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6793A - 와이어 고정 구조를 갖는 리어 홀더 - Google Patents

와이어 고정 구조를 갖는 리어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6793A
KR20190056793A KR1020170154098A KR20170154098A KR20190056793A KR 20190056793 A KR20190056793 A KR 20190056793A KR 1020170154098 A KR1020170154098 A KR 1020170154098A KR 20170154098 A KR20170154098 A KR 20170154098A KR 20190056793 A KR20190056793 A KR 20190056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eating
fixed
holde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4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3673B1 (ko
Inventor
오훈희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4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3673B1/ko
Publication of KR20190056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6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3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3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 고정 구조를 갖는 리어 홀더를 제공한다. 상기 와이어 고정 구조를 갖는 리어 홀더는 홀더 몸체부와; 상기 홀더 몸체부에 형성되며, 와이어가 안착되는 와이어 안착부; 및 상기 와이어 안착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 안착부와 결합되어, 안착되는 상기 와이어를 고정하는 와이어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와이어 고정 구조를 갖는 리어 홀더{REAR-HOLDER}
본 발명은 와이어 고정 구조를 갖는 리어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어 손상을 방지하면서 와이어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와이어 고정 구조를 갖는 리어 홀더에 관한 것이다.
통상, 커넥터는 커넥터 하우징과 터미널로 구성되어 각종 전자기기 및 자동차 등의 전원회로 등에서 사용된다.
상기 전자기기 또는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커넥터는 복수의 부품을 개별로 조립하여 장치에 별도로 장착할 수 있는 구조로 인해, 장치 제조 및 유지 보수 작업 등을 대폭 간소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커넥터 중에서 자동차에 장착되는 고전압 커넥터의 경우 자동차의 구조에 따라 커넥터에 장착되는 와이어의 고정 위치가 달라진다.
따라서 작업자는 자동차의 사향에 따른 와이어의 고정 위치를 작업마다 재 설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자동차의 이동 과정 중에는 커넥터에 장착된 와이어의 위치가 변경되어 커넥터와 단자 사이의 접촉 불량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를 보완하고자 종래에는 커넥터의 종단부에 리어홀더를 마련하여 와이어의 위치를 고정하여 커넥터와 단자 사이의 접촉 불량을 최소화한다.
도 1은 종래의 리어 홀더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 하면, 종래의 리어 홀더는 커넥터의 종단부에 설치되는 홀더 몸체(10)를 갖는다. 상기 홀더 몸체(10)에는 와이어(W) 개수에 상응하는 와이어 홀들(20)이 관통 형성된다.
종래에는 일정의 직경을 갖는 와이어들(W)을 상기 홀더 몸체에 형성되는 각각의 와이어 홀들(20)에 끼워서 설치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와이어 홀(20)의 내경은 실질적으로 와이어의 직경보다 작은 공차를 이루어야 한다. 즉, 와이어(W)가 해당 와이어 홀(20)에 끼워지는 과정에서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상기의 구조를 사용하는 경우, 와이어(W)를 해당 와이어 홀(20)에 삽입하는 공정에 있어서는 용이할 수 있으나, 상술한 공차로 인해 삽입 후 해당 와이어(W)의 고정력이 하락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에는, 와이어(W)를 고정하는 힘이 하락되어 커넥터의 종단부에 와이어(W)의 위치가 미세하게 가변됨으로 인해 커넥터와 단자 사이에서 접촉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하여, 종래에는 와이어 홀(20)에 해당 와이어(W)를 강제로 압입하여 설치하는 경우, 와이어 피복이 와이어 홀(20)의 내주에서 과도하게 접촉 및 밀림으로 인해 피복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하여, 리어 홀더를 커넥터의 종단부로부터 분해하여 리워크 공정을 수행하는 경우에서도 와이어(W)를 와이어 홀(20)로부터 강제 이탈시킴으로써 와이어 손상 및 리워크 공정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70699호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와이어 손상을 방지하면서 와이어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와이어 고정 구조를 갖는 리어 홀더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와이어 고정 구조를 갖는 리어 홀더는, 홀더 몸체부와; 상기 홀더 몸체부에 형성되며, 와이어가 안착되는 와이어 안착부; 및 상기 와이어 안착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 안착부와 결합되어, 안착되는 상기 와이어를 고정하는 와이어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 안착부는, 상기 홀더 몸체의 양측부를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안착부 몸체를 포함한다.
상기 안착홈에는 개방 구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와이어 고정부는, 상기 개방 구간을 커버하는 고정부 몸체와, 상기 고정부 몸체의 일단과 상기 안착부 몸체의 단부를 연결하여 상기 고정부 몸체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 부재는 설정된 길이를 이루는 유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 몸체와, 상기 안착부 몸체는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착홈의 양측단에는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 몸체의 양측단에는, 상기 슬라이딩 홈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슬라이딩 레일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착부 몸체의 상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걸림턱이 형성되는 제 1걸림 몸체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 몸체의 하단 양측부에는, 상기 한 쌍의 걸림턱에 걸리는 한 쌍의 걸림홈을 갖는 제 2걸림 몸체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와이어 안착부와 상기 고정부 몸체가 서로 결합되는 상태에서, 상기 안착홈의 내주와, 상기 고정부 몸체의 내주는, 상기 와이어의 둘레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서는 와이어들을 홀더 몸체에 형성되는 안착홈들 각각에 가결합하여 1차적으로 고정하고, 홀더 몸체에 힌지 연결되는 각각의 고정부 몸체를 안착부 몸체에 슬라이딩 결합하여 안착홈들에 안착되는 와이어들을 가압하여 2차적 또는 최종적으로 고정함으로써, 와이어들의 고정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외력에 의해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들을 리어 홀더에 고정하는 작업성을 개선함과 아울러, 리워크 발생시 와이어들을 리어 홀더로부터 쉽게 이탈 가능하도록 하여 리워크 공정을 개선할 수도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도 1은 종래의 리어 홀더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와이어 고정 구조를 갖는 리어 홀더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와이어 고정 구조를 갖는 리어 홀더의 후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홀더 몸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와이어 고정부의 안착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고정부 몸체 및, 제 2걸림 몸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한 쌍의 안착홈에 와이어가 안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전면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르는 한 쌍의 안착홈에 와이어가 안착되고, 안착된 와이어가 와이어 고정부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전면부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르는 한 쌍의 안착홈에 와이어가 안착되고, 안착된 와이어가 와이어 고정부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후면부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와이어 고정 구조를 갖는 리어 홀더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와이어 고정 구조를 갖는 리어 홀더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와이어 고정 구조를 갖는 리어 홀더의 후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와이어 고정 구조를 갖는 리어 홀더는 홀더 몸체부(100)와, 와이어 안착부(200)와, 와이어 고정부(300)로 구성된다.
상기 홀더 몸체부(100)에는 상기 와이어 안착부(300)가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 안착부(300)는 상기 홀더 몸체부(100)의 전후방을 따라 설정된 길이를 이루러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와이어(W)가 안착되는 안착홈(210a)이 형성되는 안착부 몸체(2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안착부 몸체(210)에는 한 쌍의 안착홈(210a)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에 상기 안착부 몸체(210)는 1열을 이룬다.
물론, 도 2,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안착부 몸체(210)는 2열을 이루도록 홀더 몸체부(10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열의 개수는 2엘 이외 다수 열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홀더 몸체부(100)에는 모두 4개의 안착홈(210a)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210a)은 일정 반경을 갖는 내주를 형성한다. 상기 내주는 실질적으로 와이어(W)의 둘레에 접촉되는 영역이다.
여기서, 각각의 안착홈(210a)에는 개방 구간(210b)이 절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와이어(W)가 안착홈(210a)에 안착되면, 개방 구간(210b) 만큼 와이어의 일부 영역이 외부에 노출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홀더 몸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 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홀더 몸체부(100) 및 와이어 안착부(20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홀더 몸체부(100)의 상부에는 한 쌍의 안착홈(210a)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다른 한 쌍의 안착홈(210a)이 형성된다.
여기서, 해당 열에 위치되는 한 쌍의 안착홈(210a)은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안착홈(210a)에 형성되는 개방 구간(210b) 역시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안착홈(210a)을 갖는 안착부 몸체(210)의 양단은 홀더 몸체부(100)의 전후방을 따라 설정된 길이만큼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안착홈(210a) 각각은, 일정 반경을 이루는 원형의 홀로 형성되되, 상기 반경은 와이어(W)의 직경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좋다.
한편, 안착홈(210a)이 형성되는 안착부 몸체(210a)의 단부에는 길이를 갖는 슬라이딩 홈(211)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홈(211)은 안착홈(210a)의 내측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1열을 이루는 각각의 안착부 몸체(210)의 상단 양측부에는 제 1걸림 몸체(220)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 1걸림 몸체들(220) 각각은 각각의 안착홈(210a)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제 1걸림 몸체들(220) 각각의 끝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221)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 1걸림 몸체(220) 각각은, 서로 마주보며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턱(221)의 길이는, 상기 제 1걸림 몸체(220)의 끝단 길이 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와이어 고정부의 안착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고정부 몸체 및, 제 2걸림 몸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와이어 고정부(300)는 와이어 안착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 안착부(200)와 결합되어, 안착되는 와이어(W)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와이어 고정부(300)는, 상기 개방 구간(210b)을 커버하는 고정부 몸체(310)와, 상기 고정부 몸체(310)의 일단과 상기 안착부 몸체(210)의 단부를 연결하여 상기 고정부 몸체(310)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 부재(330)를 갖는다.
상기 회전 부재(330)는 설정된 길이를 이루는 유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는 와이어 고정부(300)의 구성을 1열에 배치되는 와이어 고정부를 대표적인 예로 하여 설명한다.
상기 와이어 고정부(300)는 한 쌍의 고정부 몸체(310)와, 하나의 제 2걸림 몸체(320)와, 회전 부재(330)를 갖는다.
상기 제 2걸림 몸체(320)는 판 상으로 형성되고, 그 하단 양측에는 상술한 한 쌍의 제 1걸림 몸체(220)의 끝단에 형성되는 걸림턱(221)에 걸리는 한 쌍의 걸림홈(32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턱(221)과 걸림홈(321)은 서로 단차 결합 또는 걸림이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제 2걸림 몸체(320)의 하단에는 한 쌍의 고정부 몸체(310)가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고정부 몸체(310)의 하단은 상술한 개방 구간(210b)을 커버하도록 오목한 곡률을 이루는 곡면을 형성한다.
상기 곡면의 곡률은, 상술한 안착홈(210a)의 내주 곡률과 일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고정부 몸체(310)의 하단 측부에는 상술한 슬라이딩 홈(211)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레일(311)이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레일(311)은, 상술한 1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안착부 몸체(210)에 형성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홈(211)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부재이다.
또한, 상기 제 2걸림 몸체(320)의 일단에는 상기 회전 부재(330)가 연결된다.
상기 회전 부재(330)는 유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회전 부재(330)의 일단은, 상기 제 2걸림 몸체(320)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한 쌍의 안착부 몸체(210) 또는 홀더 몸체부(100)의 후단에 연결되되, 바람직하게는, 각 안착부 몸체(210)의 안착홈(210a)에서 벗어난 영역에 위치되는 것이 좋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한 쌍의 안착홈에 와이어가 안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전면부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와이어 고정부(300)는 개방상태를 이룬다. 따라서, 각각의 안착홈(210a)은 개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각각의 와이어(W)는 해당 안착홈(210a)에 끼워져 안착될 수 있다.
각각의 와이어(W)는 해당 안착홈(210a)에 안착되는 상태에서, 개방 구간(210b)만큼 외부에 노출된다.
이에, 각각의 와이어(W)는 해당 안착홈(210a)에 안착되는 상태로, 1차 결합을 이룰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르는 한 쌍의 안착홈에 와이어가 안착되고, 안착된 와이어가 와이어 고정부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전면부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르는 한 쌍의 안착홈에 와이어가 안착되고, 안착된 와이어가 와이어 고정부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후면부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 하면, 홀더 몸체부(100)의 상부 및 하부에서 개방 상태를 이루는 각각의 와이어 고정부(300)는, 회전 부재(330)에 연결된 상태로 홀더 몸체부(100)의 전방부로 회전되어 위치될 수 있다.
이어, 각각의 와이어 고정부(300)에 구비되는 한 쌍의 고정부 몸체(310)는 한 쌍의 안착부 몸체(210)와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즉, 고정부 몸체(310)의 내측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레일(311)은 해당 안착홈(210a) 근방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311)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안착홈(210a)에 형성되는 개방 구간(210b)은 슬라이딩 결합되는 고정부 몸체(31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아울러, 각각의 안착홈(210a)에 삽입된 와이어(W)는 슬라이딩 결합되는 고정부 몸체(310)의 하단면에 의해 가압되면서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슬라이딩 결합되면서, 한 쌍의 고정부 몸체(310)의 상단에 배치되는 제 2걸림 몸체(320)의 하단 양측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턱(321)은, 한 쌍의 안착부 몸체(210)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 1걸림 몸체(220)의 한 쌍의 걸림홈(221)에 걸릴 수 있다.
상기 걸리는 위치에 따라, 슬라이딩되는 이동 거리가 한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착부 몸체(210)와 상기 고정부 몸체(310)가 서로 결합되는 상태에서, 상기 안착홈(210a)의 내주와, 상기 고정부 몸체(310)의 내주는, 상기 와이어(W)의 둘레에 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서로 결합되는 상태에서, 상기 안착홈(210a)의 내주와, 상기 고정부 몸체(310)의 내주로 인해 형성되는 중공 내경은, 와이어(W)의 외경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W)의 피복을 제외한 직경과, 상기 중공 내경은 서로 동일할 수 있고, 상기 피폭의 두께만큼 상기 중공 내경은 작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서로 결합되는 상기 안착홈(210a)의 내주와, 상기 고정부 몸체(310)의 내주로 인해 와이어(W)는 피복 두께 만큼 압착되어 효과적으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 및 작용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와이어들을 홀더 몸체에 형성되는 안착홈들 각각에 가결합하여 1차적으로 고정하고, 홀더 몸체에 힌지 연결되는 각각의 고정부 몸체를 안착부 몸체에 슬라이딩 결합하여 안착홈들에 안착되는 와이어들을 가압하여 2차적 또는 최종적으로 고정함으로써, 와이어들의 고정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외력에 의해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들을 리어 홀더에 고정하는 작업성을 개선함과 아울러, 리워크 발생시 와이어들을 리어 홀더로부터 쉽게 이탈 가능하도록 하여 리워크 공정을 개선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와이어 고정 구조를 갖는 리어 홀더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홀더 몸체부
200 : 와이어 안착부
210 : 안착부 몸체
210a : 안착홈
211 : 슬라이딩 홈
220 : 제 1걸림 몸체
221 : 걸림턱
300 : 와이어 고정부
310 : 고정부 몸체
311 : 슬라이딩 레일
320 : 제 2걸림 몸체
321 : 걸림홈
W : 와이어

Claims (7)

  1. 홀더 몸체부;
    상기 홀더 몸체부에 형성되며, 와이어가 안착되는 와이어 안착부; 및
    상기 와이어 안착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 안착부와 결합되어, 안착되는 상기 와이어를 고정하는 와이어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고정 구조를 갖는 리어 홀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안착부는,
    상기 홀더 몸체의 양측부를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안착부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안착홈에는 개방 구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고정 구조를 갖는 리어 홀더.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고정부는,
    상기 개방 구간을 커버하는 고정부 몸체와,
    상기 고정부 몸체의 일단과 상기 안착부 몸체의 단부를 연결하여 상기 고정부 몸체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 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회전 부재는 설정된 길이를 이루는 유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고정 구조를 갖는 리어 홀더.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몸체와, 상기 안착부 몸체는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고정 구조를 갖는 리어 홀더.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의 양측단에는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 몸체의 양측단에는, 상기 슬라이딩 홈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슬라이딩 레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고정 구조를 갖는 리어 홀더.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 몸체의 상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걸림턱이 형성되는 제 1걸림 몸체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 몸체의 하단 양측부에는, 상기 한 쌍의 걸림턱에 걸리는 한 쌍의 걸림홈을 갖는 제 2걸림 몸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고정 구조를 갖는 리어 홀더.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안착부와 상기 고정부 몸체가 서로 결합되는 상태에서,
    상기 안착홈의 내주와, 상기 고정부 몸체의 내주는,
    상기 와이어의 둘레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고정 구조를 갖는 리어 홀더.
KR1020170154098A 2017-11-17 2017-11-17 와이어 고정 구조를 갖는 리어 홀더 KR102003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098A KR102003673B1 (ko) 2017-11-17 2017-11-17 와이어 고정 구조를 갖는 리어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098A KR102003673B1 (ko) 2017-11-17 2017-11-17 와이어 고정 구조를 갖는 리어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793A true KR20190056793A (ko) 2019-05-27
KR102003673B1 KR102003673B1 (ko) 2019-07-25

Family

ID=66678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4098A KR102003673B1 (ko) 2017-11-17 2017-11-17 와이어 고정 구조를 갖는 리어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36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8756A (ko) * 2021-07-30 2023-02-07 주식회사 경신 전기차량용 아웃렛 충전커넥터
KR20230150158A (ko) * 2022-04-21 2023-10-30 주식회사 경신 커넥터용 와이어링 고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5751A (ja) * 2005-05-23 2007-01-11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フェライトコアホルダおよびフェライトコアホルダのケーブルコネクタへの取り付け構造
JP2015125846A (ja) * 2013-12-26 2015-07-06 矢崎総業株式会社 リアホルダ
JP2017169421A (ja) * 2016-03-18 2017-09-21 住友電装株式会社 リレーボックス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5751A (ja) * 2005-05-23 2007-01-11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フェライトコアホルダおよびフェライトコアホルダのケーブルコネクタへの取り付け構造
JP2015125846A (ja) * 2013-12-26 2015-07-06 矢崎総業株式会社 リアホルダ
JP2017169421A (ja) * 2016-03-18 2017-09-21 住友電装株式会社 リレーボックス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8756A (ko) * 2021-07-30 2023-02-07 주식회사 경신 전기차량용 아웃렛 충전커넥터
KR20230150158A (ko) * 2022-04-21 2023-10-30 주식회사 경신 커넥터용 와이어링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3673B1 (ko) 2019-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81326B2 (ja) 電気接続システムにおける接続システム
KR102003673B1 (ko) 와이어 고정 구조를 갖는 리어 홀더
KR100895547B1 (ko) 커넥터 요소를 위한 고정 장치 및 상기 장치를 구비한커넥터
JP5939470B2 (ja) コネクタ
US20100050936A1 (en) Coater platter homing tool
EP0338031A1 (fr) Système de connexion d'un tube cathodique et un circuit imprimé
JP5910832B2 (ja) ケーブル保持装置
KR100535059B1 (ko) 차량용 크로스바어셈블리 장착구조
CA1259589A (en) Lamp fixture for illuminating interior of cigar lighter socket
JPH11135191A (ja) グロメット用埋め栓
KR20180011034A (ko) 커넥터
JPH0395874A (ja) ケーブル導体用コネクタ
US9634442B2 (en) System of plug connectors fixed on mounting rails
JP4788626B2 (ja) ランプソケット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照明器具
KR100315144B1 (ko) 관체 고정장치
US11296438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a terminal-less connection system
KR20120014709A (ko) 커넥터조립체
KR20190081440A (ko) 호환형 밴드 케이블
KR200194083Y1 (ko) 정류자형모터의 브러시 임시고정장치
JP6406961B2 (ja) 照明ユニット係止構造
JPH09102211A (ja) 照明器具のランプ保持構造
JP3815394B2 (ja) 導体セグメント成形装置
KR200425344Y1 (ko)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액츄에이터의 fpc/ffc고정구조
JPH04274183A (ja) 信号用電灯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EP1036712A3 (de) Kabel- und Leitungsführung innerhalb von Fahrzeugteil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Kabel- und Leitungsführ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