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8150A -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하이드로-콜로이드 핫멜트 습윤성 드레싱 테이프 - Google Patents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하이드로-콜로이드 핫멜트 습윤성 드레싱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8150A
KR20190048150A KR1020170142725A KR20170142725A KR20190048150A KR 20190048150 A KR20190048150 A KR 20190048150A KR 1020170142725 A KR1020170142725 A KR 1020170142725A KR 20170142725 A KR20170142725 A KR 20170142725A KR 20190048150 A KR20190048150 A KR 201900481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colloid
hot
agent
dressing
polyurethan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2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4208B1 (ko
Inventor
박성호
성용길
이대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애니 테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애니 테이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애니 테이프
Priority to KR1020170142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4208B1/ko
Publication of KR20190048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8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4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4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0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 A61F13/021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the fluid retention member being a layer of hydrocolloid, gel forming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63Accessories for dressings comprising medicaments or additives, e.g. odor control, PH control, debriding, antimicrob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3Phenols; Phen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387Plasters use skin protection
    • A61F2013/00391Plasters use skin protection from irradiation, e.g. su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727Plasters means for wound humidity control
    • A61F2013/00748Plasters means for wound humidity control with hydrocolloids or superabsorb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하이드로-콜로이드 핫멜트 습윤성 드레싱 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재 필름과, 상기 기재 필름의 상면에 형성되고, 핫멜트 점착제와 하이드로-콜로이드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드레싱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기재 필름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Thermoplastic Polyurethane)와 자외선 차단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에 의하면, 외부에 노출되는 필름 부분에 자외선 차단제가 혼합되어 있으므로 자외선을 일차적으로 또한 직접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서 차단 효율이 높아지고 피부 상처를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하이드로-콜로이드 핫멜트 습윤성 드레싱 테이프{A HYDRO COLLOID BASED HOTMELT DRESSING TAPE PROTECTING UV LIGHT}
본 발명은 습윤성 드레싱 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에 노출되는 기재 필름이나 하이드로-콜로이드에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함으로써 자외선을 일차적으로 또한 직접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서 차단 효율이 높아지고 피부 상처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하이드로-콜로이드 핫멜트 습윤성 드레싱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사람들이 미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미용 산업의 성장에 따라 상처를 축축하게 유지해서 딱지가 생기지 않게 치료할 수 있는 습윤성 드레싱 밴드 내지 습윤성 드레싱제가 필요하게 되었다.
습윤성 드레싱 밴드는 스폰지와 같은 재질의 폼 타입의 드레싱 밴드와 고무처럼 말랑말랑한 하이드로-콜로이드 타입의 드레싱 밴드의 2 종류가 있다.
폼 타입의 습윤성 드레싱 밴드는 두께가 두꺼워 진물을 빨아들이는 흡수력이 뛰어나고 상처부위를 충격에서 보호하는 장점이 있어서 패인 상처나 진물이 많이 나는 상처에 더욱 효과가 있다.
그러나 점착력이 없어 별도의 부착포를 함께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하이드로-콜로이드 타입의 드레싱 밴드는 두께가 얇아 점착력이 뛰어나지만, 흡수력은 폼 타입보다 약해 찰과상 등 가벼운 상처에 주로 사용한다.
그리고, 이러한 하이드로-콜로이드 타입의 드레싱 밴드는 피부 상처 보호를 위해서 사용되지만 자외선으로부터 상처를 보호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지 않아서 이에 대한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편, 피부에 상처가 발생하면 상처면의 삼출액은 건조하여 가피(딱지)를 형성하고, 이러한 가피(딱지) 밑의 상처 아래 부분도 높은 투습도로 인하여 건조 괴사되며, 저층으로부터 재생된 상피세포는 습윤 환경을 찾아서 괴사한 피부의 밑을 따라 길을 만들어 가면서 진행된다.
이 경우 상처 부분이 건조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에는 습윤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보다 재생 상피세포의 이동이 부자연스럽고 비정상적으로 실행하게 되고 또한 속도도 늦어지게 된다.
또한, 거즈와 재생조직 또는 가피(딱지)와의 부착성질 때문에 거즈를 교환할 때 신생조직의 손상을 일으키게 되고, 이로써 환자에게는 고통을 유발하게 되며 상처치료가 늦어지게 되며 흉터 발생의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흉터의 최소화와 안전 치료를 위해서는 습윤 환경 드레싱용 하이드로-겔 고분자 재료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어서 더 좋은 관련 제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문헌1: 공개특허공보 10-2004-0053184(공개일: 2004.06.23.) 문헌2: 공개특허공보 10-2010-0039532(공개일: 2010.04.1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하이드로-콜로이드 핫멜트 습윤성 드레싱 테이프의 목적은,
첫째, 기재 필름에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 구성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는 커버 필름의 역할을 하는 기재 필름 층(layer)에서 자외선을 직접 일차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고, 그리하여 상처를 더욱더 확실하게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하며,
둘째, 고온의 용해된 상태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에 자외선 차단제를 투입함으로써 혼합이 더욱더 용이해질 수 있도록 하며,
셋째, 흡습제가 하이드로-콜로이드와 함께 혼합 함유되어 있으므로, 삼출물을 빠르게 동시에 다량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흡습제가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며,
넷째, 하이드로-콜로이드가 용융된 상태에서 하이드로-콜로이드와 흡습제를 투입함으로써, 하이드로-콜로이드와 흡습제의 혼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며,
다섯째, 핫멜트 점착제에 하이드로-콜로이드를 투입하는 온도와 흡습제를 투입하는 온도를 달리 설정함으로써, 하이드로-콜로이드와 흡습제가 안정적으로 혼합이 될 수 있도록 하며,
여섯째, 하이드로-콜로이드와 항균 항바이러스 물질을 혼합함으로써 습윤성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처를 더욱더 빠르게 치료할 수 있도록 하며,
일곱째, 기재 필름에 방수 기능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하이드로-콜로이드 핫멜트 습윤성 드레싱 테이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하이드로-콜로이드 핫멜트 습윤성 드레싱 테이프는, 기재 필름과, 상기 기재 필름의 상면에 형성되고, 핫멜트 점착제와 하이드로-콜로이드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드레싱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기재 필름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Thermoplastic Polyurethane)와 자외선 차단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하이드로-콜로이드 핫멜트 습윤성 드레싱 테이프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기재 필름에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 구성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는 커버 필름의 역할을 하는 기재 필름 층(layer)에서 자외선을 직접 일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그 결과 상처를 더욱더 확실하게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고온의 용해된 상태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에 자외선 차단제를 투입함으로써 혼합이 더욱더 용이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흡습제가 하이드로-콜로이드와 함께 혼합 함유되어 있으므로, 삼출물을 빠르게 동시에 다량으로 흡수할 수 있고, 또한 흡습제가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하이드로-콜로이드가 용융된 상태에서 하이드로-콜로이드와 흡습제를 투입함으로써, 하이드로-콜로이드와 흡습제의 혼합이 가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흡습제에 의해서 삼출물의 흡수가 가능하므로, 상처의 치유 시간을 단축하고 흉터가 생기지 않으므로 제거할 때에 통증이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세균 이물질을 차단하고 흉터의 원인인 딱지의 생성을 막아서 흉터가 생기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핫멜트 점착제에 하이드로-콜로이드를 투입하는 온도와 흡습제를 투입하는 온도를 달리 설정함으로써, 하이드로-콜로이드와 흡습제가 안정적으로 혼합이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하이드로-콜로이드와 항균 항바이러스 물질을 혼합함으로써 습윤성이 유지된 상태에서 안전하게 상처를 더욱더 빠르게 치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기재 필름에 방수 기능이 구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하이드로-콜로이드 핫멜트 습윤성 드레싱 테이프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하이드로-콜로이드 핫멜트 습윤성 드레싱 테이프에 있어서, 기재 필름(110)을 제조하는 공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하이드로-콜로이드 핫멜트 습윤성 드레싱 테이프에 있어서, 드레싱제(120)를 제조하는 공정도이다.
다음은 본 발명인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하이드로-콜로이드 핫멜트 습윤성 드레싱 테이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하이드로-콜로이드 핫멜트 습윤성 드레싱 테이프(100)는, 기재 필름(110)과, 상기 기재 필름(110)의 상면에 형성되고, 핫멜트 점착제와 하이드로-콜로이드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드레싱제(1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기재 필름(110)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Thermoplastic Polyurethane)와 자외선 차단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기재 필름(110)에 자외선 차단제가 함유되어 있으므로 기재 필름(110) 단위에서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고, 따라서 상처를 더욱더 확실하게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하이드로-콜로이드 핫멜트 습윤성 드레싱 테이프(100)가 피부에 부착되는 경우, 기재 필름(110)은 드레싱제(120) 및 상처 주변을 커버하는 커버 필름의 역할을 한다는 것을 고려한다면, 기재 필름(110)에 자외선 차단제가 함유되어 있으므로, 피부의 상처를 더욱더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고 또한 보호 효율이 더 크다고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하이드로-콜로이드 핫멜트 습윤성 드레싱 테이프(100)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와 자외선 차단제의 조성비는, 열사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서 자외선 차단제 0.1 ~ 1.0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조성비에 의하면, 자외선 차단 효과를 증진시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하이드로-콜로이드 핫멜트 습윤성 드레싱 테이프(100)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110)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와 자외선 차단제(예컨대, 파우더 상태)를 준비하고,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가열 교반기에 투입하여서 열을 가하면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용융하는 단계(S21)와, 용해된 상태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에 자외선 차단제를 투입하여 교반 혼합하는 단계(S22)와, 자외선 차단제가 혼합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필름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S23)를 포함하는 공정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고온의 용해된 상태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에 자외선 차단제를 투입하여 교반 및 혼합함으로써, 자외선 차단제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와의 혼합이 더욱더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수분을 막을 수 있는 방수기능과 항균, 항바이러스 기능이 있어서 안전한 이점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하이드로-콜로이드 핫멜트 습윤성 드레싱 테이프(100)에 있어서, 자외선 차단제는 알부틴, 산화아연(zinc oxide), 산화티타늄(titanium oxide)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혼합물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하이드로-콜로이드 핫멜트 습윤성 드레싱 테이프(100)에 있어서, 상기 드레싱제(120)에는 상처에서 발생되는 삼출물을 흡수하기 위한 흡습제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흡습제가 하이드로-콜로이드와 함께 혼합 함유되어 있으므로, 삼출물을 빠르게 동시에 다량으로 흡수할 수 있고, 또한 흡습제가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작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흡습제와 하이드로-콜로이드가 상호보완 작용에 의해서, 흡수 시간 및 흡수량이 향상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하이드로-콜로이드 핫멜트 습윤성 드레싱 테이프(100)에 있어서, 상기 드레싱제(120)는, 핫멜트 점착제를 가열 교반기에 투입하여 가열하여서 용융 상태로 만든 후에(S31), 제1 설정온도(150℃)에서 하이드로-콜로이드를 투입하여서 교반하며(S32), 하이드로-콜로이드가 혼합 교반된 상태에서 제2 설정온도(135 ~ 140℃)에서 흡습제를 투입하여서 혼합 교반한 후에(S33), 예컨대 코팅기구(미도시)에 의해서 상기 기재필름(110)의 일면에 점착 코팅(S34)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하이드로-콜로이드가 용융된 상태에서 하이드로-콜로이드와 흡습제를 투입하기 때문에 하이드로-콜로이드와 흡습제의 혼합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핫멜트 점착제와 하이드로-콜로이드의 온도 상태를 달리하여서 흡습제를 투입함으로써, 안정적으로 혼합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하이드로-콜로이드 핫멜트 습윤성 드레싱 테이프(100)에 있어서, 상기 핫멜트 점착제 100 100중량부에 대해서 하이드로-콜로이드 20 ~ 40중량부, 흡습제 5 ~ 15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혼합 조성비에 의하면, 삼출물(진물)의 흡수성이 종래의 제품보다 1.5 배 증가하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하이드로-콜로이드는, 카복시메칠 셀룰로오즈 나트륨(Carboxymethylcelluse Sodium), 하이드록시에틸셀루로스(Hydroxyethylcellulose), 에틸셀루로스(Ethyl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루로스(Hydroxypropylcellulose), 메틸셀루로스(Methylcellulose), 폴리에테르(Polyether),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루로스(Hydroxypropylmethylcellulose), 카르멜로스나트륨(Carmellose sodium)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복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습제는 폴리아크릴아미드(Polyacrylamide), 폴리아요다이드(Polyiodide),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ethyleneoxide),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glycol), 베타글루칸(β-Glucan),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폴리비닐피로리돈(Polyvinyl pyrrolidone), 카파-카라제난(K-Carrageenan), 글리세롤(Glycerol)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하이드로-콜로이드 핫멜트 습윤성 드레싱 테이프(100)에 있어서, 상기 드레싱제(120)에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물질(이하에서는 간단히 항균 물질이라고도 한다.)이 하나 또는 복수로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하이드로-콜로이드와 항균 물질을 혼합함으로써 습윤성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처를 더욱더 빠르게 치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항균 물질이 하이드로-콜로이드와 혼합됨으로써, 더욱 2차 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하이드로-콜로이드 핫멜트 습윤성 드레싱 테이프(100)에 있어서, 상기 드레싱제(120)는, 핫멜트 점착제를 가열 교반기에 투입하여 가열하여서 용융 상태로 만든 후에(S31), 제1 설정온도(150℃)에서 하이드로-콜로이드를 투입하여서 교반하며(S32), 하이드로-콜로이드가 혼합 교반된 상태에서 제2 설정온도(135 ~ 140℃)에서 흡습제와 항균 및 항바이러스 물질을 첨가하여 혼합 교반한 후에(S33), 예컨대 코팅기구(미도시)에 의해서 상기 기재필름(110)의 일면에 점착 코팅(S34)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항균 항바이러스 물질은, 설파디아진은(Silver sulfadiazine),
클로람페니콜(Chloramphenicol), 테라사이클린(Tetracycline), 클로르테트라사이클린(Chlortetracycline), 옥시테트라사이클린(Oxytetracycline), 설파마이드은(Sulfonamides Silver), 설파다이진(Sulfadiazine), 설파다이아졸(Sulfathiazole), 마페나이드(Mafenide), 설파메티졸(Sulfamethizole), 술파닐아미드(Sulfanilamide), 설파메라진베타 시토스테롤(Sulamerazineβ-sitosterol), AgF2, Ag2O3, AgF3, Ag2S3, Ag4O4, AgHSO4, Ag2SeO3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하이드로-콜로이드와 항균 및 항바이러스 물질의 조성은, 하이드로-콜로이드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항균 및 항바이러스 물질 0.5 ~ 1.5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혼합 조성비에 의하면, 항균 및 항바이러스의 효과가 더욱더 크게 나타나는 이점이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하이드로-콜로이드 핫멜트 습윤성 드레싱 테이프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기술한다.
먼저, 자외선 차단제가 함유된 기재 필름(110)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와 자외선 차단제(예컨대, 미세한 분말 가루 상태의 차단제 즉 소위 파우더 상태의 차단제)를 준비한다.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가열 교반기에 투입하여서 열을 가하면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용융시킨다(S21).
용해된 상태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가 실온에 이르면 자외선 차단제를 투입하고, 교반하여서 혼합한다(S22).
자외선 차단제를 투입한 후 3 ~ 6hr 동안 교반한다.
자외선 차단제가 혼합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필름 형상으로 성형한다(S23).
필름 형상으로 성형하는 방법으로는 예컨대 코팅기구를 이용해서 이형지에 코팅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드레싱제(120)를 제조하는 공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핫멜트 점착제를 가열 교반기에 투입하여 가열하여서 용융 상태로 만든다(S31).
용융 상태의 핫멜트 점착제가 예컨대 150℃)에 이르면 하이드로-콜로이드를 투입하고, 교반한다(S32). 이때 교반 시간은 예컨대 2 ~ 3hr이다.
핫멜트 점착제와 하이드로-콜로이드가 용융되어서 혼합 교반된 상태에서, 135 ~ 140℃가 되도록 온도를 낮추고, 이 낮춘 온도에서 흡습제 및 항균 물질을 투입하고, 교반하여서 혼합한다(S33). 이때 교반 시간은 예컨대 2 ~ 3hr이다.
상기와 같이 흡습제와 항균 물질이 혼합된 핫멜트 점착제와 하이드로-콜로이드가 용융된 용액을 예컨대 코팅기구(미도시)에 의해서 상기 기재필름(110)의 일면에 점착 코팅(S34)함으로써 드레싱제(120)가 완성된다.
상기와 같이 각각 제조된 기재 필름(110)과 드레싱제(120)를 합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하이드로-콜로이드 핫멜트 습윤성 드레싱 테이프(100)가 완성된다.
[시험예]
하이드로-콜로이드로는 카보메틸세루로스나트륨(Carboxymethylcelluse Sodium), 자외선차단제는 산화아연(zinc oxide)(ZnO)과 산화티타늄(titanium oxide)(TiO2)을 채택하여서 자외선 차단율과 자외선 차단지수를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시료 #1과 시료#2(#2-1, #2-2)는 단순히 기재필름(110)에 자외선차단제를 혼합하였고, 하이드로콜로이드와 핫멜트점착제를 코팅하지 않은 것이다.
시료 #3, #4는 하이드로콜로이드와 핫멜트점착제를 코팅한 것이다.
위 데이터를 보면, 시료 #3와 #4는 차단율이 매우 높고 투과율이 매우 낮으며, UPF(Ultraviolet Protection Factor)가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단순히 자외선차단제만을 혼합하는 것보다 본원발명에서와 같이 하이드로콜로이드 및 핫멜트점착제를 함께 사용한 것에 차단율이 더 높고 투과율이 더 낮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기재필름에 자외선 차단제를 혼합하고 이와 동시에 드레싱제의 상보 작용에 의해서 자외선 차단율이 높고 투과율이 낮아짐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하이드로-콜로이드 핫멜트 습윤성 드레싱 테이프
110 : 기재 필름120 : 드레싱제
130 : 방수필름

Claims (4)

  1. 기재 필름(110)과,
    상기 기재 필름(110)의 상면에 형성되고, 핫멜트 점착제와 하이드로-콜로이드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드레싱제(1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기재 필름(110)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Thermoplastic Polyurethane)와 자외선 차단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하이드로-콜로이드 핫멜트 습윤성 드레싱 테이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와 자외선 차단제는,
    열사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서 자외선 차단제 0.3 ~ 0.5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하이드로-콜로이드 핫멜트 습윤성 드레싱 테이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110)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가열 교반기에 투입하여서 열을 가하면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용융하는 단계(S21)와,
    용해된 상태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에 자외선 차단제를 투입하여 교반 혼합하는 단계(S22)와,
    자외선 차단제가 혼합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필름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S23)를 포함하는 공정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하이드로-콜로이드 핫멜트 습윤성 드레싱 테이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자외선 차단제는 알부틴, 산화아연(zinc oxide), 산화티타늄(titanium oxide)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하이드로-콜로이드 핫멜트 습윤성 드레싱 테이프.
KR1020170142725A 2017-10-30 2017-10-30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하이드로-콜로이드 핫멜트 습윤성 드레싱 테이프의 제조 방법 KR102004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725A KR102004208B1 (ko) 2017-10-30 2017-10-30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하이드로-콜로이드 핫멜트 습윤성 드레싱 테이프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725A KR102004208B1 (ko) 2017-10-30 2017-10-30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하이드로-콜로이드 핫멜트 습윤성 드레싱 테이프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150A true KR20190048150A (ko) 2019-05-09
KR102004208B1 KR102004208B1 (ko) 2019-07-29

Family

ID=66546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2725A KR102004208B1 (ko) 2017-10-30 2017-10-30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하이드로-콜로이드 핫멜트 습윤성 드레싱 테이프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42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1673A (ko) 2020-12-09 2022-06-16 주식회사 큐씨엔 학습 모델 기반의 원단 추천 장치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3202B1 (ko) * 1995-12-07 1998-11-16 이능희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는 피부상처 치료제의 제조방법
JP2002000639A (ja) * 2000-06-26 2002-01-08 Nitto Denko Corp 救急絆創膏用パッドおよびそれを用いた救急絆創膏
KR20040053184A (ko) 2001-10-24 2004-06-23 파워 페이퍼 리미티드 피부 패치
KR20100039532A (ko) 2008-10-08 2010-04-16 주식회사 제닉 아토피 치료용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매트릭스로 사용하는 아토피 치료용 매트릭스 패치
WO2010067378A2 (en) * 2008-12-08 2010-06-17 Reliance Life Sciences Pvt. Ltd. Hydrogel composition
KR20100009549U (ko) * 2009-03-20 2010-09-29 (주)아모레퍼시픽 자외선차단용 상처치유밴드
KR101458171B1 (ko) * 2013-02-27 2014-11-04 (주)코바스 자외선 차단 하이드로젤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101613904B1 (ko) * 2015-04-03 2016-04-21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수분산 액상 드레싱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3207940U (ja) * 2016-09-29 2016-12-08 ニチバン株式会社 ハイドロコロイド貼付材のロール状体
KR101708865B1 (ko) * 2016-06-03 2017-02-21 박성호 하이드로 콜로이드가 첨가된 핫멜트 습윤성 드레싱 테이프의 제조 장치
KR20170049184A (ko) * 2015-10-28 2017-05-10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흉터억제용 피부부목패치 제제의 제작 방법 및 그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7940B2 (ja) 1992-10-09 2001-09-10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窒化珪素質焼結体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3202B1 (ko) * 1995-12-07 1998-11-16 이능희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는 피부상처 치료제의 제조방법
JP2002000639A (ja) * 2000-06-26 2002-01-08 Nitto Denko Corp 救急絆創膏用パッドおよびそれを用いた救急絆創膏
KR20040053184A (ko) 2001-10-24 2004-06-23 파워 페이퍼 리미티드 피부 패치
KR20100039532A (ko) 2008-10-08 2010-04-16 주식회사 제닉 아토피 치료용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매트릭스로 사용하는 아토피 치료용 매트릭스 패치
WO2010067378A2 (en) * 2008-12-08 2010-06-17 Reliance Life Sciences Pvt. Ltd. Hydrogel composition
KR20100009549U (ko) * 2009-03-20 2010-09-29 (주)아모레퍼시픽 자외선차단용 상처치유밴드
KR101458171B1 (ko) * 2013-02-27 2014-11-04 (주)코바스 자외선 차단 하이드로젤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101613904B1 (ko) * 2015-04-03 2016-04-21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수분산 액상 드레싱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49184A (ko) * 2015-10-28 2017-05-10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흉터억제용 피부부목패치 제제의 제작 방법 및 그 조성물
KR101708865B1 (ko) * 2016-06-03 2017-02-21 박성호 하이드로 콜로이드가 첨가된 핫멜트 습윤성 드레싱 테이프의 제조 장치
JP3207940U (ja) * 2016-09-29 2016-12-08 ニチバン株式会社 ハイドロコロイド貼付材のロール状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1673A (ko) 2020-12-09 2022-06-16 주식회사 큐씨엔 학습 모델 기반의 원단 추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4208B1 (ko) 2019-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bagi et al. Principles of wound dressings: a review
US10960101B2 (en) Clay-based hemostatic agents
CA1333735C (en) Adhesives, their preparation and use
US7267828B2 (en) Light stabilized antimicrobial materials
JPH06285145A (ja) ヒドロゲルガーゼ
CN101502667B (zh) 一种医用壳聚糖透明水凝胶创伤敷料及其制备和应用
KR100847971B1 (ko) 상처치료용 키토산 하이드로겔 패치
RU2711863C2 (ru) Система двухкомпонентной раневой повязки
SU598546A3 (ru) Перев зочный материал дл ран
CN102850598B (zh) 海藻酸盐-明胶-羧甲基纤维素钠共混膜及其制备和应用
AU596472B2 (en) Adhesive products
KR102004208B1 (ko)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하이드로-콜로이드 핫멜트 습윤성 드레싱 테이프의 제조 방법
RU2704601C2 (ru) Система раневой повязки
EP2617437B1 (en) Method for using hydrogel sheet for treating wound
KR20240008975A (ko) 상처 드레싱
KR102212312B1 (ko) 지혈용 재료 및 이를 포함하는 지혈용품
KR20100009549U (ko) 자외선차단용 상처치유밴드
KR102004212B1 (ko) 흡수력이 향상된 하이드로-콜로이드 핫멜트 습윤성 드레싱 테이프의 제조 방법
EP1493452A2 (en) Antimicrobially active flexible hydrophilic polyurethane foam
US20210007942A1 (en) Method for color maintenance and enhancement of tattoo
GB2199040A (en) Adhesives, their preparation and use
CN105412981B (zh) 一种医用海藻酸盐水凝胶及生产工艺及其应用
CN108210976A (zh) 一种抗菌硅酮复合泡沫敷贴的制备方法
CN211512311U (zh) 一种环切泡棉敷料
CN103623454A (zh) 一种高通透率薄膜敷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