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3466A - 탄소섬유강화복합재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 로프의 고정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탄소섬유강화복합재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 로프의 고정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3466A
KR20190053466A KR1020170149367A KR20170149367A KR20190053466A KR 20190053466 A KR20190053466 A KR 20190053466A KR 1020170149367 A KR1020170149367 A KR 1020170149367A KR 20170149367 A KR20170149367 A KR 20170149367A KR 20190053466 A KR20190053466 A KR 201900534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rope
wedge
shaped
fixing
carbon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9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민
신동우
권일준
이한모
Original Assignee
다이텍연구원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텍연구원,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다이텍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49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3466A/ko
Publication of KR20190053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34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8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for connection to the cars or cages, e.g. couplings
    • B66B7/085Belt terminatio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62Belts

Landscapes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탄소섬유강화복합재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 로프 고정용 클램프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쐐기형 그립력과 볼프형 그립력에 의하여 탄소섬유강화복합재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 로프를 효과적으로 고정하면서 그립 응력 집중을 최소화하여 엘리베이터 로프의 사용 중 파손이 현저하게 감소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로프 고정용 클램프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탄소섬유강화복합재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 로프의 고정용 클램프{Holding clamp of elevator rope comprising carbon fiber reinforced composite}
본원 발명은 탄소섬유강화복합재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 로프 고정용 클램프에 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쐐기형 그립력과 볼프형 그립력에 의하여 탄소섬유강화복합재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 로프를 효과적으로 고정하면서 그립 응력 집중을 최소화하여 엘리베이터 로프의 사용 중 파손이 현저하게 감소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로프 고정용 클램프에 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로프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균형추 또는 양쪽을 현수 및/또는 이동하는데 이용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금속선 또는 금속 섬유에서 꼬기 시작해서 제작되어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금속 로프는 그 인장 강도에 비하여 중량이 크고 굵은 단점을 가진다.
반면에 섬유강화복합재료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로프는 주로 벨트의 형상으로 제조되고 중량에 비하여 인장강도가 큰 장점이 있으나 로프 단부의 고정에 있어서 그립 응력이 집중되는 경우 파괴가 일어나기 쉬운 단점을 가진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로프 단부의 고정에 있어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9-051650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4-129182호에서는 소켓 또는 쐐기형 요소를 이용하여 로프를 고정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나, 탄소섬유강화복합소재 등으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용 로프 단부의 고정에 있어서 진동에 의하여 쉽게 풀릴 가능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그립 응력의 집중을 감쇠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구조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9-05165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4-129182호.
본원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탄소섬유강화복합재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 로프의 고정에 있어서 그립 응력의 집중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로프의 고정용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 발명에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좌우 대칭형의 쐐기형 그립을 적용하여 하중을 분산 시킬수 있는 엘리베이터 로프의 고정용 클램프를 제공한다.
또한, 그립 응력의 집중을 감쇠시키기 위하여 쐐기형 그립력과 볼드형 그립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로프의 고정용 클램프를 제공한다.
또한, 클램프 끝단의 쐐기에 응력 집중을 감쇠하기 위하여 라운드 가공이 적용된 쐐기를 제공한다.
본원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로프의 고정용 클램프는 쐐기형 그립력과 볼트형 그립력이 동시에 부여될 수 있어 탄소섬유강화복합재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 로프의 고정에 있어서 그 크기가 작으면서도 매우 안정적이고 효과적이다.
또한, 엘리베이터 로프의 고정용 클램프는 그립 응력 집중이 적어서 탄소섬유강화복합재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 로프의 사용중 파손이 현저하게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로프의 고정용 클램프는 치구에서 쐐기가 받는 굽힘응력이 줄어들어서 안전성이 매우 높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로프 고정용 클램프의 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원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로프 고정용 쐐기형 그립 부분과 치구의 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원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로프 고정용 클램프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원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로프 고정용 클램프의 응력 집중의 감쇠를 위한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원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로프 고정용 클램프의 그립력 생성을 위한 볼트형 및 쐐기형의 그립력 생성을 위한 구조 및 그립 응력 집중의 감쇠를 위한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원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로프 고정용 클램프의 로프 방향 말단의 단면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원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로프 고정용 클램프의 로프 방향과 반대쪽 말단의 형상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원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로프 고정용 클램프의 로프 방향과 반대쪽 말단의 단면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원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원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과 같이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인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구현 예 및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특히 이것에 의해 본원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을 받지 않는다. 또한, 본원 발명의 내용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의 장비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 예 및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 발명에서는 탄소섬유강화복합재로 이루어진 벨트 형상의 엘리베이터 로프; 및 상기 엘리베이터 로프의 양면에 접착제로 고정된 유리섬유 복합소재로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로프의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로프 단부를 양면에서 집속하는 길이 방향으로 두께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한 쌍의 쐐기형 고정수단 및 상기 쐐기형 고정수단을 감싸는 형상의 한 쌍의 치구를 포함하는 탄소섬유강화복합재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 로프의 고정용 클램프를 제공한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로프의 고정용 클램프의 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원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로프의 고정용 클램프의 쐐기형 그립 부분과 치구의 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원 발명에 따르면, 좌우 대칭형으로 쐐기형 그립을 고정하는 한 쌍의 치구에 의하여 쐐기형 그립에 적용되는 하중을 분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치구의 두께 및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도 3은 본원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로프의 고정용 클램프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클램프의 중앙에는 벨트 형상의 탄소섬유강화복합재가 위치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로프의 양면에 접착제로 고정된 유리섬유 복합소재가 엘리베이터 로프의 단부를 구성하게 된다. 엘리베이터 로프 단부를 한 쌍의 쐐기형 고정수단이 집속하게 되고 이때, 쇄기형 고정수단은 엘리베이터 로프의 방향쪽으로 두께가 접진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쐐기형 고정수단을 감싸는 형상의 한 쌍의 치구에 의하여 고정됨으로써 엘리베이터 로프 방향으로 인장될 때 쐐기에 의한 고정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도 4는 본원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로프의 고정용 클램프의 응력 집중의 감쇠를 위한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중앙에 벨트 형상의 탄소섬유강화복합재가 위치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로프의 양면에 접착제로 고정된 유리섬유 복합소재가 엘리베이터 로프의 단부를 구성하게 된다. 엘리베이터 로프 단부를 한 쌍의 쐐기형 고정수단이 집속하게 되고 이때, 쇄기형 고정수단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깥쪽 면이 곡면으로 점차 적으로 두께가 감소되는 형상으로 라운드 가공됨으로써 그립 응력 집중을 감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원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로프의 고정용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쐐기형 고정수단은 엘리베이터 로프의 단부 방향에 다수의 볼트형 고정수단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원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로프의 고정용 클램프의 그립력 생성을 위한 볼트형 및 쐐기형의 그립력 생성을 위한 구조 및 그립 응력 집중의 감쇠를 위한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것으로 쐐기형 그립력과 더불어 볼트형 그립력 생성에 의하여 보다 견고하게 엘리베이터 로프를 고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원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로프의 고정용 클램프의 로프 방향 말단의 단면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본원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로프의 고정용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볼트형 고정수단이 형성된 쐐기형 고정수단의 측면에는 추가의 압입력 생성 수단이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볼트형 고정수단 및 압입력 생성 수단은 육각 무드볼트일 수 있다.
도 7은 본원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로프의 고정용 클램프에 있어서의 로프 방향과 반대쪽 말단의 형상을, 도 8은 본원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로프의 고정용 클램프의 로프 방향과 반대쪽 말단의 단면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Claims (5)

  1. 탄소섬유강화복합재로 이루어진 벨트 형상의 엘리베이터 로프; 및 상기 엘리베이터 로프의 양면에 접착제로 고정된 유리섬유 복합소재로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로프의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로프 단부를 양면에서 집속하는 길이 방향으로 두께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한 쌍의 쐐기형 고정수단 및
    상기 쐐기형 고정수단을 감싸는 형상의 한 쌍의 치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강화복합재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 로프의 고정용 클램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쐐기형 고정수단은 엘리베이터 로프의 단부 방향에 다수의 볼트형 고정수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강화복합재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 로프 고정용 클램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쐐기형 고정수단은 볼트형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타단의 바깥쪽 면이 곡면으로 점차 적으로 두께가 감소되는 형상으로 라운드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강화복합재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 로프의 고정용 클램프.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볼트형 고정수단이 형성된 쐐기형 고정수단의 측면에는 추가의 압입력 생성 수단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강화복합재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 로프의 고정용 클램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볼트형 고정수단 및 압입력 생성 수단은 육각 무드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강화복합재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 로프의 고정용 클램프.
KR1020170149367A 2017-11-10 2017-11-10 탄소섬유강화복합재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 로프의 고정용 클램프 KR201900534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367A KR20190053466A (ko) 2017-11-10 2017-11-10 탄소섬유강화복합재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 로프의 고정용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367A KR20190053466A (ko) 2017-11-10 2017-11-10 탄소섬유강화복합재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 로프의 고정용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466A true KR20190053466A (ko) 2019-05-20

Family

ID=66678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9367A KR20190053466A (ko) 2017-11-10 2017-11-10 탄소섬유강화복합재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 로프의 고정용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346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24545A1 (ja) * 2019-12-20 2021-06-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主索端末構造体、エレベータ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の組立方法
KR20220025471A (ko) 2020-08-24 2022-03-03 오태순 엘리베이터용 와이어 클램프
CN114650960A (zh) * 2019-11-20 2022-06-21 三菱电机株式会社 带把持用具
CN114650960B (zh) * 2019-11-20 2024-06-04 三菱电机株式会社 带把持用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1650A (ja) 2007-08-29 2009-03-1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主索端末装置
JP2014129182A (ja) 2012-12-30 2014-07-10 Kone Corp ロープ終端組立体およびエレベー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1650A (ja) 2007-08-29 2009-03-1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主索端末装置
JP2014129182A (ja) 2012-12-30 2014-07-10 Kone Corp ロープ終端組立体およびエレベータ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50960A (zh) * 2019-11-20 2022-06-21 三菱电机株式会社 带把持用具
CN114650960B (zh) * 2019-11-20 2024-06-04 三菱电机株式会社 带把持用具
WO2021124545A1 (ja) * 2019-12-20 2021-06-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主索端末構造体、エレベータ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の組立方法
JPWO2021124545A1 (ko) * 2019-12-20 2021-06-24
KR20220025471A (ko) 2020-08-24 2022-03-03 오태순 엘리베이터용 와이어 클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79886B (zh) 纤维增强塑料复合线缆的紧固具
US6854164B2 (en) Termination device for an aramid-based elevator rope
US9115466B2 (en) Method of making a woven fabric having a desired spacing between tension members
KR20190053466A (ko) 탄소섬유강화복합재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 로프의 고정용 클램프
US4309033A (en) Clamping apparatus
US5904438A (en) Method of terminating a fiber rope
JP2014074655A (ja) 長繊維強化金属基複合材料の引張強度試験方法及び引張試験片
GB2474861A (en) Wedging clamp for cable end
JP5946752B2 (ja) ワイヤーロープ把持具
US3705445A (en) Vibration damped fitting
JPH0410552B2 (ko)
JP2007168461A (ja) ケーブル固定方法
CN103352538A (zh) 一种带辅助压紧环的预应力纤维增强复合材料索锚固装置
US2698471A (en) Wire clamp
JPH07335029A (ja) 架空送電線
JPH1082178A (ja) ケーブル端部定着方法及びケーブル端部定着構造
US10323427B2 (en) Anchorage device
JP2001078341A (ja) 繊維強化電線用くさび型クランプ
JPH07119798A (ja) 繊維ロープの端末固定具
JP7226622B1 (ja) ワイヤロープ固定装置
KR101740972B1 (ko) 차량용 손잡이
US2999224A (en) Strain clamp
JP4869113B2 (ja) クランプアダプタ
JP5443699B2 (ja) 繊維ロープ端末固定具
JPH0745691Y2 (ja) プレストレス導入用frp線材の定着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