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3653A - 도금강판의 표면결함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도금강판의 표면결함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3653A
KR20190053653A KR1020170149752A KR20170149752A KR20190053653A KR 20190053653 A KR20190053653 A KR 20190053653A KR 1020170149752 A KR1020170149752 A KR 1020170149752A KR 20170149752 A KR20170149752 A KR 20170149752A KR 20190053653 A KR20190053653 A KR 20190053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steel sheet
grinding wheel
steel plat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9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4981B1 (ko
Inventor
박성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149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4981B1/ko
Publication of KR20190053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3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14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examined
    • G01N2021/8918Met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2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characterised by the flaw, defect or object feature examined
    • G01N2021/8924Dents; Relief fla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onstituent Portions Of Griding Lathes, Driving, Sensing And Control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연속 용융도금 라인을 가동하면서 생산된 강판의 표면결함을 검사하여 검사 작업 시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강판의 표면에 탄력적으로 접촉되어 강판표면을 연마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석을 구비한 연마부, 상기 연마부에 연결되어 연마부를 상기 강판의 폭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에 근접되게 설치되어 상기 지석에 의해 연마된 강판의 표면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도금강판의 표면결함 검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금강판의 표면결함 검사장치{APPARATUS FOR INSPECTING SURFACE DENT OF HOT DIP GALVANIZING STEEL SHEET}
연속 용융도금 라인에서 생산되는 도금강판의 표면결함을 효과적으로 검사하는 검사장치를 개시한다.
일반적으로 연속 용융도금 공정은 라인의 입측으로부터 소재를 각 공정으로 진행시키면서 강판의 표면에 부착된 각종 이물질을 제거한다. 그 다음으로 강판을 소둔로에 통과시켜 소둔 작업을 실시하고, 소둔 작업 후 강판의 표면에 도금 작업을 실시한다.
도금된 상기 강판은 형상 교정작업 후, 장시간 보관을 위한 강판표면의 내식성 향상을 위해 크롬 용액으로 코팅작업을 실시한다. 그 다음으로 상기 강판을 코일 권취기로 감아 제품화하는 단계를 거친다.
상기의 과정을 거쳐 생산되는 모든 강판은 크고 작은 여러 롤과 접촉되면서 생산라인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롤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과 강판의 표면이 접촉되면서 강판표면에 크고 작은 결함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강판의 표면결함 중 작업자의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한 경우에는 자동 표면흠집 검사장치를 이용하여 확인한다. 그러나, 작은 이물질에 의해 강판표면에 미소 결함이 발생한 경우에는 미세한 연마숫돌인 지석을 이용하여 강판의 표면을 약하게 연마해야 강판의 표면결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강판표면의 미소 결함을 검사하기 위하여 강판의 생산라인을 정지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지석을 이용하여 강판표면을 검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강판의 생산라인을 정지한 상태에서 강판표면의 미소 결함을 작업자의 수작업을 통해 검사하기 때문에 검사 시 작업성 및 생산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강판표면의 미소 결함을 검사하기 위해 작업자가 상기 지석을 통해 연마된 강판의 표면과 생산과정에서 발생한 강판의 미소 결함을 서로 비교하는 과정이 어렵기 때문에 작업자의 업무 능률을 저하시킨다. 상기의 복잡한 과정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안전사고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가 있다.
연속 용융도금 라인을 가동하면서 생산된 강판의 표면결함을 검사하여 검사 작업 시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도금강판의 표면결함 검사장치를 제공한다.
도금강판의 표면결함 검사장치는, 강판의 표면에 탄력적으로 접촉되어 강판표면을 연마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석을 구비한 연마부, 상기 연마부에 연결되어 연마부를 상기 강판의 폭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에 근접되게 설치되어 상기 지석에 의해 연마된 강판의 표면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연마부를 강판에 대해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하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강판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지석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이동부가 설치된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에 설치된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동부재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 축, 상기 이동 축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휠, 상기 이동 축을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 및 상기 이동 축의 기어와 상기 구동 모터의 기어를 연결하는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하강부는 상기 지석의 상부에 설치되어 지석과 함께 승하강하는 이송 플레이트, 및 상기 이송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지석과 이송 플레이트를 승하강하게 하는 구동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하강부는 상기 이송 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송 플레이트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마부는 상기 이송 플레이트와 스프링을 매개로 설치되어 상기 지석이 강판의 표면에 탄력적으로 접촉되게 하는 가이드 로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이동부재의 진행방향 양 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강판의 단부를 감지하여 상기 승하강부가 동작하도록 신호를 보내는 레이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양 측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지석과 강판표면의 비 접촉을 감지하여 지석이 초기 작업위치로 이동되도록 신호를 보내는 근접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장치에 따르면, 용융도금 강판의 생산라인을 가동시키면서 자동으로 강판의 표면결함을 검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작업성 및 용융도금 강판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강판의 표면결함 검사 시 생산라인의 가동을 멈추지 않게 되어 표면결함 검사의 실시율을 높여 용융도금 강판의 표면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강판의 표면결함 검사 시 작업자가 수동으로 검사하는 것을 배제하여 수동검사로 소모되는 검사자 업무를 저감시키고, 수동검사 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도금강판의 표면결함 검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도금강판표면결함 검사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도금강판표면결함 검사장치의 연마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도금강판의 표면결함 검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도금강판표면결함 검사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도금강판표면결함 검사장치의 연마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중인 용융도금라인의 출측에 설치되어 생산되는 강판(S)의 표면결함을 검사하는 도금강판의 표면결함 검사장치(1)를 개시한다.
상기 검사장치(1)는 도금강판의 생산라인이 가동되는 상태에서 자동으로 강판표면의 결함을 검사하여 작업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검사장치(1)는 강판(S)의 표면에 탄력적으로 접촉되어 강판표면을 연마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석(11)을 구비한 연마부(10), 상기 연마부(10)에 연결되어 연마부(10)를 상기 강판(S)의 폭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20), 및 상기 이동부(20)에 근접되게 설치되어 상기 지석(11)에 의해 연마된 강판(S)의 표면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마부(10)는 강판(S)의 표면을 연마하기 위한 복수개의 지석(11)이 설치된다. 상기 지석(11)이 강판(S)의 표면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하게 되어 강판(S)의 표면을 연마하게 된다. 상기 연마부(10)는 강판(S)의 폭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지석(11)으로 강판(S)의 표면을 연마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20)는 상기 연마부(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연마부(10)와 연결된 상태로 연마부(10)를 강판(S)의 폭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이동부(20)는 상기 연마부(10)를 강판(S)에 대해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하강부(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하강부(21)를 통해 상기 연마부(10)를 승강 또는 하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연마가 완료된 강판(S)의 표면에서 새로이 연마를 시작해야 하는 강판표면으로 연마부(10)가 이동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연마부(10)의 이동으로 연마된 강판(S)의 표면을 상기 카메라(30)를 이용하여 촬영하게 된다. 상기 카메라(30)는 상기 이동부(20)에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설치됨으로써 강판(S)의 표면결함을 시험하는 강판(S)의 연마된 부분을 촬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부(20)는 상기 강판(S)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지석(11)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22), 상기 가이드레일(22)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이동부(20)가 설치된 이동부재(23), 및 상기 이동부재(23)에 설치된 구동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20)에 의해 상기 지석(11)이 강판(S)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됨으로써 강판표면을 연마하게 되고, 연마된 강판표면의 상태를 상기 카메라(30)로 촬영하여 강판(S)의 표면결함을 검사할 수 있다.
상기 지석(11)과 연결된 상기 이동부재(23)가 상기 구동부(24)의 작동으로 상기 가이드레일(22)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이동부재(23)는 강판(S)의 폭 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가이드레일(22)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지석(11)을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구동부(24)는 상기 이동부재(23)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 축(24a), 상기 이동 축(24a)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22)을 따라 이동하는 휠(24b), 상기 이동 축(24a)을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24c), 및 상기 이동 축(24a)의 기어(24a′)와 상기 구동 모터(24c)의 기어(24c′)를 연결하는 체인(24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23)는 상기 연마부(10)와 연결되어 연마부(10)의 지석(11)을 강판(S)의 폭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이동부재(23)에는 구동수단인 상기 이동 축(24a)이 설치된다. 상기 이동 축(24a)의 양 단에는 상기 휠(24b)이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22)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이동 축(24a)은 상기 구동 모터(24c)와 연결되어 구동 모터(24c)의 동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휠(24b)을 회전시켜 상기 이동부재(23)가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이동 축(24a)의 기어(24a′)와 상기 구동 모터(24c)의 기어(24c′)가 체인(24d)으로 연결되어 구동 모터(24c)의 동력을 이동 축(24a)에 전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마부(10)의 지석(11)을 강판(S)에 대해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상기 승하강부(21)는 상기 지석(11)의 상부에 설치되어 지석(11)과 함께 승하강하는 이송 플레이트(21a), 및 상기 이송 플레이트(21a)에 연결되어 상기 지석(11)과 이송 플레이트(21a)를 승하강하게 하는 구동 실린더(2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 플레이트(21a)는 상기 이동부재(23)와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지석(11)을 이동시킨다. 상기 이송 플레이트(21a)는 상기 구동 실린더(21b)의 실린더 로드(21b′)와 연결되어 구동 실린더(21b)의 작동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상기 구동 실린더(21b)의 작동으로 상기 지석(11)이 강판표면에 접촉되거나 강판표면에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하강부(21)는 상기 이송 플레이트(21a)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송 플레이트(21a)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바(21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바(21c)는 상기 이송 플레이트(21a)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부재(23)에 삽입됨으로써 이송 플레이트(21a)의 승하강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바(21c)는 상기 이송 플레이트(21a)가 상기 이동부재(23)에 연결된 상태에서 안정되게 승하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마부(10)는 상기 이송 플레이트(21a)와 스프링(13)을 매개로 설치되어 상기 지석(11)이 강판(S)의 표면에 탄력적으로 접촉되게 하는 가이드 로드(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로드(14)는 상기 이송 플레이트(21a)에 설치되어 상기 지석(11)이 강판표면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 로드(14)의 상하부에는 상기 이송 플레이트(21a)를 지지하는 스프링(13)이 각각 배치되어 상기 지석(11)이 이송 플레이트(21a)에 탄력적으로 설치된다. 상기 지석(11)이 강판(S)의 표면에 탄력적으로 접촉되어 강판(S)과의 초기 접촉 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검사장치(1)는 상기 지석(11)의 이동 및 동작을 위하여 강판(S)의 위치를 검출하고, 이에 따른 상기 승하강부(2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20)는 상기 이동부재(23)의 진행방향 양 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강판(S)의 단부를 감지하여 상기 승하강부(21)가 동작하도록 신호를 보내는 레이저 센서(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이저 센서(25)가 강판(S)의 일측 또는 타측의 단부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지석(11)의 연마작업을 중지 또는 시작시키기 위하여 상기 구동 실린더(21b)를 동작시킨다.
상기 지석(11)의 연마작업이 완료되어 지석(11)을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레이저 센서(25)의 신호로 상기 구동 실린더(21b)의 실린더 로드(21b′)가 신축되어 지석(11)을 강판표면에서 이탈시킨다. 반대로, 상기 지석(11)의 연마작업을 시작하는 경우, 상기 레이저 센서(25)의 신호로 상기 구동 실린더(21b)의 실린더 로드(21b′)가 신장되어 지석(11)을 강판표면에 접촉시킨다.
또한, 상기 이동부(20)는 상기 가이드레일(22)의 양 측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지석(11)과 강판표면의 비 접촉을 감지하여 지석(11)이 초기 작업위치로 이동되도록 신호를 보내는 근접 센서(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26)는 상기 가이드레일(22)의 양 측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강판(S)의 폭 방향으로 연마작업을 완료한 상기 지석(11)이 강판표면과 분리되는 것을 감지한다.
상기 근접 센서(26)의 신호에 의해 상기 이동부(20)의 구동부(24)가 동작되어 상기 연마부(10)를 강판(S)의 표면결함을 검사할 또 다른 위치로 이동시킨다. 상기 강판(S)의 일측 단부에 위치한 상기 연마부(10)를 강판(S)의 타측 단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검사장치(1)는 상기 카메라(30)에서 촬영된 상기 강판(S)의 연마된 표면과 미리 컴퓨터에 입력된 강판표면 간의 유사도를 판단하는 표면 검출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판(S)의 표면을 비교판단하기 위한 기준을 설정하여 상기 표면 검출부(40)에 입력하게 된다. 상기 강판(S)의 표면결함 중 미소 덴트를 검사하는 경우, 상기 미소 덴트를 연마했을 때 나타나는 형상, 크기, 및 색상의 기준을 정하여 작업자의 컴퓨터(PC)에 입력한다.
상기 컴퓨터(PC)에 미리 입력된 미소 덴트의 기준과 현장에서 상기 검사장치로 연마하여 나타난 강판표면의 미소 덴트를 서로 비교하여 그 차이에 따른 기준치를 정한다. 즉, 미소 덴트의 기준이 되는 데이터와 연마된 표면의 미소 덴트가 어느 정도 유사한 것인지를 검사하여 작업자가 생산되는 강판(S)의 표면결함을 판단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검사장치(1)를 이용하여 검사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은 우선, 검사를 진행할 강판(S) 부위의 일측 단부에서 상기 승하강부(21)의 구동 실린더(21b)를 동작시켜 상기 지석(11)을 강판표면에 접촉시킨다. 상기 지석(11)은 강판(S)의 표면을 연마하면서 강판(S)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상기 지석(11)이 강판(S)의 타측 단부에 도달하여 연마작업이 마무리되면, 상기 지석(11)의 위치를 상기 레이저 센서(25)가 감지하여 상기 구동 실린더(21b)를 통해 지석(11)을 상승시킨다. 이와 동시에 상기 지석(11)이 강판표면과 분리되는 것을 상기 근접 센서(26)를 통해 감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근접 센서(26)의 신호에 의해 상기 연마부(10)를 상기 이동부(20)의 작동으로 강판(S)의 단부로 이동시킨다. 상기 연마부(10)의 이동 후, 상기 레이저 센서(25)의 신호로 상기 지석(11)이 하강하여 강판표면에 접촉됨으로써 연마작업을 다시 시작한다.
상기 지석(11)은 강판(S)의 폭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강판(S)의 표면을 연마하게 된다. 이러한 작업과정을 진행하면서 상기 카메라(30)에 의해 연마된 강판(S)의 표면이 촬영된다.
상기와 같이 촬영된 강판(S)의 표면 정보는 상기 표면 검출부(40)에 전송되어 미리 입력된 강판의 표면과 서로 비교하게 된다. 상기 강판(S) 표면결함의 비교 결과를 작업자에게 전송하여 작업자가 강판 표면의 결함을 검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석(11)으로 연마된 강판(S)의 표면 중 표면결함이 연속적으로 발견된 경우에도 그 영상을 작업자에게 전송하여 결함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용융도금 강판의 생산라인을 가동시키면서 자동으로 강판(S)의 표면결함을 검사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작업성 및 용융도금 강판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강판(S)의 표면결함 검사 시 생산라인의 가동을 멈추지 않게 되어 표면결함 검사의 실시율을 높여 용융도금 강판(S)의 표면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 : 표면결함 검사장치 10 : 연마부
11 : 지석 13 : 스프링
14 : 가이드 로드 20 : 이동부
21 : 승하강부 21a : 이송 플레이트
21b : 구동 실린더 21b′: 실린더 로드
21c : 가이드 바 22 : 가이드레일
23 : 이동부재 24 : 구동부
24a : 이동 축 24a′: 기어
24b : 휠 24c : 구동 모터
24c′: 기어 24d : 체인
25 : 레이저 센서 26 : 근접 센서
30 : 카메라 40 : 표면 검출부
S : 강판 PC : 컴퓨터

Claims (9)

  1. 강판의 표면에 탄력적으로 접촉되어 강판표면을 연마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석을 구비한 연마부;
    상기 연마부에 연결되어 상기 연마부를 강판의 폭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에 근접되게 설치되어 상기 지석에 의해 연마된 강판의 표면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도금강판의 표면결함 검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연마부를 강판에 대해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하강부를 더 포함하는 도금강판의 표면결함 검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강판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지석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이동부가 설치된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에 설치된 구동부를 포함하는 도금강판의 표면결함 검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동부재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 축, 상기 이동 축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휠, 상기 이동 축을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 및 상기 이동 축의 기어와 상기 구동 모터의 기어를 연결하는 체인을 포함하는 도금강판의 표면결함 검사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는 상기 지석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석과 함께 승하강하는 이송 플레이트, 및 상기 이송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지석과 상기 이송 플레이트를 승하강하게 하는 구동 실린더를 포함하는 도금강판의 표면결함 검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는 상기 이송 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 플레이트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바를 더 포함하는 도금강판의 표면결함 검사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는 상기 이송 플레이트와 스프링을 매개로 설치되어 상기 지석이 강판의 표면에 탄력적으로 접촉되게 하는 가이드 로드를 더 포함하는 도금강판의 표면결함 검사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이동부재의 진행방향 양 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강판의 단부를 감지하여 상기 승하강부가 동작하도록 신호를 보내는 레이저 센서를 더 포함하는 도금강판의 표면결함 검사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양 측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지석과 강판표면의 비 접촉을 감지하여 상기 지석이 초기 작업위치로 이동되도록 신호를 보내는 근접 센서를 더 포함하는 도금강판의 표면결함 검사장치.
KR1020170149752A 2017-11-10 2017-11-10 도금강판의 표면결함 검사장치 KR102044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752A KR102044981B1 (ko) 2017-11-10 2017-11-10 도금강판의 표면결함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752A KR102044981B1 (ko) 2017-11-10 2017-11-10 도금강판의 표면결함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653A true KR20190053653A (ko) 2019-05-20
KR102044981B1 KR102044981B1 (ko) 2019-12-02

Family

ID=66678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9752A KR102044981B1 (ko) 2017-11-10 2017-11-10 도금강판의 표면결함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498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4093Y1 (ko) * 1994-12-23 1998-04-16 김만제 롤 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0182979Y1 (ko) * 1999-12-20 2000-05-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냉연 샘플강판 취출 및 검사장치
KR20060101732A (ko) * 2005-03-21 2006-09-26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표면의 결함 자동 검출 장치
KR100797271B1 (ko) * 2001-12-21 2008-01-23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표면 요철성 결함 검출용 검사장치
JP2016078150A (ja) * 2014-10-15 2016-05-1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鋼板表面欠陥研削装置および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4093Y1 (ko) * 1994-12-23 1998-04-16 김만제 롤 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0182979Y1 (ko) * 1999-12-20 2000-05-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냉연 샘플강판 취출 및 검사장치
KR100797271B1 (ko) * 2001-12-21 2008-01-23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표면 요철성 결함 검출용 검사장치
KR20060101732A (ko) * 2005-03-21 2006-09-26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표면의 결함 자동 검출 장치
JP2016078150A (ja) * 2014-10-15 2016-05-1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鋼板表面欠陥研削装置およ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4981B1 (ko) 2019-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11446C2 (ru) Независимое измер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шлифовальных станков
CN104290012B (zh) 一种带钢表面除锈设备
CN107107308B (zh) 研磨装置
US20180306684A1 (en) Device for detection of defects in strips
CN107186595B (zh) 一种无酸环保型金属材料表面清洗处理工艺
KR20190053653A (ko) 도금강판의 표면결함 검사장치
KR101382775B1 (ko) 산세성 평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산세성 평가방법
JP5348275B2 (ja) スラブの研削方法及び研削装置
CN102513935A (zh) 全自动抛光、表面检测设备
KR20010048999A (ko) 스트립의 표면결함 검출장치
RU2492039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хонингования непрерывно движущихся металлических полос произвольной ширины
KR101154574B1 (ko) 스트립 표면의 결함 자동 검출 장치
KR102200216B1 (ko) 빌렛 자동 연마 장치 및 방법
KR100897749B1 (ko) 스트립 표면의 연마상태 검사장치
EP3208596A1 (en) Device for detection of defects in strips
KR20180065774A (ko) 주편 그라인딩 설비 및 주편 그라인딩 방법
KR101524795B1 (ko) 지석을 이용한 도금강판의 표면검사장치
KR102065223B1 (ko) 강판 표면 결함 제거 방법 및 시스템
KR101059152B1 (ko) 이송롤러 표면의 스크래치 제거장치
KR102175601B1 (ko) 빌렛 자동 연마 장치 및 방법
KR100554738B1 (ko) 스트립 표면의 결함 자동검사장치
JPH07164318A (ja) ベルト研削方法
TWM627137U (zh) 鋼卷側緣檢測裝置
KR200243134Y1 (ko) 강판표면 결함확인장치
KR100946931B1 (ko) 크래들 롤 연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