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8184A - 성형판을 구비한 누룽지 제조용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성형판을 구비한 누룽지 제조용 성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58184A KR20190058184A KR1020170155936A KR20170155936A KR20190058184A KR 20190058184 A KR20190058184 A KR 20190058184A KR 1020170155936 A KR1020170155936 A KR 1020170155936A KR 20170155936 A KR20170155936 A KR 20170155936A KR 20190058184 A KR20190058184 A KR 2019005818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rice
- base frame
- spreading
- fr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17—Flakes or other shapes of ready-to-eat type; Semi-finished or partly-finished products therefor
- A23L7/126—Snacks or the like obtained by binding, shaping or compacting together cereal grains or cereal pieces, e.g. cereal bar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10—Mould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65G47/248—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by turning over or inverting the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0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ectilinear movements onl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형판을 구비한 누룽지 제조용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쌀과 밥을 모두 누룽지 재료로 사용하고 누룽지 재료를 다양한 두께로 펼쳐 누룽지를 제조할 수 있는 성형판을 구비한 누룽지 제조용 성형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너가 구비되는 베이스프레임; 누룽지 재료가 공급되는 하판과, 하판을 덮는 상판으로 구비되어 베이스프레임에서 이동되면서 가열되는 성형판; 및 베이스프레임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어 성형판의 하판에 공급된 누룽지 재료를 다양한 두께로 펼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펼침장치를 갖는 펼침부;를 포함하는 성형판을 구비한 누룽지 제조용 성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성형판을 구비한 누룽지 제조용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쌀이나 밥의 누룽지 재료로서 다양한 두께의 누룽지를 성형할 수 있는 성형판을 구비한 누룽지 제조용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누룽지는 밥을 할 때 밥솥의 바닥면의 온도 차이에 따라 생성되는 것으로, 맛이 고소하고 독특하여 간식 대용으로 많이 애용되고 있으며, 최근 소비가 늘어남에 따라 별도의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되고도 있다.
이러한 종래의 누룽지 제조장치는 한국 등록특허 제10-1182073호와, 한국 공개특허 제10-2010-0004824호에는, 불린 쌀을 재료로 하여 누룽지를 제조하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특히, 전술한 선행기술문헌들에는 가열판 위로 공급된 불린 쌀을 다수의 성형날개로서 점차적으로 얇게 펴서 누룽지를 제조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선행기술문헌에서는, 누룽지 제조장치에 구비된 다수의 성형날개에 의해서만 누룽지의 두께가 결정되어 성형됨으로써,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에 맞게 누룽지의 두께를 다양하게 가변시켜 성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선행기술문헌에서는, 누룽지 제조장치에 구비된 성형날개의 개수에 의해서만 누룽지의 두께가 결정될 뿐, 그 이외의 누룽지 두께에 대해서는 기존에 장착된 성형날개로서는 전혀 성형할 수 없으므로, 기존의 누룽지 제조장치에 별도의 성형날개를 더 장착하거나 또는 누룽지 제조장치를 별도로 더 제작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누룽지 제조장치 및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아래의 선행기술문헌들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쌀이나 밥의 누룽지 재료를 소비자가 원하는 다양한 두께로 펼쳐 줌으로써 다양한 두께의 누룽지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한 성형판을 구비한 누룽지 제조용 성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성형판을 구비한 누룽지 제조용 성형장치는, 쌀과 밥을 모두 누룽지 재료로 사용하고 누룽지 재료를 다양한 두께로 펼쳐 누룽지를 제조할 수 있는 성형판을 구비한 누룽지 제조용 성형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너가 구비되는 베이스프레임; 누룽지 재료가 공급되는 하판과, 하판을 덮는 상판으로 구비되어 베이스프레임에서 이동되면서 가열되는 성형판; 및 베이스프레임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어 성형판의 하판에 공급된 누룽지 재료를 다양한 두께로 펼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펼침장치를 갖는 펼침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펼침장치는, 베이스프레임에 구비되는 지지판에 고정되는 하부 부싱; 하부 부싱에 나사 결합되어 구비되는 상부 부싱; 상부 부싱에 관통 결합되어 상대 회전은 가능하고 축방향으로는 분리 불가한 상태로 구비되는 회전축; 및 회전축에 구비되어 회전축에 의해 회전되면서 성형판의 하판에 공급된 누룽지 재료를 펼치는 펼침날개;를 포함하여, 하부 부싱에서 상부 부싱을 체결 또는 풀림 방향으로 회전시켜 회전축의 펼침날개의 높이를 미세 조정할 수 있다.
게다가, 펼침장치에는 펼침장치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조정수단이 구비되되, 조정수단은, 베이스프레임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지지프레임; 지지프레임에 관통 결합되어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한편 그 일측에 지지판이 고정되게 구비되는 승강프레임; 및 지지프레임에 구비되어 승강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를 포함하여, 승강프레임이 승강됨에 따라 지지판의 높이가 조정되어 펼침장치의 높이를 조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펼침날개 상부의 회전축에 공회전되게 결합되어 성형판의 하판 위로 공급된 누룽지 재료를 감싸 수용하는 성형가이더가 구비되어, 누룽지 재료의 펼침시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지지판에 고정되게 구비되어 상부 부싱의 높이를 측정하여 펼침날개의 높이를 나타내는 다이얼 게이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성형판에 구비되는 누룽지 재료에 따라 가열되는 성형판을 선택적으로 반전시켜 누룽지를 성형하는 반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반전부는, 베이스프레임에서 이송되어 오는 성형판을 잡는 그립퍼; 그립퍼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블럭; 승강블럭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 및 승강실린더를 수평 이동시키는 이동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그립퍼는 성형판에 구비된 누룽지 재료가 밥인 경우에만 승강블럭에서 180도로 반전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프레임에 왕복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송블럭; 및 이송블럭에 돌출 형성되어 그립퍼에 의해 이동된 성형판을 베이스프레임 상으로 이송시키는 돌출블럭;을 포함할 수 있고, 성형판과 접하는 돌출블럭에는 패드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판을 구비한 누룽지 제조용 성형장치는 하나의 제조장치로서 쌀과 밥을 모두 누룽지 재료로 사용하여 누룽지를 제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누룽지 재료를 다양한 두께로 펼쳐 누룽지를 소비자가 원하는 두께로 다양하게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성형판을 구비한 누룽지 제조용 성형장치에 따르면, 지지판 상에 구비된 회전축을 지지판에 체결하거나 또는 풀어냄으로써 펼침날개의 높이를 조절하여, 성형판의 하판 위에 공급된 쌀이나 밥의 누룽지 재료를 다양한 두께로 펼칠 수 있게 되므로 누룽지를 소비자가 원하는 다양한 두께로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누룽지 제조장치로서 쌀과 밥을 모두 사용하여 누룽지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누룽지 재료에 따른 기존 제조장치의 이원화를 해소하여 단일화함으로써 편리하고 생산성이 향상되며, 제조 및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고, 성형판의 상판을 자동으로 열고 닫고 이동시키면서 가열하는 일련의 누룽지 제조공정이 완전 자동화됨으로써, 누룽지 재료에 관계없이 누룽지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장치에서 건조부를 분리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정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의 베이스프레임에 구비되는 버너와 이송롤러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공급된 쌀을 펼치는 펼침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정면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펼침부에 구성되는 펼침장치의 분리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펼침장치의 높이조절 상태를 보인 작동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성형판을 닫는 클로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반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반전부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판의 오픈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픈부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분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가이더와 건조부의 이송컨베이어 및 회전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판의 세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장치와 건조부의 분리 상태를 평면에서 본 도면으로서, 건조부에서의 누룽지 이동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쌀 공급기에서 누룽지 제조장치의 성형판으로 쌀을 공급하는 상태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장치에서 건조부를 분리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정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의 베이스프레임에 구비되는 버너와 이송롤러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공급된 쌀을 펼치는 펼침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정면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펼침부에 구성되는 펼침장치의 분리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펼침장치의 높이조절 상태를 보인 작동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성형판을 닫는 클로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반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반전부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판의 오픈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픈부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분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가이더와 건조부의 이송컨베이어 및 회전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판의 세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장치와 건조부의 분리 상태를 평면에서 본 도면으로서, 건조부에서의 누룽지 이동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쌀 공급기에서 누룽지 제조장치의 성형판으로 쌀을 공급하는 상태의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고, "하나 이상"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복수를 의미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1" 및 "제2" 등과 같은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장치와, 성형장치 및 기타 누룽지 제조장치의 세부적인 부분들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장치(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높이를 갖는 베이스프레임(100)과, 베이스프레임(100) 상에서 이동되게 구비되는 다수의 성형판(190) 및 펼침부(200), 반전부(300), 오픈부(400), 분리부(500), 감지부(600), 세척부(700), 건조부(800), 쌀 공급기(900)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누룽지 제조장치(1)에는 누룽지를 다양한 두께로 성형할 수 있도록 한 성형장치가 구성되고, 이 성형장치는 펼침부(200)와 반전부(30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면부에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2개의 레인(110)(120)이 구비되고, 양 레인(110)(120)은 그 양끝단부에서 상호 연통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베이스프레임(100)의 각 레인(110)(120)에는 2개의 파이프가 한 조를 이루는 버너(130)가 설치되고, 한 조를 이루는 양 버너(130)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양 버너(130) 사이의 공간에는 후술될 성형판(190)의 반전시 성형판(190)의 걸이용 브라켓(193)이 삽입됨으로써 성형판(190)의 이동에 간섭되지 않는다.
그리고, 각 버너(130)의 상면에는 다수의 화구가 형성되고, 이 화구에는 불꽃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노즐이 구비되며, 노즐과 근접한 일측에는 점화를 위한 전극봉(일명, "점화플러그"라고도 한다)이 구비된다.
또한, 버너(130)와 이격된 각 레인(110)(120)의 상부 양측부에는 다수의 이송롤러(140)가 서로 마주한 상태로 나열되어 구름되게 설치되고, 이와 같은 이송롤러(140)의 상부에 후술될 성형판(190)이 안착되어 구름되는 이송롤러(140)에 의해 각 레인(110)(120)을 따라 이동된다.
이와 같은 베이스프레임(100)은 중공의 사각 파이프로 형성되는데, 버너(130)와 근접한 베이스프레임(100)은 지속적으로 버너(130)의 열이 가해져 과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버너(130)와 근접한 베이스프레임(100)에 컴프레서(미도시)의 차가운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베이스프레임(100)을 냉각시키고, 압축공기가 배출되는 베이스프레임(100)의 일단부에는 사일런서(미도시)를 구비하여 배출되는 압축공기로 인한 소음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베이스프레임(100)의 이송롤러(140) 상에 안착되어 이송되는 성형판(19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룽지 재료(이하에서는 누룽지 재료의 일례로 '불린 쌀'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가 공급되는 하판(191)과, 하판(191)에 힌지되어 회전되면서 하판(191)을 덮거나 오픈시키는 상판(192)으로 구비되고, 상판(192)의 상면에는 후술될 오프너(420)의 걸림바(422)에 걸림되는 걸이용 브라켓(193)이 구비된다.
걸이용 브라켓(193)은 도 10 및 도 11에서와 같이, 상판(192)의 상면에서 수직하게 돌출된 다음, 다시 수평하게 절곡되어 돌출된 형태로서, 걸이용 브라켓(193)의 개구부가 후술될 오픈부(400)의 오프너(420)측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00)의 이송롤러(140)에 안착되는 성형판(190)은 하판(191)이 버너(130)에 의해 직접 가열되면서 베이스프레임(100) 상에서 이동되어, 누룽지를 성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베이스프레임(100)에는 누룽지의 제조를 위한 여러 장치들이 구성된다. 즉, 성형판(190)의 하판(191)으로 불린 쌀(이하에서는 그냥 '쌀'이라 칭하되, 이는 불린 쌀을 의미하는 것이다)을 공급하는 공급부와, 성형판(190)의 하판(191)으로 공급된 쌀을 펼치는 펼침부(200) 및 성형판(190)을 잡아 인접한 다른 레인(110)(120)으로 이동시키는 반전부(300)를 포함하는 성형장치와, 성형판(190)의 상판(192)을 회전시켜 오픈시키는 오픈부(400)와, 성형판(19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600)와, 오픈된 상판(192)에 달라붙은 누룽지를 분리하여 제거하는 분리부(500)와, 성형판(190)의 하판(191)을 세척하는 세척부(700)와, 성형판(190)에서 배출되는 누룽지를 건조시키는 건조부(800)가 베이스프레임(100)에 각각 차례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각각의 장치(부)들을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공급부는 후술될 세척부(700)와 펼침부(200) 사이에서 구성되고, 성형판(190)의 하판(191)에 쌀을 공급하는 후술될 공급기(900)를 포함한다. 즉, 공급기(900)에서 쌀을 상판(192)이 오픈된 성형판(190)의 하판(191) 위로 일정량씩 공급하는 부분이다.
한편, 공급부에서 성형판(190)의 하판(191) 위로 쌀을 공급하는 공급기(900)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성형장치를 구성하는 펼침부(200)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판(190)의 하판(191) 위로 공급된 쌀을 펼치는 구성으로, 베이스프레임(100) 위에 세워져 설치되는 지지프레임(210)과, 지지프레임(210)에 관통 결합되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프레임(240)과, 지지프레임(210) 내부에 위치되어 승강프레임(240)의 하단부에 결합 고정되는 지지판(220)을 포함한다.
그리고, 지지판(220)에는 성형판(190)의 하판(191) 위로 공급된 쌀을 펼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펼침장치가 구비되되, 본 실시예에서는 성형판(190)의 이동 방향을 따라 3개의 펼침장치(250)(260)(270)가 지지판(220)에 일렬로 나란하게 구비되어, 성형판(190)의 하판(191) 위로 공급된 쌀을 점차적으로 펼칠 수 있게 된다.
즉, 쌀 공급부와 근접하게 구비된 제 1 펼침장치(250)는 하판(191) 위로 높게 공급된 쌀을 무너뜨려 펼침으로써 펼침 효율이 가장 좋고, 제 2 펼침장치(260)와 제 3 펼침장치(270)에서는 제 1 펼침장치(250)에 의해 펼쳐진 쌀을 재차 반복하여 더 낮은 높이로 펼침으로써 최종 생산되는 누룽지의 두께를 소비자의 기호에 맞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이 쌀을 펼치는 과정을 여러 차례에 걸쳐 반복 행하는 이유는, 하판(191) 위에 높게 공급된 쌀을 한번에 펼치게 되면 쌀이 하판(191) 밖으로 떨어져 이탈되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하판(191) 위의 쌀을 여러 차례에 걸쳐 점차적으로 낮게 펼치도록 하여 쌀의 이탈을 방지하고자 한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다수의 펼침장치(250)(260)(270)는 동일한 구성과 구조로 구성되고, 다만 후술될 펼침날개(254)(264)(274)의 높이만이 서로 다르게 구비된다. 즉, 제 1 펼침장치(250)에서 제 3 펼침장치(270)(반전부(300)에 근접하게 구비되는 펼침장치) 측으로 갈수록 펼침날개(254)(264)(274)의 높이가 성형판(190)에 더 가깝게 위치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다수의 펼침장치(250)(260)(27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220)의 상면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중공의 하부 부싱(251)(261)(271)과, 하부 부싱(251)(261)(271)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하부 부싱(251)(261)(271)에 나사 결합되는 종공의 상부 부싱(252)(262)(272)과, 상부 부싱(252)(262)(272)의 내부에 삽입되어 관통 결합되는 한편 상부 부싱(252)(262)(272)과의 사이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한 상태로 고정되게 구비되는 회전축(253)(263)(273)과, 회전축(253)(263)(273)의 하단부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어 회전축(253)(263)(273)과 같이 회전되면서 하판(191) 위로 공급된 쌀을 차례로 펼치는 펼침날개(254)(264)(274)를 포함한다.
특히, 회전축(253)(263)(273)은 상부 부싱(252)(262)(272)과의 사이에 베어링을 개재한 상태로 구비됨으로써 상부 부싱(252)(262)(272)과는 상대 회전이 가능하고 축방향으로는 베어링을 분리하기 전에는 분리 불가한 상태로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결합되는 상부 부싱(252)(262)(272)을 하부 부싱(251)(261)(271)에서 풀거나 또는 체결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253)(263)(273)의 높이를 상하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펼침날개(254)(264)(274)의 높이를 미세 조정할 수 있고, 상부 부싱(252)(262)(272)의 회전은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으로 미세하게 회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회전축(253)(263)(273)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펼침날개(254)(264)(274)는 각 펼침날개(254)(264)(274)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구비되면서도 각 펼침날개(254)(264)(274)의 비틀림 각도나 절곡 각도가 서로 달라 각 펼침날개(254)(264)(274)에서 공급된 쌀의 높이를 각기 다르게 펼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펼침날개(254)(264)(274) 상부의 회전축(253)(263)(273)에는 원통형의 성형가이더(257)(267)(277)가 공회전되게 결합되어 구비된다. 이와 같이 회전축(253)(263)(273)에 구비되는 성형가이더(257)(267)(277)는 회전축(253)(263)(272)의 상하 이동 및 회전시 회전축(253)(263)(273)과 연동되지 않는다. 다만, 회전축(253)(263)(273)이 일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되는 경우에는 펼침날개(254)(264)(274)에 걸림되어 성형가이더(257)(267)(277)가 상승될 수 있고, 회전축의 하강시는 성형가이더(257)(267)(277)가 자체 자중으로 하강되어 성형판(190)의 하판(191) 위에 안착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성형가이더(257)(267)(277)는 그 하면이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성형판(190)의 하판(191) 위로 공급된 쌀을 그 내부로 수용하여 감싸게 된다. 따라서, 성형가이더(257)(267)(277) 내부에서 펼침날개(254)(264)(274)가 쌀을 펼치게 되고, 펼침날개(254)(264)(274)에 의해 펼쳐지는 쌀은 성형가이더(257)(267)(277)에 의해 외부로의 이탈이 방지되므로 일정한 두께와 형태의 누룽지를 성형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한편, 지지판(220)에는 하부 부싱(251)(261)(271)에서 상하로 미세 이동되는 상부 부싱(252)(262)(272)의 높이를 측정하여 회전축(253)(263)(273) 및 펼침날개(254)(264)(274)의 높이를 간접적으로 표시하는 다이얼 게이지(256)(266)(276)가 고정되고, 다이얼 게이지(256)(266)(276)의 측정핀은 그 하단부가 상부 부싱(252)(262)(272)의 상면에 접한 상태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회전축(253)(263)(273)의 상단부에는 각각의 풀리(255)(265)(275)가 회전축(253)(263)(273)에 고정되게 구비되고, 풀리(255)(265)(275)에는 동력전달을 위한 벨트(282)를 걸 수 있는 복수의 벨트홈이 형성되며, 지지판(220)에는 회전축(253)(263)(273)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하나의 모터(280)가 구비되고, 모터(280)는 그 상단부의 모터축에 풀리(281)가 고정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모터(280)의 풀리(281)와 제 1 펼침장치(250)의 풀리(255)를 벨트(282)로서 연결하고, 제 1 펼침장치(250)의 풀리(255)와 제 2 펼침장치(260)의 풀리(265)를 별도의 다른 벨트(282)로 연결하며, 제 2 펼침장치(260)의 풀리(265)와 제 3 펼침장치(270)의 풀리(275)를 또 다른 벨트(282)로 연결하면, 하나의 모터(280)로서 제 1,2,3 펼침장치(250)(260)(270)의 회전축(253)(263)(273)을 동시에 모두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게다가, 상기와 같이 상부 부싱(252)(262)(272)을 통해서 회전축(253)(263)(273) 하단부의 펼침날개(254)(264)(274)를 미세 조정한다면, 지지프레임(210) 상에서 지지판(220)을 상하로 이동시켜 펼침장치(250)(260)(270)의 전체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지지프레임(210) 상에 승강실린더(230)를 고정되게 구비하고, 승강실린더(230)의 상부로 출입되는 피스톤로드를 승강프레임(240)에 연결하여, 승강실린더(230)에서 피스톤로드가 출입됨에 따라 승강프레임(240)이 지지프레임(210) 상에서 상하로 이동되고, 승강프레임(240)의 상하 이동에 의해 승강프레임(240)에 고정된 지지판(220)이 상하로 이동됨으로써 지지판(220)에 구비된 펼침장치들(250)(260)(27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펼침부(200)와 반전부(300) 사이의 베이스프레임(100)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될 오픈부(400)에서 오픈된 상판(192)의 걸이용 브라켓(193)이 걸림된 상태로 가이드되어 성형판(190)이 반전부(300) 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판(192)을 점차 하판(191) 측으로 회전시켜 하판(191)을 덮도록 하는 클로징가이더(170)가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클로징가이더(170)는 봉이나 바 형태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후술될 베이스프레임(100)의 가이드레일(150) 끝단부에 클로징가이더(170)의 일단부가 위치되며, 후술될 반전부(300) 측으로 위치된 클로징가이더(170)의 타단부는 하향 경사져 베이스프레임(100)의 레인(110) 중앙부 측으로 위치된다.
따라서, 성형판(190)의 하판(191)에서 직각 이상으로 회전되어 오픈된 상판(192)의 걸이용 브라켓(193)이 베이스프레임(100)의 가이드레일(150)을 벗어남과 동시에 클로징가이더(170)의 일단부에 다시 끼워진 상태로 클로징가이더(170)를 따라 이동되고, 클로징가이더(170)의 타단부로 갈수록 점차 하판(191) 측으로 역회전되면서 결국에는 자동적으로 하판(191)을 덮게 된다.
한편, 성형장치를 구성하는 반전부(30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판(190)의 하판(191) 위로 공급되는 누룽지 재료에 따라 가열된 성형판(190)을 선택적으로 반전시키는 구성이다.
이러한 반전부(300)는 베이스프레임(100)에 구비되는 이동실린더(310)와, 이동실린더(310)에 구비되어 베이스프레임(100)의 일측 레인에서 타측 레인으로 평행 이동되는 승강실린더(320)와, 승강실린더(320)에 구비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승강블럭(330)과, 베이스프레임(100)의 레인(110)(120)과 마주하는 승강블럭(330)의 일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블럭(350)과, 회전블럭(350)의 전면에 구비되어 베이스프레임(100)에서 이송되어 오는 성형판(190)을 잡는 그립퍼(340)를 포함한다.
여기서, 회전블럭(350)은 승강블럭(330)의 일면에 정.역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고, 승강블럭(330)의 반대면에는 승강블럭(330)에서 회전블럭(350)을 정.역회전시키는 모터(351)가 구비될 수 있다.
게다가, 승강블럭(330)에는 그립퍼(340)를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이 출입되는 포트가 각각 형성되어, 일측의 포트로 유압이 공급되면 그립퍼(340)가 그립 작동을 하고, 타측의 포트로 유압이 공급되면 그립퍼(340)가 벌어지게 된다.
그리고, 그립퍼(340)는 회전블럭(350)의 전면 상,하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하의 양 그립퍼 아암이 베이스프레임(100)에서 이송되어 오는 성형판(190)의 상판(192)과 하판(191)에 각각 접하여 성형판(190)을 잡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성형판(190)을 잡은 그립퍼(340)는 승강실린더(320)에 의해 베이스프레임(100) 위로 상승된 상태에서 성형판(190)에 공급된 누룽지 재료의 종류에 따라 그대로 유지되거나 또는 모터(351)에 의해 승강블럭(330) 상에서 180도 회전된 후, 이동실린더(310)에 의해 인접한 다른 레인(110)(120)으로 이동되고, 이 상태에서 승강실린더(320)가 재작동되어 그립퍼(340)를 하강시켜 성형판(190)을 베이스프레임(100)의 이송롤러(140) 위에 안착시켜 구비한다.
이때, 성형판(190)을 잡은 그립퍼(340)는 성형판(190)에 공급된 누룽지 재료가 밥인 경우에만 180도 회전되어 반전되고, 쌀인 경우에는 회전되지 않는데, 이는 밥이 쌀보다 불에 약해 빨리 타게 되므로 성형판(190)을 반전시키는 작동을 통해서 밥이 고루 눌린 상태의 누룽지를 성형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그립퍼(340)에 의해 성형판(190)이 이동되는 다른 레인(110)(120)에는 성형판(190)을 그립퍼(340)에서 분리시켜 베이스프레임(100) 상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블럭(360)이 구비된다.
이러한 이송블럭(360)은 베이스프레임(100)에 구비된 이송롤러(140)의 하부에 위치되어 베이스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되고, 이송블럭(360)의 선단부에는 그립퍼(340)에 잡힌 성형판(190)의 선단면에 접하여 성형판(190)을 그립퍼(340)에서 분리시켜 베이스프레임(100) 상으로 이송시키는 돌출블럭(361)이 돌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돌출블럭(361)은 이송블럭(360)의 선단부 양측편에서 각각 상향 돌출되어 형성되고, 성형판(190)과 접하는 면에는 성형판(19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패드부재(362)가 구비될 수 있으며, 패드부재(362)는 고무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국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완충 기능을 갖는 소재이면 모두 만족한다.
그리고, 이송블럭(360)에는 이송실린더(370)가 연결되어 이송블럭(360)을 베이스프레임(100) 상에서 직선 왕복 이동시키고, 이송실린더(370)는 베이스프레임(100) 내에 구비되어 베이스프레임(100)의 부피 및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00) 내에 구비되는 이송실린더(370)와 버너(130) 사이의 베이스프레임(100)에는 이송실린더(370)를 버너(130)와 격리시키는 격판이 설치될 수 있고, 격판에 의해 버너(130)의 열이 이송실린더(370)로 전도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이송실린더(370)의 오작동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반전부(300)는 베이스프레임(100)의 양 레인(110)(120)에 각각 구성되어, 성형판(190)을 인접한 다른 레인(110)(120)으로 각각 이동시키되, 반전부(300)에 의해 180도 회전되어 반전된 성형판(190)은 상판(192)과 하판(191)의 위치가 서로 바뀐 상태로 베이스프레임(100)의 레인(110)(120)에 구비되지만, 하부에 위치한 상판(192)의 걸이용 브라켓(193)이 양 버너(130) 사이의 공간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됨으로써 성형판(190)의 이동시 전혀 간섭되지 않는다.
한편, 그립퍼(340)와 근접한 베이스프레임(100)에는 그립퍼(340)를 향해 이송되어 오는 성형판(190)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가 구비될 수 있고, 위치감지센서는 근접센서 또는 리미트스위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위치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그립퍼(340)가 작동되어 이송되어 온 성형판(190)을 정확히 잡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오픈부(400)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룽지가 성형된 성형판(190)의 상판(192)을 하판(191)으로부터 오픈(open)시키는 구성으로서, 양 레인(110)(120) 사이의 베이스프레임(100)에 그 상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부에는 피스톤로드(411)가 출입가능하게 구비되는 작동실린더(410)와, 베이스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한편 그 일측은 작동실린더(410)의 피스톤로드(41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에는 상판(192)의 걸이용 브라켓(193)에 걸림되어 상판(192)을 회전시켜 오픈시키는 걸림바(422)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오프너(4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오프너(420)는 그 중앙부에 베이스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축(421)과, 힌지축(421)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피스톤로드(411)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바(423)와, 힌지축(421)의 타측에 상판(192)의 걸이용 브라켓(193)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걸림바(422)를 포함한다.
한편, 성형판(190)의 상판(192)에 형성된 걸이용 브라켓(193)은 그 전면(오프너(420)의 걸림바(422)와 마주하는 면)과 양측면이 개구되어 있고, 오프너(420)의 걸림바(422)는 걸이용 브라켓(193)보다 낮은 위치로 구비됨으로써, 성형판(190)의 이동시 걸이용 브라켓(193)과 오프너(420)의 걸림바(422)가 서로 간섭되지 않고, 오프너(420)의 걸림바(422)가 걸이용 브라켓(193)의 내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피스톤로드(411)가 작동실린더(410)에 인입된 상태에서는 오프너(420)의 걸림바(422)가 도 12에서와 같이 상판(192)의 걸이용 브라켓(193)과 평행하게 위치되고, 이 상태에서 피스톤로드(411)가 작동실린더(410)로부터 인출되면 도 13에서와 같이 피스톤로드(411)에 의한 링크바(423)의 하강으로 인해 오프너(420)가 힌지축(421)을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걸림바(422)가 상판(192)의 걸이용 브라켓(193)에 걸림된 상태로 회전되어, 상판(192)을 오픈시키게 된다.
그리고, 오픈부(400)의 오프너(420)와 클로징가이더(170) 사이의 베이스프레임(100)에는 도 5 및 도 12에서와 같이, 오프너(420)에 의해 오픈된 성형판(190)의 상판(192)을 지지하여 상판(192)이 열린 상태로 성형판(190)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레일(150)이 설치된다.
이러한 가이드레일(150)은 베이스프레임(100) 상에 수직하게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하판(191)에서 오픈된 상판(192)의 내측면이 가이드레일(150)에 접하여 걸림됨으로써 성형판(190)은 상판(192)이 오픈된 상태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감지부(60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픈부(400)와 분리부(500) 사이에 구성되어, 성형판(19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 오픈부(400)와 분리부(500) 사이의 베이스프레임(100)에는 "ㄱ"자 형상의 고정브라켓(610)이 고정되게 설치되고, 고정브라켓(610)의 상부에는 성형판(190)과 마주하도록 감지센서(620)가 고정되게 설치되어, 성형판(19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이러한 감지센서(620)는 근접센서로서, 성형판(190)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판(192)이 오픈되었는지 또는 덮혀 있는지를 센싱하고, 그 센싱값을 토대로 상판(192)이 덮힌 경우에는 컨트롤러(미도시)를 통해 반전부(300)의 작동을 정지시켜 성형판(190)의 이동을 멈추게 한다.
이와 같은 감지부(600)는 오픈부(400)에서 성형판(190)의 상판(192)을 하나씩 오픈시킴에 따른 오작동에 대비한 것으로, 오픈부(400)에서 상판(192)이 오픈되지 않은 성형판(190) 즉 상판(192)이 덮힌 성형판(190)이 이후 공정으로 진행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분리부(50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픈된 상판(192)에 달라붙은 누룽지를 분리시켜 내는 구성이다.
이러한 분리부(500)는 베이스프레임(100)에 그 상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하단부에는 피스톤로드(511)가 출입가능하게 구비되는 작동실린더(510)와, 피스톤로드(511)의 하단부에 고정되게 구비되고 그 하단부가 오픈된 상판(192)의 내측면에 접한 상태로 승강되면서 상판(192)의 내측면에 붙은 누룽지를 분리시켜 내는 탄력을 갖는 분리판(52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작동실린더(510)는 그 상단부에 고정블럭(530)이 고정되게 설치되고, 고정블럭(530)은 그 중심부가 베이스프레임(100)에 힌지핀(540)으로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고정블럭(530)의 외주연부에는 고정핀(550)이 관통되어 베이스프레임(100)에 체결됨으로써 고정블럭(530)을 베이스프레임(100)에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고정블럭(530)의 외주연부에는 고정핀(550)이 관통되는 원호의 각도조정공(531)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고정핀(550)을 베이스프레임(100)에 체결하면 고정핀(550)에 의해 고정블럭(530)이 베이스프레임(100) 측으로 가압되어 고정되고, 고정핀(550)을 풀어내면 고정블럭(530)을 베이스프레임(100) 상에서 각도조정공(531)의 원호를 따라 회전시켜 작동실린더(510)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작동실린더(510)의 피스톤로드(511) 하단부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분리판(520)은 휨이나 굽힘되었다가 원상태로 복원되는 탄력을 가지되, 바람직하게는 박판의 스테인리스 스틸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분리판(520)은 작동실린더(510)의 기울어진 각도로 인해 오픈된 상판(192)의 내측면에 굽힘된 상태로 항상 접촉되고, 이 상태에서 피스톤로드(511)의 출입에 의해 상판(192)의 내측면을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긁어 내리므로 상판(192)에 달라붙은 누룽지를 용이하게 떼어내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분리부(500)와 세척부(700) 사이의 베이스프레임(100)에는 도 15에서와 같이, 성형판(190)에서 제조되어 하판(191) 위에 놓여진 누룽지를 건조부(800) 측으로 안내하여 배출시키는 배출가이더(160)가 구비된다.
이러한 배출가이더(160)는 성형판(190)의 하판(191)에서 건조부(800) 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성형판(190)이 이동될 시 하판(191) 위의 누룽지가 배출가이더(160)에 걸려 배출가이더(160)를 따라 건조부(800) 측으로 안내되어 배출된다.
따라서, 배출가이더(160)를 지나 세척부(700) 측으로 이동되는 성형판(190)의 하판(191)에는 누룽지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리고, 세척부(70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판(190)의 하판(191)을 세척하는 구성이다.
즉, 세척부(700)는 베이스프레임(100) 위에 수직하게 세워져 설치되는 세척프레임(710)과, 세척프레임(710) 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축(730)을 포함한다.
세척프레임(710)은 상면을 제외한 나머지 5면이 개구된 직육면체로 형성되어 세척부(700)가 구성되는 레인(110)의 양측 베이스프레임(100) 위에 올려져 설치되지만, 세척프레임(710)의 하부 프레임은 후면 프레임과 연결되지 못하고 끊어진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세척프레임(710)의 하부 프레임은 레인(110)의 이송롤러(140)와 이격된 하부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후면 프레임과도 이격된 후방 공간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성형판(190)의 하판(191)은 하부 공간을 통해 이동되고, 오픈된 상판(192)은 후방 공간을 통해 이동되어 세척프레임(710) 내에 구비된다.
또한, 회전축(730)은 그 하단부에 다수의 세척브러쉬(740)가 일렬로 나열되게 구비되고, 이와 같이 일렬로 구비된 세척브러쉬(740)는 회전축(730)에 의해 회전되면서 세척프레임(710) 내에 구비된 하판(191)의 상면을 원형을 그리며 세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세척브러쉬(740)는 누룽지가 제조되는 하판(191)의 상면을 충분히 커버하여 세척할 수 있는 개수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세척과정이 완료된 성형판(190)은 상판(192)이 오픈된 상태로 전술한 공급부로 이동되어 다시 하판(191) 위로 쌀을 공급받게 된다.
건조부(800)는 도 15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판(190)에서 제조되어 배출된 누룽지를 건조시켜 배출시키는 구성이다.
건조부(800)는 베이스프레임(100)과 근접하게 설치되어 배출가이더(160)에 의해 성형판(190)에서 배출되는 누룽지를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840)와, 이송컨베이어(840)에서 이송되어 온 누룽지를 이송시키면서 건조시키는 건조컨베이어(810)와, 건조컨베이어(810)에 반복 회전되게 구비되어 누룽지를 자연 건조시키는 메쉬망(811)을 포함한다.
이송컨베이어(840)는 베이스프레임(100)과 근접한 위치에서 경사지게 설치되고, 이송컨베이어(840)의 상부에는 컨베이어벨트를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도 2에서 "841")가 구비된다.
그리고, 건조컨베이어(810)는 평탄한 컨베이어로서, 그 일단부가 이송컨베이어(840)의 상부에 연결되어 이송컨베이어(840)에서 이송되어 오는 누룽지가 후술될 회전판(850)에 의해 건조컨베이어(810)로 이송되어 공급된다.
이때, 건조컨베이어(810)에는 통상적인 컨베이어벨트 대신 메쉬망(811)을 벨트화하여 구비하고, 이와 같이 구비된 메쉬망(811)은 모터(820)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따라서, 메쉬망(811) 위에 놓여져 이송되는 누룽지는 메쉬망(811)의 통기공에 의해 이송되는 과정 중에 자연 건조된다.
또한, 건조컨베이어(810)와 이송컨베이어(840) 간의 연결부에는 이송컨베이어(840)에서 이송되어 온 누룽지를 회전시켜 건조컨베이어(810)로 공급하는 회전판(850)이 구비된다.
회전판(850)은 베이스프레임(100)에 고정되는 고정블럭(860)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고정블럭(860)의 하부에는 모터(851)가 설치되어 회전판(850)을 고정블럭(860) 상에서 회전 구동시키게 된다. 즉, 모터(851)에서 인출되는 모터축이 베어링을 매개로 고정블럭(860)을 관통하여 회전판(850)에 결합됨으로써 회전판(850)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건조컨베이어(810)의 입구 선단부에는 회전판(850)을 지나 이송컨베이어(840)의 상부에 이르는 건조용 가이더(830)가 완만하게 원호 형상으로 라운드지게 설치되어, 이송컨베이어(840)와 회전판(850)에 의해 이송되어 오는 누룽지를 건조컨베이어(810) 측으로 가이드하여 공급하고, 건조용 가이더(830)와 마주하는 건조컨베이어(810)의 입구 반대편 단부에는 회전되는 누룽지가 걸림되어 자연스럽게 건조컨베이어로 공급되게 하는 보조가이더(831)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회전판(850)의 회전에 의해 건조컨베이어(810)로 공급되는 누룽지는 건조용 가이더(830)와 보조가이더(831)에 의해 자연스럽게 안내되어 공급됨으로써 이송되어 오는 모든 누룽지를 건조컨베이어(810)로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쌀 공급기와, 쌀 공급기에서 성형판으로 공급되는 쌀의 공급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쌀 공급기(900)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된 쌀이 공급되는 호퍼(910)와, 호퍼(91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호퍼(910)를 개폐시켜 세척된 쌀의 오염을 방지하는 덮개(911)를 포함한다.
쌀 공급기(900)의 호퍼(910) 하부에는 호퍼(910) 내로 공급된 세척된 쌀을 누룽지 제조장치(1)의 공급부에 위치한 성형판(190)의 하판(191) 위로 일정량으로 공급하는 스크류컨베이어(92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스크류컨베이어(920)는 쌀을 일정량으로 공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의 회전량을 조절하여 공급되는 쌀의 양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판을 구비한 누룽지 제조용 성형장치를 포함하는 누룽지 제조장치의 작동관계를 전반적으로 설명하되, 누룽지 재료로 쌀이 이용되는 것을 일례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쌀 공급기(900)의 호퍼(910)로 공급된 세척된 쌀은 도 18에서와 같이, 다시 호퍼(910) 하부에 구비된 스크류컨베이어(920)를 통해서 누룽지 제조장치(1)의 공급부에 위치된 성형판(190)의 하판(191) 위로 정량 공급된다.
물론, 이때 성형판(190)은 베이스프레임(100)의 각 레인(110)(120)을 돌아오는 과정에서 오픈부(400)에서 상판(192)이 오픈된 상태로 이동되어 공급부에 위치된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하판(191) 위에 쌀이 공급된 성형판(190)은 반전부(300)에서 이송블럭(360)에 의해 이송되는 성형판(190) 하나의 이송거리 즉 성형판(190)의 길이만큼씩 연속해서 이동되어 간다.
이때, 베이스프레임(100)의 각 레인(110)(120)에는 다수의 성형판(190)이 간격없이 일렬로 구비된 상태이고, 반전부(300)의 이송블럭(360) 상에만 성형판(190)이 구비되지 않은 상태로서, 다수의 성형판(190)은 이송블럭(360)에 의해 이송되는 하나의 성형판(190)의 길이만큼씩 이동된다.
이와 같이 이동되는 성형판(190)은 도 5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펼침부(200)의 지지프레임(210) 내로 진입되어 공급된다.
그러면, 지지판(220)에 차례로 구비된 다수의 펼침장치(250)(260)(270) 중에서 펼침날개(254)(264)(274)가 상대적으로 높게 구비된 제 1 펼침장치(250)가 먼저 작동하여, 제 1 펼침날개(254)를 통해 하판(191) 위에 공급되어 있던 쌀이 분산되어 1차로 펼치게 된다.
이후, 성형판(190)이 이동되면서 차례로 제 2 펼침장치(260)와 제 3 펼침장치(270)의 각 펼침날개(264)(274)에 의해서 더 얇게 2,3차로 펼쳐지게 되고, 이와 같이 펼쳐지는 쌀은 성형가이더(257)(267)(277) 내에서 펼쳐짐으로써 쌀의 이탈이 방지되어 쌀이 일정한 두께로 펼쳐지므로 일정한 두께와 형태의 누룽지를 성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하판(191) 위의 쌀을 펼치는 펼침장치(250)(260)(270)들은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상부 부싱(252)(262)(272)을 회전시켜 회전축(253)(263)(273) 및 펼침날개(254)(264)(274)의 높이를 미세 조정할 수 있고, 이의 미세 조정폭은 각 상부 부싱(252)(262)(272)에 접촉되어 있는 다이얼 게이지(256)(266)(276)를 통해서 간편하게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쌀의 펼쳐진 두께(높이)를 미세 조정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두께의 누룽지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펼침부(200)를 통과하면서 쌀이 원하는 두께로 펼쳐진 성형판(190)은 베이스프레임(100)의 레인(110)을 따라 이동되고, 성형판(190)의 상판(192)은 펼침부(200)를 벗어나기 전까지는 베이스프레임(100)에 구비된 가이드레일(150)에 걸림된 상태로 이동됨으로써 성형판(190)은 오픈된 상태로 이동된다.
이후, 성형판(190)이 펼침부(200)를 벗어나면서 상판(192) 역시도 가이드레일(150)에서 벗어나게 되지만, 상판(192)은 도 9에서와 같이 가이드레일(150)에서 벗어남과 동시에 가이드레일(150)의 단부에 근접하게 구비된 클로징가이더(170)에 걸이용 브라켓(193)이 끼워져 구비됨으로써 오픈 상태를 계속 유지하면서 이동될 수 있고, 이와 같은 이동과정 중에 성형판(190)의 하판(191)은 베이스프레임(100)의 버너(130)에 의해 가열된다.
이와 같이 오픈 상태로 이동되는 성형판(190)은 반전부(300) 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하향 경사진 클로징가이더(170)에 의해 점차 하판(191) 측으로 회전되다가 결국에는 하판(191)에 포개져 덮힌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덮힌 상태로 이동되는 성형판(190)은 버너(130)에 의해 계속해서 가열되면서 반전부(300) 측에 이르게 되고, 성형판(190)이 반전부(300)에 도달되면 도 10 및 도 11에서와 같이, 벌어져 있던 그립퍼(340)가 상판(192)과 하판(191)의 외측면에 각각 접하면서 성형판(190)을 잡게 된다.
이 상태에서 그립퍼(340)가 승강실린더(320)에 의해 상승된 후, 이동실린더(310)에 의해 인접한 다른 레인(120)으로 이동되어 위치되고(이때, 누룽지 재료가 밥인 경우에는 상승된 그립퍼(340)가 180도 회전되어 반전된 후 인접한 다른 레인(120)으로 이동된다), 다시 승강실린더(320)에 의해 하강되어 성형판(190)을 이송블럭(360) 위에 안착시킨 다음, 그립퍼(340)는 성형판(190)을 잡고 있던 가압력이 해제되어 벌어지게 된다.
그러면, 이송실린더(370)가 이송블럭(360)을 당기게 되고, 당겨진 이송블럭(360)은 그 선단부의 돌출블럭(361)이 성형판(190)의 선단면에 접하면서 성형판(190)을 그립퍼(340)로부터 빼내 분리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송블럭(360)에 의해 그립퍼(340)로부터 분리되는 성형판(190) 하나의 이동거리만큼씩 레인(120) 상의 모든 성형판(190)이 이동되고, 이 과정 중에 모든 성형판(190)은 버너(130)에 의해 계속 가열되며, 레인(120)의 단부에서는 또 다른 반전부(300)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은 그립퍼(340)의 작동으로 인접한 처음 레인(110)으로 성형판(190)이 이송된 후, 다시 처음 레인(110)에서 이동된다.
이와 같이 이동되는 성형판(190)은 오픈부(400)에 위치되는 바, 상판(192)이 덮힌 상태의 성형판(190)은 도 12에서와 같이, 상판(192)의 걸이용 브라켓(193)이 오프너(420)의 걸림바(422) 위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작동실린더(410)가 작동되어 피스톤로드(411)가 인출되면 도 13에서와 같이, 하강되는 피스톤로드(411)에 의해 오프너(420)의 링크바(423)가 힌지축(421)을 기준으로 아래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와 일체로 구비된 오프너(420)의 걸림바(422)가 상판(192)의 걸이용 브라켓(193)에 걸림된 상태로 상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성형판(190)의 상판(192)을 회전시켜 오픈시키게 된다. 물론, 이때 상판(192)과 하판(191)의 힌지부는 오프너(420) 측으로 위치되어야 하고, 오픈된 상판(192)은 오프너(420) 측에 근접하게 위치된다.
그리고, 상판(192)이 오픈된 상태로 성형판(190)은 계속 이동되는데, 이때 오프너(420)에 근접하게 구비된 가이드레일(150)에 상판(192)이 삽입되어 지지된 상태로 가이드됨으로써 성형판(190)은 상판(192)이 오픈된 상태로 안정적인 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이동되는 성형판(190)은 도 14에서와 같이, 분리부(500)로 진입되기 전에 감지부(600)에서 감지센서(620)에 의해 상판(192)의 개폐 여부가 감지되고, 그 결과 상판(192)이 오픈 상태면 그대로 분리부(500)로 이동되지만, 상판(192)이 덮힌 상태면 반전부(300)의 작동을 정지시켜 성형판(190)의 이동을 멈추게 되고, 해당 성형판(190)을 정비한다.
이후, 오픈된 성형판(190)이 분리부(500)에 위치되면, 분리판(520)이 오픈된 상판(192)의 내측면에 접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작동실린더(510)가 작동되어 피스톤로드(511)를 인출시키고, 인출되어 하강되는 피스톤로드(511)에 의해 분리판(520)이 상판(192)의 내측면에 접한 상태로 아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내측면을 위에서 아래로 긁어 내림으로써 상판(192)의 내측면에 달라붙은 누룽지를 손쉽게 떼내 분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분리부(500)의 작동은 모든 성형판(190)마다 실시될 수도 있지만, 누룽지가 상판(192)의 내측면에 달라붙은 성형판(190)에만 실시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분리판(520)에 의해 떨어진 누룽지는 하판(191) 위에 구비된다.
이 상태에서 성형판(190)이 이동되어 분리부(500)를 벗어나면, 배출가이더(160)를 만나게 되고, 이 배출가이더(160)의 하부를 성형판(190)의 하판(191)이 통과하면서 하판(191) 위의 누룽지가 배출가이더(160)에 의해 걸림되어 도 15에서와 같이 건조부(800)의 이송컨베이어(840) 위로 떨어져 이송된다.
이와 같이 누룽지가 배출된 성형판(190)은 상판(192)이 오픈된 상태로 계속 이동되어 도 16에서와 같이 세척부(700)의 세척프레임(710) 내로 진입되어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모터(720)에 의해 회전축(730)이 회전되면, 회전축(730) 하부에 구비된 다수의 세척브러쉬(740)가 하판(191)의 상면에 접한 상태로 원을 그리며 회전되어 하판(191)의 상면을 세척하게 된다.
이후, 세척부(700)에서의 세척이 완료된 성형판(190)은 세척부(700)를 벗어나 다시 공급부로 이동되고, 공급부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쌀 공급기(900)로부터 정량의 쌀을 공급받아 다시 베이스프레임(100)의 레인(110)을 따라 이동된다.
한편, 배출가이더(160)에 의해 건조부(800)의 이송컨베이어(840)로 배출된 누룽지는 도 15 및 도 17에서와 같이, 이송컨베이어(840)의 상부로 이송된다. 이와 같이 이송된 누룽지는 건조용 가이더(830)에 의해 자연스럽게 회전판(850) 측으로 이송되고, 이는 다시 회전판(850)의 회전과 건조용 가이더(830)에 의해 건조컨베이어(810) 측으로 이송되면서 누룽지가 보조가이더(831)에 걸림되어 건조컨베이어(810) 내로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공급된 누룽지는 건조컨베이어(810)의 메쉬망(811) 위에 올려진 상태로 이송되면서 메쉬망(811)의 통기성에 의해 자연 건조된 후 배출됨으로써 상품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 : 제조장치
100 : 베이스프레임
110,120 : 레인(lane) 130 : 버너
140 : 이송롤러 150 : 가이드레일
160 : 배출가이더 170 : 클로징가이더
190 : 성형판 191 : 하판
192 : 상판 193 : 걸이용 브라켓
200 : 펼침부 210 : 지지프레임
220 : 지지판 230 : 승강실린더
240 : 승강프레임 250,260,270 : 펼침장치
251,261,271 : 하부 부싱 252,262,272 : 상부 부싱
253,263,273 : 회전축 254,264,274 : 펼침날개
255,265,275 : 풀리 256,266,276 : 다이얼 게이지
257,267,277 : 성형가이더 280 : 모터
281 : 풀리 282 : 벨트
300 : 반전부 310 : 이동실린더
320 : 승강실린더 330 : 승강블럭
340 : 그립퍼 350 : 회전블럭
351 : 모터 360 : 이송블럭
361 : 돌출블럭 362 : 패드부재
370 : 이송실린더 400 : 오픈부
410 : 작동실린더 411 : 피스톤로드
420 : 오프너(opener) 421 : 힌지축
422 : 걸림바 423 : 링크바
500 : 분리부 510 : 작동실린더
511 : 피스톤로드 520 : 분리판
530 : 고정블럭 531 : 각도조정공
540 : 힌지핀 550 : 고정핀
600 : 감지부 610 : 고정브라켓
620 : 감지센서 700 : 세척부
710 : 세척프레임 720 : 모터
730 : 회전축 740 : 세척브러쉬
800 : 건조부 810 : 건조컨베이어
811 : 메쉬(mesh)망 820 : 모터
830 : 건조용 가이더 831 : 보조가이더
840 : 이송컨베이어 841 : 모터
850 : 회전판 851 : 모터
860 : 고정블럭 900 : 공급기
910 : 호퍼 911 : 덮개
920 : 스크류컨베이어
110,120 : 레인(lane) 130 : 버너
140 : 이송롤러 150 : 가이드레일
160 : 배출가이더 170 : 클로징가이더
190 : 성형판 191 : 하판
192 : 상판 193 : 걸이용 브라켓
200 : 펼침부 210 : 지지프레임
220 : 지지판 230 : 승강실린더
240 : 승강프레임 250,260,270 : 펼침장치
251,261,271 : 하부 부싱 252,262,272 : 상부 부싱
253,263,273 : 회전축 254,264,274 : 펼침날개
255,265,275 : 풀리 256,266,276 : 다이얼 게이지
257,267,277 : 성형가이더 280 : 모터
281 : 풀리 282 : 벨트
300 : 반전부 310 : 이동실린더
320 : 승강실린더 330 : 승강블럭
340 : 그립퍼 350 : 회전블럭
351 : 모터 360 : 이송블럭
361 : 돌출블럭 362 : 패드부재
370 : 이송실린더 400 : 오픈부
410 : 작동실린더 411 : 피스톤로드
420 : 오프너(opener) 421 : 힌지축
422 : 걸림바 423 : 링크바
500 : 분리부 510 : 작동실린더
511 : 피스톤로드 520 : 분리판
530 : 고정블럭 531 : 각도조정공
540 : 힌지핀 550 : 고정핀
600 : 감지부 610 : 고정브라켓
620 : 감지센서 700 : 세척부
710 : 세척프레임 720 : 모터
730 : 회전축 740 : 세척브러쉬
800 : 건조부 810 : 건조컨베이어
811 : 메쉬(mesh)망 820 : 모터
830 : 건조용 가이더 831 : 보조가이더
840 : 이송컨베이어 841 : 모터
850 : 회전판 851 : 모터
860 : 고정블럭 900 : 공급기
910 : 호퍼 911 : 덮개
920 : 스크류컨베이어
Claims (3)
- 쌀과 밥을 모두 누룽지 재료로 사용하고 누룽지 재료를 다양한 두께로 펼쳐 누룽지를 제조할 수 있는 성형판을 구비한 누룽지 제조용 성형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너가 구비되는 베이스프레임; 누룽지 재료가 공급되는 하판과, 하판을 덮는 상판으로 구비되어 베이스프레임에서 이동되면서 가열되는 성형판; 및 베이스프레임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어 성형판의 하판에 공급된 누룽지 재료를 다양한 두께로 펼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펼침장치를 갖는 펼침부;를 포함하되,
펼침장치는, 베이스프레임에 구비되는 지지판에 고정되는 하부 부싱; 하부 부싱에 나사 결합되어 구비되는 상부 부싱; 상부 부싱에 관통 결합되어 상대 회전은 가능하고 축방향으로는 분리 불가한 상태로 구비되는 회전축; 및 회전축에 구비되어 회전축에 의해 회전되면서 성형판의 하판에 공급된 누룽지 재료를 펼치는 펼침날개;를 포함하여, 하부 부싱에서 상부 부싱을 체결 또는 풀림 방향으로 회전시켜 회전축의 펼침날개의 높이를 미세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펼침장치에는 펼침장치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조정수단이 구비되되, 조정수단은, 베이스프레임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지지프레임; 지지프레임에 관통 결합되어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한편 그 일측에 지지판이 고정되게 구비되는 승강프레임; 및 지지프레임에 구비되어 승강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를 포함하여, 승강프레임이 승강됨에 따라 지지판의 높이가 조정되어 펼침장치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펼침날개 상부의 회전축에 공회전되게 결합되어 성형판의 하판 위로 공급된 누룽지 재료를 감싸 수용하는 성형가이더가 구비되어, 누룽지 재료의 펼침시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고,
지지판에 고정되게 구비되어 상부 부싱의 높이를 측정하여 펼침날개의 높이를 나타내는 다이얼 게이지를 더 포함하는 성형판을 구비한 누룽지 제조용 성형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성형판에 구비되는 누룽지 재료에 따라 가열되는 성형판을 선택적으로 반전시켜 누룽지를 성형하는 반전부를 더 포함하고,
반전부는, 베이스프레임에서 이송되어 오는 성형판을 잡는 그립퍼; 그립퍼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블럭; 승강블럭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 및 승강실린더를 수평 이동시키는 이동실린더;를 포함하는 성형판을 구비한 누룽지 제조용 성형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그립퍼는 성형판에 구비된 누룽지 재료가 밥인 경우에만 승강블럭에서 180도로 반전되어 구비되고,
베이스프레임에 왕복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송블럭; 및 이송블럭에 돌출 형성되어 그립퍼에 의해 이동된 성형판을 베이스프레임 상으로 이송시키는 돌출블럭;을 포함하는 한편, 성형판과 접하는 돌출블럭에는 패드부재가 더 구비되는 성형판을 구비한 누룽지 제조용 성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5936A KR101999310B1 (ko) | 2017-11-21 | 2017-11-21 | 성형판을 구비한 누룽지 제조용 성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5936A KR101999310B1 (ko) | 2017-11-21 | 2017-11-21 | 성형판을 구비한 누룽지 제조용 성형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58184A true KR20190058184A (ko) | 2019-05-29 |
KR101999310B1 KR101999310B1 (ko) | 2019-07-12 |
Family
ID=66673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55936A KR101999310B1 (ko) | 2017-11-21 | 2017-11-21 | 성형판을 구비한 누룽지 제조용 성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99310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90909B1 (ko) * | 2019-10-28 | 2020-03-18 | 윤명숙 | 누룽지 제조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43315B1 (ko) * | 2020-03-03 | 2020-08-10 | 양재원 | 가압성형장치를 구비한 누룽지 연속 제조 장치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128902U (ko) * | 1989-03-29 | 1990-10-24 | ||
KR20100004824A (ko) | 2008-07-04 | 2010-01-13 | 서정일 | 재료 전개장치를 구비하는 누룽지 제조 장치 |
KR101182073B1 (ko) | 2012-03-05 | 2012-09-11 | 조성미 | 누룽지 제조장치 |
KR101227695B1 (ko) * | 2010-01-07 | 2013-01-29 | 이낙수 | 곡물 뻥튀기장치 |
KR20150081780A (ko) * | 2014-01-07 | 2015-07-15 | 윤지용 | 누룽지 제조 장치 |
-
2017
- 2017-11-21 KR KR1020170155936A patent/KR10199931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128902U (ko) * | 1989-03-29 | 1990-10-24 | ||
KR20100004824A (ko) | 2008-07-04 | 2010-01-13 | 서정일 | 재료 전개장치를 구비하는 누룽지 제조 장치 |
KR101227695B1 (ko) * | 2010-01-07 | 2013-01-29 | 이낙수 | 곡물 뻥튀기장치 |
KR101182073B1 (ko) | 2012-03-05 | 2012-09-11 | 조성미 | 누룽지 제조장치 |
KR20150081780A (ko) * | 2014-01-07 | 2015-07-15 | 윤지용 | 누룽지 제조 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90909B1 (ko) * | 2019-10-28 | 2020-03-18 | 윤명숙 | 누룽지 제조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99310B1 (ko) | 2019-07-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57015B1 (ko) | 누룽지 제조장치 | |
KR101979828B1 (ko) | 누룽지 제조용 성형판 반전장치 | |
KR101926542B1 (ko) | 누룽지 제조용 반전장치 | |
KR101999310B1 (ko) | 성형판을 구비한 누룽지 제조용 성형장치 | |
KR101926545B1 (ko) | 누룽지 제조용 성형장치 | |
US8764367B2 (en) | Separator for articles of laundry | |
JP2019022490A (ja) | 生地片巻き上げ装置及び生地片巻き上げ装置を備えた巻き上げ生地整形装置 | |
KR20140109598A (ko) | 커피 원두 로스팅 드럼과 이를 가지는 로스팅 장치 | |
KR20210070479A (ko) | 컨베이어형 식품 제조장치 | |
CN111035199B (zh) | 一种保健枕用菊花填料的加工方法 | |
CN111121413B (zh) | 用于保健枕菊花填料加工的加工系统 | |
KR102073524B1 (ko) | 자동 떡 성형장치 | |
JP2007124921A (ja) | 製茶揉乾ライン並びにその運転制御方法 | |
CN202536014U (zh) | 一种毛峰茶烘制机 | |
CN209345960U (zh) | 一种多层网链式茶叶烘干机 | |
KR20230171682A (ko) | 누룽지 제조 장치 | |
EP1745903B1 (en) | Apparatus for dry application of decorations on articles | |
CN211932381U (zh) | 一种炒干机及茶叶炒干设备 | |
CN205727906U (zh) | 一种自动化的制茶生产线 | |
KR101810866B1 (ko) | 건조 낟알 수거장치가 구비된 올벼쌀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올벼쌀 건조시스템 | |
CN208657844U (zh) | 一种杀青理条一体机 | |
CN113944022B (zh) | 全自动毛巾定型整烫机 | |
JP3459920B2 (ja) | 車麩製造装置 | |
CN211657369U (zh) | 一种烟草烘干装置 | |
JP5031484B2 (ja) | パン焼成用天板に対するパン生地供給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