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2317A - 차량용 조립부품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조립부품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2317A
KR20190052317A KR1020170147912A KR20170147912A KR20190052317A KR 20190052317 A KR20190052317 A KR 20190052317A KR 1020170147912 A KR1020170147912 A KR 1020170147912A KR 20170147912 A KR20170147912 A KR 20170147912A KR 20190052317 A KR20190052317 A KR 20190052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pin
hole
assembling
assembly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7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0434B1 (ko
Inventor
박재민
김해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70147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0434B1/ko
Publication of KR20190052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2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00Shrinkage connections, e.g. assembled with the parts at different temperature; Force fits; Non-releasable friction-grip fastenings
    • F16B4/004Press fits, force fits, interference fits, i.e. fits without heat or chemical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차량용 조립부품의 결합구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측에 제1조립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조립홀과 대향하는 반대측에 제2조립홀이 형성되는 제1조립부품; 및 일측에 상기 제1조립홀로 삽입 체결되는 제1조립핀이 형성되고, 상기 제1조립핀과 대향하는 반대측에 상기 제2조립홀로 삽입 체결되는 제2조립핀이 형성되는 제2조립부품;을 포함하되, 상기 제1조립핀은, 상기 제2조립핀을 향하는 일측이 하단을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일측에 있어서 상단의 제1두께가 하단의 제2두께보다 소정 정도 작게 형성되며, 상단이 상기 제1조립홀의 내경보다 소정 정도 작은 제1외경으로 형성되고, 하단이 상기 제1조립홀의 내경에 대응되며 상기 제1외경보다 소정 정도 큰 제2외경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립부품의 결합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조립부품의 결합구조 {COUPLING STRUCTURE OF AUTOMOTIVE ASSEMBLY PARTS}
본 발명은 차량용 조립부품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다수의 플라스틱 조립부품이 소정의 결합구조를 가지고 조립되어 있다. 일 예로 많은 수의 차량 조립부품은 핀 및 홀에 의한 암수 결합구조로 조립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핀 및 홀에 의한 결합구조는 제1조립부품에 형성된 홀에 제2조립부품의 핀을 삽입 체결하고, 스큐류, 열융착 등에 의해 제1, 2조립부품을 결합 고정시키는 방식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다른 조립부품과의 결합을 위해 각 조립부품에는 이와 같은 핀, 홀 등이 복수개 마련되며, 복수 개소에서 핀 및 홀의 결합이 이뤄짐으로써, 대응되는 조립부품들이 결합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이 복수로 구성되어 각 조립부품에 분포되는 핀, 홀 등은 그 제조 공정 등에서 대부분 공차가 발생되게 된다. 즉, 조립부품에 분포되는 핀, 홀 등의 위치나 크기 등은 극도로 정밀하게 제작되지 않는 이상, 설계된 위치나 크기 대비 소정의 공차를 가지게 된다. 경우에 따라 이러한 공차는 조립부품 간의 결합을 곤란하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특히, 홀 및 핀이 여러 개의 개소에서 결합되는 조립부품 간의 결합에 있어서, 일부 홀이나 핀에서 발생된 공차는, 조립 작업을 까다롭게 하는 주된 요인이 될 수 있다.
공차에 따른 조립성 저해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 조립부품에 형성되는 핀, 홀 등에 소정의 여유를 두어 제작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으나, 이는 조립부품들 간의 결합을 소위 헐겁게 하여 조립 품질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내장재 부품일 경우, 조립된 부품들 간에 유격 공간이 커져 외관상 완성도를 떨어뜨릴 수 있으며, 지나친 여유 공간이나 유격으로 인해 래틀 소음을 유발하는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차에 적절히 대응 가능하여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는 차량용 조립부품의 결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측에 제1조립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조립홀과 대향하는 반대측에 제2조립홀이 형성되는 제1조립부품; 및 일측에 상기 제1조립홀로 삽입 체결되는 제1조립핀이 형성되고, 상기 제1조립핀과 대향하는 반대측에 상기 제2조립홀로 삽입 체결되는 제2조립핀이 형성되는 제2조립부품;을 포함하되, 상기 제1조립핀은, 상기 제2조립핀을 향하는 일측이 하단을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일측에 있어서 상단의 제1두께가 하단의 제2두께보다 소정 정도 작게 형성되며, 상단이 상기 제1조립홀의 내경보다 소정 정도 작은 제1외경으로 형성되고, 하단이 상기 제1조립홀의 내경에 대응되며 상기 제1외경보다 소정 정도 큰 제2외경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립부품의 결합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조립부품의 결합구조는 서로 대향하는 제1, 2조립핀에 있어서 각 제1, 2조립핀의 마주보는 일측(즉, 제1조립핀의 경우 도면상 우측, 제2조립핀의 경우 도면상 좌측)에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단의 제1두께를 하단의 제2두께보다 작게 형성하는 한편, 상단을 제1, 2조립홀의 내경보다 소정 정도 작은 제1외경으로 형성함으로써, 각 제1, 2조립핀, 제1, 2조립홀 등의 공차에도 불구하고, 조립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립부품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립부품의 결합구조(10)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립부품의 결합구조(이하, '결합구조(10)'로 약칭)는 제1조립부품(1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조립부품(100)에는 복수의 조립홀(110, 120)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조립홀(110, 120)은 제1조립부품(100)의 일측에 배치된 제1조립홀(110)과, 상기 제1조립홀(110)과 대향하도록 반대측에 배치된 제2조립홀(1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예시된 바에 의하면, 제1조립홀(110)은 제1조립부품(100)의 좌측에 배치되고 있으며, 제2조립홀(120)은 이에 대향하도록 제1조립부품(100)의 우측에 배치되고 있다.
본 실시예의 결합구조(10)는 제2조립부품(2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조립부품(200)은 제1조립부품(100)과 결합될 수 있다. 도 1에 예시된 바에 따르면, 제2조립부품(200)은 제1조립부품(100) 하부에 배치되어 제1조립부품(100) 저면에 조립 결합되고 있다. 제2조립부품(200)은 복수의 조립핀(210, 220)을 구비할 수 있다. 각 조립핀(210, 220)은 전술한 각 조립홀(110, 120)과 대응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조립핀(210, 220)은 제1조립핀(210)과 제2조립핀(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조립핀(210)은 제1조립홀(110)에 삽입 체결될 수 있으며, 제2조립핀(220)은 제2조립홀(120)에 삽입 체결될 수 있다. 즉, 제1, 2조립핀(210, 220)은 각각 전술한 제1, 2조립홀(110, 120)에 대응된다. 도 1에 예시된 바에 따르면, 제1조립핀(210)은 제2조립부품(200)의 좌측에 배치되고 있으며, 제2조립핀(220)은 제2조립부품(200)의 우측에 배치되고 있다.
도 2는 제1조립홀(110) 및 제1조립핀(210) 간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이를 참조하면, 제1조립홀(110)은 제1조립부품(100)에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조립핀(210)은 제1조립홀(110)로 삽입 체결될 수 있다. 이는 종래 일반적인 홀, 핀을 통한 결합구조와 유사하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결합구조(10)에 있어서, 제1조립핀(210)은 일측이 경사면(211)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211)은 제1조립핀(210)의 상단에서부터 하단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경사면(211)은 도 2와 같은 제1조립핀(210)의 종단면에 있어서, 제2조립핀(220)을 향하는 측(즉, 도면상 우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조립핀(210)은 제2조립핀(220)을 향하는 측(즉, 도면상 우측)에 있어서, 그 두께(t1, t2)가 단부(상단)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2조립핀(220)을 향하는 제1조립핀(210)의 일측(즉, 도면상 우측)에 있어서, 제1조립핀(210) 하단의 제2두께(t2)는 제1조립핀(210) 상단의 제1두께(t1) 보다 소정 정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두께(t1, t2)의 편차는 결국 제2조립핀(220)을 향하는 제1조립핀(210)의 일측(즉, 도면상 우측)에 경사면(211)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조립핀(210)은 상단이 제1외경(d1)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단이 제2외경(d2)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단의 제2외경(d2)은 제1조립홀(110)의 내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단의 제1외경(d1)은 하단의 제2외경(d2)보다 소정 정도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단의 제1외경(d1)은 제1조립홀(110) 내경보다 소정 정도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2외경(d1, d2)의 차이는 전술한 경사면(211)이나 제1, 2두께(t1, t2)의 차이에 기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사면(211), 제1, 2두께(t1, t2)의 차이, 제1, 2외경(d1, d2)의 차이는 제1조립핀(210)과 제1조립홀(110) 간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조립핀(210) 상단은 제1조립홀(110) 내경보다 소정 정도 작은 제1외경(d1)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제1조립홀(110)로의 삽입 체결이 용이해지는 것이다. 또한, 제1조립핀(210) 하단은 제1조립홀(110) 내경에 대응되는 제2외경(d2)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1조립핀(210) 및 제1조립홀(110)이 완전히 체결되면, 제1조립핀(210) 및 제1조립홀(110)은 기 설계된 정위치로 결합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조립핀(210) 상단은 제1외경(d1)으로 형성되어 제1조립홀(110) 내경 대비 소정의 유격을 가질 수 있으므로, 제작시 발생되는 공차에 대하여도 적절히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제1조립핀(210) 및 제1조립홀(110)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2조립핀(220) 및 제2조립홀(120)은 전술한 제1조립핀(210) 및 제1조립홀(110)과 대칭적 구조를 가지고, 앞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조립핀(220)은 제1조립핀(210)을 향하는 측(즉, 도면상 좌측)에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조립핀(210)을 향하는 측에 있어서 상단의 제1두께보다 하단의 제2두께가 소정 정도 크게 형성되고, 상단의 제1외경(d1)이 하단의 제2외경(d2)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2조립핀(220)은 이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1조립핀(210)과 연계되어, 제1, 2조립핀(210, 220)의 간격 등에 공차가 발생된 경우, 이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즉, 각 제1, 2조립핀(210, 220) 형상에 의해 제1, 2조립핀(210, 220)의 간격 등에 공차가 발생된 경우에도 결합부에서 소정의 유격을 가져 조립 작업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는 서로 대향하는 제1, 2조립핀(210, 220)을 예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제1, 2조립부품(100, 200)은 2 이상의 조립핀을 구비하고, 2 이상의 개소에서 조립이 이뤄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조립핀은 앞서의 제1, 2조립핀(210, 220)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쌍의 조립핀이 이와 같은 방식으로 형성됨으로써, 본 실시예와 같은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제1조립홀(110)에 인접한 제1조립부품(100) 상면에는 돌기(130)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130)는 제1조립핀(210)의 경사면(211)이 형성된 측(즉, 도면상 우측)에 대응되도록 제1조립홀(110)의 테두리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돌기(130)는 제1조립홀(110)의 테두리를 따라 제1조립부품(100) 상면에 원호(arc) 형으로 소정 정도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돌기(130)는 제1조립핀(210)이 열융착을 통해 제1조립홀(110)에 결합 고정되는 경우, 경사면(211)으로 인한 융착물의 부족을 보상해주도록 한다. 또한, 돌기(130)는 제1조립핀(210)의 열융착시 일종의 걸림턱으로 기능하여, 제1조립핀(210)이 경사면(211) 형성 부위에서도 제1조립부품(100) 상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돌기(130)는 제2조립홀(120)의 테두리 일측에도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2조립홀(120) 일측의 돌기는 제2조립핀(220)의 경사면이 형성된 측(즉, 도면상 좌측)에 대응되도록 제2조립홀(120)과 인접한 제1조립부품(100)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의 돌기(130)와 유사하게 기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 본 실시예에 따른 결합구조(10)는 서로 대향하는 제1, 2조립핀(210, 220)에 있어서 각 제1, 2조립핀(210, 220)의 마주보는 일측(즉, 제1조립핀(210)의 경우 도면상 우측, 제2조립핀(220)의 경우 도면상 좌측)에 경사면(211)을 형성하고, 상단의 제1두께(t1)를 하단의 제2두께(t2)보다 작게 형성하는 한편, 상단을 제1, 2조립홀(110, 120)의 내경보다 소정 정도 작은 제1외경(d1)으로 형성함으로써, 각 제1, 2조립핀(210, 220), 제1, 2조립홀(110, 120) 등의 공차에도 불구하고, 조립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차량용 조립부품의 결합구조 100: 제1조립부품
110: 제1조립홀 120: 제2조립홀
200: 제2조립부품 210: 제1조립핀
220: 제2조립핀

Claims (3)

  1. 일측에 제1조립홀(110)이 형성되고, 상기 제1조립홀(110)과 대향하는 반대측에 제2조립홀(120)이 형성되는 제1조립부품(100); 및
    일측에 상기 제1조립홀(110)로 삽입 체결되는 제1조립핀(210)이 형성되고, 상기 제1조립핀(210)과 대향하는 반대측에 상기 제2조립홀(120)로 삽입 체결되는 제2조립핀(220)이 형성되는 제2조립부품(200);을 포함하되,
    상기 제1조립핀(210)은,
    상기 제2조립핀(220)을 향하는 일측이 하단을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211)으로 형성되고, 상기 일측에 있어서 상단의 제1두께(t1)가 하단의 제2두께(t2)보다 소정 정도 작게 형성되며, 상단이 상기 제1조립홀(110)의 내경보다 소정 정도 작은 제1외경(d1)으로 형성되고, 하단이 상기 제1조립홀(110)의 내경에 대응되며 상기 제1외경(d1)보다 소정 정도 큰 제2외경(d2)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립부품의 결합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2조립부품(100, 200)은, 플라스틱 사출물로 형성되며,
    상기 제2조립핀(220)은,
    상기 제1조립핀(210)을 향하는 일측이 하단을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일측에 있어서 상단의 제1두께가 하단의 제2두께보다 소정 정도 작게 형성되며, 상단이 상기 제2조립홀의 내경보다 소정 정도 작은 제1외경으로 형성되고, 하단이 상기 제1조립홀(110)의 내경에 대응되며 상기 제1외경(d1)보다 소정 정도 큰 제2외경(d2)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립부품의 결합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조립홀(110)과 인접한 상기 제1조립부품(100)의 상면에 형성되는 돌기(13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돌기(130)는,
    상기 제1조립핀(210)의 상기 경사면(211)이 형성된 일측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조립홀(110)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조립홀(110)의 테두리를 따라 원호(acr) 형태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립부품의 결합구조.
KR1020170147912A 2017-11-08 2017-11-08 차량용 조립부품의 결합구조 KR101990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912A KR101990434B1 (ko) 2017-11-08 2017-11-08 차량용 조립부품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912A KR101990434B1 (ko) 2017-11-08 2017-11-08 차량용 조립부품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317A true KR20190052317A (ko) 2019-05-16
KR101990434B1 KR101990434B1 (ko) 2019-06-18

Family

ID=66672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7912A KR101990434B1 (ko) 2017-11-08 2017-11-08 차량용 조립부품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043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4016A (ja) * 1992-03-25 1994-04-05 Aisin Seiki Co Ltd 一体成形ボス
JPH0710530U (ja) * 1993-07-26 1995-02-14 西川化成株式会社 樹脂部品の位置決め構造
JP2005331065A (ja) * 2004-05-21 2005-12-02 Yazaki Corp ボス構造及びこれを有する板状部材を成形するための金型
JP2014101061A (ja) * 2012-11-21 2014-06-05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内装材の組付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4016A (ja) * 1992-03-25 1994-04-05 Aisin Seiki Co Ltd 一体成形ボス
JPH0710530U (ja) * 1993-07-26 1995-02-14 西川化成株式会社 樹脂部品の位置決め構造
JP2005331065A (ja) * 2004-05-21 2005-12-02 Yazaki Corp ボス構造及びこれを有する板状部材を成形するための金型
JP2014101061A (ja) * 2012-11-21 2014-06-05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内装材の組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0434B1 (ko) 201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98666B2 (en) Movable connector
US9882295B2 (en) Connector
US20130157015A1 (en) Precisely Locating Components in an Infrared Welded Assembly
CN106463874A (zh) 连接器
TW202022451A (zh) 背光模組
KR101990434B1 (ko) 차량용 조립부품의 결합구조
US7262971B2 (en) Memory cooling device
WO2014088043A1 (ja) ホールプラグ
JP2014087455A (ja) バンド
KR101823078B1 (ko) 헤드라이트 램프 하우징 성형을 위한 금형장치
US11745394B2 (en) Mold and method for forming a molded part
US11608893B2 (en) Light weight hole plug
US20210284248A1 (en) Hole plug
US9475156B2 (en) Heat-dissipation uni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200394982Y1 (ko) 타이어 가류 금형
KR102042650B1 (ko) 차량용 램프의 조립 구조
JP6472407B2 (ja) コネクタ
WO2015040786A1 (ja) カラーおよびそのカラーを備える車両用のサンバイザ
US10363969B2 (en) Vehicle understructure
CN109311238B (zh) 树脂成型品及其制造方法
JP2019219026A (ja) ダクト
US11615909B2 (en) Coil component
JP2022074870A (ja) 車両の製造方法
JP6447452B2 (ja) 基板用コネクタ
KR101780660B1 (ko) 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