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8857A - 차량용 전조등 어셈블리 및 이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조등 어셈블리 및 이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58857A KR20190058857A KR1020170156205A KR20170156205A KR20190058857A KR 20190058857 A KR20190058857 A KR 20190058857A KR 1020170156205 A KR1020170156205 A KR 1020170156205A KR 20170156205 A KR20170156205 A KR 20170156205A KR 20190058857 A KR20190058857 A KR 2019005885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pward
- light
- unit
- lighting unit
- downwar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 B60Q1/08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due to special conditions, e.g. adverse weather, type of road, badly illuminated road signs or potential dang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2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vehicle headlamps
- B60Q2200/30—Special arrangements for adjusting headlamps, e.g. means for transmitting the movements for adjusting the lamps
- B60Q2200/36—Conjoint adjustments, i.e. a mechanical link allows conjoint adjustment of several uni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05—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or switching of the light beam
- B60Q2300/056—Special anti-blinding beams, e.g. a standard beam is chopped or moved in order not to blin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1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vehicle conditions
- B60Q2300/12—Steering parameters
- B60Q2300/122—Steering ang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21W2102/10—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 F21W2102/13—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for high-beam region or low-beam reg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21W2102/10—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 F21W2102/13—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for high-beam region or low-beam region
- F21W2102/135—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for high-beam region or low-beam region the light having cut-off lines, i.e. clear borderlines between emitted regions and dark regions
- F21W2102/155—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for high-beam region or low-beam region the light having cut-off lines, i.e. clear borderlines between emitted regions and dark regions having inclined and horizontal cutoff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광도가 높은 고가의 램프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상향등 성능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차량 무게에 따른 조사각도를 자동 레벨링할 수 있는 차량용 전조등 어셈블리 및 이의 구동 방법이 제공된다. 이 차량용 전조등 어셈블리는, 하향등을 조사하는 하향등 유닛과, 상향등을 조사하는 상향등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전조등 어셈블리로서, 하향등 유닛과 상향등 유닛은 일체로 결합되어 엑추에이터에 의해 함께 상하로 구동하고, 상향등이 턴온되면 하향등 유닛 및 상항등 유닛의 조사 방향은 함께 레벨 업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전조등 어셈블리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도가 높은 고가의 램프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상향등 성능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차량 무게에 따른 조사각도를 자동 레벨링할 수 있는 차량용 전조등 어셈블리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과 같이 어두운 곳을 주행하는 경우 주행 방향의 사물을 잘 볼 수 있도록 하고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에게 자기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해 여러 종류의 차량용 램프들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가운데 차량용 전조등(headlamp)는 차량의 주행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여 야간에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대부분의 차량은 전조등으로서 광선을 아래쪽으로 비추는 하향등(low beam)과 위쪽으로 비추는 상향등(high beam)을 모두 구비하고 있는데, 차량이 거의 없는 도로나 가로등이 적은 한적한 시골길 등에서 상향등이 주로 사용된다.
하지만 최근 들어 상향등의 성능을 제약하는 요소가 늘어가고 있다. 예컨대 디자인 트렌드가 작은 크기의 발광면을 요구하고 있으며, 상향등으로 주로 사용되는 할로겐 램프는 한정된 광량을 가지고 있고, 나아가 도로교통법규가 최대 밝기를 제한하기도 한다. 이러한 제약적인 환경 아래, 상향등을 꼭 사용해야 하는 상황에서도 충분한 야간 시야를 확보하지 못해 안전하게 주행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물론 HID(High Intensity Discharge) 램프, LED 램프 등의 적용을 고려해 볼 수도 있겠으나, 모든 차량에 대해 이러한 고가의 장비를 장착하여 상용화하기는 여전히 쉽지 않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향등의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차량용 전조등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이러한 차량용 전조등 어셈블리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 어셈블리는, 하향등을 조사하는 하향등 유닛과, 상향등을 조사하는 상향등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전조등 어셈블리로서, 상기 하향등 유닛과 상기 상향등 유닛은 일체로 결합되어 엑추에이터에 의해 함께 상하로 구동하고, 상향등이 턴온되면 상기 하향등 유닛 및 상기 상항등 유닛의 조사 방향은 함께 레벨 업된다.
상향등이 턴오프일 때 상기 상향등 유닛의 광축은 램프 중심 수평선(H) 아래를 에이밍하고; 상향등이 턴온될 때 상기 상향등 유닛의 광축은 레벨 업되어 램프 중심 수평선(H)에 위치할 수 있다.
상향등이 턴오프일 때, 상기 상향등 유닛의 광축은 램프 중심 수평선(H) 아래를 에이밍하고, 상기 하향등 유닛의 컷오프선의 수평부분은 상기 램프 중심 수평선(H)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상향등이 턴오프일 때, 상기 상향등 유닛의 광축은 램프 중심 수평선(H) 대비 -0.2 ~ -2%이고, 상기 하향등 유닛의 컷오프선의 수평부분은 상기 램프 중심 수평선(H) 대비 -1%일 수 있다.
차량 하중 조건의 변화 및 분포에 따라 상기 엑추에이터는 상기 하향등 유닛 및 상기 상향등 유닛의 조사 방향을 함께 레벨 다운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 어셈블리의 구동 방법은, 하향등을 조사하는 하향등 유닛과, 상향등을 조사하는 상향등 유닛이 일체로 결합된 차량용 전조등 어셈블리의 구동 방법으로서, 상향등이 턴온되면 상기 하향등 유닛과 상기 상향등 유닛을 함께 움직이는 액추에이터는 상기 하향등 유닛과 상기 상향등 유닛의 조사 방향을 함께 레벨 업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구체적인 내용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 어셈블리 및 이의 구동 방법에 의하면, 상향등 유닛의 초기 조사각을 하방 설계한 후 상향등이 턴온되면 하향등 유닛과 상향등 유닛의 조사방향을 함께 레벨 업을 시킴으로써, 상향등 유닛의 광량에 하향등 유닛의 광량이 보충하여 전체적으로 상향등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통상 상향등 유닛으로 사용되는 할로겐 램프로도 충분한 상향등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탑승 또는 적재에 따라 하중 조건이나 분포가 변화하는 경우, 하향등 유닛과 상향등 유닛의 조사방향을 동시에 레벨 업 또는 레벨 다운함으로써, 대향 차량의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조등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조등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하향등 유닛과 엑추에이터의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상향등의 온오프에 따른 본 발명의 전조등 어셈블리의 조명패턴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등 어셈블리를 도로 상에 적용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조등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하향등 유닛과 엑추에이터의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상향등의 온오프에 따른 본 발명의 전조등 어셈블리의 조명패턴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등 어셈블리를 도로 상에 적용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조등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조등 제어 시스템(50)은 차량의 일부 구성으로서, 램프 조작 레버(54), 빛 감지 센서(56), 차량 무게 감지 센서(58), 전조등 어셈블리(60)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 장치(52)를 포함한다.
램프 조작 레버(54)는 차량 내 스티어링 휠 주변에 배치되는데, 운전자가 이를 조작하여 하향등 및/또는 상향등을 턴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이 자동 상향등 전환 시스템(AHL: Automatic High Low Beam)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운전자가 램프 조작 레버(54)를 조작하지 않더라도 빛 감지 센서(56)로부터 밖이 어둡거나 다른 차량 또는 불빛이 감지되지 않을 때 자동으로 상향등이 턴온될 수 있고, 반대로 밖이 밝거나 불빛이 감지될 경우 자동으로 하향등이 턴온될 수 있다.
차량 무게 감지 센서(58)는 탑승 또는 적재에 따른 하중 조건의 변화 및 분포를 감지하는데,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전자 제어 장치(52)는 차량 기울기를 파악하여 전조등 어셈블리(60)의 조사 방향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차량이 후미쪽으로 기울어져 있으면 전자 제어 장치(52)는 엑추에이터(300)를 구동하여 하향등 유닛(100) 및 상향등 유닛(200)의 조사 방향을 동시에 레벨 다운(level down)함으로써 대향 차량의 운전자가 빛에 의해 눈이 부시는 것을 자동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전조등 어셈블리(60)는 하향등을 조사하는 하향등 유닛(100)과, 상향등을 조사하는 상향등 유닛(200)과, 하향등 유닛(100)과 상향등 유닛(200)을 함께 상하로 구동하는 엑추에이터(300)를 포함한다. 전조등 어셈블리(60)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해서는 후에 다시 자세히 설명한다.
전자 제어 장치(52)는 운전자의 조작(예컨대, 램프 조작 레버)에 따른 요청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기설정된 조건(예컨대, 빛 감지, 차량 무게 감지 등)이 부합할 경우 전조등 어셈블리(6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조등 어셈블리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조등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하향등 유닛과 엑추에이터의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조등 어셈블리(60)는 하향등 유닛(100), 상향등 유닛(200) 및 이들을 구동하는 엑추에이터(300)를 포함한다. 전조등 어셈블리(60)는 차량의 전면 범퍼와 엔진커버 사이에 좌우 양측으로 두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전조등 어셈블리(60)가 차량에 설치되면 하우징(110)은 차량 내측으로 삽입되고, 렌즈(120)만이 차량 전면으로 노출된다.
하향등 유닛(100)의 경우, 렌즈(120)는 램프(130)에서 발산된 광이 투과될 수 있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렌즈(120)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거나 색상을 가질 수도 있다. 하우징(110)은 전면이 개구된 형상을 가지며, 렌즈(120)는 하우징(110)의 전면에 결합되어 하우징(110)의 개구부를 덮는다. 하우징(110)은 전조등 어셈블리(60)의 후방 외형을 형성하고, 차량에 전조등 어셈블리(60)가 설치될 수 있도록 각종 지지부를 구비한다. 하우징(110)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에는, 빛을 발산하는 램프(130)와, 램프(130)에 외부 전원을 인가하는 램프 커넥터(135)와, 램프(130)의 전방에 배치되어 빛의 투과 방향과 범위를 조절하는 투광부(145)와, 램프(130)의 후방에서 램프(130)를 둘러 싸도록 배치되어 빛을 차량 전방으로 집중시키는 리플렉터(140)가 설치된다. 램프(130)로는 할로겐 램프, LED 램프, HID 램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향등 유닛(200)은 조명패턴, 조사방향 등을 제외하고 하향등 유닛(100)과 실질적으로 동일 내지 유사한 구조를 가지므로, 그 구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는 하향등 유닛(100)과 상향등 유닛(200)이 하나의 하우징(110)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하우징(110)의 후방 일측에는 피벗 등으로 된 회전결합부(150)가 구비되고, 하우징(110)의 후방 타측에는 엑추에이터(300)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엑추에이터(300)는 하향등 유닛(100)과 상향등 유닛(200)을 함께 상하로 구동시킨다. 예컨대, 엑추에이터(300)의 구동에 의해 하향등 유닛(100)이 일정한 각도만큼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면 상향등 유닛(200)도 동일한 각도만큼 상하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다시 말해, 하나의 하우징(110)에 하향등 유닛(100)과 상향등 유닛(200)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하향등 유닛(100)과 상향등 유닛(200)의 조사 방향은 함께 레벨 업(level up)되거나 레벨 다운(level down)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하향등 유닛(100)과 상향등 유닛(200)은 일체로 구동한다는 점 이외에, 각 유닛마다 특유의 조사방향이 사전에 설정되어 있어서 법규가 요구하는 광도, 조사방향 등을 만족하면서도 상향등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차량 기울기에 따라 조사 방향의 자동 레벨링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아래에서 이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전조등 어셈블리의 동작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4는 상향등의 온오프에 따른 본 발명의 전조등 어셈블리의 조명패턴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4(a)는 하향등이 턴온(ON)되고 상향등이 턴오프(OFF)된 경우(이를 <조건 1>이라 약칭한다)의 조명패턴을 나타낸 것이다. 이 실시예는 초기 설정을 나타낸 것으로, 하향등 및 상향등이 모두 턴오프된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도 4(a)에 나타난 조명패턴은 전조등 어셈블리(60)에서 일정한 거리, 예컨대 25m에 위치한 수직면(시험스크린)에 표시된 상향등 조명패턴(10) 및 하향등 조명패턴(20)을 포함한다. 가로방향으로 기준이 되는 램프 중심 수평선(H)은 전조등 어셈블리의 램프를 통과하고 지면에 수평한 면과 시험스크린과의 교차선을 말한다. 세로방향으로 기준이 되는 램프 중심 수직선(V)은 전조등 어셈블리의 램프를 통과하고 시험스크린 및 지면에 동시에 수직인 면과 시험스크린과의 교차선을 말한다. H-V는 램프 중심 수평선(H)과 램프 중심 수직선(V)의 교차점을 말한다.
도 4(a)에서 하향등 조명패턴(20)의 경우, 법규에 따라 대향 차량의 운전자가 빛에 의해 눈이 부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위쪽으로 빛의 진행을 막도록 컷오프선(22a, 22b)이 형성된다. 컷오프선(22a, 22b)은 전체적으로 누운 V자 형상을 가지는데, 램프 중심 수평선(H)과 나란한 수평부분(22a)과, 절곡점을 기준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진 경사부분(22b)으로 이루어진다. 차량 법규에 따르면, <조건 1>에서 컷오프선의 수평부분(22a)이 램프 중심 수평선(H) 아래에 위치해야 한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는 컷오프선의 수평부분(22a)의 수직위치는 램프 중심 수평선(H) 대비 -1%일 수 있다. 여기서, 컷오프선의 수직위치는 국토교통부령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의 성능과 기준에 관한 규칙'의 제38조제2항제3호에 따른 '[별표 6의4] 변환빔 전조등의 설치 및 광도기준'에 따를 수 있다. 수직위치가 "-1%"라는 것은, 램프가 램프 중심 수평선(H)의 하방으로 약 0.57도의 조사각을 가지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도 4(a)에서 상향등 조명패턴(10)은 상향등이 턴오프되는 <조건 1>에서 실제 관찰되지는 않지만, 사전에 설정된 상향등 유닛(200)의 광축(또는 조사방향)을 설명하기 위해 임의의 표시한 것이다. 따라서, <조건 1>에서 상향등 유닛(200)은 턴오프되어 있으나, 상향등 유닛(200)의 광축은 램프 중심 수평선(H) 아래를 에이밍(aiming)한다. 예컨대, 상향등 유닛(200)의 광축은 램프 중심 수평선(H) 대비 -0.2 ~ -2%일 수 있다.
이어서, 도 4(b)는 하향등이 턴온(ON)되고 상향등도 턴온(ON)된 경우(이를 <조건 2>라 약칭한다)의 조명패턴을 나타낸 것이다. 이 실시예는 운전자가 램프 조작 레버(54)를 조작하거나 자동 상향등 전환 시스템에 의해 상향등이 턴온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a)와 같이 하향등 유닛(100)과 상향등 유닛(200)의 조사 방향은 사전 설정되는 있는데, 도 4(b)와 같이 상향등이 턴온되면 하향등 유닛(100)과 상향등 유닛(200)의 조사 방향은 함께 레벨 업(level up)된다.
구체적으로, 도 4(b)의 상향등 조명패턴(10)의 경우, 법규의 요청에 따라 상향등 유닛(200)의 광축은 레벨 업되어 램프 중심 수평선(H)에 위치하게 된다. 초기 설계(조건 1)에서 상향등 유닛(200)은 -0.2 ~ -2%로 에이밍되어 있는데, 상향등이 턴온됨에 따라 상향등 조명패턴(10)의 수직위치를 0.2 ~ 2%만큼 상방향으로 올리게 되는 것이다.
도 4(b)의 하향등 조명패턴(20)는 상향등 조명패턴(10)과 동일하게 상"?戮막? 움직이게 된다. 예컨대, 하향등 조명패턴(20)의 수직위치는 상방향으로 0.2 ~ 2%만큼 올라간다. 이처럼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진 하향등 유닛(100)에 의해 <조건 2>에서 보다 넓은 상향등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차량의 탑승 또는 적재에 따른 하중 조건의 변화 및 분포에 따라 차량 기울기가 변하는 경우, 엑추에이터(300)는 하향등 유닛(100)과 상향등 유닛(200)의 조사 방향을 동시에 자동으로 레벨 업 또는 레벨 다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등 어셈블리를 도로 상에 적용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향등이 턴온되면, 상향등 유닛(200)에 의한 상향등 패턴(42)과 함께 하향등 유닛(100)에 의한 하향등 패턴(44)이 중복하여 도로(30)를 비추게 되는데, 본 발명의 하향등 패턴(44)은 종래의 하향등 패턴(46)보다 상방향으로 비추게 되어 보다 넓은 상향등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예컨대, 초기 설계에서 상향등 유닛을 -1.5%로 회전시켜 두는 경우, 상향등 턴온일 때 하향등의 도움을 받아 5룩스(lx) 기준으로 약 30m 까지도 조명영역이 더 확대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상향등 조명패턴
15: 상향등 광축
20: 하향등 조명패턴
22a, 22b: 컷오프선
30: 도로
40: 차량
42: 상향등 패턴
44: 하향등 패턴
46: 종래 하향층 패턴
50: 전조등 제어 시스템
52: 전자 제어 장치
54: 램프 조작 레버
56: 빛 감지 센서
58: 차량 무게 감지 센서
60: 전조등 어셈블리
100: 하향등 유닛
110: 하우징
120: 렌즈
130: 램프
135: 램프 커넥터
140: 리플렉터
145: 투광부
150: 회전결합부
200: 상향등 유닛
300: 엑추에이터
15: 상향등 광축
20: 하향등 조명패턴
22a, 22b: 컷오프선
30: 도로
40: 차량
42: 상향등 패턴
44: 하향등 패턴
46: 종래 하향층 패턴
50: 전조등 제어 시스템
52: 전자 제어 장치
54: 램프 조작 레버
56: 빛 감지 센서
58: 차량 무게 감지 센서
60: 전조등 어셈블리
100: 하향등 유닛
110: 하우징
120: 렌즈
130: 램프
135: 램프 커넥터
140: 리플렉터
145: 투광부
150: 회전결합부
200: 상향등 유닛
300: 엑추에이터
Claims (10)
- 하향등을 조사하는 하향등 유닛과, 상향등을 조사하는 상향등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전조등 어셈블리로서,
상기 하향등 유닛과 상기 상향등 유닛은 일체로 결합되어 엑추에이터에 의해 함께 상하로 구동하고, 상향등이 턴온되면 상기 하향등 유닛 및 상기 상항등 유닛의 조사 방향은 함께 레벨 업되는 차량용 전조등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향등이 턴오프일 때 상기 상향등 유닛의 광축은 램프 중심 수평선(H) 아래를 에이밍하고;
상향등이 턴온될 때 상기 상향등 유닛의 광축은 레벨 업되어 램프 중심 수평선(H)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향등이 턴오프일 때,
상기 상향등 유닛의 광축은 램프 중심 수평선(H) 아래를 에이밍하고, 상기 하향등 유닛의 컷오프선의 수평부분은 상기 램프 중심 수평선(H)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향등이 턴오프일 때,
상기 상향등 유닛의 광축은 램프 중심 수평선(H) 대비 -0.2 ~ -2%이고, 상기 하향등 유닛의 컷오프선의 수평부분은 상기 램프 중심 수평선(H) 대비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차량 하중 조건의 변화 및 분포에 따라 상기 엑추에이터는 상기 하향등 유닛 및 상기 상향등 유닛의 조사 방향을 함께 레벨 다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어셈블리. - 하향등을 조사하는 하향등 유닛과, 상향등을 조사하는 상향등 유닛이 일체로 결합된 차량용 전조등 어셈블리의 구동 방법으로서,
상향등이 턴온되면 상기 하향등 유닛과 상기 상향등 유닛을 함께 움직이는 액추에이터는 상기 하향등 유닛과 상기 상향등 유닛의 조사 방향을 함께 레벨 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어셈블리의 구동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향등이 턴오프일 때 상기 상향등 유닛의 광축은 램프 중심 수평선(H) 아래를 에이밍하고;
상향등이 턴온될 때 상기 상향등 유닛의 광축은 레벨 업되어 램프 중심 수평선(H)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어셈블리의 구동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향등이 턴오프일 때,
상기 상향등 유닛의 광축은 램프 중심 수평선(H) 아래를 에이밍하고, 상기 하향등 유닛의 컷오프선의 수평부분은 상기 램프 중심 수평선(H)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어셈블리의 구동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향등이 턴오프일 때,
상기 상향등 유닛의 광축은 램프 중심 수평선(H) 대비 -0.2 ~ -2%이고, 상기 하향등 유닛의 컷오프선의 수평부분은 상기 램프 중심 수평선(H) 대비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어셈블리의 구동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차량 하중 조건의 변화와 분포에 따라 상기 엑추에이터는 상기 하향등 유닛 및 상기 상향등 유닛의 조사 방향을 함께 레벨 다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어셈블리의 구동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6205A KR20190058857A (ko) | 2017-11-22 | 2017-11-22 | 차량용 전조등 어셈블리 및 이의 구동 방법 |
PCT/KR2018/013285 WO2019103349A1 (en) | 2017-11-22 | 2018-11-05 | Vehicle headlamp assembly and driving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6205A KR20190058857A (ko) | 2017-11-22 | 2017-11-22 | 차량용 전조등 어셈블리 및 이의 구동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58857A true KR20190058857A (ko) | 2019-05-30 |
Family
ID=66631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56205A KR20190058857A (ko) | 2017-11-22 | 2017-11-22 | 차량용 전조등 어셈블리 및 이의 구동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058857A (ko) |
WO (1) | WO201910334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3119221A1 (fr) * | 2021-01-22 | 2022-07-29 | Valeo Vision | Système d’éclairage de véhicule automobile muni d’un module lumineux apte à émettre un faisceau lumineux pixélisé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66289B1 (ko) * | 1995-12-27 | 1998-12-15 | 김태구 | 자동차의 전조등 빔 각도 조절 장치 |
JP3943261B2 (ja) * | 1998-09-17 | 2007-07-11 | 株式会社小糸製作所 | 車両用前照灯 |
JP2003007104A (ja) * | 2001-06-19 | 2003-01-10 | Koito Mfg Co Ltd | 車両用前照灯 |
KR100427891B1 (ko) * | 2001-12-17 | 2004-04-2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용 4등식 헤드램프의 구조 |
JP2006076551A (ja) * | 2004-09-13 | 2006-03-23 | Decoma Internatl Inc | ビームパターンを改善するヘッドライトの自動照準変更システム |
-
2017
- 2017-11-22 KR KR1020170156205A patent/KR20190058857A/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8
- 2018-11-05 WO PCT/KR2018/013285 patent/WO2019103349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9103349A1 (en) | 2019-05-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815352B2 (en) | Vehicular headlamp | |
US7690826B2 (en) | Adaptive front light system using LED headlamp | |
US9878655B2 (en) | Vehicle lamp | |
JP4676865B2 (ja) | 車両用照明装置 | |
US7758218B2 (en) | Vehicular headlamp | |
EP2275305B1 (en) | Automotive headlamp apparatus | |
EP2269869B1 (en) | Vehicle headlamp apparatus | |
CN103244886B (zh) | 车辆用前照灯以及车辆用前照灯装置 | |
US20070091629A1 (en) | Vehicle Lighting Device | |
KR100798143B1 (ko) | Led 램프 유닛을 적용한 적응형 전조등 장치 | |
JP2009214812A (ja) | 車両用前照灯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 |
JP5525639B1 (ja) | リーン姿勢で旋回する車両用のライトユニット及びリーン姿勢で旋回する車両 | |
CN103244885A (zh) | 车辆用前照灯以及车辆用前照灯装置 | |
CN103244887B (zh) | 车辆用前照灯以及车辆用前照灯装置 | |
US11077786B2 (en) | Motor vehicle adaptive front lighting system and method | |
CN112539393B (zh) | 一种远光照明装置、车灯和车辆 | |
EP2100771B1 (en) | Vehicle headligh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
JP2011016504A (ja) | 車両用前照灯装置 | |
KR20190058857A (ko) | 차량용 전조등 어셈블리 및 이의 구동 방법 | |
CN111442238B (zh) | 矩阵式全天候灯 | |
EP2366612A1 (en) | Headlamp for two-wheel vehicles | |
CN202733793U (zh) | 一种汽车前照灯投射单元用遮光板结构 | |
JP2010143483A (ja) | 車両用前照灯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 |
KR101095031B1 (ko) | 적응형 헤드 램프 장치 | |
KR20190081824A (ko) | 차량용 램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X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