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9781A - 차량용 엔진룸 정션박스 - Google Patents

차량용 엔진룸 정션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9781A
KR20190059781A KR1020170157700A KR20170157700A KR20190059781A KR 20190059781 A KR20190059781 A KR 20190059781A KR 1020170157700 A KR1020170157700 A KR 1020170157700A KR 20170157700 A KR20170157700 A KR 20170157700A KR 20190059781 A KR20190059781 A KR 20190059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guide member
protector
wire guid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7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희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70157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9781A/ko
Publication of KR20190059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97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69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connector relating features for connecting the connector pins with the PCB or for mounting the connector body with the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엔진룸 정션박스를 개시한다. 개시된 차량용 엔진룸 정션박스는, 차량의 엔진룸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을 커버하도록 하우징에 결합되는 상부커버와, 하우징과 상부커버 사이로 노출되는 와이어링을 고정하며, 하우징과 상부커버 사이에 결합되는 와이어 프로텍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외부로 노출되는 와이어링이 텐션에 의해 유동되거나 들뜨는 현상을 방지하고, 상부커버 결합할 때 와이어링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엔진룸 정션박스{JUNCTION BOX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엔진룸 정션박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어링이 텐션에 의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부커버 결합시 와이어링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엔진룸 정션박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탄소 에너지가 점차 고갈되고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미국, 유럽, 일본, 한국을 비롯하여 전 세계적으로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전기 자동차에 세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 자동차의 경우에는 일반차량에 비해 고전압/고전류를 사용하게 되므로, 차량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차량 내부의 부품에 안정적으로 공급 및 분배하기 위한 전기장치를 필요로 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차량의 전자제어를 위하여 많은 부품들이 모듈 형태로 제작되고 있으며, 사용전류나 전기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커넥터가 연결된 전선이나 통신선들의 사용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그리고 차량의 엔진룸 내에 브라켓을 매개로 고정 장착되는 엔진룸 박스는 전원 공급 및 분배, 그리고 와이어링 보호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또한 각 구성 디바이스(퓨즈, 릴레이 등)를 수납 및 보호하면서 신속한 방열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엔진룸 박스는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가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내부에는 복수개의 단자들이 구비되어 있으며, 또한 복수개의 단자들에는 자동차의 각종 전장기기에 접속되기 위한 와이어링이 연결되어 있고, 이 와이어링은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 사이를 통해서 외부로 인출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엔진룸 박스는 외부로 인출되는 와이어링이 텐션에 의해 들뜨거나 유동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상부커버를 결합할 때 와이어링의 간섭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한편,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1886호(등록일:2008년09월09일)에는 "박스의 케이블고정장치"가 개시되고,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9493호(등록일:2006년06월14일)에는 "정션박스용 파워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외부로 노출되는 와이어링이 텐션에 의해 유동 및 들뜨는 현상을 방지하고, 상부커버 결합할 때 와이어링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엔진룸 정션박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엔진룸 정션박스는, 차량의 엔진룸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커버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상부커버와, 상기 하우징과 상기 상부커버 사이로 노출되는 와이어링을 고정하며, 상기 하우징과 상기 상부커버 사이에 결합되는 와이어 프로텍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와이어 프로텍터는, 상기 와이어링을 고정하며,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와이어 가이드부재와,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재가 안착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프로텍터 안착부와,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재를 상기 프로텍터 안착부에 결합하기 위한 프로텍터 탈착부와, 상기 프로텍터 탈착부에 결합된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록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프로텍터 탈착부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재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결합리브와, 상기 결합리브가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상기 하우징과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재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결합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결합홈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결합홈부로 삽입되는 상기 결합리브의 상단이 지지하도록 탄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재는, 상기 프로텍터 안착부에 밀착되도록 굴곡지게 형성되며, 일측을 기준으로 타측이 분할 가능하게 형성되고, 분할된 타측에 걸림홀부와 걸림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재는, 내부에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는 고무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엔진룸 정션박스는 종래기술과는 달리 외부로 노출되는 와이어링이 텐션에 의해 유동되거나 들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상부커버 결합할 때 와이어링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엔진룸 정션박스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엔진룸 정션박스의 요부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프로텍터가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가이드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엔진룸 정션박스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엔진룸 정션박스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엔진룸 정션박스의 요부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프로텍터가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가이드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엔진룸 정션박스(100)는 하우징(110)과, 상부커버(120)와, 와이어 프로텍터(130)를 포함하며, 하우징(110)의 내부로 연결되는 와이어링(10)을 견고하고 안정되게 고정한다.
하우징(110)은 차량의 엔진룸에 결합되며, 내부에 전자부품을 보호하기 위한 퓨즈, 릴레이 등이 설치되고, 와이어링(10)이 퓨즈, 릴레이 등에 연결된다. 또한, 하우징(110)과 상부커버(120) 사이에는 와이어 프로텍터(130)가 구비되며, 와이어 프로텍터(130)에 와이어링(10)이 고정된다.
상부커버(120)는 하우징(110)의 상부에 결합되어 하우징(110)을 커버한다. 또한 상부커버(120)에는 와이어링(10)의 노출을 위한 공간부가 확보된다.
와이어 프로텍터(130)는 하우징(110)과 상부커버(120) 사이로 노출되는 와이어링(10)을 하우징(110)에 안정되고 긴밀하게 고정하도록 하우징(110)과 상부커버(120) 사이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와이어 프로텍터(130)는, 와이어링(10)이 고정되는 와이어 가이드부재(131)와, 와이어 가이드부재(131)가 안착되는 프로텍터 안착부(133)와, 와이어 가이드부재(131)가 결합되는 프로텍터 탈착부(135)와, 와이어 가이드부재(131)의 이탈을 방지하는 록킹부재(137)를 포함한다.
와이어 가이드부재(131)는 와이어링(10)이 삽입되어 고정되며, 프로텍터 탈착부(135)를 통해 프로텍터 탈착부(135)에 안착되어 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와이어 가이드부재(131)는 프로텍터 안착부(133)에 안정되게 밀착되도록 굴곡지게 형성되며, 와이어링(10)의 용이한 결합을 위하여 분할 가능하게 형성된다.
또한, 와이어 가이드부재(131)는 와이어링(1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양측으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며, 분리된 일측에 걸림홀부(131a)가 형성되고 분리된 타측에 걸림돌부(131b)가 형성된다. 이때, 걸림홀부(131a) 및 걸림돌부(131b)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형성되는 위치가 다양하게 변결될 수 있다.
특히 와이어 가이드부재(131)는 와이어링(10)을 더욱 안정되고 긴밀하게 고정하고, 와이어링(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고무부재(139)에 구비된다. 고무부재(139)에는 와이어링(10)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또한, 고무부재(139)와 와이어 가이드부재(131) 중 어느 하나에는 고정돌기(139a)가 형성되고, 고무부재(139)와 와이어 가이드부재(131) 중 다른 하나에는 고정돌기(139a)가 삽입되는 고정홈부(139b)가 형성된다. 고무부재(139)는 고정돌기(139a) 및 고정홈부(139b)에 의해 와이어 가이드부재(131)에서 움직이거나 이탈되는 것이 완전하게 방지된다.
프로텍터 안착부(133)는 하우징(110)에 형성되며, 와이어 가이드부재(131)의 외면이 밀착되어 안착된다.
프로텍터 탈착부(135)는 와이어 가이드부재(131)를 프로텍터 안착부(133)에 결합한다. 이러한 프로텍터 탈착부(135)는 하우징과 와이어 가이드부재(131)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결합리브(135a)와, 결합리브(135a)가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하우징(110)과 와이어 가이드부재(131)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결합홈부(135b)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프로텍터 탈착부(135)는 결합리브(135a)가 와이어 가이드부재(131)에 형성되고, 결합홈부(135b)가 하우징(110)에 형성된다. 결합리브(135a)는 와이어 가이드부재(131)의 외면에서 "T"자 형태로 형성되고, 결합홈부(135b)는 결합리브(135a)가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하우징(110)에 "T"자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결합홈부(135b)의 상측에는 록킹부재(137)가 형성된다.
특히 와이어 가이드부재(131)는 내부에 고정되는 와이어링(10)이 움직이는 것이 방지되도록 내부에 와이어링(10)을 지지하는 고무부재(139)가 구비된다.
록킹부재(137)는 결합홈부(135b)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결합리브(135a)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결합홈부(135b)가 형성되는 하우징(110)에 구비된다. 또한 록킹부재(137)는 결합리브(135a)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탄성을 가지며, 결합리브(135a)가 결합되는 동안 외측으로 휘면서 벌어지고, 결합리브(135a)가 결합홈부(135b)에 완전하게 삽입되면 록킹부재(137)가 탄성에 의해 복원되면서 결합리브(135a)의 상단을 지지하게 된다. 또한 록킹부재(137)의 상면에는 가이드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엔진룸 정션박스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와이어링(10)를 고무부재(139)로 감싼 후, 고무부재(139)를 와이어 가이드부재(131)에 삽입하고, 걸림돌부(131b)를 걸림홀부(131a)에 삽입하여 와이어링(10)을 가이드부재()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결합리브(135a)를 결합홈부(135b)에 슬라이딩 결합하여 와이어 가이드부재(131)에 프로텍터 탈착부(135)에 안착한다. 이때, 결합리브(135a)가 결합홈부(135b)에 완전하게 삽입되면 결합리브(135a)의 상단이 록킹부재(137)에 지지되면서 와이어 가이드부재(131)가 프로텍터 안착부(133)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후, 하우징(110)에 상부커버(120)를 결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엔진룸 정션박스(100)는 외부로 노출되는 와이어링(10)이 와이어 가이드부재(131)에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와이어링(10)이 텐션에 의해 하우징(110)에서 유동되거나 들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엔진룸 정션박스(100)는 상부커버(120)를 하우징(110)에 결합할 때 와이어링(10)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차량용 엔진룸 정션박스 10 : 와이어링
110 : 하우징 120 : 상부커버
130 : 와이어 프로텍터 131 : 와이어 가이드부재
133 : 프로텍터 안착부 135 : 프로텍터 탈착부
137 : 록킹부재 139 : 고무부재

Claims (5)

  1. 차량의 엔진룸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커버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상부커버;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상부커버 사이로 노출되는 와이어링을 고정하며, 상기 하우징과 상기 상부커버 사이에 결합되는 와이어 프로텍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엔진룸 정션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프로텍터는,
    상기 와이어링을 고정하며,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와이어 가이드부재;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재가 안착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프로텍터 안착부;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재를 상기 프로텍터 안착부에 결합하기 위한 프로텍터 탈착부; 및
    상기 프로텍터 탈착부에 결합된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록킹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엔진룸 정션박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텍터 탈착부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재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결합리브; 및
    상기 결합리브가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상기 하우징과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재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결합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결합홈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결합홈부로 삽입되는 상기 결합리브의 상단이 지지하도록 탄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엔진룸 정션박스.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재는, 상기 프로텍터 안착부에 밀착되도록 굴곡지게 형성되며, 일측을 기준으로 타측이 분할 가능하게 형성되고, 분할된 타측에 걸림홀부와 걸림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엔진룸 정션박스.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재는, 내부에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는 고무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엔진룸 정션박스.
KR1020170157700A 2017-11-23 2017-11-23 차량용 엔진룸 정션박스 KR201900597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700A KR20190059781A (ko) 2017-11-23 2017-11-23 차량용 엔진룸 정션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700A KR20190059781A (ko) 2017-11-23 2017-11-23 차량용 엔진룸 정션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9781A true KR20190059781A (ko) 2019-05-31

Family

ID=66657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7700A KR20190059781A (ko) 2017-11-23 2017-11-23 차량용 엔진룸 정션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978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7596A (ko) * 2020-01-02 2021-07-13 주식회사 경신 엔진룸 정션블록용 인라인 프로텍터
KR102484838B1 (ko) * 2021-07-02 2023-01-06 주식회사 경신 와이어링 가능한 정션블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7596A (ko) * 2020-01-02 2021-07-13 주식회사 경신 엔진룸 정션블록용 인라인 프로텍터
KR102484838B1 (ko) * 2021-07-02 2023-01-06 주식회사 경신 와이어링 가능한 정션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4235B2 (en) Electric connection box and relay module
US8723033B2 (en) Electric junction box
CN105531879B (zh) 适用于印刷电路板的电连接器
TW201338300A (zh) 電源控制裝置
KR20190059781A (ko) 차량용 엔진룸 정션박스
US10688947B2 (en) Power distribution module for use in a vehicle
KR101685680B1 (ko) 차량용 방수 조인트 커넥터
CN111224250B (zh) 电连接器、电连接器组件和电气设备
KR101830421B1 (ko) 차량용 커넥터
KR101494425B1 (ko) 차량용 커넥터
US6559556B1 (en) Adapter cable to power a portable computer system in a military vehicle via a standard 24 volt DC power outlet, utilizing the computer system's internal transformer
JP2004214064A (ja) 電源コンセント・プラグ接続セット
CN110549887A (zh) 充电管理系统
KR101794339B1 (ko) 차량용 조인트 커넥터
KR20180009860A (ko) 차량용 정션박스
US20190273372A1 (en) Electrical junction box
KR101820136B1 (ko)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
KR101899952B1 (ko) 와이어 방수 커넥터
KR101869538B1 (ko) 커넥터용 터미널 고정장치
JP2004185926A (ja) 電源コンセント・プラグ接続セット
JP2016207613A (ja) ワイヤハーネス
CN205565199U (zh) 一种多功能插线板
CN214543754U (zh) 充电座
KR20180013828A (ko) 차량용 정션박스
KR20180013832A (ko) 차량용 정션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