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3763A -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3763A
KR20190053763A KR1020180096061A KR20180096061A KR20190053763A KR 20190053763 A KR20190053763 A KR 20190053763A KR 1020180096061 A KR1020180096061 A KR 1020180096061A KR 20180096061 A KR20180096061 A KR 20180096061A KR 20190053763 A KR20190053763 A KR 20190053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l
cosmetic composition
weight
presen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6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형준
박승한
조영석
채병근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PCT/KR2018/01352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093780A1/ko
Publication of KR20190053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37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7Polyureth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 본 발명에 따른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슬러시한 독특한 외관을 보유하면서도 우수한 제형 안정도를 갖는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대한 즉각적인 수분공급은 물론 이에 의한 촉촉함을 장시간 동안 유지 할 수 있으며, 미끌거리거나 끈적이는 잔여감을 억제함은 물론 특유의 유연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OF BIGEL TYPE}
본 발명은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피부 보습과 보호 및 피부 건강을 유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수성성분, 유성성분, 활성성분 등 서로 용해되지 않는 다양한 물질을 혼합해야 하므로, 주로 에멀젼 형태로 제조된다.
에멀젼 관련기술은 단순히 제형 제조 및 안정화뿐만 아니라 각 제품의 목적에 부합되는 효능 및 사용자가 느끼는 사용감 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유화 기술로 발전을 이루어 왔다. 이와 더불어, 최근 화장품 산업에서는 제형 또는 활성성분의 안정화, 안정화된 활성성분의 유효한 피부침투뿐만 아니라, 독특한 외관과 즉각적으로 느껴지는 피부개선효과가 제품의 성공과 실패를 가늠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제형 또는 활성성분의 안정화 측면에서, 고압형 유화기를 이용한 물리적인 나노에멀젼 기술과 피부 친화성이 우수한 다양한 유화제를 이용한 제품들이 제안되었다.
일 예로, 특허문헌 1 내지 5에는 오일구의 수평균 크기가 100nm 미만인 나노 에멀젼을 제시하면서, 이때 유화제로 베헤닐 알콜 에테르, 스테아릴 알콜 에테르, 베헨산 에스테르 또는 스테아르산 에스테르에서 선택되는 유화제를 사용하는 것, 에톡시화 라우릴알콜 및 시트르산의 모노-, 디- 및 트리에스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유화제를 사용하는 것, 인산과 C9∼C15 알콜의 에스테르, 인산과 스테아릴 및/또는 이소스테아릴 알콜의 에스테르, 인산과 세틸 알콜의 에스테르 및 그의 옥시에틸렌화 유도체, 인산과 트리데실 알콜의 에스테르 및 그의 옥시에틸렌화 유도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유화제를 사용하는 것, 데카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디스테아레이트, 트리스테아레이트 및 펜타스테아레이트 및 디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유화제를 사용하는 것 및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및 소르비탄 20 EO 트리스테아레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화제를 사용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생체 친화성 측면 및 활성성분의 효과적인 피부침투 측면에서, 나노입자의 입자벽(Particle wall)을 세포간 지질 또는 세포막을 구성하는 지질과 유사한 성분을 이용하여 피부 안전성뿐만 아니라, 피부침투 측면에서도 효과적인 제품들이 제안되었다.
일 예로, 인지질,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및 그 유도체들을 이용하여, 나노에멀젼을 제조 한 후 카보머, 마이크로크리스탈린셀룰로오스 등의 점증제를 후첨하여 제조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나노크기의 에멀젼 입자를 포함하는 제품의 경우, 에멀젼의 입자크기가 다시 수 마이크로(Micro) 이상으로 커지면서 제형의 불안정성을 야기하거나 점도 향상을 위한 수용성의 중합체가 연속상인 물을 강력한 이온결합으로 잡고 있어 피부 침투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 등을 야기하여, 범용적인 화장품에 응용하기 위해서는 개선이 필요하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바와 같은 최근 화장품 산업에서의 니즈에 맞추어 독특한 외관을 가지면서도 즉각적으로 느껴지는 피부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새로운 제형에 대한 연구를 심화한 결과, 서로 섞이지 않는 상이 안정적으로 공존하는 바이겔 타입의 제형을 제안하였다. 그 결과, 수상겔의 조성 및 물성을 조절함으로써, 이수현상의 억제는 물론 매우 안정적으로 슬러시한 외관 특성을 가지는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KR 345097 B1 KR 369260 B1 KR 345098 B1 KR 358548 B1 KR 369258 B1
본 발명의 목적은 이수현상을 방지하고, 제형 안정도를 확보한 슬러시한 외관 특성을 가지는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독특한 사용감은 물론 특유의 막감으로 향상된 보습 및 유연 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된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우레탄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친수성 겔화제를 포함하는 수상겔; 및 오일겔;을 포함하는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수상겔은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우레탄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친수성 겔화제를 포함하며,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는 수상겔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관계식 1]
0.7 ≤WA/WB ≤1.7
[상기 관계식 1에서,
WA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중량(g)이고,
WB는 우레탄계 공중합체의 중량(g)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이온성 아크릴아미드계 반복단위 및 수용성 비이온계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상기 수상겔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2 내지 1.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계 공중합체는 친수성 폴리알킬렌옥사이드 블록 및 소수성 블록을 포함하는 비이온성의 블록 공중합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계 공중합체는 하기 관계식 2를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관계식 2]
0.05 ≤ Clp -b/Chp -b ≤ 0.09
[상기 관계식 2에서,
Clp -b는 소수성 블록의 탄소수이고,
Chp -b는 친수성 폴리알킬렌옥사이드 블록의 탄소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수상겔은 천연 고분자에서 선택되는 친수성 겔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천연 고분자는 한천, 카라기난, 전분, 구아검, 로커스트빈검, 잔탄검 및 젤란검 등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수상겔의 pH는 5 내지 7범위를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겔화제는 상기 수상겔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수상겔의 경도는 0.010 내지 0.050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오일겔은 아미노산계 화합물, 25 내지 45℃의 융점을 가지는 저융점 왁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오일겔은 무기 겔화제 및 50℃이상의 융점을 가지는 고융점 왁스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오일겔은 무기 겔화제, 50℃이상의 융점을 가지는 고융점 왁스 및 에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수성겔 및 오일겔이 7:2 내지 3:7의 중량비로 혼합된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슬러시한 독특한 외관을 보유하면서도 우수한 제형 안정도를 갖는 반투명하거나 불투명한 크림타입의 바이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수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매우 안정적인 제형을 갖는 바이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원한 사용감과 가벼운 발림성을 나타내고, 고유연 반전 막감을 나타내는 바이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피부에 대한 즉각적인 수분공급은 물론 이에 의한 촉촉함을 장시간 동안 유지 할 수 있으며, 미끌거리거나 끈적이는 잔여감을 억제함은 물론 특유의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에 따르면, 즉각적으로 느껴지는 보습효과는 물론 우수한 장기 보습효과를 부여함으로써 피부에 대한 보습 및 유연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독특한 외관을 가지는 안정한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슬러시한 독특한 외관 특성을 관찰한 사진이며,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3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광학이미지/편광이미지)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4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광학이미지/편광이미지)이며,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관능평가 결과로, 실시예1, 실시예3 및 o/w크림 대조군 각 시료의 도포시 사용감에 대한 평가 결과를 도시한 것이며,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관능평가 결과로, 실시예1, 실시예3 및 o/w크림 대조군 각 시료의 도포후 사용감에 대한 평가 결과를 도시한 것이며,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관능평가 토탈 결과를 도시한 것이며,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당김 측정 결과로, 실시예3 및 o/w크림 대조군 각 시료의 도포전·후 당김 측정한 평균값을 1/RO값으로 결과를 도시한 것이며,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보습력 측정 결과로, 무도포, 실시예3 및 o/w크림 대조군 각 시료의 도포전/3시간후/6시간후 측정되는 단기보습 시험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이하 상술하나,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은 계면활성제를 실질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서로 섞이지 않는 2개의 상이 연속상으로 공존하는 2상 시스템(biphasic system)의 제형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블록"은 동일 반복단위가 연속적으로 공유결합되어 형성된 일정 길이를 가진 구조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친수성 폴리알킬렌옥사이드 블록"은 알킬렌옥사이드를 포함하는 둘 이상의 반복단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알킬렌옥사이드의 비한정적인 일 예로는 에틸렌옥사이드 또는 프로필렌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소수성 블록"은 소수성 단량체의 중합에 의해 형성된 일정 길이를 가진 소수성 구조단위 또는 적어도 탄소수 2개 이상의 탄화수소 기반의 사슬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탄화수소 기반의 사슬의 비한정적인 일 예로는 C2-C50알킬, C2-C50알케닐 또는 C2-C50알키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경도"는 통상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겔의 경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Sun Rheo Meter Compac-100를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이의 단위는 ㎏이며, 기기 내 측정 센서(예, 막대)가 겔과 접촉시 발생하는 하중을 수치화한 것을 의미한다. 이때, 수치가 높을수록 경도가 높다 판단한다.
본 발명자들은 독특한 외관을 가지면서도 즉각적으로 느껴지는 피부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새로운 제형에 대한 연구를 거듭한 결과, 수상겔 및 오일겔의 조성과 이들의 물성을 조절함에 따라 이수현상을 최소화함은 물론 화장품으로써의 최소한 확보해야 할 안정도를 보유하는 슬러시한 외관의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을 고안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특성의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은 소정의 겔화제의 조합을 통해 제조되는 수상겔에 의해 이수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더불어, 다양한 양태의 오일겔을 조합하여 안정적인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바이겔 계면의 안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제형이 분리되는 현상 없이 외관(예, 거칠기의 정도, 투명성의 정도 등)을 변화시킬 수 있어 독특한 외관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우레탄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친수성 겔화제를 포함하는 수상겔; 및 오일겔;을 포함하는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은 실질적으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제형을 구현한다. 본 발명자들은 이와 같은 안정적인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공에 있어서, 수상겔의 조성과 물성이 최종적으로 얻게 되는 산출물, 즉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도에 영향을 주는 가장 큰 인자임을 발견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의 수상겔은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우레탄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친수성 겔화제를 포함하며, 상기 수상겔은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관계식 1]
0.7 ≤WA/WB ≤1.7
[상기 관계식 1에서,
WA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중량(g)이고,
WB는 우레탄계 공중합체의 중량(g)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이온성 아크릴아미드계 반복단위 및 수용성 비이온계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 등과 같은 양이온성 아크릴아미드계 반복단위 및 알킬렌옥사이드, 비닐피롤리돈, 비닐포름아미드 및 이들의 유도체 등과 같은 수용성 비이온계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는 가교되거나 가교되지 않은 것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2-아크릴아미도메틸프로판술폰산 등과 같은 음이온성 아크릴아미드계 반복단위와 알킬렌옥사이드, 비닐피롤리돈, 비닐포름아미드 및 이들의 유도체 등과 같은 수용성 비이온계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는 가교되거나 가교되지 않은 것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및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베헤네스-25메타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등; 비닐피롤리돈/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염) 공중합체, 디메틸아크릴아미드/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염) 공중합체, 아크릴아미드/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염) 공중합체 및 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로 크로스 링크시킨 디메틸아크릴아미드/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염)의 공중합체 등; 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베헤네스-25메타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비닐피롤리돈/2-아크릴아미도메틸프로판술폰산(염) 공중합체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5,000 내지 10,000,000g/mol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10,000 내지 8,000,000g/mol, 보다 구체적으로는 10,000 내지 100,000g/mol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것이 좋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포타슘 하이드록사이드, 암모니아 등의 염기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중화된 형태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50% 이상 중화된 것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90% 이상 중화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상기 수상겔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2 내지 1.0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0.3 내지 0.8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0.4 내지 0.6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pH에 의해 겔화 정도, 즉 수상겔의 경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의 상기 수상겔의 pH는 5 내지 7범위를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계 공중합체는 친수성 폴리알킬렌옥사이드 블록 및 소수성 블록을 포함하는 비이온성의 블록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우레탄계 공중합체는 트리블록 또는 멀티블록 형태의 블록 공중합체로, 친수성 블록과 소수성 블록 사이에 우레탄 결합을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우레탄계 공중합체의 친수성 블록은 50 내지 1,000개의 폴리알킬렌옥사이드 블록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폴리알킬렌옥사이드 블록은 바람직하게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블록,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블록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우레탄계 공중합체의 소수성 블록은 사슬의 각 말단에 존재하거나 말단 및 사슬에 동시에 존재하는 것일 수 있으며, 탄화수소 기반의 사슬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소수성 블록, 즉 탄화수소 기반의 사슬은 C2-C50알킬, C2-C50알케닐 또는 C2-C50알키닐 등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C8-C50알킬, C8-C50알케닐, C8-C50알키닐 등의 장쇄의 탄화수소 기반의 사슬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우레탄계 공중합체는 피이지-150/스테아릴알코올/에스엠디아이코폴리머(PEG-150/STEARYL ALCOHOL/SMDICOPOLYMER) 및 피이지-240/에이치디아이코폴리머/비스-데실테트라데세스-20에테르(PEG-240/HDICOPOLYMER/BIS-DECYLTETRADECETH-20ETHER) 등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우레탄계 공중합체는 10,000 내지 10,000,000g/mol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10,000 내지 8,000,000g/mol, 보다 구체적으로는 10,000 내지 100,000g/mol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것이 좋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우레탄계 공중합체는 하기 관계식 2를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관계식 2]
0.05 ≤ Clp -b/Chp -b ≤ 0.09
[상기 관계식 2에서,
Clp -b는 소수성 블록의 탄소수이고,
Chp -b는 친수성 폴리알킬렌옥사이드 블록의 탄소수이다]
상술된 관계식 2를 만족하는 우레탄계 공중합체를 사용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은 보다 안정적인 제형을 구현함과 동시에 슬러시한 외관 특성을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어 좋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수상겔은 천연 고분자에서 선택되는 친수성 겔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고분자는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천연 고분자라면 제한되지는 않으나 아가, 카라기난, 전분, 구아검, 로커스트빈검, 잔탄검 및 젤란검 등에서 선택되는 것이 좋다.
일 예로, 상기 전분은 타피오카, 쌀, 옥수수, 감자, 밀 유래 전분일 수 있으며, 이들의 변성 전분인 변성옥수수전분(Corn Starch Modified), 소듐카복시메틸스타치(Sodium Carboxymethyl Starch),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스타치(Sodium Polyacrylate Starch) 및 알루미늄스타치옥테닐석시네이트(Aluminum Starch Octenylsuccinate) 등 역시 본 발명의 일 양태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전분은 양친매성의 특징으로 오일겔과 혼합되어, 최종적으로 얻게 되는 산출물, 즉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을 보다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일 예로, 상기 천연 고분자는 상기 수상겔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4.0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3.0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2.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겔화제는 상기 수상겔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친수성 겔화제는 상술된 중량%를 기준으로 포함되며,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우레탄계 공중합체의 중량비(WA/WB)가 0.7 내지 1.5 범위인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친수성 겔화제는 상술된 중량%를 기준으로 포함되며,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우레탄계 공중합체의 중량비(WA/WB)가 0.7 내지 1.3 범위인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친수성 겔화제는 상술된 중량%를 기준으로 포함되며,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우레탄계 공중합체의 중량비(WA/WB)가 0.7 내지 1.0 범위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수상겔의 경도는 0.010 내지 0.050 ㎏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0.010 내지 0.040 ㎏, 보다 구체적으로는 0.015 내지 0.030 ㎏일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술된 조성의 친수성 겔화제의 조합을 가짐은 물론 상술된 수상겔의 경도를 만족하는 경우, 최적으로 안정한 상으로 공존하는 바이겔 제형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술된 수상겔의 경도를 만족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상기 언급된 친수성 겔화제의 조합을 가지는 경우, 이수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화장품으로써 최소한 확보해야할 안정도(예, 냉동항온조 및 고온항온조 4주 안정성)를 보유하면서도 슬러시한 외관을 가지는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상겔은 다양한 양태의 오일겔과 조합하여 안정적인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오일겔은 아미노산계 화합물, 25 내지 45℃의 융점을 가지는 저융점 왁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술된 조합의 오일겔 및 수상겔을 포함하는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은 반투명의 크림타입으로 팥빙수와 같은 독특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다. 더욱이, 이와 같은 외관 특성을 갖는 경우, 피부에 도포시 시원한 사용감과 가벼운 발림성을 부여한다. 또한 피부에 대한 즉각적인 수분공급 효과는 제공한다.
일 예로, 상기 아미노산계 화합물은 디부틸 라우로일 글루타마이드(DIBUTYL LAUROYL GLUTAMIDE), 디부틸 에칠헥사노일 글루타마이드(DIBUTYL ETHYLHEXANOYL GLUTAMIDE) 등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며, 좋게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아미노산계 화합물은 상기 오일겔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50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10 내지 40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15 내지 3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아미노산계 화합물은 디부틸 라우로일 글루타마이드(A) 및 디부틸 에칠헥사노일 글루타마이드(B)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혼합물은 20:1 내지 10:1 범위의 중량비(A: B)로 혼합된 것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혼합물은 15:1 내지 10:1 범위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저융점 왁스는 왁스 또는 왁스와 유사한 기능을 부여하는 성분일 수 있으며,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는다.
일 예로, 상기 저융점 왁스는 세틸 팔미테이트, 미리스틸 미리스테이트 등과 같은 지방산 지방알코올 에스테르;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팔미토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베헤네이트 등과 같은 지방산 글리세롤 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모노스테아레이트 등과 같은 지방산 프로필렌글리콜 에스테르; 솔비탄 모노팔미테이트, 솔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등과 같은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스테아릴 디메티콘, 비스-피이지 15-메틸 에테르 디메티콘, 비스-피이지 18-메틸 에테르 디메틸 실란, 스테아록시 디메티콘, 세틸 디메티콘 등과 같은 실리콘 왁스;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저융점 왁스는 상기 오일겔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50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10 내지 30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15 내지 3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의 상기 오일겔은 경도 향상을 위한 측면에서, 아미노산계 화합물, 25 내지 45℃의 융점 및 50℃이상의 융점을 가지는 고융점 왁스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성을 가지는 경우, 보다 향상된 고온안정도를 구현할 수 있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오일겔은 무기 겔화제 및 50℃이상의 융점을 가지는 고융점 왁스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술된 조합의 오일겔과 조합된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은 불투명의 크림타입으로 표면이 거친 유화제형과 같은 외관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외관 특성을 갖는 경우, 피부에 도포시 시원한 사용감과 가벼운 발림성은 물론 고유연 반전 막감을 부여한다. 즉, 상술된 조합의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대한 즉각적인 수분공급은 물론 이에 의한 촉촉함을 장시간 동안 유지 할 수 있으며, 미끌거리거나 끈적이는 잔여감을 억제함은 물론 특유의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무기 겔화제는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는다.
일 예로, 상기 무기 겔화제는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Disteardimonium Hectorite),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헥토라이트(Hectorite), 실리케이트(Silicate), 콜린(Kolin), 젤라이트(Zeolite)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무기 겔화제는 상기 오일겔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5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3 내지 12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5 내지 1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고융점 왁스는 왁스 또는 왁스와 유사한 기능을 부여하는 성분이라면 제한되지 않는다.
일 예로, 상기 고융점 왁스는 비즈 왁스 등의 동물 유래 왁스; 칸데릴라 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캐스터 왁스 등의 식물 유래 왁스; 몬탄 왁스 등의 광물 유래 왁스; 스테아릴 알코올, 세테아릴 알코올 등의 지방족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알코올;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고융점 왁스는 상기 오일겔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 내지 20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3 내지 15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5 내지 12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오일겔은 에틸셀룰로오스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의 경우, 보다 안정한 제형이 제조되어 이수현상은 물론 상분리되는 현상을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수성겔 및 오일겔이 7:2 내지 3:7 의 중량비로 혼합된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7:3 내지 5:5의 중량비로 혼합된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술된 중량비를 만족하는 경우, 미끌거리거나 끈적이는 잔여감을 제공하지 않음은 물론 특유의 막감으로 보습 효과 및 유연 효과에 있어 탁월함을 부여할 수 있어 좋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은 실질적으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는 크림타입의 슬러시한 외관을 갖는 제형이며, 상기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은 목적에 따라 보습성분, 오일, pH조절제, 변색방지제, 색소, 향료, 방부제 및 진정 촉진제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첨가제는 상기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0.01 내지 5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수상겔은 상기 수상겔 총 중량을 기준으로 잔량의 물을 포함하며, 상기 오일겔은 상기 오일겔 총 중량을 기준으로 잔량의 오일을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오일겔에 포함되는 오일은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으며, 이의 비한정적인 일 예로는 스쿠알란, 미네랄 오일 등의 탄화수소계 오일;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2-옥틸도데칸올 및 이소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지방 알코올계 오일;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등의 글리세라이드계 오일; 페닐트리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 디메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및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등의 실리콘계 오일;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2-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리트, 부틸옥틸살리실레이트, 세틸옥타노에이트, 세틸옥틸 헥사노에이트,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데실코코에이트, 이소스테아릴이소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칠헥사노에이트,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등의 에스테르계 오일; 캐스터 오일, 올리브 오일, 호호바 오일, 아보카도 오일, 마카다미아 오일, 메도우폼씨드 오일, 쉐어버터 오일, 망고버터 오일, 코코아수씨드 버터 오일, 정제포도씨 오일, 로즈힙 오일, 사플라워 오일, 복숭아씨 오일, 썬플라워씨드 오일 등의 식물성 오일; 및 밍크유, 마유 및 어유 등의 동물성 오일;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참조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에서 특별히 기재하지 않은 성분의 단위는 g 또는 총 조성물을 기준으로 한 중량%일 수 있다.
(평가방법)
1.경도
각 시료(실시예 및 비교예의 수상겔)의 경도는 Sun Rheo Meter Compac-100(제조회사: Sun Scientific (일본))을 이용하여 상온(23℃)에서, 측정되었다. 구체적으로, 기기의 셋팅값은 Mode 20, Max 2 Kg, R/H hold, 20 mm, P/T Press, 10 mm/m, Rep 1이었다.
2.제형 안정성
각 시료(실시예 및 비교예)의 제형 안정성을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형 안정성은 냉장항온조(4±2℃), 냉동항온조(-20±2℃), 고온항온조(45±2℃) 및 사이클 챔버(Freeze-Thaw Chamber, -20 ℃에서 45 ℃를 1일 1회 주기로 순환)에 보관하고, 1주일 간격으로 각 시료의 상분리 여부 및 이수현상 발생 등을 육안으로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3에 나타내었다.
3.관능평가
각 시료(실시예)의 관능평가는 도포시·도포후의 사용감으로 평가되었다. 상기 관능평가는 평가에 참여한 남녀 각 5명의 일반적인 설문조사 문답법으로 실시되었으며, 그 결과를 하기 도4 내지 도6에 도시하였다. 상기 관능평가에서는 하기 표4의 성분을 이용하여 제조된 o/w크림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으며, 설문조사 문답은 10점 척도의 문답에 의해 확인되었다(-5점 내지 5점).
4.당김 측정
각 시료(실시예)의 당김(RO) 측정은, 평가에 참여한 남녀 각 5명의 일반적인 설문조사 문답법으로 실시되었으며, 그 결과를 하기 도7에 도시하였다. 상기 당김 측정에서는 하기 표4의 성분을 이용하여 제조된 o/w크림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각 패널(남녀 각 5명)의 하박 좌우를 비누로 세척한 후, 온도 20℃ 내외 및 습도 40% 내외에서 피부를 적응시켰다. 하박 내측면 좌우에 4 x 3㎠의 직사각형으로 시험 부위를 정하였고, 도포전 당김 측정을 하였다. 이후 각 시료 400㎕(2㎎/㎠)를 시험 부위 일면(half test) 에 도포하고, 5분 후 도포후 당김 측정을 하였다. 3회 반복 측정한 평균값을 구한 후 이를 1/RO값으로 나타내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각 시료의 당김을 판단하였다.
5.보습력 측정
각 시료(실시예)의 보습력 측정은, 각 시료(실시예)의 도포전/3시간후/6시간후 측정되는 단기보습 시험을 통해 실시되었으며, 그 결과를 하기 도8에 도시하였다. 구체적으로, 각 패널(남녀 각 5명)의 하박 좌우를 비누로 세척한 후, 온도 20℃ 내외 및 습도 40% 내외에서 피부를 적응시켰다. 하박 내측면 좌우에 4 x 3㎠의 직사각형으로 시험 부위를 정하였고 코네오미터(Corneometer, CM825)를 이용하여 피부 표면 전기용량(capacitance)을 3회 반복하여 측정하였다. 각 시료 24㎕(2㎎/㎠)를 시험 부위에 도포하였다. 도포 3시간 및 6 시간 경과 후, 도포 전과 같은 방법으로 피부 표면 전기 용량을 3회 반복 측정하였다. 3회 반복 측정한 전기용량의 평균값을 구한 후, 이를 수분량으로 평가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각 시료의 보습력을 판단하였다.
6.피부 안전성 평가
각 시료(실시예)의 피부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각 시료(실시예)의 첩포 시험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각 패널(남녀 각 5명)의 하박 좌우를 비누로 세척한 후, 온도 20℃ 내외 및 습도 40% 내외에서 피부를 적응시켰다. 하박 내측면 좌우에 4 x 3㎠의 직사각형으로 시험 부위를 정하였고, 이에 각 시료를 도포한 첩포를 부착한 뒤 28시간 경과 후 첩포를 제거, 30분 후에 첫 판독을 시행하였고 96시간이 경과한 후에 2차 판독을 시행하였다. 각 시료의 피부 자극의 강도를 알아보기 위해, 피부의 양성반응의 정도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여 피부 평균 반응도를 구하여 각 시료의 피부 자극을 육안 판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5에 도시하였다. 이때, 판정기준은 5점 척도로 판단하고, 하기 식1에 따라 피부 평균 반응도를 구하였다(판정기준_1점 미만(등급 I) : 무자극 범위, 1점이상 3점미만(등급 II) : 경자극, 3점 이상 5점 미만(등급 III) : 중자극, 5점 이상(등급 IV) : 강자극).
[식1]
Figure pat00001
(실시예1)
하기 표1의 성분을 이용하여, 아래 방법을 통해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1)수상겔 성분을 모두 혼합하여 90℃로 가온 용해하였다.
(2)오일겔 성분을 모두 혼합하여 95℃로 가온 용해한 후 60℃로 냉각된 수상겔(경도 0.015㎏)에 투입하고, 히비스 믹서(hivis mixer)를 이용하여 저전단 교반하여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저전단 교반은 히비스 믹서(hivis mixer)를 이용하여, planetary 120rpm/min, Disper 8,000rpm/min의 조건에서 10분 동안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의 효과는 상술된 평가방법을 통해 실시되었다.
(실시예2)
상기 실시예1에서, 오일겔 성분의 가온 용해 공정온도를 85℃로 변경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교반하여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의 효과는 상술된 평가방법을 통해 실시되었다.
(실시예3)
하기 표1의 성분을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교반하여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냉각된 수상겔의 경도는 0.023 ㎏로 확인되었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의 효과는 상술된 평가방법을 통해 실시되었다.
(실시예4 내지 5)
하기 표1의 성분을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2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교반하여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의 효과는 상술된 평가방법을 통해 실시되었다.
(비교예1)
하기 표2의 성분을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1의 방법을 통해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수상겔의 경도를 실시예1과 동일하게 맞추기 위해 수상겔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천 0.5중량%를 더 포함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의 효과는 상술된 평가방법을 통해 실시되었다.
(비교예2)
하기 표2의 성분을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1의 방법을 통해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수상겔의 경도를 실시예1과 동일하게 맞추기 위해 수상겔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천 0.5중량%를 더 포함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의 효과는 상술된 평가방법을 통해 실시되었다.
(비교예3)
하기 표2의 성분을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1의 방법을 통해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수상겔의 경도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맞추기 위해 수상겔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천 1.0중량%를 더 포함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의 효과는 상술된 평가방법을 통해 실시되었다.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상기 도1 내지 도3 및 표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은 실질적으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는 크림타입의 슬러시한 외관을 갖는 제형이지만, 매우 안정적인 제형 안정성을 구현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반투명의 크림타입으로 팥빙수와 같은 독특한 외관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전범위의 온도하에서 이수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며 매우 안정적인 제형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오일겔에 에틸셀룰로오스를 더 포함하는 경우, 크림타입의 슬러시한 외관을 구현함과 동시에 바이겔 내 입자를 보다 작고 균일하게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반해, 비교예의 경우 전범위의 온도하에서 빠르게 이수현상이 관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과 동일한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더라도 관계식1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빠르게 이수현상이 관찰되었다.
또한 도4 내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은 높은 수분감을 갖는 시원하고 부드러운 발림성을 제공하고, 도포후 빠른 속도로 흡수되어 끈적임 없는 고유연 반전 막감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은 종래 수분감이 높은 o/w크림 대비 세안 후 당김이나 건조함 없이 촉촉한 피부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도7 및 도8 참조).
또한 표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대한 자극을 유발하지 않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특정된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4)

  1.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우레탄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친수성 겔화제를 포함하며,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는 수상겔을 포함하는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관계식 1]
    0.7 ≤WA/WB ≤1.7
    [상기 관계식 1에서,
    WA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중량(g)이고,
    WB는 우레탄계 공중합체의 중량(g)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이온성 아크릴아미드계 반복단위 및 수용성 비이온계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인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상기 수상겔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2 내지 1.0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계 공중합체는,
    친수성 폴리알킬렌옥사이드 블록 및 소수성 블록을 포함하는 비이온성의 블록 공중합체인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계 공중합체는,
    하기 관계식 2를 만족하는 것인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관계식 2]
    0.05 ≤ Clp -b/Chp -b ≤ 0.09
    [상기 관계식 2에서,
    Clp -b는 소수성 블록의 탄소수이고,
    Chp -b는 친수성 폴리알킬렌옥사이드 블록의 탄소수이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겔은,
    천연 고분자에서 선택되는 친수성 겔화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고분자는,
    아가, 카라기난, 전분, 구아검, 로커스트빈검, 잔탄검 및 젤란검에서 선택되는 것인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겔의 pH는 5 내지 7인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9. 제 1항 내지 제 8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겔화제는,
    상기 수상겔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겔의 경도는 0.010 내지 0.050 ㎏인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아미노산계 화합물, 25 내지 45℃의 융점을 가지는 저융점 왁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오일겔을 포함하는 것인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무기 겔화제 및 50℃이상의 융점을 가지는 고융점 왁스를 포함하는 오일겔을 포함하는 것인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13. 제 12항에 있어서,
    에틸셀룰로오스를 오일겔에 더 포함하는 것인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14. 제 11항 내지 제 13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수성겔 및 오일겔이 7:2 내지 3:7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인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096061A 2017-11-10 2018-08-17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KR201900537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13524 WO2019093780A1 (ko) 2017-11-10 2018-11-08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177 2017-11-10
KR20170149177 2017-11-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763A true KR20190053763A (ko) 2019-05-20

Family

ID=66678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6061A KR20190053763A (ko) 2017-11-10 2018-08-17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376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9873A (ko) * 2019-10-02 2021-04-12 코스맥스 주식회사 젤란검을 포함하는 겔형 화장료 조성물의 대량생산 방법
CN115429703A (zh) * 2022-10-24 2022-12-06 中国热带农业科学院农产品加工研究所 双凝胶组合物及其制备方法
WO2022267880A1 (zh) * 2021-06-21 2022-12-29 江南大学 一种制备相变可调的乳液凝胶型脂肪替代物的方法及应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5098B1 (ko) 1998-12-23 2002-07-24 로레알 인산 지방 에스테르를 기재로 한 나노에멀젼, 및 화장,피부, 약학 및/또는 안과 분야에서의 그의 용도
KR100345097B1 (ko) 1998-12-29 2002-07-24 로레알 에톡실화 지방 에테르 또는 에톡실화 지방 에스테르를기재로 한 나노에멀젼, 및 화장품, 피부과학 및/또는안과학 분야에서의 그의 용도
KR100358548B1 (ko) 1998-12-17 2002-10-25 로레알 글리세롤 지방 에스테르를 기재로 한 나노에멀젼, 및화장품, 피부 과학 및/또는 안과학 분야에서의 그의 용도
KR100369258B1 (ko) 1998-12-17 2003-01-24 로레알 옥시에틸렌화 또는 비-옥시에틸렌화 소르비탄지방에스테르 기재 나노에멀젼, 및 화장, 피부학 및/또는안과학 분야에서의 그의 용도
KR100369260B1 (ko) 1999-01-14 2003-01-24 로레알 알킬에테르시트레이트 기재 나노에멀젼, 및 화장, 피부학,약학 및/또는 안과학 분야에서의 그의 용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8548B1 (ko) 1998-12-17 2002-10-25 로레알 글리세롤 지방 에스테르를 기재로 한 나노에멀젼, 및화장품, 피부 과학 및/또는 안과학 분야에서의 그의 용도
KR100369258B1 (ko) 1998-12-17 2003-01-24 로레알 옥시에틸렌화 또는 비-옥시에틸렌화 소르비탄지방에스테르 기재 나노에멀젼, 및 화장, 피부학 및/또는안과학 분야에서의 그의 용도
KR100345098B1 (ko) 1998-12-23 2002-07-24 로레알 인산 지방 에스테르를 기재로 한 나노에멀젼, 및 화장,피부, 약학 및/또는 안과 분야에서의 그의 용도
KR100345097B1 (ko) 1998-12-29 2002-07-24 로레알 에톡실화 지방 에테르 또는 에톡실화 지방 에스테르를기재로 한 나노에멀젼, 및 화장품, 피부과학 및/또는안과학 분야에서의 그의 용도
KR100369260B1 (ko) 1999-01-14 2003-01-24 로레알 알킬에테르시트레이트 기재 나노에멀젼, 및 화장, 피부학,약학 및/또는 안과학 분야에서의 그의 용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9873A (ko) * 2019-10-02 2021-04-12 코스맥스 주식회사 젤란검을 포함하는 겔형 화장료 조성물의 대량생산 방법
WO2022267880A1 (zh) * 2021-06-21 2022-12-29 江南大学 一种制备相变可调的乳液凝胶型脂肪替代物的方法及应用
CN115429703A (zh) * 2022-10-24 2022-12-06 中国热带农业科学院农产品加工研究所 双凝胶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5429703B (zh) * 2022-10-24 2023-09-22 中国热带农业科学院农产品加工研究所 双凝胶组合物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09446A1 (en) Oil-in-wateroil-in-water type emulsion having excellent stability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ame
AU2015389700B2 (en) Cosmetic composition using plant-derived natural surfactant
RU2671398C2 (ru) Косме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CN110300570A (zh) 水包油乳液及其化妆品用途
KR20190053763A (ko)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US9913786B2 (en) Moisturizing composition which may be applied to wet skin in the form of an oil-in-water emulsion; moisturizing care process
JP5822427B2 (ja) アスコルビン酸またはサリチル酸化合物を含む化粧用組成物
CN111568782A (zh) 一种具有改善皮肤屏障的纳米乳液组合物及其应用
JP4160463B2 (ja) 皮膚外用剤
JP2013506656A (ja) 剤形安定性を改善させたo/w型化粧料組成物
WO2002003916A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eparing dispersions of thickened oils
KR102414484B1 (ko) 특히 다중 에멀젼 유형의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WO2015096115A1 (en) Low density composition with starch phosphate and superabsorbent polymer
JP7146917B2 (ja) 陰イオンアクリルコポリマー及び親油性ポリマーを含むエマルジョン
JP2022531108A (ja) 水中油型エマルションの形態の化粧用組成物
KR20110076076A (ko) 라멜라 액정이 수분산된 실리콘 중 수(w/s) 타입 유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TW202106279A (zh) 含有磷酸腺苷之o/w型高黏度乳化組合物
JP2006104113A (ja) ゲル状化粧料
KR101834196B1 (ko) 겔 형상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
TW202106278A (zh) 含有磷酸腺苷之o/w型低黏度乳化組合物
CN114845687A (zh) 用于增亮或增白角蛋白材料的组合物
WO2019093780A1 (ko)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WO2022136903A1 (en) Oil-in-water emulsified make-up remover
CN117979945A (zh) 用于调理或护理角蛋白材料的组合物
WO2020021448A1 (en) Skin cleansing composition containing visible oil dropl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