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6563A - 리어 토션빔 부시 교환용 조립공구 - Google Patents

리어 토션빔 부시 교환용 조립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6563A
KR20190056563A KR1020170153643A KR20170153643A KR20190056563A KR 20190056563 A KR20190056563 A KR 20190056563A KR 1020170153643 A KR1020170153643 A KR 1020170153643A KR 20170153643 A KR20170153643 A KR 20170153643A KR 20190056563 A KR20190056563 A KR 20190056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
trailing arm
rotation shaft
main
main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3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8877B1 (ko
Inventor
김진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3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8877B1/ko
Publication of KR20190056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6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8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8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25B27/023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using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035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tor-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리어 토션빔 부시 교환용 조립공구는, 커플드 토션빔 액슬(CTBA) 트레일링암에 설치된 부시를 교환하는 공구로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부시의 중앙홀에 삽입되는 메인 회전축, 내측에 상기 메인 회전축의 나사산과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메인 너트, 상기 메인 회전축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동력부, 상기 메인 회전축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부시를 상기 트레일링암의 트레일링암에 삽입하거나 상기 부시를 상기 트레일링암에서 탈거하도록, 상기 메인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부시를 상기 동력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트레일링암에 고정되어 상기 메인 너트의 회전을 방지하는 부품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부품으로 구성되고, 상기 부시의 장착 및 탈거를 가이드하는 가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리어 토션빔 부시 교환용 조립공구 {ASSEMBLY TOOL FOR REPLACING BUSH FOR REAR TORSION BEAM}
본 발명은 리어 토션빔 부시 교환용 조립공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커플드 토션 빔 액슬에 장착되는 부시를 교환하기 위한 리어 토션빔 부시 교환용 조립공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커플드 토션 빔 액슬(CTBA) 방식의 서스펜션에 장착되어 있는 부시, 특히 트레일링 암에 장착된 부시에서 크랙, 이음이 발생하면 토션빔 전체를 탈거한 후 새로운 토션빔을 장착하는 방법으로 수리를 진행하였다.
그러나 토션빔 전체를 탈거, 재장착할 경우, 토션빔의 부품 단가가 높고, 교체 시간이 많이 소모되기 때문에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부시만을 교체할 수 있는 공구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부시 교체 공구는 유압실린더나 유압펌프 등을 사용하여 부시를 탈거하고 프레스 등을 사용하여 부시를 압입하였는데, 이러한 공구는 가격이 비싸고 작업 시간이 길게 소모되는 문제가 여전히 존재하였다.
따라서, 구조가 간단하여 낮은 가격으로 마련할 수 있고, 작업 과정이 간단하여 작업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새로운 작업용 공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09-0053016 A (2009.05.27)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단순하면서 사용 공정이 간단하여 빠르고 간편하게 부시만을 교체할 수 있는 리어 토션빔 부시 교환용 조립공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 토션빔 부시 교환용 조립공구는, 커플드 토션빔 액슬(CTBA) 트레일링암에 설치된 부시를 교환하는 공구로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부시의 중앙홀에 삽입되는 메인 회전축, 내측에 상기 메인 회전축의 나사산과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메인 너트, 상기 메인 회전축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동력부, 상기 메인 회전축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부시를 상기 트레일링암의 트레일링암에 삽입하거나 상기 부시를 상기 트레일링암에서 탈거하도록, 상기 메인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부시를 상기 동력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트레일링암에 고정되어 상기 메인 너트의 회전을 방지하는 부품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부품으로 구성되고, 상기 부시의 장착 및 탈거를 가이드하는 가변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변부는, 부시를 트레일링암에서 탈거하기 위한 탈거유닛과, 부시를 트레일링암에 삽입하기 위한 장착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회전축은, 상기 탈거유닛으로 구성된 가변부를 설치할 때와 상기 장착유닛으로 구성된 가변부를 설치할 때에 양단의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탈거유닛은, 상기 트레일링암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너트를 고정시키고 상기 트레일링암에서 탈거되는 부시를 수용하며 상기 메인 회전축을 정위치시키는 제1탈거어댑터와, 상기 트레일링암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부시를 상기 트레일링암 방향으로 가압하고 상기 메인 회전축을 정위치시키는 제2탈거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메인 회전축의 타단에 삽입되어 상기 제2탈거어댑터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의 외측에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유닛은, 상기 트레일링암에 설치되어 상기 부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상부지그 및 하부지그를 더 포함하며, 양단에 후크가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캡에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제1탈거어댑터에 결합되는 안전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유닛은, 상기 트레일링암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너트를 고정시키고 상기 메인 회전축을 정위치시키는 제1장착어댑터와, 상기 트레일링암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부시를 상기 트레일링암 방향으로 가압하고 상기 메인 회전축을 정위치시키는 제2장착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메인 회전축의 타단에 삽입되어 상기 제2장착어댑터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의 외측에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유닛은, 상기 트레일링암에 설치되어 상기 부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상부지그 및 하부지그와, 상기 상부지그 및 상기 하부지그에 결합되는 부시지지대를 더 포함하며, 양단에 후크가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캡에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트레일링암의 둘레를 감싼 후 중앙부에 결합되는 안전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회전축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가변부를 고정시키는 더블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리어 토션빔 부시 교환용 조립공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토션빔의 탈거 없이 부시만을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공정시간 및 공정비용이 감소한다.
둘째, 다양한 크기의 어댑터를 사용함으로써 여러 종류의 차량에 적용 가능하다.
셋째, 탈거와 장착을 일련의 과정을 통해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공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어 토션빔 부시 교환용 조립공구에 탈거유닛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어 토션빔 부시 교환용 조립공구에 장착유닛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 및 도 4는 탈거유닛을 포함한 조립공구의 각 부품 및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 사진,
도 5 및 도 6은 조립유닛을 포함한 조립공구의 각 부품 및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 사진,
도 7은 부시를 탈거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부시를 장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리어 토션빔 부시 교환용 조립공구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조립공구에 탈거유닛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조립공구에 장착유닛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탈거유닛을 포함한 조립공구의 각 부품 및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5 및 도 6은 조립유닛을 포함한 조립공구의 각 부품 및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공구는 크게 메인 회전축(110), 메인 너트(120), 동력부(200), 가압부(300) 및 가변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중에서 가변부(400)는 또한 탈거유닛(410) 및 장착유닛(420)으로 구분될 수 있고, 적용되는 차종에 따라 일부 부품을 교체할 수 있다.
메인 회전축(110)은 부시(30)의 중앙홀에 삽입되는 봉 형상의 구성으로서, 외주면에는 나사산(111)이 형성되어 있어 이 나사산(111)에 메인 너트(120)가 체결되게 된다. 메인 너트(120)의 위치를 고정시킨 상태로 메인 회전축(110)을 회전시키면, 메인 회전축(110)이 메인 너트(120)의 위치를 중심으로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일종의 스크류잭과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다.
동력부(200)는 메인 회전축(110)의 일단에 결합되어 메인 회전축(110)을 회전시키는 구성으로서, 예를 들어 에어 임팩트 렌치 등의 공압 장비를 사용하거나, 인력으로 렌치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가압부(300)는 메인 회전축(110)의 타단에 결합되어 부시(30)에 접하는 구성으로서, 메인 회전축(110)이 회전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하면 이에 따라 가압부(300)가 부시(30)를 동력부(200) 방향으로 가압하여, 트레일링암(10)으로부터 부시(30)를 탈거하거나 트레일링암(10)에 부시(30)를 장착할 수 있다.
가변부(400)는 크게 탈거유닛(410) 및 장착유닛(420)으로 구분할 수 있다. 탈거유닛(410)은 부시(30)를 트레일링암(10)으로부터 탈거할 때 조립되는 구성이고, 장착유닛(420)은 부시(30)를 트레일링암(10)에 삽입할 때 조립되는 구성으로서, 이를 선택적으로 조립함으로써 부시(30)의 탈거 및 설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메인 회전축(110)은, 장착유닛(420)을 설치할 때와 탈거유닛(410)을 설치할 때에 양단의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이에 대해서는 실제 장착유닛(420) 및 탈거유닛(410)에 대해 설명하면서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부시(30)를 트레일링암(10)에서 탈거하거나 장착하는 실제 실시예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1) 탈거 과정
부시(30)를 트레일링암(10)에서 탈거하기 위한 제1실시예는 가변부(400)로서 탈거유닛(410)을 사용하여 조립공구를 구성해야 한다.
즉,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회전축(110), 메인 너트(120), 가압부(300), 탈거유닛(410), 더블너트(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중에서 가압부(300)는 베어링(310), 베어링 와셔(311), 캡(320)을 포함하고, 탈거유닛(410)은 제1탈거어댑터(411), 제2탈거어댑터(412), 상부지그(431), 하부지그(4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지그(431) 및 하부지그(432)는 서로 결합되어 둥근 내경을 이루는 구성으로서,트레일링암(10)에 부시(30)를 장착시키기 위한 파이프(20)의 외측에 고정된다. 상부지그(431)와 하부지그(432)는 지그볼트(434)에 의해 고정될 수 있고, 차종에 따라 파이프(20)의 크기가 작을 경우에는 보조지그(433)를 하부지그(432)에 설치하여 상부지그(431) 및 하부지그(432)가 이루는 내경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부지그(431)와 하부지그(432)는 고정되어 있는 트레일링암(10)에 의해 지지되므로, 메인 회전축(110)을 비롯하여 메인 회전축(110) 상에 설치되는 가압부(300) 및 탈거유닛(410)의 일부 부품들이 이동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제1탈거어댑터(411)는 C자 또는 U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는 구성으로서, 그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을 메인 회전축(110)이 관통하게 된다. 또한, 메인 너트(120)가 제1탈거어댑터(411)에 체결되어 고정됨으로써, 메인 회전축(110)이 회전할 때 제1탈거어댑터(411)가 고정되어 있다면 메인 회전축(110)이 스크류잭과 같이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1탈거어댑터(411)의 양단은 상부지그(431) 및 하부지그(432)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홈에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탈거어댑터(411)와 상부지그(431) 및 하부지그(432)를 직접 체결시킬 수도 있지만, 직접적인 체결수단이 없더라도 메인 회전축(110)의 타측에 설치되는 다른 구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구성들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메인 회전축(110) 및 메인 너트(120)와 제1탈거어댑터(411)를 결합시킨 후, 메인 회전축(110)을 파이프(20)에 장착되어 있는 부시(30)의 중앙홀에 통과시키게 된다. 이때, 부시(30)가 이탈되는 일측 방향에 제1탈거어댑터(411)가 위치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메인 회전축(110)이 중앙홀을 통과하여 부시(30)의 타측 방향으로 돌출되면, 여기에 제2탈거어댑터(412)를 삽입하여 부시(30)의 타측 면에 접하도록 한다. 제2탈거어댑터(412)는 메인 회전축(110)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직접적으로 부시(30)를 가압하게 되는 구성으로서, 트레일링암(10)의 파이프(2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부시(30)의 타측 면에 하중을 고르게 전달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어링(310)은 메인 회전축(110)에 삽입되어 제2탈거어댑터(412)에 접하는 구성으로서, 메인 회전축(110)이 회전할 때 그 외측면에 회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베어링(310)의 외철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후술할 캡(320)이 설치된다.
베어링(310)이 설치된 이후, 메인 회전축(110)의 타단을 고정시키기 위해 더블너트(140)가 설치된다. 더블너트(140)는 한 쌍의 너트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조인 것으로서, 메인 회전축(110)의 회전 및 진동에 의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캡(320)은 베어링(310)의 외철 외주면에 체결되어 메인 회전축(110)의 타단을 보호하기 위한 구성이다.
안전와이어(500)는 캡(320)과 제1탈거어댑터(411) 사이를 연결하여 캡(320)의 비정상적인 회전을 막기 위한 구성이다. 캡(320)과 제1탈거어댑터(411)에는 각각 체결고리가 형성되어 있는데, 안전와이어(50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후크를 이 체결고리에 걸어 고정시키게 된다.
이렇게 조립공구를 구성한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200)를 작동시키면 메인 회전축(110)이 랙기어 형식으로 이동하면서 제2탈거어댑터(412)가 부시(30)를 가압함으로써, 부시(30)가 파이프(20)로부터 이탈되어 제1탈거어댑터(411)에 수용되게 된다.
2) 장착 과정
부시(30)를 트레일링암(10)에 장착하기 위한 제2실시예는 가변부(400)로서 장착유닛(420)을 사용하여 조립공구를 구성해야 한다.
즉, 도 2,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회전축(110), 메인 너트(120), 가압부(300), 탈거유닛(410), 더블너트(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중에서 가압부(300)는 베어링(310), 베어링 와셔(311), 캡(320)을 포함하고, 탈거유닛(410)은 제1장착어댑터(421), 제2장착어댑터(422), 상부지그(431), 하부지그(432), 부시지지대(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메인 회전축(110), 메인 너트(120), 가압부(300) 및 더블너트(140)의 형상이나 설치 방법은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상부지그(431) 및 하부지그(432)는 탈거 과정에서 파이프(20)의 일측에 설치된 상태로 그대로 유지하거나, 조립공구를 이용하여 탈거하지 않았을 경우 새롭게 파이프(20)의 일측에 설치할 수 있다.
제1장착어댑터(421)는 일측 입구가 타측 입구보다 넓은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장착어댑터(421) 일측 입구의 내측면은 파이프(20)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타측 입구의 내측면은 메인 너트(120)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장착어댑터(421)의 타측 방향으로 메인 회전축(110)을 삽입하여 메인 너트(120)를 제1장착어댑터(421)의 타측 방향에 고정시킨 후, 제1장착어댑터(421)를 파이프(20)에 결합시키면서 메인 회전축(110)을 파이프(20) 내부로 통과시키게 된다. 이때, 부시(30)가 삽입되는 반대 방향인 파이프(20)의 타측에 제1장착어댑터(421)를 설치해야 한다.
부시지지대(440)는 결합시 파이프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호 형상의 구성으로써, 상부지그(431) 및 하부지그(432)에 하나씩 결합되어 부시(30)가 파이프(20)에 삽입되는 경로를 가이드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우선 하부지그(432)에 부시지지대(440)를 결합하여 부시(30)를 그 위에 적재한 후, 상부지그(431)에 부시지지대(440)를 결합하여 부시(30)를 둥글게 감싸게 된다.
파이프(20)의 타측으로부터 삽입된 메인 회전축(110)은 부시지지대(440)에 적재되어 있는 부시(30)의 중앙홀에 삽입되고, 부시(30)를 통과하여 돌출된 메인 회전축(110)에 제2장착어댑터(422)를 설치하게 된다.
제2장착어댑터(422)는 메인 회전축(110)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직접적으로 부시(30)를 가압하게 되는 구성으로서, 트레일링암(10)의 파이프(2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부시(30)의 일측 면에 하중을 고르게 전달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장착어댑터(422)를 설치한 이후에는 제1실시예와 같이 베어링(310) 및 캡(320)을 설치한 후, 안전와이어(500)의 일단에 설치된 후크를 캡(320)에 고정하고, 타단에 설치된 후크는 트레일링암(10)의 둘레를 감싼 후 안전와이어(500)의 중앙부에 체결하여 캡(320)의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부시(30)를 금속 재질의 외철을 갖는 타입을 사용할 경우, 장착시 상부지그(431), 하부지그(432) 및 부시지지대(440)를 생략하고 장착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부시(30)를 파이프(20)의 단부에 걸쳐놓은 후, 메인 회전축(110)을 부시(30)의 중앙홀에 통과시키고 제2장착어댑터(422)를 설치하게 된다. 제2장착어댑터(422)를 설치한 이후의 설치 부품이나 설치 방법 등은 상부지그(431), 하부지그(432) 및 부시지지대(440)를 설치했을 경우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렇게 조립공구를 구성한 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200)를 작동시키면 메인 회전축(110)이 랙기어 형식으로 이동하면서 제2장착어댑터(412)가 부시(30)를 가압함으로써, 부시(30)가 파이프(20)에 압입되게 된다.
제2탈거어댑터(412), 제1장착어댑터(421), 제2장착어댑터(422) 및 부시지지대(440)는 적용되는 차종에 따라 달라지는 부시(30)의 사이즈에 대응할 수 있도록 여러 종류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탈거 이후 장착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경우, 탈거 과정에서 설치한 상부지그(431) 및 하부지그(432)를 해체하지 않고 이를 이용하여 장착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공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경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토션빔 10: 트레일링암
20: 파이프 30: 부시
110: 메인 회전축 111: 나사산
120: 메인 너트 130: 소켓
140: 더블너트 200: 동력부
300: 가압부 400: 가변부

Claims (7)

  1. 커플드 토션빔 액슬(CTBA) 트레일링암에 설치된 부시를 교환하는 공구로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부시의 중앙홀에 삽입되는 메인 회전축;
    내측에 상기 메인 회전축의 나사산과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메인 너트;
    상기 메인 회전축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동력부;
    상기 메인 회전축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부시를 상기 트레일링암의 트레일링암에 삽입하거나 상기 부시를 상기 트레일링암에서 탈거하도록, 상기 메인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부시를 상기 동력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트레일링암에 고정되어 상기 메인 너트의 회전을 방지하는 부품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부품으로 구성되고, 상기 부시의 장착 및 탈거를 가이드하는 가변부;를 포함하는, 리어 토션빔 부시 교환용 조립공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는, 부시를 트레일링암에서 탈거하기 위한 탈거유닛과, 부시를 트레일링암에 삽입하기 위한 장착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탈거유닛 및 상기 장착유닛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며,
    상기 메인 회전축은, 상기 탈거유닛을 사용할 때와 상기 장착유닛을 사용할 때에 양단의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토션빔 부시 교환용 조립공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탈거유닛은, 상기 트레일링암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너트를 고정시키고 상기 트레일링암에서 탈거되는 부시를 수용하며 상기 메인 회전축을 정위치시키는 제1탈거어댑터와, 상기 트레일링암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부시를 상기 트레일링암 방향으로 가압하고 상기 메인 회전축을 정위치시키는 제2탈거어댑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토션빔 부시 교환용 조립공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메인 회전축의 타단에 삽입되어 상기 제2탈거어댑터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의 외측에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탈거유닛은, 상기 트레일링암에 설치되어 상기 부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상부지그 및 하부지그를 더 포함하며,
    양단에 후크가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캡에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제1탈거어댑터에 결합되는 안전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토션빔 부시 교환용 조립공구.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장착유닛은, 상기 트레일링암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너트를 고정시키고 상기 메인 회전축을 정위치시키는 제1장착어댑터와, 상기 트레일링암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부시를 상기 트레일링암 방향으로 가압하고 상기 메인 회전축을 정위치시키는 제2장착어댑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토션빔 부시 교환용 조립공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메인 회전축의 타단에 삽입되어 상기 제2장착어댑터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의 외측에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유닛은, 상기 트레일링암에 설치되어 상기 부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상부지그 및 하부지그와, 상기 상부지그 및 상기 하부지그에 결합되는 부시지지대를 더 포함하며,
    양단에 후크가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캡에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트레일링암의 둘레를 감싼 후 중앙부에 결합되는 안전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토션빔 부시 교환용 조립공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회전축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가변부를 고정시키는 더블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토션빔 부시 교환용 조립공구.
KR1020170153643A 2017-11-17 2017-11-17 리어 토션빔 부시 교환용 조립공구 KR102398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643A KR102398877B1 (ko) 2017-11-17 2017-11-17 리어 토션빔 부시 교환용 조립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643A KR102398877B1 (ko) 2017-11-17 2017-11-17 리어 토션빔 부시 교환용 조립공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563A true KR20190056563A (ko) 2019-05-27
KR102398877B1 KR102398877B1 (ko) 2022-05-18

Family

ID=66679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3643A KR102398877B1 (ko) 2017-11-17 2017-11-17 리어 토션빔 부시 교환용 조립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88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76051A (zh) * 2020-02-20 2021-08-20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更换下臂的衬套的组装工具
CN114227609A (zh) * 2021-11-18 2022-03-25 上海沪东造船油嘴油泵有限公司 一种燃油柱塞与帽盖的装配工具及装配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4272U (ja) * 1993-03-31 1994-10-21 日産車体株式会社 圧入物交換器
KR20090053016A (ko) 2007-11-22 2009-05-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서브프레임 마운팅 부시 교환용 공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4272U (ja) * 1993-03-31 1994-10-21 日産車体株式会社 圧入物交換器
KR20090053016A (ko) 2007-11-22 2009-05-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서브프레임 마운팅 부시 교환용 공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76051A (zh) * 2020-02-20 2021-08-20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更换下臂的衬套的组装工具
CN114227609A (zh) * 2021-11-18 2022-03-25 上海沪东造船油嘴油泵有限公司 一种燃油柱塞与帽盖的装配工具及装配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8877B1 (ko) 2022-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81368B2 (en) Suspension bushing service tool and method of use
KR20190056563A (ko) 리어 토션빔 부시 교환용 조립공구
US20200376637A1 (en) Wheel Hub Bearing Extraction Tool
WO2017076339A1 (zh) 杠杆机构以及包括其的制动夹钳装置
US7578763B2 (en) Drive shaft reduction gear
CN108025409B (zh) 用于旋转梁的驱动装置
EP2335860B1 (en) Means, i.e. welding gun, for sandwiching an object with bearing installation structure and method of installing such bearing structure in such means
EP3738192B1 (en) In-wheel electric motor maintenance integration
JP2017044332A5 (ko)
JP6530692B2 (ja) 砥石車固定装置及び砥石車の脱着方法
EP3323552A1 (en) Improved dismounting tool
KR20210106599A (ko) 로어암 부시 교환용 조립공구
CN114076154A (zh) 夹紧套环
CN113580064A (zh) 一种变速器油封无损拆卸装置及使用方法
CN209755055U (zh) 用于制动卡钳活塞的拆装工具
JP6622331B2 (ja) 治具及び組立方法
KR20110127952A (ko) 자동차용 코너모듈
CN105290440A (zh) 大型屏蔽电机屏蔽套车胎装置
CN219925958U (zh) 轴体拆卸的装置
CN214564348U (zh) 一种汽车维修轮胎更换装置
CN213322518U (zh) 一种从动轴传动装置
CN220923709U (zh) 一种全地形车用后轮轴
CN220178612U (zh) 螺钉拆装工具、螺帽拆装工具和螺钉及螺帽拆装工具组件
CN211517297U (zh) 一种差速器主减齿轮螺栓拧紧工装
CN210550944U (zh) 一种电动机卡簧拆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