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0250A - 길이조절이 가능한 스포크 - Google Patents

길이조절이 가능한 스포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0250A
KR20190050250A KR1020170145593A KR20170145593A KR20190050250A KR 20190050250 A KR20190050250 A KR 20190050250A KR 1020170145593 A KR1020170145593 A KR 1020170145593A KR 20170145593 A KR20170145593 A KR 20170145593A KR 20190050250 A KR20190050250 A KR 20190050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 side
spoke
joint
length
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5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수
Original Assignee
권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수 filed Critical 권영수
Priority to KR1020170145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0250A/ko
Priority to PCT/KR2017/013957 priority patent/WO2019088347A1/ko
Publication of KR20190050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02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00Spoked wheels; Spokes thereof
    • B60B1/003Spoked wheels; Spokes thereof specially adapted for bi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00Spoked wheels; Spok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00Spoked wheels; Spokes thereof
    • B60B1/02Wheels with wire or other tension spo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00Spoked wheels; Spokes thereof
    • B60B1/02Wheels with wire or other tension spokes
    • B60B1/0261Wheels with wire or other tension spokes characterised by spoke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00Spoked wheels; Spokes thereof
    • B60B1/02Wheels with wire or other tension spokes
    • B60B1/0261Wheels with wire or other tension spokes characterised by spoke form
    • B60B1/0269Wheels with wire or other tension spokes characterised by spoke form the spoke being curved or deformed over substantial part of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00Spoked wheels; Spokes thereof
    • B60B1/02Wheels with wire or other tension spokes
    • B60B1/0261Wheels with wire or other tension spokes characterised by spoke form
    • B60B1/0284Wheels with wire or other tension spokes characterised by spoke form the spoke being threaded at both 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00Spoked wheels; Spokes thereof
    • B60B1/06Wheels with compression spokes
    • B60B1/08Wheels with compression spokes formed by ca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1/00Rims
    • B60B21/06Rims characterised by means for attaching spokes, i.e. spok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1/00Rims
    • B60B21/06Rims characterised by means for attaching spokes, i.e. spoke seats
    • B60B21/062Rims characterised by means for attaching spokes, i.e. spoke seats for bi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조절이 가능한 스포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바퀴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는 허브와, 타이어가 장착되는 림 사이에 결합되는 스포크로서, 일단 측이 상기 허브와 결합되며, 일정한 길이를 갖춘 봉 형태의 이너살대부; 일정한 길이를 갖춘 봉의 형태이며 일단측이 상기 허브측을 지향하며 타단측이 상기 림과 결합되는 아우터살대부; 및 일단측이 상기 이너살대부의 타단측과 결합되고, 타단측이 상기 아우터살대부의 일단측과 결합되는 조인트살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살대부의 일단측으로부터 아우터살대부의 타단측까지의 길이가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으므로 바퀴 및 스포크에 대한 정비 또는 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시켜줄 수 있어서 경제적이며, 바퀴에 대한 관리 또는 정비의 효율성과 편의성을 증진시켜줄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

Description

길이조절이 가능한 스포크{length variable spoke}
본 발명은 자전거 바퀴의 구성에 포함되는 스포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스포크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는 별도의 동력없이 인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편리하고 빠른 이동수단이다. 최근에는 고유가와 웰빙문화의 확대와 더불어 단순한 이동수단이 아닌 운동수단으로도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으며, 출퇴근시에도 자전거를 이용하여 이동과 건강관리 라는 두 가지 목적을 함께 달성하려는 직장인 수도 날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자전거에 관해서 다양한 연구와 기술이 개발되어 제안되고 적용되고 있다. 자전거에 관한 종래의 기술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22883호(발명의 명칭 : 절첩가능한 자전거용 휠. 이하 선행기술1 이라 함.) 등이 있다.
선행기술1에서는 자전거의 보관 또는 운반시 자전거의 크나큰 공간상의 부피로 인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자전거의 바퀴를 절첩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 1과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통상 자전거 바퀴는 타이어와 결합되는 림과 자전거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허브 및 림과 허브 사이를 잇는 다수의 스포크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나의 휠로 이루어진 형태 또한 있었다. 자전거를 타다가 자칫 바퀴의 스포크에 해당되는 일부 부분이 파손된 경우 파손된 부분을 교체하여 주어야 하는데, 휠로 된 경우에는 휠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비용지출이 크게 나타날 수 밖에 없으며, 몇몇 스포크가 파손된 경우에는 해당 스포크만 교체하여주면 되지만, 바퀴의 종류 및 직경에 따라 스포크의 길이가 각기 다르므로 파손된 바퀴에 맞는 스포크를 구해서 교체하기가 어려웠다.
특히 자전거정비점 등에서는 스포크를 길이별로 각기 구비해야 놓아야하므로 비경제적인 문제점 또한 있었다.
따라서, 자전거 등에 장착되는 바퀴의 다양한 직경에 대응하여 적용될 수 있으며, 교체가 용이한 스포크에 대한 기술이 요구되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2288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12092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바퀴의 다양한 직경에 대응하여 적용될 수 있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스포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스포크는 바퀴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는 허브와, 타이어가 장착되는 림 사이에 결합되는 스포크로서, 일단 측이 상기 허브와 결합되며, 일정한 길이를 갖춘 봉 형태의 이너살대부; 일정한 길이를 갖춘 봉의 형태이며 일단측이 상기 허브측을 지향하며 타단측이 상기 림과 결합되는 아우터살대부; 및 일단측이 상기 이너살대부의 타단측과 결합되고, 타단측이 상기 아우터살대부의 일단측과 결합되는 조인트살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살대부의 일단측으로부터 아우터살대부의 타단측까지의 길이가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조인트살대부의 일단측이 상기 이너살대부의 타단측 측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이너살대부의 일단측으로부터 상기 조인트살대부의 타단측까지의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조인트살대부의 일단 측 및 상기 이너살대부의 타단 측 중 어느 하나는 볼트형태로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는 길이방향으로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되, 체결홀의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조인트살대부의 타단측이 상기 아우터살대부의 일단측 측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조인트살대부의 일단측으로부터 상기 아우터살대부의 타단측까지의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조인트살대부의 타단측 및 상기 아우터살대부의 일단측 중 어느 하나는 볼트형태로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는 길이방향으로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되, 체결홀의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조인트살대부에는, 상기 이너살대부의 타단측 또는 상기 아우터살대부의 일단측과의 결합을 보조하기 위한 결합보조수단이 마련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결합보조수단은, 상기 조인트살대부를 길이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도구가 삽입될 수 있는 홀 또는 홈을 형성하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링인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허브와 결합을 위하여 상기 이너살대부의 일단측이 휘어지거나 꺾어진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스포크는, 자전거 등에 장착되는 바퀴의 다양한 직경에 대응하여 적용될 수 있으며, 교체가 용이하므로 바퀴 또는 바퀴의 스포크에 대한 관리 또는 정비의 효율성과 편의성을 증진시켜줄 수 있으며, 스포크를 길이별로 맞춰 준비함에 따른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해소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스포크 및 바퀴의 허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스포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스포크의 조인트살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스포크가 적용된 바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스포크가 적용된 바퀴가 장착된 자전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스포크 및 바퀴의 허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스포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스포크의 조인트살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스포크가 적용된 바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스포크가 적용된 바퀴가 장착된 자전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스포크는 기본적으로 바퀴의 회전축(23)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허브(20)와 타이어가 장착되는 림(30) 사이에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스포크(10)는 이너살대부(100), 아우터살대부(200) 및 조인트살대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이너(inner)살대부(100)는 일단 측이 허브(20)와 결합되며, 일정한 길이를 갖춘 봉 형태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이너살대부(100)와 결합되기 위하여 허브(20)에는 다수의 결합홀(25)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결합홀(25)을 통해 허브(20)와 이너살대부(100) 사이에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너살대부(100)의 일단 측과 허브(20)와의 결합을 위하여 이너살대부(100)의 일단측이 휘어지거나 꺾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너살대부(100)의 일단측이 휘어지거나 꺾여져 있기 때문에 허브(20)의 결합홀(25)을 통해 이너살대부(100)가 결합될 수 있으며, 허브(20)와 결합된 다수의 이너살대부(100)는 허브(20)를 중심으로 하여 외측인 림(30) 측으로 방사형태로 배치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너살대부(100)의 타단 측은 조인트살대부(300)의 일단 측과 결합된다.
조인트살대부(300)는 스포크(10)에서 가운데 부분에 위치한다. 이러한 조인트살대부(300)는 일단 측에서 이너살대부(100)과 결합되며, 타단 측에서는 아우터살대부(200)과 결합된다.
그리고, 이너살대부(100)과의 결합 또는 아우터살대부(200)과의 결합을 통해서 스포크(10)의 전체적인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조인트살대부(300)에는, 이너살대부(100)의 타단 측 또는 아우터살대부(200)의 일단 측과의 결합을 보조하기 위한 결합보조수단이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결합보조수단은 조인트살대부(300)와 이너살대부(100) 또는 아우터살대부(200) 사이의 결합 및 길이조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보조수단이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아우터살대부(200)에 대해여 설명한 후에 다시 하기로 한다.
아우터(outter)살대부(200)는 전체적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춘 봉의 형태이다. 그리고 도 1, 도 2 및 도 4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일단측이 허브(20)측을 지향하며, 타단 측이 바퀴의 림(30)과 결합된다.
조인트살대부(300)는 일단측이 이너살대부(100)의 타단 측과 결합되고, 조인트살대부의 타단 측이 아우터살대부(200)의 일단측과 결합된다.
이와 같은, 이너살대부(100), 아우터살대부(200) 및 조인트살대부(300)가 결합되면서, 이너살대부(100)의 일단 측으로부터 아우터살대부(200)의 타단 측까지의 길이가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조인트살대부(300)의 일단 측이 이너살대부(100)의 타단 측으로 결합되면서, 이너살대부(100)의 일단 측으로부터 조인트살대부(300)의 타단 측까지의 길이가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조인트살대부(300)의 일단 측 및 이너살대부(100)의 타단 측 중 어느 하나는 볼트형태로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는 길이방향으로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되, 체결홀의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이너살대부(100)의 타단 측에 볼트형태(110)으로 형성되고, 조인트살대부(300)의 일단 측에 체결홀(3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체결홀(310)의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들을 수 있다.
여기서 이너살대부(100)의 타단 측에 볼트형태(110)로 형성된 부분이 조인트살대부(300)의 일단 측의 체결홀(310)에 삽입되면서 볼트-너트 형식의 결합이 이루어지며, 조인트살대부(300)을 회전시켜주는 만큼 이너살대부(100) 및 조인트살대부(300)의 길이가 증가 또는 감소되므로 적정길이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인트살대부(300)의 타단측이 아우터살대부(200)의 일단측 측으로 결합되면서, 조인트살대부(300)의 일단 측으로부터 아우터살대부(200)의 타단 측까지의 길이가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조인트살대부(300)의 타단 측 및 아우터살대부(200)의 일단 측 중 어느 하나는 볼트형태로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는 길이방향으로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되, 체결홀의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아우터살대부(200)의 일단 측에 볼트형태(210)으로 형성되고, 조인트살대부(300)의 타단 측에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체결홀의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들을 수 있다.
여기서 아우터살대부(200)의 타단 측에 볼트형태(210)로 형성된 부분이 조인트살대부(300)의 타단 측의 체결홀에 삽입되면서 볼트-너트 형식의 결합이 이루어지며, 조인트살대부(300)를 회전시켜주는 만큼 아우터살대부(200) 및 조인트살대부(300)의 길이가 증가 또는 감소되므로 적정길이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조인트살대부(300)와 이너살대부(100) 또는 아우터살대부(200) 사이의 결합이 도 2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볼트-너트 형식의 결합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이너살대부(100)에 대하여 조인트살대부(300)이 길이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을 하여야 볼트-너트형식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조인트살대부(300)을 좀 더 쉽게 회전시켜줄 수 있도록 결합보조수단이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결합보조수단으로서 조인트살대부(300)를 길이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도구(T)가 삽입될 수 있는 홀 또는 홈을 형성하는 링이 있을 수도 있으며, 여기서 링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태를 갖춘 것일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조인트살대부(300)를 길이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도구(T)가 삽입될 수 있는 홀(325)을 형성하는 링(320)을 바람직한 한 예로 들을 수 있다.
막대기나 봉과 같은 도구(T)를 링(320)의 홀(325)에 삽입시킨 후 도구(T)를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면 조인트살대부(300)을 좀 더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으며, 스포크(10)의 전체적인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결합보조수단은 조인트살대부(300)를 회전시켜서 이너살대부(100) 또는 아우터살대부(200)과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므로 위와 같은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집게와 같은 도구로 조인트살대부(300)을 잡고 돌릴 수 있도록 일부분이 평평한 면으로 된 것 또한 여기서 말하는 결합보조수단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에 따라 이너살대부(100), 아우터살대부(200) 및 조인트살대부(300)가 결합되면서, 이너살대부(100)의 일단 측으로부터 아우터살대부(200)의 타단 측까지의 길이가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포크가 적용된 바퀴가 장착된 자전거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습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포크가 다수 적용되는 경우 바퀴의 외관이 심미적이면서도 독특한 미관을 갖출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스포크는, 자전거 등에 장착되는 바퀴의 다양한 직경에 대응하여 적용될 수 있으며, 교체가 용이하므로 바퀴 또는 바퀴의 스포크에 대한 관리 또는 정비의 효율성과 편의성을 증진시켜줄 수 있으며, 스포크를 길이별로 맞춰 준비함에 따른 비경제적인 문제점을 해소시켜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 : 스포크
100 : 이너살대부 200 : 아우터살대부
300 : 조인트살대부
20 : 허브 30 : 림

Claims (8)

  1. 바퀴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는 허브와, 타이어가 장착되는 림 사이에 결합되는 스포크로서,
    일단 측이 상기 허브와 결합되며, 일정한 길이를 갖춘 봉 형태의 이너살대부;
    일정한 길이를 갖춘 봉의 형태이며 일단측이 상기 허브측을 지향하며 타단측이 상기 림과 결합되는 아우터살대부; 및
    일단측이 상기 이너살대부의 타단측과 결합되고, 타단측이 상기 아우터살대부의 일단측과 결합되는 조인트살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살대부의 일단측으로부터 아우터살대부의 타단측까지의 길이가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스포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살대부의 일단측이 상기 이너살대부의 타단측 측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이너살대부의 일단측으로부터 상기 조인트살대부의 타단측까지의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스포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살대부의 일단 측 및 상기 이너살대부의 타단 측 중 어느 하나는 볼트형태로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는 길이방향으로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되, 체결홀의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스포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살대부의 타단측이 상기 아우터살대부의 일단측 측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조인트살대부의 일단측으로부터 상기 아우터살대부의 타단측까지의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스포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살대부의 타단측 및 상기 아우터살대부의 일단측 중 어느 하나는 볼트형태로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는 길이방향으로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되, 체결홀의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스포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살대부에는,
    상기 이너살대부의 타단측 또는 상기 아우터살대부의 일단측과의 결합을 보조하기 위한 결합보조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스포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보조수단은,
    상기 조인트살대부를 길이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도구가 삽입될 수 있는 홀 또는 홈을 형성하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스포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와 결합을 위하여 상기 이너살대부의 일단측이 휘어지거나 꺾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스포크.

KR1020170145593A 2017-11-02 2017-11-02 길이조절이 가능한 스포크 KR2019005025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593A KR20190050250A (ko) 2017-11-02 2017-11-02 길이조절이 가능한 스포크
PCT/KR2017/013957 WO2019088347A1 (ko) 2017-11-02 2017-11-30 길이조절이 가능한 스포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593A KR20190050250A (ko) 2017-11-02 2017-11-02 길이조절이 가능한 스포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250A true KR20190050250A (ko) 2019-05-10

Family

ID=66331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5593A KR20190050250A (ko) 2017-11-02 2017-11-02 길이조절이 가능한 스포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050250A (ko)
WO (1) WO2019088347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883B1 (ko) 2011-02-23 2013-01-17 김진규 절첩 가능한 자전거용 휠
KR20160120920A (ko) 2015-04-09 2016-10-19 주식회사 코휠 비공기압 바퀴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18592A1 (fr) * 1998-09-29 2000-04-06 Compagnie Generale Des Etablissements Michelin - Michelin & Cie Roue deformable non pneumatique
US8985709B2 (en) * 2004-01-12 2015-03-24 Raphael Schlanger Vehicle wheel spoke connection
KR20070062114A (ko) * 2005-12-12 2007-06-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 휠
KR20110093195A (ko) * 2010-02-12 2011-08-18 마상준 자전거용 휠
KR101050295B1 (ko) * 2010-10-21 2011-07-19 서식원 무체인 자전거 동력전달장치의 연결프레임
US8888196B2 (en) * 2010-11-23 2014-11-18 Charlie W. Chi Field spoke repair kit
KR101380217B1 (ko) * 2012-12-13 2014-04-02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다인치 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883B1 (ko) 2011-02-23 2013-01-17 김진규 절첩 가능한 자전거용 휠
KR20160120920A (ko) 2015-04-09 2016-10-19 주식회사 코휠 비공기압 바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88347A1 (ko)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1944B2 (en) Hub body for a bicycle wheel and hub comprising such a hub body
CN101244743B (zh) 自行车轮固定适配器和使用该适配器的自行车叉
US8746808B2 (en) Bicycle rim
EP1726457A3 (en) Bicycle hub
US7427112B2 (en) Rim for a spoked wheel
JPH09202107A (ja) 自転車用ハブ
ES288749Y (es) Manguito de aplicacion a una llanta para rueda de bicicleta
EP1122091A3 (en) Spoke nipple for bicycle wheel
EP1595721A3 (en) Bicycle rim
EP1431069A3 (en) Bicycle rim
EP1502768A3 (en) Bicycle Rim
US6976791B2 (en) Bearing apparatus for a bicycle hub
CN202106792U (zh) 辐条锁紧装置
US10059148B2 (en) Hollow wheel assembly of luggage
FR3098147B1 (fr) Roue transformable adaptée pour franchir des escaliers et robot autonome équipé d’au moins une telle roue
KR20190050250A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스포크
EP1491361A3 (en) A bicycle wheel
US6443532B1 (en) Spoked wheel assembly for a bicycle
US20160114621A1 (en) Wheel assembly
EP1122095A3 (en) Bicycle hub with spoke seal
US6267452B1 (en) Hidden type quick-release wheel hub assembly with reinforcing arrangement
US20130169029A1 (en) Bicycle rim
USD494122S1 (en) Wheel with five spokes
AU2013276339B2 (en) Omnidirectional wheel
KR101814156B1 (ko) 자전거의 크랭크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