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5400A - 유체 커플링용 제동드럼장치 - Google Patents

유체 커플링용 제동드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5400A
KR20190055400A KR1020170152080A KR20170152080A KR20190055400A KR 20190055400 A KR20190055400 A KR 20190055400A KR 1020170152080 A KR1020170152080 A KR 1020170152080A KR 20170152080 A KR20170152080 A KR 20170152080A KR 20190055400 A KR20190055400 A KR 20190055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braking
groove
fit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2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동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기원솔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기원솔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기원솔루텍
Priority to KR1020170152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5400A/ko
Publication of KR20190055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54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7/00Combinations of couplings and brakes; Combinations of clutches and brakes
    • F16D67/02Clutch-brake combinations
    • F16D67/04Clutch-brake combinations fluid actu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10Drums for externally- or internally-engaging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2065/13Parts or details of discs or dru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구성부품을 결합하는 결합수단의 결합력 약화가 방지되어 내구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유체 커플링을 통해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종동축이 제동수단의 구동시 선택적으로 제동되도록 설치되는 유체 커플링용 제동드럼장치에 있어서, 외주에 상기 제동수단의 제동력이 전달되는 드럼부의 내주에 일체로 구비되되 중앙부에 관통 형성된 커넥팅홀의 테두리에 원주방향을 따라 핀부재가 억지 끼움으로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1끼움홈이 형성된 베이스부가 구비되도록 주조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제동드럼부; 및 중앙부가 상기 종동축과 연결되고, 축방향 일단부는 상기 커넥팅홀에 삽입되되 외주를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일체로 돌출되며 상기 핀부재가 억지 끼움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제1끼움홈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제2끼움홈이 형성된 단차연결부가 구비되도록 단조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축결합부를 포함하는 유체 커플링용 제동드럼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체 커플링용 제동드럼장치{brake drum apparatus for fluid coupling}
본 발명은 유체 커플링용 제동드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성부품을 결합하는 결합수단의 결합력 약화가 방지되어 내구성이 개선된 유체 커플링용 제동드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플링(coupling)은 동력전달장치의 일종으로서, 상호 맞물리는 두 회전체로 구비되어 각각 상호 분리된 두 회전축에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기계부품이다.
상세히, 상기 커플링은 주로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측에 연결된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서 회전력을 전달받아 구동장치 측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종동축의 양단을 상호 연결하여 구동축으로부터 종동축으로 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커플링은 그 구조와 재질, 사용용도, 축이음구조, 연결방향, 전달되는 허용토크나 회전수 및 두 축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위에서 발생될 수 있는 진동이나 충격을 줄일 수 있는 특성을 갖도록 다양한 형식으로 제조 및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커플링은 동력원과 구동장치 사이가 이격된 경우에 동력을 전달하는 샤프트를 통해 각 회전체가 결합되어 동력원의 회전구동력이 구동장치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플링에는 제동수단의 구동에 따라 상기 종동축의 회전이 구속되어 선택적으로 제동되도록 브레이크 드럼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동수단은 패드, 밴드 등을 이용하여 회전하는 브레이크 드럼에 마찰에 의한 제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종동축의 회전력을 감소시키는 장치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종래의 브레이크 드럼은 상기 종동축과 결합되는 축결합부와, 상기 축결합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동수단을 통해 제동력이 제공되는 드럼부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동수단은 패드 내지 밴드 등이 구비되어 상기 드럼부의 외주에 밀착되어 마찰력을 통해 상기 종동축이 제동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브레이크 드럼은 급제동 등에 의해 제동되는 경우 상기 축결합부와 상기 드럼부가 결합되도록 구비된 결합 볼트의 조임이 느슨해져 풀림에 따라 종동축과의 결합력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동축과의 결합력이 약화됨에 따라 제동시간이 증가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정확하게 제동되지 않는 경우 각종 안전사고 등을 유발하여 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5-0011333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성부품을 결합하는 결합수단의 결합력 약화가 방지되어 내구성이 개선된 유체 커플링용 제동드럼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체 커플링을 통해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종동축이 제동수단의 구동시 선택적으로 제동되도록 설치되는 유체 커플링용 제동드럼장치에 있어서, 외주에 상기 제동수단의 제동력이 전달되는 드럼부의 내주에 일체로 구비되되 중앙부에 관통 형성된 커넥팅홀의 테두리에 원주방향을 따라 핀부재가 억지 끼움으로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1끼움홈이 형성된 베이스부가 구비되도록 주조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제동드럼부; 및 중앙부가 상기 종동축과 연결되고, 축방향 일단부는 상기 커넥팅홀에 삽입되되 외주를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일체로 돌출되며 상기 핀부재가 억지 끼움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제1끼움홈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제2끼움홈이 형성된 단차연결부가 구비되도록 단조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축결합부를 포함하는 유체 커플링용 제동드럼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각 제1끼움홈 사이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각 제2끼움홈 사이에는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홀 및 상기 연통홀에는 결합수단이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끼움홈 및 상기 제2끼움홈의 개구측 테두리에는 상기 핀부재의 외주를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된 보강단차부가 삽입되도록 제1단차홈부 및 제2단차홈부가 확장 형성되며, 상기 제1단차홈부 및 상기 제2단차홈부에는 상기 보강단차부를 반경방향 내측으로 탄발 지지하는 판스프링이 개재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축결합부의 일단부측 외주 및 상기 커넥팅홀의 내주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방지돌기부 및 돌기삽입홈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회전방지돌기부의 외면에는 상기 돌기삽입홈의 내주에 밀착되도록 간극방지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커플링용 제동드럼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제동수단의 제동력이 전달되는 제동드럼부는 주조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제동드럼부에 결합되어 종동축에 의해 회전되는 축결합부는 단조되어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실질적으로 제동수단과의 접촉시 마찰력이 증가되도록 표면거칠기가 필요한 부분만 주조되어 형성되므로 주조시 발생하는 폐기물이 최소화되고 폐기물의 처리비용 또한 절감되어 환경성 및 경제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둘째, 상기 제동수단의 갑작스런 제동시 축결합부의 회전력이 억제되어 과도하게 응력이 발생하거나 주변 장치의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각 끼움홈에 억지 끼움으로 결합된 핀부재에 의해 제동드럼부 및 축결합부가 밀착되도록 나사 결합된 결합수단의 풀림이 방지되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셋째, 상기 보강단차부는 핀부재의 외주를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일체로 돌출됨에 따라 제동수단의 구동시 제동드럼부에 전달되는 제동력에 의해 축결합부의 회전이 억제되어 응력이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부분이 보강되므로 핀부재의 절곡 내지 파손이 방지되어 제품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넷째, 상기 축결합부의 일단부측 외주 및 커넥팅홀의 내주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상호 형합되는 회전방지돌기부 및 돌기삽입홈이 형성됨에 따라 결합수단 및 핀부재에 집중되는 응력이 분산되어 지지되므로 응력에 의한 결합수단의 결합력 약화가 미연에 방지되어 구동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 커플링용 제동드럼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B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C-D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커플링용 제동드럼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커플링용 제동드럼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체 커플링용 제동드럼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 커플링용 제동드럼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B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C-D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 커플링용 제동드럼장치(100)는 제동드럼부(10) 및 축결합부(2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유체 커플링용 제동드럼장치(100)는 유체 커플링(1)을 통해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종동축(S)이 제동수단의 구동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제동되도록 설치되는 장치이다. 이때, 상기 유체 커플링(1)은 오일 등의 유체를 매개로 동력을 전달하는 장치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제동드럼부(10)는 드럼부(11) 및 베이스부(12)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드럼부(11)의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외주에 상기 제동수단의 제동력이 전달된다. 여기서, 상기 드럼부(11)의 내주 일측에는 상기 베이스부(1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부(12)는 상기 드럼부(11)의 내주 일측으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내측을 향해 일체로 연장되며, 실질적으로 상기 드럼부(11)의 중공이 구획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드럼부(11)는 상기 베이스부(12)측으로 갈수록 단면두께가 증가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베이스부(12)는 상기 드럼부(11)의 내주면에 연결된 부분의 단면두께가 증가하여 상기 제동수단의 제동력에 의한 변형 내지 파손이 최소화되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12)의 중앙부에는 축방향으로 커넥팅홀(13)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커넥팅홀(13)의 직경은 상기 축결합부(20)가 삽입되도록 상기 축결합부(20)의 일단부(20a)측 직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축결합부(20)는 축방향 일단부(20a)가 상기 커넥팅홀(13)에 삽입되어 상기 제동드럼부(10)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축결합부(20)의 중앙부에는 상기 종동축(S)이 연결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축결합부(20)의 내부에는 축방향으로 축삽입홀(21)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축삽입홀(21)에 상기 종동축(S)이 키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축결합부(20)는 상기 종동축(S)이 회전에 대응하여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축결합부(20)의 타단부 측에 상기 종동축(S)이 별도의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도 있으며, 상기 축결합부(20)가 상기 종동축(S)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축결합부(20)의 외주에는 단차연결부(22)가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단차연결부(22)는 상기 축결합부(20)의 외주를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일체로 돌출된다. 이를 통해, 상기 축결합부(20)의 일단부(20a)가 상기 커넥팅홀(13)에 삽입되면 상기 단차연결부(22)는 일측면이 상기 베이스부(12)의 타측면에 접촉되어 걸림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동드럼부(10)는 일체형으로 주조되어 형성되며, 상기 축결합부(20)는 일체형으로 단조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주조는 주형에 금속용액을 넣고 응고시켜서 원하는 모양의 금속제품을 만드는 가공방법으로 주물의 표면거칠기가 우수한 장점이 있으므로 상기 제동드럼부(10)가 주조에 의해 형성되면 상기 제동수단과의 접촉시 마찰력이 증가되어 제동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제동드럼부(10)는 표면거칠기가 증가되도록 추가적인 표면가공처리를 거칠 수도 있다.
그리고, 단조는 금속덩어리나 두꺼운 판을 가압하여 변형시키는 금속 가공방법으로 성형물의 결정립이 미세화되어 조직이 개선되고 기계적 성질이 개선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축결합부(20)가 일체로 단조되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동드럼부(10)의 제동시에도 후술되는 결합수단(30) 및 핀부재(40)에 가압되는 테두리부의 마모 내지 파손 등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결합부(20)가 단조되어 형성되면 오차가 최소화되어 균일한 품질을 갖도록 대량 생산될 수 있으므로 상기 종동축(S)에 호환 적용되기에 적합하다. 더욱이, 최근에는 단조기술이 개선되어 주조에 비해 소재비와 가공 비용이 절감되는 추세이므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체 커플링용 제동드럼장치(100)는 실질적으로 표면거칠기가 필요한 부분인 상기 제동드럼부(10)가 주조되어 형성됨에 따라 주조시 발생되는 폐기물이 최소화되어 환경성이 현저히 개선될 뿐만 아니라 폐기물의 처리비용 또한 절감되어 경제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축결합부(20)가 주조에 비해 제조비용이 저렴한 단조에 의해 형성되므로 경제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부(12) 및 상기 단차연결부(22)에는 제1끼움홈(12b) 및 제2끼움홈(22b)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제1끼움홈(12b)은 상기 베이스부(12)의 타측면, 즉 상기 단차연결부(22)와 대향되는 대향면에 축방향에 대응하여 함몰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끼움홈(12b)은 상기 핀부재(40)의 직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끼움홈(12b)은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커넥팅홀(13)의 테두리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끼움홈(22b)은 상기 단차연결부(22)의 일측면, 즉 상기 베이스부(12)의 타측면에 접촉되는 대향면에 축방향에 대응하여 함몰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끼움홈(22b)은 복수개로 구비되되 실질적으로 상기 제1끼움홈(12b)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단차연결부(22)의 일측면 및 상기 베이스부(12)의 타측면이 상호 접촉되면 각 제1끼움홈(12b)에 연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끼움홈(12b) 및 상기 제2끼움홈(22b)에는 상기 핀부재(4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핀부재(4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각 끼움홈(12b,22b)에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핀부재(40)의 직경은 상기 제1끼움홈(12b) 및 상기 제2끼움홈(22b)의 직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양단부가 각각 상기 제1끼움홈(12b) 및 상기 제2끼움홈(22b)에 삽입시 억지 끼움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핀부재(40)의 길이는 상기 제1끼움홈(12b) 및 상기 제2끼움홈(22b)의 함몰된 깊이를 각각 합산한 길이에 대응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핀부재(40)가 상기 제1끼움홈(12b) 및 상기 제2끼움홈(22b)에 억지 끼움된 상태에서도 상기 베이스부(12) 및 상기 단차연결부(22)의 각 대향면이 상호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동수단의 갑작스런 제동시 상기 축결합부(20)의 회전력이 억제되어 과도하게 응력이 발생하거나 주변 장치의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각 끼움홈(12b,22b)에 억지 끼움으로 결합된 상기 핀부재(40)에 의해 상기 제동드럼부(10) 및 상기 축결합부(20)의 분리가 방지되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동드럼부(10) 및 상기 축결합부(20)에 상호 대향되는 축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핀부재(40)에 의해 상호간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팅홀(13)의 테두리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개의 관통홀(12a)이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관통홀(12a)은 상기 각 제1끼움홈(12b) 사이에 형성된다. 즉, 상기 제1끼움홈(12b) 및 상기 관통홀(12a)은 상기 커넥팅홀(13)의 테두리에 원주방향을 따라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차연결부(22)에는 상기 축결합부(20)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개의 연통홀(22a)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통홀(22a)은 각 제2끼움홈(22b) 사이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연통홀(22a)은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12a)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12a) 및 상기 복수개의 연통홀(22a)은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12a) 및 상기 복수개의 연통홀(22a)의 내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수단(30)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때, 상기 결합수단(30)은 복수개로 구비되어 각 관통홀(12a) 및 연통홀(22a)을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30)은 볼트부재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12a) 및 상기 복수개의 연통홀(22a)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축결합부(20)는 상기 결합수단(30)의 조임에 따라 상기 단차연결부(22) 및 상기 베이스부(12)가 밀착된 상태로 상기 제동드럼부(1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결합수단(30)은 클램핑장치 등으로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부(12) 및 상기 단차연결부(22)를 클램핑 고정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단차연결부(22) 및 상기 베이스부(12)가 밀착되도록 상기 제동드럼부(10) 및 상기 축결합부(20)가 결합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구조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부(12) 및 상기 단차연결부(22)는 상기 결합수단(30)에 의해 상호 밀착됨에 따라 접촉면적이 증가하여 접촉면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제동수단의 제동시 상기 결합수단(30) 및 상기 핀부재(40)에 작용하는 응력이 감소되어 변형 내지 파손이 최소화되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동수단의 갑작스런 제동시 과도하게 응력이 발생하거나 주변 장치의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핀부재(40)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12) 및 상기 단차연결부(22)의 밀착된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상기 결합수단(30)의 풀림이 방지되어 결합력 약화가 방지되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커플링용 제동드럼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강단차부(141) 및 판스프링(142)을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강단차부(141)는 핀부재(140)의 외주를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보강단차부(141)는 상기 핀부재(140)의 길이방향 중앙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핀부재(140)의 외주로부터 일체로 확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단차부(141)는 상기 핀부재(140)의 양단부 직경을 초과하는 직경을 갖도록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단차부(141)는 양단부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중앙부로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부(112) 및 단차연결부(122)에 형성된 제1끼움홈(112b) 및 제2끼움홈(122b)의 개구측 테두리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단차지게 제1단차홈부(112c) 및 제2단차홈부(122c)가 확장 개구된다.
또한, 상기 제1단차홈부(112c) 및 상기 제2단차홈부(122c)는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112) 및 상기 단차연결부(122)가 상호 밀착됨에 따라 상기 보강단차부(141)가 상기 제1단차홈부(112c) 및 상기 제2단차홈부(122c)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단차홈부(112c) 및 상기 제2단차홈부(122c)는 내주면에 상기 보강단차부(141)의 양단부가 밀착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단차홈부(112c,122c)와 상기 보강단차부(141)가 상호 밀착되는 접촉면적이 증가하여 상기 제동수단의 제동시 발생하는 응력에 대한 지지강도가 보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단차홈부(112c) 및 상기 제2단차홈부(122c)의 함몰 깊이는 상기 보강단차부(141)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부(112) 및 상기 단차연결부(122)의 각 대향면이 상호 밀착되는 깊이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보강단차부(141)는 상기 베이스부(112) 및 상기 단차연결부(122)가 상호 밀착되는 부분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단차부(141)에는 상기 제동수단의 구동시 제동드럼부(110)에 전달되는 제동력에 의해 축결합부(120)의 회전력이 억제되어 비틀어지며 응력이 집중적으로 발생한다. 즉, 상기 축결합부(120)는 일단부(120a)가 드럼부(111)의 중앙부에 형성된 커넥팅홀(113)에 삽입된 상태로 축삽입홀(121)에 키결합된 종동축(S)에 의해 회전되므로 상기 제동수단의 제동력이 전달됨에 따라 회전이 억제되며 상기 보강단차부(141)에 응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단차부(141)는 집중적으로 응력이 발생하는 부분이 보강되도록 상기 핀부재(140)의 직경을 초과하는 직경을 갖도록 구비되므로 절곡 내지 파손이 방지되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보강단차부(141)가 실질적으로 상기 핀부재(140)의 응력에 대한 보강이 필요한 부분에만 확장되어 구비됨에 따라 재료 사용이 절감되어 제품의 경제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단차홈부(112c) 및 상기 제2단차홈부(122c)에는 판스프링(142)이 개재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판스프링(142)은 상기 보강단차부(141)의 외주를 감싸도록 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판스프링(142)은 원호형으로 분할되어 복수개로 구비되되 상기 보강단차부(141)의 외주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으며, 상기 보강단차부(141)를 반경방향 내측으로 탄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판스프링(142)의 축방향 길이는 상기 각 단차홈부(112c,122c)의 축방향 최대 길이를 합산한 길이 이하로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각 단차홈부(112c,122c)와 상기 보강단차부(141) 사이에 상기 판스프링(142)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단차홈부(112c,122c)의 직경은 상기 보강단차부(141) 및 상기 판스프링(142)의 두께를 합산한 길이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판스프링(142)이 상기 제1단차홈부(112c) 및 상기 제2단차홈부(122c)의 내주에 지지되어 상기 보강단차부(141)의 외주를 반경방향 내측으로 탄발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판스프링(142)은 상기 보강단차부(141)가 상기 제1단차홈부(112c) 및 상기 제2단차홈부(122c)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보강단차부(141)에 전달되는 제동력에 의해 상기 제1단차홈부(112c) 및 상기 제2단차홈부(122c)의 내주가 마모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동수단에 의해 갑작스런 제동 발생시 회전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보강단차부(141)의 외면을 탄발 지지하여 응력이 감소되므로 결합수단(도 2의 30) 및 상기 핀부재(140)의 변형 내지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커플링용 제동드럼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방지돌기부(223) 및 돌기삽입홈(213a)을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축결합부(220)의 일단부(220a)측 외주 및 커넥팅홀(213)의 내주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회전방지돌기부(223) 및 상기 돌기삽입홈(213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축결합부(220)의 일단부(220a)측 외주에 상기 회전방지돌기부(223)가 돌출되고 상기 커넥팅홀(213)의 내주에 상기 돌기삽입홈(213a)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축결합부(220)의 일단부(220a)측 외주에 돌기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팅홀(213)의 내주에 회전방지돌기부가 돌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세히, 상기 회전방지돌기부(223)는 상기 축결합부(220)의 일단부(220a)측의 외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되며, 축방향 길이는 상기 단차연결부(222) 및 상기 축결합부(220) 일단부(220a)의 끝단 사이 간격에 대응되는 길이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방지돌기부(223)가 복수개로 구비되는 경우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삽입홈(213a)은 상기 커넥팅홀(213)의 내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확장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기삽입홈(213a)은 복수개의 회전방지돌기부(223)에 대응되도록 상기 커넥팅홀(213)의 내주에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기삽입홈(213a)은 상기 회전방지돌기부(223)의 단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내면 프로파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넥팅홀(213)에 대응되도록 축방향으로 양측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방지돌기부(223)는 상기 축결합부(220)가 상기 커넥팅홀(213)에 삽입되면 상기 돌기삽입홈(213a)에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삽입되어 상호 형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회전방지돌기부(223)에 의해 베이스부(212)가 걸림 구속되어 드럼부(211)가 임의로 회전됨이 방지된 상태로 관통홀(도 2의 12a 참조) 및 연통홀(도 2의 22a 참조)과, 제1끼움홈(도 3의 12b 참조) 및 제2끼움홈(도 3의 22b 참조)이 자동으로 정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방지돌기부(223)는 제동드럼부(210)가 상기 축결합부(220)로부터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제동수단의 구동시 결합수단(230) 및 핀부재(240)에 작용하는 응력을 분산하여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동수단의 제동시 축삽입홀(221)에 키결합된 종동축(S)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축결합부(220)의 회전력이 억제되며 상기 결합수단(230) 및 상기 핀부재(240)에 순간적으로 작용하는 응력이 상기 회전방지돌기부(223)에도 분산되어 작용하므로 파손 내지 변형 등이 최소화되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방지돌기부(223)는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되 원주방향 상에 상기 결합수단(230) 및 상기 핀부재(240)와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결합수단(230) 및 상기 핀부재(240)는 상기 커넥팅홀(213)의 테두리에 원주방향을 따라 교번하여 배치되며 상기 회전방지돌기부(223)는 각 결합수단(230) 및 핀부재(240) 사이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동드럼부(210) 및 상기 축결합부(220)에 작용되는 응력이 전체적으로 분산되어 작용할 수 있으므로 응력에 의한 상기 제동드럼부(210) 및 상기 축결합부(220)의 파손이 미연에 방지되어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230)의 결합력 약화가 미연에 방지되어 안정적인 제동이 가능하므로 구동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방지돌기부(223)의 외면에는 간극방지부(223a)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간극방지부(223a)는 연성을 갖는 금속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방지돌기부(223)가 상기 돌기삽입홈(213a)에 삽입되면 상기 돌기삽입홈(213a)의 내면에 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방지돌기부(223)는 상기 간극방지부(223a)에 의해 상기 돌기삽입홈(213a)에 억지 끼움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간극방지부(223a)는 제조 오차 내지 변형 등에 의해 상기 회전방지돌기부(223) 및 상기 돌기삽입홈(213a)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메우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회전방지돌기부(223)는 상기 간극방지부(223a)에 의해 외면과 상기 돌기삽입홈(213a)의 내주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이 방지된 상태로 상기 돌기삽입홈(213a)의 내주에 밀착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동수단의 구동시 상기 간극방지부(223a)에 의해 상기 회전방지돌기부(223)가 상기 돌기삽입홈(213a)의 내주에 충돌되어 마모 내지 파손됨이 방지되거나 간극에 의한 진동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제동에 의한 응력을 완충하도록 지지하여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110,210: 제동드럼부 11,111,211: 드럼부
12,112,212: 베이스부 12a: 관통홀
12b,112b: 제1끼움홈 112c: 제1단차홈부
20,120,220: 축결합부 22,122,222: 단차연결부
22a: 연통홀 22b,122b: 제2끼움홈
122c: 제2단차홈부 223: 회전방지돌기부
30,230: 결합수단 40,140,240: 핀부재
141: 보강단차부 142: 판스프링
100,200,300: 유체 커플링용 제동드럼장치

Claims (5)

  1. 유체 커플링을 통해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종동축이 제동수단의 구동시 선택적으로 제동되도록 설치되는 유체 커플링용 제동드럼장치에 있어서,
    외주에 상기 제동수단의 제동력이 전달되는 드럼부의 내주에 일체로 구비되되 중앙부에 관통 형성된 커넥팅홀의 테두리에 원주방향을 따라 핀부재가 억지 끼움으로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1끼움홈이 형성된 베이스부가 구비되도록 주조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제동드럼부; 및
    중앙부가 상기 종동축과 연결되고, 축방향 일단부는 상기 커넥팅홀에 삽입되되 외주를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일체로 돌출되며 상기 핀부재가 억지 끼움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제1끼움홈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제2끼움홈이 형성된 단차연결부가 구비되도록 단조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축결합부를 포함하는 유체 커플링용 제동드럼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1끼움홈 사이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각 제2끼움홈 사이에는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홀 및 상기 연통홀에는 결합수단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커플링용 제동드럼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끼움홈 및 상기 제2끼움홈의 개구측 테두리에는 상기 핀부재의 외주를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된 보강단차부가 삽입되도록 제1단차홈부 및 제2단차홈부가 확장 형성되며,
    상기 제1단차홈부 및 상기 제2단차홈부에는 상기 보강단차부를 반경방향 내측으로 탄발 지지하는 판스프링이 개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커플링용 제동드럼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결합부의 일단부측 외주 및 상기 커넥팅홀의 내주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방지돌기부 및 돌기삽입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커플링용 제동드럼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돌기부의 외면에는 상기 돌기삽입홈의 내주에 밀착되도록 간극방지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커플링용 제동드럼장치.
KR1020170152080A 2017-11-15 2017-11-15 유체 커플링용 제동드럼장치 KR201900554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080A KR20190055400A (ko) 2017-11-15 2017-11-15 유체 커플링용 제동드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080A KR20190055400A (ko) 2017-11-15 2017-11-15 유체 커플링용 제동드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400A true KR20190055400A (ko) 2019-05-23

Family

ID=66681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2080A KR20190055400A (ko) 2017-11-15 2017-11-15 유체 커플링용 제동드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540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1333A (ko) 2013-07-22 2015-01-30 오르틀링하우스-베르케 게엠베하 결합된 커플링 및 브레이크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1333A (ko) 2013-07-22 2015-01-30 오르틀링하우스-베르케 게엠베하 결합된 커플링 및 브레이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03019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US5980407A (en) Sprocket and brake disc having a function to prevent a warpage
JPH02203029A (ja) 摩擦ライニング支持体とハブを結合するスプリングコレットを備えた摩擦素子
KR100391471B1 (ko) 자동 변속기 다판 클러치의 리턴 스프링
WO2017200012A1 (ja)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EP0096553B1 (en) Disc assemblies for brakes
US3798924A (en) Shaft coupling and element therefor
KR20190055400A (ko) 유체 커플링용 제동드럼장치
KR102150231B1 (ko) 인벌류트 스퍼마운팅 디스크
JP2007071263A (ja) トルク変動吸収ダンパ
JP2001041308A (ja) 動力伝達装置
JP2019502877A (ja) 車両のためのブレーキロータ
EP1083355B1 (en) Flexible coupling for coaxial shafts
JPS6222679Y2 (ko)
JP2009144890A (ja) 摩擦クラッチ装置
EP2003359B1 (en) Centrifugal clutch
JP4932651B2 (ja) 対向ピストン型ディスクブレーキ
JP4240147B2 (ja) 動力伝達機構
US6116395A (en) Clutch disk and a clutch disk assembly
JP4533023B2 (ja) 自動車のドラムブレーキ装置
US6006884A (en) Clutch disk assembly
JP4319046B2 (ja) 自動二輪車のブレーキ装置
WO2019189506A1 (ja) フローティング型ディスクブレーキ
JP2016079986A (ja)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JP2005299807A (ja) デュアルモードダン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