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4915A - 전도성 고분자가 코팅된 친수성 섬유 멤브레인 기반 대면적 전기 에너지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전도성 고분자가 코팅된 친수성 섬유 멤브레인 기반 대면적 전기 에너지 생성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54915A KR20190054915A KR1020180122649A KR20180122649A KR20190054915A KR 20190054915 A KR20190054915 A KR 20190054915A KR 1020180122649 A KR1020180122649 A KR 1020180122649A KR 20180122649 A KR20180122649 A KR 20180122649A KR 20190054915 A KR20190054915 A KR 2019005491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ductive polymer
- hydrophilic fiber
- fiber membrane
- polar solvent
- polymer lay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1/00—Generators or moto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Alleged perpetua mobilia obtained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H02N11/002—Genera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12—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e.g. anisotropy, viscosity or electrical conductivity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4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arbon-to-carbon triple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5/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2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hydrophyl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작 과정인 전도성 고분자 층이 코팅된 친수성 섬유 멤브레인 기반 에너지 생성 장치의 제조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지 공정을 이용하여 전도성 고분자 층이 코팅된 친수성 섬유 멤브레인 기반 에너지 생성 장치의 제조 방법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적층된 에너지 생성 장치가 결합된 대면적 에너지 생성 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4는 일 비교예 1 에 따라 같은 저항 값을 갖는 탄소 입자가 도포된 에너지 생성 장치와 양이온/음이온을 표면에 모두 흡착하는 전도성 고분자인 PANI와 PEDOT:PSS 가 도포된 에너지 생성 장치에 비대칭 젖음을 수행하고 생성 개방 전압을 비교한 결과이다.
도 5는 전도성 고분자 PEDOT:PSS 층이 코팅된 면 직물 (cotton fabric) 에너지 생성 장치의 저항 변화에 따른 물의 비대칭 젖음 생성 개방 전압 측정 결과이다.
도 6은 전도성 고분자 PEDOT:PSS 층이 코팅된 면 직물 (cotton fabric) 에너지 생성 장치의 저항 변화에 따른 물의 비대칭 젖음 생성 개방 단락 전류 측정 결과이다.
도 7은 인체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염을 함유하고 있는 액체인 인공 땀을 전도성 고분자 PEDOT:PSS 층이 코팅된 면 직물 (cotton fabric) 에너지 생성 장치에 활용하여 생성 개방 전압들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8는 대표적인 염을 함유하고 있고 지구상에 충분하게 존재하고 있는 액체인 인공 바닷물을 전도성 고분자 PEDOT:PSS 층이 코팅된 면 직물 (cotton fabric) 에너지 생성 장치에 활용하여 생성 개방 전압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9는 실제 동해와 남해 바닷물을 전도성 고분자 PEDOT:PSS 층이 코팅된 면 직물 (cotton fabric) 에너지 생성 장치에 활용하여 다르게 나타나는 생성 전압 거동을 확인한 결과이다.
Claims (28)
- 전도성 고분자 층이 코팅된 친수성 섬유 멤브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고분자 층의 표면의 극성 용매에 의한 비대칭적인 젖음에 의해, 상기 극성 용매가 젖어 있는 영역의 전도성 고분자에 상기 극성 용매가 흡착됨에 따라, 상기 젖어 있는 영역과 젖어 있지 않은 영역이 서로 반대 극을 형성하여 전기 에너지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생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 층이 코팅된 친수성 섬유 멤브레인에 대한 극성 용매의 젖음은 전도성 고분자 층의 표면에 전기 이중층을 형성시키고, 이로 인해 젖은 영역 (wetted region)과 마른 영역 (dry region) 사이에 캐패시턴스 (capacitance) 차이에 의해 유도된 전압 차이를 만들어 전기 에너지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생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섬유 멤브레인에 함유된 극성 용매의 양이온이 유동함에 의해 유발되는 지속적인 전자의 흐름을 기반으로 전류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생성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이 상기 친수성 섬유 멤브레인의 젖은 영역에서 마른 영역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전하적 중성도를 유지하기 위해 전도성 고분자 내부의 전자가 양이온의 이동과 같은 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생성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 용매는 이온을 함유한 극성 양성자성 용매를 포함하고,
상기 극성 양성자성 용매가 함유하는 양이온이 상기 젖은 영역에서 상기 마른 영역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생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섬유 멤브레인의 젖어 있는 영역 및 상기 친수성 섬유 멤브레인의 젖어 있지 않은 영역과 각각 연결되는 전극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생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 용매는 (1) 폼산 (formic acid), n-부탄올 (n-butanol), 아이소프로판올 (isopropanol), n-프로판올 (n-propanol), 에탄올 (ethanol), 메탄올 (methanol) 및 물 (water) 중 적어도 하나의 극성 양성자성 용매에 이온이 용해된 합성 용액 또는 (2) 바닷물 및 땀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이 자연상에 존재하는 용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생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 층을 구성하는 전도성 고분자 물질은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EDOT:PSS), polyaniline (PANI), polypyrrole (PPy), Poly(p-phenylene vinylene) (PPV), Poly(acetylene)s (PAC) 및 poly(p-phenylene sulfide) (PPS)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전도성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생성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 층은 양이온과 음이온이 동시에 흡착되는 특성을 지니며,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전도성 고분자 물질이 0차원, 1차원 또는 2차원으로 복합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생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 층은 상기 친수성 섬유 멤브레인에 단위 부피당 2.1 mg/cm3 ~ 0.024 mg/cm3 범위내의 전도성 고분자를 적재하여 코팅되고,
상기 적재되는 전도성 고분자의 양을 통해 상기 생성되는 전기 에너지의 전압 및 전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생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섬유 멤브레인은 면 직물 (cotton fabric), 한지 (mulberry paper), 폴리프로필렌 멤브레인 (polypropylene membrane), 산소 플라즈마 처리된 부직포, 친수성 표면 처리가 이루어진 직물, 및 나노 섬유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생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섬유 멤브레인은 비표면적 및 극성 양성자성 용매에 대한 흡수력 향상을 위해 친수성 섬유 가닥으로 이루어지며, 개별 섬유의 표면에 전도성 고분자가 결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생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섬유 멤브레인이 포함하는 친수성 섬유 가닥의 직경은 50 nm 내지 500 μm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생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섬유 멤브레인의 두께는 5 μm 내지 1 mm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생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섬유 멤브레인은 양 극의 비대칭 젖음을 통한 전압 차이를 유지하기 위해 가로 세로의 종횡비가 3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생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섬유 멤브레인에 전도성 고분자 층이 코팅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친수성 섬유 멤브레인을 적층하거나 또는 병렬이나 직렬로 연결하여 생성되는 전기 에너지의 양, 전압, 전력 밀도, 극성 양성자성 용매에 대한 흡수력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생성 장치. - 에너지 생성 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친수성 섬유 멤브레인을 설계한 크기로 절삭하는 단계;
(b) 친수성 섬유 멤브레인을 전도성 고분자 코팅 용액에 침지시켜 친수성 섬유 멤브레인을 구성하는 개별 섬유의 표면에 전도성 고분자 층을 코팅하는 단계;
(c) 전도성 고분자 층이 코팅된 친수성 섬유 멤브레인을 건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고분자 층의 표면의 극성 용매에 의한 비대칭적인 젖음에 의해, 상기 극성 용매가 젖어 있는 영역의 전도성 고분자에 상기 극성 용매가 흡착됨에 따라, 상기 젖어 있는 영역과 젖어 있지 않은 영역이 서로 반대 극을 형성하여 전기 에너지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생성 장치의 제조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 층이 코팅된 친수성 섬유 멤브레인에 대한 극성 용매의 젖음은 전도성 고분자 층의 표면에 전기 이중층을 형성시키고, 이로 인해 젖은 영역 (wetted region)과 마른 영역 (dry region) 사이의 캐패시턴스 (capacitance) 차이에 의해 유도된 전압 차이를 만들어 전기 에너지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생성 장치의 제조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섬유 멤브레인에 함유된 극성 용매의 양이온이 유동함에 의해 유발되는 지속적인 전자의 흐름을 기반으로 전류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생성 장치의 제조방법.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이 상기 친수성 섬유 멤브레인의 젖은 영역에서 마른 영역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전하적 중성도를 유지하기 위해 전도성 고분자 내부의 전자가 양이온의 이동과 같은 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생성 장치의 제조방법.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 용매는 이온을 함유한 극성 양성자성 용매를 포함하고,
상기 극성 양성자성 용매가 함유하는 양이온이 상기 젖은 영역에서 상기 마른 영역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생성 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d) 전도성 고분자 층이 코팅된 친수성 섬유 멤브레인을 두 개 이상 적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에너지 생성 장치의 제조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e) 전도성 고분자 층이 코팅된 복수의 친수성 섬유 멤브레인을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에너지 생성 장치의 제조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표면에 양이온/음이온을 모두 흡착 가능한 전도성 고분자 물질로서,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EDOT:PSS), polyaniline (PANI), polypyrrole (PPy), Poly(p-phenylene vinylene) (PPV), Poly(acetylene)s (PAC) 및 poly(p-phenylene sulfide) (PPS)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전도성 고분자 물질을 물에 분산시켜 0.5~1wt%의 질량비를 갖도록 상기 전도성 고분자 코팅 용액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생성 장치의 제조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친수성 섬유 멤브레인을 상기 전도성 고분자 코팅 용액에 함침시키는 횟수를 조절하여 전도성 고분자의 적재 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생성 장치의 제조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전도성 고분자 층이 코팅된 친수성 섬유 멤브레인을 트레이에 평평하게 위치시킨 후 오븐에서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생성 장치의 제조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 층이 코팅된 친수성 섬유 멤브레인에 연결된 두 전극 중 하나의 전극과 연결된 부분에만 극성 용매를 부분적으로 떨어뜨려 상기 극성 용매에 의해 젖은 부분의 전극과 젖지 않은 부분의 전극을 연결하여 회로를 구성하여 직류 전력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생성 장치의 제조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 용매는 이온을 포함하는 극성 양성자성 용매로서, (1) 폼산 (formic acid), n-부탄올 (n-butanol), 아이소프로판올 (isopropanol), n-프로판올 (n-propanol), 에탄올 (ethanol), 메탄올 (methanol) 및 물 (water) 중에서 선택된 극성 양성자성 용매에 이온이 용해된 합성 용액을 포함하거나 또는 (2) 바닷물이나 땀과 같은 자연에 존재하는 용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생성 장치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6/175,204 US11404222B2 (en) | 2017-11-13 | 2018-10-30 |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ical energy based on hydrophilic fiber membrane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
PCT/KR2018/012965 WO2019093701A1 (ko) | 2017-11-13 | 2018-10-30 | 친수성 섬유 멤브레인 기반 전기 에너지 생성 장치 |
EP18203715.0A EP3482819B1 (en) | 2017-11-13 | 2018-10-31 | Process for generating electrical energy based on hydrophilic fiber membra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0695 | 2017-11-13 | ||
KR20170150695 | 2017-11-13 | ||
KR1020180081432 | 2018-07-13 | ||
KR20180081432 | 2018-07-13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54915A true KR20190054915A (ko) | 2019-05-22 |
KR102172609B1 KR102172609B1 (ko) | 2020-11-02 |
Family
ID=66680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22649A Active KR102172609B1 (ko) | 2017-11-13 | 2018-10-15 | 전도성 고분자가 코팅된 친수성 섬유 멤브레인 기반 대면적 전기 에너지 생성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72609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94805A (ko) * | 2020-01-22 | 2021-07-30 | 한국과학기술원 | 불소계 기능기가 결합된 소수성 표면을 지닌 전도성 산화물이 코팅된 친수성 섬유와 소수성 전극 기반 전기 에너지 생성 장치 및 전기 에너지 생성 장치의 제조 방법 |
US20210344287A1 (en) * | 2020-05-04 | 2021-11-04 |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MXene COATED HYDROPHILIC FIBER MEMBRANE-BASED COMPLEX GEN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N114552937A (zh) * | 2022-02-17 | 2022-05-27 | 南京航空航天大学 | 一种雨滴驱动平板运动的能量收集机构及方法 |
KR20230026173A (ko) * | 2021-08-17 | 2023-02-24 |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태양광 기반의 담수 및 전기 동시 생산을 위한 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50012991A (ko) | 2023-07-18 | 2025-01-31 |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발전 성능이 향상된 수분-유도 발전기 및 이를 이용한 수소 생산 시스템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52917A (ko) * | 2014-10-29 | 2016-05-13 | 전자부품연구원 | 액체 방울을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 |
-
2018
- 2018-10-15 KR KR1020180122649A patent/KR102172609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52917A (ko) * | 2014-10-29 | 2016-05-13 | 전자부품연구원 | 액체 방울을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Guobin Xue et al., Water-evaporation-induced electricity with nanostructured carbon materials, nature nanotechnology Letters 2016, vo.12. pp.317-322.(2017.1.30)* * |
Jiangli Xue et al., Vapor-Activated Power Generation on Conductive Polymer,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2016 vo.27, is.47, pp.8784-8792 (2016.10.28.)* *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94805A (ko) * | 2020-01-22 | 2021-07-30 | 한국과학기술원 | 불소계 기능기가 결합된 소수성 표면을 지닌 전도성 산화물이 코팅된 친수성 섬유와 소수성 전극 기반 전기 에너지 생성 장치 및 전기 에너지 생성 장치의 제조 방법 |
US20210344287A1 (en) * | 2020-05-04 | 2021-11-04 |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MXene COATED HYDROPHILIC FIBER MEMBRANE-BASED COMPLEX GEN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WO2021225315A1 (ko) * | 2020-05-04 | 2021-11-11 | 한국과학기술원 | 맥신이 코팅된 친수성 섬유 멤브레인 기반 복합 발전기 |
US12160187B2 (en) * | 2020-05-04 | 2024-12-03 |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MXene coated hydrophilic fiber membrane-based complex gen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20230026173A (ko) * | 2021-08-17 | 2023-02-24 |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태양광 기반의 담수 및 전기 동시 생산을 위한 시스템 |
CN114552937A (zh) * | 2022-02-17 | 2022-05-27 | 南京航空航天大学 | 一种雨滴驱动平板运动的能量收集机构及方法 |
CN114552937B (zh) * | 2022-02-17 | 2023-09-29 | 南京航空航天大学 | 一种雨滴驱动平板运动的能量收集机构及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72609B1 (ko) | 2020-11-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72609B1 (ko) | 전도성 고분자가 코팅된 친수성 섬유 멤브레인 기반 대면적 전기 에너지 생성 장치 | |
EP3482819B1 (en) | Process for generating electrical energy based on hydrophilic fiber membrane | |
EP3907876B1 (en) | Mxene-coated hydrophilic fiber membrane-based complex gen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2471579B1 (ko) | 다공성 상호 연결된 파형 탄소-기반 네트워크 (iccn) 복합재 | |
Lu et al. | Compact assembly and programmable integration of supercapacitors | |
KR102105762B1 (ko) | 지속적인 자가발전이 가능한 흡수성 물질이 적용된 탄소층이 코팅된 친수성 섬유 멤브레인 기반 복합 발전기 | |
Li et al. | A high-performance flexible fibre-shaped electrochemical capacitor based on electrochemically reduced graphene oxide | |
Hu et al. | Energy and environmental nanotechnology in conductive paper and textiles | |
KR102139866B1 (ko) | 탄소층이 코팅된 친수성 섬유 멤브레인 기반 전기 에너지 생성 장치 | |
KR102557318B1 (ko) | 맥신이 코팅된 친수성 섬유 멤브레인 기반 복합 발전기 | |
KR20180013549A (ko) | 탄소섬유전극, 이를 포함하는 와이어 형태의 수퍼커패시터, 및 상기 수퍼커패시터를 포함하는 no2 센서 및 자외선 센서 | |
Zhou et al. | Polypyrrole doped with dodecyl benzene sulfonate electrodeposited on carbon fibers for flexible capacitors with high-performance | |
KR20200092293A (ko) | 탄소층이 코팅된 친수성 섬유 멤브레인 기반 전기 에너지 생성 장치 | |
US10825614B2 (en) | Energy harvesting device using electroactive polymer nanocomposites | |
WO2011136154A1 (en) | Actuator | |
De et al. | Transition metal oxide/electronically conducting polymer composites as electrode materials for supercapacitors | |
Bae et al. | Flexible sodium‐ion supercapacitor based on polypyrrole/carbon electrode by use of harmless aqueous electrolyte for wearable devices | |
Xu et al. | Structural engineering for high energy and voltage output supercapacitors | |
KR102287473B1 (ko) | 불소계 기능기가 결합된 소수성 표면을 지닌 전도성 산화물이 코팅된 친수성 섬유와 소수성 전극 기반 전기 에너지 생성 장치 및 전기 에너지 생성 장치의 제조 방법 | |
Mondal et al. | IPMC based flexible platform: a boon to the alternative energy solution | |
Qiu et al. | Preparation of activated carbon paper by a novel method and application as high-performance supercapacitors | |
Taj et al. | Electrodes for Flexible Self‐Healable Supercapacitors | |
Chauhan et al. | Approaches and Challenges of Polyaniline–Graphene Nanocomposite for Energy Application | |
Wei et al. | High-Current Water-Enabled Electricity Generation in Mushrooms via Synergistic Ion Sieving and Adsorption | |
KR102292178B1 (ko) | 다공성 고분자 물질 기반 에너지 생성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4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0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10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