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1850A - 무정형 디뉴클레오사이드 폴리포스페이트 화합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무정형 디뉴클레오사이드 폴리포스페이트 화합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1850A
KR20190051850A KR1020180134730A KR20180134730A KR20190051850A KR 20190051850 A KR20190051850 A KR 20190051850A KR 1020180134730 A KR1020180134730 A KR 1020180134730A KR 20180134730 A KR20180134730 A KR 20180134730A KR 20190051850 A KR20190051850 A KR 20190051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dine
salt
hydrate
tetraphosphate
amorph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4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경희
이승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종근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종근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종근당
Publication of KR20190051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8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Table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547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 C07F9/6558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at least two different or differently substituted hetero rings neither condensed among themselves nor condensed with a common carbocyclic ring or ring system
    • C07F9/65586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at least two different or differently substituted hetero rings neither condensed among themselves nor condensed with a common carbocyclic ring or ring system at least one of the hetero rings does not contain nitrogen as ring hetero ato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순도의 P1,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 이의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의 무정형을 고수율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정형 제조방법은 동결건조 또는 분무건조 공정과 같이 별도의 설비가 필요치 않고, 대량생산에 적용이 불가능한 감압농축 또는 분쇄 등의 번거로운 공정이 배제되어 상업적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정형 디뉴클레오사이드 폴리포스페이트 화합물의 제조방법{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Amorphous Dinucleoside Polyphosphate Compound}
본 발명은 무정형 디뉴클레오사이드 폴리포스페이트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무정형을 제조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 또는 대량 생산에 부적합한 공정을 이용하지 않고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P1,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 화합물, 이의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의 무정형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뉴클레오사이드 (Nucleoside)는 핵 염기와 오탄당이 N-글리코사이드 결합을 이룬 배당체 화합물로, 인산화 효소에 의해 뉴클레오사이드에 인산기가 결합되면 DNA 사슬의 기본 구성 성분인 뉴클레오타이드 (Nucleotide)가 된다.
이러한 뉴클레오타이드의 일종인 디뉴클레오사이드 폴리포스페이트 또는 이의 염은 생체 내 물질과 유사하여 체내에서 안정하고 그에 따른 질병 치료에 효과를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P1,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이하, "UP4U"라 표기함) 또는 이의 염은 안구 건조증 또는 눈물 건조증에 수반되는 각결막 상피 장애의 치료제로 이용되고 있으며, 가래 배출 유도 작용을 가지기 때문에, 거담제 또는 폐렴 치료제로서 개발이 기대되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Letters, 11, (2001), 157-160, 국제공개공보 제2008/012949호, 국제공개공보 제1999/05155호에 의하면 UP4U는, 우리딘 5'-트리인산 또는 우리딘 5'-환상 트리인산 또는 우리딘 5'-디인산 또는 우리딘 5'-모노인산을 이용하여 탈수 축합반응을 통해 합성될 수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또한, 국제공개공보 제1999/05155호에 의하면 당시 고체의 UP4U 테트라나트륨염을 산출하기 위해 동결건조를 이용하였고 국제공개공보 제2000/020430호에 의하면 동결건조 화합물의 여러 가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수용액 형태의 화합물에 적절한 유기 용매를 첨가함으로써 결정형 화합물을 개발했다고 보고되어 있다.
한편, 원료 의약품의 무정형 고체를 합성하는 방법에는 통상적으로 용매증발법, 분무건조법, 동결건조법 등의 방법이 이용되어 왔다. 용매증발법은 실험실의 규모에서 용매를 감압농축 등으로 제거하여 폼 형태의 고체를 형성시키고 이를 분쇄하여 얻을 수 있지만, 반응기 내부에 쌓이는 형태로 상업적인 제조 단위에 적용이 불가하다. 분무건조법은 높은 온도의 열풍기류에 액상 시료를 분사함으로써 순간적으로 증발 및 건조되어 분말 형태의 고체를 얻는 방법인데, 시료가 고온에 노출되는 단점이 있다. 동결건조법은 열에 민감한 물질에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안정적으로 무정형을 수득할 수 있는 방법이지만, 수행하기 위한 전용 장치가 필요하며 용액의 동결-승화-잔류수분의 제거를 위하여 추가 건조의 여러 단계를 거치게 되어 에너지 소비가 크고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매우 길다.
일반적으로 원료 의약품으로서 무정형 고체는 약제학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위 살핀 바와 같이 제조방법에 있어 별도의 대규모 시설투자가 필요하고 에너지와 시간의 소모가 큰 단점이 있어 효율적이지 않다고 판단되어 왔다.
따라서 위와 같은 이유로, 별도의 설비투자 없이 상업적으로 대량 생산에 적합한 고순도의 무정형 P1,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 이의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국제공개공보 제1999/05155호 국제공개공보 제2000/020430호 국제공개공보 제2008/012949호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Letters, 2001, 11, 157-160
본 발명의 목적은 대량 생산에 적합하고 효율적이며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P1,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 이의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의 무정형을 고순도로 대량생산이 가능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정형의 P1,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 이의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P1,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 이의 염 및 이의 수화물의 무정형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P1,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 화합물, 이의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을 포함하는 용액으로부터 P1,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의 조(crude) 무정형을 생성하는 단계;
첨가제를 가하는 단계; 및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P1,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 이의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의 무정형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본 명세서에서 용어 「무정형」이란, P1,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 이의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이 결정으로 석출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수화물」이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표시되는 P1,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와 물이 비공유적 분자간 힘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화학양론적 또는 비화학양론적의 양의 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수화물은 활성성분 1 몰을 기준으로 물을 약 0.25몰 내지 약 10몰 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약 0.5몰, 약 1몰, 약 1.5몰, 약 2몰, 약 2.5몰, 약 3몰, 약 5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염」이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염은 나트륨염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P1,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의 염은 하기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P1,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의 나트륨염이다.
[화학식 1a]
Figure pat00003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를 가하는 단계를 통하여, P1,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의 조 무정형을 대량 제조 단위에서 여과 공정이 지연되지 않고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입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동결건조기 또는 분무건조기를 사용하지 않고, 일반적인 교반기를 사용하여 P1,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의 무정형을 형성하고 간단한 여과를 통해 수득함으로써, 생산에 필요한 설비의 감소, 사용되는 시간, 노력, 비용의 단축이 가능하여 경제적이며, 이에 따른 불순물의 발생이 최소화될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품질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P1,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 화합물, 이의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을 포함하는 용액은, P1,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 화합물, 이의 염 또는 이의 수화물; 및 물, 유기 용매 또는 물과 유기 용매의 혼합 용매를 포함한다.
또 하나의 본 발명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P1,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 화합물, 이의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을 포함하는 용액의 상기 P1,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 화합물, 이의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의 함량은 0.016 몰농도 내지 1.6 몰농도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는 C1-C8의 알코올, C3-C10의 케톤, 1,4-디옥산, 아세토니트릴, N,N-디메틸포름아미드 및 디메틸설폭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또는 2 이상 선택된다.
본 명세서에서 「작용기의 "Cx"의 표시에서의 x」는, 탄소(C)의 개수를 나타내고, 「Cx-Cy」는 탄소수가 x 이상 y 이하를 갖는 작용기 또는 주사슬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알코올」은, 히드록실기가 알킬 또는 치환된 알킬기의 탄소 원자에 결합된 화합물을 의미하고, 구체적으로, 알코올류는 선형 또는 분지형 C1-C8 알킬기 또는 치환된 알킬기의 탄소 원자에 히드록실기가 결합된 알코올을 의미한다. C1-C8 알코올의 일 예로서,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등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알킬기」는, 선형 (linear) 포화탄화수소기 또는 분지형 (branched) 포화탄화수소기를 의미하며, 「치환된 알킬기」는 알킬기의 탄소와 결합된 치환기가 히드록시, 시아노, 할로 등으로 치환된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케톤」은 유기 용매의 일종으로서, 케톤의 주사슬 탄소수가 C3-C10 일 수 있으며, 이 때 주사슬은 선형 또는 분지형일 수 있고, 케톤의 일 예로는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부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P1,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 화합물, 이의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을 포함하는 용액으로부터 P1,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의 조 무정형을 생성하는 단계는 P1,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 화합물, 이의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수용액에 유기 용매; 또는 물과 유기 용매의 혼합 용매를 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용액에 유기 용매; 또는 물과 유기 용매의 혼합 용매를 가하는 단계를 통하여, 현탁액 형태로 P1,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 이의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의 조(crude) 무정형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로부터 생성되는 조 무정형은 현탁액 형태로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금속염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첨가제는 금속의 염화물, 브롬화물, 질산화물, 황산화물, 탄산화물, 인산화물, 불소화물, 요오드화물, 카복시산화물 및 아세트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금속염은 칼슘, 마그네슘, 세륨, 철, 리튬, 알루미늄, 티타늄 및 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금속의 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된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4
화학식 2에 있어서,
a는 M의 몰수이고,
b는 M의 이온가수(Ionic valency)이며,
M은 칼슘, 마그네슘, 세륨, 철, 리튬, 알루미늄, 티타늄 또는 나트륨이고,
c는 X의 몰수이며,
d는 X의 이온가수이고,
X는 할로겐, 카보네이트, 아세테이트, 니트레이트, 트리플레이트, 설페이트, 카복실레이트, 포스페이트 또는 이들의 유도체이며,
a와 b의 곱의 값과 c와 d의 곱의 값은 동일하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도체」는, 모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지칭하고, 이의 구조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것과 충분히 유사하고, 그 유사성에 기초하여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청구된 화합물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활성 및 효용을 나타내거나, 또는 청구된 화합물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활성 및 효용을 전구체로서 유도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금속염은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구체적으로 염화나트륨,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아세트산나트륨, 황산나트륨, 인산나트륨, 염화칼슘, 아세트산칼슘, 탄산칼슘, 황산칼슘, 인산칼슘 등의 칼슘염; 염화마그네슘, 탄산마그네슘, 황산마그네슘, 브롬화마그네슘 등의 마그네슘염; 또는 염화세륨 불소세륨, 요오드화세륨, 질산세륨 트리플루오르아세트산세륨 등의 세륨염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염화칼슘, 염화세륨, 요오드화리튬, 염화마그네슘, 또는 염화철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무수물 형태이거나, 수화물 형태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무수물」이란, 결정 격자 내에 물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의 함량은 상기 P1,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 이의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의 중량에 대하여, 0.1 중량% 내지 100 중량% 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P1,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 화합물, 이의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을 포함하는 용액으로부터 P1,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의 조 무정형을 생성하는 단계는, 일반적인 의약품 원료의 고체화가 가능한 반응 온도의 범위에서 무리 없이 수행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를 가하는 단계는, 일반적인 의약품 원료의 고체화가 가능한 반응 온도의 범위에서 무리 없이 수행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P1,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 이의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의 무정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P1,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 4 나트륨에 대해 3 중량% 내지 17 중량%의 수분을 포함하는 것인 P1,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 4 나트륨의 무정형을 제공한다.
상기 언급된 사항은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과 같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P1,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 화합물, 이의 염의 무정형을 제조하기 위해 수용액상에서 금속염형태의 첨가제를 사용함으로써 디뉴클레오사이드 폴리포스페이트, 이의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의 무정형을 동결건조 또는 분무건조 설비 없이 매우 간단한 공정을 통하여 고순도로 대량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P1,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 화합물 또는 그의 금속염의 무정형을, 동결건조기 또는 분무건조기 등의 특수설비를 이용하거나 복잡하고 번거로운 공정 없이 간편하게 높은 수율 및 고품질로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공정 중에 높은 온도의 열이 가해지거나 오랜 시간 방치되는 과정이 없이 매우 온화한 조건에서 단시간에 고체화를 진행하고 간단한 여과공정을 통해 손쉽게 목적 화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반응물이 생성되지 않고 고체와 여액을 단리하는 과정중에 정제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의약품 원료로 사용되기 위한 고품질의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수용액 환경에서 인체에 해가 없는 단순한 금속이온을 촉매로 사용하기 때문에 공업적인 대량생산 시 환경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매우 효율적이며 친환경적인 합성법이다. 더 나아가 약제학적으로 유용한 다양한 화합물의 무정형 합성에도 널리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 합성된 무정형 UP4U·4Na의 분말 X-선 회절분광도 (Powder X-ray Diffraction Spectrum) 데이터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서 합성된 무정형 UP4U·4Na의 시차주사열량분석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Spectrum) 데이터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서 합성된 무정형 UP4U·4Na을 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도 4는 비교예 4에서 합성된 결정형 UP4U·4Na의 분말 X-선 회절분광도 (Powder X-ray Diffraction Spectrum) 데이터이다.
도 5는 비교예 4에서 합성된 결정형 UP4U·4Na의 시차주사열량분석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Spectrum) 데이터이다.
도 6은 비교예 4에서 합성된 결정형 UP4U·4Na을 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도 7은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은 실시예 1의 제조 방법을 이용한 경우 현탁액의 성상을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UP4U·4Na 대비 5 중량%의 염화나트륨를 사용한 결과 현탁액의 성상을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비교예 4, 비교예 6 및 실시예 29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화합물을 별도의 포장없이 진공건조 조건인 25℃, 1 inchHg에 노출시켜 시간 (시간)에 따른 중량변화 (수분의 변화량)을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언급된 시약 및 용매는 중국의 원료제조원, Sigma-Aldrich Korea 및 TCI 사로부터 구입한 것이며, HPLC는 Agilent Technoliges 사의 1200 Serie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1H NMR은 Bruker (브루커) 사의 400 ultraShield NMR Spectr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XRD 측정은 Bruker X-ray Diffractometer (XRD) D8 ADVANCE를 사용하였다. R/O 농축기는 Shinhan Sciencetec사의 UF filtration system을 사용하였으며, 분무건조는 Buchi사의 Spray Dryer B-290을 사용하였고 동결건조는 SP Scientific사의 Genesis SQ Super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HPLC 조건은 다음과 같다.
검출기 : 자외부흡광광도계 (측정파장 : 262 nm)
칼 럼 : Thermo-Hypersil ODS (4.6 mm X 250 mm, 5 μm)
이동상 : 인산이수소칼륨 및 황산수소 테트라암모늄 수용액과 메탄올의 혼합액
유 량 : 1.0 mL / min
온 도 : 30℃
시 료 : UP4U(디쿠아포솔) 10 mg / 이동상 20 mL
주입량 : 25 ㎕
실시예 1. UP 4 U · 4Na 무정형 제조
UDP·2Na염 (100 g, 0.223 mol)을 정제수 0.3 L에 용해하여 10 ℃에서 교반한 후, EDC·HCl (42.8 g, 0.223 mol)과 CaCl2 ·2H2O (32.8 g, 0.223 mmol)을 순서대로 적가하여 10 ℃에서 4시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종료 후, 정제수 0.3 L와 EtOH 1.2 L를 주입하여 화합물을 고체화시키고 상온에서 약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건조하여 crude UP4U 화합물 105g (순도 약 95%, 무정형)을 얻었다.
얻어진 고체를 탈이온수에 녹여 약염기성음이온교환수지 (Amberlite IRA 계열)에 흡착시킨 후 탈이온수, 저농도의 염산 용액,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순차적으로 용출하여 고품질의 분획을 R/O 농축한 후 강양이온교환수지(Diaion PK228L)에 통과시키고 다시 R/O 농축하여 UP4U·4Na 약 14% 용액으로 농축하였다.
UP4U·4Na 약 14% 용액 750 ml를 10℃로 냉각된 메탄올 4.0 L에 주입하여 30분간 교반한 후 10% 염화나트륨 수용액 44mL을 주입하고 1시간 동안 추가로 교반하였다. 형성된 고체를 여과하여 얻은 고체를 진공건조하여 목적하는 무정형 UP4U·4Na을 얻었다 (75g, 수율 73%, 순도 99.81%).
상기 도 1 내지 3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에서 수득된 화합물은 무정형임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1에서 무정형을 만들기 전 농축 용액과 수득한 무정형 고체의 물리적 성질과 유연 물질을 비교하면 다음 표 1과 같이 정리된다.
[표 1]
Figure pat00005
실시예 2 및 3. UP 4 U · 4Na 무정형 제조
실시예 1의 과정에서 수득된 UP4U·4Na 약 14% 용액 7mL을 약 2mL까지 감압농축한 후 아래 표 2와 같이 다양한 용매에 주입하여 30분 간 교반한 후 형성된 고체를 여과 (뷰흐너 깔때기 직경 5cm)한 후, 진공건조하여 UP4U·4Na을 얻었다.
[표 2]
Figure pat00006
위와 같이 UP4U·4Na의 무정형을 동결건조기 등의 특수한 설비 없이 수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내지 8. UP 4 U · 4Na 무정형 제조
실시예 1의 과정에서 수득된 UP4U·4Na 약 14% 용액 7mL을 약 2mL까지 감압농축한 후 아래 표 3과 같이 메탄올에 주입하여 30분 동안 교반한 후 형성된 고체를 여과 (뷰흐너 깔때기 직경 5cm)한 후, 진공건조하여 UP4U·4Na을 얻었다.
[표 3]
Figure pat00007
위와 같이, UP4U·4Na의 무정형을 동결건조기 등의 특수한 설비 없이 수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실시예 1에 따른 제조방법의 경우, 입자성이 없는 현탁액의 형태로 UP4U·4Na의 무정형에 대한 여과성이 매우 저조하여 상업적인 대량생산에 문제점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9 내지 17. UP 4 U · 4Na 무정형 제조
실시예 1의 과정에서 수득된 UP4U·4Na 14% 용액 20mL를 메탄올 140mL에 주입하여 30분간 교반한 후 UP4U·4Na 대비 10 중량%인 0.28g의 하기 표 4와 같은 첨가제 (금속염)를 물 5mL에 용해한 용액을 주입하고 30분 동안 추가로 교반하였다. 형성된 고체를 여과 (뷰흐너 깔때기 직경 5cm)하면서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고, 진공건조하여 수득된 UP4U·4Na의 결정형태를 확인하였다.
[표 4]
Figure pat00008
상기 표 4의 결과로 보아, 위와 같이 UP4U·4Na의 무정형을 제조하는 경우, 입자성이 없는 현탁액 상태에서 금속염 형태의 첨가제를 사용하여 여과성이 우수한 입자성 고체로 변화시킴으로써 상업적인 대량생산에 적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첨가제 사용 유무에 따른 현탁액의 성상 및 입자를 육안과 현미경을 통해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도 7은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은 실시예 1의 제조 방법을 이용한 경우 현탁액의 성상을 나타낸 도이다. 도 7의 경우, 입자성이 없는 콜로이드성 현탁액으로서, 150 mL의 현탁액 여과에 1시간 이상이 소요되었다.
도 8은 UP4U·4Na 대비 5 중량%의 염화나트륨을 사용한 결과 현탁액의 성상을 나타낸 도이다. 도 8의 경우, 입자성이 확인되는 현탁액이 제조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150 mL의 현탁액 여과에 30초 이하의 시간이 소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7 및 도 8의 결과로 보아, 첨가제를 사용하는 경우,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결정형의 변화가 없으면서 입자성이 향상되어 여과성을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매우 온화한 조건에서 단시간에 고체화를 진행하고 간단한 여과공정을 통해 손쉽게 목적화합물을 수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8 내지 28. UP 4 U · 4Na 무정형 제조
실시예 1의 과정에서 수득된 UP4U·4Na 14% 용액 20mL를 메탄올에 주입하여 30분 간 교반한 후 하기 표 5와 같이 다양한 농도의 염화나트륨 수용액을 주입하고 30분 동안 추가로 교반하였다. 형성된 고체를 여과하면서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고, 진공건조하여 수득된 UP4U·4Na의 결정형태를 확인하였다.
[표 5]
Figure pat00009
위와 같이, 본 발명의 UP4U·4Na의 무정형 제조방법은 상업적인 대량생산에도 충분히 적용이 가능한 견고한 공정임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1 내지 3. UP 4 U · 4Na 결정형 제조
실시예 1의 과정에서 수득된 UP4U·4Na 약 14% 용액 7 mL를 약 2 mL까지 감압농축한 후, 아래 표 6과 같이 다양한 용매에 주입하여 30 분간 교반한 후 형성된 고체를 여과 (뷰흐너 깔때기 직경 5cm)한 후, 진공건조하여 UP4U·4Na을 얻었다.
[표 6]
Figure pat00010
비교예 4. UP 4 U · 4Na 결정형 제조
실시예 1의 과정에서 수득된 UP4U·4Na 약 14% 용액 200mL에 메탄올 400mL를 주입하고 2시간동안 교반하여 결정을 생성하였다. 결정을 여과하고 18시간 동안 진공건조하여 결정형 UP4U·4Na을 얻었다 (25.2 g, 결정형, 수분 7.9%).
도 4 내지 6의 결과로부터 비교예 4에서 수득된 화합물은 결정형임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5. UP 4 U · 4Na 무정형 제조 (분무건조법)
실시예 1의 과정에서 수득된 UP4U·4Na 약 14% 용액 200mL을 분무건조하여 목적하는 UP4U·4Na의 무정형을 얻었다 (23.8 g, 무정형, 수분 3.9%).
비교예 6. UP 4 U · 4Na 무정형 제조 (동결건조법)
실시예 1의 과정에서 수득된 UP4U·4Na 약 14% 용액 200mL을 48시간 동안 동결건조하여 목적하는 무정형 UP4U·4Na을 얻었다 (26.1 g, 무정형, 수분 15.0%).
실시예 29. UP 4 U · 4Na 무정형 제조
실시예 1의 과정에서 수득된 UP4U·4Na 14% 용액 200mL를 메탄올 1400mL에 주입하여 30분간 교반한 후 UP4U·4Na 대비 10 중량%인 1.4g의 염화나트륨 (NaCl)을 물 14mL에 용해한 용액을 주입하고 30분 동안 추가로 교반하여, UP4U·4Na의 무정형을 얻었다 (25.2 g, 무정형, 수분 6.2 %).
실험예 1. UP4U · 4Na 무정형 및 결정형 시료의 건조 시험
실시예 1, 비교예 4 내지 6 및 실시예 29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UP4U·4Na의 결정형, 첨가제를 사용한 무정형, 분무건조법을 사용한 무정형, 동결건조법을 사용한 무정형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시료를 별도의 포장 없이 진공건조 조건인 25℃, 1 inchHg에 48시간 동안 노출시켜 최종 수분의 양을 관찰한 결과는 표 7과 같다.
[표 7]
Figure pat00011
도 9는 비교예 4 및 비교예 6과, 실시예 29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화합물을 별도의 포장 없이 진공건조 조건인 25℃, 1 inchHg에 노출시켜 시간 (시간)에 따른 중량변화 (수분의 변화량)을 나타낸 도이다.
UP4U·4Na의 결정형과 무정형의 진공건조 실험을 통하여 예상치 못하게 무정형 시료 또한 수화물과 같이 UP4U 중량대비 6±2% 또는 15±2%의 수분이 포함된 구간에서 외부의 영향에 대해 수분을 유지하고자 하는 특징이 관찰되었다.
실험예 2. UP 4 U · 4Na 안정성 비교
비교예 4와 실시예 29의 과정을 통해 UP4U·4Na의 결정형 및 UP4U·4Na의 무정형를 제조하였다. 일반적인 원료의약품 보관조건인 기밀용기로 포장하고 5℃±3℃, 25℃±3℃ / 상대습도 60% 보관조건에서 주요 유연물질의 변화량을 관찰한 결과를 표 8에 기재하였다.
[표 8]
Figure pat00012
상기 표 8에 기재된 UP4U·4Na의 결정형 (비교예 4)과 무정형 (실시예 29)의 안정성 실험의 결과를 보면, 놀랍게도 종래 알려진 바와는 다르게 본 발명에 따른 무정형 UP4U·4Na는 형태 (수분, 고체성상)가 유지되며, 유연물질 증가 수준이 결정형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무정형 원료 또한 의약품 원료로서 이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결과를 고려하였을 때,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P1,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 화합물, 이의 염 또는 이의 수화물로부터 P1,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 화합물, 이의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의 무정형를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과 같이, 첨가제를 이용하면, 용액 내 무정형 고체의 입자성을 향상시켜 여과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함으로써 화학식 1로 표시되는 P1,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 이의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의 무정형을 대량 제조 단위에서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하는 경우, 생산에 필요한 설비의 감소,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의 단축이 가능하여 경제적이며, 이에 따른 불순물의 발생이 최소화될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품질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결과로 볼 때, 본 발명에 따른 P1,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 이의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의 무정형 제조방법은 대량 생산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1)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P1,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 화합물, 이의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을 포함하는 용액으로부터 P1,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의 조 무정형을 생성하는 단계;
    첨가제를 가하는 단계; 및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P1,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 이의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의 무정형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pat00013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P1,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의 염은 하기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P1,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의 나트륨염인 것인 P1,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 이의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의 무정형 제조방법:
    [화학식 1a]
    Figure pat00014
  3. 제1항에서 있어서, 상기 P1,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 화합물, 이의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을 포함하는 용액은,
    P1,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 화합물, 이의 염 또는 이의 수화물; 및 물, 유기 용매 또는 물과 유기 용매의 혼합 용매를 포함하는 것인 P1,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 이의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의 무정형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1,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 화합물, 이의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을 포함하는 용액의 상기 P1,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 화합물, 이의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의 함량은 0.016 몰농도 내지 1.6 몰농도인 것인 P1,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 이의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의 무정형 제조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는 C1-C8의 알코올, C3-C10의 케톤, 1,4-디옥산, 아세토니트릴, N,N-디메틸포름아미드 및 디메틸설폭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또는 2 이상 선택되는 것인 P1,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 이의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의 무정형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금속염인 것인 P1,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 이의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의 무정형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것인 P1,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 이의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의 무정형 제조방법:
    [화학식 2]
    Figure pat00015

    화학식 2에 있어서,
    a는 M의 몰수이고,
    b는 M의 이온가수이며,
    M은 칼슘, 마그네슘, 세륨, 철, 리튬, 알루미늄, 티타늄 또는 나트륨이고,
    c는 X의 몰수이며,
    d는 X의 이온가수이고,
    X는 할로겐, 카보네이트, 아세테이트, 니트레이트, 트리플레이트, 설페이트, 카복실레이트, 포스페이트 또는 이들의 유도체이며,
    b의 곱의 값과 c와 d의 곱의 값은 동일하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의 함량은 상기 P1,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 이의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의 중량에 대하여 0.1 중량% 내지 100 중량%인 것인 P1,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 이의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의 무정형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P1,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 화합물, 이의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을 포함하는 용액으로부터 P1,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의 조 무정형을 생성하는 단계는, -10℃ 내지 50℃에서 수행되는 것인 P1,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 이의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의 무정형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를 가하는 단계는, -10℃ 내지 50℃에서 수행되는 것인 P1,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 이의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의 무정형 제조방법.
  11. P1,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 4 나트륨에 대해 3 중량% 내지 17 중량%의 수분을 포함하는 것인 P1,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 4 나트륨의 무정형.
KR1020180134730A 2017-11-06 2018-11-05 무정형 디뉴클레오사이드 폴리포스페이트 화합물의 제조방법 KR201900518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731A KR20180091689A (ko) 2017-11-06 2017-11-06 무정형 디뉴클레오사이드 폴리포스페이트 화합물의 제조방법
KR1020170146731 2017-11-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850A true KR20190051850A (ko) 2019-05-15

Family

ID=6344377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731A KR20180091689A (ko) 2017-11-06 2017-11-06 무정형 디뉴클레오사이드 폴리포스페이트 화합물의 제조방법
KR1020180084950A KR101963570B1 (ko) 2017-11-06 2018-07-20 무정형 디뉴클레오사이드 폴리포스페이트 화합물의 제조방법
KR1020180134730A KR20190051850A (ko) 2017-11-06 2018-11-05 무정형 디뉴클레오사이드 폴리포스페이트 화합물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731A KR20180091689A (ko) 2017-11-06 2017-11-06 무정형 디뉴클레오사이드 폴리포스페이트 화합물의 제조방법
KR1020180084950A KR101963570B1 (ko) 2017-11-06 2018-07-20 무정형 디뉴클레오사이드 폴리포스페이트 화합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2018009168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53456A (zh) * 2020-03-13 2020-06-09 广东先强药业有限公司 一种地纽福索钠的制备方法
WO2021172957A1 (ko) * 2020-02-28 2021-09-02 주식회사 종근당바이오 P1, 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 나트륨염 4 수화물 결정형 a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05155A2 (en) 1997-07-25 1999-02-04 Inspire Pharmaceuticals, Inc. Salts of di(uridine 5'-tetraphosphate), method for preparation and uses thereof
WO2000020430A1 (fr) 1998-10-02 2000-04-13 Yamasa Corporation Cristal de diuridine tetraphosphate ou sel correspondant et procede de fabrication
WO2008012949A1 (fr) 2006-07-26 2008-01-31 Yamasa Corporation Procédé servant à produire un di(nucléoside pyrimidique-5'-)polyphosphat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05155A2 (en) 1997-07-25 1999-02-04 Inspire Pharmaceuticals, Inc. Salts of di(uridine 5'-tetraphosphate), method for preparation and uses thereof
WO2000020430A1 (fr) 1998-10-02 2000-04-13 Yamasa Corporation Cristal de diuridine tetraphosphate ou sel correspondant et procede de fabrication
WO2008012949A1 (fr) 2006-07-26 2008-01-31 Yamasa Corporation Procédé servant à produire un di(nucléoside pyrimidique-5'-)polyphosphat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Letters, 2001, 11, 157-160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72957A1 (ko) * 2020-02-28 2021-09-02 주식회사 종근당바이오 P1, 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 나트륨염 4 수화물 결정형 a의 제조방법
CN111253456A (zh) * 2020-03-13 2020-06-09 广东先强药业有限公司 一种地纽福索钠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689A (ko) 2018-08-16
KR101963570B1 (ko) 2019-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40030B1 (en) Method for producing p1,p4-di(uridine 5'-)tetraphosphate
JP7373598B2 (ja) ジヌクレオシドポリリン酸化合物の製造方法
JP7444914B2 (ja) カルコブトロールの変態aの結晶形態を製造する方法
KR20190051850A (ko) 무정형 디뉴클레오사이드 폴리포스페이트 화합물의 제조방법
BR112013031550B1 (pt) Sal de glutationa oxidada, formulações e método para produzir o mesmo
JP3247685B2 (ja) ジウリジンテトラホスフェート又はその塩の結晶及びその製造法、並びに該化合物の製造法
AU767136B2 (en) Dinucleotide crystals
TWI496789B (zh) 表柔比星(epirubicin)鹽酸鹽之結晶
HU196429B (en) Process for preparing monosodium salts of 1-beta-d-arabinofuranozylcytozine-5'-stearyl phosphate and the monohydrate of this salt
ZA200102683B (en) Crystal of diuridine tetraphosphate or salt thereof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said compound.
WO2020090948A1 (ja) Cyclic-di-AMPナトリウム塩結晶
JP3964809B2 (ja) ジヌクレオチドの製造法
KR20210110055A (ko) P1, p4-디(우리딘 5'-)테트라포스페이트 나트륨염 4 수화물 결정형 a의 제조방법
WO2023072890A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sucrose octasulfate octakistriethylammonium salt (tasos) powder and uses thereof
JPWO2020004358A1 (ja) 3’,3’−cGAMPの水和物結晶
JPS604119A (ja) パンテテイン−s−スルホン酸塩粉末を製造する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