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4203A - 거푸집 간격 유지장치 - Google Patents

거푸집 간격 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4203A
KR20190054203A KR1020170150200A KR20170150200A KR20190054203A KR 20190054203 A KR20190054203 A KR 20190054203A KR 1020170150200 A KR1020170150200 A KR 1020170150200A KR 20170150200 A KR20170150200 A KR 20170150200A KR 20190054203 A KR20190054203 A KR 20190054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member
fixing
panel
slider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0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환
Original Assignee
이명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환 filed Critical 이명환
Priority to KR1020170150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4203A/ko
Publication of KR20190054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2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 E04G17/065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 E04G2017/060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거푸집 간격 유지장치가 개시된다. 거푸집 간격 유지장치는, 콘크리트 몰탈을 사이에 두고 마주한 상태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패널부재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패널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외표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간격 유지봉과, 간격 유지봉에 삽입된 상태에서 패널부재의 외측에 위치되는 지지부재와, 지지부재를 패널부재 방향으로 가압 고정하는 제1 고정부와, 마주하는 패널부재의 사이 위치에서 간격 유지봉에 삽입된 상태에서 패널부재의 간격 유지된 상태를 고정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거푸집 간격 유지장치{APPARATUS FOR MAINTAINING SPACE OF FORMWORK}
본 발명은 콘크리트의 양생 작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거푸집 간격 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푸집 패널은 건축물의 철골, 철근 등을 설치한 후 그 외부를 둘러싸서 토건 구조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틀을 말한다.
거푸집 패널은 일정한 크기를 갖는 판재를 기본으로 하고, 판재의 변형을 막기 위해 판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각목을 부착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토건 공사를 보면, 철근을 결합한 철근 구조물을 수용하는 형태로 거푸집을 설치한다.
거푸집 내부에는 콘크리트 몰탈을 투입하며, 일정 시간의 양생 과정을 거친 후, 거푸집은 제거된다.
거푸집은 제거될 때까지 그 형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거푸집을 고정하는 장치가 별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거푸집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가 설치되어도, 거푸집 패널의 사이 간격이 유동되는 경우가 빈번하여 콘크리트 몰탈의 양생 작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10-1755373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콘크리트 몰탈의 양생 과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거푸집 간격 유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콘크리트 몰탈을 사이에 두고 마주한 상태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패널부재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패널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외표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간격 유지봉과, 간격 유지봉에 삽입된 상태에서 패널부재의 외측에 위치되는 지지부재와, 지지부재를 패널부재 방향으로 가압 고정하는 제1 고정부와, 마주하는 패널부재의 사이 위치에서 간격 유지봉에 삽입된 상태에서 패널부재의 간격 유지된 상태를 고정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한다.
제2 고정부는, 간격 유지봉의 나사산에 나사 결합으로 삽입되며 일방향 회전에 따라 패널부재를 상기 제1 고정부의 사이에서 위치 고정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고정부는, 복수개의 패널부재의 사이에서 간격 유지봉에 나사 결합으로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패널부재에 가압 고정되는 복수개의 슬라이더와, 패널부재를 사이에 두고 슬라이더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간격 유지봉에 고정되는 스토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더는 패널부재 방향으로 직경이 확장되는 원추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부재는 간격 유지봉에 나사 결합을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 플레이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널부재의 사이에 충진된 콘크리트 몰탈의 양생 작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바, 콘크리트의 양생 작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거푸집을 구성하는 패널부재들의 사이 간격이 간격 유지봉에 설치되는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에 의해 적절하게 위치 조절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 가능한 바, 콘크리트의 양생 작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거푸집을 구성하는 한 쌍의 패널부재의 내측을 고정하는 제2 고정부의 슬라이더를 원추형으로 형성하여, 패널부재의 사이 간격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양생 작업 중 패널부재의 사이 간격의 적절한 유지에 따라 양생 작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간격 유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거푸집 간격 유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거푸집 간격 유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거푸집 간격 유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슬라이더의 내부에 콘너트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콘너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슬라이더의 내부에 콘너트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슬라이더의 내부에 콘너트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형의 콘너트에 2개의 형각홈이 형서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형의 콘너트에 4개의 형각홈이 형서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형의 콘너트에 3개의 형각홈이 형서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일부분이 육각형인 육각형 콘너트에 형각홈이 형성되어 슬라이더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부분이 육각형인 육각형 콘너트에 2개의 형각홈이 형서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부분이 육각형인 육각형 콘너트에 3개의 형각홈이 형서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부분이 육각형인 육각형 콘너트에 6개의 형각홈이 형서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일부분이 사각형인 사각형 콘너트에 형각홈이 형성되어 슬라이더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부분이 사각형인 사각형 콘너트에 2개의 형각홈이 형서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부분이 사각형인 사각형 콘너트에 4개의 형각홈이 형서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간격 유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간격 유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거푸집 간격 유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거푸집 간격 유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거푸집 간격 유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간격 유지 장치(100)는, 콘크리트 몰탈을 사이에 두고 마주한 상태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패널부재(10)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패널부재(1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외표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간격 유지봉(20)과, 간격 유지봉(20)에 삽입된 상태에서 패널부재(10)의 외측에 위치되는 지지부재(30)와, 지지부재(30)를 패널부재(10) 방향으로 가압 고정하는 제1 고정부(40)와, 마주하는 패널부재(10)의 사이 위치에서 간격 유지봉(20)에 삽입된 상태에서 패널부재(10)의 간격 유지된 상태를 고정하는 제2 고정부(5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거푸집 간격 유지장치(100)는 콘크리트 몰탈(11)의 양생 과정에서 콘크리트 몰탈을 지지하는 패널부재(10)의 사이 간격을 적정하게 유지하여 콘크리트의 양생 작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콘크리트 몰탈의 양생 품질의 향상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대해서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간격 유지봉(20)은 콘크리트 몰탈(11)을 사이에 두고 마주한 상태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패널부재(10)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즉, 간격 유지봉(20)은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 패널부재(10)들을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일단은 패널부재(10)들의 일측으로 돌출되고 타단은 패널부재(10)들의 타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간격 유지봉(20)은 패널부재(10)의 사이에서 콘크리트 몰탈(11)에 매립된 매립볼트(21)에 후술하는 제2 고정부(50)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간격 유지봉(20)에는 패널부재(10)들의 설치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재(30)가 설치될 수 있다.
지지부재(30)는 패널부재(10)를 제1 방향에서 지지하는 제1 각재(31)와, 패널부재(10)를 제2 방향으로 지지하는 제2 각재(3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은 패널부재(10)의 높이 방향이고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엇갈리는 가로 방향일 수 있다. 물론,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서로 간에 엇걸리는 방향으로 적절하게 방향 변경이 가능하다.
한편, 지지부재(30)는 제1 고정부(40)에 의해 패널부재(10)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제1 고정부(40)는, 지지부재(30)를 패널부재(10) 방향으로 가압 고정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너트(41)로 고정되는 사각 와셔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제1 고정부와 사각 와셔는 동일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따라서, 사각 와셔(40)의 편평면 부분을 제2 각재(33)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너트(41)를 회전시켜 제2 각재(33)의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2 각재(33)는 직사각 또는 정사각의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사각 와셔(40)는 복수개로 마주한 상태로 배치된 패널부재(1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제2 각재(33)를 패널부재(10) 방향으로 가압 고정할 수 있다.
사각 와셔(40)는 하나의 간격 유지봉(20)에 2개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패널부재(10) 각각의 외측에서 제1 각재(31)와 제2 각재(33)를 패널부재(10)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가압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마주하는 패널부재(10)의 사이에는 제2 고정부(50)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고정부(50)는 마주하는 패널부재(10)의 사이 위치에서 간격 유지봉(20)에 삽입된 상태에서 패널부재(10)의 간격 유지된 상태를 고정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 고정부(50)는, 복수개의 패널부재(10)의 사이에서 간격 유지봉(20)에 나사 결합으로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51)와, 패널부재(10)를 사이에 두고 슬라이더(51)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간격 유지봉(20)에 고정되는 스토퍼부재(53)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더(51)는 일방향 회전에 의해 간격 유지봉(20)을 따라 나사 결합으로 이동되어 패널부재(10)의 내표면을 가압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슬라이더(51)는 패널부재(10)의 내표면을 안정적으로 가압 고정하도록 패널부재(10)에 접촉되는 측면이 최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슬라이더(51)는 패널부재(10)에 접촉되는 부분으로 직경이 점차로 확대되는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바, 패널부재(10)에 접촉되는 일측면이 최대 직경으로 형성되고 패널부재(10)들의 사이 위치로 돌출된 측면이 최소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더(51)는 길이 방향의 내부에 나사산이 내부에 형성된 콘너트(52)가 설치되는 바, 간격 유지봉(20)에 나사 결합으로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도 5는 슬라이더의 내부에 콘너트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콘너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의 슬라이더의 내부에 콘너트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5의 슬라이더의 내부에 콘너트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너트(52)는, 내부에 간격 유지봉(20)이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바 간격 유지봉(20)을 따라 슬라이더(51)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콘너트(52)의 일단에는 'ㄷ' 형상의 홈이 형성된 형각홈(52a)이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노출 콘크리트의 외부에 드러난 둥근 형태를 줄여주는 것이 가능하다.
형각홈(52a)은 콘너트의 일단에 4개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3개 또는 5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콘너트(52)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육각형 또는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육각형 콘너트에 형각홈이 형성되어 슬라이더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형 콘너트(152)에 형성된 형각홈(152a)이 3개로 형성된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형각홈(152a)은 3개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3개 또는 6개 등과 같이 다양한 개수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사각형 콘너트에 형각홈이 형성되어 슬라이더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콘너트(252)에 형성된 형각홈(252a)이 3개로 형성된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형각홈(252a)은 3개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또는 4개 등과 같이 다양한 개수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슬라이더(51)가 고정된 위치에서는 패널부재(10)를 사이에 두고 스토퍼부재(53)가 설치될 수 있다.
스토퍼부재(53)는 패널부재(10)의 외측으로 돌출된 간격 유지봉(20)에 나사 결합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부재(53)는, 간격 유지봉(20)에 나사 결합을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 플레이트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회전 플레이트와 스토퍼부재는 동일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회전 플레이트(53)는 폼타이 너트가 설치되는 것으로, 슬라이더(51)가 패널부재(10)에 가압 고정된 상태에서 패널부재(10)를 사이에 두고 슬라이더(51)에 대향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패널부재(10)는 2개가 마주한 상태로 제1 고정부(40)와 제2 고정부(50)의 고정 작용에 의해 안정적인 간격 유지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패널부재(10)의 사이에 충진된 콘크리트 몰탈(11)의 양생 작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바, 콘크리트의 품질 향상이 가능하다.
또한, 제1 고정부(40)와 제2 고정부(50)는 패널부재(10)들의 사이 간격에 따라 간격 유지봉(20)에 적절하게 위치 조절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 가능한 바, 콘크리트의 양생 작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간격 유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8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간격 유지장치(200)의 제2 각재(133)는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각재(133)는 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절한 곡률의 라운드 형상으로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2 각재(133)가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고정부(40)의 가압에 따라 제2 각재(133)의 가압 과정에서 보다 효과적인 가압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패널부재 11...콘크리트 몰탈
20...간격 유지봉 21...매립볼트
30...지지부재 31...제1 각재
33, 133...제2 각재 40...제1 고정부, 사각와셔
41...너트 50...제2 고정부
51...슬라이더 53...스토퍼부재, 회전 플레이트

Claims (4)

  1. 콘크리트 몰탈을 사이에 두고 마주한 상태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패널부재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패널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외표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간격 유지봉;
    상기 간격 유지봉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패널부재의 외측에 위치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패널부재 방향으로 가압 고정하는 제1 고정부; 및
    마주하는 상기 패널부재의 사이 위치에서 상기 간격 유지봉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패널부재의 간격 유지된 상태를 고정하는 제2 고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간격 유지봉의 나사산에 나사 결합으로 삽입되며, 일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패널부재를 상기 제1 고정부의 사이에서 위치 고정하는 슬라이더;
    를 포함하는 거푸집 간격 유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는,
    복수개의 상기 패널부재의 사이에서 상기 간격 유지봉에 나사 결합으로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패널부재에 가압 고정되는 복수개의 슬라이더; 및
    상기 패널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슬라이더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간격 유지봉에 고정되는 스토퍼부재;
    를 포함하는 거푸집 간격 유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패널부재 방향으로 직경이 확장되는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거푸집 간격 유지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재는 상기 간격 유지봉에 나사 결합을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 플레이트인 거푸집 간격 유지장치.

KR1020170150200A 2017-11-12 2017-11-12 거푸집 간격 유지장치 KR201900542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200A KR20190054203A (ko) 2017-11-12 2017-11-12 거푸집 간격 유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200A KR20190054203A (ko) 2017-11-12 2017-11-12 거푸집 간격 유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203A true KR20190054203A (ko) 2019-05-22

Family

ID=66680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0200A KR20190054203A (ko) 2017-11-12 2017-11-12 거푸집 간격 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420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73546A (zh) * 2019-06-28 2019-09-24 中国二十冶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模板的加固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5373B1 (ko) 2016-01-26 2017-07-11 일우건업(주) 거푸집 고정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5373B1 (ko) 2016-01-26 2017-07-11 일우건업(주) 거푸집 고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73546A (zh) * 2019-06-28 2019-09-24 中国二十冶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模板的加固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7568Y1 (ko) 일체형 본체볼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유지장치
KR100838961B1 (ko) 착탈식 건식벽체
KR101745242B1 (ko) 가변형 보 거푸집 및 그 시공방법
KR101885992B1 (ko) 거푸집 지지용 서포트
KR20190054203A (ko) 거푸집 간격 유지장치
KR101444895B1 (ko) 탈형 데크플레이트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KR20130022310A (ko) 나사 체결 장치
KR101641339B1 (ko) 거푸집의 간격유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KR101360371B1 (ko) 건축물 커튼월 시공장치
KR101320699B1 (ko) 거푸집과 일체로 합성되는 일체형 본체볼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유지장치
JP2015105552A (ja) 型枠支持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ラブ施工方法
KR101921028B1 (ko) 거푸집구조체
KR20180000638U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난간대
JP2019535969A (ja) エラストマー体および締め付けボルトを有する加圧シール
KR100715788B1 (ko) 거푸집 고정장치
KR101404178B1 (ko) 탈형 데크플레이트
KR20130081410A (ko)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의 연결고정구
JP2013096197A (ja) 連結構造
KR101755111B1 (ko) 결합용 홈볼트
KR101444891B1 (ko) 탈형 데크플레이트용 높이조절식 스페이서
KR20180040242A (ko) 멀티헤드 대각철근
KR200482085Y1 (ko) 콘크리트 기둥 타설용 거푸집 고정밴드
KR101585667B1 (ko) 콘크리트 거푸집 고정용 밴드
WO2017109686A1 (en) Device for assembling downstand beams in formwork for casting floor slabs
JPH07197652A (ja) 型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