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8558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8558A
KR20190048558A KR1020170143623A KR20170143623A KR20190048558A KR 20190048558 A KR20190048558 A KR 20190048558A KR 1020170143623 A KR1020170143623 A KR 1020170143623A KR 20170143623 A KR20170143623 A KR 20170143623A KR 20190048558 A KR20190048558 A KR 201900485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aging
stand
stand member
display uni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3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3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8558A/ko
Priority to PCT/KR2018/010223 priority patent/WO2019088436A1/ko
Priority to US16/760,561 priority patent/US11330225B2/en
Publication of KR20190048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85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with approximately constant height, e.g. with constant length of column or of le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8Foot or support base

Abstract

조립 안정성과 치수 안정성이 향상된 스탠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지지하는 스탠드를 포함하며, 상기 스탠드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제1스탠드 부재와,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스탠드 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스탠드를 형성하는 제2스탠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제1스탠드 부재와 상기 제2스탠드 부재가 사선 방향으로 결합하도록, 하향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유닛이 수평면에 서 있는 상태로 사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스탠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이 디스플레이 되는 장치로, 모니터나 텔레비전 등이 이에 포함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유닛과, 디스플레이 유닛이 수평면 상에 서 있는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스탠드를 포함한다.
스탠드는 디스플레이 유닛이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좌우 방향뿐만 아니라 전후 방향으로 충분히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스탠드의 좌우 폭은 디스플레이 유닛의 좌우 폭에 비해 작게 형성되는 반면, 스탠드의 전후 폭은 디스플레이 유닛의 전후 방향 폭에 비해 불가피하게 매우 크게 형성되어야만 하므로,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장하기 위한 포장 박스의 전후 방향 폭은 스탠드의 전후 방향 폭에 대응하도록 매우 크게 형성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포장 박스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스탠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보다 용이하게 스탠드와 디스플레이 유닛을 결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치수 안정성이 크고, 유격이 작아 조립성이 향상된 스탠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생산성이 향상된 스탠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지지하는 스탠드를 포함하며, 상기 스탠드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제1스탠드 부재와,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스탠드 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스탠드를 형성하는 제2스탠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제1스탠드 부재와 상기 제2스탠드 부재가 사선 방향으로 결합하도록, 하향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탠드 부재는 상기 결합돌기가 돌출되는 제1결합면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기의 최저점은,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제1결합면의 접점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스탠드 부재는 상기 결합홈이 함몰되는 제2결합면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홈의 최저점은, 상기 결합홈과 상기 제2결합면의 접점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탠드 부재와 상기 제2스탠드 부재가 결합하면, 상기 제1결합면과 상기 제2결합면은 면(面)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스탠드와 결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기 스탠드를 연결하는 결합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플레이트는, 상기 제1스탠드 부재 및 상기 제2스탠드 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제1스탠드 부재와 상기 제2스탠드 부재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스탠드 부재는, 수평면에 지지되는 제1레그부와, 상기 제1레그부와 결합하고 상기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1레그부와 상기 제1결합부를 수용하는 제1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스탠드 부재는, 수평면에 지지되는 제2레그부와, 상기 제2레그부와 결합하고 상기 결합홈을 포함하는 제2결합부와, 상기 제2레그부와 상기 제2결합부를 수용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는 금속을 압출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제1방향으로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상기 결합돌기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지지하는 스탠드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스탠드와 결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기 스탠드를 연결하는 결합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스탠드는,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제1스탠드 부재와,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스탠드 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스탠드를 형성하는 제2스탠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플레이트는, 상기 제1스탠드 부재 및 상기 제2스탠드 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제1스탠드 부재와 상기 제2스탠드 부재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스탠드 부재는 상기 결합돌기가 돌출되는 제1결합면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기의 최저점은,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제1결합면의 접점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스탠드 부재는 상기 결합홈이 함몰되는 제2결합면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홈의 최저점은, 상기 결합홈과 상기 제2결합면의 접점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탠드 부재와 상기 제2스탠드 부재가 결합하면, 상기 제1결합면과 상기 제2결합면은 면(面)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탠드가 제1스탠드 부재와 제2스탠드 부재로 전후로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포장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장하는 포장 박스의 크기를 대폭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치수 안정성이 크고 유격이 작아 조립 안정성이 향상된 스탠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제1스탠드 부재와 제2스탠드 부재를 손쉽게 결합할 수 있고, 결합된 스탠드는 안정적으로 자립(自立)하므로 스탠드에 디스플레이 유닛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유닛과 결합 플레이트 및 스탠드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결합 플레이트와 제1스탠드 부재 및 제2스탠드 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1스탠드 부재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2스탠드 부재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1스탠드 부재와 제2스탠드 부재의 결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유닛과 결합 플레이트 및 스탠드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결합 플레이트와 제1스탠드 부재 및 제2스탠드 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유닛(10)과, 디스플레이 유닛(10)이 수평면 상에 서 있는 상태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스탠드(20)와, 디스플레이 유닛(10) 및 스탠드(20)와 결합하여 디스플레이 유닛(10)과 스탠드(20)를 연결하는 결합 플레이트(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탠드(20)는 수평면에 지지되고, 결합 플레이트(30)와 결합할 수 있다. 스탠드(20)는 그 상면에 마련되는 제1결합홀(20a, 20b, 20c, 20d)을 포함할 수 있고, 결합 플레이트(30)는 제1결합홀(20a, 20b, 20c, 20d)과 대응되는 제2결합홀(31a, 31b, 31c, 31d)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합 플레이트(30)는 디스플레이 유닛(10)과 결합하기 위한 제3결합홀(32a, 32b, 32c, 32d)을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유닛(10)은 제3결합홀(32a, 32b, 32c, 32d)과 대응되는 제4결합홀(11a, 11b, 11c, 11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결합홀(20a, 20b, 20c, 20d)과 제2결합홀(31a, 31b, 31c, 31d)은 대응되고, 제3결합홀(32a, 32b, 32c, 32d)과 제4결합홀(11a, 11b, 11c, 11d)은 대응될 수 있다. 결합홀의 개수에 대응되게 마련되는 복수의 체결부재(S)를 통해, 스탠드(20)와 결합 플레이트(30)를 결합할 수 있고, 또한, 결합 플레이트(30)와 디스플레이 유닛(10)을 결합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20)는 결합돌기(212a)를 포함하는 제1스탠드 부재(21)와, 결합돌기(212a)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결합홈(222a)을 포함하는 제2스탠드 부재(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스탠드 부재(21)와 제2스탠드 부재(22)는 각각 그 상면에 제1결합홀(20a, 20b, 20c, 20d)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스탠드 부재(21)와 제2스탠드 부재(22)는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결합돌기(212a)를 결합홈(222a)에 삽입함으로써 결합할 수 있다. 제1스탠드 부재(21)와 제2스탠드 부재(22)는 결합하여 스탠드(20)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탠드(20)가 전후 방향으로 서로 결합되는 제1스탠드 부재(21)와 제2스탠드 부재(22)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장하는 포장 박스의 전후 방향 폭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보다 효율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운송 및 보관할 수 있다.
제1스탠드 부재(21)를 제2스탠드 부재(22)에 사선 방향으로 삽입하여 스탠드(20)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스탠드 부재(21)와 제2스탠드 부재(22)의 결합 방향은 사선 방향일 수 있다. 이를 위해, 결합돌기(212a)는 하향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으며, 결합홈(222a) 또한 결합돌기(212a)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스탠드 부재(21)와 제2스탠드 부재(22)의 결합 방향이 사선 방향이므로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도 스탠드(20)는 자립(自立)할 수 있으며, 중력 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분리되지 않는다. 이는, 스탠드(20)를 제1스탠드 부재(21)와 제2스탠드 부재(22)로 분리하기 위해서는 결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힘을 가해야 하는데, 이 때 중력 방향과 반대 방향의 힘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즉, 중력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 제1스탠드 부재(21)와 제2스탠드 부재(22)는 결합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을 뿐, 서로 분리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제1스탠드 부재(21)와 제2스탠드 부재(22)의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1스탠드 부재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2스탠드 부재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제1스탠드 부재와 제2스탠드 부재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제1스탠드 부재(21)는 제1레그부(211)와, 제1레그부(211)와 결합하고 결합돌기(212a)를 포함하는 제1결합부(212)와, 제1레그부(211)와 제1결합부(212)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1상부 하우징(214) 및 제1하부 하우징(2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레그부(211)는 수평면에 지지되고, 전방 또는 후방 양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며, 대략 V자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제1레그부(211)는 제1결합부(212)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홀(211a, 21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부(211)는 제2스탠드 부재(22)와 마주보는 제1결합면(212b)을 포함할 수 있고, 제1결합면(212b)으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돌출되는 결합돌기(21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부(212)는 제1레그홈(212g)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부(212)의 상면에는 제1레그부(212)의 체결홀(211a, 211b)과 대응되는 체결홀(212c, 212d)가 마련될 수 있다. 제1결합부(212)의 제1레그홈(212g)에 제1레그부(211)를 삽입한 후, 제1레그부(211)의 체결홀(211a, 211b)과 제1결합부(211)의 체결홀(212c, 212d)를 대응되도록 위치시킨 다음, 체결부재(S)를 통해 제1결합부(212)와 제1레그부(211)를 결합할 수 있다.
제1레그부(211)와 제1결합부(212)가 결합된 후, 제1상부 하우징(214)과 제1하부 하우징(213)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제1레그부(211)와 제1결합부(212)는 금속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플라스틱과 같은 사출물 대비 우수한 강도를 가질 수 있으며, 부피를 줄일 수 있다.
제1결합부(212)는 금속을 압출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부(212)는, 금속을 압출하여 양 측방으로 길게 연장되게 형성된 후, 이를 커팅하여 마련될 수 있다. 커팅 후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살빼기부 또는 체결홀 등이 추가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압출 후 커팅을 통해 제작함으로써, 제1결합부를 각각 개별로 제작하는 것에 비해 생산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생산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제1결합부(212)가 금속을 압출하여 형성됨으로써, 압출의 특성상 높은 치수 안정성을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해 제2결합부(222)와의 결합에서 유격이 상대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즉, 조립성이 증가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1결합부가 사출 성형 등을 통해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밀도 및 강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제1결합부의 부피가 커질 수 있다.
제1하우징(213, 214)는 플라스틱과 같은 비금속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유닛(10)과 외관상 통일감을 줄 수 있고, 스탠드(20)를 지지하는 수평면이 금속 재질의 레그부(211, 221)로 인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스탠드 부재(22)는 제2레그부(221)와, 제2레그부(221)와 결합하도록 마련되는 결합홈(222a)을 포함하는 제2결합부(222)와, 제2레그부(221)와 제2결합부(222)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2상부 하우징(224) 및 제2하부 하우징(2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레그부(221)는 수평면에 지지되고, 후방 또는 전방 양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며, 대략 V자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제2레그부(221)는 제2결합부(222)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홀(221a, 22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결합부(222)는 제1스탠드 부재(21)와 마주보는 제2결합면(222b)을 포함할 수 있고, 제2결합면(222b)으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함몰되는 결합홈(222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결합부(222)는 제2레그홈(222e)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결합부(222)의 상면에는 제2레그부(221)의 체결홀(221a, 221b)과 대응되는 체결홀(222c, 222d)가 마련될 수 있다. 제2결합부(222)의 제1레그홈(222e)에 제2레그부(221)를 삽입한 후, 제2레그부(221)의 체결홀(221a, 221b)과 제2결합부(222)의 체결홀(222c, 222d)를 대응되도록 위치시킨 다음, 체결부재(S)를 통해 제2결합부(222)와 제2레그부(221)를 결합할 수 있다.
제2레그부(221)와 제2결합부(222)가 결합된 후, 제2상부 하우징(224)과 제2하부 하우징(223)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제2레그부(221)와 제2결합부(222)는 금속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플라스틱과 같은 사출물 대비 우수한 강도를 가질 수 있으며, 부피를 줄일 수 있다.
제2결합부(222)는 금속을 압출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결합부(222)는, 금속을 압출하여 양 측방으로 길게 연장되게 형성된 후, 이를 커팅하여 마련될 수 있다. 커팅 후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체결홀 등이 추가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압출 후 커팅을 통해 제작함으로써, 제2결합부를 각각 개별로 제작하는 것에 비해 생산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생산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제2결합부(222)가 금속을 압출하여 형성됨으로써, 압출의 특성상 높은 치수 안정성을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해 제1결합부(212)와의 결합에서 유격이 상대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즉, 조립성이 증가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2결합부가 사출 성형 등을 통해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밀도 및 강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제2결합부의 부피가 커질 수 있다.
제2하우징(213, 214)는 플라스틱과 같은 비금속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유닛(10)과 외관상 통일감을 줄 수 있고, 스탠드(20)를 지지하는 수평면이 금속 재질의 레그부(211, 221)로 인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1스탠드 부재와 제2스탠드 부재의 결합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하부 하우징(223)은 제2결합부(222)의 양 측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하부 하우징(223)은 제2결합부(222)의 양 측을 커버하는 측벽(223a, 223b)을 포함할 수 있다.
양 측벽(223a, 223b)은 결합돌기(212a)가 결합홈(222a)에 삽입되었을 때, 제1스탠드 부재(21)가 제2스탠드 부재(22)에 대해 양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결합부(222)의 결합홈(222a)은 양 측이 개방되어 있어, 제1결합부(212)와 결합되더라도 좌우로의 이동을 방지할 수 없다. 제2결합부(222)가 제2하부 하우징(223)에 결합되면, 제2하부 하우징(223)의 양 측벽(223a, 223b)이 결합홈(222a)의 개방된 양 측을 커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돌기(212a)가 결합홈(222a)에 삽입된 후에는 좌우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결합돌기(212a)가 결합홈(222a)에 삽입되는 방향을 제1방향이라고 할 때,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은 상기 좌우 방향을 가리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결합돌기(212a)를 사선 방향으로 결합홈(222a)에 삽입하여 제1스탠드 부재(21)와 제2스탠드 부재(22)를 결합할 수 있다. 반대로, 제2스탠드 부재(22)와 결합된 제1스탠드 부재(21)를 사선 방향으로 인출하여 제1스탠드 부재(21)와 제2스탠드 부재(22)를 분리할 수 있다. 즉, 제1스탠드 부재(21)와 제2스탠드 부재(22)는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자유롭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다만, 제1스탠드 부재(21)와 제2스탠드 부재(22)가 디스플레이 유닛(10)과 결합한 후에도 분리가 가능한 상태이면,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동하는 경우 등 특수한 상황에서 제1스탠드 부재(21)와 제2스탠드 부재(22)가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스탠드 부재(21)와 제2스탠드 부재(22)의 분리를 방지할 필요가 있다.
결합 플레이트(30)가 제1스탠드 부재(21) 및 제2스탠드 부재(22)와 결합하면, 제1스탠드 부재(21)와 제2스탠드 부재(22)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결합 플레이트(30)의 제3결합홀(32a, 32b)과 제2스탠드 부재(22)의 제1결합홀(20a, 20b)이 결합되고, 결합 플레이트(30)의 제3결합홀(32c, 32d)와 제1스탠드 부재(21)의 제1결합홀(20c, 20d)가 결합됨으로써 제1스탠드 부재(21)와 제2스탠드 부재(22)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탠드 부재(21)와 제2스탠드 부재(22)가 결합하면, 제1결합면(212b)와 제2결합면(222b)은 면(面)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결합면(212b)과 제2결합면(222b)이 면(面) 접촉하는 경우, 접촉 면적이 늘어나 응력이 분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스탠드 부재(21)와 제2스탠드 부재(22)의 결합 안정성 및 내구성이 증가할 수 있다.
결합돌기(212a)의 최저점(212l)은, 결합돌기(212a)와 제1결합면(212b)의 접점(212h)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결합홈(222a)의 최저점(222l)은, 결합홈(222a)과 제2결합면(222b)의 접점(222h)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결합돌기(212a)의 최저점(212l)과 결합돌기(212a)와 제1결합면(212b)의 접점(212h) 사이의 면과, 결합홈(222a)의 최저점(222l)과 결합홈(222a)과 제2결합면(222b)의 접점(222h) 사이의 면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0)의 하중이 스탠드(20)에 전달되면, 결합돌기(212a) 아래의 제1결합면(212b)과 결합홈(222a) 아래의 제2결합면(222b)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이러한 힘에 의해 제1결합면(212b)과 제2결합면(222b)이 서로 멀어지게 되면, 제1스탠드 부재(21)와 제2스탠드 부재(22)는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10)은 스탠드(20)에 의해 지지되지 않아 수평면에 충돌하게 되고, 디스플레이 유닛(10)이 파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결합돌기(212a)의 최저점(212l)과 결합돌기(212a)와 제1결합면(212b)의 접점(212h) 사이의 면과, 결합홈(222a)의 최저점(222l)과 결합홈(222a)과 제2결합면(222b)의 접점(222h) 사이의 면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고, 이러한 경사로 인해 제1결합면(212b)과 제2결합면(222b)이 멀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제1스탠드 부재(21)와 제2스탠드 부재(22)가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스탠드 부재에 결합홈이 마련되고, 제2스탠드 부재에 결합돌기가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디스플레이 유닛 20 : 스탠드
21 : 제1스탠드 부재 22 : 제2스탠드 부재
30 : 결합 플레이트

Claims (15)

  1.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지지하는 스탠드를 포함하며,
    상기 스탠드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제1스탠드 부재와,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스탠드 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스탠드를 형성하는 제2스탠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제1스탠드 부재와 상기 제2스탠드 부재가 사선 방향으로 결합하도록,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탠드 부재는 상기 결합돌기가 돌출되는 제1결합면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기의 최저점은,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제1결합면의 접점보다 아래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탠드 부재는 상기 결합홈이 함몰되는 제2결합면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홈의 최저점은, 상기 결합홈과 상기 제2결합면의 접점보다 아래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탠드 부재와 상기 제2스탠드 부재가 결합하면, 상기 제1결합면과 상기 제2결합면은 면(面)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스탠드와 결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기 스탠드를 연결하는 결합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플레이트는, 상기 제1스탠드 부재 및 상기 제2스탠드 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제1스탠드 부재와 상기 제2스탠드 부재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탠드 부재는,
    수평면에 지지되는 제1레그부와,
    상기 제1레그부와 결합하고 상기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1레그부와 상기 제1결합부를 수용하는 제1하우징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탠드 부재는,
    수평면에 지지되는 제2레그부와,
    상기 제2레그부와 결합하고 상기 결합홈을 포함하는 제2결합부와,
    상기 제2레그부와 상기 제2결합부를 수용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는 금속을 압출하여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제1방향으로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상기 결합돌기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지지하는 스탠드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스탠드와 결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기 스탠드를 연결하는 결합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스탠드는,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제1스탠드 부재와,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스탠드 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스탠드를 형성하는 제2스탠드 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플레이트는, 상기 제1스탠드 부재 및 상기 제2스탠드 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제1스탠드 부재와 상기 제2스탠드 부재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탠드 부재는 상기 결합돌기가 돌출되는 제1결합면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기의 최저점은,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제1결합면의 접점보다 아래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탠드 부재는 상기 결합홈이 함몰되는 제2결합면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홈의 최저점은, 상기 결합홈과 상기 제2결합면의 접점보다 아래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탠드 부재와 상기 제2스탠드 부재가 결합하면, 상기 제1결합면과 상기 제2결합면은 면(面)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70143623A 2017-10-31 2017-10-31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4855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623A KR20190048558A (ko) 2017-10-31 2017-10-31 디스플레이 장치
PCT/KR2018/010223 WO2019088436A1 (ko) 2017-10-31 2018-09-03 디스플레이 장치
US16/760,561 US11330225B2 (en) 2017-10-31 2018-09-03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623A KR20190048558A (ko) 2017-10-31 2017-10-31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558A true KR20190048558A (ko) 2019-05-09

Family

ID=66333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3623A KR20190048558A (ko) 2017-10-31 2017-10-31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30225B2 (ko)
KR (1) KR20190048558A (ko)
WO (1) WO2019088436A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93270T3 (es) * 2003-01-09 2012-12-19 Sharp Kabushiki Kaisha Dispositivo de visualización delgado y método para separar la parte de visualización
KR20090030400A (ko) * 2007-09-20 2009-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 장치
KR101952268B1 (ko) * 2012-10-15 2019-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탠드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099057A (ko) * 2013-02-01 2014-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503661B1 (ko) * 2013-05-15 2015-03-25 케이씨더블류 주식회사 차량용 와이퍼 커넥터
EP3007529A1 (en) * 2013-06-04 2016-04-13 Kabushiki Kaisha Yaskawa Denki Motor control device
KR101493878B1 (ko) * 2014-07-23 2015-02-17 박현진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
KR102199790B1 (ko) * 2016-03-11 2021-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30225B2 (en) 2022-05-10
US20200344440A1 (en) 2020-10-29
WO2019088436A1 (ko)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23307B2 (en) Retaining frame for retaining plug-in connector modules
US766778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apable of restraining deformation of a cabinet by heat
US8126186B2 (en) Display
US20080185387A1 (en) Bottle partition frame
TW200827986A (en) Computing device mounting system
US5122928A (en) Monitor housing
WO2013115150A1 (ja) 表示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信機
US6494735B1 (en) Computer input/output cable plug retaining seat
KR20190048558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030086028A1 (en) Liquid crystal display with detachable base
JP2009162811A (ja) 表示装置
US20060160387A1 (en) Plasma display device
JP6138456B2 (ja) 家具
US8545038B2 (en) Back frame of flat panel display device, backlight system, and flat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423086B2 (ja) テーブルにおける配線ダクト取付構造
US20090189493A1 (en) Television and rib structure
US20140168918A1 (en) Fastening device for circuit board
US9244489B2 (en) Display device
KR20040009338A (ko) 모니터장치
KR20030067850A (ko) 엘시디모니터의 착탈 가능한 베이스 구조
US20110037909A1 (en) Display device
JP2023130825A (ja) 両面表示装置
US20090263990A1 (en) Connector assembly having connecting device
US20230018811A1 (en) Rear shell of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JP4287192B2 (ja) 家具における側面カバーの取付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