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0045A - 셔터를 구비한 먼지 감지 센서 - Google Patents

셔터를 구비한 먼지 감지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0045A
KR20190050045A KR1020170145146A KR20170145146A KR20190050045A KR 20190050045 A KR20190050045 A KR 20190050045A KR 1020170145146 A KR1020170145146 A KR 1020170145146A KR 20170145146 A KR20170145146 A KR 20170145146A KR 20190050045 A KR20190050045 A KR 20190050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dust
air
sens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5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돈원
이상업
오동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프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프에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프에스티
Priority to KR1020170145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0045A/ko
Publication of KR20190050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00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0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a container or its contents
    • G01N21/9018Dirt detection in contain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15/0205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by optical means, e.g. by light scattering, diffraction, holography or imag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01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 G01N21/15Preventing contamination of the components of the optical system or obstruction of the light pa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0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a container or its contents
    • G01N21/9072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a container or its contents with illumination or detection from inside the contain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4Investigating contamination, e.g. dust

Abstract

본 발명은 먼지를 감지하는 먼지 감지 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셔터를 구비하여, 감지부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먼지 감지 센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기 유입구, 공기 배출구 및 상기 공기 유입구와 상기 공기 배출구 사이에 공기가 유동하는 유동 경로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공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공기 배출구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팬과, 상기 유동 경로에 흐르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감지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먼지 감지 센서에 있어서, 상기 유동 경로에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셔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를 구비한 먼지 감지 센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먼지 감지 센서는 센서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셔터를 통해서 감지부로의 공기 유입이 제한되므로, 장시간 먼지 감지 센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먼지에 의해서 감지부가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셔터를 구비한 먼지 감지 센서{Dust sensor with a shutter}
본 발명은 먼지를 감지하는 먼지 감지 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셔터를 구비하여, 감지부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먼지 감지 센서에 관한 것이다.
먼지 감지 센서는 공기 중의 먼지의 농도와 크기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먼지 감지 센서는 공기청정기, 로봇청소기, 차량, 공조시스템 등에 설치되며, 공기청정기 등은 먼지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공기 중의 먼지의 농도와 크기에 따라서 제어된다.
먼지 감지 센서는 빛의 산란을 이용하는 방식, 가스 감지 방식, 마찰 전기에 의한 방식 등이 있다. 빛의 산란을 이용하는 방식의 먼지 감지 센서는 공기 유입구, 공기 배출구 및 공기 유입구와 공기 배출구 사이에 공기가 유동하는 유동 경로가 형성된 하우징과, 하우징에 설치된 감지부를 포함한다. 감지부는 레이저 등의 광원과 광원에서 조사된 빛이 먼지에 의해서 산란된 빛을 감지하는 수광소자를 포함한다. 광원과 수광소자는 공기가 흐르는 유동 경로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 측에 마주보고 설치되거나 각도를 이루며 설치된다.
종래의 먼지 감지 센서는 감지부가 먼지에 의해서 자연적으로 오염되며, 일단 오염되면 먼지 측정의 정확도가 떨어진다. 따라서 먼지 감지 센서의 내부를 자주 청소하는 것이(예를 들어, 세 달에 한번) 요구된다. 그러나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센서를 분해하여 내부를 주기적으로 청소해야 하는 것은 매우 불편하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 한국등록특허 제10-1103910호에는 로봇청소기용 먼지 감지 센서로서, 먼지 흡입 유로에 센서 먼지 부착 방지구조를 구비한 먼지 감지 센서가 개시되어 있다. 본 특허에서 센서 먼지 부착 방지구조는 광원과 수광소자를 막아서 먼지가 광원과 수광소자에 직접 닿지 않게 하는 투명한 재질의 흡입 가이드부를 구비한다. 그런데 본 발명은 흡입 가이드부에 먼지가 부착될 경우에 감지 센서의 정확도가 낮아진다는 점에서 근본적인 해결 방법이라고 볼 수 없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97391호에는 센서 하우징의 공기 유입구와 공기 배출구 사이에 공기 유입구에 직접 연결되어 큰 먼지가 지나는 제1 분기 유로와 제1 분기 유로 측방에서 분기되어 작은 먼지가 지나는 제2 분기 유로 및 제2 분기 유로 측방에서 분기되어 미세 먼지가 지나는 제3 분기 유로를 분기 형성하는 캐스케이드 임팩터(Cascade impactor) 방식에 의해 미세 먼지를 분리 유도하여 감지부에 의해 센싱하는 먼지 감지 센서가 개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97391호의 발명은 감지부 오염의 주된 원인이 되는 큰 먼지가 감지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감지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하지만, 큰 먼지도 측정 대상이라는 점과 작은 먼지에 의해서도 감지부가 오염될 수 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또한, 먼지 감지 센서의 사용 환경에 따라서 센서 내부 청소 주기도 달라질 수 있지만, 종래의 먼지 감지 센서들은 청소가 필요한 정확한 시점을 파악하기도 어렵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03910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97391호 미국등록특허 제5,879,626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장기적인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는 먼지 감지 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공기 유입구, 공기 배출구 및 상기 공기 유입구와 상기 공기 배출구 사이에 공기가 유동하는 유동 경로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공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공기 배출구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팬과, 상기 유동 경로에 흐르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감지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먼지 감지 센서에 있어서, 상기 유동 경로에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셔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를 구비한 먼지 감지 센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센서가 구동하지 않는 시간에 셔터를 통해서 감지부로의 공기 유입이 제한할 수 있으므로, 감지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셔터와 상기 팬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먼지 감지 센서의 구동시에 상기 셔터가 개방되고, 비 구동시에는 상기 셔터가 차단되도록 상기 셔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를 구비한 먼지 감지 센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기는 고속가동 모드인 먼지 제거 모드 또는 저속가동 모드인 측정 모드로 가동되도록 상기 팬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를 구비한 먼지 감지 센서를 제공한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먼지 감지 센서는 팬의 고속회전을 통해서 감지부에 쌓인 먼지를 제거할 수 있어서, 장기적인 측정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셔터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감지부로부터 획득한 전기 신호와 상기 셔터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감지부로부터 획득한 전기 신호를 비교하여 먼지 농도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를 구비한 먼지 감지 센서를 제공한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먼지 감지 센서는 먼지 감지 센서의 오염 정도에 따라서 먼지 농도 값을 보정할 수 있으며, 좀 더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초기 기준 값이 저장된 메모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셔터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감지부로부터 획득한 전기 신호와 메모리에 저장된 초기 기준 값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이면, 청소시점에 도달했음을 알리는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를 구비한 먼지 감지 센서를 제공한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먼지 감지 센서는 청소가 필요한 시점을 사용자에게 정확하게 알려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먼지 감지 센서는, 센서가 작동하지 않을 때, 셔터를 닫아서 감지부로의 공기 유입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장시간 먼지 감지 센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먼지에 의해서 감지부가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장기적인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먼지 감지 센서 내부를 청소하는 주기를 늘릴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의 경우에는 팬의 고속회전을 통해서 감지부에 쌓인 먼지를 제거할 수 있으며, 이러한 추가적 기능을 통해 장기적인 측정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는 먼지 감지 센서의 오염 정도를 고려하여 먼지 농도 값을 보정할 수 있어서, 측정 정확성이 향상된다.
또한, 일부 실시예의 경우에는 셔터가 닫힌 상태에서 먼지 농도를 측정하여, 청소가 필요한 시점을 정확하게 알려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셔터를 구비한 먼지 감지 센서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셔터를 구비한 먼지 감지 센서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셔터를 구비한 먼지 감지 센서의 작동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셔터를 구비한 먼지 감지 센서의 다른 작동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셔터를 구비한 먼지 감지 센서의 단면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의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셔터를 구비한 먼지 감지 센서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셔터를 구비한 먼지 감지 센서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1과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셔터를 구비한 먼지 감지 센서는 하우징(10), 팬(20), 광원(30)과 광센서(35)를 구비한 감지부, 셔터(40) 및 제어기(5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외관을 구성하는 외벽(11)과, 외벽(11)에 형성된 공기 유입구(13)와 공기 배출구(14)를 포함한다. 공기 유입구(13)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이며, 공기 배출구(14)는 측정이 완료된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이다.
또한, 하우징(10)은 공기 유입구(13)와 공기 배출구(14) 사이에 유동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내벽(12)을 포함한다. 유동 경로는 내벽(12)과 외벽(11) 사이에 형성되며, 대체로 U자 형태이다. 또한,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유동 경로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는 광원 설치부(15)와 광센서 설치부(16)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팬(20)은 하우징(10)의 공기 배출구(14) 측에 설치된다. 팬(20)은 하우징(10)의 유동 경로를 따라서 공기가 흐르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공기 배출구(14) 측에 형성된 팬(20)이 회전하면, 유동 경로의 압력이 낮아지면서, 공기 유입구(13)에서 공기가 유입된다.
감지부는 광원(30)과 광센서(35)를 포함한다. 광원(30)으로는 레이저, 발광다이오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를 광원(30)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광원(30)에서 조사된 빛의 경로에 설치된 렌즈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광원(30)은 광원 설치부(15)에 설치된다.
광센서(35)로는 광다이오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광센서(3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동 경로를 사이에 두고 광원 설치부(15)의 반대 측에 위치하는 광센서 설치부(16)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원(30)과 광센서(35)가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있으나, 서로 비스듬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광원(30)에서 조사된 빛은 유동 경로를 지나는 먼지에 의해서 산란된 후에 광센서(35)에 전달된다. 광센서(35)는 먼지의 크기 및 농도에 따른 전기신호를 발생시킨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셔터(40)는 하우징(10)의 공기 유입구(13) 측에 설치된다. 셔터(40)는 먼지의 농도를 측정하지 않을 경우에 하우징(1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설치된다. 셔터(40)가 닫히면, 공기 유입구(13)가 밀폐된다.
제어기(50)는 광원(30)과 함께 광원 설치부(15)에 설치될 수 있다. 제어기(50)는 광원(30)을 제어하고, 광센서(35)의 전기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50)는 팬(20)의 작동 모드를 제어하고, 셔터(40)의 작동을 제어한다. 팬(20)의 작동 모드는 먼지의 크기 및 농도 측정을 위한 측정 모드와 감지부에 쌓이는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팬(20)을 측정 모드에 비해서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먼지 제거 모드를 포함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셔터를 구비한 먼지 감지 센서의 작동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고하여, 상술한 구성의 셔터를 구비한 먼지 감지 센서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제어기(50)는 닫혀있던 셔터(40)를 개방한다. 동시에 팬(20)을 수 초 정도 먼지 제거 모드로 작동시킨다. 먼지 제거 모드에서는 팬(20)이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하우징(10) 내부의 감지부의 광원(30) 및 광센서(35) 등에 쌓인 먼지를 날려버려서 공기 배출구(14)를 통해서 제거한다.
다음, 제어기(50)는 팬(20)을 측정 모드로 작동시킨다. 측정 모드에서는 하우징(10)의 내부로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유동 경로를 따라서 유입된다.
다음, 제어기(50)는 광원(30)을 작동시킨다. 광원(30)에서 조사된 빛은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먼지에 의해서 산란된 후 광센서(35)에 전달된다. 광센서(35)는 전달된 빛에 따른 전기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기(50)는 광센서(35)로부터의 전기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한다.
측정이 완료되면, 제어기(50)는 광원(3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팬(20)을 다시 먼지 제거 모드로 작동시킨다. 먼지 제거 모드에서는 팬(20)이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광원(30) 및 광센서(35) 등에 쌓인 먼지를 날려버린다.
마지막으로, 제어기(50)는 팬(20)을 정지시키고, 셔터(40)를 닫는다. 셔터(40)가 닫히고, 팬(20)이 정지하면, 감지부의 상류 측은 셔터(40)에 의해서 밀폐되고, 하류 측은 팬(20)의 날개에 의해서 일부 밀폐되므로, 감지부로의 공기의 흐름이 최소화되어, 감지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셔터(40)를 구비한 먼지 감지 센서의 전원이 차단되거나, 대기 상태일 때에는 셔터(40)가 닫힌 상태로 계속 유지된다. 따라서 공기청정기, 로봇청소기 등 셔터(40)를 구비한 먼지 감지 센서가 장착된 기기를 장기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도 셔터(40)를 구비한 먼지 감지 센서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셔터를 구비한 먼지 감지 센서의 다른 작동 순서도이다.
먼저, 셔터(40)가 닫힌 상태에서 팬(20)을 측정 모드로 작동시킨다.
다음, 광원(30)을 작동시킨다. 광원(30)에서 조사된 빛은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먼지에 의해서 산란된 후 광센서(35)에 전달된다. 광센서(35)는 전달된 빛에 따른 전기신호를 발생시킨다.
다음, 제어기(50)는 광센서(35)의 전기신호, 예를 들어, 전압 값을 수신하여 광센서(35)의 기준 전압 값과 비교한다. 기준 전압 값은 먼지가 없는 이상적인 조건에서 광원(30)에 의해서 조사된 빛에 의한 광센서(35)의 전압 값이다. 제어기(50)는 측정된 전압 값을 새로운 기준 전압 값으로 제어기의 메모리에 저장한다.
만약, 측정된 전압 값과 기준 전압 값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일 경우에는 먼지 감지 센서가 오염된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기(50)에 연결된 알람이나 표시부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청소 시점에 도달하였음을 알릴 수 있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바로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다음, 닫혀있던 셔터(40)를 개방한다.
다음, 광원(30)에서 조사된 빛은 셔터(40)를 통해서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먼지에 의해서 산란된 후 광센서(35)에 전달된다. 광센서(35)는 전달된 빛에 따른 전기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기(50)는 광센서(35)로부터의 전기신호를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새로운 기준 전압 값을 이용하여 보정하여 먼지 농도를 연산한다.
측정이 완료되면, 제어기(50)는 광원(3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팬(20)을 먼지 제거 모드로 작동시킨다.
마지막으로, 제어기(50)는 팬(20)을 정지시키고, 셔터(40)를 닫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셔터를 구비한 먼지 감지 센서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하우징(10)에 한 쌍의 셔터(40, 45)가 설치된다. 하나의 셔터(40)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공기 유입구(13) 측에 설치되며, 다른 하나의 셔터(45)는 공기 배출구(14) 측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는 좀 더 확실하게 감지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팬(20)은 공기 배출구(14) 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공기 유입구(13)로부터 공기 배출구(14)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면, 하우징(10)의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0)의 공기 유입구(13) 측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하우징(10) 내부의 유동 경로 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팬(20)이 하우징(10)의 공기 유입구(13) 측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셔터(40)는 하우징(10)의 공기 배출구(14) 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셔터(40)는 공기 유입구(13) 측(도 2 참조) 또는 공기 유입구(13) 측과 공기 배출구(14) 측 각각에 하나씩 설치(도 4 참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공기 유입구(13) 측 및/또는 공기 배출구(14) 측에 설치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감지부의 전단 및 후단 중 하나 또는 양쪽 모두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측정 전·후에 각각 먼지 제거 모드로 팬(20)을 가동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측정 전 또는 후에만 먼지 제거 모드로 팬(20)을 가동할 수도 있으며, 장기간 측정하는 경우에는 측정을 잠시 멈추고, 먼지 제거 모드로 팬(20)을 가동한 후에 다시 측정 모드로 가동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작동 순서에서는 셔터가 닫힌 상태에서 측정 모드로 팬을 작동하는 상태에서 새로운 기준 전압 값을 측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새로운 기준 전압 값은 팬이 정지된 상태에서 측정할 수도 있다.
10: 하우징
13: 공기 유입구
14: 공기 유출구
20: 팬
30: 광원
35: 광센서
40, 45: 셔터
50: 제어기

Claims (7)

  1. 공기 유입구, 공기 배출구 및 상기 공기 유입구와 상기 공기 배출구 사이에 공기가 유동하는 유동 경로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공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공기 배출구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팬과, 상기 유동 경로에 흐르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감지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먼지 감지 센서에 있어서,
    상기 유동 경로에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셔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를 구비한 먼지 감지 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상기 공기 유입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를 구비한 먼지 감지 센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상기 공기 유입구 및 공기 배출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를 구비한 먼지 감지 센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와 상기 팬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먼지 감지 센서의 구동시에 상기 셔터가 개방되고, 비 구동시에는 상기 셔터가 차단되도록 상기 셔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를 구비한 먼지 감지 센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고속가동 모드인 먼지 제거 모드 또는 저속가동 모드인 측정 모드로 가동되도록 상기 팬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를 구비한 먼지 감지 센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감지부로부터 획득한 전기 신호와 상기 셔터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감지부로부터 획득한 전기 신호를 비교하여 먼지 농도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를 구비한 먼지 감지 센서.
  7. 제1항에 있어서,
    초기 기준 값이 저장된 메모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셔터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감지부로부터 획득한 전기 신호와 메모리에 저장된 초기 기준 값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이면, 청소시점에 도달했음을 알리는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를 구비한 먼지 감지 센서.
KR1020170145146A 2017-11-02 2017-11-02 셔터를 구비한 먼지 감지 센서 KR201900500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146A KR20190050045A (ko) 2017-11-02 2017-11-02 셔터를 구비한 먼지 감지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146A KR20190050045A (ko) 2017-11-02 2017-11-02 셔터를 구비한 먼지 감지 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045A true KR20190050045A (ko) 2019-05-10

Family

ID=66580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5146A KR20190050045A (ko) 2017-11-02 2017-11-02 셔터를 구비한 먼지 감지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004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40781A (zh) * 2021-07-02 2021-09-03 深圳市华西米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仓储用半导体环境参数监控装置
KR20210153975A (ko) * 2020-06-11 2021-12-20 주식회사 원진일렉트로닉스 먼지로 인한 센서의 오염을 방지하는 먼지 측정 장치
KR20220051660A (ko) * 2020-10-19 2022-04-26 (주)비트버스 환경정보 수집시스템과 이것을 이용한 환경정보의 자동보정 알고리즘
KR20220051659A (ko) * 2020-10-19 2022-04-26 (주)비트버스 환경정보 수집시스템
CN113340781B (zh) * 2021-07-02 2024-04-26 深圳市华西米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仓储用半导体环境参数监控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9626A (en) 1997-07-30 1999-03-09 Allen-Bradley Company, Llc Photoelectric sensor having dust removal apparatus
KR101103910B1 (ko) 2009-07-24 2012-01-12 주식회사 모뉴엘 로봇청소기용 먼지감지센서 구조
KR20170097391A (ko) 2016-02-18 2017-08-28 암페놀센싱코리아 유한회사 미세 먼지 감지용 센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9626A (en) 1997-07-30 1999-03-09 Allen-Bradley Company, Llc Photoelectric sensor having dust removal apparatus
KR101103910B1 (ko) 2009-07-24 2012-01-12 주식회사 모뉴엘 로봇청소기용 먼지감지센서 구조
KR20170097391A (ko) 2016-02-18 2017-08-28 암페놀센싱코리아 유한회사 미세 먼지 감지용 센서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3975A (ko) * 2020-06-11 2021-12-20 주식회사 원진일렉트로닉스 먼지로 인한 센서의 오염을 방지하는 먼지 측정 장치
KR20220051660A (ko) * 2020-10-19 2022-04-26 (주)비트버스 환경정보 수집시스템과 이것을 이용한 환경정보의 자동보정 알고리즘
KR20220051659A (ko) * 2020-10-19 2022-04-26 (주)비트버스 환경정보 수집시스템
CN113340781A (zh) * 2021-07-02 2021-09-03 深圳市华西米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仓储用半导体环境参数监控装置
CN113340781B (zh) * 2021-07-02 2024-04-26 深圳市华西米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仓储用半导体环境参数监控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55049B2 (ja) 流れ及び気泡検出システムを有する自動出力制御液体粒子計数器
KR20190050045A (ko) 셔터를 구비한 먼지 감지 센서
US20200011779A1 (en) Highly integrated optical particle counter (opc)
TWI570670B (zh) 煙霧感測器
KR20170097391A (ko) 미세 먼지 감지용 센서장치
KR102598425B1 (ko) 미세먼지 감지 센서 어셈블리
JP6711802B2 (ja) 安全キャビネットおよびその排気ダクト接続の検査方法
KR20180082076A (ko) 유속 제어 기능을 갖는 먼지센서
WO2018076405A1 (zh) 粉尘检测装置
KR20190007993A (ko) 자동청소기능 미세먼지센서
US20060192968A1 (en) Optical assembly
JP4791308B2 (ja) 煙感知装置
JP7008252B2 (ja) 粒子検出センサ
JP2020051718A (ja) 加湿装置
JP4928208B2 (ja) 煙感知装置
JP4981404B2 (ja) 粒子カウンタ式煙感知装置
CN106442249B (zh) 粉尘检测装置
KR20180067188A (ko) 먼지 센서
CN106290098B (zh) 粉尘检测装置
JP5069889B2 (ja) 煙感知装置
JP5280216B2 (ja) 全排気型安全キャビネット
JP2006138833A (ja) 微粒子測定装置
JP3099686B2 (ja) 空気清浄装置
KR100745456B1 (ko) 에어필터용 적외선센서 장착구조
JPS5920662Y2 (ja) 水質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