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3877A - 내시경 검사용 바늘 홀더 - Google Patents

내시경 검사용 바늘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3877A
KR20190053877A KR1020197010021A KR20197010021A KR20190053877A KR 20190053877 A KR20190053877 A KR 20190053877A KR 1020197010021 A KR1020197010021 A KR 1020197010021A KR 20197010021 A KR20197010021 A KR 20197010021A KR 20190053877 A KR20190053877 A KR 20190053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cross
needle
teeth
toothe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0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8223B1 (ko
Inventor
주안 에르난데스
안드라스 레그너
Original Assignee
앙스티튜 오스삐딸로-유니베르시떼르 드 쉬뤼르지 미니-앙베지브 기드 빠르 리마쥬
일카드, 앙스티튜 드 르쉐르슈 콩트르 레 컨쎄르 드 라빠레이유 디제스티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앙스티튜 오스삐딸로-유니베르시떼르 드 쉬뤼르지 미니-앙베지브 기드 빠르 리마쥬, 일카드, 앙스티튜 드 르쉐르슈 콩트르 레 컨쎄르 드 라빠레이유 디제스티프 filed Critical 앙스티튜 오스삐딸로-유니베르시떼르 드 쉬뤼르지 미니-앙베지브 기드 빠르 리마쥬
Publication of KR20190053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3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8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8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69Suturing instrument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e.g. endoscop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61Holders for needles or sutures, e.g. racks,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2Needle manip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367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 A61B2017/00398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using powered actuators, e.g. stepper motors, solen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62Material properties elastic or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2926Details of heads or ja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절형 조립체를 포함하고, 관절형 조립체는 덕트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1 파지 조 및 가동 코어에 의해 횡방향으로 변위하도록 구동되는 제2 파지 조를 포함하는 굴곡형 바늘을 다루기 위한 내시경 검사용 바늘 홀더로서:
- 상기 조(100, 200)들은 상기 가동 코어(300)를 구비하는 동축의 원통형의 부품들로 이루어지고;
- 상기 제1조(10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주변 치형부(120, 130, 140)를 구비하며,
- 상기 제2조(200)는 복수의 주변 치형부(220, 230, 240)를 구비하는 원통형의 부품들로 구성되고,
상기 제2조(200)는, 치형부의 단부들 사이에서의 조(100, 200)들의 간격이 적어도 바늘(400)의 단면과 같은 간격을 이루도록 이격되는 정지 위치와, 바늘이 굴곡을 유지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길이 방향으로 선형 변위하도록 제1조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Description

내시경 검사용 바늘 홀더
본 발명은 최소 침습 내시경 수술 또는 복강경 검사에서 파지 및 봉합을 위한 바늘 홀더 분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바늘 홀더는 일반적으로 두 개의 관절로 된 조(jaws)가 있는 포셉(forceps)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샤프트의 끝에 위치한다. 조 중에 하나는 고정된 위치에 있고, 다른 하나는 바늘의 그립 표면을 갖는 내시경의 손잡이에 의해 작동된다.
복강경 검사에서 포셉은 단독으로 사용된다; 유연한 내시경 검사에서는 유연한 내시경을 통해 도입된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굴곡형 내시경 검사, 복강경 검사 및 로봇식 검사에 적용되는 굴곡된 봉합 바늘의 내시경 조작을 위한 바늘 홀더에 관한 것이다.
구부러진 바늘이 바늘을 지탱하는 한 쌍의 조 내에서 회전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그러한 바늘을 다루는 것은 숙련된 외과 의사조차도 어려움이 있다.
예를 들어, 줄기부와 한쪽 단부가 개폐기구에 의해 제어되는 한 세트의 조로 구성된 복강경 바늘 홀더를 기술하는 미국 특허 제5257999호가 알려져 있다. 조의 파지 표면은 굴곡형 수술 바늘에 맞게 굴곡져 있다. 하나의 조는 볼록한 형상을 가지고 다른 조는 대응하는 오목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생성된 조의 파지 표면의 형상은 만곡된 수술 바늘을 자동으로 원하는 봉합 위치로 향하게 한다. 조 세트의 형상은, 또한 복강경 수술의 봉합 과정 중에 구부러진 수술 바늘을 쉽게 풀고 잡을 수 있게 한다.
또한, 가요성 바늘을 쥐어서 휴식 상태를 취하는 봉합기구를 기술한 미국 특허 US8480689호가 알려져 있다.
또한, 근위 단부에 배치된 핸들과 원위단 팁에 배치된 바늘 수용기로 구성된 의료용 바늘 홀더에 관한 미국 특허 출원 US2011190794에 개시된 해결수단이 알려져 있다. 바늘 수납 장치는 서로 파지면과 대면하는 제1 및 제2 파지면을 가지며 캐리어의 길이 방향 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한다. 파지면은 길이 방향의 축선 방향으로, 핸들을 통해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미국 특허 출원 US2011270281는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 팁을 갖는 세 장형 몸체부를 갖는 바늘 홀더의 다른 예를 개시한다. 회전 헤드는 몸체부의 말단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작동 부재는 몸체부의 근위 단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액추에이터는 핸들의 조립과 기능적으로 협력하여 회전 헤드의 회전 운동을 허용한다. 회전 헤드는 회전 헤드와 관련하여 이동 바늘과 더 협동한다.
종래 기술의 해결책으로, 외과 의사는 2 개의 조 사이에 바늘을 끼워 넣기 위해 횡방향 피봇에 대해 일반적으로 관절로 된 조를 각을 향하게 하고, 바늘 상의 이들 조를 닫아야 한다.
특히 바늘을 내시경 시야가 낮거나 불편한 위치에 놓여질 때, 조를 방향과 깊이로 향하게 하는 초기 단계는 매우 섬세하며 때로는 수십 분의 시행 착오가 필요하다. 종래 기술의 해결책으로, 바늘의 파지는 조의 대칭 평면에 대응하는 정확한 반경 방향과, 이 궤적에서 중심선으로부터 2 개의 조 사이의 개방 공간으로의 방향으로 행해진다. 외과의사는 바늘에 대해 조를 각과 세로로 배치할 수 있을지라도 조 사이의 바른 위치에 바늘을 위치시키려면 여전히 반경 방향의 운동을 제어해야 한다. 이러한 절차는 내시경 수술에서 특히 민감하고, 바늘이 잘 보이지 않고, 외과의사는 시행 착오 진행 과정에 대한 정보가 거의 없다.
미국 특허 출원 US201190794 또는 US2011270281에 의해 제안된 해결수단은 바늘이 조직 내로 침투하도록 노력하는 즉시 해방되는 경향이 있는 바늘의 유지 관리가 매우 불량하기 때문에 또한 만족스럽지 않다.
이러한 결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가장 일반적인 의미로, 굴곡형 바늘을 처리하기 위한 내시경 검사용 바늘 홀더에 관한 것으로, 바늘 홀더의 일 단부에 제공되는 원격 구동 기구와, 덕트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1 파지 조 및 가동 코어에 의해 횡방향으로 변위하도록 구동되는 제2 파지 조를 포함하는 다른 일 단부에 제공되는 관절형 조립체를 포함하고:
- 상기 조들은 상기 가동 코어를 구비하는 동축의 원통형의 부품들로 이루어지고;
- 상기 제1조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주변 치형부를 구비하고,
- 상기 제2조는 제1조의 치형부에 대해 각도 오프셋(angularly offset)된 복수의 주변 치형부를 구비하는 원통형의 부품들로 구성되고,
- 상기 제2조는 치형부의 단부들 사이에서의 조들의 간격이 적어도 바늘의 단면과 같은 간격을 이루도록 이격되는 정지 위치와, 바늘이 굴곡을 유지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길이 방향의 선형 움직임에 의해 제1조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제1조는 횡방향의 변위에서 고정되고 튜브에 대해 길이 방향의 축에 대한 회전에서 자유도를 가질 수 있다. 튜브에 대해 횡방향 변위에서 구속되고 제2조에 대해(예를 들면 다각형의 줄기부에 의해) 회전에 구속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치형부는 조에 대해 고정되거나 탄성적으로 접어 넣어질 수 있다(retractable).
변형례에 따르면, 상기 제1조는 전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된 복수의 주변 치형부를 가지는 횡방향의 전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2조는 복수의 주변의 치형부를 구비한 횡방향의 면을 가지는 원통형의 부분으로 구성되고;
- 상기 조는, 치형부의 단부들 사이에서의 조들의 간격이 적어도 바늘의 단면과 같은 간격을 이루도록 이격되는 정지 위치와, 바늘이 굴곡형을 유지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길이 방향의 선형 움직임에 의해 이동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해 제안된 해결수단에 의해, 파지단부는 바늘의 위치에 대해 특정 방사상의 방향을 더 이상 요구하지 않는 원형의 지오메트리를 가진다. 두 조 사이에서 통과하는 횡방향 면에서의 바늘의 위치가 어떻든지, 하나 이상의 치형부에 의해 걸림될 수 있고(hooked), 조의 근방은 그것을 단단히 장악하고 붙들 수 있다.
일 변형례에 따르면, 상기 제2조의 치형부는 상기 제1조의 치형부에 대해 각도 오프셋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는 반대편 조의 치형부에 대한 상보적인 위치 및 형상의 주변 홈 및 주변 치형부가 교대로 배치된다(alternation).
유리한 변형례에 따르면, 횡방향 면에서의 상기 치형부는 다각형의 단면을 가진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조는 세 개의 치형부 및 상보적인 조의 치형부를 수용하기 위한 세 개의 홈을 구비한다.
유리한 변형례에 따르면, 치형부의 외부면은 반-원통형이다.
다른 변형례들에 따르면:
- 상기 치형부의 인벨로핑 면은 상기 조의 단면과 동일한 단면을 구비한다. 따라서, 외부면은 대응되는 조의 주변으로 연장되어 돌기가 없는 주변 표면을 구비한다.
- 상기 치형부의 인벨로핑 면은 상기 조의 단면 보다 작은 단면을 구비한다. 이 경우에, 치형부는 대응하는 조의 둘레로부터 오목하게 형성(recessed)되어서, 치형부의 단부가 내시경의 단부에 접촉하여 조직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 상기 치형부의 인벨로핑 면은 상기 조의 단면 보다 큰 단면을 구비한다. 이 경우에, 치형부는 대응되는 조의 주변으로부터 돌출된다. 이는 조에 가까울 때 굴곡형 바늘의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변형례에 따르면, 상기 제2조는 반구형의 단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중공의 장기에 바늘 홀더의 말단 팁(distal tip)을 용이하게 삽입 할 수 있다.
다른 변형례들에 따르면, 방사상 면에서 상기 치형부의 단부는:
- 직사각형의 형상을 구비하고;
- 경사진 내부의 모서리를 구비하여 조를 폐쇄하는 단계 동안에 바늘의 움직이도록 힘을 전달한다.
- 치형부의 단부 및 치형부의 기저 사이에서 폭이 감소하는 총안형의(crenellated) 내부의 모서리를 가진다.
- 확장된 상단부를 가진다.
후자의 두 경우에서, 변형례는 두 개의 조 사이에 결합된 바늘의 유지력을 향상시킨다.
특정 변형례에 따르면, 상기 치형부의 적어도 일부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고, 굴곡형 단부를 구비한다.
이 경우에, 이 치형부는 수축 가능하며 더 큰 단면을 가진 바늘 또는 바늘의 특정 위치에 사용하기 위해 들어갈 수 있다.
일 변형례에 따르면, 치형부와 조 표면 사이의 각은 변하고 및/또는 치형부의 프로파일은 다양하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치형부는 상기 조의 관형 케이싱을 절단함으로써 형성된다. 이 경우 횡단면은 절단된 형상의 모서리로 구성된다.
특정 변형례에 따르면, 상기 제1조는 상기 가동 코어의 단면에 상보적인 다각형 단면의 중심 채널을 구비한다.
또 다른 변형례에 따르면, 상기 치형부 중 적어도 일부는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치형부의 단부는 조의 접선 평면에 경사면을 구비한다.
유리하게는, 각각의 조는 상보적인 경사면을 가지는 치형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조는 제1조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하며, 상보적인 치아의 경사면을 서로 모이게 하는 토크를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특정 변형례에 따르면, 바늘 홀더는 동력 시스템에 연결되도록 이루어진 단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관해 몇몇의 완전하지는 않은 실시예와 관련된 다음의 설명에 의해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바늘 홀더의 구체적인 제1실시예의 원위단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바늘 홀더의 구체적인 제1실시예의 곡선의 바늘을 운반하는 조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바늘 홀더의 구체적인 제1실시예의 전체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바늘 홀더의 구체적인 제1실시예의 제2조의 후방의 3/4 위치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바늘 홀더의 구체적인 제1실시예의 제1조의 전방의 3/4 위치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바늘 홀더의 구체적인 제1실시예의 제1조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바늘 홀더의 구체적인 제1실시예의 제1조의 전방의 3/4 위치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8은 곡선의 바늘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바늘 홀더의 후방의 3/4 위치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9는 곡선의 바늘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바늘 홀더의 정면도.
도 10 및 11은 개방 위치 및 폐쇄 위치에서 각각 조를 가지는 구체적인 제2실시예의 사시도.
도 12 및 13은 개방 위치 및 폐쇄 위치에서 각각 조를 가지는 구체적인 제3실시예의 사시도.
도 14는 곡선의 바늘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바늘 홀더의 사시도.
도 15 및 16은 개방 위치 및 폐쇄 위치에서 각각 조를 가지는 구체적인 제5실시예의 사시도.
도 17 내지 20은 치형부 의 이식을 도시하는 다양한 대안적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1 내지 26은 치형부의 다양한 대안적 실시예의 방사상의 단면도.
도 27 내지 29는 치형부의 다양한 대안적 실시예의 횡방향의 단면도.
[제1실시예]
구체적인 제1실시예가 도 1 내지 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서술될 것이다.
구체적인 제1실시예에 따른 바늘 홀더는 줄기부(300, stem)과 함께 제1 동축 조(100) 및 제2 동축 조(200)로 구성된다.
제1조(100)는 커넥팅 링(2)에 장착된 줄기부(1)의 원위단에 제공되는 커넥팅 링(4)에 장착된다.
제1조(100)는 제2조(200)로 직접 향하도록 평평한 앞면(111)을 형성하는 원통형의 금속체(110)를 구비한다.
이 원통형 몸체(110)에는 120°의 각도로 이격되고 앞면(111)의 주변에 배치되는 세 개의 치형부(120, 130, 140)가 얹혀진다.
세 개의 치형부(120, 130, 140)는 오각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는데:
- 원통형 몸체(110)의 주변 스커트를 연장하는 제1 반-관형 측부(121, 131, 141),
- 방사상 면의 양 측에서 원통형 몸체(110)에 대한 법선면에 대하여 30° 및 70° 사이의 각을 형성하는 제2 및 제3 측부(142, 143),
- 제2 및 제3 측부(122, 132, 143, 123, 133, 143)의 모서리를 중간 모서리(136)에 각각 연결시키는 제4 및 제5 측부(124, 125)를 구비한다.
중간 모서리(126, 136, 146)는 제1측부(121, 131, 141)의 반대측에서 제2조의 내부에 위치된다. 방사상 면은 이런 중앙 능선부(136, ridges) 및 중앙 능선부(136)의 중간 선을 통과한다.
제2조(200)는 고정된 치형부 및 이동 치형부가 교대로 배치되도록 60° 오프셋되고, 제1조(100)의 치형부(120, 130, 140)와 동일한 형상의 세 개의 치형부(220, 230, 240)를 구비하도록 비슷한 구성을 가진다.
제2조(200)는 줄기부(300)의 단면에 상보적인 다각형 단면의 중앙 내부 공간(290, lumen)을 갖는다.
단면이 반대편 조 치형부의 단면에 상보적이고 고정(100) 및 가동(200) 조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반대편 조의 치형부의 결합을 허용하도록 깊이가 형성되는 반대편의 조 홈(150, 160, 170; 250, 260, 270)의 각각의 치형부의 옆에는 고정체(110) 및 가동체(210)가 배치된다.
조(100)의 원통형 몸체(110)는 줄기부(300)의 길이 방향의 축을 따라서 움직임을 허용하도록 육각형 단면의 채널(190)에 의해 줄기부(300)의 육각형 단면에 상보적으로 이루어진다. 제2조(200)의 몸체(210)는 이 줄기부(300)의 단부에 고정된다. 제1조(100) 및 제2조(200) 사이의 각도의 방향은 구체적인 제1실시예에 고정된다.
각각의 조가 세 개의 치형을 가지는 실시예에서, 곡선의 바늘은 연이은 치형부(230, 140, 240, 120) 및 줄기부(300) 사이에 수용되고, 완벽히 제어된 방식으로 바늘이 움직이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안정적인 위치를 보장하도록 줄기부 및 치형부의 블랭크부(blanks)에 대하여 가압된다.
치형부(220, 230, 240)는 다각형의 단면을 가진다. 서술되는 일 예에서, 그들은 각각 5개의 측면(221 내지 225, 231 내지 232, 242, 244)을 구비한다.
바늘 홀더의 앞단은 다음의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배-형상(pear-shaped)의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 핸들에서의 압력 인가에 의해 제1조(100)에 관한 부근 또는 스페이싱에서 제2조(200)의 변위;
- 핸들의 회전에 의해 바늘 홀더의 회전 변위;
- 핸들의 선형 움직임에 의한 바늘 홀더의 축 변위.
바늘 홀더의 변위는 따라서 매우 직관적이고 정확한 조작으로 이어지는 외과 의사의 움직임에 호의적이다.
복강경 변형례의 경우 핸들은 "총"모양을 가질 것이다. 로보틱스 변형례의 경우 바늘 홀더의 앞쪽의 단부는 핸들을 포함하지 않을 것이지만 동력 시스템에 연결된다.
[제2실시예]
도 10 및 11은 곡선의 바늘(400)을 유지하는 2개의 고정(100) 및 가동(200) 조가 스탬핑된 시트를 자름에 의해 만들어지는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제1조(100)는 치형부를 형성하는 나팔부(120, 130, flarings)에 의해 연장되는 관형 스커트(110)를 구비하고, 컷아웃부(150)에 의해 제2조(200)의 치형부(220, 230)로 상보적인 형상을 이룬다.
같은 방식으로, 제2조(200)는 치형부를 형성하는 나팔부(220, 230)에 의해 연장되는 관형 스커트(110)를 구비하고, 컷아웃부(250)에 의해 제1조(100)의 치형부(120, 130)로 상보적인 형상을 이룬다.
치형부 및 컷아웃부 사이의 연결 구역은 바늘(400)의 베어링 면을 형성하는 모서리(180, 280)를 구비한 굴절 지점을 가지고, 구체적인 제1실시예의 조의 횡방향 면의 기능을 이행하도록 한다.
[제3실시예]
도 12 및 13은 구체적인 실시예를 보여주는데, 각각의 조는 반대편의 조의 치형부를 수용하도록 네 개의 대응되는 형상의 절개부가 교대로 배치되고 접선의 삼각면에서, 단면을 가지며, 관형 스커트(110, 210)에서 네 개의 치형부를 구비한다.
제2조는 코어(300)의 주변에서 각을 이루며 회전할 수 있다. 복귀 스프링(500)은 서로에 대해 반대편의 치형부를 끌어당기는 경향이 있다.
이런 변형례에서, 상부 조의 치형부는 전술한 변형례와 비교하여 다른 초기 위치를 가진다. 그들은 스프링(500)에 의해 제2조(200)에 고정된다. 조가 닫혀질 때, 조는 바늘이 스커트의 모서리들 사이에서 파지될 때까지 반대편의 치형부에 대해 슬라이딩되는 동안에 회전할 수 있다. 압력이 계속될 때, 조의 원통형 부는 바늘이 위와 아래가 모두 타이트해질 때까지 계속하여 하강한다. 이런 구성은 복수의 바늘을 수용 가능하게 한다.
[제4실시예]
도 14는 폐쇄 위치에서 조를 구비한 구체적인 제4실시예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조(100, 200)는 치형부(220, 120)가 휴지하게(rest) 하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베어링(180, 280)을 구비한다.
이 변형에서 치형부는 다양한 바늘을 수용하기 위해 조(100, 200)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조가 폐쇄될 때, 몇몇 치형부는 반대편 조에서의 그들의 펜던트와 접촉한다. 바늘과 접촉하는 치형부는 조 내부로 집어 넣어진다. 유연한 재료(고무, 실리콘 등)로 구성된 베어링(180, 280)은 모든 치형부에 스프링 기능을 제공하여 조가 개방할 때 모두 나올 수 있도록 한다.
[제5실시예]
도 15 및 16은 개방 위치 및 폐쇄 위치에서 각각 조를 구비하는 구체적인 제5실시예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이 변형에 따르면, 치형부(120, 130, 140, 220, 230, 240)는 유연하고 탄성력으로 인해 바늘(400)을 밀도록 한다.
이 변형에서 치형부는 다양한 바늘에 적용되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조가 폐쇄될 때, 몇몇의 치형부는 이격되도록 이동하고 바늘의 바깥쪽 원주에 위치하고, 반대 조의 홈으로 채워지도록 유지된다.
[치형부의 이식]
도 17 내지 20은 치형부의 이식의 다양한 대안적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치형부는 도 1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치형부는 조의 모서리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런 경우에서, 치형부의 외부의 모서리는 돌기 또는 중공이 없이 조의 몸체와 일치한다.
치형부는 도 18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조의 모서리로부터 멀게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그들은 측면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치형부는 도 19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조 경계의 외부에 또한 배치될 수 있어서, 조의 근처에 놓인 바늘의 부착을 제공하게 된다.
치형부는 도 2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조의 모서리를 벌리면서 배치될 수 있어서, 바늘의 향상된 부착과 제한된 측면 공간 사이를 절충할 수 있게 한다.
[치형부의 단면]
도 21 내지 26은 치형부의 다양한 대안적 실시예들의 방사상 단면을 보여준다.
방사상 횡방향 면에서 치형부는:
도 21에서 도시되는, 평평하거나 챔버된 꼭지점을 가지는, 직사각형 단면;
도 22에서 도시되는, 둥근 상부를 가지는, 직사각형 단면;
도 23에서 도시되는, 바늘의 유지를 향상시키기 위한 나팔 형상의(flared) 상부를 가지는, 직사각형 단면;
도 24에서 도시되는, 조가 폐쇄되는 동안 중앙 코어에 대해 바늘을 가져오는 삼각형 단면;
도 25에서 도시되는, 턱을 폐쇄하는 동안 중심쪽으로 바늘을 가이드하는 것을 확실히 하기 위해 곡선의 내부 모서리를 가지는 치형부의 기저부쪽으로 넓어지는 사다리꼴 단면;
도 26에서 도시되는, 다양한 바늘 크기에 적응할 수 있도록 그림 26과 같이 총안형의 단면을 구비할 수 있다.
[치형부의 횡단면]
도 27 내지 29는 치형부의 다양한 대안적 실시예의 횡방향 단면도를 보여준다.
단면은:
- 도 27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원형일 수 있고;
- 도 28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바늘의 표면에 대한 지지의 중앙 모서리를 제공하기 위해 둥근 베이스를 갖는 삼각형일 수 있고;
- 도 29에서 도시되는 오각형일 수 있다.

Claims (21)

  1. 바늘 홀더의 일 단부에 제공되는 원격 구동 기구와, 덕트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1 파지 조(100) 및 가동 코어에 의해 횡방향으로 변위하도록 구동되는 제2 파지 조(200)를 포함하는 다른 일 단부에 제공되는 관절형 조립체를 포함하는 굴곡형 바늘을 다루기 위한 내시경 검사용 바늘 홀더로서,
    - 상기 조(100, 200)들은 상기 가동 코어(300)를 구비하는 동축의 원통형의 부품들로 이루어지고;
    - 상기 제1조(10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주변 치형부(120, 130, 140)를 구비하며,
    - 상기 제2조(200)는 복수의 주변 치형부(220, 230, 240)를 구비하는 원통형의 부품들로 구성되고,
    - 상기 제2조(200)는, 치형부의 단부들 사이에서의 조(100, 200)들의 간격이 적어도 바늘(400)의 단면과 같은 간격을 이루도록 이격되는 정지 위치와, 바늘이 굴곡을 유지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길이 방향으로 선형 변위하도록 제1조(100)에 대해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검사용 바늘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200)의 주변 치형부(220, 230, 240)는 상기 제1조(100)의 치형부(120, 130, 140)에 대해 각도 오프셋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검사용 바늘 홀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100, 200)들은 반대편 조의 치형부에 대한 위치 및 상보적인 형상의 주변 홈 및 주변 치형부가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검사용 바늘 홀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형부는 횡방향 면에서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검사용 바늘 홀더.
  5.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조는 상보적인 조의 치형부를 수용하기 위한 세 개의 치형부 및 세 개의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검사용 바늘 홀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형부의 외주면은 반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검사용 바늘 홀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형부의 인벨로핑 면은 상기 조의 단면과 동일한 단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검사용 바늘 홀더.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형부의 인벨로핑 면은 상기 조의 단면 보다 작은 단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검사용 바늘 홀더.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형부의 인벨로핑 면은 상기 조의 단면 보다 큰 단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검사용 바늘 홀더.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는 반구형의 단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검사용 바늘 홀더.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형부의 단면은 방사상 면에서 직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검사용 바늘 홀더.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형부의 단면은 방사상 면에서 경사진 내측 모서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검사용 바늘 홀더.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형부의 단면은 방사상 면에서 치형부의 단부 및 치형부의 기저 사이에서 감소하는 폭을 구비하는 총안형의 내측 모서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검사용 바늘 홀더.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형부의 단면은 방사상 면에서 확장된 상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검사용 바늘 홀더.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형부의 일부 이상은 탄성적으로 변하고, 나팔 형상의 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검사용 바늘 홀더.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형부는 상기 조의 관형 케이싱을 자르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검사용 바늘 홀더.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코어의 단면에 상보적인 다각형의 단면의 중앙 채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검사용 바늘 홀더.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형부의 일부 이상은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검사용 바늘 홀더.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형부의 단부는 조의 접선면에서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검사용 바늘 홀더.
  20. 제19항에 있어서,
    각각의 조는 상보적인 경사면을 가지는 치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조는 제1조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하고 상보적인 치형부의 경사면을 모으도록 이루어지는 토크를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검사용 바늘 홀더.
  21. 제1항에 있어서,
    동력 시스템에 연결되도록 이루어지는 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검사용 바늘 홀더.
KR1020197010021A 2016-09-09 2017-09-01 내시경 검사용 바늘 홀더 KR1023982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658445A FR3055793B1 (fr) 2016-09-09 2016-09-09 Porte-aiguille endoscopique
FR16/58445 2016-09-09
PCT/FR2017/052318 WO2018046822A1 (fr) 2016-09-09 2017-09-01 Porte-aiguille endoscop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877A true KR20190053877A (ko) 2019-05-20
KR102398223B1 KR102398223B1 (ko) 2022-05-16

Family

ID=57190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0021A KR102398223B1 (ko) 2016-09-09 2017-09-01 내시경 검사용 바늘 홀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97486B2 (ko)
EP (1) EP3509503B1 (ko)
JP (1) JP6955011B2 (ko)
KR (1) KR102398223B1 (ko)
FR (1) FR3055793B1 (ko)
WO (1) WO20180468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6084A1 (en) * 2019-09-06 2021-03-11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Endoscopic medical device with a needle passer and with a needle grasper
US20220225983A1 (en) * 2021-01-21 2022-07-21 Ethicon, Inc. Suture needle adaptors for delivering suture needles through cannulas while simultaneously visualizing the delivery of the suture needles through the cannulas
FR3138766A1 (fr) 2022-08-11 2024-02-16 Fondation De Cooperation Scientifique - Fcs Ihu De Strasbourg Système de suture chirurgicale comprenant un cap amélior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5684A1 (ja) * 2009-11-09 2011-05-12 学校法人帝京大学 手術用持針器
US20110190794A1 (en) * 2010-01-29 2011-08-04 Richard Wolf Gmbh Medical needle holder
US20110270281A1 (en) * 2010-04-30 2011-11-03 Tyco Healthcare Group Lp Articulating Axial Needle Grasper
US8480689B2 (en) * 2008-09-02 2013-07-09 Ethicon Endo-Surgery, Inc. Sutur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40715A (en) * 1960-09-29 1964-07-14 American Hospital Supply Corp Forceps
US5300082A (en) * 1992-01-08 1994-04-05 Sharpe Endosurgical Corporation Endoneedle holder surgical instrument
US5257999A (en) 1992-06-04 1993-11-02 Slanetz Jr Charles A Self-oriented laparoscopic needle holder for curved needles
DE19750008C1 (de) * 1997-11-12 1999-06-02 Lothar Dipl Ing Schilder Chirurgisches Instrument für gaslose mimimal invasive Chirurgie
JP4262718B2 (ja) * 2003-01-27 2009-05-13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外科用処置具、手術システム及び該外科用処置具を用いた吻合手技方法
US7635386B1 (en) * 2006-03-07 2009-12-22 University Of Maryland, Baltimore Methods and devices for performing cardiac valve repair
FR2916906B1 (fr) * 2007-05-28 2009-10-02 Ceram Hyd Soc Par Actions Simp Membrane echangeuse protonique et cellule comportant une telle membrane
US8867486B2 (en) 2009-04-17 2014-10-21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data communications employing IP flow mobility
US20110224718A1 (en) * 2010-03-10 2011-09-15 Torgerson Clinton D Surgical needle driv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012005706A (ja) * 2010-06-25 2012-01-12 Mizuho Co Ltd グリッパ
WO2013009886A1 (en) 2011-07-12 2013-01-17 Ircad Modular magnetic anastomosis device
US10682143B2 (en) 2012-12-21 2020-06-16 Ircad Applicators for modular magnetic anastomosis device
JP2015198741A (ja) * 2014-04-07 2015-11-12 泉工医科工業株式会社 把持部材、把持器及び持針器
JP7083549B2 (ja) * 2018-03-23 2022-06-13 ネオコー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低侵襲性心臓弁修復用の縫合糸取り付け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80689B2 (en) * 2008-09-02 2013-07-09 Ethicon Endo-Surgery, Inc. Suturing device
WO2011055684A1 (ja) * 2009-11-09 2011-05-12 学校法人帝京大学 手術用持針器
US20110190794A1 (en) * 2010-01-29 2011-08-04 Richard Wolf Gmbh Medical needle holder
US20110270281A1 (en) * 2010-04-30 2011-11-03 Tyco Healthcare Group Lp Articulating Axial Needle Gras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97486B2 (en) 2022-11-15
US20190374217A1 (en) 2019-12-12
EP3509503B1 (fr) 2023-12-27
EP3509503A1 (fr) 2019-07-17
JP6955011B2 (ja) 2021-10-27
FR3055793B1 (fr) 2018-08-31
EP3509503C0 (fr) 2023-12-27
WO2018046822A1 (fr) 2018-03-15
KR102398223B1 (ko) 2022-05-16
JP2019526428A (ja) 2019-09-19
FR3055793A1 (fr) 2018-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20830B (zh) 解剖外科钳口
US11992206B2 (en) Flexible suturing instrument
US9717517B2 (en) Wrist assembly for articulating laparoscopic surgical instruments
US9510824B2 (en) Low profile medical device and related methods of use
ES2879894T3 (es) Conjuntos de perilla de rotación e instrumentos quirúrgicos que incluyen los mismos
JP2022520031A (ja) トグル切り替えする遠位先端部を有する外科用ステープラ
JP5602766B2 (ja) 枢動可能な顎状器具を備える組織を把持するための医療装置
ES2235120T3 (es) Aparato para aplicar hgrapas quirurgicas.
US20160270808A1 (en) Anvil grasper
CA2615782A1 (en) Surgical instrument guide device
US20120197241A1 (en) Articulation joints for torque transmission
KR20190053877A (ko) 내시경 검사용 바늘 홀더
JP2022511630A (ja) 管要素を備えるステアラブル機器
US11911020B2 (en) Needle holder for endoscope, suture set, and suture system
US11980365B2 (en) Surgical clip
JP5200055B2 (ja) 内視鏡外科手術用鉗子
JP3780008B2 (ja) 外科用器具
US20140128890A1 (en) Medical device and related methods of use
JP6982700B2 (ja) 内視鏡用チャンネルユニット
JP3884046B2 (ja) 外科用器具
JP6937323B2 (ja) 医療用クリップカートリッジ
EP3207880B1 (en) Endoscopic instrument
JP2020527392A (ja) 縫合糸配置装置および方法
JP2023091094A (ja) 湾曲可能なクリップデバイス
KR20220102217A (ko) 이중구조 복강경 수술용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