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4242A -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용 슬리브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용 슬리브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4242A
KR20190054242A KR1020170150287A KR20170150287A KR20190054242A KR 20190054242 A KR20190054242 A KR 20190054242A KR 1020170150287 A KR1020170150287 A KR 1020170150287A KR 20170150287 A KR20170150287 A KR 20170150287A KR 20190054242 A KR20190054242 A KR 20190054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sleeve
fork
sensor unit
m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0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7298B1 (ko
Inventor
장종희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0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7298B1/ko
Publication of KR20190054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7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7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2Gear shift yokes, e.g. shift for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8Tools; Details, e.g. adaptations of transmissions or g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68Inputs being a function of gearing st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가 갖는 슬리브에 연결된 포크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가 갖는 복수개의 변속기구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 상기 슬리브가 연결되는 연결위치 및 상기 변속기구들 모두로부터 상기 슬리브가 이격되는 중립위치 간에 상기 슬리브가 이동하도록 상기 포크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가 상기 포크부를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포크부와 함께 이동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위치로부터 상기 슬리브가 상기 연결위치와 상기 중립위치 중에서 어느 위치에 위치하였는지에 관한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용 슬리브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용 슬리브 이동장치{Apparatus for Moving Sleeve of Agricultural Vehicle Transmission}
본 발명은 농업용 작업차량의 속도를 조절하는데 이용되는 슬리브를 이동시키기 위한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용 슬리브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농업용 작업차량은 땅을 이용하여 인간 생활에 필요한 작물을 재배하는데 이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콤바인(Combine), 트랙터(Tractor) 등이 농업용 작업차량에 해당한다. 콤바인은 벼, 보리, 밀, 콩 등의 작물을 예취하여 탈곡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트랙터는 견인력을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농업용 작업차량은 작업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토크, 속도 등을 조절하기 위해 변속장치를 포함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100)는 제1변속기구(110), 제2변속기구(120), 슬리브(130), 및 슬리브 이동장치(1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변속기구(110) 및 제2변속기구(120)는 서로 상이한 속도로 변속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슬리브(130)는 상기 제1변속기구(110) 또는 상기 제2변속기구(120)에 연결되는 연결위치, 및 상기 제1변속기구(110)와 상기 제2변속기구(120) 모두로부터 이격되는 중립위치 간에 이동하는 것이다.
상기 슬리브 이동장치(140)는 상기 슬리브(130)를 상기 연결위치 및 상기 중립위치 간에 이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슬리브 이동장치(140)가 상기 슬리브(130)를 상기 연결위치로 이동시키면, 구동은 상기 슬리브(130)로부터 상기 제1변속기구(110) 또는 상기 제2변속기구(12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슬리브 이동장치(140)가 상기 슬리브(130)를 상기 중립위치로 이동시키면, 상기 슬리브(130), 상기 제1변속기구(110), 및 상기 제2변속기구(120) 간에 구동의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여기서,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100)는 상기 슬리브 이동장치(140)가 상기 슬리브(130)를 상기 연결위치 및 상기 중립위치 중에서 어느 위치로 이동시켰는지를 확인하는 수단이 없으므로,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이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슬리브의 위치를 확인 가능하도록 구현되어서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용 슬리브 이동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용 슬리브 이동장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가 갖는 슬리브에 연결된 포크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가 갖는 복수개의 변속기구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 상기 슬리브가 연결되는 연결위치 및 상기 변속기구들 모두로부터 상기 슬리브가 이격되는 중립위치 간에 상기 슬리브가 이동하도록 상기 포크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가 상기 포크부를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포크부와 함께 이동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위치로부터 상기 슬리브가 상기 연결위치와 상기 중립위치 중에서 어느 위치에 위치하였는지에 관한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슬리브가 변속기구에 연결되는 연결위치 및 변속기구로부터 이격되는 중립위치 중에서 어느 위치에 위치하였는지가 확인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슬리브가 실제 위치와 다른 위치에 있는 것으로 운전자가 오인하여 조작 오류를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용 슬리브 이동장치가 구비된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에 대한 개념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용 슬리브 이동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슬리브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에 대한 개념적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용 슬리브 이동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용 슬리브 이동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9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용 슬리브 이동장치에 있어서 감지부 및 센서부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용 슬리브 이동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용 슬리브 이동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용 슬리브 이동장치에 있어서 감지부, 이격부, 및 센서부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용 슬리브 이동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용 슬리브 이동장치(1)는 트랙터, 콤바인 등과 같은 농업용 작업차량(미도시)의 변속장치(100)에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변속장치(100)는 필요에 따라 토크, 속도 등을 조절하여 변속하는 변속기능을 담당하는 것이다. 상기 변속장치(100)는 복수개의 변속기구들(110, 120) 및 슬리브(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용 슬리브 이동장치(1)는 상기 슬리브(130)가 상기 변속기구들(110, 120) 중에서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연결위치, 및 상기 슬리브(130)가 상기 변속기구들(110, 120) 모두로부터 이격되는 중립위치 간에 상기 슬리브(130)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용 슬리브 이동장치(1)는 상기 슬리브(130)에 연결된 포크부(2), 상기 포크부(2)를 이동시키는 이동부(3), 상기 슬리브(130)가 상기 연결위치와 상기 중립위치 중에서 어느 위치에 위치하였는지에 관한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부(4), 및 상기 포크부(2)와 함께 이동하는 감지부(5)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부(3)는 상기 포크부(2)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슬리브(130)를 상기 연결위치 및 상기 중립위치 간에 이동시킨다. 상기 이동부(3)가 상기 포크부(2)를 이동시키면, 상기 감지부(5)는 상기 포크부(2)와 함께 이동한다. 이에 따라, 상기 슬리브(130)가 상기 연결위치 및 상기 중립위치 간에 이동하면, 상기 감지부(5)는 상기 연결위치 및 상기 중립위치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센서부(4)는 상기 감지부(5)의 위치로부터 상기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용 슬리브 이동장치(1)는 상기 슬리브(130)가 상기 연결위치 및 상기 중립위치 중에서 어느 위치에 위치하였는지가 확인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용 슬리브 이동장치(1)는 상기 슬리브(130)가 실제 위치와 다른 위치에 있는 것으로 운전자가 오인하여 조작 오류를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포크부(2), 상기 이동부(3), 상기 감지부(5), 및 상기 센서부(4)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포크부(2)는 상기 슬리브(130)에 연결된 것이다. 상기 포크부(2)는 상기 슬리브(130)를 상기 연결위치 및 상기 중립위치 간에 이동시키는 이동력 전달기능을 갖춤과 동시에 상기 슬리브(130)를 상기 연결위치 또는 상기 중립위치에 위치시키는 지지기능을 갖추도록 상기 슬리브(13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포크부(2)는 포크부재(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크부재(21)는 상기 슬리브(130)에 연결된 것이다. 상기 포크부재(21)에는 상기 슬리브(130)가 삽입되기 위한 슬리브홈(211, 도 3에 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리브홈(211)에 상기 슬리브(130)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포크부재(21)는 상기 슬리브(13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슬리브홈(211)은 전체적으로 반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포크부재(21)와 상기 슬리브(130)가 연결되도록 상기 슬리브(130)가 삽입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포크부(2)는 연결부재(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2)는 상기 포크부재(21)와 상기 이동부(3) 각각에 연결된 것이다. 상기 연결부재(22)는 상기 이동부(3)로부터 이동력을 전달받도록 상기 이동부(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2)는 상기 이동부(3)로부터 전달된 이동력을 상기 포크부재(21)에 전달하도록 상기 포크부재(2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2)는 상기 포크부재(21)로부터 상기 센서부(4) 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포크부재(2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2)는 상기 포크부재(21)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포크부재(21)에 연결될 수도 있고, 상기 포크부재(21)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포크부재(21)에 연결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이동부(3)는 상기 포크부(2)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이동부(3)는 상기 포크부(2)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포크부(2)를 통해 상기 슬리브(130)를 상기 연결위치 및 상기 중립위치 간에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동부(3)는 상기 포크부(2)의 연결부재(22)를 이동시켜서 상기 연결부재(22)를 통해 상기 포크부재(21)를 이동시키고, 상기 포크부재(21)를 통해 상기 슬리브(1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부(3)는 제1전달부재(31, 도 6에 도시됨) 및 삽입부재(32, 도 6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달부재(31)는 상기 연결부재(22)를 이동시키기 위해 전달축(3a, 도 6에 도시됨)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상기 전달축(3a)은 상기 제1전달부재(31)가 배치된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전달축(3a)은 상기 제1전달부재(31)가 배치된 방향에 대해 평행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전달부재(31)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전달축(3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전달부재(31)를 회전시키는 외력은, 운전자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 마련된 조작장치(미도시)를 조작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제1전달부재(31)를 회전시키는 외력은,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자동으로 발생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작업 환경에 따라 작동으로 변속 단수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전달부재(31)를 회전시키는 외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32)는 상기 제1전달부재(31)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삽입부재(32)는 상기 제1전달부재(31)가 상기 전달축(3a)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전달축(3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32)는 상기 전달축(3a)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연결부재(22)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부(3)가 상기 삽입부재(32)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연결부재(22)는 연결공(2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공(221)은 상기 연결부재(22)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32)는 상기 연결공(2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전달축(3a)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연결부재(22)를 가압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재(32)는 상기 연결공(22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전달축(3a)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22)를 가압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 경우, 상기 연결부재(22)는 상기 연결공(221)에 대해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한 제1측벽(222), 및 상기 연결공(221)에 대해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한 제2측벽(2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이다. 상기 삽입부재(32)는 상기 제1측벽(222) 및 상기 제2측벽(223)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연결공(22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32)가 상기 제1측벽(222) 및 상기 제2측벽(223) 모두를 가압하지 않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리브(130)는 상기 변속기구들(110, 120) 모두로부터 이격된 상기 중립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슬리브(130)가 상기 중립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도 6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전달부재(31)가 상기 전달축(3a)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재(32)는 상기 전달축(3a)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연결부재(22)를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22)는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포크부재(21)를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리브(130)는 상기 변속기구들(110, 120) 중에서 제1변속기구(110)에 연결되도록 상기 연결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변속기구(110)는 제2변속기구(120)에 대해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삽입부재(32)는 상기 전달축(3a)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1측벽(222)을 가압하여 상기 연결부재(22) 및 상기 포크부재(21)를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 상기 슬리브(130)가 상기 중립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도 6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전달부재(31)가 상기 전달축(3a)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재(32)는 상기 전달축(3a)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연결부재(22)를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22)는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포크부재(21)를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리브(130)는 상기 제2변속기구(120)에 연결되도록 상기 연결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삽입부재(32)는 상기 전달축(3a)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2측벽(223)을 가압하여 상기 연결부재(22) 및 상기 포크부재(21)를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이동부(3)는 제2전달부재(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전달부재(33)는 상기 제1전달부재(31)를 상기 전달축(3a)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1전달부재(31)는 일측에 상기 삽입부재(32)가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제2전달부재(33)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전달부재(33)는 상기 조작장치로부터 제공된 외력에 의해 상기 전달축(3a)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1전달부재(31)를 상기 전달축(3a)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전달부재(33)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된 외력에 의해 상기 전달축(3a)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1전달부재(31)를 상기 전달축(3a)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전달부재(33)는 상기 전달축(3a)을 중심으로 자전(自轉)하고, 상기 제1전달부재(31)는 상기 전달축(3a)을 중심으로 공전(公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전달부재(33) 및 상기 제1전달부재(31)는 각각 전체적으로 봉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외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연결부재(22) 및 상기 포크부재(21)를 이동시킬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센서부(4)는 상기 감지부(5)의 위치로부터 상기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용 슬리브 이동장치(1)는 상기 센서부(4) 및 상기 감지부(5)를 이용하여 상기 슬리브(130)가 상기 연결위치 및 상기 중립위치 중에서 어느 위치에 위치하였는지가 확인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용 슬리브 이동장치(1)는 상기 슬리브(130)가 실제 위치와 다른 위치에 있는 것으로 운전자가 오인하여 조작 오류를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센서부(4)는 고정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센서부(4)는 상기 이동부(3)가 상기 포크부(2)를 이동시키더라도 이동하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4)는 상기 변속장치(100)가 갖는 케이스(미도시)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4)는 획득한 위치정보를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4)로부터 제공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4)로부터 제공된 위치정보로부터 상기 슬리브(130)가 상기 중립위치에 위치한 것으로 확인하면, 상기 슬리브(130)가 상기 연결위치에 위치한 경우를 전제로 하는 조작행위가 이루어지더라도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이 해당 조작행위에 대응되게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조작행위는 운전자가 상기 조작장치를 조작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슬리브(130)가 상기 중립위치에 위치한 경우를 전제로 하는 조작행위가 이루어지면,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이 해당 조작행위에 대응되게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4)로부터 제공된 위치정보로부터 상기 슬리브(130)가 상기 연결위치에 위치한 것으로 확인하면, 상기 슬리브(130)가 상기 중립위치에 위치한 경우를 전제로 하는 조작행위가 이루어지더라도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이 해당 조작행위에 대응되게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슬리브(130)가 상기 연결위치에 위치한 경우를 전제로 하는 조작행위가 이루어지면,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이 해당 조작행위에 대응되게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 도 9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감지부(5)는 상기 포크부(2)와 함께 이동하는 것이다. 상기 감지부(5)는 상기 이동부(3)가 상기 포크부(2)를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포크부(2)와 함께 이동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슬리브(130)의 위치가 변경되면, 상기 감지부(5)의 위치 또한 함께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슬리브(130)가 상기 연결위치 및 상기 중립위치 간에 이동하면, 상기 감지부(5)는 상기 연결위치 및 상기 중립위치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부(4)는 상기 감지부(5)의 위치로부터 상기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5)는 감지부재(51, 도 9에 도시됨) 및 감지돌기(52, 도 9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재(51)는 상기 포크부(2)가 이동함에 따라 함께 이동하는 것이다. 상기 이동부(3)가 상기 포크부(2)를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슬리브(130)의 위치가 변경되면, 상기 감지부재(51)는 상기 포크부(2)와 함께 이동함에 따라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3)가 상기 포크부(2)를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감지부재(51)는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3)가 상기 포크부(2)를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감지부재(51)는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감지부재(51) 및 상기 포크부(2)는 서로 동일한 방향 및 서로 동일한 거리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재(51)에는 감지면(5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면(511)은 상기 센서부(4) 쪽을 향하는 방향 쪽에 위치한 면(面)이다.
상기 감지부재(51)는 상기 연결부재(2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재(51)는 상기 연결부재(22) 및 상기 센서부(4)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연결부재(22)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감지부재(51)는 상기 감지면(511)이 상기 센서부(4) 쪽을 향하도록 상기 연결부재(2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재(51)는 상기 연결부재(22)의 개방된 일측(22a, 도 5에 도시됨)을 가리도록 상기 연결부재(2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2)의 개방된 일측(22a)은 상기 연결공(221)에 연결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감지부재(51)는 상기 연결공(221)에 삽입된 삽입부재(32)가 상기 연결부재(22)에서 상기 센서부(4)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감지부재(51)는 상기 삽입부재(32)가 상기 연결부재(22)의 개방된 일측(22a)을 통해 상기 연결부재(2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용 슬리브 이동장치(1)는 상기 감지부재(51)를 이용하여 상기 슬리브(130)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감지기능 및 상기 삽입부재(3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용 슬리브 이동장치(1)는 상기 감지기능 및 상기 이탈방지기능을 별도의 구성으로 구현하는 비교예와 대비할 때,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 감지돌기(52)는 상기 감지면(511)으로부터 돌출된 것이다. 상기 감지돌기(52)는 상기 감지면(511)에서 상기 센서부(4) 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감지면(511)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감지돌기(52)는 상기 감지부재(51)가 이동함에 따라 함께 이동하여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슬리브(130)의 위치가 변경되면, 상기 감지돌기(52)의 위치 또한 함께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슬리브(130)가 상기 연결위치 및 상기 중립위치 간에 이동하면, 상기 감지돌기(52)는 상기 연결위치 및 상기 중립위치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부(4)는 상기 감지돌기(52)의 위치로부터 상기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슬리브(130)가 상기 중립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감지돌기(52)는 상기 감지면(511)과 상기 센서부(4)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센서부(4)는 상기 감지돌기(52)를 감지하여 상기 슬리브(130)가 상기 중립위치에 위치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는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센서부(4)는 제1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슬리브(130)가 상기 연결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감지돌기(52)는 상기 감지면(511)과 상기 센서부(4)의 사이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센서부(4)는 상기 감지돌기(52)를 감지하지 못하여 상기 슬리브(130)가 상기 연결위치에 위치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는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센서부(4)는 제2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슬리브(130)가 상기 중립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감지돌기(52)는 상기 감지면(511)과 상기 센서부(4)의 사이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센서부(4)는 상기 감지돌기(52)를 감지하지 못하여 상기 슬리브(130)가 상기 중립위치에 위치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는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센서부(4)는 상기 제1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슬리브(130)가 상기 연결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감지돌기(52)는 상기 감지면(511)과 상기 센서부(4)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센서부(4)는 상기 감지돌기(52)를 감지하여 상기 슬리브(130)가 상기 연결위치에 위치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는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센서부(4)는 상기 제2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감지돌기(52)는 상기 감지면(511)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감지부재(5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감지돌기(52) 및 상기 감지부재(5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감지부재(51)가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감지돌기(52)는 상기 감지부재(51)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감지부재(51)에 비해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4)는 광(光), 자성(磁性) 등을 이용하여 상기 감지돌기(52)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위치정보를 획득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센서부(4)는 상기 감지돌기(52)에 의한 가압 여부에 따라 상기 위치정보를 획득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감지돌기(52)가 상기 감지면(511) 및 상기 센서부(4)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경우에만, 상기 감지돌기(52)가 상기 센서부(4)를 가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센서부(4)는 상기 감지돌기(52)에 의한 가압 여부에 따라 상기 감지돌기(52)를 감지하여 상기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진동, 흔들림, 간섭 가능한 부품 등이 많은 농업용 작업차량의 특성상,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용 슬리브 이동장치(1)는 상기 센서부(4)가 상기 감지돌기(52)에 의한 가압 여부에 따라 상기 위치정보를 획득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슬리브(130)의 위치를 확인하는 작업에 대한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센서부(4)가 상기 감지돌기(52)에 의한 가압 여부에 따라 상기 감지돌기(52)를 감지하여 상기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감지부재(51)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감지돌기(52)는 상기 감지면(511)에서 상기 센서부(4) 쪽으로 돌출될수록 크기가 감소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감지부재(51)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감지돌기(52)의 양쪽에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슬리브(130)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감지돌기(52)가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감지돌기(52) 및 상기 센서부(4)가 충돌로 인해 과한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 도 12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감지부(5)는 감지홈(53, 도 9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홈(53)은 상기 감지면(511)에 형성된 것이다. 상기 감지홈(53)은 상기 감지부재(51)가 이동함에 따라 함께 이동하여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슬리브(130)의 위치가 변경되면, 상기 감지홈(53)의 위치 또한 함께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슬리브(130)가 상기 연결위치 및 상기 중립위치 간에 이동하면, 상기 감지홈(53)은 상기 연결위치 및 상기 중립위치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부(4)는 상기 감지홈(53)의 위치로부터 상기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슬리브(130)가 상기 중립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감지홈(53)은 상기 감지면(511)과 상기 센서부(4)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센서부(4)는 상기 감지홈(53)을 감지하여 상기 슬리브(130)가 상기 중립위치에 위치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는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센서부(4)는 상기 제1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슬리브(130)가 상기 연결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감지홈(53)은 상기 감지면(511)과 상기 센서부(4)의 사이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센서부(4)는 상기 감지홈(53)을 감지하지 못하여 상기 슬리브(130)가 상기 연결위치에 위치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는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센서부(4)는 상기 제2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슬리브(130)가 상기 중립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감지홈(53)은 상기 감지면(511)과 상기 센서부(4)의 사이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센서부(4)는 상기 감지홈(53)을 감지하지 못하여 상기 슬리브(130)가 상기 중립위치에 위치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는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센서부(4)는 상기 제1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슬리브(130)가 상기 연결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감지홈(53)은 상기 감지면(511)과 상기 센서부(4)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센서부(4)는 상기 감지홈(53)을 감지하여 상기 슬리브(130)가 상기 연결위치에 위치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는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센서부(4)는 상기 제2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감지홈(53)은 상기 감지면(511)에 소정 깊이로 홈을 가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재(51)가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감지홈(53)은 상기 감지부재(51)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감지부재(51)에 비해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4)는 광(光), 자성(磁性) 등을 이용하여 상기 감지홈(53)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위치정보를 획득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센서부(4)는 상기 감지면(511)에 의한 가압 여부에 따라 상기 위치정보를 획득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감지홈(53)이 상기 감지면(511) 및 상기 센서부(4)의 사이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면, 상기 감지면(511)이 상기 센서부(4)를 가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감지홈(53)이 상기 감지면(511) 및 상기 센서부(4)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면, 상기 감지홈(53)에 상기 센서부(4)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센서부(4)를 가압하는 가압력이 소멸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센서부(4)는 상기 감지면(511)에 의한 가압 여부에 따라 상기 감지홈(53)을 감지하여 상기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4)가 상기 감지면(511)에 의한 가압 여부에 따라 상기 감지홈(53)을 감지하여 상기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감지부재(51)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감지홈(53)은 상기 감지면(511)으로부터 함몰될수록 크기가 감소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감지부재(51)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감지홈(53)의 양쪽에는 경사면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슬리브(130)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감지홈(53)이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감지면(511) 및 상기 센서부(4)가 충돌로 인해 과한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 도 9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감지부(5)는 상기 감지돌기(52) 및 상기 감지홈(53) 모두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감지홈(53)은 상기 감지면(511)에 홈을 가공하지 않고, 상기 감지돌기(52)가 상기 감지면(511)으로부터 돌출됨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감지홈(53)은 상기 감지부재(51)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감지돌기(52)의 옆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4)는 상기 감지돌기(52) 및 상기 감지홈(53)의 위치로부터 상기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슬리브(130)가 상기 중립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감지돌기(52)가 상기 센서부(4)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센서부(4)는 상기 감지돌기(52)를 감지하여 상기 슬리브(130)가 상기 중립위치에 위치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는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센서부(4)는 상기 제1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슬리브(130)가 상기 연결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감지홈(53)이 상기 센서부(4)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센서부(4)는 상기 감지홈(53)을 감지하여 상기 슬리브(130)가 상기 연결위치에 위치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는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센서부(4)는 상기 제2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4)는 상기 감지돌기(52)를 감지하여 못하여 상기 슬리브(130)가 상기 연결위치에 위치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는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슬리브(130)가 상기 중립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감지홈(53)이 상기 센서부(4)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센서부(4)는 상기 감지홈(53)을 감지하여 상기 슬리브(130)가 상기 중립위치에 위치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는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센서부(4)는 상기 제1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4)는 상기 감지돌기(52)를 감지하여 못하여 상기 슬리브(130)가 상기 중립위치에 위치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는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상기 슬리브(130)가 상기 연결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감지돌기(52)가 상기 센서부(4)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센서부(4)는 상기 감지돌기(52)를 감지하여 상기 슬리브(130)가 상기 연결위치에 위치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는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센서부(4)는 상기 제2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재(51)가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감지돌기(52) 및 상기 감지홈(53)은 각각 상기 감지부재(51)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감지부재(51)에 비해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재(51)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감지돌기(52)의 양쪽에 각각 상기 감지홈(53)이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감지부(5)는 상기 감지홈(53)을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감지부재(51)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감지홈(53)의 양쪽에 각각 상기 감지돌기(52)가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감지부(5)는 상기 감지돌기(52)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4)는 광(光), 자성(磁性) 등을 이용하여 상기 감지돌기(52) 및 상기 감지홈(53)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위치정보를 획득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센서부(4)는 상기 감지돌기(52)에 의한 가압 여부에 따라 상기 위치정보를 획득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감지돌기(52)가 상기 센서부(4)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경우에만, 상기 감지돌기(52)가 상기 센서부(4)를 가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센서부(4)는 상기 감지돌기(52)에 의한 가압 여부에 따라 상기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4)가 상기 감지돌기(52)에 의한 가압 여부에 따라 상기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감지부재(51)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감지돌기(52)는 상기 감지면(511)에서 상기 센서부(4) 쪽으로 돌출될수록 크기가 감소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감지부재(51)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감지돌기(52)의 양쪽에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슬리브(130)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감지돌기(52)가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감지돌기(52) 및 상기 센서부(4)가 충돌로 인해 과한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용 슬리브 이동장치(1)는 가이드부(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6)는 상기 포크부재(21)가 직선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부(6)에는 상기 포크부재(21)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전달부재(31)가 상기 전달축(3a)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연결부재(22)를 이동시키면, 상기 포크부재(21)는 상기 가이드부(6)를 따라 직선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슬리브(130)를 직선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용 슬리브 이동장치(1)는 상기 제1전달부재(31)가 상기 전달축(3a)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포크부(2)에 외력을 전달하도록 구현되더라도, 상기 포크부(2) 및 상기 슬리브(130)가 직선으로 이동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포크부재(21)가 상기 가이드부(6)를 따라 직선으로 이동하므로, 상기 연결부재(22) 및 상기 감지부(5) 또한 상기 가이드부(6)를 따라 직선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부(6)는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포크부재(21), 상기 연결부재(22), 및 상기 감지부(5)는 상기 가이드부(6)에 의해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직선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6)는 전체적으로 봉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포크부재(21)가 직선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부(6)는 레일(Rail)일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용 슬리브 이동장치(1)는 상기 포크부재(21), 상기 연결부재(22), 상기 센서부(4), 상기 감지부재(51), 및 상기 가이드부(6)의 배치 형태에 따라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제1실시예에 관해 도 15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상기 포크부재(21)는 상기 가이드부(6)에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은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에 평행한 축 방향이다. 이 경우,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서로 평행하면서 서로 반대되는 방향이다. 상기 연결부재(22)는 상기 포크부재(21)에서 상기 센서부(4)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포크부재(2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재(51)는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부재(22)와 상기 센서부(4)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연결부재(2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축 방향이다. 상기 감지돌기(52) 및 상기 감지홈(53)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부재(22)와 상기 센서부(4)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음, 제2실시예에 관해 도 16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상기 포크부재(21)는 상기 감지부재(51)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재(5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포크부재(21)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감지돌기(52) 및 상기 감지홈(53)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상기 포크부재(21)로부터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센서부(4)는 상기 포크부재(21)로부터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재(51)는 상기 가이드부(6)에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6)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감지부재(51)의 양측을 가이드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있어서, 제1실시예는 제2실시예와 대비할 때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제2실시예는 상기 가이드부(6)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감지부재(51)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감지부재(51)의 양측에 배치된다. 또한, 제2실시예는 상기 감지부재(51)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포크부재(21)로부터 돌출되게 배치된다. 상기 감지돌기(52) 및 상기 감지홈(53)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상기 포크부재(21)로부터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제2실시예는 전체적으로 상기 감지부재(51)의 길이 및 상기 가이드부(6)의 길이를 합친 길이를 갖도록 구현된다.
이에 관해, 제1실시예는 상기 가이드부(6)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포크부재(21)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포크부재(21)로부터 돌출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감지돌기(52) 및 상기 감지홈(53)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부재(22)와 상기 센서부(4)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므로, 상기 감지부재(5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부(6)의 양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제1실시예는 전체적으로 상기 가이드부(6)의 길이를 갖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제1실시예는 제2실시예에 비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전체적인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제2실시예는 상기 감지부재(51)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포크부재(21)로부터 돌출되게 배치되지만, 상기 포크부재(21)가 상기 감지부재(51)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제2실시예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포크부재(21)로부터 돌출된 부품에 추가적으로 상기 포크부재(21)를 직선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가이드부(6)가 구비되어야 하는 구조이다.
이에 관해, 제1실시예는 상기 가이드부(6)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포크부재(21)로부터 돌출되게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포크부재(21)가 상기 가이드부(6)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제1실시예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포크부재(21)로부터 돌출된 부품을 이용하여 상기 포크부재(21)를 직선으로 이동시키는 구조이다. 이에 따라, 제1실시예는 제2실시예에 비해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5를 참고하면, 제1실시예는 상기 감지부재(51)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연결부재(22)에 비해 더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감지부재(51)는 상기 연결부재(22)로부터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연결부재(2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감지부재(51)는 상기 센서부(4)가 상기 감지돌기(52) 및 상기 감지홈(53)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위치로부터 상기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충분한 길이를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감지부(5)는 보강부재(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54)는 상기 연결부재(22)에 대해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감지부재(51) 및 상기 연결부재(22)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 감지부재(51)에서 상기 연결부재(22)로부터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은, 상기 보강부재(5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즉, 상기 보강부재(54)는 상기 감지부재(51)에 대한 지지력을 강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실시예는 상기 센서부(4)가 상기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상기 감지부재(51)가 충분한 길이로 구현됨과 아울러, 상기 감지부재(51)의 길이 증대로 인해 상대적으로 지지력이 약해지는 부분을 상기 보강부재(54)를 통해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54)는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을 향할수록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길이가 증대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도 17 내지 도 19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용 슬리브 이동장치(1)는 이격부(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격부(7)는 상기 감지부재(51)와 상기 센서부(4)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감지부재(51)와 상기 센서부(4)를 이격시키는 것이다. 상기 센서부(4)는 상기 이격부(7)를 통해 상기 감지부재(51)의 위치에 따라 상기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용 슬리브 이동장치(1)는 상기 이격부(7)를 통해 상기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면서도 상기 감지부재(51)와 상기 센서부(4)가 서로 이격된 거리를 늘릴 수 있으므로, 상기 감지부재(51)와 상기 센서부(4)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 설치된 다른 부품에 간섭되는 정도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이격부(7)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격부(7)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감지부재(51)와 상기 센서부(4)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감지부재(51)와 상기 센서부(4)를 이격시킬 수 있다.
상기 이격부(7)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고정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격부(7)는 상기 이동부(3)가 상기 포크부(2)를 이동시키더라도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항)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이격부(7)는 상기 변속장치(100)가 갖는 케이스에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격부(7)는 상기 감지부재(51)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케이스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이격부(7)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됨과 동시에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격부(7)는 상기 감지부재(51)의 위치에 따라 상기 센서부(4)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슬리브(130)가 상기 연결위치 및 상기 중립위치 간에 이동하면, 상기 이격부(7)는 상기 감지부재(51)의 위치에 따라 상기 센서부(4) 쪽으로 이동할 수도 있고, 상기 감지부재(51) 쪽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부(4)는 상기 이격부(7)에 의한 가압 여부에 따라 상기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슬리브(130)가 상기 중립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감지돌기(52)가 상기 이격부(7)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격부(7)는 상기 감지돌기(52)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센서부(4)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격부(7)가 상기 센서부(4)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4)는 상기 이격부(7)에 의한 가압을 감지하여 상기 슬리브(130)가 상기 중립위치에 위치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는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센서부(4)는 상기 제1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슬리브(130)가 상기 연결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감지홈(53)이 상기 이격부(7)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격부(7)는 상기 감지홈(53)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감지부재(51)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격부(7)가 상기 센서부(4)를 가압하는 가압력이 소멸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4)는 상기 이격부(7)에 의한 가압이 소멸된 것을 감지하여 상기 슬리브(130)가 상기 연결위치에 위치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는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센서부(4)는 상기 제2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슬리브(130)가 상기 중립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감지홈(53)이 상기 이격부(7)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격부(7)는 상기 감지홈(53)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감지부재(51)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격부(7)가 상기 센서부(4)를 가압하는 가압력이 소멸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4)는 상기 이격부(7)에 의한 가압이 소멸된 것을 감지하여 상기 슬리브(130)가 상기 중립위치에 위치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는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센서부(4)는 상기 제1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슬리브(130)가 상기 연결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감지돌기(52)가 상기 이격부(7)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격부(7)는 상기 감지돌기(52)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센서부(4)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격부(7)가 상기 센서부(4)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4)는 상기 이격부(7)에 의한 가압을 감지하여 상기 슬리브(130)가 상기 연결위치에 위치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는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센서부(4)는 상기 제2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공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이격부(7)는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센서부(4)에서 상기 감지부재(51)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이격부(7)를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격부(7)가 상기 감지돌기(52)에 지지되면, 상기 이격부(7)는 상기 센서부(4) 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탄성부재를 압축시킬 수 있다. 상기 이격부(7)가 상기 감지홈(53)에 삽입되면, 상기 이격부(7)는 상기 탄성부재가 복원력에 의해 인장됨에 따라 상기 감지부재(51)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이격부(7)는 상기 센서부(4)가 갖는 탄성체가 복원력에 의해 인장됨에 따라 상기 센서부(4)에 의해 밀려서 상기 감지부재(51) 쪽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이격부(7)는 별도의 탄성부재 없이 상기 센서부(4)가 갖는 탄성체에 의해 탄성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용 슬리브 이동장치
2 : 포크부 3 : 이동부
4 : 센서부 5 : 감지부
6 : 가이드부 7 : 이격부
21 : 포크부재 22 : 연결부재
31 : 제1전달부재 32 : 삽입부재
33 : 제2전달부재 51 : 감지부재
52 : 감지돌기 53 : 감지홈
54 : 보강부재 511 : 감지면

Claims (13)

  1.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100)가 갖는 슬리브(130)에 연결된 포크부(2);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100)가 갖는 복수개의 변속기구들(110, 120) 중에서 어느 하나에 상기 슬리브(130)가 연결되는 연결위치 및 상기 변속기구들(110, 120) 모두로부터 상기 슬리브(130)가 이격되는 중립위치 간에 상기 슬리브(130)가 이동하도록 상기 포크부(2)를 이동시키는 이동부(3);
    상기 이동부(3)가 상기 포크부(2)를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포크부(2)와 함께 이동하는 감지부(5); 및
    상기 감지부(5)의 위치로부터 상기 슬리브(130)가 상기 연결위치와 상기 중립위치 중에서 어느 위치에 위치하였는지에 관한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부(4)를 포함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용 슬리브 이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5)는 상기 센서부(4)를 향하는 방향 쪽에 감지면(511)이 형성된 감지부재(51), 및 상기 감지면(511)으로부터 돌출된 감지돌기(52)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재(51)는 상기 포크부(2)가 이동함에 따라 함께 이동하며,
    상기 감지돌기(52)는 상기 감지부재(51)가 이동함에 따라 함께 이동하여 위치가 변경되고,
    상기 센서부(4)는 상기 감지돌기(52)의 위치로부터 상기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용 슬리브 이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5)는 상기 센서부(4)를 향하는 방향 쪽에 감지면(511)이 형성된 감지부재(51), 및 상기 감지면(511)에 형성된 감지홈(53)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재(51)는 상기 포크부(2)가 이동함에 따라 함께 이동하며,
    상기 감지홈(53)은 상기 감지부재(51)가 이동함에 따라 함께 이동하여 위치가 변경되고,
    상기 센서부(4)는 상기 감지홈(53)의 위치로부터 상기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용 슬리브 이동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재(51)와 상기 센서부(4)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감지부재(51)와 상기 센서부(4)를 이격시키는 이격부(7)를 포함하고,
    상기 이격부(7)는 상기 감지돌기(52)의 위치에 따라 상기 센서부(4)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되, 상기 감지돌기(52)에 지지되면 상기 센서부(4)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센서부(4)를 가압하며,
    상기 센서부(4)는 상기 이격부(7)에 의한 가압 여부에 따라 상기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용 슬리브 이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돌기(52)는 상기 슬리브(130)가 상기 중립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이격부(7)를 지지하여 상기 센서부(4) 쪽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감지면(511)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용 슬리브 이동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5)는 상기 감지부재(51)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감지돌기(52)의 옆에 배치된 감지홈(53)을 포함하고,
    상기 이격부(7)는 상기 감지홈(53)에 삽입되면 상기 센서부(4)를 가압하는 가압력이 소멸하도록 상기 감지부재(51)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용 슬리브 이동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7)는 상기 슬리브(130)가 상기 중립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감지홈(53)에 삽입되어서 상기 감지부재(51) 쪽으로 이동하고, 상기 슬리브(130)가 상기 연결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감지돌기(52)에 지지되어서 상기 센서부(4)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용 슬리브 이동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부(2)는 상기 슬리브(130)에 연결된 포크부재(21), 및 상기 포크부재(21)와 상기 이동부(3) 각각에 연결된 연결부재(22)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3)는 상기 연결부재(22)를 이동시켜서 상기 포크부재(21)를 이동시키며,
    상기 감지부(5)는 상기 연결부재(22)와 상기 센서부(4)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연결부재(22)에 결합된 감지부재(5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용 슬리브 이동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부재(21)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가이드부(6)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3)는 상기 포크부재(21)를 이동시키기 위해 전달축(3a)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전달부재(31)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6)는 상기 제1전달부재(31)가 상기 전달축(3a)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포크부재(21), 상기 연결부재(22), 및 상기 감지부(5)가 직선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포크부재(21)를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용 슬리브 이동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3)는 상기 연결부재(22)를 이동시키기 위해 전달축(3a)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전달부재(31), 및 상기 제1전달부재(31)가 상기 전달축(3a)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전달축(3a)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1전달부재(31)에 결합된 삽입부재(32)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22)는 상기 삽입부재(32)가 삽입되기 위한 연결공(221)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공(221)은 상기 삽입부재(32)가 상기 전달축(3a)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연결부재(22)를 가압하여 이동시키도록 상기 연결부재(22)를 관통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용 슬리브 이동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22)는 상기 센서부(4) 쪽을 향하는 일측(22a)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감지부재(51)는 상기 연결부재(22)의 일측(22a)을 가리도록 상기 연결부재(22)에 결합되되, 상기 연결공(221)에 삽입된 삽입부재(32)가 상기 연결부재(22)에서 상기 센서부(4)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용 슬리브 이동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재(51)는 상기 포크부재(21)가 이동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연결부재(22)에 비해 더 긴 길이로 형성되되, 상기 포크부재(21)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연결부재(22)로부터 제1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연결부재(22)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용 슬리브 이동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5)는 상기 감지부재(51) 및 상기 연결부재(22) 각각에 결합된 보강부재(54)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54)는 상기 연결부재(22)에 대해 상기 제1방향 쪽에 위치하여 상기 감지부재(51) 및 상기 연결부재(22) 각각에 결합되어서 상기 감지부재(51)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용 슬리브 이동장치.
KR1020170150287A 2017-11-13 2017-11-13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용 슬리브 이동장치 KR102357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287A KR102357298B1 (ko) 2017-11-13 2017-11-13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용 슬리브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287A KR102357298B1 (ko) 2017-11-13 2017-11-13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용 슬리브 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242A true KR20190054242A (ko) 2019-05-22
KR102357298B1 KR102357298B1 (ko) 2022-01-27

Family

ID=66680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0287A KR102357298B1 (ko) 2017-11-13 2017-11-13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용 슬리브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729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6393A (ko) * 1997-06-06 1999-01-25 그렉 지에기엘레브스키 단일 레일 시프트 오퍼레이터 조립체
KR20140124666A (ko) * 2013-04-17 2014-10-2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동심축을 이용한 농기계의 변속레버 어셈블리
KR101538228B1 (ko) * 2013-11-04 2015-07-20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기어 변속 시스템 및 그것의 기어 변속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6393A (ko) * 1997-06-06 1999-01-25 그렉 지에기엘레브스키 단일 레일 시프트 오퍼레이터 조립체
KR20140124666A (ko) * 2013-04-17 2014-10-2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동심축을 이용한 농기계의 변속레버 어셈블리
KR101538228B1 (ko) * 2013-11-04 2015-07-20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기어 변속 시스템 및 그것의 기어 변속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7298B1 (ko) 2022-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2176B1 (ko) 인간-기계 인터페이스를 위한 회전/푸시 작동 장치
CN101730807B (zh) 电子变速杆模块
EP2660091B1 (en) Shifting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
JP5843283B2 (ja) 車両用入力装置
CN104379383A (zh) 车辆用换挡装置
SE510069C2 (sv) Manöveranordning samt användningen av manöveranordningen i ett motorfordon
CN102026762A (zh) 工具机,尤其手持式工具机
AU2002228776A1 (en) Joystick steering on power machine with filtered steering input
KR102189286B1 (ko) 트랙터용 변속 액추에이터
CN109458453A (zh) 车用换挡装置
KR20190054242A (ko)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용 슬리브 이동장치
US9812273B2 (en) Command selector with rotary scroll wheel
US10107388B2 (en) Vehicle shifter assembly
CN101561690B (zh) 多方向输入装置
EP2720241B1 (en) Composite operating device
KR102579361B1 (ko) 차량용 변속레버의 위치결정장치
JP6054787B2 (ja) 変速操作装置
JP2007172231A (ja) コントロールレバー装置
CN109751403B (zh) 电子自动变速系统
WO2017138460A1 (ja) スイッチ機構
KR101406438B1 (ko) 차량용 페달 장치
KR101520192B1 (ko) 변속제어모듈
KR20200131364A (ko) 케이블의 위치 검출 장치 및 전자식 수동변속기의 시프트케이블용 위치 검출 장치
KR20200045626A (ko) 멀티 펑션 조이스틱 스위치 유니트
JPH0647767U (ja) シフトレバ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