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9183A - 차광 블레이드, 차광 블레이드 제조장치 및 차광 블레이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차광 블레이드, 차광 블레이드 제조장치 및 차광 블레이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9183A
KR20190059183A KR1020180017876A KR20180017876A KR20190059183A KR 20190059183 A KR20190059183 A KR 20190059183A KR 1020180017876 A KR1020180017876 A KR 1020180017876A KR 20180017876 A KR20180017876 A KR 20180017876A KR 20190059183 A KR20190059183 A KR 20190059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unit
layer
workpiece
reflection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7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6290B1 (ko
Inventor
정무길
Original Assignee
정무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무길 filed Critical 정무길
Publication of KR20190059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9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1Filters in the form of ar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iaphragms For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광 블레이드, 차광 블레이드 제조장치 및 차광 블레이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차광 블레이드 측면의 광반사를 방지하는 차광 블레이드, 차광 블레이드 제조장치 및 차광 블레이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광 블레이드는 서로 대향하는 상부면과 하부면을 갖는 수지 기재; 상기 수지 기재의 하부면 상에 제공되는 제1 차광층; 상기 수지 기재의 상부면 상에 제공되는 제2 차광층; 및 상기 수지 기재의 측면 상에 제공되는 광반사방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광 블레이드, 차광 블레이드 제조장치 및 차광 블레이드 제조방법{Light shielding blad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light shielding bla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ight shielding blade}
본 발명은 차광 블레이드, 차광 블레이드 제조장치 및 차광 블레이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차광 블레이드 측면의 광반사를 방지하는 차광 블레이드, 차광 블레이드 제조장치 및 차광 블레이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장치(mobile device) 등에 구성되는 초소형 카메라의 조리개(diaphragm)는 기계식 조리개에서 투명 수지(예를 들어, PET)를 활용한 조리개로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이때, 조리개에 사용되는 차광 블레이드(light-shielding blade)는 투명 수지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차광층을 형성한 후에 일정 크기로 타발(cutting)하여 제조하는데, 타발 공정에서 분리된 나머지 부분을 제거하면서 투명 수지의 측면이 노출되게 된다.
조리개의 차광 블레이드는 필름 등의 감광재나 CCD, CMOS 등의 이미지 센서의 전면을 가려 빛을 차단하는 역할을 가지고 있어 완전한 차광성을 필요로 하는데, 차광 블레이드에서 투명 수지의 측면이 노출되는 경우에는 투명 수지의 측면에서 빛의 반사가 발생할 수 있고, 반사된 빛에 의해 완전한 차광성을 필요로 하는 차광 블레이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예를 들어, 조리개는 복수의 차광 블레이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차광 블레이드가 서로 겹쳐 동작할 때에 각 차광 블레이드 사이로 빛이 통과하여 투명 수지의 측면에서 반사될 수 있고, 반사된 빛이 감광재나 이미지 센서에 입사될 수 있다.
따라서, 차광 블레이드에서 투명 수지의 측면에서의 광반사를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JP 2962769B9
본 발명은 차광 블레이드의 측면에서의 광반사를 방지할 수 있는 차광 블레이드, 차광 블레이드 제조장치 및 차광 블레이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광 블레이드는 서로 대향하는 상부면과 하부면을 갖는 수지 기재; 상기 수지 기재의 하부면 상에 제공되는 제1 차광층; 상기 수지 기재의 상부면 상에 제공되는 제2 차광층; 및 상기 수지 기재의 측면 상에 제공되는 광반사방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반사방지층은 빛을 흡수하는 안료를 함유하는 광흡수성 박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반사방지층은 미세 요철이 형성된 표면을 갖는 요철구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반사방지층은 상기 제1 차광층과 상기 제2 차광층보다 얇을 수 있다.
상기 수지 기재는 적어도 하나의 가공홀을 포함하고, 상기 수지 기재의 측면은 상기 가공홀의 측벽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광 블레이드 제조장치는 제1 차광층, 수지 기재, 제2 차광층이 적층된 복수의 단위 가공물을 연결한 가공물 롤을 권출하는 권출부; 상기 단위 가공물의 측면에 광반사방지층을 증착하는 증착부; 및 상기 광반사방지층이 형성된 가공물 롤을 권취하는 권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공물 롤은, 일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복수의 단위 가공물이 상기 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지지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착부는 상기 단위 가공물 상에 빛을 흡수하는 안료 또는 미세 요철을 형성하는 미립자를 분사하는 잉크젯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공물 롤을 지지하여 상기 단위 가공물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단위 가공물의 이동 구간 중 상기 잉크젯 모듈의 분사면에 대해 상기 단위 가공물이 기울어지는 경사 구간을 형성하며, 상기 잉크젯 모듈은 상기 경사 구간에서 상기 안료 또는 상기 미립자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기울기가 상이한 복수의 경사 구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증착부는 빛을 흡수하는 안료 또는 미세 요철을 형성하는 미립자를 포함하는 증착 용액이 수용된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 가공물은 상기 증착 용액에 침지되어 상기 광반사방지층이 증착될 수 있다.
상기 증착부는 초음파를 발생시켜 상기 단위 가공물의 측면의 표면에 제공하는 초음파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위 가공물의 측면에 증착된 광반사방지층을 광에너지를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건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권출부와 상기 증착부의 사이에 제공되며, 공기 분사, 플라즈마 형성, 오존 공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단위 가공물의 표면을 개질하는 표면개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광 블레이드 제조방법은 제1 차광층, 수지 기재 및 제2 차광층이 적층된 적층구조물을 가공하여 형성된 단위 가공물을 마련하는 과정; 및 상기 단위 가공물의 측면 상에 광반사방지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반사방지층을 형성하는 과정은 상기 단위 가공물의 측면 상에 잉크젯 모듈로 빛을 흡수하는 안료 또는 미세 요철을 형성하는 미립자를 분사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반사방지층을 형성하는 과정은 상기 잉크젯 모듈의 분사면에 대해 상기 단위 가공물을 기울이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증착물질을 분사하는 과정에서는 기울어진 상기 단위 가공물의 측면에 상기 안료 또는 상기 미립자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광반사방지층을 형성하는 과정은 상기 단위 가공물의 기울어진 방향을 변화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위 가공물을 마련하는 과정에서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에 복수의 상기 단위 가공물이 서로 연결된 가공물 롤을 마련하고, 상기 광반사방지층을 형성하는 과정은 상기 가공물 롤을 이송하면서 인라인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광반사방지층을 형성하는 과정은 빛을 흡수하는 안료 또는 미세 요철을 형성하는 미립자를 포함하는 증착 용액에 상기 단위 가공물을 침지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반사방지층을 형성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단위 가공물의 측면의 표면에 초음파를 제공하여 상기 광반사방지층을 증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차광 블레이드는 수지 기재의 측면 상에 제공되는 광반사방지층을 포함하여 차광 블레이드의 측면에서의 광반사를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고, 차광 블레이드의 차광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교적 완전한 차광성을 갖는 차광 블레이드를 제공할 수 있고, 이러한 차광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조리개는 차광 블레이드의 완전한 차광성을 통해 빛의 입사 면적을 조절하는 조리개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광반사방지층이 빛을 흡수하는 안료를 포함하는 광흡수성 박막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다른 경우보다 광반사방지층의 낮은 반사율을 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지 기재의 측면을 통한 빛의 투과도 방지할 수 있으며, 미세 요철이 형성된 표면을 갖는 요철구조층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광반사방지층의 반사율이 보다 낮아질 수 있고, 효과적으로 광반사를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차광 블레이드 제조장치 및 차광 블레이드 제조방법에서는 제1 차광층, 수지 기재, 제2 차광층이 적층된 복수의 단위 가공물을 연결한 가공물 롤을 통해 인라인(in-line)으로 단위 가공물의 측면에 광반사방지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속적으로 차광 블레이드를 제조할 수 있고, 차광 블레이드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단위 가공물을 기울여서 증착하거나 단위 가공물의 측면의 표면에 초음파를 제공하여 증착함으로써, 단위 가공물의 측면에 효과적으로 광반사방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광 블레이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공홀을 포함하는 차광 블레이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광 블레이드 제조장치의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공물 롤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광 블레이드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설명 중,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고,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정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크기가 부분적으로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광 블레이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 도 1(a)는 광흡수성 박막을 포함하는 차광 블레이드를 나타내고, 도 1(b)는 요철구조층을 포함하는 차광 블레이드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광 블레이드(100)는 서로 대향하는 상부면과 하부면을 갖는 수지 기재(111); 상기 수지 기재(111)의 하부면 상에 제공되는 제1 차광층(112); 상기 수지 기재(111)의 상부면 상에 제공되는 제2 차광층(113); 및 상기 수지 기재(111)의 측면 상에 제공되는 광반사방지층(120);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지 기재(111)는 서로 대향하는 상부면과 하부면을 가질 수 있으며, 필름 형태일 수 있다. 수지 기재(111)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아라미드(aramid),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폴리에테르 설폰(polyether sulfone)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 있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로 이루어진 수지 기재(111)는 비중이 낮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는 약 200 ℃에서 내열성을 나타내는 바, 155 ~ 200 ℃의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고, 가격이 저렴하여 유용한 산업재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폴리이미드, 아라미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또는 폴리에테르 설폰 역시 200 ℃ 이상의 내열성을 나타내므로, 200℃ 이상의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폴리이미드는 가장 높은 온도인 300 ℃ 이상의 내열성을 나타내는 바, 가장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면 족하며, 투명 수지 또는 안료가 혼합된 착색 수지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수지 기재(111)의 두께는 5 내지 200 ㎛일 수 있다. 두께가 5 ㎛보다 작으면, 상처나 접힘 등과 같은 표면 결함에 취약할 수 있고, 두께가 200 ㎛보다 크면, 부피 간소화 측면에서 복수개의 차광 블레이드(light-shielding blade, 100)를 조리개(diaphragm) 또는 광량 조정장치에 탑재하기 어렵게 된다.
제1 차광층(112)은 수지 기재(111)의 하부면 상에 제공될 수 있고, 제2 차광층(113)은 수지 기재(111)의 상부면 상에 제공될 수 있으며, 상부면과 하부면으로 입사되는 빛의 투과(transmission)를 방지할 수 있는 재료(또는 소재)라면 재료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복수의 차광 블레이드(100)가 서로 겹쳐 동작할 때에 각 차광 블레이드(100) 사이로 빛이 새는(또는 통과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제1 차광층(112)과 제2 차광층(113)의 표면 반사율이 낮도록 흑화시키는 것(즉, 흑색성 또는 흑색도를 높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흑화는 빛을 흡수하여 표면 반사율을 낮출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차광층(112)과 제2 차광층(113)은 금속 원소, 탄소(Carbo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같은 조성이어도 제1 차광층(112)과 제2 차광층(113)의 저반사성이나 흑색성은 제1 차광층(112)과 제2 차광층(113)의 두께에 의존하며, 두께가 1 ㎛ 이상인 경우에 제1 차광층(112)과 제2 차광층(113)에 의한 광흡수가 충분히 행해져 저반사성과 흑색성을 발휘할 수 있으므로, 제1 차광층(112)과 제2 차광층(113)의 두께는 1 ㎛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 ~ 20 ㎛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차광층(112)과 제2 차광층(113)은 수지 기재(111)의 상부면과 하부면 상에 기능성 잉크를 인쇄(printing)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제1 차광층(112)과 제2 차광층(113)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상이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두께도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이때, 제1 차광층(112)과 제2 차광층(113) 중 외부를 향하는 차광층이 저반사성이나 흑색성에서 내부(예를 들어, 감광재 또는 이미지 센서)를 향하는 차광층보다 높거나 같을 수 있다.
광반사방지층(120)은 수지 기재(111)의 측면 상에 제공될 수 있으며, 수지 기재(111)의 측면으로 입사하는 빛의 반사(또는 표면반사)를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광반사방지는 빛을 흡수 또는 투과시켜 달성할 수 있고, 빛이 100 % 반사되지 못하게 하는 것만이 아니라 대부분의 빛이 반사되지 못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약 70 % 이상의 빛이 반사되지 못하게 하는 것을 광반사방지로 판단할 수 있다. 차광 블레이드는 필름 등의 감광재나 CCD, CMOS 등의 이미지 센서의 전면을 가려 빛을 차단하는 역할을 가지고 있어 완전한 차광성을 필요로 하는데, 차광 블레이드에서 수지 기재의 측면이 노출되는 경우에는 수지 기재의 측면에서 빛의 반사가 발생할 수 있고, 반사된 빛에 의해 완전한 차광성을 필요로 하는 차광 블레이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예를 들어, 조리개는 복수의 차광 블레이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차광 블레이드가 서로 겹쳐 동작할 때에 각 차광 블레이드 사이로 빛이 통과하여 수지 기재의 측면에서 반사될 수 있고, 반사된 빛이 감광재나 이미지 센서에 입사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차광 블레이드(100)는 수지 기재(111)의 측면 상에 제공되는 광반사방지층(120)을 포함하여 수지 기재(111)의 측면에서의 빛의 반사(또는 난반사)를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고, 비교적 완전한 차광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비교적 완전한 차광성을 갖는 차광 블레이드(100)를 제공할 수 있고, 이러한 차광 블레이드(100)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조리개는 차광 블레이드(100)의 완전한 차광성을 통해 빛의 입사 면적을 조절하는 조리개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광반사방지층(120)은 빛을 흡수하는 안료를 함유하는 광흡수성 박막(121)을 포함할 수 있다. 광흡수성 박막(121)은 수지 기재(111)의 측면 상에 증착될 수 있고, 수지 기재(111)의 측면으로 입사되는 빛을 흡수하여 수지 기재(111)의 측면에서 광반사를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으며, 잉크젯(ink jet) 방법(또는 공정)으로 증착될 수 있다. 광반사방지층(120)이 광흡수성 박막(121)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다른 경우보다 광반사방지층(120)의 낮은 반사율(또는 높은 흡수율)을 달성할 수 있고, 수지 기재(111)의 측면을 통한 빛의 투과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광흡수성 박막(121)은 빛을 흡수하는 안료를 함유할 수 있으며, 상기 안료는 흑색일 수 있고, 카본블랙, 티타늄블랙 등의 흑색 미립자, 탄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광흡수성 박막(121)은 저반사성을 위해 흑화될 수 있고, 무광택(또는 저광택)일 수 있다.
한편, 광흡수성 박막(121)의 두께가 두꺼워지게 되면, 차광 블레이드(100)의 부피가 커질 수 있고, 가공홀(111a)이 형성된 경우에는 가공홀(111a)의 크기가 작아질 수 있으므로, 광흡수성 박막(121)을 최대한 얇게 증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광흡수성 박막(121)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 ㎛일 수 있다.
또한, 광반사방지층(120)은 미세 요철이 형성된 표면을 갖는 요철구조층(122)을 포함할 수 있다. 요철구조층(122)은 수지 기재(111)의 측면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수지 기재(111)의 측면 상에서 수지 기재(111)의 측면 쪽으로 입사하는 빛을 산란(scattering)시키거나 입사각을 변화시켜 거울면 반사(또는 정반사)를 방지할 수 있고, 빛이 수지 기재(111)의 측면에서 반사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광반사방지층(120)의 반사율이 보다 낮아질 수 있고, 효과적으로 광반사를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철구조층(122)은 차광 블레이드(100)의 형상 가공을 위한 타발(cutting) 가공 또는 천공(punching) 가공에 의해 수지 기재(111)의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수지 기재(111)의 측면 상에 미립자를 증착하여 미세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광반사방지층(120)은 제1 차광층(112)과 제2 차광층(113)보다 얇을 수 있다. 광반사방지층(120)의 두께는 차광 블레이드(100)의 크기 및/또는 가공홀(111a)의 크기를 좌우하게 되므로, 최대한 얇게 증착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인쇄공정을 통해 두껍게 증착되는 제1 차광층(112)과 제2 차광층(113)보다 얇을 수 있다. 이때, 광반사방지층(120)은 잉크젯 방식으로 증착될 수 있으며, 0.5 내지 2 ㎛의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차광층(112) 및/또는 제2 차광층(113) 방향으로는 많은 빛이 입사되기 때문에 충분한 광흡수를 위해 제1 차광층(112)과 제2 차광층(113)은 광반사방지층(120)보다 두꺼울 수 있다. 한편, 광반사방지층(120)은 제1 차광층(112) 및 제2 차광층(113)과 서로 다른 두께를 갖기 위해 상이한 공정에서 각각 증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공홀을 포함하는 차광 블레이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수지 기재(111)는 적어도 하나의 가공홀(111a)을 포함할 수 있고, 수지 기재(111)의 측면은 가공홀(111a)의 측벽면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지 기재(111)에는 차광 블레이드(100)의 형상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가공홀(111a)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 가공홀(111a)의 측벽면에도 수지 기재(111)의 측면이 노출되므로, 가공홀(111a)의 측벽면에도 광반사방지층(120)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반사방지층(120)은 차광 블레이드(100)의 형상을 가공한 후에 형성할 수 있고, 수지 기재(111)의 측면 근처에만 광반사방지층(120)을 증착할 수 있다.
한편, 차광 블레이드(100)의 형상 가공을 위한 타발 가공 또는 천공 가공에 의해 수지 기재(111)의 측면에 광반사방지층(120)의 요철구조층(122)이 자연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광반사방지층(120)은 굴절률이 서로 다른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굴절률이 다른 막을 적당히 조합하여 여러 층을 겹치면, 완전 광반사방지층(12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지 기재(111)의 측면으로 입사되는 빛을 수지 기재(111)의 내부로 모두 입사시키거나 광흡수성 박막(121)을 통해 모두 흡수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지 기재(111)의 내부로 입사된 빛은 수지 기재(111)의 내부에서 수지 기재(111), 제1 차광층(112) 및/또는 제2 차광층(113)에 흡수되거나 내부 반사에 의해 소멸될 수 있다. 이때, 굴절률이 다른 막을 적당히 조합하여 수지 기재(111)의 내부에서 광반사방지층(120)으로 입사하는 빛은 반사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수지 기재(111)의 내부로 입사된 빛이 출사되는 것을 차단 또는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층이 적층되는 경우에는 수지 기재(111)에 인접한 층이 버퍼층(buffer layer)의 역할을 수행하여 광반사방지층(120)과 수지 기재(111)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도 있고, 표면이 외부에 노출되는 층이 보호층(passivation layer)의 역할을 수행하여 수지 기재(111)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층 또는 수지 기재(111)의 부식이나 변색 등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광반사방지층(120)의 인장력이 강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조리개는 개구부가 형성된 기판; 및 상기 기판에 장착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광 블레이드(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의 중앙에는 빛이 통과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부는 조리개의 형상(또는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차광 블레이드(100)는 상기 기판에 장착될 수 있으며, 가이드 홀(guide hole)과 홀(hole)을 포함할 수 있다. 차광 블레이드(100) 조립체는 상기 가이드 홀, 작동 모터에 연결된 가이드 핀(guide pin) 및 차광 블레이드(100)의 이동을 억제하는 핀을 포함한 상기 기판에 장치되어 있는 상기 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차광 블레이드(100) 조립체는 차광 블레이드(100)가 작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기판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차광 블레이드(100)는 조리개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수지 기재(111)를 기재로 하고 있으므로, 무게가 가볍고, 차광 블레이드(220)의 작동을 위한 작동부재의 소형화가 가능하며, 작동부재의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광 블레이드 제조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광 블레이드 제조장치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광 블레이드와 관련하여 앞서 설명된 부분과 중복되는 사항들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광 블레이드 제조장치(200)는 제1 차광층(112), 수지 기재(111), 제2 차광층(113)이 적층된 복수의 단위 가공물(11)을 연결한 가공물 롤(10)을 권출하는 권출부(210); 상기 단위 가공물(11)의 측면에 광반사방지층(120)을 증착하는 증착부(220); 및 상기 광반사방지층(120)이 형성된 가공물 롤(10)을 권취하는 권취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권출부(210)는 제1 차광층(112), 수지 기재(111), 제2 차광층(113)이 적층된 복수의 단위 가공물(11)을 연결한 가공물 롤(10)을 권출할 수 있고, 권취부(230)와 함께 가공물 롤(10)을 권출/권취함으로써, 복수의 단위 가공물(11)을 이동시킬 수 있다.
증착부(220)는 단위 가공물(11)의 측면에 광반사방지층(120)을 증착할 수 있고, 단위 가공물(11)의 측면에서의 광반사를 방지할 수 있다.
권취부(230)는 광반사방지층(120)이 형성된 가공물 롤(10)을 권취할 수 있으며, 권출부(210)와 함께 가공물 롤(10)을 권취/권출함으로써, 복수의 단위 가공물(11)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광반사방지층(120)이 형성된 복수의 단위 가공물(11)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가공물 롤(10)에서 광반사방지층(120)이 형성된 단위 가공물(11)을 제거함으로써, 차광 블레이드(100)를 완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공물 롤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가공물 롤(10)은 일방향으로 연장되며, 복수의 단위 가공물(11)이 상기 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지지되는 지지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2)는 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연장 방향(즉, 상기 일방향)을 따라 복수의 단위 가공물(11)이 이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인라인(in-line) 공정으로 복수의 단위 가공물(11)의 측면에 광반사방지층(120)을 증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하면서도 빠르게 복수의 단위 가공물(11)의 측면 상에 광반사방지층(120)을 형성할 수 있으며, 연속적으로 차광 블레이드(100)를 제조할 수 있고, 차광 블레이드(100)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차광층(112), 수지 기재(111) 및 제2 차광층(113)이 적층된 적층구조물을 가공하여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12)에 복수의 단위 가공물(11)이 연결된 가공물 롤(10)을 형성할 수도 있고, 지지부(12)를 별도의 캐리어 필름(carrier film) 또는 캐리어 시트(carrier sheet)로 구성하여 지지부(12) 상에 복수의 단위 가공물(11)이 부착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가공물 롤(10)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지지부(12)는 천공(punching)된 지그 홀(jig hole, 12a)을 포함할 수 있으며, 지그 홀(12a)은 이송장치 또는 이송라인의 지그(jig)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이송장치 또는 상기 이송라인의 지그를 지그 홀(12a)에 결합하여 복수의 단위 가공물(11)이 지지된 지지부(12) 또는 가공물 롤(10)을 상기 이송장치 또는 상기 이송라인에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증착부(220)는 단위 가공물(11) 상에 빛을 흡수하는 안료 또는 미세 요철을 형성하는 미립자를 분사하는 잉크젯 모듈(221)을 포함할 수 있다. 잉크젯 모듈(221)은 단위 가공물(11) 상에 빛을 흡수하는 안료 또는 미세 요철을 형성하는 미립자를 분사할 수 있으며, 광흡수성 박막(121) 및/또는 요철구조층(122)을 증착할 수 있다. 여기서, 광흡수성 박막(121)은 상기 안료를 분사하여 증착할 수 있고, 요철구조층(122)은 상기 미립자를 분사하여 증착할 수 있다.
그리고 잉크젯 모듈(221)은 잉크젯(ink jet) 방식으로 광흡수성 박막(121) 및/또는 요철구조층(122)을 포함하는 광반사방지층(120)을 증착함으로써, 높은 정밀도의 분사 위치와 분사량 조절을 통해 단위 가공물(11)의 측면 근처 부분에만 필요한 최소의 두께로 광흡수성 박막(121) 및/또는 요철구조층(122) 등의 광반사방지층(120)을 증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광 블레이드 제조장치(200)는 가공물 롤(10)을 지지하여 단위 가공물(11)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가이드부(240)는 단위 가공물(11)의 이동 구간 중 잉크젯 모듈(221)의 분사면에 대해 단위 가공물(11)이 기울어지는 경사 구간(21)을 형성할 수 있고, 잉크젯 모듈(221)은 경사 구간(21)에서 상기 안료 또는 상기 미립자를 분사할 수 있다. 가이드부(240)는 가공물 롤(10)을 지지할 수 있으며, 단위 가공물(11)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240)는 이송 롤러(241) 및/또는 지지 테이블(24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송 롤러(241)는 가공물 롤(10)의 이송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지지 테이블(242)은 단위 가공물(11)이 지지되어 단위 가공물(11)의 측면에 광반사방지층(120)이 증착되는 위치(또는 장소)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240)는 단위 가공물(11)의 이동 구간 중 잉크젯 모듈(221)의 분사면에 대해 단위 가공물(11)이 기울어지는 경사 구간(21)을 형성할 수 있고, 잉크젯 모듈(221)은 경사 구간(21)에서 상기 안료 또는 상기 미립자를 분사할 수 있다. 경사 구간(21)을 통해 단위 가공물(11)을 기울여서 상기 안료 또는 상기 미립자를 분사함으로써, 단위 가공물(11)의 측면에 광반사방지층(120)을 증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위 가공물(11)의 측면에 효과적으로 광반사방지층(120)을 형성할 수 있고, 가능한 단위 가공물(11)의 측면에만 광반사방지층(120)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사 구간(21)은 이송 롤러(241)의 높이(또는 위치)를 다르게 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지지 테이블(242)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송 롤러(241)와 지지 테이블(242)의 높이를 다르게 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가이드부(240)는 기울기가 상이한 복수의 경사 구간(21a,21b)을 형성할 수 있다. 즉, 경사 구간(21)은 기울기가 상이한 복수의 구간(21a,21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경사 구간(21)은 두 구간(21a,21b)일 수 있으며, 전단의 구간(21a)와 후단의 구간(21b)은 서로 반대방향의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전단의 구간(21a)에서는 단위 가공물(11)의 측면 중 잉크젯 모듈(221)의 분사면을 향하는 절반을 증착할 수 있고, 후단의 구간(21b)에서는 단위 가공물(11)의 측면 중 나머지 절반을 증착할 수 있다.
증착부(220)는 빛을 흡수하는 안료 또는 미세 요철을 형성하는 미립자를 포함하는 증착 용액이 수용된 용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단위 가공물(11)은 상기 증착 용액에 침지(dipping)되어 광반사방지층(120)이 증착될 수 있다. 가공물 롤(10)을 이송하면서 단위 가공물(11)을 상기 증착 용액에 침지시켜 단위 가공물(11)의 측면에 광흡수성 박막(121) 또는 요철구조층(122)을 증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단위 가공물(11)의 측면에 광반사방지층(12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부와 하부에 보호필름(미도시)이 형성된 단위 가공물(11)을 상기 증착 용액에 침지시킨 후에 증착된 보호필름(미도시)을 제거하여 단위 가공물(11)의 측면에만 광반사방지층(120)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증착부(220)는 초음파를 발생시켜 단위 가공물(11)의 측면의 표면에 제공하는 초음파 발생기(222)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발생기(222)는 초음파를 발생시킬 수 있고, 단위 가공물(11)의 측면의 표면에 초음파(또는 초음파에 의한 진동)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위 가공물(11)의 측면의 표면 또는 주변의 상기 안료 입자나 상기 미립자를 진동시켜 거친 표면을 갖는 단위 가공물(11)의 측면일지라도 단위 가공물(11)의 측면에 광반사방지층(120)이 잘 증착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위 가공물(11)의 측면은 타발(cutting) 가공 또는 천공 가공으로 생길 수 있는데, 타발 가공 또는 천공 가공으로 생긴 단위 가공물(11)의 측면은 가공 과정에서 매끄럽게 되지 못하고 두들두들한 거친 표면(또는 미세 요철을 갖는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두드러진(또는 볼록한) 부분 사이사이에 상기 안료 등이 증착되지 못하여 연속적인 면을 갖는 광반사방지층(120)을 형성할 수 없고, 광반사방지층(120)에 틈(또는 균열)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틈으로 빛이 통과될 수 있어 광반사방지층(120)의 반사방지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하지만, 초음파로 단위 가공물(11)의 측면의 두드러진 부분(즉, 표면) 및/또는 주변의 상기 안료 입자나 상기 미립자를 진동시키면서 증착을 하게 되면, 두드러진 부분 사이사이에 상기 안료 등이 메워져 증착될 수 있고, 연속적인 면을 갖는 광반사방지층(12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광반사방지층(120)에 발생된 틈으로 인한 광반사방지층(120)의 반사방지 효과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광 블레이드 제조장치(200)는 단위 가공물(11)의 측면에 증착된 광반사방지층(120)을 광에너지를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건조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건조부(미도시)는 광에너지를 이용하여 단위 가공물(11)의 측면에 증착된 광반사방지층(120)을 순간적으로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고, 자외선(UltraViolet rays; UV) 건조기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부(미도시)를 통해 광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증착된 광반사방지층(120)을 건조시키는 경우에는 높은 결합력으로 광반사방지층(120)이 단위 가공물(11)의 측면에 잘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가공물 롤(10)의 권취시에 수분 또는 유분 등으로 인한 가공물 롤(10) 층(또는 면) 간의 상호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광 블레이드 제조장치(200)는 권출부(210)와 증착부(220)의 사이에 제공되며, 공기 분사, 플라즈마 형성, 오존 공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단위 가공물(11)의 표면을 개질하는 표면개질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면개질부(미도시)는 권출부(210)와 증착부(220)의 사이에 제공될 수 있고, 공기 분사, 플라즈마 형성, 오존 공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단위 가공물(11)의 표면을 개질시킬 수 있다. 공기(air), 플라즈마 및/또는 오존(O3)을 통해 형상 가공 등의 이전 공정에서 단위 가공물(11)의 표면에 부착된 유분, 더스트(dust), 파티클(particle) 등을 제거할 수 있고, 단위 가공물(11)의 표면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단위 가공물(11)의 표면의 건식 세정과 활성화를 통해 높은 결합력으로 광반사방지층(120)이 단위 가공물(11)의 측면에 잘 증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화학적 부식방법으로 단위 가공물(11)의 측면을 부식시켜 측면 난반사 저감처리를 할 수도 있으나, 화학적 부식방법은 부식에 의한 수지 기재(111) 등 단위 적층체(11)의 측면 주름과 추가적으로 원치 않는 진행성 불량이 발생할 수 있고, 높은 광반사 방지 효과를 구현하기가 어려울 수 있으며, 환경문제 및 공정이 복잡하게 되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부식에 의한 가공물 롤(10) 층 간 상호 부착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공물 롤(10)의 뒤면(또는 이면)에 간지(또는 종이)를 삽입해야 하며, 유독성의 부식액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공정이 긴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간지 제거 공정이 추가되는 등 공정이 복잡해질 수 있다.
하지만, 잉크젯 방식이나 담금 코팅(Dip-coating)법으로 광반사방지층(120)을 증착하게 되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다.
그리고 수지 기재(111)의 측면은 두들두들한 거친 표면 또는 미세 요철을 갖는 표면을 가질 수 있어 수지 기재(111)의 상부면 및 하부면과는 다른 증착 메커니즘이 필요하므로, 광반사방지층(120)을 제1 차광층(112) 및 제2 차광층(113)과는 별도로 증착할 수 있으며, 광반사방지층(120)은 제1 차광층(112) 및 제2 차광층(113)과 필요로 하는 두께도 상이하므로, 광반사방지층(120)을 제1 차광층(112) 및 제2 차광층(113)과는 별도로 증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광 블레이드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광 블레이드 제조방법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광 블레이드 및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광 블레이드 제조장치와 관련하여 앞서 설명된 부분과 중복되는 사항들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광 블레이드 제조방법은 제1 차광층, 수지 기재 및 제2 차광층이 적층된 적층구조물을 가공하여 형성된 단위 가공물을 마련하는 과정(S100); 및 상기 단위 가공물의 측면 상에 광반사방지층을 형성하는 과정(S20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 차광층, 수지 기재 및 제2 차광층이 적층된 적층구조물을 가공하여 형성된 단위 가공물을 마련한다(S100). 여기서, 상기 단위 가공물을 마련하는 과정(S100)은 제1 차광층, 수지 기재 및 제2 차광층이 적층된 적층구조물을 형성하는 과정(S110) 및 상기 적층구조물을 가공하여 단위 가공물을 형성하는 과정(S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차광층, 수지 기재 및 제2 차광층이 적층된 적층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S100). 예를 들어, 필름상의 수지 기재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기능성 잉크를 인쇄하여 상기 수지 기재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상기 제2 차광층과 상기 제1 차광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롤 상태의 상기 수지 기재를 권출하여 이송함으로써, 상기 수지 기재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기능성 잉크를 인쇄하여 상기 제2 차광층과 상기 제1 차광층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층구조물을 가공하여 단위 가공물을 형성할 수 있다(S120). 상기 적층구조물을 원하는 차광 블레이드의 형상에 따라 가공하여 상기 단위 가공물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차광층, 상기 수지 기재 및 상기 제2 차광층의 일부 면적을 각각 제거하여 상기 단위 가공물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층구조물을 타발(cutting), 반(半)타발(half-cutting) 및/또는 천공(punching)하여 상기 제1 차광층, 상기 수지 기재 및 상기 제2 차광층의 일부 면적을 각각 제거함으로써, 상기 단위 가공물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단위 가공물은 차광 블레이드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단위 가공물의 측면 상에 광반사방지층을 형성한다(S200). 상기 광반사방지층은 상기 수지 기재의 측면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지 기재의 측면으로 입사하는 빛을 차단할 수 있다. 조리개의 차광 블레이드(light-shielding blade)는 필름 등의 감광재나 CCD, CMOS 등의 이미지 센서의 전면을 가려 빛을 차단하는 역할을 가지고 있어 완전한 차광성을 필요로 하는데, 차광 블레이드에서 상기 수지 기재의 측면이 노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수지 기재의 측면에서 빛의 반사가 발생할 수 있고, 반사된 빛에 의해 완전한 차광성을 필요로 하는 차광 블레이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예를 들어, 조리개는 복수의 차광 블레이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차광 블레이드가 서로 겹쳐 동작할 때에 각 차광 블레이드 사이로 빛이 통과하여 수지 기재의 측면에서 반사될 수 있고, 반사된 빛이 감광재나 이미지 센서에 입사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단위 가공물의 측면 상에 상기 광반사방지층을 형성하여 상기 수지 기재의 측면에서의 빛의 반사(또는 난반사)를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고, 비교적 완전한 차광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광 블레이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차광 블레이드를 이용하는 조리개는 차광 블레이드의 비교적 완전한 차광성을 통해 빛의 입사 면적을 조절하는 조리개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광반사방지층을 형성하는 과정(S200)은 상기 단위 가공물의 측면 상에 잉크젯 모듈로 빛을 흡수하는 안료 또는 미세 요철을 형성하는 미립자를 분사하는 과정(S2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위 가공물의 측면 상에 잉크젯 모듈로 빛을 흡수하는 안료 또는 미세 요철을 형성하는 미립자를 분사할 수 있다(S210). 상기 단위 가공물의 측면 상에 빛을 흡수하는 안료 또는 미세 요철을 형성하는 미립자를 분사할 수 있으며, 광흡수성 박막 및/또는 요철구조층을 증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흡수성 박막은 상기 안료를 분사하여 증착할 수 있고, 상기 요철구조층은 상기 미립자를 분사하여 증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잉크젯 모듈을 통해 잉크젯(ink jet) 방식으로 상기 안료 또는 상기 미립자를 분사할 수 있는데, 잉크젯 방식으로 상기 광흡수성 박막 및/또는 상기 요철구조층을 포함하는 상기 광반사방지층을 증착하는 경우에는 높은 정밀도의 분사 위치와 분사량 조절을 통해 상기 단위 가공물의 측면 근처 부분에만 필요한 최소의 두께로 상기 광흡수성 박막 및/또는 상기 요철구조층 등의 상기 광반사방지층을 증착할 수 있다.
상기 광반사방지층을 형성하는 과정(S200)은 상기 잉크젯 모듈의 분사면에 대해 상기 단위 가공물을 기울이는 과정(S201)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증착물질을 분사하는 과정(S210)에서는 기울어진 상기 단위 가공물의 측면에 상기 안료 또는 상기 미립자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잉크젯 모듈의 분사면에 대해 상기 단위 가공물을 기울일 수 있다(S201). 그리고 상기 증착물질을 분사하는 과정(S210)에서는 기울어진 상기 단위 가공물의 측면에 상기 안료 또는 상기 미립자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단위 가공물을 기울여서 상기 안료 또는 상기 미립자를 분사함으로써, 상기 단위 가공물의 측면에 상기 광반사방지층을 증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단위 가공물의 측면에 효과적으로 상기 광반사방지층을 형성할 수 있고, 가능한 상기 단위 가공물의 측면에만 상기 광반사방지층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광반사방지층을 형성하는 과정(S200)은 상기 단위 가공물의 기울어진 방향을 변화시키는 과정(S20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위 가공물의 기울어진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S202). 상기 단위 가공물의 기울어진 방향을 변화시키면서 상기 단위 가공물의 측면의 모든 부분이 상기 잉크젯 모듈의 분사면을 향하도록(또는 상기 잉크젯 모듈의 분사면에 대향하여 지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단위 가공물의 측면 전체에 효과적으로 상기 광반사방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위 가공물이 지지된 지지 테이블의 기울어진 지지면을 회전시켜 상기 단위 가공물의 측면의 모든 부분이 상기 잉크젯 모듈의 분사면을 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가공물 롤 상태로 복수의 상기 단위 가공물이 서로 연결된 경우에는 기울기가 상이한 복수의 경사 구간을 통해 상기 단위 가공물의 측면 전체에 상기 안료 또는 상기 미립자가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경사 구간 중 전단의 경사 구간과 후단의 경사 구간은 서로 반대방향의 기울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단의 경사 구간에서는 상기 단위 가공물의 측면 중 상기 잉크젯 모듈의 분사면을 향하는 절반을 증착할 수 있고, 후단의 경사 구간에서는 상기 단위 가공물의 측면 중 나머지 절반을 증착할 수 있다.
상기 단위 가공물을 마련하는 과정(S100)에서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에 복수의 상기 단위 가공물이 서로 연결된 가공물 롤을 마련할 수 있고, 상기 광반사방지층을 형성하는 과정(S200)은 상기 가공물 롤을 이송하면서 인라인(in-line)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적층구조물을 가공하면서 복수의 상기 단위 가공물이 서로 연결된 가공물 롤을 마련할 수 있고, 상기 가공물 롤은 일방향으로 연장되며, 복수의 상기 단위 가공물이 상기 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지지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연장 방향(즉, 상기 일방향)을 따라 복수의 상기 단위 가공물이 이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인라인 공정으로 복수의 상기 단위 가공물의 측면에 상기 광반사방지층을 증착할 수 있다.
이에 상기 광반사방지층을 형성하는 과정(S200)은 상기 가공물 롤을 이송하면서 인라인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간단하면서도 빠르게 복수의 상기 단위 가공물의 측면 상에 상기 광반사방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속적으로 차광 블레이드를 제조할 수 있고, 차광 블레이드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상기 가공물 롤을 이송하면서 복수의 상기 단위 가공물의 측면 상에 상기 광반사방지층을 형성하여 생산성을 보다 높일 수도 있다.
상기 광반사방지층을 형성하는 과정(S200)은 빛을 흡수하는 안료 또는 미세 요철을 형성하는 미립자를 포함하는 증착 용액에 상기 단위 가공물을 침지(dipping)하는 과정(S250)을 포함할 수 있다.
빛을 흡수하는 안료 또는 미세 요철을 형성하는 미립자를 포함하는 증착 용액에 상기 단위 가공물을 침지할 수 있다(S250). 상기 단위 가공물을 상기 증착 용액에 침지시켜 상기 단위 가공물의 측면에 상기 광흡수성 박막 또는 상기 요철구조층을 증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단위 가공물의 측면에 상기 광반사방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공물 롤을 이송하면서 인라인으로 복수의 상기 단위 가공물의 측면에 상기 광반사방지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부와 하부에 보호필름이 형성된 상기 단위 가공물을 상기 증착 용액에 침지시킨 후에 증착된 상기 보호필름을 제거하여 상기 단위 가공물의 측면에만 상기 광반사방지층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광반사방지층을 형성하는 과정(S200)에서는 상기 단위 가공물의 측면의 표면에 초음파를 제공하여 상기 광반사방지층을 증착할 수 있다. 상기 단위 가공물의 측면의 표면에 초음파를 제공하여 상기 단위 가공물의 측면의 표면 또는 주변의 상기 안료 입자나 상기 미립자를 진동시킴으로써, 거친 표면을 갖는 상기 단위 가공물의 측면일지라도 상기 단위 가공물의 측면에 상기 광반사방지층이 잘 증착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위 가공물의 측면은 타발 가공 또는 천공 가공으로 생길 수 있는데, 타발 가공 또는 천공 가공으로 생긴 상기 단위 가공물의 측면은 가공 과정에서 매끄럽게 되지 못하고 두들두들한 거친 표면(또는 미세 요철을 갖는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두드러진(또는 볼록한) 부분 사이사이에 상기 안료 등이 증착되지 못하여 연속적인 면을 갖는 상기 광반사방지층을 형성할 수 없고, 상기 광반사방지층(120)에 틈(또는 균열)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틈으로 빛이 통과될 수 있어 상기 광반사방지층의 반사방지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하지만, 초음파로 상기 단위 가공물의 측면의 두드러진 부분(즉, 표면) 및/또는 주변의 상기 안료 입자나 상기 미립자를 진동시키면서 증착을 하게 되면, 두드러진 부분 사이사이에 상기 안료 등이 메워져 증착될 수 있고, 연속적인 면을 갖는 상기 광반사방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광반사방지층에 발생된 틈으로 인한 상기 광반사방지층의 반사방지 효과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광반사방지층을 형성하는 과정(S200)은 상기 단위 가공물의 측면에 증착된 광반사방지층을 광에너지를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과정(S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위 가공물의 측면에 증착된 광반사방지층을 광에너지를 이용하여 건조시킬 수 있다(S260). 광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증착된 광반사방지층을 순간적으로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고, 예를 들어, 자외선(UltraViolet rays; UV) 건조기 등을 이용하여 상기 증착된 광반사방지층을 건조시킬 수 있다. 광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증착된 광반사방지층을 건조시키는 경우에는 높은 결합력으로 상기 광반사방지층이 상기 단위 가공물의 측면에 잘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가공물 롤의 권취시에 수분 또는 유분 등으로 인한 상기 가공물 롤 층(또는 면) 간의 상호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광 블레이드 제조방법은 공기 분사, 플라즈마 형성, 오존 공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단위 가공물의 표면을 개질하는 과정(S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반사방지층을 형성하는 과정(S200) 이전에 공기 분사, 플라즈마 형성, 오존 공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단위 가공물의 표면을 개질할 수 있다(S150). 공기(air), 플라즈마 및/또는 오존(O3)을 통해 형상 가공을 포함하는 상기 단위 가공물을 마련하는 과정(S100) 등의 이전 공정에서 상기 단위 가공물의 표면에 부착된 유분, 더스트(dust), 파티클(particle) 등을 제거할 수 있고, 상기 단위 가공물의 표면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단위 가공물의 표면의 건식 세정과 활성화를 통해 높은 결합력으로 상기 광반사방지층이 상기 단위 가공물의 측면에 잘 증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차광 블레이드 제조방법은 상기 가공물 롤에서 상기 광반사방지층이 형성된 단위 가공물을 제거하는 과정(S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공물 롤에서 상기 광반사방지층이 형성된 단위 가공물을 제거하여 차광 블레이드를 제조(또는 완성)할 수 있고, 간단하면서도 빠르게 차광 블레이드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연속적으로 차광 블레이드를 제조할 수 있고, 차광 블레이드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반사방지층이 형성된 가공물 롤을 다시 권취하여 상기 광반사방지층이 형성된 복수의 상기 단위 가공물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필요할 때에 상기 광반사방지층이 형성된 가공물 롤에서 상기 광반사방지층이 형성된 단위 가공물을 제거하여 차광 블레이드로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수지 기재의 측면 상에 제공되는 광반사방지층을 포함하여 차광 블레이드의 측면에서의 광반사를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고, 비교적 완전한 차광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비교적 완전한 차광성을 갖는 차광 블레이드를 제공할 수 있고, 이러한 차광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조리개는 차광 블레이드의 완전한 차광성을 통해 빛의 입사 면적을 조절하는 조리개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광반사방지층이 빛을 흡수하는 안료를 포함하는 광흡수성 박막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다른 경우보다 광반사방지층의 낮은 반사율을 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지 기재의 측면을 통한 빛의 투과도 방지할 수 있으며, 미세 요철이 형성된 표면을 갖는 요철구조층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광반사방지층의 반사율이 보다 낮아질 수 있고, 효과적으로 광반사를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차광층, 수지 기재, 제2 차광층이 적층된 복수의 단위 가공물을 연결한 가공물 롤을 통해 인라인(in-line)으로 단위 가공물의 측면에 광반사방지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속적으로 차광 블레이드를 제조할 수 있고, 차광 블레이드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단위 가공물을 기울여서 증착하거나 단위 가공물의 측면의 표면에 초음파를 제공하여 증착함으로써, 단위 가공물의 측면에 효과적으로 광반사방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 사용한 “~ 상에”라는 의미는 직접 접촉하는 경우와 직접 접촉하지는 않지만 상부 또는 하부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경우를 포함하고, 상부면 또는 하부면 전체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것뿐만 아니라 부분적으로 대향하여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위치상 떨어져 대향하거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직접 접촉한다는 의미로 사용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가공물 롤 11 : 단위 가공물
12 : 지지부 12a: 지그 홀
21 : 경사 구간 100 : 차광 블레이드
111 : 수지 기재 111a: 가공홀
112 : 제1 차광층 113 : 제2 차광층
120 : 광반사방지층 121 : 광흡수성 박막
122 : 요철구조층 200 : 차광 블레이드 제조장치
210 : 권출부 220 : 증착부
221 : 잉크젯 모듈 222 : 초음파 발생기
230 : 권취부 240 : 가이드부
241 : 이송 롤러 242 : 지지 테이블

Claims (21)

  1. 서로 대향하는 상부면과 하부면을 갖는 수지 기재;
    상기 수지 기재의 하부면 상에 제공되는 제1 차광층;
    상기 수지 기재의 상부면 상에 제공되는 제2 차광층; 및
    상기 수지 기재의 측면 상에 제공되는 광반사방지층;을 포함하는 차광 블레이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반사방지층은 빛을 흡수하는 안료를 함유하는 광흡수성 박막을 포함하는 차광 블레이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반사방지층은 미세 요철이 형성된 표면을 갖는 요철구조층을 포함하는 차광 블레이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반사방지층은 상기 제1 차광층과 상기 제2 차광층보다 얇은 차광 블레이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지 기재는 적어도 하나의 가공홀을 포함하고,
    상기 수지 기재의 측면은 상기 가공홀의 측벽면을 포함하는 차광 블레이드.
  6. 제1 차광층, 수지 기재, 제2 차광층이 적층된 복수의 단위 가공물을 연결한 가공물 롤을 권출하는 권출부;
    상기 단위 가공물의 측면에 광반사방지층을 증착하는 증착부; 및
    상기 광반사방지층이 형성된 가공물 롤을 권취하는 권취부;를 포함하는 차광 블레이드 제조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공물 롤은,
    일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복수의 단위 가공물이 상기 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지지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차광 블레이드 제조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증착부는 상기 단위 가공물 상에 빛을 흡수하는 안료 또는 미세 요철을 형성하는 미립자를 분사하는 잉크젯 모듈을 포함하는 차광 블레이드 제조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공물 롤을 지지하여 상기 단위 가공물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단위 가공물의 이동 구간 중 상기 잉크젯 모듈의 분사면에 대해 상기 단위 가공물이 기울어지는 경사 구간을 형성하며,
    상기 잉크젯 모듈은 상기 경사 구간에서 상기 안료 또는 상기 미립자를 분사하는 차광 블레이드 제조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기울기가 상이한 복수의 경사 구간을 형성하는 차광 블레이드 제조장치.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증착부는 빛을 흡수하는 안료 또는 미세 요철을 형성하는 미립자를 포함하는 증착 용액이 수용된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 가공물은 상기 증착 용액에 침지되어 상기 광반사방지층이 증착되는 차광 블레이드 제조장치.
  12.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증착부는 초음파를 발생시켜 상기 단위 가공물의 측면의 표면에 제공하는 초음파 발생기를 포함하는 차광 블레이드 제조장치.
  13.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단위 가공물의 측면에 증착된 광반사방지층을 광에너지를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건조부;를 더 포함하는 차광 블레이드 제조장치.
  14.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권출부와 상기 증착부의 사이에 제공되며, 공기 분사, 플라즈마 형성, 오존 공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단위 가공물의 표면을 개질하는 표면개질부;를 더 포함하는 차광 블레이드 제조장치.
  15. 제1 차광층, 수지 기재 및 제2 차광층이 적층된 적층구조물을 가공하여 형성된 단위 가공물을 마련하는 과정; 및
    상기 단위 가공물의 측면 상에 광반사방지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차광 블레이드 제조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광반사방지층을 형성하는 과정은 상기 단위 가공물의 측면 상에 잉크젯 모듈로 빛을 흡수하는 안료 또는 미세 요철을 형성하는 미립자를 분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차광 블레이드 제조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광반사방지층을 형성하는 과정은 상기 잉크젯 모듈의 분사면에 대해 상기 단위 가공물을 기울이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증착물질을 분사하는 과정에서는 기울어진 상기 단위 가공물의 측면에 상기 안료 또는 상기 미립자를 분사하는 차광 블레이드 제조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광반사방지층을 형성하는 과정은 상기 단위 가공물의 기울어진 방향을 변화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차광 블레이드 제조방법.
  19.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단위 가공물을 마련하는 과정에서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에 복수의 상기 단위 가공물이 서로 연결된 가공물 롤을 마련하고,
    상기 광반사방지층을 형성하는 과정은 상기 가공물 롤을 이송하면서 인라인으로 수행되는 차광 블레이드 제조방법.
  20.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광반사방지층을 형성하는 과정은 빛을 흡수하는 안료 또는 미세 요철을 형성하는 미립자를 포함하는 증착 용액에 상기 단위 가공물을 침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차광 블레이드 제조방법.
  21.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광반사방지층을 형성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단위 가공물의 측면의 표면에 초음파를 제공하여 상기 광반사방지층을 증착하는 차광 블레이드 제조방법.
KR1020180017876A 2017-11-22 2018-02-13 차광 블레이드, 차광 블레이드 제조장치 및 차광 블레이드 제조방법 KR1020362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56814 2017-11-22
KR1020170156814 2017-1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9183A true KR20190059183A (ko) 2019-05-30
KR102036290B1 KR102036290B1 (ko) 2019-10-24

Family

ID=66675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876A KR102036290B1 (ko) 2017-11-22 2018-02-13 차광 블레이드, 차광 블레이드 제조장치 및 차광 블레이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629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3522A (ja) * 2004-06-28 2006-0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イメージセンサ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233134A (ja) * 2006-03-02 2007-09-13 Bridgestone Corp ディスプレイ用光学フィルタ、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備えたディスプレイ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8147356A (ja) * 2006-12-08 2008-06-26 Dainippon Printing Co Ltd 金属黒化処理方法、電磁波遮蔽フィルタ及び複合フィルタ、並びにディスプレイ
KR20110029122A (ko) * 2008-06-27 2011-03-22 스미토모 긴조쿠 고잔 가부시키가이샤 필름상 차광판 및 이를 적용한 조리개, 조리개 장치, 및 셔터
KR20130107377A (ko) * 2011-10-24 2013-10-01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필터와 그의 제조 방법, 및 촬상 장치
JP2017033967A (ja) * 2015-07-28 2017-02-09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7167557A (ja) * 2017-05-22 2017-09-21 旭硝子株式会社 光吸収体及びこれを用いた撮像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3522A (ja) * 2004-06-28 2006-0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イメージセンサ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233134A (ja) * 2006-03-02 2007-09-13 Bridgestone Corp ディスプレイ用光学フィルタ、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備えたディスプレイ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8147356A (ja) * 2006-12-08 2008-06-26 Dainippon Printing Co Ltd 金属黒化処理方法、電磁波遮蔽フィルタ及び複合フィルタ、並びにディスプレイ
KR20110029122A (ko) * 2008-06-27 2011-03-22 스미토모 긴조쿠 고잔 가부시키가이샤 필름상 차광판 및 이를 적용한 조리개, 조리개 장치, 및 셔터
KR20130107377A (ko) * 2011-10-24 2013-10-01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필터와 그의 제조 방법, 및 촬상 장치
JP2017033967A (ja) * 2015-07-28 2017-02-09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7167557A (ja) * 2017-05-22 2017-09-21 旭硝子株式会社 光吸収体及びこれを用いた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6290B1 (ko) 2019-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23906C (fr) Procede d'obtention d'un substrat muni d'un revetement
US8487212B2 (en) Method of marking or inscribing a workpiece
CN101389441A (zh) 塑料基底上的涂层方法和涂覆的塑料产品
JP2017518951A (ja) 犠牲層を用い機能性層により被覆された基材を得るための方法
US8111457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screen and screen
EP3003631B1 (fr) Procede d'obtention d'un substrat muni d'un revetement
JP2011180562A (ja) 熱線遮断用基材
JP2010269957A (ja) 光学素子およびそれを有する光学系
US8179600B2 (en) Scree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creen
JP2007105662A (ja) 光学用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の洗浄方法、光学用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光学用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の洗浄装置並びに塗工装置
CN110961780A (zh) 激光处理设备
US2013027023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aser cutting using a support member having a gold facing layer
JP2017114761A (ja) コーティング基板及びコーティング基板のカッティング方法
KR20190059183A (ko) 차광 블레이드, 차광 블레이드 제조장치 및 차광 블레이드 제조방법
JP2007246849A (ja) 光学用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の洗浄方法、光学用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光学用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の洗浄装置並びに塗工装置
JP2010105016A (ja) レーザー加工方法およびレーザー加工装置
US6858115B2 (en) Process for reforming surface of substrate, reformed substrate and apparatus for the same
JP2009015196A (ja) 反射スクリーンの製造方法および反射スクリーン
WO2014208255A1 (ja) フィルムミラー及びフィルムミラーの製造方法
CN214054095U (zh) 一种激光加工装置
US11460612B2 (en) Spacer
JP6429011B2 (ja) インモールド成型用転写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155204A (ja) 反射型光学素子
CN112620971A (zh) 一种激光加工装置及激光加工方法
JP2011053387A (ja) 反射型スクリーンの製造方法および反射型スクリー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