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1104A - 도어구조체 - Google Patents

도어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1104A
KR20190051104A KR1020170146397A KR20170146397A KR20190051104A KR 20190051104 A KR20190051104 A KR 20190051104A KR 1020170146397 A KR1020170146397 A KR 1020170146397A KR 20170146397 A KR20170146397 A KR 20170146397A KR 20190051104 A KR20190051104 A KR 201900511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pace
door body
panel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5203B1 (ko
Inventor
류용희
김성규
이대희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6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5203B1/ko
Publication of KR20190051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5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5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84Handles or knobs with displays, signs, labels picture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92Moving otherwise than only rectilinearly or only rotative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2019/0053Locking means for ports, doors, windows, covers, or the like, e.g. providing for watertight closure when lock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1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shi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도어구조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구조체는 압력차이가 있는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를 구분하는 벽체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구조체로서, 상기 제1공간부를 향해 배치되는 제1패널 및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패널에 대해 이격되며 상기 제2공간부를 향해 배치되는 제2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몸체부; 상기 제1패널에 형성되고, 상기 도어몸체부가 잠금해제상태 또는 잠금상태로 되도록 조작되는 제1손잡이부; 상기 제2패널에 형성되고, 상기 제1손잡이부와 연동하여 상기 도어몸체부가 잠금해제상태 또는 잠금상태로 되도록 조작되는 제2손잡이부부와 및 상기 제1공간부와 상기 제2공간부 사이가 연통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몸체부에 형성되는 연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통부는, 상기 도어몸체부가 잠금해제상태가 될 때 상기 제1공간부와 상기 제2공간부 사이를 연통시키고, 상기 도어몸체부가 잠금상태가 될 때 상기 제1공간부와 상기 제2공간부 사이 연통을 해제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구조체{Door structure}
본 발명은 도어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기관실은 엔진의 구동에 필요한 외부공기를 유입하고, 엔진의 구동에 사용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관실에는 화재시 연기나 화염이 외부로 배출되거나 침수시 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기밀기능을 갖는 도어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선박의 기관실 내부는 엔진의 구동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외부와 압력차이가 크게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기관실의 도어를 개방시킬 때, 기관실의 도어는 압력차이에 의해 용이하게 개방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나아가, 압력차이에 의해 도어가 갑자기 열리며 사용자에 대한 안전사고의 위험을 증가시키거나, 비상시 도어의 신속한 개방이 어려워 사용자의 탈출이 곤란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압력차이가 있는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 사이에 형성되어 용이하게 개방될 수 있는 도어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압력차이가 있는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를 구분하는 벽체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구조체로서, 상기 제1공간부를 향해 배치되는 제1패널 및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패널에 대해 이격되며 상기 제2공간부를 향해 배치되는 제2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몸체부; 상기 제1패널에 형성되고, 상기 도어몸체부가 잠금해제상태 또는 잠금상태로 되도록 조작되는 제1손잡이부; 상기 제2패널에 형성되고, 상기 제1손잡이부와 연동하여 상기 도어몸체부가 잠금해제상태 또는 잠금상태로 되도록 조작되는 제2손잡이부; 및 상기 제1공간부와 상기 제2공간부 사이가 연통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몸체부에 형성되는 연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통부는, 상기 도어몸체부가 잠금해제상태가 될 때 상기 제1공간부와 상기 제2공간부 사이를 연통시키고, 상기 도어몸체부가 잠금상태가 될 때 상기 제1공간부와 상기 제2공간부 사이 연통을 해제시키는, 도어구조체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연통부는, 상기 제1패널에 형성된 제1연통홀에서 상기 내부공간으로 연장되는 제1연통라인; 상기 제2패널에 형성된 제2연통홀에서 상기 내부공간으로 연장되는 제2연통라인; 및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제1손잡이부 및 상기 제2손잡이부와 연동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연통라인 및 상기 제2연통라인을 연결하는 연결라인이 형성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라인은, 상기 도어몸체부가 잠금해제상태가 될 때 상기 제1연통라인 및 상기 제2연통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도어몸체부가 잠금상태가 될 때 상기 제1연통라인 및 상기 제2연통라인과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구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라인은 상기 연결부재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라인과 연결되는 상기 제1연통라인의 단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곡률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결라인과 연결되는 상기 제2연통라인의 단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곡률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손잡이부는, 상기 제1공간부에 배치되는 제1핸들; 및 상기 제1핸들과 연결되고, 상기 내부공간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연통부와 연결되는 제1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손잡이부는, 상기 제2공간부에 배치되는 제2핸들; 및 상기 제2핸들과 연결되고, 상기 내부공간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연통부와 연결되는 제1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몸체부의 잠금해제상태 또는 잠금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패널에 형성되는 제1표시창; 상기 제1손잡이부 및 상기 제2손잡이부에 연동하여 상기 제1표시창에 상기 도어몸체부의 잠금해제상태 또는 잠금상태를 표시하도록 상기 제1손잡이부에 연결되는 제1표시바; 상기 제2패널에 형성되는 제2표시창; 및 상기 제1손잡이부 및 상기 제2손잡이부에 연동하여 상기 제2표시창에 상기 도어몸체부의 잠금해제상태 또는 잠금상태를 표시하도록 상기 제2손잡이부에 연결되는 제2표시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몸체부에 형성된 연통부를 통해 제1공간부 및 제2공간부 사이 압력차이를 해소함으로써,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를 구분하는 벽체에 형성된 개구부를 용이하며 신속하게 개방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구조체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도어구조체를 제1공간부에서 제2공간부를 향해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도어구조체를 제2공간부에서 제1공간부를 향해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A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BB선을 화살표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연통부가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 사이 연통을 해제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DD선을 화살표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구조체가 잠금해제상태인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도어구조체를 제1공간부에서 제2공간부를 향해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도어구조체가 잠금상태인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도어구조체를 제1공간부에서 제2공간부를 향해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구조체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도어구조체를 제1공간부에서 제2공간부를 향해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도어구조체를 제2공간부에서 제1공간부를 향해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A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BB선을 화살표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4의 연통부가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 사이 연통을 해제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DD선을 화살표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참고로, 도 1에서는 도어몸체부(1100)가 개구부(51)를 폐쇄한 모습을 도시하고 있고, 제1연통홀(도 4의 1111), 제2연통홀(도 4의 1131), 및 연통부(도 4의 1700)가 생략되어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구조체(1000)는 압력차이가 있는 제1공간부(10)와 제2공간부(30)를 구분하는 벽체(50)에 형성된 개구부(51)를 개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어구조체(1000)는 선박(미도시)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공간부(10)는 선박의 엔진실(미도시) 내부이고, 제2공간부(30)는 선박의 엔진실 외부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공간부(10)인 엔진실 내부는 엔진(미도시)의 구동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제2공간부(30)와의 사이에 압력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개구부(51)는 제1공간부(10)인 엔진실 내부와 제2공간부(30)인 엔진실 외부를 구분하는 벽체(50)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개구부(51)는 사용자가 제1공간부(10) 및 제2공간부(30)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구조체(1000)는 개구부(51)에 설치되어 개구부(51)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구조체(1000)는 폐쇄한 개구부(51)를 개방할 필요가 있을 때, 개구부(51)를 폐쇄한 상태에서 제1공간부(10)와 제2공간부(30) 사이 압력차이를 해소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어구조체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압력차이가 있는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가 벽체로 구분되어 형성되는 다양한 구조물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구조체(1000)는 도어몸체부(1100), 제1손잡이부(1300), 제2손잡이부(1500), 및 연통부(1700)를 포함한다.
도어몸체부(1100)는 개구부(51)를 개폐한다.
예컨대, 도어몸체부(1100)는 일측부가 개구부(51)의 내측부에 힌지결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어몸체부(1100)는 개구부(5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몸체부(1100)는 힌지축(미도시)을 중심으로 타측부가 벽체(50)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개구부(51)를 개방할 수 있다. 또는, 도어몸체부(1100)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타측부가 벽체(50)에 대해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개구부(51)를 폐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어몸체부(1100)는 사용자가 후술하는 제1손잡이부(1300) 또는 제2손잡이부(1500)를 이용하여 밀거나 당김으로써 개구부(51)를 개폐할 수 있다.
도어몸체부(1100)는 개구부(51)를 폐쇄한 상태에서 잠금해제상태 또는 잠금상태로 작동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몸체부(1100)는 개구부(51)를 개방시킬 필요가 있을 때 잠금해제상태로 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어몸체부(1100)는 개구부(51)를 폐쇄한 상태에서 잠금해제상태로 작동한 후, 개구부(51)를 개방할 수 있다.
또는, 도어몸체부(1100)는 개구부(51)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할 때 잠금상태로 될 수 있다.
한편, 도어몸체부(1100)에는 잠금해제상태 또는 잠금상태가 되도록 별도의 잠금부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잠금부재는 후술하는 제1손잡이부(1300) 및 제2손잡이부(1500)에 연동하도록 형성되고, 도어몸체부(1100)는 제1손잡이부(1300) 및 제1손잡이부(1300)에 연동하여 잠금해제상태 또는 잠금상태가 될 수 있다.
다만, 잠금부재는 도어몸체부(1100)가 잠금해제상태 또는 잠금상태가 될 수 있는 공지의 다양한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어몸체부(1100)는 제1패널(1110) 및 제2패널(1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패널(1110)은 도 1과 같이 제1공간부(10)를 향해 배치되고, 제2패널(1130)은 제2공간부(30)를 향해 배치된다.
제1패널(1110) 및 제2패널(1130)은 각각 개구부(51)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패널(1110) 및 제2패널(1130)의 결합체인 도어몸체부(1100)는 개구부(51)를 폐쇄할 수 있다.
예컨대, 개구부(51)가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1패널(1110) 및 제2패널(1130) 각각은 개구부(51)에 대응하여 사각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1패널(1110)과 제2패널(1130)은 서로 마주보면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패널(1110)과 제2패널(1130)의 가장자리부는 보강부재(미도시)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어몸체부(1100)에는 서로 이격된 제1패널(1110)과 제2패널(1130)에 의해 내부공간(1150)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패널(1110)과 제2패널(1130) 사이 이격된 공간은 내부공간(1150)을 형성할 수 있다.
내부공간(1150)에는 후술하는 연통부(170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손잡이부(1300)는 제1패널(1110)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손잡이부(1300)는 제1핸들(1310) 및 제1샤프트(1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핸들(1310)은 도 2와 같이 휠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1핸들(1310)은 도 1 및 도 4와 같이 제1공간부(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샤프트(1330)는 도 4와 같이 제1핸들(1310)과 연결되고 내부공간(1150)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1샤프트(1330)는 제1공간부(10)에서 제1패널(1110)을 관통하여 내부공간(1150)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샤프트(1330)의 일단부는 제1공간부(10)에서 제1핸들(1310)과 연결되고, 제1샤프트(1330)의 타단부는 내부공간(1150)으로 연장되어 후술하는 연통부(17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샤프트(1330)는 제1패널(11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샤프트(1330)와 제1패널(1110) 사이에는 제1베어링부재(미도시)가 개재되고, 제1샤프트(1330)는 제1베어링부재를 매개로 제1패널(111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도 2에서 볼 때 제1핸들(1310)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1공간부(10)에서 제1핸들(1310)을 조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손잡이부(1300)는 도어몸체부(1100)가 잠금해제상태 또는 잠금상태가 되도록 조작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몸체부(1100)는 사용자가 제1핸들(1310)을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잠금해제상태 또는 잠금상태로 될 수 있다.
예컨대, 도어몸체부(1100)는 도 2에서 볼 때 사용자가 제1핸들(1310)을 반시계방향(도 2의 실선화살표 참조)으로 회전시킬 때 잠금해제상태가 될 수 있다. 또는, 도어몸체부(1100)는 도 2에서 볼 때 사용자가 제1핸들(1310)을 시계방향(도 2의 점선화살표)으로 회전시킬 때 잠금상태가 될 수 있다.
제2손잡이부(1500)는 제2패널(1130)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손잡이부(1500)는 제2핸들(1510) 및 제2샤프트(15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핸들(1510)은 도 3과 같이 휠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2핸들(1510)은 도 1 및 도 4와 같이 제2공간부(3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샤프트(1530)는 도 4와 같이 제2핸들(1510)과 연결되고 내부공간(1150)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2샤프트(1530)는 제2공간부(30)에서 제2패널(1130)을 관통하여 내부공간(1150)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샤프트(1530)의 일단부는 제2공간부(30)에서 제2핸들(1510)과 연결되고, 제2샤프트(1530)의 타단부는 내부공간(1150)으로 연장되어 후술하는 연통부(17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샤프트(1530)는 제2패널(113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제2샤프트(1530)와 제2패널(1130) 사이에는 제2베어링부재(미도시)가 개재되고, 제2샤프트(1530)는 제2베어링부재를 매개로 제2패널(113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도 3에서 볼 때 제2핸들(1510)이 도 3에서 볼 때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2공간부(30)에서 제2핸들(1510)을 조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손잡이부(1500)는 도어몸체부(1100)가 잠금해제상태 또는 잠금상태가 되도록 조작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몸체부(1100)는 사용자가 제2핸들(1510)을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잠금해제상태 또는 잠금상태로 될 수 있다.
예컨대, 도어몸체부(1100)는 도 3에서 볼 때 사용자가 제2핸들(1510)을 시계방향(도 3의 실선화살표 참조)으로 회전시킬 때 잠금해제상태가 될 수 있다. 또는, 도어몸체부(1100)는 도 3에서 볼 때 사용자가 제2핸들(151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잠금상태(도 3의 점선화살표 참조)가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손잡이부(1300)와 제2손잡이부(1500)는 서로 연동할 수 있다. 이때, 제1손잡이부(1300)와 제2손잡이부(1500)는 후술하는 연통부(1700)를 매개로 연동할 수 있다.
예컨대, 내부공간(1150)의 향해 연장되는 제1샤프트(1330)의 타단부 및 제2샤프트(1530)의 타단부는 도 4와 같이 연통부(17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샤프트(1330) 및 제2샤프트(1530)는 제1샤프트(1330)의 중심과 제2샤프트(1530)의 중심을 동시에 지나는 중심선(C) 상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핸들(1310)은 사용자가 제2핸들(1510)을 회전시킬 때, 제2핸들(1510)에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다. 또는, 제2핸들(1510)은 사용자가 제1핸들(1310)을 회전시킬 때, 제1핸들(1310)에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사용자가 제1핸들(1310)을 도 2에서 볼 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제2샤프트(1530)는 제1핸들(1310)을 따라 회전하는 제1샤프트(1330)에 연동하여 회전하고, 제2핸들(1510)은 제2샤프트(1530)를 따라 회전하며 도 3에서 볼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제1핸들(1310)을 도 2에서 볼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제2샤프트(1530)는 제1핸들(1310)을 따라 회전하는 제1샤프트(1330)에 연동하여 회전하고, 제2핸들(1510)은 제2샤프트(1530)를 따라 회전하며 도 3에서 볼 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제1핸들(1310)이 제2핸들(1510)에 연동하는 과정은 사용자가 제2핸들(1510)을 회전시키는 점에서 차이가 있고, 제2핸들(1510)이 제1핸들(1310)에 연동하는 과정과 실질적으로 동일한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연통부(1700)는 제1공간부(10)와 제2공간부(30) 사이가 연통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통부(1700)는 공기가 제1공간부(10)와 제2공간부(30) 사이를 이동하게 하여, 제1공간부(10) 및 제2공간부(30) 사이 압력차이를 해소할 수 있다.
연통부(1700)는 도어몸체부(1100)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통부(1700)는 도어몸체부(1100)의 내부공간(1150)에서 공기가 제1공간부(10)와 제2공간부(30) 사이를 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통부(1700)는 제1연통라인(1710), 제2연통라인(1730), 및 연결부재(17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통라인(1710)은 도 4와 같이 파이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1연통라인(1710)은 제1패널(1110)에 형성된 제1연통홀(1111)에서 내부공간(1150)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1연통라인(1710)은 공기가 제1공간부(10)와 내부공간(1150)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연통라인(1710)의 일단부는 제1공간부(10)를 향해 개방된 제1연통홀(1111)에 연결되고, 제1연통라인(1710)의 타단부는 내부공간(1150)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연통홀(1111)은 도 2 및 도 4와 같이 제1핸들(1310)보다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연통라인(1710)은 도 4와 같이 적어도 일부가 상하방향(ex. 도 4에서 볼 때 Z축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외에도, 제1연통라인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연통홀의 위치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연통라인(1730)은 도 4와 같이 파이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2연통라인(1730)은 제2패널(1130)에 형성된 제2연통홀(1131)에서 내부공간(1150)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2연통라인(1730)은 공기가 제2공간부(30)와 내부공간(1150)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연통라인(1730)의 일단부는 제2공간부(30)를 향해 개방된 제2연통홀(1131)에 연결되고, 제2연통라인(1730)의 타단부는 내부공간(1150)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제2연통홀(1131)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제2핸들(1510)보다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연통라인(1730)은 도 4와 같이 적어도 일부가 상하방향(ex. 도 4에서 볼 때 Z축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외에도, 제2연통라인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연통홀의 위치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1750)는 도 4와 같이 내부공간(1150)에 배치되어 제1연통라인(1710) 및 제2연통라인(1730)과 연결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내부공간(1150)을 향해 연장되는 제1연통라인(1710)의 타단부 및 제2연통라인(1730)의 타단부는 연결부재(1750)에 지지될 수 있다.
연결부재(1750)에는 제1연통라인(1710)과 제2연통라인(1730)을 연결하는 연결라인(1751)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라인(1751)은 파이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연결부재(1750)는 도 4와 같이 구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연결라인(1751)은 연결부재(1750)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연결라인(1751)은 연결부재(1750)의 중심을 지나며 연결부재(1750)의 지름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연결부재(1750)는 제1손잡이부(1300) 및 제2손잡이부(1500)와 연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연결부재(1750)의 외측면에는 제1샤프트(1330)의 타단부 및 제2샤프트(1530)의 타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부재(1750)는 연결부재(1750)의 중심이 제1샤프트(1330)의 중심과 제2샤프트(1530)의 중심을 동시에 지나는 중심선(C)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1750)는 사용자가 제1핸들(1310) 또는 제2핸들(1510)을 회전시킬 때, 회전하는 제1핸들(1310) 또는 제2핸들(1510)에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부재(1750)에 형성된 연결라인(1751)은 회전하는 제1핸들(1310) 또는 제2핸들(1510)에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통부(1700)는 도어몸체부(1100)가 잠금해제상태 또는 잠금상태로 되도록 조작되는 제1손잡이부(1300) 및 제2손잡이부(1500)에 연동할 수 있다.
연통부(1700)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도어몸체부(1100)가 잠금해제상태가 될 때 제1공간부(10)와 제2공간부(30) 사이를 연통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사용자는 도어몸체부(1100)가 잠금해제상태가 되도록 제1핸들(1310) 또는 제2핸들(15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연결부재(1750)는 회전하는 제1핸들(1310) 또는 제2핸들(1510)에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연결라인(1751)은 제1연통라인(1710) 및 제2연통라인(1730)과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연결라인(1751)은 제1핸들(1310) 또는 제2핸들(1510)에 연동하는 연결부재(1750)와 함께 회전하여 제1연통라인(1710) 및 제2연통라인(1730)과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연결라인(1751)은 내부공간(1150)에서 상하방향(ex. 도 4에서 볼 때 Z축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라인(1751)의 양단부는 내부공간(1150)에서 각각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통라인(1710)의 타단부 및 제2연통라인(1730)의 타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공간부(10)와 제2공간부(30)는 연결라인(1751)과 연결된 제1연통라인(1710) 및 제2연통라인(1730)을 통해 공기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통할 수 있다. 이때, 제1공간부(10) 및 제2공간부(30) 사이 압력차이는 해소되고, 도어몸체부(1100)는 용이하며 신속하게 개구부(51)를 개방할 수 있다. 나아가, 제1공간부(10) 및 제2공간부(30) 사이 압력차이에 의해 도어몸체부(1100)가 갑자기 열리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사용자에 대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연통부(1700)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도어몸체부(1100)가 잠금상태가 될 때 제1공간부(10)와 제2공간부(30) 사이 연통을 해제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사용자는 도어몸체부(1100)가 잠금상태가 되도록 제1핸들(1310) 또는 제2핸들(15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연결부재(1750)는 회전하는 제1핸들(1310) 또는 제2핸들(1510)에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연결라인(1751)은 제1연통라인(1710) 및 제2연통라인(1730)과 분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연결라인(1751)은 제1핸들(1310) 또는 제2핸들(1510)에 연동하는 연결부재(1750)와 함께 회전하여 제1연통라인(1710) 및 제2연통라인(1730)과 분리될 수 있다.
예컨대, 연결라인(1751)은 내부공간(1150)에서 수평방향(ex. 도6에서 볼 때 Y축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라인(1751)의 양단부는 내부공간(1150)에서 각각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통라인(1710)의 타단부 및 제2연통라인(1730)의 타단부와 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공간부(10) 및 제2공간부(30)는 연통이 해제될 수 있다.
이때, 도어몸체부(1100)는 개구부(51)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나아가, 도어몸체부(1100)는 제1공간부(10) 및 제2공간부(30) 사이 공기의 이동이 방지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연결라인(1751)이 제1연통라인(1710)과 제2연통라인(1730)과 분리되도록 연결부재(1750)가 회전할 때, 연결라인(1751)과 연결된 제1연통라인(1710)의 타단부 및 제2연통라인(1730)의 타단부는 도 6과 같이 연결부재(1750)의 외측면에 접하여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연통라인(1710)의 타단부 및 제2연통라인(1730)의 타단부 각각은 구 형태로 제공되는 연결부재(1750)의 외측면에 대응하여 곡면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연결라인(1751)과 연결되는 제1연통라인(1710)의 타단부는 연결부재(1750)의 곡률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연결라인(1751)과 연결되는 제2연통라인(1730)의 타단부는 연결부재(1750)의 곡률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연통라인(1710)의 타단부 및 제2연통라인(1730)의 타단부는 각각 구 형태의 연결부재(1750)의 외측면에 접하여 효과적으로 폐쇄될 수 있다. 이때, 도어몸체부(1100)는 잠금상태에서 효과적으로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앞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구조체(1000)는 도어몸체부(1100)에 형성된 연통부(1700)를 통해 제1공간부(10) 및 제2공간부(30) 사이 압력차이를 해소함으로써, 제1공간부(10)와 제2공간부(30)를 구분하는 벽체(50)에 형성된 개구부(51)를 용이하며 신속하게 개방시킬 수 있다.
나아가, 도어몸체부(1100)가 압력차이에 의해 갑자기 열리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사용자에 대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구조체가 잠금해제상태인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도어구조체를 제1공간부에서 제2공간부를 향해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도어구조체가 잠금상태인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도어구조체를 제1공간부에서 제2공간부를 향해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참고로, 도 9 및 도 11은 제1패널(2110)에 형성된 제1표시창(2910)이 도어몸체부(2100)의 잠금해제상태 또는 잠금상태를 표시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고, 제2패널(2130)에 형성된 제2표시창(2950)은 제1표시창(29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도어몸체부(2100)의 잠금해제상태 또는 잠금상태를 표시하는 바, 그 표시 모습을 도면으로 도시하는 것은 생략한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구조체(2000)는 도어몸체부(2100), 제1핸들(2310) 및 제1샤프트(2330)를 포함하는 제1손잡이부(2300), 제2핸들(2510) 및 제2샤프트(2530)를 포함하는 제2손잡이부(2500), 연통부(2700), 및 표시부(2900)를 포함하고, 압력차이가 있는 제1공간부(도 1의 10) 및 제2공간부(도 1의 30)를 구분하는 벽체(50)에 형성된 개구부(도 1의 51)를 개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몸체부(2100), 제1손잡이부(2300), 제2손잡이부(2500), 및 연통부(2700)는 앞선 실시예의 도어몸체부(도 4의 1100), 제1손잡이부(도 4의 1300), 제2손잡이부(도 4의 1500), 및 연통부(도 4의 17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구조체(2000)는 표시부(2900)를 더 포함하는 점에서 앞선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하,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앞선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점에 대해 설명한다.
표시부(2900)는 도어몸체부(2100)의 잠금해제상태 또는 잠금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표시부(2900)는 제1손잡이부(2300) 및 제2손잡이부(2500)와 연동하여 도어몸체부(2100)의 잠금해제상태 또는 잠금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표시부(2900)를 통해 도어몸체부(2100)의 잠금해제상태 또는 잠금상태를 확인하는 것으로, 연통부(2700)가 제1공간부(도 1의 10)와 제2공간부(도 2의 30) 사이를 연통시키거나 제1공간부(도 1의 10)와 제2공간부(도 2의 30) 사이 연통을 해제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부(2900)는 제1표시창(2910), 제1표시바(2930), 제2표시창(2950), 및 제2표시바(29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표시창(2910)은 제1패널(2110)에 형성될 수 있다.
제1표시창(2910)은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제1공간부에서 도 9 및 도 11와 같이 제1표시창(2910)을 통해 도어몸체부(2100)의 잠금해제상태 또는 잠금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제1표시창(2910)은 제1핸들(1310)을 중심으로 상측 및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측 제1표시창(2910a)에는 '잠금해제' 표식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도 9와 같이 상측 제1표시창(2910a)을 통해 후술하는 제1표시바(2930)가 위치하는 것을 확인하는 것으로 도어몸체부(2100)가 잠금해제상태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하측 제1표시창(2910b)에는 '잠금' 표식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도 11과 같이 하측 제1표시창(2910b)을 통해 후술하는 제1표시바(2930)가 위치하는 것을 확인하는 것으로 도어몸체부(2100)가 잠금상태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1표시바(2930)는 도어몸체부(2100)의 내부공간(2150)에서 제1손잡이부(23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표시바(2930)는 제1손잡이부(2300) 및 제2손잡이부(2500)와 연동하여 제1표시창(2910)에 도어몸체부(2100)의 잠금해제상태 또는 잠금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표시바(2930)는 도 8 및 도 10과 같이 일단부가 제1손잡이부(2300)의 제1샤프트(2330)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제1표시창(2910)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1표시바(2930)는 제1샤프트(2330)가 제1핸들(2310) 또는 제2핸들(2510)에 연동하는 제1핸들(2310)을 따라 회전할 때, 제1샤프트(2330)에 지지되어 제1샤프트(2330)를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제1표시바(2930)의 타단부에는 소정의 색으로 도포된 판부재와 같은 제1표시부재(2931)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제1표시부재(2931)를 통해 제1표시바(2930)의 위치를 신속하며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제1표시바(2930)는 상측 제1표시창(2910a)에 대응하는 상측 제1표시바(2930a) 및 하측 제1표시창(2910b)에 대응하는 하측 제1표시바(2930b)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측 제1표시바(2930a) 및 하측 제1표시바(2930b)는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고, 제1샤프트(2330)를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측 제1표시바(2930a)의 타단부에는 상측 제1표시부재(2931a)가 형성되고, 하측 제1표시바(2930b)의 타단부에는 하측 제1표시부재(2931b)가 형성될 수 있다.
도어몸체부(2100)가 잠금해제상태로 될 때, 상측 제1표시바(2930a) 및 하측 제1표시바(2930b)는 도 8과 같이 제1샤프트(2330)에 지지되어 상측 제1표시바(2930a)에 형성된 상측 제1표시부재(2931a)가 상측 제1표시창(2910a)에 위치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또는, 도어몸체부(2100)가 잠금상태로 될 때, 상측 제1표시바(2930a) 및 하측 제1표시바(2930b)는 도 10과 같이 제1샤프트(2330)에 지지되어 하측 제1표시바(2930b)에 형성된 하측 제1표시부재(2931b)가 하측 제1표시창(2910b)에 위치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제2표시창(2950)은 제2패널(2130)에 형성될 수 있다.
제2표시창(2950)은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제2공간부에서 제2표시창(2950)을 통해 도어몸체부(2100)의 잠금해제상태 또는 잠금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제2표시창(2950)은 제2핸들(2510)을 중심으로 상측 및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측 제2표시창(2950a)에는 '잠금해제' 표식(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측 제2표시창(2950a)을 통해 후술하는 제2표시바(2970)가 위치하는 것을 확인하는 것으로 도어몸체부(2100)가 잠금해제상태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하측 제2표시창(2950b)에는 '잠금' 표식(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하측 제2표시창(2950b)을 통해 후술하는 제2표시바(2970)가 위치하는 것을 확인하는 것으로 도어몸체부(2100)가 잠금상태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2표시바(2970)는 도어몸체부(2100)의 내부공간(2150)에서 제2손잡이부(25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표시바(2970)는 제1손잡이부(2300) 및 제2손잡이부(2500)와 연동하여 제2표시창(2950)에 도어몸체부(2100)의 잠금해제상태 또는 잠금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표시바(2970)는 도 8 및 도 10과 같이 일단부가 제2손잡이부(2500)의 제2샤프트(2530)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제2표시창(2950)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2표시바(2970)는 제2샤프트(2530)가 제2핸들(2510) 또는 제1핸들(2310)에 연동하는 제2핸들(2510)을 따라 회전할 때, 제2샤프트(2530)에 지지되어 제2샤프트(2530)를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2표시바(2970)는 제1손잡이부 및 제2손잡이부에 연동하는 제1표시바(2930)와 연동할 수 있다.
제2표시바(1970)의 타단부에는 소정의 색으로 도포된 판부재와 같은 제2표시부재(2971)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제2표시부재(2971)를 통해 제2표시바(2970)의 위치를 신속하며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제2표시바(2970)는 상측 제2표시창(2950a)에 대응하는 상측 제2표시바(2970a) 및 하측 제2표시창(2950b)에 대응하는 하측 제2표시바(2970b)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측 제2표시바(2970a) 및 하측 제2표시바(2970b)는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고, 제2샤프트(2530)를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측 제2표시바(2970a)의 타단부에는 상측 제2표시부재(2971a)가 형성되고, 하측 제2표시바(2970b)의 타단부에는 하측 제2표시부재(2971b)가 형성될 수 있다.
도어몸체부(2100)가 잠금해제상태로 될 때, 상측 제2표시바(2970a) 및 하측 제2표시바(2970b)는 도 8과 같이 제2샤프트(2530)에 지지되어 상측 제2표시바(2970a)에 형성된 상측 제2표시부재(2971a)가 상측 제2표시창(2950a)에 위치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또는, 도어몸체부(2100)가 잠금상태로 될 때, 상측 제2표시바(2970a) 및 하측 제2표시바(2970b)는 도 10과 같이 제2샤프트(2530)에 지지되어 하측 제2표시바(2970b)에 형성된 하측 제2표시부재(2971b)가 하측 제2표시창(2950b)에 위치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표시부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어몸체부의 잠금해제상태 또는 잠금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제1공간부
30: 제2공간부
50: 벽체
51: 개구부
1000, 2000: 도어구조체
1100, 2100: 도어몸체부
1110, 2110: 제1패널
1111: 제1연통홀
1130, 2130: 제2패널
1131: 제2연통홀
1150, 2150: 내부공간
1300, 2300: 제1손잡이부
1310, 2310: 제1핸들
1330, 2330: 제1샤프트
1500, 2500: 제2손잡이부
1510, 2510: 제2핸들
1530, 2530: 제2샤프트
1700, 2700: 연통부
1710: 제1연통라인
1730: 제2연통라인
1750: 연결부재
1751: 연결라인
2900: 표시부
2910, 2910a, 2910b: 제1표시창
2930, 2930a, 2930b: 제1표시바
2950, 2950a, 2950b: 제2표시창
2970, 2970a, 2970b: 제2표시바

Claims (8)

  1. 압력차이가 있는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를 구분하는 벽체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구조체로서,
    상기 제1공간부를 향해 배치되는 제1패널 및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패널에 대해 이격되며 상기 제2공간부를 향해 배치되는 제2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몸체부;
    상기 제1패널에 형성되고, 상기 도어몸체부가 잠금해제상태 또는 잠금상태로 되도록 조작되는 제1손잡이부;
    상기 제2패널에 형성되고, 상기 제1손잡이부와 연동하여 상기 도어몸체부가 잠금해제상태 또는 잠금상태로 되도록 조작되는 제2손잡이부; 및
    상기 제1공간부와 상기 제2공간부 사이가 연통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몸체부에 형성되는 연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통부는,
    상기 도어몸체부가 잠금해제상태가 될 때 상기 제1공간부와 상기 제2공간부 사이를 연통시키고,
    상기 도어몸체부가 잠금상태가 될 때 상기 제1공간부와 상기 제2공간부 사이 연통을 해제시키는, 도어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는,
    상기 제1패널에 형성된 제1연통홀에서 상기 내부공간으로 연장되는 제1연통라인;
    상기 제2패널에 형성된 제2연통홀에서 상기 내부공간으로 연장되는 제2연통라인; 및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제1손잡이부 및 상기 제2손잡이부와 연동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연통라인 및 상기 제2연통라인을 연결하는 연결라인이 형성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도어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라인은,
    상기 도어몸체부가 잠금해제상태가 될 때 상기 제1연통라인 및 상기 제2연통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도어몸체부가 잠금상태가 될 때 상기 제1연통라인 및 상기 제2연통라인과 분리되는, 도어구조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구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라인은 상기 연결부재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도어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라인과 연결되는 상기 제1연통라인의 단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곡률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결라인과 연결되는 상기 제2연통라인의 단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곡률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도어구조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손잡이부는,
    상기 제1공간부에 배치되는 제1핸들; 및
    상기 제1핸들과 연결되고, 상기 내부공간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연통부와 연결되는 제1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손잡이부는,
    상기 제2공간부에 배치되는 제2핸들; 및
    상기 제2핸들과 연결되고, 상기 내부공간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연통부와 연결되는 제1샤프트를 포함하는, 도어구조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몸체부의 잠금해제상태 또는 잠금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도어구조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패널에 형성되는 제1표시창;
    상기 제1손잡이부 및 상기 제2손잡이부에 연동하여 상기 제1표시창에 상기 도어몸체부의 잠금해제상태 또는 잠금상태를 표시하도록 상기 제1손잡이부에 연결되는 제1표시바;
    상기 제2패널에 형성되는 제2표시창; 및
    상기 제1손잡이부 및 상기 제2손잡이부에 연동하여 상기 제2표시창에 상기 도어몸체부의 잠금해제상태 또는 잠금상태를 표시하도록 상기 제2손잡이부에 연결되는 제2표시바를 포함하는, 도어구조체.
KR1020170146397A 2017-11-06 2017-11-06 도어구조체 KR101985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397A KR101985203B1 (ko) 2017-11-06 2017-11-06 도어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397A KR101985203B1 (ko) 2017-11-06 2017-11-06 도어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104A true KR20190051104A (ko) 2019-05-15
KR101985203B1 KR101985203B1 (ko) 2019-06-03

Family

ID=66579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397A KR101985203B1 (ko) 2017-11-06 2017-11-06 도어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520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379Y1 (ko) * 2009-02-09 2013-10-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여닫이 도어의 개폐 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379Y1 (ko) * 2009-02-09 2013-10-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여닫이 도어의 개폐 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5203B1 (ko) 201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5497B2 (en) Cockpit door of aircraft
US6925756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ingress and egress to and from an operator's compartment
US20120091734A1 (en) Lock for a luggage box
US6669144B2 (en) Access apparatus
JP2011509868A (ja) 通気フラップを備えた加圧航空機ドア設備
US7543778B2 (en) Door for aircraft, and aircraft provided with such a door
KR101663982B1 (ko) 여닫이 도어용 양방향 스토퍼
KR101985203B1 (ko) 도어구조체
CA2384074A1 (en) Fast evacuation device for aircraft
JP3131366U (ja) パチンコ遊技機の施錠装置
ES2625802T3 (es) Bloqueo de expulsión de respuesta a la presión con depósito
JP3806126B2 (ja) コックピットドアのキャッチ装置
KR100793096B1 (ko) 공압식 창호 자동개폐시스템
CN1317991C (zh) 具有门的游戏机机顶箱
US20200128682A1 (en) Housing for a fire alarm and/or extinguishing control station
US20090295188A1 (en) Interchangeable door
JP6289601B1 (ja) エレベータの三方枠装置
JP2018199976A (ja) 差圧緩和装置
US20110155851A1 (en) Aircraft observation window
CN211258180U (zh) 一种航空器尾门锁和航空器
US3370745A (en) Explosion relief wall
US1907850A (en) Tabernacle safe
JP6478276B2 (ja) 消火機器用格納箱の取っ手構造
CN112482908A (zh) 附属旋转瓣式闩锁
KR20110068322A (ko) 특수 차량의 도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