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2500B1 - 호스 클램프 - Google Patents

호스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2500B1
KR102552500B1 KR1020180110484A KR20180110484A KR102552500B1 KR 102552500 B1 KR102552500 B1 KR 102552500B1 KR 1020180110484 A KR1020180110484 A KR 1020180110484A KR 20180110484 A KR20180110484 A KR 20180110484A KR 102552500 B1 KR102552500 B1 KR 102552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fixing
moving
body part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0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1751A (ko
Inventor
정해준
김제연
조윤근
이승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0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2500B1/ko
Priority to US16/192,549 priority patent/US10683955B2/en
Priority to CN201811443164.6A priority patent/CN110906087B/zh
Publication of KR20200031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1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16L33/04Hose-clip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 and n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F16L33/2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the external piece comprising segments pressed against the hose by wedge shape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3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comprising parts outside the hoses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16L33/04Hose-clip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 and nut
    • F16L33/06Hose-clip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 and nut in which the threaded pin is rigid with the hose-encircling member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호스 클램프는, 호스의 외측면과 체결 상대물의 외측면을 둘러싸도록, 일부가 개방된 환형으로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단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고정부; 상기 몸체부의 타단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이동부; 및 상기 고정부에, 상기 몸체부의 축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단과 상기 몸체부의 타단이 서로 가까워져 상기 몸체부가 상기 호스를 내측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축방향 중 일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해 상기 이동부를 상기 몸체부의 원주방향 중 일 방향인 제1 원주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호스와 상기 체결 상대물을 체결한다.

Description

호스 클램프 {HOSE CLAMP}
본 발명은 호스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내부에 위치한 배관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 호스 클램프가 사용된다. 호스 클램프는 호스와 호스의 체결 상대물의 단부를 인접하게 위치시킨 뒤, 호스와 체결 상대물에 각각 연결되어 이음매를 만들고, 호스와 체결 상대물을 가압하여 호스와 체결 상대물이 서로에 대해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호스 클램프가 호스와 체결 상대물을 클램핑하도록, 호스 클램프에는 기어구조가 사용되거나, 호스의 원주방향을 따라 체결되는 구조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호스의 원주방향을 따라 체결되는 구조의 경우, 호스의 경방향으로 큰 반경을 가지는 공구가 사용되어야 함에도 엔진룸 내의 공간이 부족해, 클램핑 또는 클램핑 해제 작업 시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기어구조의 경우, 호스에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역방향으로 기어구조가 자연스럽게 풀리거나, 피니언의 평기어의 마모에 의해서 기어구조가 클램핑을 적절하게 수행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축방향으로 체결이 가능한 호스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스 클램프는, 호스의 외측면과 체결 상대물의 외측면을 둘러싸도록, 일부가 개방된 환형으로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단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고정부; 상기 몸체부의 타단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이동부; 및 상기 고정부에, 상기 몸체부의 축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단과 상기 몸체부의 타단이 서로 가까워져 상기 몸체부가 상기 호스를 내측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축방향 중 일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해 상기 이동부를 상기 몸체부의 원주방향 중 일 방향인 제1 원주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호스와 상기 체결 상대물을 체결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체결부와 접촉할 수 있는 이동 빗면을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이동 빗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 빗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체결 빗면을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가 상기 몸체부의 축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이동부는 상기 체결 빗면을 따라서 상기 몸체부의 원주방향 중 상기 몸체부의 타단이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방향인 상기 제1 원주방향이나,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방향인 제2 원주방향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스 클램프는, 호스의 외측면과 체결 상대물의 외측면을 둘러싸도록, 일부가 개방된 환형으로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단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고정부; 상기 몸체부의 타단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이동부; 및 상기 고정부에, 상기 몸체부의 축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단과 상기 몸체부의 타단이 서로 가까워져 상기 몸체부가 상기 호스를 내측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축방향 중 일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해 상기 이동부를 상기 몸체부의 원주방향 중 일 방향인 제1 원주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호스와 상기 체결 상대물을 체결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결합되는 고정 기저부; 상기 고정 기저부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타단을 향해 연장되는 고정 연장부; 및 상기 고정 연장부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축방향 중 타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연장된 방향을 따라 상기 체결부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고정부 샤프트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호스 클램프를 축방향으로 클램핑할 수 있으면서도, 역방향으로 클램핑 상태가 풀릴 위험이 줄어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클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클램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클램프의 고정부의 사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클램프의 체결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호스 클램프를 아래에서 본 저면도의 일부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클램프의 체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클램프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클램프(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클램프(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클램프(1)는, 몸체부(10), 고정부(20), 이동부(30) 및 체결부(40)를 포함한다.
몸체부(10)
몸체부(10)는 호스(H1)의 외측면과 체결 상대물(H2)의 외측면을 둘러싸도록, 환형으로 형성되되 일부가 개방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몸체부(10)의 내측면의 일부는 호스(H1)의 단부의 외측면에 접촉하고, 동시에 몸체부(10)의 내측면의 다른 일부는, 체결 상대물(H2)의 단부의 외측면에 접촉한다.
몸체부(10)는 환형으로 형성되어, 둘러싼 내부공간(13)을 형성하되, 완전한 폐곡선을 그리지는 않는다. 따라서 단절된 부분이 존재하고, 몸체부(10)의 양 단부(11, 12)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몸체부(10)의 원주방향 중 몸체부의 타단(12)에서 일단(11)을 향하는 방향을 제1 원주방향(D1)이라 하고, 반대로 몸체부의 일단(11)에서 타단(12)을 향하는 방향을 제2 원주방향(D2)이라 하자.
고정부(20)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클램프(1)의 고정부(20)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고정부(20)에 대해 설명한다. 고정부(20)는 몸체부의 일단(11)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구성요소로, 후술할 이동부(30)와 연결되어, 몸체부의 일단(11)과 타단이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한다.
고정부(20)는, 고정 기저부(21), 고정 연장부(22) 및 제1 고정부 샤프트(23)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고정부 샤프트(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 기저부(21)는 몸체부의 일단(11)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제2 고정부 샤프트(24)가 고정 기저부(2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기저부(21)는 몸체부의 일단(11)의 외측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측면을 구비해서 몸체부의 일단(11)과 결합되는 기저벽(211)을 포함하고, 기저벽(211)으로부터 몸체부(10)의 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기저 돌출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기저 돌출부(212)는 기저벽(211)의 제2 원주방향(D2)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원주방향(D2)에 수직한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저 돌출부(212)의 측면 중 제1 원주방향(D1)측에 위치한 측면은, 몸체부(10)의 경방향 외측과 제2 원주방향(D2)으로 향하는 빗면을 축방향 양단에 구비할 수 있다.
고정 연장부(22)는, 고정 기저부(21)로부터 몸체부의 타단(12)을 향해 연장된다. 고정 연장부(22)는 고정 기저부(21)의 축방향 중 일 방향측에 위치한 단부에 연결될 수 있고, 축방향과 수직한 판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연장부(22)의 모서리 중 몸체부(10)와 인접한 모서리는, 몸체부(10)의 외측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몸체부(10)의 외측면에 대응되는 곡선형의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제1 고정부 샤프트(23)는 고정 연장부(22)로부터 연장되어, 후술할 체결부(40)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제1 고정부 샤프트(23)는, 고정 연장부(22)로부터 몸체부의 축방향(D3) 중 일 방향과 반대되는 타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고정 연장부(22)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체결부(40)가 이동 가능하게 제1 고정부 샤프트(23)에 결합된다.
제1 고정부 샤프트(23)는, 제1 고정부 샤프트(23)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파인 샤프트 홈(231)을 외측면에 가진다. 샤프트 홈(2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고정부 샤프트(23)의 외측면 중 몸체부(10)를 바라보는 영역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그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샤프트 홈(231)에는 후술할 체결부(40)의 체결 돌기(413)가 삽입되어, 체결블록(41)이 회전하지 않고 자세를 유지한 상태로 축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고정부(20)는 제2 고정부 샤프트(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고정부 샤프트(24)는 후술할 이동부(30)가 몸체부의 일단(11)과 타단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요소이다. 제2 고정부 샤프트(24)는, 고정 기저부(21)로부터 상기 고정 기저부(21)의 기저 돌출부(212)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되, 제1 고정부 샤프트(23)를 바라보고 돌출된다. 따라서 몸체부의 타단(12)에 연결된 이동부(30)에 형성된 결합공(313)에 제2 고정부 샤프트(24)가 삽입되어, 이동부(30)가 제2 고정부 샤프트(24)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이동부(30)
이동부(30)는 몸체부의 타단(12)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구성요소로, 후술할 체결부(40)에 의해 가압되어 몸체부의 일단(11)과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부(30)가 제2 원주방향(D2)으로 이동함에 따라, 몸체부의 일단(11)과 타단(12)이 가까워져, 호스(H1)와 체결 상대물(H2)을 몸체부(10)의 내측면이 가압해 잡아 고정할 수 있다. 이동부(30)가 제1 원주방향(D1)으로 이동함에 따라, 몸체부의 일단(11)과 타단(12)이 서로 멀어져, 호스(H1)와 체결 상대물(H2)을 몸체부(10)가 잡지 않아 클램핑이 해제될 수 있다.
이동부(30)는 이동 기저부(32)와 이동블록(3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기저부(32)는 몸체부의 타단(12)의 외측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측면을 구비해서 몸체부의 타단(12)과 결합되는 판체형의 구성요소이다. 이동블록(31)은 이러한 이동 기저부(32)로부터 몸체부(10)의 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블록으로, 제2 고정부 샤프트(24)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공(313)이 몸체부(10)의 원주에 접하는 접선방향 중 일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동블록(31)의 제2 원주방향(D2)을 바라보고, 상기 결합공(313)이 형성될 수 있는 측면은 후측면(312)으로 지칭한다. 이동블록(31)은 후측면(312)으로부터 몸체부의 축방향(D3) 중 타 방향 및 제1 원주방향(D1)으로 연장되어 비스듬하게 형성되는 이동 빗면(311)을 구비할 수 있다. 이동 빗면(311)에는 체결부(40)가 접촉할 수 있다. 즉 이동 빗면(311)은, 몸체부의 축방향(D3) 타측과 제2 원주방향(D2)으로 연장된 직선에 수직한 평면일 수 있다.
체결부(40)가 몸체부의 축방향(D3)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이동부(30)는 후술할 체결블록(41)이 구비하는 체결 빗면(411)을 따라서 몸체부의 일단(11)에 가까워지는 제1 원주방향(D1)이나 멀어지는 제2 원주방향(D2)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체결 빗면(411)에 접촉하는 이동부(30)의 측면이 상술한 이동 빗면(311)일 수 있다. 체결 빗면(411)과 이동 빗면(311)이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에 대해 미끄러지며 이동부(30)와 체결부(40)가 이동할 수 있다.
체결부(40)
체결부(40)는 이동부(30)를 가압해서 본체부가 호스(H1)와 체결 상대물(H2)을 클램핑하거나 클램핑이 해제되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체결부(40)는 고정부(20)의 제1 고정부 샤프트(23)에, 몸체부의 축방향(D3)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체결부(40)는, 몸체부의 일단(11)과 몸체부의 타단(12)이 서로 가까워져 몸체부(10)가 호스(H1)를 내측으로 가압하도록, 몸체부의 축방향(D3) 중 일 방향을 따라 이동해 이동부(30)를 몸체부의 일단(11)과 가까워지도록 가압함으로써 호스(H1)와 체결 상대물(H2)을 체결한다. 체결을 해제하기 위해서, 체결부(40)는 반대로 축방향 중 타 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이동부(30)가 몸체부(10)의 탄성에 의해 몸체부의 일단(11)으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허용한다.
체결부(40)는 이와 같은 작용을 하기 위해 체결블록(41)과 결합너트(42)를 포함한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블록(41)의 사시도이다.
체결블록(41)은 체결 빗면(411), 고정말단(414) 및 체결공(412)을 구비할 수 있다. 체결공(412)은 제1 고정부 샤프트(23)가 삽입되는 통공으로, 체결블록(41)을 몸체부의 축방향(D3)으로 관통하며 형성된다. 체결공(412)을 구성하는 체결블록(41)의 내측면에는 체결 돌기(413)가, 제1 고정부 샤프트(23)가 연장된 방향인 몸체부의 축방향(D3)을 따라 연장되되 체결공(412)의 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체결 돌기(413)는 제1 고정부 샤프트(23)가 체결공(412)에 삽입될 때, 제1 고정부 샤프트(23)에 형성된 샤프트 홈(231)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 돌기(413)와 샤프트 홈(231)이 서로 접촉하여, 제1 고정부 샤프트(23)가 그 연장된 방향을 축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
체결블록(41)에 구비되는 체결 빗면(411)은, 체결 블록의 제1 원주방향(D1)측에 형성될수 있다. 체결 빗면(411)은, 이동 빗면(311)과 접촉할 수 있도록, 이동 빗면(31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체결 빗면(411)은, 몸체부의 축방향(D3) 일측과 제1 원주방향(D1)으로 연장된 직선에 수직한 평면이 될 수 있다.
체결부(40)가 몸체부의 축방향(D3)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이동부(30)의 이동 빗면(311)은 체결 빗면(411)을 따라서 미끄러지므로, 이동부(30)가 제1 원주방향(D1)이나 제2 원주방향(D2)으로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체결부(40)가 몸체부의 축방향(D3) 중 일 방향으로 이동할 때, 이동부(30)가 가압되어 제1 원주방향(D1)으로 이동하고, 체결부(40)가 몸체부의 축방향(D3) 중 타 방향으로 이동할 때, 이동부(30)를 제1 원주방향(D1)으로 가압하는 힘이 줄어들어 이동부(30)는 제2 원주방향(D2)으로 이동할 수 있다.
체결블록(41)은 고정말단(414)을 구비할 수 있다. 고정말단(414)은 체결 빗면(411)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이어지되, 체결블록(41)의 제1 원주방향(D1) 말단에 형성되는 부분이다. 체결 빗면(411)의 형상에 의해, 고정말단(414)은 고정블록상에서 몸체부의 축방향(D3) 중 타 방향측에 위치한다. 고정말단(414)은 체결블록(41)이 몸체부의 축방향(D3) 중 일 방향을 따라 본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했을 때, 이동블록(31)의 후측면(312)에 접촉하여 이동부(30)를 제1 원주방향(D1)으로 가압한다. 즉 이동 빗면(311)이 체결 빗면(411)을 따라서 몸체부의 축방향(D3) 중 타 방향과 제1 원주방향(D1)으로 이동하다가, 체결 빗면(411)의 말단 및 이동 빗면(311)의 말단에 도달하여, 체결블록(41)의 고정말단(414)이 이동블록(31)의 후측면(312)에 접촉하게 된다.
고정말단(414)은, 체결 빗면(411)과 연속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말단(414)이 후측면(312)에 접촉한 상황에서, 체결블록(41)이 몸체부의 축방향(D3) 중 타 방향으로 이동할 때, 부드럽게 고정말단(414)이 후측면(312)으로부터 이탈하여 다시 체결 빗면(411)과 이동 빗면(311)이 서로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체결블록(41)은, 체결블록(41)이 제1 고정부 샤프트(23)가 연장된 방향을 축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제1 고정부 샤프트(23)에 형성되는 샤프트 홈(231)에 삽입될 수 있는 체결 돌기(413)를 구비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결합너트(42)에 대해서 설명한다. 결합너트(42)는제1 고정부 샤프트(23)에, 몸체부의 축방향(D3)과 나란한 제1 고정부 샤프트(23)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회전하며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40)의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제1 고정부 샤프트(23)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결합너트(42)의 내주면에는 제1 고정부 샤프트(23)의 수나사산에 대응되는 형태로 암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너트(42)는 제1 고정부 샤프트(23)가 연장된 방향을 축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 고정부 샤프트(23) 상에서 제1 고정부 샤프트(23)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결합너트(42)가 이동함에 따라, 결합너트(42)에 의해 체결블록(41)이 몸체부의 축방향(D3) 중 일 방향을 향해 가압되거나, 몸체부(10)의 탄성에 의해 이동부(30)를 통해 몸체부의 축방향(D3) 중 타 방향으로 체결블록(41)이 가압되어, 체결블록(41)이 몸체부의 축방향(D3)을 따라 이동한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클램프(1)가 호스(H1)와 체결 상대물(H2)을 클램핑하도록, 호스 클램프(1)를 조작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클램프(1)의 체결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호스 클램프(1)를 아래에서 본 저면도의 일부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체결블록(41)은 몸체부의 축방향(D3) 중 타 방향측에 위치하는 제1 고정부 샤프트(23)의 말단에 위치하고, 이동블록(31)은 이러한 체결블록(41)의 체결 빗면(411)에 접촉된 상태로 위치한 상태이다. 따라서 몸체부의 일단(11)과 타단이 넓은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호스(H1)와 체결 상대물(H2)이 몸체부(10)의 내부공간(13)으로 자유롭게 삽입될 수 있는 상태이다.
이동부(30)의 이동 기저부(32)는 몸체부의 타단(12)에 연결되어 있으나, 동시에 몸체부의 일단(11)과 접촉하고 있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클램프(1)의 체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상태에서 호스(H1)와 체결 상대물(H2)이 각각 몸체부의 축방향(D3)을 따라 서로 몸체부(10)의 반대측에서 삽입된 후, 결합너트(42)를 회전시킨다. 결합너트(42)가 회전하면서 몸체부의 축방향(D3) 중 일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제1 고정부 샤프트(23)를 따라 이동한다. 결합너트(42)가 이동함에 따라, 체결블록(41)이 동일한 방향으로 밀려서 이동한다. 체결블록(41)에 형성된 체결 돌기(413)가 샤프트 홈(231)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체결블록(41)은 회전하지 않으면서 자세를 유지하고 밀려서 이동할 수 있다.
체결블록(41)이 이동함에 따라, 이동블록(31)이 구비하는 이동 빗면(311)이 체결 빗면(411)에접촉하고 있으므로, 이동블록(31)은 제2 고정부 샤프트(24)를 따라서, 제1 원주방향(D1)으로 이동한다. 이동블록(31)이 이동함에 따라, 이동부(30)에 연결된 몸체부의 타단(12)이 이동블록(31)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몸체부의 타단(12)이 몸체부의 일단(11)과 가까워지고, 몸체부(10)의 내주면이 호스(H1)와 체결 상대물(H2)의 외측면을 경방향 내측으로 가압하여 클램핑이 이루어진다.
체결블록(41)이 계속 이동하여 체결 빗면(411)과 이동 빗면(311)의 접촉이 끝나고, 후측면(312)에 고정말단(414)이 도 7과 같이 접촉할 수 있다. 힘이 가해지는 방향과 나란하지 않게 배치되는 빗면을 따라 서로 접촉하는 것이 아니라, 몸체부(10)의 탄성에 의한 복원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후측면(312)과 고정말단(414)이 서로 접촉하므로, 몸체부(10)의 복원력에 대해 체결블록(41)이 이동블록(31)을 잘 고정할 수 있다.
클램핑을 해제하기 위해, 결합너트(42)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결합너트(42)는 몸체부의 축방향(D3) 중 타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몸체부(10)의 탄성에 의한 복원력이 이동블록(31)을 지속적으로 제2 원주방향(D2)으로 가압하여 이동블록(31)이 동일한 방향으로 체결블록(41)을 가압하는 상태이다. 따라서 결합너트(42)와 체결블록(41)이 서로 이격되면서, 고정말단(414)의 곡면을 따라 체결블록(41)이 후측면(312)으로부터 미끄러져 결합너트(42)가 이동한 방향으로 이동하고, 체결 빗면(411)과 이동 빗면(311)이 다시 접촉하게 된다. 결합너트(42)를 계속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몸체부(10)의 복원력에 의해 체결블록(41)은 결합너트(42)와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동블록(31)은 체결 빗면(411)을 따라 제2 원주방향(D2)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몸체부의 타단(12)은 몸체부의 일단(1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7의 상태에서 다시 도 5 및 도 6의 상태가 되어서, 호스(H1)와 체결 상대물(H2)을 호스 클램프(1)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변형예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클램프(1)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는, 탄성부재(50)를 더 포함한다. 이외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클램프(1)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에 갈음한다. 탄성부재(50)는, 고정부(20)에 포함되고 고정 연장부(22)에 연결되되 제1 고정부 샤프트(23)를 둘러싸며 배치되는 탄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이다. 탄성부재(50)가 이와 같이 배치되어, 체결부(40)가 몸체부의 축방향(D3) 중 일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압축되어, 몸체부의 축방향(D3) 중 타 방향으로 체결부(40)에 복원력을 작용한다. 따라서 체결블록(41)이 몸체부의 축방향(D3) 중 일 방향으로 최대한 이동해서 고정말단(414)과 후측면(312)이 맞닿은 상태에서, 결합너트(42)가 회전해 몸체부의 축방향(D3) 중 타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할 때, 탄성부재(50)는 체결블록(41)을 밀어내 보다 용이하게 체결 빗면(411)과 이동 빗면(311)이 만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호스 클램프 10 : 몸체부
11 : 몸체부의 일단 12 : 몸체부의 타단
13 : 내부공간 20 : 고정부
21 : 고정 기저부 22 : 고정 연장부
23 : 제1 고정부 샤프트 24 : 제2 고정부 샤프트
30 : 이동부 31 : 이동블록
32 : 이동 기저부 40 : 체결부
41 : 체결블록 42 : 결합너트
50 : 탄성부재 211 : 기저벽
212 : 기저 돌출부 231 : 샤프트 홈
311 : 이동 빗면 312 : 후측면
313 : 결합공 411 : 체결 빗면
412 : 체결공 413 : 체결 돌기
414 : 고정말단 D1 : 제1 원주방향
D2 : 제2 원주방향 D3 : 몸체부의 축방향
H1 : 호스 H2 : 체결 상대물

Claims (9)

  1. 호스의 외측면과 체결 상대물의 외측면을 둘러싸도록, 일부가 개방된 환형으로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단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고정부;
    상기 몸체부의 타단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이동부; 및
    상기 고정부에, 상기 몸체부의 축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단과 상기 몸체부의 타단이 서로 가까워져 상기 몸체부가 상기 호스를 내측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축방향 중 일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해 상기 이동부를 상기 몸체부의 원주방향 중 일 방향인 제1 원주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호스와 상기 체결 상대물을 체결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체결부와 접촉할 수 있는 이동 빗면을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이동 빗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 빗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체결 빗면을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가 상기 몸체부의 축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이동부는 상기 체결 빗면을 따라서 상기 몸체부의 원주방향 중 상기 몸체부의 타단이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방향인 상기 제1 원주방향이나,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방향인 제2 원주방향으로 이동하는, 호스 클램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이동 빗면으로부터 이어지며 상기 제2 원주방향을 바라보는 측면인 후측면을 더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몸체부의 축방향 중 일 방향을 따라 본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했을 때, 상기 후측면에 접촉하여 상기 이동부를 상기 제1 원주방향으로 가압하는 고정말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고정말단은, 상기 체결 빗면으로부터 이어지고, 상기 축방향 중 타 방향측에 위치하는, 호스 클램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말단은, 상기 체결 빗면과 연속된 곡면으로 형성되는, 호스 클램프.
  5. 호스의 외측면과 체결 상대물의 외측면을 둘러싸도록, 일부가 개방된 환형으로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단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고정부;
    상기 몸체부의 타단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이동부; 및
    상기 고정부에, 상기 몸체부의 축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단과 상기 몸체부의 타단이 서로 가까워져 상기 몸체부가 상기 호스를 내측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축방향 중 일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해 상기 이동부를 상기 몸체부의 원주방향 중 일 방향인 제1 원주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호스와 상기 체결 상대물을 체결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결합되는 고정 기저부;
    상기 고정 기저부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타단을 향해 연장되는 고정 연장부; 및
    상기 고정 연장부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축방향 중 타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연장된 방향을 따라 상기 체결부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고정부 샤프트를 포함하는, 호스 클램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이동부가 상기 몸체부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고정부 샤프트를 더 포함하는, 호스 클램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 고정부 샤프트에 상기 몸체부의 축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블록; 및
    상기 제1 고정부 샤프트에, 상기 제1 고정부 샤프트가 연장된 방향을 축방향으로 회전하며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체결블록을 상기 제1 고정부 샤프트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결합너트를 포함하는, 호스 클램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 샤프트는, 상기 제1 고정부 샤프트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파인 샤프트 홈을 외측면에 가지고,
    상기 체결블록은, 상기 체결블록이 상기 제1 고정부 샤프트가 연장된 방향을 축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샤프트 홈에 삽입될 수 있는 체결 돌기를 구비하는, 호스 클램프.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 연장부에 연결되되 상기 제1 고정부 샤프트를 둘러싸며 배치되는 탄성을 가지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체결부가 상기 축방향 중 일 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압축되어, 상기 축방향 중 타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체결부에 복원력을 작용하는, 호스 클램프.
KR1020180110484A 2018-09-14 2018-09-14 호스 클램프 KR102552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484A KR102552500B1 (ko) 2018-09-14 2018-09-14 호스 클램프
US16/192,549 US10683955B2 (en) 2018-09-14 2018-11-15 Hose clamp
CN201811443164.6A CN110906087B (zh) 2018-09-14 2018-11-29 软管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484A KR102552500B1 (ko) 2018-09-14 2018-09-14 호스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1751A KR20200031751A (ko) 2020-03-25
KR102552500B1 true KR102552500B1 (ko) 2023-07-07

Family

ID=69774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0484A KR102552500B1 (ko) 2018-09-14 2018-09-14 호스 클램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683955B2 (ko)
KR (1) KR102552500B1 (ko)
CN (1) CN11090608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74210S1 (en) * 2018-01-03 2020-02-04 Anova Applied Electronics, Inc. Circulator cooke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03866A (en) * 1953-06-29 1957-08-27 Tinnerman Products Inc Band clamp with axial manipulating means
US2778085A (en) * 1955-05-23 1957-01-22 Aeroquip Corp Band clamp of the axially operable type
US2922212A (en) * 1957-04-30 1960-01-26 Hoffman Electronics Corp Clamp apparatus or the like
US4563795A (en) * 1984-10-19 1986-01-14 Aeroquip Corporation Conduit clamp
US4834186A (en) * 1987-10-19 1989-05-30 Ballard Estus E Sprinkler head mounting system
JP3324939B2 (ja) 1996-08-30 2002-09-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ホースクランプ
DE10359799A1 (de) * 2003-12-19 2005-07-21 Rasmussen Gmbh Schlauchkupplung
RU2012135703A (ru) * 2010-01-21 2014-02-27 Норма Ю.С. Холдинг Ллк Трубный хамут с уплотнительной прокладкой
DE112012000479B4 (de) * 2011-01-14 2021-01-14 Togo Seisakusyo Corporation Schlauchschelle
CA2829546A1 (en) * 2013-10-15 2015-04-15 Kyung Kun K. K. C. Chang Pipe clamping device
PL2913575T3 (pl) 2014-02-28 2017-05-31 Oetiker Schweiz Ag Zaciskacz do węża
CN203823268U (zh) * 2014-04-28 2014-09-10 淄博安益矿用设备有限公司 加强肋耐压管的快速连接器
KR101755848B1 (ko) 2015-09-22 2017-07-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호스클램프
CN207229976U (zh) * 2017-08-03 2018-04-13 郑州宇通客车股份有限公司 硬管与软管的连接结构及具有该结构的车辆
CN207568994U (zh) * 2017-11-07 2018-07-03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连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88333A1 (en) 2020-03-19
KR20200031751A (ko) 2020-03-25
CN110906087A (zh) 2020-03-24
US10683955B2 (en) 2020-06-16
CN110906087B (zh) 202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80405A (en) Corrugated pipe coupling
JP5705301B2 (ja) ケーブル外装のためのクランプ装置を備えたケーブルグランド
EP0604574A1 (en) Vibration resistant locking coupling
US418906A (en) Hose-coupling
JP6408017B2 (ja) 配管およびホースのための遊びの無い挿入コネクタ部材
WO2014188627A1 (ja) レバー式管継手のロック装置及びロック部材
KR102552500B1 (ko) 호스 클램프
JP2017509840A5 (ko)
KR102391413B1 (ko) 케이블 클램핑 장치
JP2592358B2 (ja) 管継手
KR101779086B1 (ko) 웨지 밀폐형 원터치 배관 커플러
US9945503B2 (en) Rotate-to-press inflation adaptor for English valves
JPH02502238A (ja) ケーブルにおける歪の解除装置
JP5137195B2 (ja) 管継手
US9929505B2 (en) Connector
JP2006322541A (ja) ホースクランプ
KR101773751B1 (ko) 파이프 연결소켓
KR102243480B1 (ko) 배관 연결용 조인트 어셈블리
US11086090B2 (en) Cable fixing apparatus, cable connector and electrical device
JP6370721B2 (ja) 連結具及びそ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部材の連結装置
JP6843575B2 (ja) 防水管継ぎ手
JP7017441B2 (ja) 管継手
JP4740219B2 (ja) パイプの連結構造
JP4693099B2 (ja) 管継手
KR200269779Y1 (ko) 배관 연결용 커플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