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2811A - 차량용 도어의 소음저감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의 소음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2811A
KR20190052811A KR1020170148559A KR20170148559A KR20190052811A KR 20190052811 A KR20190052811 A KR 20190052811A KR 1020170148559 A KR1020170148559 A KR 1020170148559A KR 20170148559 A KR20170148559 A KR 20170148559A KR 20190052811 A KR20190052811 A KR 20190052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door
door panel
door trim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8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8713B1 (ko
Inventor
지석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70148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8713B1/ko
Publication of KR20190052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2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8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8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43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Abstract

차량용 도어의 소음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의 소음저감장치는 차량의 도어를 구성하는 도어패널과 도어트림 사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는, 상기 도어패널과 도어트림 사이에서 가압되어 압축 가능하게 마련된 주름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의 소음저감장치{noise reduction device for door of vehicle}
차량의 도어트림과 도어패널 간의 접촉 또는 마찰에 따른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차량용 도어의 소음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도어는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패널과, 도어패널에 조립되는 도어트림을 구비한다.
도어패널은 금속재질로 마련되고, 도어트림은 사출물로 마련되어 차량의 실내 쪽을 향하는 도어패널의 내면을 덮어 가림으로써 차량 내부의 장식효과를 높이게 된다.
한편, 사출물로 마련되어 유연한 특성을 보이는 도어트림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 둥에 의해 도어패널에 접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차량의 도어에서는 도어트림과 도어패널 간의 접촉 또는 마찰에 따른 소음이 유발될 수 있다.
도어트림과 도어패널 간의 접촉 또는 마찰에 따른 소음을 줄이고, 도어트림과 도어패널 사이의 거리가 다양한 여러 위치에 공용적으로 채용될 수 있는 차량용 도어의 소음저감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의 소음저감장치는 차량의 도어를 구성하는 도어패널과 도어트림 사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는, 상기 도어패널과 도어트림 사이에서 가압되어 압축 가능하게 마련된 주름통부;를 포함한다.
상기 댐퍼는 일단이 폐쇄되고 타단이 개방된 중공의 관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주름통부는 상기 댐퍼의 폐쇄된 단부 쪽이나, 상기 댐퍼의 양단 사이의 적어도 일부 구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댐퍼는 폐쇄된 단부를 통해 상기 도어패널에 지지되고, 싱기 차량용 도어의 소음저감장치는 상기 댐퍼 내부 공기의 출입이 허용되도록 상기 댐퍼의 개방된 단부를 상기 도어트림에 고정시키는 댐퍼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름통부는 상기 도어패널에 지지되도록 상기 댐퍼의 폐쇄된 일단부 쪽을 형성하고, 상기 댐퍼는, 상기 주름통부보다 적은 직경을 구비하여 상기 주름통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댐퍼의 개방된 타단부 쪽을 형성하는 연장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댐퍼고정부는, 상기 연장관부가 압입되는 압입홀을 구비하여 상기 도어트림에 일체로 마련된 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스부에는 상기 댐퍼의 개방된 단부와 외부 사이를 연통시키는 통기공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의 소음저감장치는 상기 도어패널과 도어트림 사이에서 가압되어 압축 가능하게 마련된 주름통부를 포함하는 댐퍼를 구비함으로써, 도어트림과 도어패널 간의 접촉 또는 마찰에 따른 소음을 줄이고, 도어트림과 도어패널 사이의 거리가 다양한 여러 위치에 공용적으로 채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의 소음저감장치에 있어서 댐퍼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댐퍼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댐퍼의 압축 된 상태를 압축 전 상태와 비교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의 소음저감장치가 도어패널과 도어트림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의 소음저감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며, 여기서 제시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할 수 있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의 소음저감장치(1)는 차량의 도어를 구성하는 도어패널(2)과 도어트림(3) 사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댐퍼(10)를 구비한다.
도어패널(2)은 금속재질로 마련되어 차량 도어의 외관을 형성하고, 도어트림(3)은 사출물로 마련도어 차량의 실내를 향하는 도어패널(2)의 내면을 가려 차량 내부의 장식효과를 높이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도어트림(3)은 다수의 파스너(fastener)를 통해 도어패널(2)에 조립될 수 있다.
도어트림(3)은 유연한 재질적 특성 상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 둥에 의해 도어패널(2)에 접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차량의 도어에서는 도어트림(3)과 도어패널(2) 간의 접촉 또는 마찰에 따른 소음이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패널(2)과 도어트림(3) 사이에 있어서 간격이 좁은 위치에 댐퍼(10)를 설치하여 도어패널(2)과 도어트림(3) 사이가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함에 따라, 도어패널(2)과 도어트림(3) 사이의 접촉 및 마찰에 따른 소음은 저감될 수 있게 된다.
댐퍼(10)는 도어패널(2)과 도어트림(3) 사이에서 가압되어 압축 가능하게 마련된 주름통부(11)를 포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도어트림(3)과 도어패널(2) 사이의 거리가 다양한 여러 위치에 공용적으로 채용된 상태에서 해당 위치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댐퍼(10)는 주름통부(11)의 압축작용이 가능하도록 전체적으로 일단이 폐쇄되고 타단이 개방된 중공의 관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주름통부(11)는 댐퍼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주름(11a)을 구비하도록 댐퍼(1)의 폐쇄된 단부 쪽이나, 댐퍼(1)의 양단 사이의 적어도 일부 구간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주름통부(11)의 압축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댐퍼(10)는 고무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댐퍼(1)를 형성하는 고무로는 도어패널(2)과의 마찰에 따른 열적변형의 우려가 적으며 부식에 강한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DPM, ethylene propylene rubber)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주름통부(11)는 도어패널(2)에 지지되도록 댐퍼(10)의 폐쇄된 일단부 쪽을 형성하도록 마련되고, 이러한 댐퍼(1)는 압축 가능하게 마련된 주름통부(11)를 통해 도어패널(2)을 직접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차량용 도어의 소음저감장치(1)는 댐퍼(10)를 도어트림(3)에 고정시키는 댐퍼고정부(20)를 구비하고, 댐퍼고정부(20)는 주름통부(11)의 압축작용을 보장하기 위해 댐퍼(1) 내부 공기의 출입이 허용되도록 댐퍼(1)의 개방된 단부 쪽을 도어트림(3)에 고정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댐퍼(10)는 주름통부(11)보다 적은 직경을 구비하여 주름통부(11)로부터 연장되는 연장관부(12)를 구비하고, 이러한 연장관부(12)는 댐퍼(10)의 개방된 타단부 쪽을 형성하여 댐퍼고정부(20)에 의해 도어트림(3)에 고정될 수 있다. 연장관부(12)는 주름이 없는 단순한 일자형 관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댐퍼고정부(20)는 연장관부(12)가 압입되는 압입홀(21a)을 구비하여 도어트림(3)의 성형시 도어트림(3)에 일체로 마련되는 보스부(21)를 포함하고, 보스부(21)에는 댐퍼(10) 내부 공기의 출입을 허용하기 위해 댐퍼(10)의 개방된 단부와 외부 사이를 연통시키는 통기공(21b)이 마련될 수 있다.
연장관부(12)가 압입홀(21a)에 압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댐퍼(10) 내부와 보스부(21) 외부 사이가 연통될 수 있도록 압입홀(21a)은 연장관부(1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통기공(21b)은 보스부(21)의 기저부 쪽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연장관부(12)가 압입홀(21a)에 압입된 상태에서 연장관부(12) 쪽 주름통부(11)의 일단부 둘레는 보스부(21)의 끝단에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도어트림(3)이 도어패널(2)에 조립됨에 따라 댐퍼(10)의 주름통부(11)은 도어패널(2)과 보스부(21) 사이에서 가압되어 압축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고정부(20)를 통해 도어트림(3)에 설치된 댐퍼(10)는 주름통부(11)를 통해 도어패널(2)을 지지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도어패널(2)과 도어트림(3)을 조립함에 따라 주름통부(11)는 도어패널(2)과 도어트림(3) 사이에서 가압되어 압축되면서 도어패널(2)과 도어트림(3) 사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댐퍼(10)의 고정구조가 전술한 압입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댐퍼고정부(20)는 댐퍼(10) 내부로의 공기의 출입이 허용되도록 댐퍼(10)의 개방된 단부 쪽을 도어트림(3)에 고정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되는 차량용 도어의 소음저감장치(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댐퍼(10)는 도어패널(2)과 조립되기 전 상태에 있는 도어트림(3)의 보스부(21)의 조립되어 결합되고, 이때는 댐퍼(10)의 연장관부(12)를 보스부(21)의 압입홀(21a)에 압입함으로써 댐퍼(10)를 도어트림(3)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 상태의 댐(10)는 주름통부(11)의 일단이 보스부(21)의 끝단에 지지된 상태가 된다.
보스부(21)는 도어패널(2)과의 간격이 좁은 도어트림(3)의 복수개의 위치에 마련될 수 있으며, 댐퍼(10)는 복수개가 복수의 보스부(21)에 동일한 압입방식으로 압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댐퍼(10)가 설치된 상태에서 도어트림(3)은 도어패널(2)과 조립되며, 이때 도어트림(3)의 복수개소에 설치된 댐퍼(10)들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패널(2)과의 거리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정도로 압축되면서 도어패널(2)과의 사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도어패널(2)과의 접촉이나 마찰에 따른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1: 차량용 도어의 소음저감장치 2: 도어패널
3: 도어트림 10: 댐퍼
11: 주름통부 11a: 주름
12: 연장관부 20: 댐퍼고정부
21: 보스부 21a: 압입홀
21b: 통기공

Claims (4)

  1. 차량의 도어를 구성하는 도어패널과 도어트림 사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는,
    상기 도어패널과 도어트림 사이에서 가압되어 압축 가능하게 마련된 주름통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의 소음저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일단이 폐쇄되고 타단이 개방된 중공의 관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주름통부는 상기 댐퍼의 폐쇄된 단부 쪽이나, 상기 댐퍼의 양단 사이의 적어도 일부 구간을 형성하는 차량용 도어의 소음저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폐쇄된 단부를 통해 상기 도어패널에 지지되고,
    상기 댐퍼 내부 공기의 출입이 허용되도록 상기 댐퍼의 개방된 단부를 상기 도어트림에 고정시키는 댐퍼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의 소음저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통부는 상기 도어패널에 지지되도록 상기 댐퍼의 폐쇄된 일단부 쪽을 형성하고,
    상기 댐퍼는,
    상기 주름통부보다 적은 직경을 구비하여 상기 주름통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댐퍼의 개방된 타단부 쪽을 형성하는 연장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댐퍼고정부는,
    상기 연장관부가 압입되는 압입홀을 구비하여 상기 도어트림에 일체로 마련된 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스부에는 상기 댐퍼의 개방된 단부와 외부 사이를 연통시키는 통기공이 마련된 차량용 도어의 소음저감장치.

KR1020170148559A 2017-11-09 2017-11-09 차량용 도어의 소음저감장치 KR102008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559A KR102008713B1 (ko) 2017-11-09 2017-11-09 차량용 도어의 소음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559A KR102008713B1 (ko) 2017-11-09 2017-11-09 차량용 도어의 소음저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811A true KR20190052811A (ko) 2019-05-17
KR102008713B1 KR102008713B1 (ko) 2019-08-09

Family

ID=66678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559A KR102008713B1 (ko) 2017-11-09 2017-11-09 차량용 도어의 소음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871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5093A (ja) * 2006-02-27 2007-09-06 Daiwa Kasei Ind Co Ltd クッションクリップ
JP2014205445A (ja) * 2013-04-15 2014-10-30 河西工業株式会社 車両用内装部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5093A (ja) * 2006-02-27 2007-09-06 Daiwa Kasei Ind Co Ltd クッションクリップ
JP2014205445A (ja) * 2013-04-15 2014-10-30 河西工業株式会社 車両用内装部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8713B1 (ko) 2019-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8482B1 (ko) 그로밋
US10035410B2 (en) Parting seal and sealing structure of parting portion
US20190111869A1 (en) Grommet
KR20180112849A (ko) 그로밋
JP2016207358A (ja) グロメット
JP2021072694A (ja) グロメット
KR20190052811A (ko) 차량용 도어의 소음저감장치
JP4733090B2 (ja) グロメットアッセンブリ
JP2014054953A (ja) ドアウエザストリップ
JP2021072693A (ja) グロメット
US20180354430A1 (en) Acoustic cap with improved damping
JP7430910B2 (ja) グロメット
JP2006166640A (ja) ケーブル保護カバー
JP4484745B2 (ja) エアダンパ
JP5724682B2 (ja) グロメット
JP5533368B2 (ja) グロメット装着部の遮音構造
KR200479580Y1 (ko) 차량용 오버슬램범퍼의 설치 구조
CN111186285B (zh) 车门挡风条
JP2006118200A (ja) 挟み込み検知センサの取り付け構造
KR20180055184A (ko) 자동차용 에어댐퍼
CN207416514U (zh) 一种汽车尾门密封条
KR19990019860U (ko) 자동차의 오버슬램범퍼
JP2007038823A (ja) グロメット取付構造
JP2017175742A (ja) グロメット
JP5934611B2 (ja) コラムホール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