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8973A - 초소수성 코어 쉘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한 도료 - Google Patents

초소수성 코어 쉘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한 도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8973A
KR20190058973A KR1020170156444A KR20170156444A KR20190058973A KR 20190058973 A KR20190058973 A KR 20190058973A KR 1020170156444 A KR1020170156444 A KR 1020170156444A KR 20170156444 A KR20170156444 A KR 20170156444A KR 20190058973 A KR20190058973 A KR 20190058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structure
core shell
superhydrophobic
diacrylate
hydrophobic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6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규
박동호
나종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빌덱스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빌덱스,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빌덱스
Priority to KR1020170156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8973A/ko
Publication of KR20190058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89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3/00Treatment in general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C09C3/10Treatment with 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28Compounds of silicon
    • C09C1/30Silicic acid
    • C09C1/3072Treatment with 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28Compounds of silicon
    • C09C1/30Silicic acid
    • C09C1/3081Treatment with organo-silicon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3/00Treatment in general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C09C3/12Treatment with organosilicon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수소성 코어 쉘 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초소수성 코어 쉘 구조체, 그리고 이러한 구조체를 첨가제로 포함한 도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초소수성 코어 쉘 구조체의 제작이 가능하고, 이렇게 제작된 초소수성 코어 쉘 구조체를 도료의 첨가제로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가 포함된 도료는 내오염성이 우수하고 접촉각이 큰 초소수성 특성을 나타낸다.

Description

초소수성 코어 쉘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한 도료 {SUPERHYDROPHOBIC CORE SHELL STRUCTUR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REOF, AND PAINT COMPRISING THEREOF}
본 발명은 초수소성 코어 쉘 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초소수성 코어 쉘 구조체, 그리고 이러한 구조체를 첨가제로 포함한 도료에 관한 것이다.
유성페인트의 성분은 주로 결합제, 안료, 건성유, 건조제 및 희석제를 사용한다.
이 중 가장 중요한 결합제는 아크릴, 에폭시, 우레탄과 같은 고분자 수지가 사용된다. 안료는 색채가 있고 물이나 그 밖의 용제에 녹지 않는 미세한 분말을 사용한다. 건성유는 유지가 공기 중에서 산소를 흡수하여 산화 중합 축합을 일으킴으로써 차차 점성이 증가하여 단시간 내에 고화(固化) 건조되는 성분으로 수지와 혼용사용되는 성분들이다. 수지를 용해시키거나 점도 조절용으로 사용되는 용제류는 주로 신나라고 하는 용매류가 사용된다. 기타 첨가제는 도막의 평활성이나 강도를 부여하거나 탄력성이나 내화학성, 내후성을 증가시킬 목적으로 다양한 유기물, 무기물, 유무기 복합제 등이 사용된다.
최근 무기나노입자, 예를 들면 나노 실리카, 나노 징크옥사이드로 만든 코어부위에 기능성 고분자를 코팅하는 하이브리드 고분자 관련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나노 실리카 입자에 고분자화 반응이 가능하도록 입자 표면의 개질과 폴리머 쉘(shell)에 의한 표면 개질 및 캡슐화 등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
그 중에서 주목할 만한 것으로는 주로 실란기와 비닐기를 졸-겔 반응(sol-gel process)으로 결합하는 연구가 있다. 실리카 나노입자(7-40 nm)에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와 핵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를 자외선 경화(UV curing)하는 경우 실리카 나노입자가 약 10% 존재하면 경화 시간과 경화율이 촉진되었고, 이액형 폴리우레탄 클리어코트에 코어/쉘 실리카 나노 입자를 2.5% 첨가하면 내스크래치성 평가시 광택도가 현저히 개선되는 현상을 보고하고 있다.
이러한 코어-쉘 하이브리드 복합체를 자동차용 클리어코트 도료에 적용하면 기존의 유기적 특성인 유연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무기적 특성인 -Si-O-Si- 결합을 형성시켜 도막의 치밀도 및 경도, 외부적인 충격에 버틸 수 있는 도막 내구력 등이 증가되는 메커니즘에 의해 내산성 및 내스크래치성, 내화학성 등이 개선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때 고분자 쉘의 분자 구조는 전체적인 코어-쉘 하이브리드 복합체의 친유성 친수성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료의 초소수성을 향상시켜 내오염성을 증가시킬 목적으로 개발한 코어-쉘 복합물질 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적용한 코팅기술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도료의 초소수성을 향상시켜 내오염성을 증가시킬 목적으로 개발한 코어-쉘 복합물질 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적용한 코팅기술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초소수성 첨가제를 개발하고 초소수성 도막을 만들 수 있는 코팅처방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소수성 코어 쉘 구조체의 제조 방법은, 금속 산화물 또는 SiO2로 이루어진 나노 코어 입자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나노 코어 입자의 표면에 γ-methacryloxy propyl trimethoxy silane(MPS)를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MPS가 표면에 부착된 나노 코어 입자의 표면에 소수성 고분자를 부착하여 코어 쉘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소수성 고분자는, Tripropylene Glycol Diacrylate (TPGDA), 1,6-hexanediol diacrylate (HDDA), Diprorylene Glycol Diacrylate (DPGDA), Neopentyl Glycol Diacrylate (NPGDA), Propoxylated(2) Neopentyl Glycol Diacrylate (NPG(2)PODA), Ethoxylated(3) Bisphenol-A Diacrylate (BPA(3)EODA), Polyethylene Glycol(400) Diacrylate (PEG(400)DA), Isotridecyl Acrylate (ITDA), Lauryl Acrylate (LA), Cyclic Trimethylolpropane Formal Acrylate (CTFA), Isodecyl Acrylate (IDA), 2-Phenoxy Ethyl Acrylate (2-PEA), Lauryl Methacrylate (LMA), Benzyl Methacrylate (BZMA), Diethylene Glycol Dimethacylate (DEGDMA), Stearyl Acrylate (SA), Stearyl methacrylate (SMA), Behenyl Acrylate (BHA)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된다.
상기 소수성 고분자의 함량은 50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소수성 고분자의 함량은 50 내지 80 중량%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소수성 코어 쉘 구조체는, 금속 산화물 또는 SiO2로 이루어진 나노 코어 입자; 상기 나노 코어 입자의 표면에 부착된 γ-methacryloxy propyl trimethoxy silane(MPS); 및 상기 MPS가 표면에 부착된 소수성 고분자 쉘을 포함한다.
상기 소수성 고분자는, Tripropylene Glycol Diacrylate (TPGDA), 1,6-hexanediol diacrylate (HDDA), Diprorylene Glycol Diacrylate (DPGDA), Neopentyl Glycol Diacrylate (NPGDA), Propoxylated(2) Neopentyl Glycol Diacrylate (NPG(2)PODA), Ethoxylated(3) Bisphenol-A Diacrylate (BPA(3)EODA), Polyethylene Glycol(400) Diacrylate (PEG(400)DA), Isotridecyl Acrylate (ITDA), Lauryl Acrylate (LA), Cyclic Trimethylolpropane Formal Acrylate (CTFA), Isodecyl Acrylate (IDA), 2-Phenoxy Ethyl Acrylate (2-PEA), Lauryl Methacrylate (LMA), Benzyl Methacrylate (BZMA), Diethylene Glycol Dimethacylate (DEGDMA), Stearyl Acrylate (SA), Stearyl methacrylate (SMA), Behenyl Acrylate (BHA)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된다.
상기 소수성 고분자의 함량은 50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소수성 고분자의 함량은 50 내지 9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조체의 물방울 접촉각은 90도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조체의 물방울 접촉각은 130도 이상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초소수성 코어 쉘 구조체의 제작이 가능하고, 이렇게 제작된 초소수성 코어 쉘 구조체를 도료의 첨가제로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가 포함된 도료는 내오염성이 우수하고 접촉각이 큰 초소수성 특성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소수성 코어 쉘 구조체의 제조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소수성 코어 쉘 구조체의 제조 방법의 모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소수성 코어 쉘 구조체의 모식도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며, 전체 도면에서 걸쳐 유사한 도면번호는 유사한 엘리먼트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된다. 설명을 위해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설명들이 본 발명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러한 특정 설명 없이도 실행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다른 예들에서, 공지된 구조 및 장치들은 실시예들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블록 다이아그램 형태로 제시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초수소성 코어 쉘 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초소수성 코어 쉘 구조체, 그리고 이러한 구조체를 첨가제로 포함한 도료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소수성 코어 쉘 구조체의 제조 방법은 도 1에서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방법은 금속 산화물 또는 SiO2로 이루어진 나노 코어 입자를 준비하는 단계(S 110); 상기 나노 코어 입자의 표면에 γ-methacryloxy propyl trimethoxy silane(MPS)를 부착하는 단계(S 120); 및 상기 MPS가 표면에 부착된 나노 코어 입자의 표면에 소수성 고분자를 부착하여 코어 쉘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S 13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소수성 코어 쉘 구조체의 제조 방법의 모식도를 도시한다.
S 110 단계에서는 금속 산화물 또는 SiO2로 이루어진 나노 코어 입자를 준비한다. 금속 산화물로는 ZnO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S 120 단계에서는 S 110 단계에서 준비된 나노 코어 입자의 표면에 γ-methacryloxy propyl trimethoxy silane(MPS)를 부착하여 나노 코어 입자와 MPS의 복합체를 합성한다. γ-methacryloxy propyl trimethoxy silane(MPS)는 실리카의 표면 처리를 위한 커플링제이다.
S 130 단계에서는 S 120 단계를 거친 입자의 MPS의 표면에 소수성 고분자를 부착하여 코어 쉘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소수성 고분자로는 Tripropylene Glycol Diacrylate (TPGDA), 1,6-hexanediol diacrylate (HDDA), Diprorylene Glycol Diacrylate (DPGDA), Neopentyl Glycol Diacrylate (NPGDA), Propoxylated(2) Neopentyl Glycol Diacrylate (NPG(2)PODA), Ethoxylated(3) Bisphenol-A Diacrylate (BPA(3)EODA), Polyethylene Glycol(400) Diacrylate (PEG(400)DA), Isotridecyl Acrylate (ITDA), Lauryl Acrylate (LA), Cyclic Trimethylolpropane Formal Acrylate (CTFA), Isodecyl Acrylate (IDA), 2-Phenoxy Ethyl Acrylate (2-PEA), Lauryl Methacrylate (LMA), Benzyl Methacrylate (BZMA), Diethylene Glycol Dimethacylate (DEGDMA), Stearyl Acrylate (SA), Stearyl methacrylate (SMA), Behenyl Acrylate (BHA)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으며, 이용되는 고분자에 따라 소수성 특성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코어 쉘 구조를 형성함에 있어서 쉘 부분의 두께는 반응 시간에 따라 두꺼워질 수 있다.
한편, 소수성 고분자의 함량은 50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 중량%, 50 내지 90 중량%, 50 내지 80 중량%, 50 내지 70중량%, 50 내지 60중량% 이다. 이러한 중량%에서 최적의 함량으로 초소수성 특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또한 내오염성 특성도 우수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부분에 대해서는 뒤에서 구체적인 실시예와 함께 추가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소수성 코어 쉘 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이러한 방법을 이용해 제조된 초소수성 코어 쉘 구조체에 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소수성 코어 쉘 구조체의 모식도이다.
도 3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소수성 코어 쉘 구조체는, 금속 산화물 또는 SiO2로 이루어진 나노 코어 입자(10); 상기 나노 코어 입자(10)의 표면에 부착된 γ-methacryloxy propyl trimethoxy silane(MPS)(20); 및 상기 MPS가 표면에 부착된 소수성 고분자 쉘(30)을 포함한다.
나노 코어 입자(10)는 금속 산화물 또는 SiO2로 이루어지며, 금속 산화물로는 ZnO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나노 코어 입자의 표면에 γ-methacryloxy propyl trimethoxy silane(MPS)(20)가 부착되어 있으며, γ-methacryloxy propyl trimethoxy silane(MPS)는 실리카의 표면 처리를 위한 커플링제이다.
고분자 쉘(30)은 MPS의 표면에 소수성 고분자를 부착된 것이다. 소수성 고분자로는 Tripropylene Glycol Diacrylate (TPGDA), 1,6-hexanediol diacrylate (HDDA), Diprorylene Glycol Diacrylate (DPGDA), Neopentyl Glycol Diacrylate (NPGDA), Propoxylated(2) Neopentyl Glycol Diacrylate (NPG(2)PODA), Ethoxylated(3) Bisphenol-A Diacrylate (BPA(3)EODA), Polyethylene Glycol(400) Diacrylate (PEG(400)DA), Isotridecyl Acrylate (ITDA), Lauryl Acrylate (LA), Cyclic Trimethylolpropane Formal Acrylate (CTFA), Isodecyl Acrylate (IDA), 2-Phenoxy Ethyl Acrylate (2-PEA), Lauryl Methacrylate (LMA), Benzyl Methacrylate (BZMA), Diethylene Glycol Dimethacylate (DEGDMA), Stearyl Acrylate (SA), Stearyl methacrylate (SMA), Behenyl Acrylate (BHA)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으며, 이용되는 고분자에 따라 소수성 특성이 달라질 수 있다.
쉘은 도면 부호 (30) 부분만을 의미할 수도 있고, (20) 및/또는 (30)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도 있다.
한편, 소수성 고분자의 함량은 10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중량%이다. 이러한 중량%에서 최적의 함량으로 초소수성 특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또한 내오염성 특성도 우수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소수성 코어 쉘 구조체는 접촉각이 매우 커서 초수소성을 나타내며, 구체적으로 물방울 접촉각은 90도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00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도,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30도 이상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소수성 코어 쉘 구조체는 초수소성 코어 쉘 첨가제로 이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도료에 첨가되어 초소수성 특성 및 내오염성 특성을 나타내는 도료가 만들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 및 실험예를 기초로 본 발명의 내용을 추가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실시예는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첫 단계는 나노 실리카볼을 합성하는 단계이다. 일반적인 나노미터 크기로 합성된 메탈옥사이드를 코어물질로 사용할 수 있고 시판중인 나노 실리카볼 소재를 직접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서는 물유리를 이용하여 나노 실리카볼을 합성하였다. 먼저 물유리 143.9ml를 증류수 525ml 에 희석시켜 28 중량부가 되도록 하였다. 희석시킨 용액을 나트륨이 붙은 앰버라이트를 이용하여 이온교환을 해 주었다. 이 때 pH는 4.5로 맞춰주었다. 용기에 50g씩 담고 50℃에서 1시간 숙성시켜준 후 용기에 증류수를 담은 후 24시간 동안 50℃에 두고 증류수를 버린 후 에탄올을 이용하여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세척을 하였다.
TEOS를 40 중량부 추가시켜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유지시켰다. 그 후 n-heptane으로 세척 후 50℃에서 건조시키면 물유리로 만든 나노 실리카볼이 합성되었다. 두 번째 단계는 나노실리카볼 표면에 γ-methacryloxy propyl trimethoxy silane (MPS)을 부착하는 나노실리카볼-MPS 복합체 합성 과정이다. 첫번째 단계에서 합성된 나노실리카볼을 에탄올 용매에 넣고 암모늄하이드록시와 MPS를 넣고 상온에서 5시간 이상 교반시키며 나노 실리카볼 표면에 부착되도록 합성하였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NSB-MPS 표면에 고분자반응을 시켜 쉘 표면에 소수성 고분자를 부착시켜 코어-쉘 하이브리드 복합체를 합성하는 공정이다. 이 공정에서 Tripropylene Glycol Diacrylate (TPGDA), 1,6-hexanediol diacrylate (HDDA), Diprorylene Glycol Diacrylate (DPGDA), Neopentyl Glycol Diacrylate (NPGDA), Propoxylated(2) Neopentyl Glycol Diacrylate (NPG(2)PODA), Ethoxylated(3) Bisphenol-A Diacrylate (BPA(3)EODA), Polyethylene Glycol(400) Diacrylate (PEG(400)DA), Isotridecyl Acrylate (ITDA), Lauryl Acrylate (LA), Cyclic Trimethylolpropane Formal Acrylate (CTFA), Isodecyl Acrylate (IDA), 2-Phenoxy Ethyl Acrylate (2-PEA), Lauryl Methacrylate (LMA), Benzyl Methacrylate (BZMA), Diethylene Glycol Dimethacylate (DEGDMA), Stearyl Acrylate (SA), Stearyl methacrylate (SMA), Behenyl Acrylate (BHA) 등을 표면에 부착할 수 있으며 적용된 고분자에 따라 코어-쉘 입자의 친수성·소수성 특성이 달라진다. 이렇게 합성된 코어-쉘 하이브리드 복합체에서 고분자 쉘 부분의 두께는 반응시간에 의해 두꺼워질 수 있는데 50중량부 이상까지 부착하였다. 비교예 1에서 사용한 클리어코트는 자동차용 외장 도료의 가장 외부에 도포하는 클리어코트와 유사한 물성을 지니도록 처장을 조절하였다. 이 클리어코트 조성은 부틸아세테이트 (5 %): 자일렌 (5 %): tinuvin-400/tinuvin-200 (1.5 %, BASF SE): Setalux 1756W-65 (45 %, Nuplex Co. Ltd.): Setulux 91772SS-60 (20 %, Nuplex Co. Ltd.): Setamine US 138 BB-70 (15 %, Nuplex Co. Ltd.): Batsilon OL-10 (0.5 %, Bayer AG): Solvesso #100 (9%)으로 되어 있다. 합성한 소수성 코어-쉘 하이브리드 복합구조체를 클리어코트에 1 ~ 10 중량부 넣어 30분 동안 교반하고 슬라이드 글라스에 코팅 후 150℃에서 30분간 열경화 시킨 후 30분 동안 상온에서 냉각시킨 다음 바코팅한 유리판에 물방울 주사기를 사용하여 물방울이 떨어지기 직전의 크기로 만든 후 코팅바를 가까이 이동시켜 접촉각을 측정하여 소수성 및 초소수성 표면 특성을 확인하였다. 측정 결과는 아래 표 1과 같다.
본 발명에서 접촉각 평가는 클리어코트를 바코팅한 유리판에 물방울 주사기를 사용하여 물방울이 떨어지기 직전의 크기로 만든 후 코팅바를 가까이 이동시켜 표면에 부착된 직 후의 물의 표면 접촉각을 측정하였다. 클리어코트는 옥외 폭로 되어 1개월 동안 자연에 노출되었을 때 오염의 발생 여부로 평가하였다. 측정 시편은 간단히 바람을 불어 표면의 먼지만 제거하였을 때 깨끗하게 원 상태로 회복되면 매우 우수를 외관상 스테인이 심하게 발생하여 내오염성이 전혀 없는 경우를 불량으로 하여 4단계 척도로 분류하였다.
내용 비교예1 비교예2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클리어코트 100 95 97 95 93 95 93 90
코어-쉘 하이브리드 복합구조체 PEG(400)DA쉘 5
SA 쉘 3 5 7
BHA 쉘 5 7 10
접촉각 60 45 59 102.2 102.3 140.4 143.2 144
내오염성 옥외폭로
시험결과
O O
X: 불량, △: 미흡, O : 우수, ◎: 매우 우수
표 1의 결과에서 실시예 4 내지 6은 접촉각이 130도를 초과하여 초소수성 특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내지 6은 고분자 쉘의 함량이 50중량% 이상인 경우로서 이러한 고분자 쉘의 함량 범위에서 초소수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금속 산화물 또는 SiO2로 이루어진 나노 코어 입자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나노 코어 입자의 표면에 γ-methacryloxy propyl trimethoxy silane(MPS)를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MPS가 표면에 부착된 나노 코어 입자의 표면에 소수성 고분자를 부착하여 코어 쉘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소수성 코어 쉘 구조체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고분자는,
    Tripropylene Glycol Diacrylate (TPGDA), 1,6-hexanediol diacrylate (HDDA), Diprorylene Glycol Diacrylate (DPGDA), Neopentyl Glycol Diacrylate (NPGDA), Propoxylated(2) Neopentyl Glycol Diacrylate (NPG(2)PODA), Ethoxylated(3) Bisphenol-A Diacrylate (BPA(3)EODA), Polyethylene Glycol(400) Diacrylate (PEG(400)DA), Isotridecyl Acrylate (ITDA), Lauryl Acrylate (LA), Cyclic Trimethylolpropane Formal Acrylate (CTFA), Isodecyl Acrylate (IDA), 2-Phenoxy Ethyl Acrylate (2-PEA), Lauryl Methacrylate (LMA), Benzyl Methacrylate (BZMA), Diethylene Glycol Dimethacylate (DEGDMA), Stearyl Acrylate (SA), Stearyl methacrylate (SMA), Behenyl Acrylate (BHA)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되는,
    초소수성 코어 쉘 구조체의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고분자의 함량은 50 중량% 이상인,
    초소수성 코어 쉘 구조체의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고분자의 함량은 50 내지 90 중량%인,
    초소수성 코어 쉘 구조체의 제조 방법.
  5. 금속 산화물 또는 SiO2로 이루어진 나노 코어 입자;
    상기 나노 코어 입자의 표면에 부착된 γ-methacryloxy propyl trimethoxy silane(MPS); 및
    상기 MPS가 표면에 부착된 소수성 고분자 쉘을 포함하는,
    초소수성 코어 쉘 구조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고분자는,
    Tripropylene Glycol Diacrylate (TPGDA), 1,6-hexanediol diacrylate (HDDA), Diprorylene Glycol Diacrylate (DPGDA), Neopentyl Glycol Diacrylate (NPGDA), Propoxylated(2) Neopentyl Glycol Diacrylate (NPG(2)PODA), Ethoxylated(3) Bisphenol-A Diacrylate (BPA(3)EODA), Polyethylene Glycol(400) Diacrylate (PEG(400)DA), Isotridecyl Acrylate (ITDA), Lauryl Acrylate (LA), Cyclic Trimethylolpropane Formal Acrylate (CTFA), Isodecyl Acrylate (IDA), 2-Phenoxy Ethyl Acrylate (2-PEA), Lauryl Methacrylate (LMA), Benzyl Methacrylate (BZMA), Diethylene Glycol Dimethacylate (DEGDMA), Stearyl Acrylate (SA), Stearyl methacrylate (SMA), Behenyl Acrylate (BHA)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되는,
    초소수성 코어 쉘 구조체.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고분자의 함량은 50 중량% 이상인,
    초소수성 코어 쉘 구조체.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고분자의 함량은 50 내지 90 중량%인,
    초소수성 코어 쉘 구조체.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의 물방울 접촉각은 90도 이상인,
    초소수성 코어 쉘 구조체.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의 물방울 접촉각은 130도 이상인,
    초소수성 코어 쉘 구조체.
  11. 제 5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초소수성 코어 쉘 구조체를 포함한, 도료.
KR1020170156444A 2017-11-22 2017-11-22 초소수성 코어 쉘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한 도료 KR201900589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444A KR20190058973A (ko) 2017-11-22 2017-11-22 초소수성 코어 쉘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한 도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444A KR20190058973A (ko) 2017-11-22 2017-11-22 초소수성 코어 쉘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한 도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973A true KR20190058973A (ko) 2019-05-30

Family

ID=66675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6444A KR20190058973A (ko) 2017-11-22 2017-11-22 초소수성 코어 쉘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한 도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897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4594A (ko) 2020-11-27 2022-06-0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슈퍼옴니포빅 특성을 갖는 발수발유 도막재,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4594A (ko) 2020-11-27 2022-06-0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슈퍼옴니포빅 특성을 갖는 발수발유 도막재,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4558B2 (ja) 金属アルコキシド縮合物と、有機シラン化合物と、ホウ素化合物を含む高分子組成物
EP1926789B1 (de) Polysilazane enthaltende beschichtungen für metall- und polymeroberflächen
DE60128038T2 (de) Härtbare Harz- und Beschichtungszusammensetzung
JP5765885B2 (ja) 溶媒含有顔料着色塗料組成物、および複層塗装系を製造するためのその使用、ならびに効果塗装系のフロップ値を向上させるための方法
EP3623423A1 (en)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EP3257901A1 (en)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of electron beam curable paint and electron beam curable coating
US11618816B2 (en) Method for forming a multilayer coating film and multilayer coating film
EP1680462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antistatisch beschichteten formkörpers
DE10129374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ormkörpern mit elektrisch-leitfähiger Beschichtung und Formkörper mit entsprechender Beschichtung
CN104418958B (zh) 有机无机复合体的制造方法、固化性组合物及其固化物、硬涂材、硬涂膜及硅烷偶联剂
DE10221009B4 (de) Beschichtungsstoffe, deren Verwendun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eschichtungen und transparente Beschichtungen
KR20190058973A (ko) 초소수성 코어 쉘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한 도료
JPWO2021006290A1 (ja) 硬化性樹脂組成物、硬化膜、被覆樹脂成型体及び多層フィルム
TW201823392A (zh) 塗佈組合物及其製備方法
DE19909877A1 (de) Sol-Gel-Überzug für einschichtige oder mehrschichtige Lackierungen
KR101051994B1 (ko) 표면처리제 조성물
EP3578527B1 (en) Coated glass article containing a semi-interpenetrating network
US20180072615A1 (en) Glass Article Containing a Composite Coating
EP1590399A1 (de) Härtbare stoffgemisch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EP1685196B1 (de) Hydrolysate und/oder kondensate von epoxid- und silangruppen enthaltenden oligomeren und polymer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KR20000025078A (ko) 자외선 경화형 대전방지 하드코팅제 조성물
US20080114082A1 (en) Dispersing agent for metallic nanoparticles in an organic media
DE10017652C2 (de) Verwendung eines Substrates als Bunttonvorlage
EP1592751B1 (de) Mit aktinischer strahlung härtbare mass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JP2007314669A (ja) 結晶性層状有機高分子を含有する塗料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