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8854A - 에어백 시스템 충돌 판단신호 송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백 시스템 충돌 판단신호 송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8854A
KR20190058854A KR1020170156201A KR20170156201A KR20190058854A KR 20190058854 A KR20190058854 A KR 20190058854A KR 1020170156201 A KR1020170156201 A KR 1020170156201A KR 20170156201 A KR20170156201 A KR 20170156201A KR 20190058854 A KR20190058854 A KR 20190058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llision detection
collision
determination
algorith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6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5547B1 (ko
Inventor
신광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6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5547B1/ko
Publication of KR20190058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8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4Front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에어백 시스템 충돌 판단신호 송출 방법은 차량 충돌 감지 센서로부터 전방 및 측면 충돌 감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방 충돌 감지 정보, 상기 측면 충돌 감지정보 및 내부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에어백 시스템 충돌 판단 신호 송출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에어백 시스템 충돌 판단 신호 송출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제 1 내지 제3 충돌감지 신호를 각각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백 시스템 충돌 판단신호 송출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airbag system crash determination signal transmission}
본 발명은 에어백 시스템 충돌 판단신호 송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의 에어백 제어 시스템은 Crash output 송출 방법이 에어백 전개 성능 기준 개발되어, 충돌 판단 알고리즘에 의해 결정된 에어백 전개 시 신호 송출하고, 상기 신호에 따라 도어 언락 해제, 연료 및 전기차 대용량 배터리 전원 차단 등의 사고 정보를 센터로 송출하였다.
도 1 내지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백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차량(10) 충돌 사고 발생 시 ACU(20)는 내부 센서와 외부 충돌 센서(30)의 신호를 기반으로 에어백을 전개시키는 알고리즘을 통해 정/측면의 해당 에어백(60)을 전개시키고 ACU(20)는 별도 신호 단자를 통해 도어 제어 모듈(50)에 신호 송출하여 도어 락 상태를 즉시 해제시킬 수 있다.
종래의 기술은 정/측면 에어백 최저 전개 속도 조건으로 에어백 전개 사고 시 신호 송출한다. 이때, 에어백 전개되는 저속 충돌의 경우, 사고 후 운행 가능한 경우 빈번하나, 강제 연료 및 전원 차단으로 사고 후 차량 이동 제한이 이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에어백 시스템 충돌 판단신호 송출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제안한다.
더욱 상세하게, 사고 시 센터로 송출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사고의 심각성 유무 판단을 할 수 있는 에어백 시스템 충돌 판단 신호 송출 알고리즘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 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에어백 시스템 충돌 판단신호 송출 방법은 차량 충돌 감지 센서로부터 전방 및 측면 충돌 감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방 충돌 감지 정보, 상기 측면 충돌 감지정보 및 내부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에어백 시스템 충돌 판단 신호 송출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에어백 시스템 충돌 판단 신호 송출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3 충돌감지 신호를 각각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내부 및 외부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에어백 시스템 충돌 판단 신호 송출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단계는 충돌 감지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단계; 에어백 전개 유무 결정 단계; 연료 차단 판단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단계; e-call 신호 송출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단계; 및 액티브 헤드 레스트 동작 판단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액티브 헤드 레스트 동작 판단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단계는 후방 충돌 판단 단계; 헤드 레스트 동작 여부 판단 단계; 및 헤드 레스트 동작 판단에 기초하여 안전 메커니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연료 차단 판단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단계는 측면 충돌 판단 단계; 상기 측면 충돌 판단에 기초하여 안전 메커니즘을 수행하는 단계; 전방 및 후방 충돌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전방 및 후방 충돌에 기초하여 안전 메커니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충돌감지 신호에 각각 대응하여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충돌감지 신호에 각각 대응하여 PWM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는 제1 충돌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제1 e-call 신호, 제2 e-call 신호 및 제3 e-call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제2 충돌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연료 차단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및 제3 충돌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헤드 레스트 동작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충돌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제1 e-call 신호, 제2 e-call 신호 및 제3 e-call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e-call 신호로 PWM 비율이 40:60인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상기 제2 e-call 신호로 PWM 비율이 60:40인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e-call 신호로 PWM 비율이 80:20인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충돌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연료 차단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는 상기 연료 차단 신호로 PWM 비율이 80:20인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3 충돌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헤드 레스트 동작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는 상기 헤드 레스트 동작 신호로 PWM 비율이 80:20인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에어백 시스템 충돌 판단신호 송출 장치는 차량의 내부 센서 정보를 송출하는 내부센서; 차량 충돌 감지 센서로부터 전방 및 측면 충돌 감지 정보를 송출하는 외부센서; 상기 전방 충돌 감지 정보, 상기 측면 충돌 감지정보 및 상기 내부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에어백 시스템 충돌 판단 신호 송출 알고리즘을 수행하고 상기 에어백 시스템 충돌 판단 신호 송출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3 충돌감지 신호를 각각 송출하는 ACU를 포함하는 에어백 시스템 충돌 판단신호 송출 장치.
실시예에 따라, 상기 ACU는 상기 에어백 시스템 충돌 판단 신호 송출 알고리즘에 대응하여, 충돌 감지 알고리즘; 에어백 전개 유무 결정; 연료 차단 판단 알고리즘; e-call 신호 송출 알고리즘; 액티브 헤드 레스트 동작 판단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ACU는 상기 액티브 헤드 레스트 동작 판단 알고리즘에 대응하여, 후방 충돌을 판단하고, 헤드 레스트 동작 여부 판단하고, 헤드 레스트 동작 판단에 기초하여 안전 메커니즘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ACU는 상기 연료 차단 판단 알고리즘에 대응하여, 측면 충돌을 판단하고, 상기 측면 충돌 판단에 기초하여 안전 메커니즘을 수행하고, 전방 및 후방 충돌을 판단하고, 상기 전방 및 후방 충돌에 기초하여 안전 메커니즘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PWM 신호를 송출하는 송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출부는 상기 제 1 내지 제3 충돌감지 신호에 각각 대응하여 PWM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송출부는 상기 제1 충돌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제1 e-call 신호, 제2 e-call 신호 및 제3 e-call 신호를 송출하고, 제2 충돌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연료 차단 신호를 송출하고, 제3 충돌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헤드 레스트 동작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송출부는 상기 제1 e-call 신호로 PWM 비율이 40:60인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제2 e-call 신호로 PWM 비율이 60:40인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제3 e-call 신호로 PWM 비율이 80:20인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송출부는 상기 연료 차단 신호로 PWM 비율이 80:20인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송출부는 상기 헤드 레스트 동작 신호로 PWM 비율이 80:20인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시스템 충돌 판단신호 송출 방법 및 장치에 대한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불필요 연료 및 고전압 전원 차단 방지하여, 연료 차단 사고 case 별 시험을 통한 튜닝 대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둘째, 액티브 헤드 레스트 동작 판단 기능 통합으로 원가 절감 및 성능 향상 장점이 있다.
셋째, 에어백 제어기 시스템에 적용되어 있는 외부 센서를 활용하여 주 판단 센서의 오동작 방지를 위한 안전 메커니즘 적용하는 장점이 있다.
넷째, 사고 시 센터로 송출되는 구난 신호에 사고 case를 반영하여 사고 심각도 판단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백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시스템 충돌 판단신호 송출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시스템 충돌 판단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장치 및 다양한 방법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 "전(앞) 또는 후(뒤)"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 및"전(앞) 또는 후(뒤)"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시스템 충돌 판단신호 송출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에어백 시스템 충돌 판단 신호 송출 장치는 ACU(20), 외부센서(30), 내부센서(40), 도어 제어기(50), 에어백부(60), 파워 트레인 제어기(210), e-call 제어기(220), 액티브 헤드 레스트 액추에이터(230)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백 시스템 충돌 판단 신호 송출 장치는 송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부센서(30)는 FIS(Front Impact Sensor, 31) 및 SIS(Side Impact Sensor, 41)를 포함할 수 있다. FIS(31)는 전방 충돌 감지 센서일 수 있다. FIS(31)는 차량 충돌시, 전방 충돌 정보를 송출할 수 있다. SIS(41)는 측면 충돌 감지 센서일 수 있다. SIS(41)는 차량 충돌 시, 측면 충돌 정보를 송출할 수 있다.
내부센서(40)는 Main X, Main Y, Low X/Y, Low Z, Yaw Rate 및 Roll Rate 센서 정보 센싱할 수 있다.
ACU(20)는 상기 외부센서(30)의 충돌 정보 및 내부센서(40)의 센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ACU(20)는 상기 외부 센서 및 내부 센서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에어백 시스템 충돌 판단 신호 송출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에어백 시스템 충돌 판단 신호 송출 알고리즘은 충돌 감지 알고리즘(110), 각 에어백 별 전개 유무 결정(120), 연료 차단 판단 알고리즘(130), e-call 신호 송출 알고리즘(140) 및 액티브 헤드 레스트 동작 판단 알고리즘(150)을 포함할 수 있다.
ACU(20)는 상기 외부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충돌 감지 알고리즘(110)을 수행할 수 있다.
ACU(20)는 상기 충돌 감지 알고리즘(110) 결과에 기초하여 각 에어백 별 전개 유무를 결정할 수 있다. ACU(20)는 상기 각 에어백 별 전개 유무에 대응하여 에어백 전개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ACU(20)는 각 에어백 별 전개 유무 결과 및 내부센서 정보에 대응하여 e-call 신호 송출 알고리즘(140)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e-call 신호 송출 알고리즘(140)은 FIS 정보, SIS 정보, Main X 센서 정보, Main Y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충돌감지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ACU(20)는 각 에어백 별 전개 유무 결과 및 내부센서 정보에 대응하여 연료 차단 판단 알고리즘(130)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연료 차단 판단 알고리즘(130)은 FIS 정보, SIS 정보, Main X 센서 정보, Main Y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충돌감지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ACU(20)는 액티브 헤드 레스트 동작 판단 알고리즘(150)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액티브 헤드 레스트 동작 판단 알고리즘(150)은 FIS 정보, Main X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제3 충돌감지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e-call 제어기(220)는 ACU(20)로부터 제1 충돌감지 신호에 대응하여 구난 신호를 송출하도록 제할 수 있다. 상기 구난 신호는 도어 언락 신호, 제1 e-call 신호, 제2 e-call 신호. 제3 e-call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e-call은 저속충돌 일 때 송출되는 신호일 수 있다. 제2 e-call은 고속충돌 일 때 송출되는 신호일 수 있다. 제3 e-call은 전복사고 일 때 송출되는 신호일 수 있다. 도어 언락 신호는 상기 제1 내지 제3 e-call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가 송출될 때 송출될 수 있다.
파워 트레인 제어기(220)는 ACU(20)로부터 제2 충돌감지 신호에 대응하여 차량의 연료를 차단할 수 있다. 파워 트레인 제어기(220)는 제 2 충돌감지 신호는 연료 차단 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액티브 헤드 레스트 액추에이터(230)는 ACU(20)로부터 제3 충돌감지 신호에 대응하여 차량의 헤드 레스트를 작동시킬 수 있다. 액티브 헤드 레스트 액추에이터(230)는 ACU(20)로부터 제3 충돌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의 헤드 레스트 작동 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송출부는 제1 충돌감지 신호 핀(310), 제2 충돌감지 신호 핀(320) 및 제3 충돌감지 신호 핀(3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충돌감지 신호 핀(310)은 에어백 전개 신호 및 e-call 신호 송출 알고리즘(140)에 기초하여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제1 충돌감지 신호 핀(310)은 제1 충돌감지 신호에 대응하여 PWM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제1 충돌감지 신호 핀(310)은 대기 신호, 제1 e-call 신호, 제2 e-call 신호. 제3 e-call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제1 충돌감지 신호 핀(310)에서 송출되는 대기 신호는 PWM duty rate가 20:80인 신호일 수 있다. 제1 충돌감지 신호 핀(310)에서 송출되는 제1 e-call 신호는 PWM duty rate가 40:60인 신호일 수 있다. 제1 충돌감지 신호 핀(310)에서 송출되는 제2 e-call 신호는 PWM duty rate가 60:40인 신호일 수 있다. 제1 충돌감지 신호 핀(310)에서 송출되는 제3 e-call 신호는 PWM duty rate가 80:20 인 신호일 수 있다.
제2 충돌감지 신호 핀(320)은 연료 차단 판단 알고리즘(130)에 기초하여 PWM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제2 충돌감지 신호 핀(320)은 제2 충돌감지 신호에 대응하여 PWM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제2 충돌감지 신호 핀(320)은 에어백 전개 신호 및 연료 차단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PWM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제2 충돌감지 신호 핀(320)은 대기 신호, 연료 차단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제2 충돌감지 신호 핀(320)에서 송출되는 대기 신호는 PWM duty rate가 20:80인 신호일 수 있다. 제2 충돌감지 신호 핀(320)에서 송출되는 연료 차단신호는 PWM duty rate가 80:20인 신호일 수 있다.
제3 충돌감지 신호 핀(330)은 액티브 헤드 레스트 동작 판단 알고리즘(150)에 기초하여 PWM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제3 충돌감지 신호 핀(330)은 대기 신호, 헤드 레스트 동작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제3 충돌감지 신호 핀(330)에서 송출하는 대기 신호는 PWM duty rate가 20:80인 신호일 수 있다. 제3 충돌감지 신호 핀(330)에서 송출하는 헤드 레스트 동작 신호는 PWM duty rate가 80:20인 신호일 수 있다.
도어 제어기(50)는 차량의 에어백 전개 유무에 따라, lock 또는 unlock 할 수 있다.
에어백부(60)는 정면 에어백, 측면 에어백 및 벨트 프리텐셔너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시스템 충돌 판단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ACU(20)는 차량의 내부 센서 및 외부 센서로부터 센서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다.
ACU(20)는 에어백 전개 판단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에어백 전개가 발생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110). 상기 S110 단계 이후, e-call 제어기(220)는 도어 언락 신호 또는 제1 e-call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S210).
ACU(20)는 에어백 전개 판단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에어백 중 정면 고압 에어백이 전개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S120). 상기 S120 단계 이후, e-call 제어기(220)는 제2 e-call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S220).
ACU(20)는 에어백 전개 판단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차량이 Roll over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S130). 상기 S130 단계 이후, e-call 제어기(220)는 제3 e-call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S230).
일 실시예에 따라 ACU(20)는 연료 차단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측면 충돌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측면 충돌 판단은
Figure pat00001
절대값이
Figure pat00002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S140).
상기 S140 단계 이후, 측면 충돌에 따른 안전 메커니즘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측면 충돌에 따른 안전 메커니즘은 SISg 절대값이
Figure pat00003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S142).
상기 S142 단계 이후, 파워 트레인 제어기(220)는 연료 차단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S240).
일 실시예에 따라, ACU(20)는 연료 차단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전방 및 후방 충돌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전방 및 후방 충돌 판단은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이상인 경우 또는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이하인 경우에 판단할 수 있다(S150).
상기 S150 단계 이후, 정면 및 후방 충돌에 따른 안전 메커니즘을 수행할 수 있다(S152). 상기 측면 충돌에 따른 안전 메커니즘은 FIS g 의 절대값이
Figure pat00008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S152 단계 이후, 파워 트레인 제어기(220)는 연료 차단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S240).
일 실시예에 따라, ACU(20)는 액티브 헤드 레스트 동작 판단 알고리즘(150)에 기초하여, 후방 충돌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후방 충돌 판단은 Main X의
Figure pat00009
이 0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S160)
상기 S160 단계 이후, 헤드 레스트 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Head Reset 동작 여부 판단은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이하인지 판단할 수 있다(S162).
상기 S162 단계 이후, 헤드 레스트 동작 판단에 따른 안전 메커니즘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헤드 레스트 동작 판단에 따른 안전 메커니즘은 FIS g 의 절대값이
Figure pat00012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S164).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시스템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10: 차량
20: ACU
30: 외부센서
40: 내부센서
50: 도어제어기
60: 에어백
210: 파워 트레인 제어기
220: e-call 제어기
230: 헤드 레스트 액추에이터

Claims (19)

  1. 차량 충돌 감지 센서로부터 전방 및 측면 충돌 감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방 충돌 감지 정보, 상기 측면 충돌 감지정보 및 내부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에어백 시스템 충돌 판단 신호 송출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에어백 시스템 충돌 판단 신호 송출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제 1 내지 제3 충돌감지 신호를 각각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어백 시스템 충돌 판단신호 송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및 외부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에어백 시스템 충돌 판단 신호 송출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단계는
    충돌 감지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단계;
    각 에어백 별 전개 유무 결정 단계;
    연료 차단 판단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단계;
    e-call 신호 송출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단계; 및
    액티브 헤드 레스트 동작 판단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어백 시스템 충돌 판단신호 송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헤드 레스트 동작 판단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단계는
    후방 충돌 판단 단계;
    헤드 레스트 동작 여부 판단 단계; 및
    상기 헤드 레스트 동작 여부 판단에 기초하여 안전 메커니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어백 시스템 충돌 판단신호 송출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차단 판단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단계는
    측면 충돌 판단 단계;
    상기 측면 충돌 판단에 기초하여 안전 메커니즘을 수행하는 단계;
    전방 및 후방 충돌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전방 및 후방 충돌에 기초하여 안전 메커니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어백 시스템 충돌 판단신호 송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충돌감지 신호에 각각 대응하여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에어백 시스템 충돌 판단신호 송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충돌감지 신호에 각각 대응하여 PWM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충돌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제1 e-call 신호, 제2 e-call 신호 및 제3 e-call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상기 제2 충돌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연료 차단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충돌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헤드 레스트 동작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에어백 시스템 충돌 판단신호 송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충돌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제1 e-call 신호, 제2 e-call 신호 및 제3 e-call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e-call 신호로 PWM 비율이 40:60인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상기 제2 e-call 신호로 PWM 비율이 60:40인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e-call 신호로 PWM 비율이 80:20인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에어백 시스템 충돌 판단신호 송출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충돌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연료 차단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는
    상기 연료 차단 신호로 PWM 비율이 80:20인 신호를 송출하는 에어백 시스템 충돌 판단신호 송출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충돌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헤드 레스트 동작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는
    상기 헤드 레스트 동작 신호로 PWM 비율이 80:20인 신호를 송출하는 에어백 시스템 충돌 판단신호 송출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에어백 시스템 충돌 판단신호 송출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1. 차량의 내부 센서 정보를 송출하는 내부센서;
    차량 충돌 감지 센서로부터 전방 및 측면 충돌 감지 정보를 송출하는 외부센서; 및
    상기 전방 충돌 감지 정보, 상기 측면 충돌 감지정보 및 상기 내부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에어백 시스템 충돌 판단 신호 송출 알고리즘을 수행하고 상기 에어백 시스템 충돌 판단 신호 송출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제 1 내지 제3 충돌감지 신호를 각각 송출하는 ACU를 포함하는 에어백 시스템 충돌 판단신호 송출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ACU는
    상기 에어백 시스템 충돌 판단 신호 송출 알고리즘에 대응하여,
    충돌 감지 알고리즘;
    각 에어백 별 전개 유무 결정;
    연료 차단 판단 알고리즘;
    e-call 신호 송출 알고리즘; 및
    액티브 헤드 레스트 동작 판단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에어백 시스템 충돌 판단신호 송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ACU는
    상기 액티브 헤드 레스트 동작 판단 알고리즘에 대응하여,
    후방 충돌을 판단하고,
    헤드 레스트 동작 여부 판단하고,
    상기 헤드 레스트 동작 여부 판단에 기초하여 안전 메커니즘을 수행하는 에어백 시스템 충돌 판단신호 송출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ACU는
    상기 연료 차단 판단 알고리즘에 대응하여,
    측면 충돌을 판단하고,
    상기 측면 충돌 판단에 기초하여 안전 메커니즘을 수행하고,
    전방 및 후방 충돌을 판단하고,
    상기 전방 및 후방 충돌 판단에 기초하여 안전 메커니즘을 수행하는
    에어백 시스템 충돌 판단신호 송출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PWM 신호를 송출하는 송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출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충돌감지 신호에 각각 대응하여 PWM 신호를 송출하는 에어백 시스템 충돌 판단신호 송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부는
    상기 제1 충돌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제1 e-call 신호, 제2 e-call 신호 및 제3 e-call 신호를 송출하고,
    제2 충돌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연료 차단 신호를 송출하고,
    제3 충돌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헤드 레스트 동작 신호를 송출하는
    에어백 시스템 충돌 판단신호 송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부는
    상기 제1 e-call 신호로 PWM 비율이 40:60인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제2 e-call 신호로 PWM 비율이 60:40인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제3 e-call 신호로 PWM 비율이 80:20인 신호를 송출하는
    에어백 시스템 충돌 판단신호 송출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부는
    상기 연료 차단 신호로 PWM 비율이 80:20인 신호를 송출하는 에어백 시스템 충돌 판단신호 송출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부는
    상기 헤드 레스트 동작 신호로 PWM 비율이 80:20인 신호를 송출하는 에어백 시스템 충돌 판단신호 송출 장치.
KR1020170156201A 2017-11-22 2017-11-22 에어백 시스템 충돌 판단신호 송출 방법 및 장치 KR102515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201A KR102515547B1 (ko) 2017-11-22 2017-11-22 에어백 시스템 충돌 판단신호 송출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201A KR102515547B1 (ko) 2017-11-22 2017-11-22 에어백 시스템 충돌 판단신호 송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854A true KR20190058854A (ko) 2019-05-30
KR102515547B1 KR102515547B1 (ko) 2023-03-29

Family

ID=66675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6201A KR102515547B1 (ko) 2017-11-22 2017-11-22 에어백 시스템 충돌 판단신호 송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554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7294A (ja) * 1996-07-25 1998-03-10 Automot Technol Internatl Inc 車両の衝突を感知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H10244903A (ja) * 1997-03-04 1998-09-14 Naldec Kk エアバックシステム
JP2005515925A (ja) * 2002-01-23 2005-06-02 シーメンス ヴィディーオー オートモーティヴ コーポレイション 乗員拘束システムの安全拘束装置の展開を決定する方法及び装置
WO2015194109A1 (ja) * 2014-06-17 2015-12-23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緊急通報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7294A (ja) * 1996-07-25 1998-03-10 Automot Technol Internatl Inc 車両の衝突を感知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H10244903A (ja) * 1997-03-04 1998-09-14 Naldec Kk エアバックシステム
JP2005515925A (ja) * 2002-01-23 2005-06-02 シーメンス ヴィディーオー オートモーティヴ コーポレイション 乗員拘束システムの安全拘束装置の展開を決定する方法及び装置
WO2015194109A1 (ja) * 2014-06-17 2015-12-23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緊急通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5547B1 (ko) 2023-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0144B1 (en)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untermeasure devices
US6519519B1 (en) Passive countermeasure methods
EP1024977B1 (en) Crash detection system
US6721659B2 (en) Collision warning and safety countermeasure system
US6647331B2 (en) Collision severity determining system
US9421929B2 (en) Airbag deployment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GB2390208A (en) Automatic crash notification system for vehicles
CN100360357C (zh) 利用无线电通信防止车辆碰撞的装置和方法
JP2003182509A (ja) 乗員保護システム
CN105216713A (zh) 车辆控制系统及其使用方法
JP4650690B2 (ja) バス通信システム
US6516259B2 (en) Safing method for a vehicle occupant protection safety system
US7428941B2 (en) Restraint system for a motor vehicle
US7286920B2 (en) Collision determining device
US20150158488A1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JP3632619B2 (ja) 乗員保護装置の起動装置
US7125040B2 (en) Method of activating a safety device
CN112193196B (zh) 车辆
KR20190058854A (ko) 에어백 시스템 충돌 판단신호 송출 방법 및 장치
JP5232171B2 (ja) 人員保護手段をトリガする方法および制御装置
US20140159885A1 (en) Blind Spot Detection System
JP2001525757A (ja) バックアップシステム
JP2007118763A (ja) 車両の安全装置
US11214212B2 (en) Method for triggering safety functions
JP4203814B2 (ja) 車両用乗員保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