘으로도 손쉽게 리벳을 제거할 수 있는 리벳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거시 리벳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리벳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리벳 제거 장치는, 이동로드 및 상기 이동로드로부터 분기되어 전단이 상기 이동로드의 중심축으로부터 외측으로 편향된 복수의 고정로드를 구비하는 슬라이더;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가 수용되는 내부공간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전단이 개방되며,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내부공간을 따라 이동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더가 후퇴할수록 상기 고정로드의 편향각은 감소한다.
상기 베이스는 파이프 형상의 전방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로드의 편향각은 상기 전방부의 내경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리벳 제거 장치는, 상기 베이스의 개방된 일측에 설치되며, 후단부가 상기 일측의 후단부에 힌지를 통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핸들; 그리고 일단부가 상기 이동로드의 후단부에 힌지를 통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타단부가 상기 핸들의 전단부에 힌지를 통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링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로드는 상기 핸들과 대향되는 일면으로부터 함몰되어 전단을 향해 점진적으로 깊이가 감소하는 형상인 수용홈을 가지며, 상기 링크의 후단부는 상기 수용홈의 후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리벳 제거 장치는, 상기 베이스의 외측에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편심되도록 설치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이동로드를 가압하는 구동캠; 그리고 상기 구동캠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캠과 함께 회전하는 핸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로드는 상기 베이스의 개방된 일측과 대향되는 일면으로부터 함몰된 수용홈 및 상기 수용홈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구동캠의 외주면에 의해 가압되는 종동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이동로드는 상기 베이스의 개방된 일측과 대향되는 일면으로부터 함몰된 수용홈 및 상기 수용홈의 후방에 위치하는 종동면을 가지며, 상기 리벳 제거 장치는 상기 베이스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승강하여 상기 종동면을 가압하는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내부공간을 가지는 보조베이스; 상기 주베이스가 수용되는 외측 내부공간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전단이 개방되며, 상기 주베이스가 상기 외측 내부공간을 따라 이동하는 주베이스; 그리고 일측이 외부힌지를 통해 상기 주베이스의 개방된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타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보조베이스의 개방된 일측에 내부힌지를 통해 연결되는 이동슬롯을 가지는 링크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로드는 상기 보조베이스의 개방된 일측과 대향되는 일면으로부터 함몰된 수용홈 및 상기 수용홈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링크가 상기 외부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링크의 타측을 통해 가압되는 종동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리벳 제거 장치는 상기 내부공간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와 상기 이동로드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로드에 대하여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방향에 따른 상기 슬라이더의 길이는 상기 베이스의 개방된 일측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이동로드는 이동방향과 나란한 이동슬롯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는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이동슬롯에 삽입되고 상기 이동로드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이동슬롯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로드는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지지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작은 힘으로도 손쉽게 리벳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고정로드를 통해 리벳을 고정한 상태에서 리벳을 피결합재로부터 제거하므로, 리벳 제거시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거과정에서 리벳을 쉽게 회수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리벳 제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벳 제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슬라이더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2에 도시한 리벳 제거 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벳 제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벳 제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벳 제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리벳 제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2 이상의 피결합재들(3,4)은 리벳(2)을 통해 결합될 수 있으며, 피결합재(3,4)가 플라스틱 재질인 경우 리벳(2) 역시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여 리벳(2)으로 인한 피결합재(3,4)의 손상을 최소화한다.
한편, 피결합재(3,4)는 리벳(2)의 제거를 통해 서로 분리될 수 있으며, 리벳 제거 장치(1)는 리벳(2)의 제거를 돕는다. 리벳 제거 장치(1)는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리벳(2)을 제거한다. 즉, 리벳 제거 장치(1)는 선단부 일측에 형성된 'V'자 형태의 홈을 가지며, 리벳 제거 장치(1)를 리벳(2)의 헤드 아래에 밀어 넣어 헤드가 홈 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후, 리벳 제거 장치(1)의 후단부를 누르면, 리벳(2)은 피결합재(3,4)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리벳 제거 장치(1)는 리벳(2)에 대해 정상향이 아닌 대각선 방향으로 힘을 가하므로, 리벳(2)의 변형으로 인한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제거과정에서 리벳(2)이 리벳 제거 장치(1)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없으므로, 리벳 제거 장치(1)의 후단부를 누를 경우, 리벳(2)이 순간적인 힘으로 인해 날아가는 문제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벳 제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슬라이더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벳 제거 장치는 베이스(5)와 슬라이더(8)를 포함한다. 베이스(5)는 내부공간(15)을 가지며, 내부공간(15)은 개방된 전단 및 개방된 일측(25)을 통해 외부와 연결된다. 내부공간(15)은 개방된 일측에 대응되는 개방공간과 후술할 탄성체(9)가 수용되는 수용공간, 그리고 후술할 고정로드(38)의 편향각을 제한하는 작동공간으로 구분된다.
핸들(6)은 베이스(5)의 개방된 일측(25)에 설치되며, 후단부가 일측(25)의 후단부에 힌지를 통해 연결된다. 따라서, 핸들(6)은 힌지를 통해 회전가능하며, 핸들(6)은 회전을 통해 개방된 일측(25)을 개폐할 수 있다. 즉, 핸들(6)은 개방된 일측(25)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므로, 시계방향(도 2를 기준)으로 완전히 회전한 상태에서 개방된 일측(25)은 폐쇄되며, 리벳 제거 장치(100)는 매끄러운 파이프 형태로 가진다. 따라서, 리벳 제거 장치(100)를 용이하게 휴대하거나 보관할 수 있다.
슬라이더(8)는 베이스(5)의 내부공간(15)을 따라 이동하며, 이동로드(18,28) 및 고정로드(38)를 구비한다. 고정로드(38)는 이동로드(18,28)의 전단으로부터 분기되어 일정한 각도(예를 들어, 120도)로 이격배치되며,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이동로드(18,28)의 중심축으로부터 외측으로 편향된(또는 벌어진) 상태를 유지한다. 고정로드(38)는 탄성 재질이며, 외력에 의해 변형된 후 탄성력에 의해 복원될 수 있다. 고정로드(38)는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돌기(39)를 구비한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8)는 핸들(6)과 대향되는 일면으로부터 함몰된 수용홈(29)을 가지며, 수용홈(29)은 전단을 향해 점진적으로 깊이가 감소한다. 링크(7)는 일단이 전방이동로드(28)의 후단부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어 회전가능하며, 타단이 핸들(6)의 전단부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어 회전가능하다. 링크(7)는 핸들(6)의 회전운동을 이동로드(18,28)의 직선운동으로 전환한다. 특히, 핸들(6)이 시계방향으로 완전히 회전한 상태에서, 링크(7)는 수용홈(29) 내에 수용된다. 결론적으로, 핸들(6)이 시계방향으로 완전히 회전한 상태에서, 링크(7)와 핸들(6)은 일정한 공간 상에 수용되므로, 리벳 제거 장치(100)는 최소한의 부피를 유지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도 2에 도시한 리벳 제거 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리벳 제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8)가 베이스(5)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고정로드(38)의 편향각(벌어진 정도)은 베이스(5)의 전방부에 의해 제한된다. 즉, 베이스(5)의 전방부는 파이프 형상이며, 일정한 내경을 가진다. 따라서, 고정로드(38)의 편향각은 내경의 크기에 따라 제한되며, 제한되지 않은 상태(도 3에 도시)에 비해 편향각은 감소한다. 그러나, 베이스(5)의 전단을 통해 노출된 고정로드(38)의 전단부는 일정한 편향각을 가진다. 이 상태에서, 리벳 제거 장치(100)를 이동하여 리벳(10)의 헤드를 고정로드(38)의 내측에 위치시키며, 고정로드(38)의 지지돌기(39)는 리벳(10)의 헤드 아래에 위치시킨다. 리벳(10)은 피결합재(11,12)에 삽입되어 피결합재(11,12)를 연결한다.
이후,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6)을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핸들(6)은 회전시 지렛대의 원리를 통해 링크(7)에 비교적 큰 힘을 전달하며, 링크(7)에 의해 이동로드(18,28)는 이동공간(15)을 따라 후퇴한다. 또한, 고정로드(38)가 후퇴하면서 베이스(5)의 전방부를 통해 편향각의 제한을 받으므로, 고정로드(38)의 편향각은 감소하며(또는 고정로드(38)는 오므려지며), 리벳(10)의 헤드 아래에 위치하는 고정로드(38)의 지지돌기(39)는 내측을 향해 깊숙히 이동하여 리벳(10)을 고정한다. 즉, 리벳(10)은 고정로드(38)의 지지돌기(39)를 통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리벳(10)의 제거 과정에서 리벳(10)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6)을 시계방향으로 최대한 돌리면, 리벳(10)을 고정한 고정로드(38)의 지지돌기(39)는 베이스(5)의 이동공간(15)으로 수용되며, 베이스(5)의 전방부가 피결합재(11,12)를 지지한 상태에서 리벳(10)은 피결합재(11,12)와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겨져 제거된다.
한편, 전방이동로드(28)는 이동방향과 나란한 가이드슬롯(48)을 가지며, 베이스(5)는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가이드돌기(45)를 구비한다. 슬라이더(8)가 베이스(5)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상태에서, 가이드돌기(45)는 가이드슬롯(48) 내에 삽입설치되며, 슬라이더(8)의 이동시 가이드슬롯(48)을 따라 이동한다. 따라서, 슬라이더(8)가 내부공간(15) 내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체(9)는 내부공간(15)의 후방부에 위치하는 수용공간 내에 설치되며, 중공 형상인 후방이동로드(18)의 내부에 삽입된다. 탄성체(9)는 베이스(5)와 슬라이더(8) 사이에 설치되며, 슬라이더(8)에 대해 베이스(5)의 전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한다. 따라서, 핸들(6)의 작동에 의해 후퇴한 슬라이더(80는 핸들(6)에 가해진 외력을 제거하면 전진이동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며, 고정로드(38)의 편향각이 증가함에 따라 리벳(10)은 고정로드(38)로부터 자연스럽게 분리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의하면, 핸들(6)의 회전운동을 링크(7)를 통해 슬라이더(8)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며, 슬라이더(8)는 이동을 통해 고정로드(38)의 편향각을 축소함으로써 리벳(10)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리벳(10)을 피결합재(11,12)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더(8)의 이동방향에 따른 길이는 개방된 일측(25)의 길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며, 슬라이더(8)의 길이가 개방된 일측(25)의 길이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이동과정에서 슬라이더(8)가 베이스(5)로부터 이탈할 우려가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벳 제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생략된 설명은 앞서 설명한 내용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5)는 외주면에 설치되어 일측(25)의 외측에 배치되는 지지부재(50)를 구비하며, 회전축(52)은 지지부재(50)에 고정설치된다. 구동캠(6a)은 회전축(52)에 편심되도록 연결되며, 회전축(5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다. 핸들(6)은 구동캠(6a)에 연결되어 구동캠(6a)과 함께 회전한다.
슬라이더는 일측(25)과 대향되는 일면으로부터 함몰된 수용홈(29)을 가지며, 종동면(29a)은 수용홈(29)의 후방에 위치한다. 수용홈(29)은 전단을 향해 하향경사진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동캠(6a)은 회전축(52)에 편심되도록 연결되며, 구동캠(6a)의 외측면은 슬라이더(8)의 종동면(29a)과 접촉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캠(6a)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슬라이더는 구동캠(6a)에 의해 가압되며, 슬라이더는 이동공간(15)을 따라 후퇴한다. 즉, 구동캠(6a)의 회전운동은 슬라이더의 직선운동으로 변환된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더가 후퇴하면서 베이스(5)의 전방부를 통해 편향각의 제한을 받으므로, 고정로드(38)의 편향각은 감소하며(또는 고정로드(38)는 오므려지며), 고정로드(38)의 지지돌기(39)는 베이스(5)의 이동공간(15)으로 수용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벳 제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생략된 설명은 앞서 설명한 내용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베이스(58)는 내부공간(15)을 가지며, 내부공간(15)은 개방된 전단 및 개방된 일측(55)을 통해 외부와 연결된다. 보조베이스(58)는 원통 형상의 전방부를 가지며, 고정로드(38)의 편향각은 보조베이스(58)의 전방부를 통해 제한된다. 주베이스(5)는 외측 내부공간을 가지며, 외측 내부공간은 개방된 전단 및 개방된 일측(25)을 통해 외부와 연결된다. 보조베이스(58)는 주케이스(5)의 외측 내부공간 내에 삽입설치되며, 후술하는 링크(7)의 회전에 따라 외측 내부공간을 따라 이동한다.
슬라이더는 보조베이스(58)의 내부공간(15)을 따라 이동하며, 이동로드(18,28) 및 고정로드(38)를 구비한다. 슬라이더는 일측(55)과 대향되는 일면으로부터 함몰된 수용홈(29)을 가지며, 종동면(29a)은 수용홈(29)의 후방에 위치한다. 수용홈(29)은 전단을 향해 하향경사진다.
링크(7)는 주베이스(5)의 개방된 일측(25)에 일단이 힌지(h1)를 통해 연결되며, 링크(7)는 힌지(h1)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링크(7)는 보조베이스(58)의 개방된 일측(55)을 통해 보조베이스(58)의 내부공간(15)에 위치하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이동슬롯(7a)을 가진다. 힌지(h2)는 이동슬롯(7a)을 관통하여 보조베이스(58)의 내부에 고정되며, 링크(7)는 힌지(h2)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링크(7)의 타단은 수용홈(29) 내에 위치하며, 링크(7)의 회전시 타단은 종동면(29a)을 가압한다.
먼저, 리벳 제거 장치(100)를 이동하여 리벳(10)의 헤드를 고정로드(38)의 내측에 위치시키며, 고정로드(38)의 지지돌기(39)는 리벳(10)의 헤드 아래에 위치시킨다. 이후, 주베이스(5)를 가압하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베이스(58)는 주베이스(5)의 외측 내부공간을 따라 이동하며, 힌지(h2)는 보조베이스(58)와 함께 이동한다. 따라서, 링크(7)는 힌지(h1,h2)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이때, 링크(7)의 타단(또는 하단)은 슬라이더의 종동면(29a)을 가압하며, 슬라이더는 이동공간(15)을 따라 후퇴한다.
또한, 슬라이더가 후퇴하면서 보조베이스(58)의 전방부를 통해 편향각의 제한을 받으므로, 고정로드(38)의 편향각은 감소하며(또는 고정로드(38)는 오므려지며), 고정로드(38)의 지지돌기(39)는 베이스(5)의 이동공간(15)으로 수용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과정에서 리벳(10)은 고정로드(38)의 지지돌기(39)에 의해 고정되며, 지지돌기(39)가 이동공간(15)으로 수용됨에 따라 리벳(10)은 피결합재(11,12)와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겨져 제거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벳 제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생략된 설명은 앞서 설명한 내용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는 일측(25)과 대향되는 일면으로부터 함몰된 수용홈(29)을 가지며, 종동면(29a)은 수용홈(29)의 후방에 위치한다. 수용홈(29)은 전단을 향해 하향경사진다. 버튼(6)은 개방된 일측(25)을 통해 승강하며, 수용홈(29) 내에서 종동면(29a)을 가압한다. 버튼(6)은 양측에 연결된 이탈방지돌기(6a)를 구비하며, 이탈방지돌기(6a)는 버튼(6)이 일측(25)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튼(6)이 하강시 슬라이더는 버튼(6)에 의해 가압되며, 슬라이더는 이동공간(15)을 따라 후퇴한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더가 후퇴하면서 베이스(5)의 전방부를 통해 편향각의 제한을 받으므로, 고정로드(38)의 편향각은 감소하며(또는 고정로드(38)는 오므려지며), 고정로드(38)의 지지돌기(39)는 베이스(5)의 이동공간(15)으로 수용된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1, 100 : 리벳 제거 장치 2, 10 : 리벳
3,4,11,12 : 피결합재 5 : 베이스
6 : 핸들 7 : 링크
8 : 슬라이더 9 : 탄성체
15 : 내부공간 18 : 후단부
28,48 : 가이드슬롯 29 : 수용홈
38 : 고정로드 39 : 지지돌기
45 : 가이드돌기

Claims (9)

  1. 이동로드 및 상기 이동로드로부터 분기되어 전단이 상기 이동로드의 중심축으로부터 외측으로 편향된 복수의 고정로드를 구비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가 수용되는 내부공간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전단이 개방되며,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내부공간을 따라 이동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더가 후퇴할수록 상기 고정로드의 편향각은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벳 제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파이프 형상의 전방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로드의 편향각은 상기 전방부의 내경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벳 제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벳 제거 장치는,
    상기 베이스의 개방된 일측에 설치되며, 후단부가 상기 일측의 후단부에 힌지를 통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핸들; 및
    일단부가 상기 이동로드의 후단부에 힌지를 통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타단부가 상기 핸들의 전단부에 힌지를 통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링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벳 제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로드는 상기 핸들과 대향되는 일면으로부터 함몰되어 전단을 향해 점진적으로 깊이가 감소하는 형상인 수용홈을 가지며,
    상기 링크의 후단부는 상기 수용홈의 후단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벳 제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벳 제거 장치는,
    상기 베이스의 외측에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편심되도록 설치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이동로드를 가압하는 구동캠; 및
    상기 구동캠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캠과 함께 회전하는 핸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로드는 상기 베이스의 개방된 일측과 대향되는 일면으로부터 함몰된 수용홈 및 상기 수용홈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구동캠의 외주면에 의해 가압되는 종동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벳 제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내부공간을 가지는 보조베이스;
    상기 보조베이스가 수용되는 외측 내부공간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전단이 개방되며, 상기 보조베이스가 상기 외측 내부공간을 따라 이동하는 주베이스; 및
    일측이 외부힌지를 통해 상기 주베이스의 개방된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타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보조베이스의 개방된 일측에 내부힌지를 통해 연결되는 이동슬롯을 가지는 링크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로드는 상기 보조베이스의 개방된 일측과 대향되는 일면으로부터 함몰된 수용홈 및 상기 수용홈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링크가 상기 외부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링크의 타측을 통해 가압되는 종동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벳 제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로드는 상기 베이스의 개방된 일측과 대향되는 일면으로부터 함몰된 수용홈 및 상기 수용홈의 후방에 위치하는 종동면을 가지며,
    상기 리벳 제거 장치는 상기 베이스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승강하여 상기 종동면을 가압하는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벳 제거 장치.
  8. 제1항, 제5항, 제6항,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벳 제거 장치는 상기 내부공간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와 상기 이동로드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로드에 대하여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벳 제거 장치.
  9. 제1항, 제5항, 제6항,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로드는 이동방향과 나란한 이동슬롯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는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이동슬롯에 삽입되고 상기 이동로드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이동슬롯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벳 제거 장치.
KR1020120148243A 2012-12-18 2012-12-18 리벳 제거 장치 KR101395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243A KR101395066B1 (ko) 2012-12-18 2012-12-18 리벳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243A KR101395066B1 (ko) 2012-12-18 2012-12-18 리벳 제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5066B1 true KR101395066B1 (ko) 2014-05-16

Family

ID=50894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8243A KR101395066B1 (ko) 2012-12-18 2012-12-18 리벳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50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53404A (zh) * 2017-11-01 2018-01-09 苏州市职业大学 一种拆装钉一体的订书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1675A (ja) * 2000-06-27 2002-01-15 Max Co Ltd 釘抜き機
JP2002031113A (ja) * 2000-07-17 2002-01-31 Ienari Fujii 釘と釘抜機
EP1728569A1 (en) * 2005-05-31 2006-12-06 Newfrey LLC A blind rivet, removal system and related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1675A (ja) * 2000-06-27 2002-01-15 Max Co Ltd 釘抜き機
JP2002031113A (ja) * 2000-07-17 2002-01-31 Ienari Fujii 釘と釘抜機
EP1728569A1 (en) * 2005-05-31 2006-12-06 Newfrey LLC A blind rivet, removal system and related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53404A (zh) * 2017-11-01 2018-01-09 苏州市职业大学 一种拆装钉一体的订书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33766B1 (en) Chain saw
CN100411822C (zh) 自动螺钉进给器
JP6578394B2 (ja) スライドレールアセンブリ及びそのレールキット
US11469474B2 (en) Battery assembly
US10174531B2 (en) Locking device
KR101395066B1 (ko) 리벳 제거 장치
KR20090054516A (ko) 공작기계의 자동 공구 교환장치
US6619878B2 (en) Fastening means
CN108138824A (zh) 家具配件
KR101110037B1 (ko) 주방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US20150352644A1 (en) Combination tool
CN107208692B (zh) 用于制造浮动接头的方法和通过该方法制造的浮动接头
KR101650671B1 (ko) 절단 공구
CN203339579U (zh) 电缆剥皮装置
US10471582B2 (en) Handheld power tool
KR102342861B1 (ko) 전동공구용 보조핸들
KR200392534Y1 (ko) 실리콘 건
JP7148475B2 (ja) ラッチ機構
JP4517243B2 (ja) 回転式着脱締結具
KR100597248B1 (ko) 볼트 헤드부 성형용 고정장치
CN208528908U (zh) 一种f夹夹具
CN107127792B (zh) 一种四方向弹簧扣及四方向同步进退方法
KR102046696B1 (ko) 핀 고정 장치
JP2013043235A (ja) 工具用伸縮延長具
JP5766502B2 (ja) 締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