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0055A - 봉합사 - Google Patents

봉합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0055A
KR20190050055A KR1020170145172A KR20170145172A KR20190050055A KR 20190050055 A KR20190050055 A KR 20190050055A KR 1020170145172 A KR1020170145172 A KR 1020170145172A KR 20170145172 A KR20170145172 A KR 20170145172A KR 20190050055 A KR20190050055 A KR 20190050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ture
barb
barbs
raw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5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0211B1 (ko
Inventor
최선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베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베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베이스
Priority to KR1020170145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0211B1/ko
Publication of KR20190050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0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0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0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61B2017/06176Sutures with protrusions, e.g. barb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합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봉합사의 몸체에 일부가 절단되어 연결된 미늘이 상부나 하부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봉합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는 가공되지 않은 로(raw)부 사이에 가공에 의해 로부의 형상과 다르게 변형된 가공부가 로부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가공부의 일부가 절단되어 다수의 미늘이 형성되며, 그 미늘이 상부나 하부로 절곡되어 미늘이 상부나 하부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봉합사 {Suture}
본 발명은 봉합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봉합사의 몸체에 일부가 절단되어 연결된 미늘이 상부나 하부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봉합사에 관한 것이다.
외과에서 봉합(suture)은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하여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얼굴 피부나 구강 내 점막이 찢어진 환자에게 시행되거나, 미용 목적으로 시행되는 봉합은 그 자체가 하나의 완성된 수술이다.
또한, 정교하고 미용적으로도 우수한 봉합을 수행하는 것이 수술의 성패를 결정하는 중요 요인으로 작용한다.
봉합사는 손상된 근육, 혈관, 신경조직 또는 상처나 수술절개부의 연결 또는 봉합을 위하여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왔고. 또한, 쌍꺼풀 수술이나 노화, 피부탄력 감소, 외상, 과용, 괴사 등에 의하여 생기는 조직(tissue)이나 피부의 처짐, 주름 등을 제거하기 위한 시술 등에도 사용된다.
예를 들어 봉합사를 사용하는 리프팅 시술은 칼을 사용하지 않고 바늘과 실로써 얼굴, 턱, 목, 복부, 질, 가슴, 힙 등의 늘어진 피부 및 조직을 올려주고 주름을 당기고 펴주는 기술로서, 피부를 과다하게 절개할 필요가 없으며, 흉터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수술로 인한 출혈이나 부기가 적어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봉합사의 소재로는 천연소재 및 합성소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소재에 따라 흡수성 및 비흡수성의 특성을 갖는다.
최근에는 봉합사 표면의 외부에 미늘이 형성된 봉합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표면의 외부에 미늘이 형성된 봉합사는 미늘에 의하여 미끄러지지 않는 속성을 가지게 되므로 봉합 후 풀리지 않는다.
상기 미늘이 형성된 봉합사로 예를 들어 선행특허문헌 등록번호 제10-1642962호에 도 1a 내지 도 1c의 봉합사가 개시되어 있다.
도 1a는 봉합사(10)의 정 중앙에 위치한 중심부(13)의 양쪽으로 제 1 미늘부(11)와 제 2 미늘부(12)가 위치하며, 제 1 미늘부(11)와 제 2 미늘부(12)는 중심부(13)로 연결되고, 미늘은 끝이 중심부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것을 나타낸다.
도 1b 및 도 1c는 제 1 미늘부(11), 제 2 미늘부(12) 및 제 1 미늘부(11)와 제 2 미늘부(12)를 연결하는 중심부(13)로 이루어지며, 미늘의 끝부분이 상기 중심부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홀부(14)가 형성된 봉합사(10)를 나타낸다.
도 1b는 중심부(13)에 홀부(14)가 형성된 봉합사(10)를, 도 1c는 미늘부(11,12)에 홀부(14)가 형성된 봉합사를 나타낸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봉합사는 미늘이 봉합사의 몸체와 평행하게 평면적으로 형성되어 봉합 후 봉합사의 길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조직이나 피부와의 접촉면적이 적어 미끄러지지 않게 하는 저항력에 한계가 있고 이에 따라 풀리거나 고정되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번호 제10-1642962호(등록일자 2016년07월20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봉합사의 몸체에 일부가 절단되어 연결된 미늘을 상부나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시술부위에서 보다 견고하게 유지고정될 수 있으며 효과적으로 조직을 붙들어, 봉합 및 조직의 밀착, 지지 또는 고정 효과가 우수한 봉합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는, 가공되지 않은 로(raw)부 사이에 가공에 의해 로부의 형상과 다르게 변형된 가공부가 로부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가공부의 일부가 절단되어 다수의 미늘이 형성되며, 그 미늘이 상부나 하부로 절곡되어 미늘이 상부나 하부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부는 원통형이고, 가공부는 단면의 폭 길이가 높이의 길이보다 긴 납작한 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늘은 가공부의 길이반대방향 양측에 서로 대향되게 상부와 하부로 길이방향을 따라 교대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늘은 가공부의 길이반대방향 양측에 서로 반대인 상부와 하부로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늘은 직삼각형으로 끝부분이 중심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늘은 가공부의 중간에 상부와 하부로 길이방향을 따라 교대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미늘은 직사각형으로 라운드진 끝부분이 중심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봉합사의 몸체에 일부가 절단되어 연결된 미늘을 상부나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시술부위에서 보다 견고하게 유지고정될 수 있으며 효과적으로 조직을 붙들어, 봉합 및 조직의 밀착, 지지 또는 고정 효과가 우수하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 봉합사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의 평면도,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의 평면도,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의 평면도,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를 제조하는 펀칭금형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의 평면도,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100)는 로(raw)부(110)와 가공부(120)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공부(120)에는 상부와 하부로 경사진 미늘(130)이 다수 형성된다.
상기 로부(110)는 봉합사의 가공되지 않은 부분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원료 봉합사의 형상 예를 들어 원통형을 그대로 유지한다.
이때 원료 봉합사의 길이는 예를 들어 180mm이고 지름은 0.54Φ이다.
상기 가공부(120)는 로부(110) 사이의 가공된 부분으로 원료 봉합사의 형상이 변형된다.
그 변형은 먼저 원통형의 원료 봉합사(100)를 도 5에 나타낸 상부금형(210)과 하부금형(220)으로 이루어진 펀칭금형(200)의 상하 압착부(212,222) 사이에 투입하여 상부금형(210)의 펀칭에 의해 원통형 원료 봉합사를 압착(forging)해서, 가공부(120)의 형상을 원통형에서 예를 들어 단면의 폭 길이가 높이의 길이보다 소정의 비율만큼 긴 납작한 사각형으로 변형한다.
다음 납작한 사각형 가공부(120)가 구비된 원료 봉합사(100)를 상하 절단 및 절곡부(214,224) 사이로 이동시킨 후 상부금형의 펀칭에 의해 길이반대방향 양측을 소정의 형상으로 절단(cutting) 및 절곡(bending)한다.
상기 절단에 의해 직삼각형이면서 끝부분이 중심을 향하는 미늘(130)을 형성하되, 미늘(130)의 일부가 절단되지 않아 가공부(120)에 연결된다.
즉 상기 미늘(130)은 직삼각형으로서, 빗변은 대각선 방향으로 절단되어 가공부(120)에서 분리되고 밑변은 가공부(120)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절곡에 의해 가공부(120)에 연결된 미늘의 밑변 부분이 고정된 상태에서 길이반대방향 양측의 미늘(130)이 서로 대향되게 상부와 하부로 길이방향을 따라 교대로 구부러져 미늘(130)이 상부와 하부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가공부(120)의 길이반대방향 양측으로 서로 대향된 미늘(130)이 상부와 하부로 경사지게 교대로 돌출된다.
도 5에서 미설명 부호 226은 펀칭시 상부금형(210)을 하부금형(220)에 맞추기 위한 가이드홀이다.
상술한 구성의 봉합사(100)로 시술부위를 봉합하는 경우 길이반대방향 양측에 상부와 하부로 교대로 경사지게 형성된 미늘(130)이 시술부위의 조직에 봉합사(100)를 미끄러지지 않게 지지함으로써 봉합사(100)가 시술부위에 견고하게 유지 고정될 수 있다.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의 평면도,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100)는 로(raw)부(110)와 가공부(120)로 이루어지고, 가공부(120)에는 상부와 하부로 경사진 미늘(130)이 형성된다.
상기 로부(110)는 봉합사의 가공되지 않은 부분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원료 봉합사의 형상 예를 들어 원통형을 그대로 유지한다.
이때 원료 봉합사의 길이는 예를 들어 180mm이고 지름은 0.54Φ이다.
상기 가공부(120)는 로부(110) 사이의 가공된 부분으로 원료 봉합사의 형상이 변형된다.
그 변형은 먼저 원통형의 원료 봉합사(100)를 도 5에 나타낸 상부금형(210)과 하부금형(220)으로 이루어진 펀칭금형(200)의 상하 압착부(212,222) 사이에 투입하여 상부금형(210)의 펀칭에 의해 원통형 원료 봉합사를 압착(forging)해서, 가공부(120)의 형상을 원통형에서 예를 들어 단면의 폭 길이가 높이의 길이보다 소정의 비율만큼 긴 납작한 사각형으로 변형한다.
다음 납작한 사각형 가공부(120)가 구비된 원료 봉합사(100)를 상하 절단 및 절곡부(214,224) 사이로 이동시킨 후 상부금형의 펀칭에 의해 길이반대방향 양측을 소정의 형상으로 절단(cutting) 및 절곡(bending)한다.
상기 절단에 의해 끝부분이 중심을 향하는 미늘(130)이 형성되되, 미늘(130)의 일부가 절단되지 않아 가공부에 연결된다.
즉 상기 미늘(130)은 직삼각형으로서, 빗변은 절단되어 가공부(120)에서 분리되고 밑변은 가공부(120)에 연결된다.
그리고 절곡에 의해 가공부(120)에 연결된 미늘(130)의 밑변 부분은 그대로 고정된 상태에서 길이반대방향 양측의 미늘(130) 중 일측의 미늘은 상부로, 타측의 미늘은 하부로 구부러져 일측의 미늘은 상부로, 타측의 미늘은 하부로 경사지게 반복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가공부(120)의 길이반대방향 양측의 미늘(130)이 서로 반대인 상부와 하부로 경사지게 반복 형성된다.
상술한 구성의 봉합사(100)로 시술부위를 봉합하는 경우 길이반대방향 양측에 서로 반대인 상부와 하부로 경사지게 반복 형성된 미늘(130)이 시술부위의 조직에 봉합사(100)를 미끄러지지 않게 지지함으로써 봉합사(100)가 시술부위에 견고하게 유지 고정될 수 있다.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의 평면도,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100)는 로(raw)부(110)와 가공부(120)로 이루어지고, 가공부(120)에는 상부와 하부로 경사진 미늘(130)이 형성된다.
상기 로부(110)는 봉합사의 가공되지 않은 부분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원료 봉합사의 형상 예를 들어 원통형을 그대로 유지한다.
이때 원료 봉합사의 길이는 예를 들어 180mm이고 지름은 0.54Φ이다.
상기 가공부(120)는 로부(110) 사이의 가공된 부분으로 원료 봉합사의 형상이 변형된다.
그 변형은 먼저 원통형의 원료 봉합사(100)를 도 5에 나타낸 상부금형(210)과 하부금형(220)으로 이루어진 펀칭금형(200)의 상하 압착부(212,222) 사이에 투입하여 상부금형(210)의 펀칭에 의해 원통형 원료 봉합사를 압착(forging)해서, 가공부(120)의 형상을 원통형에서 예를 들어 단면의 폭 길이가 높이의 길이보다 소정의 비율만큼 긴 납작한 사각형으로 변형한다.
다음 납작한 사각형 가공부(120)가 구비된 원료 봉합사(100)를 상하 절단 및 절곡부(214,224) 사이로 이동시킨 후 상부금형의 펀칭에 의해 가공부(120)의 중간 부위를 소정의 형상으로 절단(cutting) 및 절곡(bending)한다.
상기 절단에 의해 가공부(120)의 중간부위에 직사각형이면서 라운드진 끝부분이 중심을 향하는 미늘(130)이 형성되되, 미늘(130)의 일부가 절단되지 않아 가공부에 연결된다.
즉 상기 미늘(130)은 직사각형으로서, 3면은 절단되어 가공부(120)에서 분리되고 나머지 1면인 밑면은 가공부(120)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절곡에 의해 가공부(120)에 연결된 미늘(130)의 밑면 부분은 그대로 고정된 상태에서 절단된 미늘(130)이 상부와 하부로 길이방향을 따라 교대로 구부러져 미늘(130)이 상부와 하부로 경사지게 교대로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가공부(120)의 중간에 미늘(130)이 상부와 하부로 경사지게 교대로 돌출된다.
상술한 구성의 봉합사(100)로 시술부위를 봉합하는 경우 가공부(120)의 중간에 상부와 하부로 교대로 경사지게 형성된 미늘(130)이 시술부위의 조직에 봉합사(100)를 미끄러지지 않게 지지함으로써 봉합사(100)가 시술부위에 견고하게 유지 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봉합사 110: 로(raw)부
120: 가공부 130: 미늘

Claims (7)

  1. 가공되지 않은 로(raw)부 사이에 가공에 의해 로부의 형상과 다르게 변형된 가공부가 로부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가공부의 일부가 절단되어 다수의 미늘이 형성되며, 그 미늘이 상부나 하부로 절곡되어 미늘이 상부나 하부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부는 원통형이고, 가공부는 단면의 폭 길이가 높이의 길이보다 긴 납작한 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늘은 가공부의 길이반대방향 양측에 서로 대향되게 상부와 하부로 길이방향을 따라 교대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늘은 가공부의 길이반대방향 양측에 서로 반대인 상부와 하부로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늘은 직삼각형으로 끝부분이 중심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늘은 가공부의 중간에 상부와 하부로 길이방향을 따라 교대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늘은 직사각형으로 라운드진 끝부분이 중심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KR1020170145172A 2017-11-02 2017-11-02 봉합사 제조방법 KR102090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172A KR102090211B1 (ko) 2017-11-02 2017-11-02 봉합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172A KR102090211B1 (ko) 2017-11-02 2017-11-02 봉합사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055A true KR20190050055A (ko) 2019-05-10
KR102090211B1 KR102090211B1 (ko) 2020-03-17

Family

ID=66580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5172A KR102090211B1 (ko) 2017-11-02 2017-11-02 봉합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021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1628B1 (ko) * 2021-11-09 2022-06-22 오해석 코 성형용 리프팅 실
KR102491158B1 (ko) * 2022-12-06 2023-01-20 (주)시지바이오 지그재그 형태로 굴곡진 의료용 리프팅 실
KR20230024738A (ko) * 2021-08-12 2023-02-21 (주)메디타임 봉합사 및 봉합사 제조장치와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17634A2 (en) * 2011-04-29 2012-10-31 Tyco Healthcare Group LP Apparatus and method of forming barbs on a suture
KR101440224B1 (ko) * 2013-03-27 2014-09-15 이준집 매선용 로프
KR101473695B1 (ko) * 2014-04-03 2014-12-19 은문기 봉합사를 갖는 리프팅 장치
KR20140147683A (ko) * 2013-06-20 2014-12-30 주식회사태평양제약 피부 리프팅 또는 조직의 볼륨 팽창용 봉합사
KR101642962B1 (ko) 2015-11-05 2016-07-26 (주)제이월드 봉합사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17634A2 (en) * 2011-04-29 2012-10-31 Tyco Healthcare Group LP Apparatus and method of forming barbs on a suture
KR101440224B1 (ko) * 2013-03-27 2014-09-15 이준집 매선용 로프
KR20140147683A (ko) * 2013-06-20 2014-12-30 주식회사태평양제약 피부 리프팅 또는 조직의 볼륨 팽창용 봉합사
KR101473695B1 (ko) * 2014-04-03 2014-12-19 은문기 봉합사를 갖는 리프팅 장치
KR101642962B1 (ko) 2015-11-05 2016-07-26 (주)제이월드 봉합사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4738A (ko) * 2021-08-12 2023-02-21 (주)메디타임 봉합사 및 봉합사 제조장치와 방법
KR102411628B1 (ko) * 2021-11-09 2022-06-22 오해석 코 성형용 리프팅 실
KR102491158B1 (ko) * 2022-12-06 2023-01-20 (주)시지바이오 지그재그 형태로 굴곡진 의료용 리프팅 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0211B1 (ko) 2020-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203009B2 (en) Sutur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9924937B2 (en) Knotless suture, and kit containing same
AU769895B2 (en) Surgical methods using one-way suture
JP2019010517A (ja) 創傷縫合、組織近置、組織支持、組織懸下、および/または組織固定用の縫合糸
KR20190050055A (ko) 봉합사
US11383007B2 (en) Perforated tissue matrix
US20030149447A1 (en) Barbed surgical suture
EP2929849A1 (en) Apparatus for inserting surgical thread, and surgical procedure kit for inserting surgical thread comprising same
US20100256675A1 (en) Absorbable surgical staple
JPH05130997A (ja) 修正「b」形状構成を有する外科用ステープル
KR20160107580A (ko) 봉합사를 이용한 키트 및 봉합 방법
KR102307404B1 (ko) 수술용 및 안면 거상술용 봉합사
KR101965730B1 (ko) 봉합사 제조방법 및 그 봉합사
KR101796480B1 (ko) 흡수성 봉합사 제조 장치
KR101709041B1 (ko) 봉합사 이격장치를 포함하는 쌍꺼풀 성형 시스템
US20210361285A1 (en) Bidirectional barbed suture having needle and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KR101936719B1 (ko) 수술용 봉합사 성형 금형
KR20190051144A (ko) 봉합침 제조방법 및 그 봉합침
KR101888929B1 (ko) 시술용 조각 바늘
KR20140076063A (ko) 피부손상방지용 봉합사
KR101738442B1 (ko) 흡수성 봉합사의 제조 방법
KR102601147B1 (ko) 봉합사 제조장치
KR102314301B1 (ko) 수술용 실 구조체
KR101893659B1 (ko) 흉골 손상 방지 기구
WO2023147035A1 (en) Tissue repair medical devices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