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5942A - 생선 비린내 제거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생선 비린내 제거용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55942A KR20190055942A KR1020170152817A KR20170152817A KR20190055942A KR 20190055942 A KR20190055942 A KR 20190055942A KR 1020170152817 A KR1020170152817 A KR 1020170152817A KR 20170152817 A KR20170152817 A KR 20170152817A KR 20190055942 A KR20190055942 A KR 2019005594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sh
- composition
- present
- water
- fishy smell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9000002781 deodorant agen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7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0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KRKNYBCHXYNGOX-UHFFFAOYSA-N citr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O)(C(O)=O)CC(O)=O KRKNYBCHXYNGOX-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8
- JEBFVOLFMLUKLF-IFPLVEIFSA-N Astaxanthin Natural products CC(=C/C=C/C(=C/C=C/C1=C(C)C(=O)C(O)CC1(C)C)/C)C=CC=C(/C)C=CC=C(/C)C=CC2=C(C)C(=O)C(O)CC2(C)C JEBFVOLFMLUKLF-IFPLVEIFSA-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5000013793 astaxanthin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1168 astaxanth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29940022405 astaxanthin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0052 vinega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5000021419 vinega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MQZIGYBFDRPAKN-ZWAPEEGVSA-N astaxanthin Chemical compound C([C@H](O)C(=O)C=1C)C(C)(C)C=1/C=C/C(/C)=C/C=C/C(/C)=C/C=C/C=C(C)C=CC=C(C)C=CC1=C(C)C(=O)[C@@H](O)CC1(C)C MQZIGYBFDRPAKN-ZWAPEEGVSA-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09569 green te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44000291564 Allium cep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02732 Allium cepa var. cep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1661 Chitosa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0858 Cyclodextr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4000273928 Zingiber officinal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06886 Zingiber officinal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08397 ginge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HFHDHCJBZVLPGP-UHFFFAOYSA-N schardinger α-dextrin Chemical compound O1C(C(C2O)O)C(CO)OC2OC(C(C2O)O)C(CO)OC2OC(C(C2O)O)C(CO)OC2OC(C(O)C2O)C(CO)OC2OC(C(C2O)O)C(CO)OC2OC2C(O)C(O)C1OC2CO HFHDHCJBZVLPG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0000006914 Aspalathus linear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4000163122 Curcuma domestic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40065115 grapefruit extract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40094952 green tea extract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20688 green tea extract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2209 hydrophob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03261 Artemisia vulgar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2984 Aspalathus linear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5165 citric aci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9441 ethanol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20330 rooibos te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02639 sodium chlorid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07516 Chrysanthem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4000189548 Chrysanthemum x morifoli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03392 Curcuma domestic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03373 curcuma long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RYYKJJJTJZKILX-UHFFFAOYSA-M sodium octadecanoate Chemical compound [Na+].CCCCCCCCCCCCCCCCCC([O-])=O RYYKJJJTJZKILX-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3976 turmeric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0000006891 Artemisia vulgaris Species 0.000 claims 1
- 240000006927 Foeniculum vulgare Species 0.000 claims 1
- 235000004204 Foeniculum vulgare Nutrition 0.000 claims 1
- 241000219995 Wisteria Species 0.000 claims 1
- 235000013616 tea Nutrition 0.000 claims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2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5000006708 antioxidant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5000019688 f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92
- GETQZCLCWQTVFV-UHFFFAOYSA-N trimethylamine Chemical compound CN(C)C GETQZCLCWQTVF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8
- NTYJJOPFIAHURM-UHFFFAOYSA-N Histamine Chemical compound NCCC1=CN=CN1 NTYJJOPFIAHUR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0
- 241000269821 Scombr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9
- 235000020640 mackere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8
- 241001149724 Cololabis adoce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5
- 229960001340 histamine Drugs 0.000 description 15
- 210000000936 intestine Anatomy 0.000 description 15
- MHAJPDPJQMAIIY-UHFFFAOYSA-N Hydrogen peroxide Chemical compound OO MHAJPDPJQMAII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UYPYRKYUKCHHIB-UHFFFAOYSA-N trimethylamine N-oxide Chemical compound C[N+](C)(C)[O-] UYPYRKYUKCHHI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332 deod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CIWBSHSKHKDKBQ-JLAZNSOCSA-N Ascorb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O)[C@H]1OC(=O)C(O)=C1O CIWBSHSKHKDKBQ-JLAZNSOCSA-N 0.000 description 4
- 235000008331 Pinus X rigitaeda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1613 Pinus brut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41000018646 Pinus bruti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931 harmfu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44000179886 Moringa oleifer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1347 Moringa oleife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518 caustic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68 intesti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2680 lute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656 lute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60005375 lutein Drugs 0.000 description 3
- ORAKUVXRZWMARG-WZLJTJAWSA-N lutein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1=C(C)CCCC1(C)C)C=CC=C(/C)C=CC2C(=CC(O)CC2(C)C)C ORAKUVXRZWMARG-WZLJTJAW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KBPHJBAIARWVSC-XQIHNALSSA-N trans-lutein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1=C(C)CC(O)CC1(C)C)C=CC=C(/C)C=CC2C(=CC(O)CC2(C)C)C KBPHJBAIARWVSC-XQIHNALS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FJHBOVDFOQMZRV-XQIHNALSSA-N xanthophyll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1=C(C)CC(O)CC1(C)C)C=CC=C(/C)C=CC2C=C(C)C(O)CC2(C)C FJHBOVDFOQMZRV-XQIHNALSSA-N 0.000 description 3
- GVJHHUAWPYXKBD-UHFFFAOYSA-N (±)-α-Tocopherol Chemical compound OC1=C(C)C(C)=C2OC(CCCC(C)CCCC(C)CCCC(C)C)(C)CCC2=C1C GVJHHUAWPYXKB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CSCPPACGZOOCGX-UHFFFAOYSA-N Acetone Chemical compound CC(C)=O CSCPPACGZOOCG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QGZKDVFQNNGYKY-UHFFFAOYSA-N Ammonia Chemical compound N QGZKDVFQNNGY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269837 Artemisia dub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03210 Arterioscle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4160 Capsicum annu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534 Capsicum annuum var annu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7862 Capsicum bacca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ACTIUHUUMQJHFO-UHFFFAOYSA-N Coenzym Q10 Natural products COC1=C(OC)C(=O)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1=O ACTIUHUUMQJHF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624562 Cololabis sair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375 Curcum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ZZZCUOFIHGPKAK-UHFFFAOYSA-N D-erythro-ascorbic acid Natural products OCC1OC(=O)C(O)=C1O ZZZCUOFIHGPKA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KRHYYFGTRYWZRS-UHFFFAOYSA-N Fluorane Chemical compound F KRHYYFGTRYWZR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BAVYZALUXZFZLV-UHFFFAOYSA-N Methylamine Chemical compound NC BAVYZALUXZFZL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30003268 Vitamin C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1775 arteriosclerosi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149 assay ki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728 capsicum frutescen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7471 coenzyme Q10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40110767 coenzyme Q10 Drugs 0.000 description 2
- ACTIUHUUMQJHFO-UPTCCGCDSA-N coenzyme Q10 Chemical compound COC1=C(OC)C(=O)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1=O ACTIUHUUMQJHFO-UPTCCGCD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2601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113 dietary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30195729 fatty ac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94 fatty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4665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76 functional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411851 herbal medicin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87 intox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566 intoxication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0000029226 lip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632 lip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102 sea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95 synerg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154 vitamin C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18 vitamin 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PFTAWBLQPZVEMU-DZGCQCFKSA-N (+)-catechin Chemical compound C1([C@H]2OC3=CC(O)=CC(O)=C3C[C@@H]2O)=CC=C(O)C(O)=C1 PFTAWBLQPZVEMU-DZGCQCFKSA-N 0.000 description 1
- NWUYHJFMYQTDRP-UHFFFAOYSA-N 1,2-bis(ethenyl)benzene;1-ethenyl-2-ethylbenzene;styrene Chemical compound C=CC1=CC=CC=C1.CCC1=CC=CC=C1C=C.C=CC1=CC=CC=C1C=C NWUYHJFMYQTD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473391 Archosargus rhomboidal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3645 Atop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972773 Aulopiform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149 Brassica rapa subsp chinens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0536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499436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52229 Carassius aura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38424 Crustac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36160 Cynoscion regal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52233 Cyprinus carpi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289 Dement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4624 Derma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KCXVZYZYPLLWCC-UHFFFAOYSA-N EDTA Chemical compound OC(=O)CN(CC(O)=O)CCN(CC(O)=O)CC(O)=O KCXVZYZYPLLWC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33 Fish me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7882 Gastr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68517 Haematococcus lacust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0772 Hyper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1218 Inflamm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310 Ion Channel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NIPNSKYNPDTRPC-UHFFFAOYSA-N N-[2-oxo-2-(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ethyl]-2-[[3-(trifluoromethoxy)phenyl]methylamino]pyrimidine-5-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O=C(CNC(=O)C=1C=NC(=NC=1)NCC1=CC(=CC=C1)OC(F)(F)F)N1CC2=C(CC1)NN=N2 NIPNSKYNPDTRP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28980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861914 Plecoglossus altivel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3251 Prur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0880 Skin irrit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02 Soft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429 Tephrosia purpur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517 Tephrosia purpur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46851 Uve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427 Vitamin 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5 absorb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577 adipose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54 agglom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OENHQHLEOONYIE-UKMVMLAPSA-N all-trans beta-carotene Natural products CC=1CCCC(C)(C)C=1/C=C/C(/C)=C/C=C/C(/C)=C/C=C/C=C(C)C=CC=C(C)C=CC1=C(C)CCCC1(C)C OENHQHLEOONYIE-UKMVMLAP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12 ami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529 ammonia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57 anion exchang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50 an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12 anti-ag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93 anti-canc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0 anti-inflamm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5 anti-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80 anti-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3246 arthr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MQZIGYBFDRPAKN-UWFIBFSHSA-N astaxanthin Chemical compound C([C@H](O)C(=O)C=1C)C(C)(C)C=1\C=C\C(\C)=C\C=C\C(\C)=C\C=C\C=C(/C)\C=C\C=C(/C)\C=C\C1=C(C)C(=O)[C@@H](O)CC1(C)C MQZIGYBFDRPAKN-UWFIBFSH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514 astaxanthi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80 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734 beta-carote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48 beta-carot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TUPZEYHYWIEDIH-WAIFQNFQSA-N beta-caroten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1=C(C)CCCC1(C)C)C=CC=C(/C)C=CC2=CCCCC2(C)C TUPZEYHYWIEDIH-WAIFQNFQ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747 betacarote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72 blood press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124 body flui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39 body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206 bottled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466 caroteno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47 caroteno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ADRVNXBAWSRFAJ-UHFFFAOYSA-N catechin Natural products OC1Cc2cc(O)cc(O)c2OC1c3ccc(O)c(O)c3 ADRVNXBAWSRFA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487 catech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68 cat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388 chemical passiv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53 chemical reaction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50001002 cianidan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58 cul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VFLDPWHFBUODDF-FCXRPNKRSA-N curcumin Chemical compound C1=C(O)C(OC)=CC(\C=C\C(=O)CC(=O)\C=C\C=2C=C(OC)C(O)=CC=2)=C1 VFLDPWHFBUODDF-FCXRPNKR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54 depigmen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13 die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785 dietary preferen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694 eating hab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67 fishme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41 food compon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06 food intak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38 fung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WIGCFUFOHFEKBI-UHFFFAOYSA-N gamma-tocopherol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1CCC2C(C)C(O)C(C)C(C)C2O1 WIGCFUFOHFEK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497 healthy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676 herbal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216 herb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10 hollow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431 hydrogen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435 hydrogen atom Chemical group [H]*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57 ice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039 immun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54 inflamma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56 ion exchang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303 ion-exchang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803 itch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91 liquid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KBPHJBAIARWVSC-RGZFRNHPSA-N lutein Chemical compound C([C@H](O)CC=1C)C(C)(C)C=1\C=C\C(\C)=C\C=C\C(\C)=C\C=C\C=C(/C)\C=C\C=C(/C)\C=C\[C@H]1C(C)=C[C@H](O)CC1(C)C KBPHJBAIARWVSC-RGZFRNHP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73 mas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20 moistu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45 natur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14626 natural product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7464 nitrogen compoun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830 nitrogen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65 odorless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88 paraffin wa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442 polyphenol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824 polypheno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054 red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03 redu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2 regene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515 salm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56 skin irr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475 skin irritatio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464 sulfur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94 supercritical-fluid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772 system develop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85 test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331 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88 tox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65 vitamin 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46009 vitamin 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9 vitamin 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OENHQHLEOONYIE-JLTXGRSLSA-N β-Carot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C)C=1\C=C\C(\C)=C\C=C\C(\C)=C\C=C\C=C(/C)\C=C\C=C(/C)\C=C\C1=C(C)CCCC1(C)C OENHQHLEOONYIE-JLTXGRSLSA-N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0—Gas
- A23V2250/12—Hydroge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4—Water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선 비린내 제거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생선 가공처리 과정 등에서 발생하는 생선 비린내 등 각종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새로운 조성의 생선 비린내 제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생선 비린내 제거를 위하여 수소수를 함유하므로 비린내 제거 효과가 우수하고 항산화 및 항균 효과 등을 발휘하기 때문에 2차적인 잔류물 오염이 없는 고품질의 비린내 제거제로 유용하며, 액상으로 제조되어 분무, 도포, 침지 등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이 편리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생선 비린내 제거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생선 가공처리 과정 등에서 발생하는 생선 비린내 등 각종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생선 비린내 제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식생활 개선과 건강식품의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신선한 해산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신선한 해산물로 대표되는 생선은 일반 축산물 육류와는 달리 지방산 조성이 우수하여 성인병 문제와 건강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현대인에게는 우수한 보건 기능성 식품으로 각광받고 있다. 특히, 고등어 등의 등푸른 생선의 선호도가 가장 일반적으로 높지만 가공이나 음식물 조리과정에서 비린내가 심하여 실제로는 섭취를 꺼리는 경향이 있다.
또한, 생식으로 섭취하는 과메기와 같은 반건조 등푸른 생선은 장수식으로 잘 알려진 크레타(creta) 식품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과메기는 원래 비린내를 수반하면서 고소한 맛을 내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비린내로 인하여 다양한 소비자의 기능성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이로부터 소비가 저하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생선 특히, 바다생선은 신선한 경우에는 메틸아민(methylamine)에 의한 생어취가 있을 뿐 비린내가 없으나, 신선도가 저하됨에 따라 조직이 물렁물렁해지기 때문에 사후 강직 상태가 빨리 풀리고, 그 뒤 세균에 의해 부패가 시작되면서 비린내가 증가하기 시작한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바다생선의 자극적인 비린내의 원인은 트리메틸아민(trimethylamine; TMA)으로 알려져 있는데, 원래 어류의 체액 중에는 트리메틸아민 옥사이드(trimethylamine oxide; TMAO)가 존재하고 있고, 상기의 트리메틸아민 옥사이드(TMAO)는 무취이다. 그렇지만, 어류가 일단 포획된 이후 죽게 되면, 그 어류의 신선도는 저하되어지고, 그와 함께 어류의 표면에 세균이 감염되어 지게 된다. 상기의 세균은 상기 트리메틸아민 옥사이드(TMAO)를 환원시켜서 트리메틸아민(TMA)을 생성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의 트리메틸아민(TMA)이 역겨운 비린내를 가져다주는 원인물질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생선 비린내는 생선을 보관하는 과정은 물론 각종 가공처리 과정에서 작업환경을 크게 악화시키고 생선의 가공이나 섭취를 기피하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어서 이에 관한 적절한 냄새 제거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각종 악취제거 기술과 관련하여서는, 황화합물 및 질소화합물과 같은 악취성분을 포획하여 제거하는 악취제거용 소재인 DEOATEK의 소취시스템에 관한 자세한 기술적 특징과 소취기술에 관한 기술이 제안되어 있고(정갑택, “냄새 제거 기능이 뛰어난 소재의 개발”, ReSeat 모니터링 분석보고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10. 3.), 각종 탈취 소재에 관한 다양한 기술도 소개되고 있다.
그 중에서,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생선비린내의 제거방법으로는 염기성인 트리메틸아민(TMA)을 제거하기 위하여 산을 첨가하는 방법으로서, 손쉽게 주로 식초를 첨가하여 비린내를 제거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식초를 첨가하여 비린내를 제거할 경우 약한 비린내는 없앨 수 있으나, 그 비린내 제거 효과가 지속적이지 못하고, 식초 특유의 냄새로 인해 사용량이 제한적이라는 단점이 있으므로 비린내 제거효과를 충분하게 발현시킬 수가 없는 현실적인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식초 등과 같은 원인물질 제거방법은 적은 양의 트리메틸아민(TMA)의 제거에는 효과적이지만, 많은 양의 트리메틸아민(TMA)의 제거에는 그다지 효과적이지 못하며, 유통기간이 장기간 지속되는 생선의 저장 시에는 더욱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종래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0291089호는 참나물 추출물을 이용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한국공개특허 제10-2001-0099234호는 황토, 솔잎 추출물, 한약재, 허브 추출물 등을 이용한 생선 및 육류 냄새 제거 기술이 제안되어 있으며, 한국등록특허 제10-0728898호에서는 곰팡이 균주를 생선 표면에서 배양시켜서 냄새를 제거하는 방법도 제안되어 있다.
그 외에도, 각종 천연물을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24589호에서는 꾸찌뽕과 한약재를 사용하고, 각종 허브 등을 이용한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생선 및 육류의 냄새제거용 조성물들은 제거효과가 충분하지 못하고, 냄새 제거효과가 약하여 생선 가공 현장에서 적용하기에 부적합하거나 지속적인 제거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특히 냄새제거 후 지속적인 비린내 제거 효과 유지가 어려운 점이 있어서 비린내 제거용으로 사용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정갑택, "냄새 제거 기능이 뛰어난 소재의 개발", ReSeat 모니터링 분석보고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10. 3.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존에 사용되었던 성분과는 달리 탈취 효과가 매우 우수하고 유해성이 없으며, 비린내 제거 효과가 장시간 유지되도록 냄새 제거제를 고품질화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선 비린내에 대한 탈취효과가 우수하고 생선에 적용 후 지속적인 비린내 제거효과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품질의 개선된 생선 비린내 제거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에 적용된 바 없는 고기능성을 가진 수소수를 용매로 하는 새로운 조성의 고품질의 생선 비린내 제거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수소수를 포함하는 생선 비린내 제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이러한 수소수는 pH 7.2-9.5의 약알칼리 수소수 또는 pH 9.5-13.0인 강알칼리 수소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생선 비린내 제거용 조성물에는 소취성분으로 흡착, 탈취, 감취 효과 등을 가지는 녹차 분말 또는 녹차 추출물, 알코올, 구연산, 식초 및 소금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생선 비린내 제거제는 기존에 비해 우수한 기능을 가지는 수소수를 용매로 사용함으로써 비린내 제거 효과가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생선 비린내 제거용 조성물은 수소수를 용매로 사용하여 탈취성분이 혼합된 조성물이므로 수소수의 물성으로 인해 생선 가공 공정에서 비린내 제거에 적용하는 경우 수소수에 의해 용존된 수소가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 작용을 나타냄은 물론 항균효과 등의 기능성으로 인해 생선에 잔류하더라도 오히려 보관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고 건강에도 도움을 주기 때문에 2차적 문제도 발생하지 않고 장기간 냄새 제거 효과가 유지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생선 비린내 제거용 조성물은 생선 등의 가공공정에서 스프레이 방식을 이용하여 적용하더라도 그 효과가 우수하기 때문에, 그 적용이 용이하여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사용성이 우수하고, 제품화가 용이하여 실용성이 매우 우수한 고품질의 제품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나의 구현예로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생선 등의 가공공장에서 발생하는 생선 비린내와 각종 악취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개선된 생선 비린내 제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생선 비린내 등의 냄새 제거에 유용한 활성성분으로 작용함과 동시에 소취성분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상승효과가 있어서 더욱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비린내 제거용 조성물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수소수란 높은 용존량으로 수소가 용해된 물을 말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상온에서 0.2-1.6ppm의 수소가 용존된 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수소수는 용존된 수소가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 작용을 가지고 있어 노화를 방지하고 당뇨병, 고혈압, 동맥경화, 암, 치매를 예방하는데 도움을 주며, 피부미용, 다이어트, 피로회복, 면역력 강화, 피부염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수소수는 예컨대 원수에 수소 가스를 용해시켜서 얻은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수소 가스의 용해방법은 일반적으로 통 내에 중공사막을 충전한 기체 용해막을 이용하여 원수에 수소 가스를 접촉시키는 것이 용해효율이 높아 많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수소수의 제조는 예컨대 수도수를 강염기성 음이온교환수지가 충전된 탑을 통과시켜서 음이온만이 제거된 수소수로서 pH 9.5 ~ 13.0의 강염기성 수소수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이를 다시 약염기성음 이온교환수지가 충전된 탑을 통과시키면 양이온은 제거되지 않고, 추가적으로 약염기성 음이온만 제거되어 pH 7.2~9.3의 약염기성 수소수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수소수 제조를 위해서는 예컨대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108252호에서 제시된 수소수 제조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수소수는 생활환경 분야의 소비제품에 널리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바, 각종 기능성 제품으로 화장품, 노화방지, 피부회생제, 보습제, 피부미백제, 피부유연제, 스트레스 회복제 등에 활용되고 있으며, 의료제품으로는 아토피 치료, 옴이나 가려움 등 각종 피부염증 치료, 햇볕에 지나치게 노출됨으로 인한 탄 피부, 이밖에 각종 질병예방용으로도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수소수는 인체 내의 활성산소를 제거해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활성산소는 인체에 유해한 것으로서 모든 질병이 활성산소에 의해 발생되고 있다는 사실만 보더라도 수소수는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활성산소 제거를 통해 수명을 연장시키고 피부를 젊게 하며 노화도 방지할 뿐 아니라 구강악취 제거 등 여러 가지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수소수는 세척력이 뛰어나 과일을 수돗물 등으로 씻었을 경우와 수소수로 씻었을 경우, 수소수로 씻은 과일의 수명이 훨씬 더 오래간다. 이밖에 머리카락이 많이 빠지는 사람의 경우 수소수로 머리를 감으면 모발의 탄력감이 더욱 오래가고 질겨진다.
수소수는 항산화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비타민 C의 176배, 코엔자임 Q10의 863배, 폴리페놀의 221배의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생선 비린내 제거용 조성물은 고기능성 물인 수소수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이러한 수소수의 탈취효과는 기존에 보고된 바 없으며, 이를 최초로 찾아내어 본 발명에서 비린내 제거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적용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이러한 수소수는 일반적으로 식품이나 의약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서, 생선 비린내 제거용 조성물로 적용하는데 아무런 제약이 없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다른 성분의 혼합 없이 수소수를 단독으로 생선 비린내 제거용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수소수에 일반적인 물로서 생수, 정제수, 수돗물, 해수, 심층수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생선 비린내 제거용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수소수는 비린내 제거용 조성물의 용매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수소수는 pH 7.2-9.5의 약알칼리 수소수 또는 pH 9.5-13.0인 강알칼리 수소수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수소수는 소취성분의 용매로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소취성분은 전체 조성물에 대해 0.1-20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소취성분으로서는 탈취성분과 탈취 보조성분 및 냄새를 감추는 성분 등이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수소수를 용매로 하여 함유되는 소취성분으로서는 예컨대 녹차 분말 또는 녹차 추출물, 알코올, 구연산, 식초 및 소금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탈취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 가능한 녹차분말 또는 녹차 추출물은 탈취효과가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며, 알코올, 구연산, 식초, 소금 등도 비린내 발생의 원인 성분을 제거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이들 탈취성분을 추가적으로 혼합하게 되면 더욱 바람직한 탈취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탈취 성분은 전체 생선 비린내 제거제 중에 0.01-20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비린내 제거제에 추가적으로 탈취 보조성분으로서, 아스타잔틴, 강황, 매실, 자몽추출액, 오가피, 울금, 생강, 양파, 루이보스차, 국화차, 곽향, 회향, 스테아린산나트륨, 루테인, 솔잎추출물, 모링가잎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함유될 수 있다.
이러한 탈취 보조성분들은 상기 탈취 성분들과 함께 또는 독자적으로 상기 수소수를 함유한 비린내 제거용 조성물에 함유될 수 있다.
특히, 여기서 사용 가능한 아스타잔틴(Astaxanthin: 3,3'-Dihydroxy-β,β-carotene-4,4'-dione, C40H52O4)은 β카로틴과 같은 카로티노이드의 일종으로 새우, 게 등의 갑각류나 연어, 도미, 잉어, 금붕어 등 어류에 천연으로 해양에 널리 분포하는 붉은색 색소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아스타잔틴은 강력한 항산화작용을 나타내며, 지질과 산화억제에는 비타민 E의 약 550배, β카로틴의 약 40배, 비타민 C의 6,000배, 코엔자임 Q10의 800배, 카테킨의 560배, α-리포산의 75배라고 보고되었다.
또한, 아스타잔틴은 항산화작용, 항염증작용(관절염, 위염, 포도막염), 항동맥경화 작용, 면역 강화작용, 항스트레스 작용, 당뇨병 억제, 안구 관련 작용, 뇌 관련 작용, 간 관련 작용, 발암억제(항암), 근육·피부 관련 작용, 정자 질 향상, 혈압 억제, 체지방 경감 등에 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아스타잔틴의 각종 기능성과 더불어 생체막의 구성 지방산의 지질과 산화를 억제하는 막의 변형능을 가짐으로서 수용체나 수송체, 이온채널 특히 시그널 전달에 중요한 생명활동 유지의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러한 고기능성 성분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이러한 아스타잔틴의 탈취효과는 기존에 보고된 바 없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를 최초로 찾아내어 본 발명에서 비린내 제거를 위한 유효성분으로 적용 가능하도록 제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이러한 아스타잔틴은 아무런 독성이 없다. 그러므로 식약처로부터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원료로 인정(2007. 6)을 받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이러한 아스타잔틴은 예를 들어, Haematococcus pluvialis 건조분말을 에탄올, 아세톤 또는 CO₂초임계 추출로서 생산하여 제조할 수 있다. FDA에서도 아스타잔틴을 기능성 신물질(new dietary ingredient: NDI 12mg/day)로 승인한 바 있으므로, 식품에 적용하는데 아무런 유해성이 없다는 것이 입증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아스타잔틴은 생선 비린내 제거제로 적용하는데 아무런 제약이 없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탈취 보조성분 역시 상기 탈취성분과 함께 또는 독자적으로 0.01-20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생선 비린내 제거용 조성물에는 추가적으로 비린내와 각종 냄새를 감추는 성분으로서 커피, 키토산, 사이클로덱스트린, 쑥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냄새를 감추는 성분들은 상기 수소수과 함께 적용하는 경우 더욱 효과적인 비린내 제거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냄새를 감추는 성분은 커피의 경우 그 독특한 향과 물리적 특성으로 인해 일부 냄새성분을 흡착하면서 커피 향으로 인해 비린내를 감추는 효과가 발현될 수 있으며, 키토산과 사이클로덱스트린의 경우 화학 구조 특성상 냄새 성분을 포접하거나 가두는 역할로 인해 냄새를 감추는 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이러한 냄새를 감추는 성분은 상기한 탈취성분과 탈취 보조성분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과 함께 적용 가능하며, 독자적으로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냄새를 감추는 성분은 예컨대 0.01-15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이 과다한 경우 오히려 그 자체가 가지는 냄새로 인해 2차적인 냄새 발생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적용되는 각종 성분들은 모두 기능성 천연물질이거나 인체에 유익한 성분들로서 식품으로 적용 가능한 성분들만으로 구성된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본 발명의 사용 가능한 성분들을 적용한다고 하더라도 인체에 유해성은 없다.
본 발명의 생선 비린내 제거용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도 분무 가능한 액상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므로 생선 가공공정에서 간단하게 스프레이하는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이러한 생선 제거용 조성물의 스프레이 적용은 분무기를 이용하여 1회 또는 수회 가공공정이 수행되는 공간에 분무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생선 등 냄새가 발생되거나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부분에 직접 분무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생선 비린내 제거용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도 도포 가능한 액상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므로 생선 가공공정에서 간단하게 도포하는 방법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생선 비린내 제거용 조성물에 생선 등을 침지하거나 침지 후 꺼내는 방법 또는 씻어내는 방법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이러한 적용방법으로 본 발명의 생선 비린내 제거용 조성물이 생선 등에 직접 닿아 잔유물 상태로 남아 있다고 하더라도 아무런 유해물질을 함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적용상 아무런 문제가 없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생선 비린내 제거용 조성물은 종래 적용된 바 없는 새로운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적용하였는바, 본 발명의 조성에서 사용된 수소수는 기존의 비린내 제거를 위한 탈취 기능을 가지는 성분으로써 적용된 바 없으며, 비린내 제거 효과가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특히, 이를 다른 소취성분을 용해하는 용매로서 사용하는 경우 비린내 제거에 더욱 우수한 상승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생선 비린내 제거용 조성물은 모두 식품으로 적용 가능한 천연성분이거나 기능성 물질로서, 특히 수소수의 경우 생산 가공공정에서 생선에 직접 적용한다고 하더라도 항산화 효과는 물론 항균효과 등의 기능성으로 인해 잔류물로 남아 있어도 강력한 항산화 및 항균 효과를 발휘하여 오히려 생선 등의 보관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고 건강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생선 비린내 제거 후에도 2차적인 문제가 발생할 염려가 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생선 비린내 제거제는 생선 등의 가공공정에서 스프레이 방식을 이용하여 적용하더라도 그 효과가 매우 우수하게 발현되기 때문에, 그 적용이 용이하여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어서 사용성이 우수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생선 비린내 제거용 조성물은 그 제조과정이 매우 간단하고 용이하여 제품화 실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실용성이 매우 우수한 고품질의 제품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생선 비린내 제거제는 생선 비린내 이외에도 각종 음식, 식품 공장 등에서의 악취 등 냄새 제거제로 적용하더라도 무방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8
생선 비린내 제거용 조성물을 구성하기 위해 다음 표 1과 같은 각 성분을 해당 함량으로 혼합하여 액상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과정은 각 성분을 수소수에 혼합하고 교반하여 통상의 액상제로 제조하였으며, 제조과정에서 뭉침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성분은 미리 혼합하여 서서히 첨가하면서 액상 혼합물로 제조하였다.
하기 표에서 사용된 각 성분의 함량은 중량%이고, 실시예 2, 실시예 5-8에서 잔량은 수소수 이외에 일반 물로서 먹는 물 기준을 통과한 생수를 추가하여 사용하여 전체 함량을 100중량% 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 1 | 2 | 3 | 4 | 5 | 6 | 7 | 8 |
수소수 | 89.7 | 50.0 | 89.3 | 89.8 | 70.0 | 100.0 | 50.0 | 20.0 |
녹차분말 | 2.0 | 2.0 | 2.0 | 2.0 | 2.0 | - | - | 2.0 |
에탄올 | 3.0 | 3.0 | 3.0 | 3.0 | 3.0 | - | - | 3.0 |
구연산 | 1.0 | 1.0 | 1.0 | 1.0 | 1.0 | - | - | 1.0 |
식초 | 2.0 | 2.0 | 2.0 | 2.0 | 2.0 | - | - | 2.0 |
소금 | 2.0 | 2.0 | 2.0 | 2.0 | 2.0 | - | - | 2.0 |
아스타잔틴 | - | - | 0.5 | 1.0 | - | - | - | - |
강황 | 0.1 | 0.1 | 0.1 | 0.1 | 0.1 | - | 0.1 | - |
매실추출물 | 0.5 | 0.5 | 0.5 | 0.5 | 0.5 | - | 0.5 | - |
자몽추출액 | 0.5 | 0.5 | 0.5 | 0.5 | 0.5 | - | 0.5 | - |
생강 | 0.5 | 0.5 | 0.5 | 0.5 | 0.5 | - | 0.5 | - |
루이보스차 | 0.5 | 0.5 | 0.5 | 0.5 | 0.5 | - | 0.5 | - |
솔잎추출물 | 0.1 | 0.1 | 0.1 | 0.1 | 0.1 | - | 0.1 | - |
모링가잎추출물 | - | - | - | - | - | - | 0.1 | - |
루테인 | - | - | - | - | - | - | 0.5 | - |
곽향 | - | - | - | - | - | - | 0.5 | - |
양파 | 0.1 | - | - | - | - | - | 0.5 | - |
오가피 | - | - | - | - | - | - | 0.5 | - |
커피 | - | - | - | - | - | - | - | 0.1 |
키토산 | - | - | - | - | - | - | - | 0.5 |
사이클로덱스트린 | - | - | - | - | - | - | - | 0.5 |
쑥 | - | - | - | - | - | - | - | 0.1 |
비교예 1-3
생선 비린내 제거용 조성물을 구성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다음 표 2와 같은 각 성분을 해당 함량으로 혼합하여 액상의 생선 비린내 제거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 1 | 2 | 3 |
수소수 | - | 5.0 | - |
녹차분말 | 2.0 | 2.0 | 2.0 |
에탄올 | 3.0 | 3.0 | 3.0 |
구연산 | 1.0 | 1.0 | 1.0 |
식초 | 2.0 | 2.0 | 2.0 |
소금 | 2.0 | 2.0 | 2.0 |
아스타잔틴 | |||
강황 | 0.1 | 0.1 | 0.1 |
매실추출물 | 0.5 | 0.5 | 0.5 |
자몽추출액 | 0.5 | 0.5 | 0.5 |
생강 | 0.5 | 0.5 | 0.5 |
루이보스차 | 0.5 | 0.5 | 0.5 |
솔잎추출물 | 0.1 | 0.1 | 0.1 |
모링가잎추출물 | - | - | - |
루테인 | - | - | - |
곽향 | - | - | - |
양파 | - | - | |
오가피 | - | - | - |
커피 | - | - | 0.1 |
키토산 | - | - | 0.5 |
사이클로덱스트린 | - | - | 0.5 |
쑥 | - | - | 0.1 |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8과 비교에 1-3에서 제조된 각 조성물의 생선 비린내 제거용 조성물에 대하여 냄새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냄새측정은 비린내가 나는 생선 가공 작업장에서 5년 이상 근무한 경력자 7인, 일반 가정주부 13명, 대학생 20명, 30-40세 직장인 10명으로 패널을 구성하여 생선 고등어 2 상자를 폐교 교실에서 상온에서 2시간 방치한 후 냄새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동일한 비린내 제거제를 각각 2회씩 적용하는 방식으로 총 24회에 걸쳐 동일 조건에서 냄새를 맡게 하고 그 정도를 수치화하여 기록하도록 하였다.
비린내가 없는 것은 10, 비린내가 가장 강한 경우를 1로 상정하여 비린내가 강할수록 낮은 점수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해당 측정치를 평균한 다음, 반올림 또는 반내림하여 최종 결과로 하고 그 최종 측정 결과를 다음 표 3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 1회 | 2회 | 평균값 |
1 | 8 | 9 | 8.5 |
2 | 8 | 8 | 8 |
3 | 9 | 10 | 9.5 |
4 | 10 | 10 | 10 |
5 | 8 | 8 | 8 |
6 | 7 | 8 | 7.5 |
7 | 8 | 8 | 8 |
8 | 7 | 8 | 7.5 |
비교예 1 | 6 | 7 | 6.5 |
비교예 2 | 6 | 7 | 6.5 |
비교예 3 | 4 | 3 | 3.5 |
제거제 미적용 | 1 | 1 | 1 |
실험예 2
고등어와 꽁치의 선도저하로 인해 발생되는 특유의 비린내와 히스타민 생성을 억제함으로서, 신선도를 유지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1과 비교예 1의 생선 비린내 제거용 조성물에 대한 용액을 선정 및 제조하여, 내장 등을 제거한 고등어와 꽁치를 세척하고, 저장일수별로 고등어와 꽁치의 트리메틸아민(TMA), 히스타민(Histamine)을 측정하였다. 고등어와 꽁치의 트리메틸아민 함량 측정은, Conway unit을 사용하는 미량확산법으로 측정하였다.
상기 생선 비린내 제거용 조성물의 적용은 2 내지 4회 세척한 고등어와 꽁치를 0.1 내지 20%의 염수로 2 내지 3회 다시 세척하고, 1 내지 5 ℃의 저온에서 1시간 정도 수분을 제거한 처리구(treatment)를 4 ℃에서 냉장 저장하면서, 7일 간격으로 시료를 취하여 트리메틸아민, 히스타민을 측정하였다.
대조구(control)로는 비교예의 조성물을 동일한 방법으로 적용하되 0.1 내지 20%의 염수로 2 내지 3회 세척하고 1 내지 5℃의 저온에서 1시간 정도 수분을 제거한 상태의 것으로 사용하였다.
트리메틸아민(Trimethylamine, TMA)은 신선육에는 거의 존재하지 않으나, 사후 세균의 환원작용에 의해 TMAO가 환원되어 생성되는 것으로, 그 증가율이 암모니아보다 커서 선도판정의 좋은 지표가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초기부패의 한계치는 어종에 따라 차이가 많지만, TMA 함량이 3 내지 4 mg/100 g을 넘어서면 초기부패라고 판정한다.
트리메틸아민(TMA) 측정을 위해, 고등어 및 꽁치 시료 10 g을 균질기에 넣고 5% TCA용액 80 mL를 가하여 1분간 균질화한 후 여과(Whatman No.1)한 여액을 검액으로 하였다.
Conway unit 내실에 1% H3BO3용액 1 mL를 넣은 후 Conway unit의 뚜껑을 파라핀과 고정핀으로 밀폐 및 고정한 후 검액과 외실의 첨가 시약을 잘 혼합되게 하였다.
37 ℃의 Incubator에서 120분간 방치하여 내실의 용액이 녹변하면 0.02 N HCl 용액으로 적정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 표 4와 같다.
저장일 | Trimethylamine(mg%) | |||
고등어 | 꽁치 | |||
대조구 | 처리구 | 대조구 | 처리구 | |
0일 | 1.89 | 0.57 | 0.85 | 0.57 |
7일 | 2.51 | 0.92 | 2.26 | 0.96 |
14일 | 3.20 | 1.36 | 3.11 | 1.32 |
21일 | 4.35 | 2.14 | 3.87 | 2.03 |
상기 실험결과, 대조구의 고등어와 꽁치보다 고농도의 수소수로 세척한 처리구의 고등어와 꽁치가 저장기간 동안 트리메틸아민 함량이 낮게 나타나, 저장 14일째 대조구의 고등어와 꽁치의 트리메틸아민 함량은 각각 3.20 및 3.11 mg%를 나타내었고, 저장 21일째에는 각각 4.35 및 3.87 mg%를 나타내었다.
이에 반해, 고농도의 수소수로 세척한 처리구의 고등어와 꽁치는 저장 21일째에도 각각 2.14 및 2.03 mg%를 나타내어, 고농도 수소수로 세척하는 방법만으로도 고등어와 꽁치의 트리메틸아민 생성이 효과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고농도의 수소수로 어류를 세척하는 방법은 어류의 선도유지와 더불어 비린내 제거에 효과적인 것임을 알 수 있다.
고등어와 꽁치의 어육 내 히스타민 생성량은 Histamine assay kit(HisQuick™ Histamine, Labor Diagnostika Nord Gmbh & Co.KG, Germany)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더욱 상세하게는, 분쇄한 어육 1g에 0.1M EDTA(pH 8.0)를 24 mL 첨가하여 11분간 교반하고 100 ℃의 물에 20분간 정치시킨 후, 얼음물에 10분간 냉각시켰다.
이를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여과액을 Histamine assay kit(HisQuick™ Histamine, Labor Diagnostika Nord Gmbh & Co.KG, Germany)를 사용하여, 분광광도계(US/MQX200, Biotek, USA)로 4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히스타민 함량을 정량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 표 5와 같다.
저장일 | Histamine(mg/kg) | |||
고등어 | 꽁치 | |||
대조구 | 처리구 | 대조구 | 처리구 | |
0일 | 43.8 | 6.6 | 36.5 | N.D* |
7일 | 138.8 | 10.9 | 60.7 | N.D |
14일 | 433.4 | 41.5 | 280.9 | 31.5 |
21일 | 756.0 | 108.2 | 536.2 | 99.1 |
상기 표 5에서 N.D는 not detected를 의미한다.
대조구의 고등어와 꽁치 시료 모두 저장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히스타민 함량이 급증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고농도 수소수로 세척한 고등어와 꽁치 시료의 경우는 대조구에 비해 히스타민 생성량이 미미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세균 증식에 의한 고등어와 꽁치의 선도저하로 발생되는 특유의 비린내와 히스타민 생성 억제를 통한 신선도 유지 효과를 위해서는 고농도 수소수 용액으로 세척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처리만으로도 세균 증식 억제를 통한 트리메틸아민, 히스타민 생성을 억제시킬 수 있는 경제적이면서 위생적인 방법인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7)
- 수소수를 함유하는 생선 비린내 제거용 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수소수는 pH 7.2-9.5의 약알칼리 수소수 또는 pH 9.5-13.0의 강알칼리 수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 비린내 제거용 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체 조성물에 대해 소취성분이 0.1-20중량%로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 비린내 제거용 조성물.
- 청구항 3에 있어서, 소취성분은 녹차분말 또는 녹차추출물, 알코올, 구연산, 식초 및 소금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 비린내 제거용 조성물.
- 청구항 3에 있어서, 소취성분은 아스타잔틴, 강황, 매실, 자몽추출액, 오가피, 울금, 생강, 양파, 루이보스차, 국화차, 곽향, 회향, 스테아린산나트륨, 루테인, 솔잎추출물, 모링가잎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 비린내 제거용 조성물.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추가적으로 커피, 키토산, 사이클로덱스트린, 쑥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 비린내 제거용 조성물.
- 수소수 단독으로 이루어진 생선 비린내 제거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2817A KR102074665B1 (ko) | 2017-11-16 | 2017-11-16 | 생선 비린내 제거용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2817A KR102074665B1 (ko) | 2017-11-16 | 2017-11-16 | 생선 비린내 제거용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55942A true KR20190055942A (ko) | 2019-05-24 |
KR102074665B1 KR102074665B1 (ko) | 2020-02-10 |
Family
ID=66679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52817A KR102074665B1 (ko) | 2017-11-16 | 2017-11-16 | 생선 비린내 제거용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74665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27643B1 (ko) * | 2020-01-14 | 2020-06-30 | 김희진 | 냉동도시락 제조방법 |
CN111714674A (zh) * | 2020-06-17 | 2020-09-29 | 南方医科大学 | 一种中药挥发油及其制备方法和应用 |
KR20220023147A (ko) * | 2020-08-20 | 2022-03-02 | 주식회사 송송 | 강황숙성 과메기의 제조방법. |
KR20220023902A (ko) * | 2020-08-21 | 2022-03-03 | 수산업협동조합중앙회 | 생선 비린내 제어 효능이 높은 녹차 농축액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비린내가 제어된 생선의 제조 방법 |
KR102713548B1 (ko) * | 2023-11-15 | 2024-10-07 | 대한민국 | 정어리 비린내 제거 방법 및 이를 활용한 정어리 기름담금 통조림 제조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93308B1 (ko) * | 2020-04-14 | 2022-04-29 | 최진 | 마테잎 추출물이 첨가된 비린내 제거 탈취제 제조방법.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91089B1 (ko) | 1998-05-30 | 2001-06-01 | 이문영 | 참나물을 이용한 육류 및 생선의 냄새 제거제의 제조방법 및 냄세제거제 |
KR20010099234A (ko) | 2001-09-13 | 2001-11-09 | 이찬숙 | 천연황토와 솔잎 추출물. 한약재. 허브 추출물을 이용한생선.육류 냄새제거용 조성물 형성에 관한 방법 |
KR20040044059A (ko) * | 2002-11-21 | 2004-05-27 | 정윤화 | 생약 성분과 키토산 성분을 이용한 수산물의 제조방법 |
KR20050013290A (ko) * | 2003-07-28 | 2005-02-04 | 최실 | 한약재를 이용한 생선비린내 제거용 조성물 |
KR100728898B1 (ko) | 2005-04-07 | 2007-06-14 | 김희재 | 생선의 비린내 제거방법 |
JP2014240441A (ja) * | 2014-09-29 | 2014-12-25 | 富士化学工業株式会社 | アスタキサンチン含有加齢臭抑制組成物 |
KR20160124589A (ko) | 2015-04-20 | 2016-10-28 | 박화열 |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식품 냄새 제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2017
- 2017-11-16 KR KR1020170152817A patent/KR10207466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91089B1 (ko) | 1998-05-30 | 2001-06-01 | 이문영 | 참나물을 이용한 육류 및 생선의 냄새 제거제의 제조방법 및 냄세제거제 |
KR20010099234A (ko) | 2001-09-13 | 2001-11-09 | 이찬숙 | 천연황토와 솔잎 추출물. 한약재. 허브 추출물을 이용한생선.육류 냄새제거용 조성물 형성에 관한 방법 |
KR20040044059A (ko) * | 2002-11-21 | 2004-05-27 | 정윤화 | 생약 성분과 키토산 성분을 이용한 수산물의 제조방법 |
KR20050013290A (ko) * | 2003-07-28 | 2005-02-04 | 최실 | 한약재를 이용한 생선비린내 제거용 조성물 |
KR100728898B1 (ko) | 2005-04-07 | 2007-06-14 | 김희재 | 생선의 비린내 제거방법 |
JP2014240441A (ja) * | 2014-09-29 | 2014-12-25 | 富士化学工業株式会社 | アスタキサンチン含有加齢臭抑制組成物 |
KR20160124589A (ko) | 2015-04-20 | 2016-10-28 | 박화열 |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식품 냄새 제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정갑택, "냄새 제거 기능이 뛰어난 소재의 개발", ReSeat 모니터링 분석보고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10. 3.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27643B1 (ko) * | 2020-01-14 | 2020-06-30 | 김희진 | 냉동도시락 제조방법 |
CN111714674A (zh) * | 2020-06-17 | 2020-09-29 | 南方医科大学 | 一种中药挥发油及其制备方法和应用 |
KR20220023147A (ko) * | 2020-08-20 | 2022-03-02 | 주식회사 송송 | 강황숙성 과메기의 제조방법. |
KR20220023902A (ko) * | 2020-08-21 | 2022-03-03 | 수산업협동조합중앙회 | 생선 비린내 제어 효능이 높은 녹차 농축액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비린내가 제어된 생선의 제조 방법 |
KR102713548B1 (ko) * | 2023-11-15 | 2024-10-07 | 대한민국 | 정어리 비린내 제거 방법 및 이를 활용한 정어리 기름담금 통조림 제조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74665B1 (ko) | 2020-02-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11080B1 (ko) | 생선 비린내 제거제 | |
KR102074665B1 (ko) | 생선 비린내 제거용 조성물 | |
EP3253232B1 (en) | Antimicrobial compositions | |
JP5089025B2 (ja) | 抗酸化組成物 | |
KR20150111724A (ko) | 소취능 및 항산화능을 가지는 반려동물용 음료 조성물 | |
Abdeldaiem | Using of combined treatment between edible coatings containing ethanolic extract of papaya (Carica papaya L.) leaves and gamma irradiation for extending shelf-life of minced chicken meat | |
Soundarapandian et al. | Antioxidant activity in hard and soft shell crabs of Charybdis lucifera (Fabricius, 1798) | |
WO2009132463A1 (en) | New deodorization method and organoleptic improvement of marine oil extracts | |
KR101647778B1 (ko) | 저염도 탄산수와 대추추출물을 이용한 고등어와 삼치의 비린내 제거 및 지방산화 방지 방법 | |
KR101900942B1 (ko) | 시트러스 추출물 또는 자몽종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애완동물 위생용 제제 | |
US20100240599A1 (en) | Antioxidant constituents | |
Cho et al. | Effect of calamansi pulp ethanol extracts on the meat quality and biogenic amine formation of pork patty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
JP2006014730A (ja) | 食品 | |
KR101855989B1 (ko) | 가용화제를 첨가한 물을 추출용매로 이용한 유용성분이 증가된 메밀 종자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른 메밀 종자 추출물 | |
KR100802908B1 (ko) | 소취 기능이 있는 주류 및 그 제조방법 | |
JP2009051778A (ja) | ストレプトコッカス・ミュータンス(S.mutans)抗菌剤、抗う蝕剤、口腔用剤及びう蝕予防用飲食物 | |
Adris et al. |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Rosmarinus officinalis L. growing naturally in El-Jabal El-Akhdar Province–Libya and its Effect on keeping quality of Cold Serola Dumeriri Fillets | |
KR20180076587A (ko) | 뱀딸기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 |
KR101610894B1 (ko) | 맛이 차폐된 비타민 c 과립 | |
JP2008131888A (ja) | ヘマトコッカス藻色素の耐光性向上方法 | |
KR20120136776A (ko) | 분말을 이용한 식품의 환 제조방법 | |
JP2012006905A (ja) | 美肌用組成物 | |
JP5702514B2 (ja) | ルテインの光劣化に対する安定化方法 | |
JP2008187928A (ja) | 体臭抑制用組成物、それを含有する飲食品、化粧料及び洗濯処理剤、並びに体臭抑制方法 | |
JP2015096498A (ja) | AGEs分解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