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5570A - 조향 컬럼 - Google Patents

조향 컬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5570A
KR20190055570A KR1020170152428A KR20170152428A KR20190055570A KR 20190055570 A KR20190055570 A KR 20190055570A KR 1020170152428 A KR1020170152428 A KR 1020170152428A KR 20170152428 A KR20170152428 A KR 20170152428A KR 20190055570 A KR20190055570 A KR 20190055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ipe
steering column
main body
out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2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6755B1 (ko
Inventor
홍성종
구광모
김병희
Original Assignee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2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6755B1/ko
Publication of KR20190055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5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6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6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조향 컬럼은 조향축을 감싸는 중공 형상의 아우터 튜브와, 상기 아우터 튜브가 삽입되는 중공부를 구비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중앙부에 상기 중공부가 구비되고 외주면에서 돌출되는 한쌍이 텔레스가이드가 구비되는 알루미늄 재질의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조향축 쪽으로 연장되는 스틸 재질의 파이프가 서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조향 컬럼{Steering column}
본 발명은 조향 컬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틸트(Tilt) 또는 텔레스코프(Telescope) 성능을 만족하면서도 제조 원가를 저렴하게 할 수 있는 조향 컬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향 컬럼은 운전자의 조향휠 조작에 의해 발생한 회전력을 랙-피니언 기구부로 전달하는 조향축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조향축의 회전을 지지하는 한편 브라켓을 통해 차체에 결합됨으로써 조향축의 위치를 고정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조향 컬럼은 운전자의 편의를 위하여 틸트(Tilt) 또는 텔레스코프(Telescope)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데, 틸트는 조향휠의 고정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고, 텔레스코프는 축 방향으로 신장 및 수축이 가능하도록 두 개의 중공 관을 삽입하여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조향 컬럼은 전술한 기능에 따라 텔레스코프식 또는 틸트식으로 나누어지기도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텔레스코프식 조향 컬럼에 틸트 기능이 추가될 수도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이러한 기능을 통하여 자신의 신장이나 체형에 맞게 조향휠의 돌출 정도 또는 기울임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원활한 조작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조향 컬럼은 조향축을 감싸는 중공 형상의 아우터 튜브와, 상기 아우터 튜브가 삽입되는 중공부를 구비하는 하우징을 구비한다. 하우징은 알루미늄 또는 스틸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이 스틸 재질로 형성될 때에는 스틸 재질의 파이프에 텔레스가이드가 형성된 본체가 결합하여 형성된다. 그러나 스틸 재질로 형성된 하우징은 틸트(Tilt) 또는 텔레스코프(Telescope)에서 만족스럽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하우징이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때에는 틸트(Tilt) 또는 텔레스코프(Telescope) 성능이 만족스러우나 재료의 원가가 비쌀 뿐만 아니라 하우징을 가공하는데 있어 높은 원가가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22125호(2016.05.18.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알루미늄 하우징의 틸트(Tilt) 또는 텔레스코프(Telescope) 성능을 발휘하면서도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조향 컬럼을 제공한다.
또한, 스틸에 비해 가벼운 경량의 알루미늄을 사용함으로써 차량이 경량화에 일조할 수 있는 조향 컬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향 컬럼은 조향축을 감싸는 중공 형상의 아우터 튜브와, 상기 아우터 튜브가 삽입되는 중공부를 구비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중앙부에 상기 중공부가 구비되고 외주면에서 돌출되는 한쌍이 텔레스가이드가 구비되는 알루미늄 재질의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조향축 쪽으로 연장되는 스틸 재질의 파이프가 서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압출로 성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중공부 주위에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의 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복수개의 삽입홀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는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복수개의 삽입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삽입돌기가 상기 복수개의 삽입홀을 관통한 후, 상기 복수개의 삽입돌기의 단부를 코킹하여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삽입돌기가 상기 복수개의 삽입홀을 관통한 후, 상기 파이프와 상기 본체의 측면을 리베팅으로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향 컬럼에 의하면, 하우징을 제작함에 있어 한쌍이 텔레스가이드가 구비되는 본체 부분은 알루미늄으로 제작하고, 본체부에서 조향축쪽으로 연장되는 부분은 스틸로 제작함으로써 알루미늄 하우징의 성능을 확보하면서도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스틸에 비해 가벼운 알루미늄을 하우징으로 사용함으로써 차량 경량화에 일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향 컬럼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아우터 튜브, 하우징, 조향축이 결합된 모습을 보인 조향 컬럼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향 컬럼에서 하우징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본체와 파이프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향 컬럼 하우징의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설명을 좀 더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두께, 넓이 등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하였는바, 본 발명의 두께, 넓이 등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떠한 부분이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고 할 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부분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다른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향 컬럼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향 컬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아우터 튜브, 하우징, 조향축이 결합된 모습을 보인 조향 컬럼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향 컬럼에서 하우징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향 컬럼은 조향축(100)을 감싸는 중공형상의 아우터 튜브(200)와, 아우터 튜브(200)가 삽입되도록 중공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으로 돌출되는 한쌍의 텔레스가이드(311)가 구비되는 하우징(300)와, 텔레스가이드(310)에 설치되어 조향 장치의 텔레스코프 또는 틸트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조임과 해제 동작을 수행하는 조작레버(400), 상기 하우징(3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자체에 고정부착되는 마운팅 브라켓(500) 및 각각의 일단이 마운팅 브라켓(500)에 고정되며 틸팅 가이드슬릿(610)이 형성되는 한쌍의 틸팅 브라켓(600)을 구비한다.
아우터 튜브(200)는 조향휠과 결합되는 조향축(100)을 감싸 조향축(100)의 회전을 지지한다. 이와 같은 아우터 튜브(200)는 하우징(300)과의 상대운동으로 인해 텔레스코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텔레스가이드(311)는 하우징(300)의 본체(310)에 일체로 형성되되, 한 쌍이 구비되어 나란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텔레스가이드(311)의 길이방향을 따라 텔레스코픽 가이드슬릿(311a)이 형성된다. 텔레스코픽 가이드슬릿(311a)은 하우징(300)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곳으로, 텔레스가이드(31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한편, 조작레버(400)의 회전에 따라 하우징(300)과 아우터 튜브(200)의 조임과 해제 및 하우징(300)과 마운팅 브라켓(500)의 조임과 해제를 수행하게 된다. 조작레버(400)의 회전에 따라 조임이 해제되면 조향 컬럼은 텔레스코프(Telescope) 기능과 틸트(Tilt) 기능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은 스티어링 장치에서 일반적으로 나와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향 컬럼에 사용되는 하우징(300)은 중앙부에 아우터 튜브(200)가 삽이되도록 중공부(310a)가 구비되고 외주면에 돌출되는 한쌍이 텔레스가이드(311)가 구비되는 본체(310)와, 본체(310)로부터 조향축(100) 쪽으로 연장되는 파이프(320)가 서로 결합되어 형성된다.
이때, 본체(310)는 알루미늄으로 제작되고, 파이프(320)는 스틸로 제작될 수 있다. 이는 하우징(300)이 스틸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틸트(Tilt) 또는 텔레스코프(Telescope)에서 만족스럽지 못하고,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때에는 재료의 원가가 비쌀 뿐만 아니라 하우징(300)을 가공하는데 있어 높은 원가가 드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함이다.
텔레스가이드(311)가 일체로 형성되는 본체(310)는 압출로 성형된다.
이와 같이 본체(310)와 파이프(320)가 서로 별도로 제작됨으로써, 본체(310)와 파이프(320)를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구조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체(310)는 중공부(310a) 주위에 형성되며, 파이프(320)의 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복수개의 삽입홀(315)을 구비한다. 또한, 파이프(320)는 상기 복수개의 삽입홀(315)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삽입돌기(321)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삽입돌기(321)를 형성하기 위해 파이프(320)에서 본체(310)의 삽입홀(315)에 삽입되는 삽입돌기(321) 사이에는 파이프(320)가 절개된 절개부(322)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삽입돌기(321)가 4개로 형성되고, 삽입홀(315)이 4개로 형성되는 것을 보였으나, 그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는 도 3에서 본체와 파이프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체(310)와 파이프(320)를 결합시키기 위해, 파이프(320)의 삽입돌기(321)를 본체(310)에 형성된 삽입홀(315)에 삽입하여 삽입돌기(321)의 단부가 삽입홀(315)을 관통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삽입돌기(321)의 단부가 삽입홀(315)을 관통한 상태에서 삽입돌기(321)의 단부를 코킹시킨다. 그러면 삽입돌기(321)의 단부에는 본체(310)의 단부에 걸리는 걸림턱(321a)이 형성되어 본체(310)와 파이프(320)가 일체로 결합된다.
한편, 본체(310)와 파이프(320)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복수개의 삽입돌기(321)가 복수개의 삽입홀(315)을 관통한 후, 파이프(320)와 본체(310)의 측면을 리벳(350)으로 리베팅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300)을 형성함에 있어, 본체(310)는 알루미늄으로 형성하고, 파이프(320)는 스틸로 형성함으로써 알루미늄 하우징의 성능을 확보하면서도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조향 컬럼의 하우징은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향 컬럼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300)의 본체(310)에 형성되는 삽입홀(315)이 2개로 형성되는 것을 보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좌우방향으로 2개의 삽입홀(315)이 형성되는 것을 보였으나, 2개의 삽입홀(315)은 상하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삽입홀(315)에 삽입되는 파이프(320)의 삽입돌기(321)는 2개 또는 4개로 형성될 수 있다. 파이프(320)의 삽입돌기(321)를 본체(310)의 삽입홀(315)에 관통시켜 결합시키는 것은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본체(310)과 파이프(320)의 결합과 동일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향 컬럼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향 컬럼은 하우징(300)을 제작함에 있어 한쌍이 텔레스가이드가 구비되는 본체(310) 부분은 알루미늄으로 제작하고, 본체(310)에서 조향축쪽으로 연장되는 파이프(320) 부분은 스틸로 제작함으로써 알루미늄 하우징의 성능을 확보하면서도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향 컬럼에 대해 설명하였다. 하지만, 상술한 바에 따른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조향축 200: 아우터 튜브
300: 하우징 310: 텔레스가이드
320: 체결부재홀 400: 조작레버
500: 마운팅 브라켓

Claims (6)

  1. 조향축을 감싸는 중공 형상의 아우터 튜브와,
    상기 아우터 튜브가 삽입되는 중공부를 구비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중앙부에 상기 중공부가 구비되고 외주면에서 돌출되는 한쌍이 텔레스가이드가 구비되는 알루미늄 재질의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조향축 쪽으로 연장되는 스틸 재질의 파이프가 서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충격 흡수식 스티어링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압출로 성형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컬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중공부 주위에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의 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복수개의 삽입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컬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복수개의 삽입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컬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삽입돌기가 상기 복수개의 삽입홀을 관통한 후, 상기 복수개의 삽입돌기의 단부를 코킹하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컬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삽입돌기가 상기 복수개의 삽입홀을 관통한 후, 상기 파이프와 상기 본체의 측면을 리베팅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컬럼.
KR1020170152428A 2017-11-15 2017-11-15 조향 컬럼 KR102146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428A KR102146755B1 (ko) 2017-11-15 2017-11-15 조향 컬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428A KR102146755B1 (ko) 2017-11-15 2017-11-15 조향 컬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570A true KR20190055570A (ko) 2019-05-23
KR102146755B1 KR102146755B1 (ko) 2020-08-21

Family

ID=66681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2428A KR102146755B1 (ko) 2017-11-15 2017-11-15 조향 컬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6755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5183A (ja) * 2003-09-01 2005-03-24 Nsk Ltd 車両用位置調整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JP4709006B2 (ja) * 2003-06-03 2011-06-22 日本精工株式会社 車両用衝撃吸収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JP2012162152A (ja) * 2011-02-04 2012-08-30 Yamada Seisakusho Co Ltd ステアリング装置
WO2013015257A1 (ja) * 2011-07-26 2013-01-31 日本精工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ステアリングコラムを用いたステアリング装置
KR20130049155A (ko) * 2011-11-03 2013-05-13 남양공업주식회사 스티어링 컬럼
US20130186153A1 (en) * 2010-08-20 2013-07-25 Nsk Ltd. Steering device
EP2738063A1 (en) * 2011-07-26 2014-06-04 NSK Ltd. Steering column support structure
KR101622125B1 (ko) 2014-12-24 2016-05-18 남양공업주식회사 차량용 조향 틸트 구조체
JP2017508650A (ja) * 2013-10-04 2017-03-30 エヌエスケイ アメリ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コラプシブルステアリングコラムアセンブリ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09006B2 (ja) * 2003-06-03 2011-06-22 日本精工株式会社 車両用衝撃吸収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JP2005075183A (ja) * 2003-09-01 2005-03-24 Nsk Ltd 車両用位置調整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US20130186153A1 (en) * 2010-08-20 2013-07-25 Nsk Ltd. Steering device
JP2012162152A (ja) * 2011-02-04 2012-08-30 Yamada Seisakusho Co Ltd ステアリング装置
WO2013015257A1 (ja) * 2011-07-26 2013-01-31 日本精工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ステアリングコラムを用いたステアリング装置
EP2738063A1 (en) * 2011-07-26 2014-06-04 NSK Ltd. Steering column support structure
KR20130049155A (ko) * 2011-11-03 2013-05-13 남양공업주식회사 스티어링 컬럼
JP2017508650A (ja) * 2013-10-04 2017-03-30 エヌエスケイ アメリ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コラプシブルステアリングコラムアセンブリ
KR101622125B1 (ko) 2014-12-24 2016-05-18 남양공업주식회사 차량용 조향 틸트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6755B1 (ko) 2020-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1268B2 (en) Telescoping-tilting device of steering column for vehicle
US7677132B2 (en) Tilt and telescopic steering system
EP2647545B1 (en) Steering device
KR20110096805A (ko) 자동차의 조향 컬럼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
JP5375997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EP2505455A1 (en) Steering apparatus
JP3591284B2 (ja) チルト式ステアリング装置用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揺動支持装置
EP3812242A1 (en) Steering column device
KR20190055570A (ko) 조향 컬럼
KR20120042328A (ko) 자동차의 조향 컬럼
JP2013082373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4457751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KR20190012401A (ko) 차량용 조향 컬럼
KR101799670B1 (ko) 자동차의 전동식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KR101992714B1 (ko) 자동차의 조향 컬럼장치
JP2013124079A (ja) 車両用位置調整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EP3812241A1 (en) Steering column device
JP6731270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WO2020075639A1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および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419997B1 (ko) 자동차의 조향 컬럼
JP7160806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6406020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位置調節装置
KR20150142395A (ko) 자동차의 조향 컬럼
JP2013001186A (ja) 車両用位置調整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JP2013095218A (ja) 車両用位置調整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