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7077A - 고정 시스템을 갖는 연장 가능한 붐과 크레인의 연장 가능한 붐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고정 시스템을 갖는 연장 가능한 붐과 크레인의 연장 가능한 붐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7077A
KR20190047077A KR1020197011084A KR20197011084A KR20190047077A KR 20190047077 A KR20190047077 A KR 20190047077A KR 1020197011084 A KR1020197011084 A KR 1020197011084A KR 20197011084 A KR20197011084 A KR 20197011084A KR 20190047077 A KR20190047077 A KR 20190047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boom section
telescopic
section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1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윌헬무스 코엔라두스 요하네스 조제푸스 워드링
마크 코넬리우스 마리누스 프란시스쿠스 롬맨즈
아드리안 주스트 반 푸텐
Original Assignee
구스토엠에스씨 리소시스 비. 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스토엠에스씨 리소시스 비. 브이. filed Critical 구스토엠에스씨 리소시스 비. 브이.
Publication of KR20190047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70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70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 B66C23/701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 B66C23/708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locking devices for telescopic j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6Position indicators for suspended loads or for cran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with jibs supported by columns, e.g. towers having their lower end mounted for slewing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70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 B66C23/701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 B66C23/703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telescoped by flexible elements, e.g. cables, chains or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70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 B66C23/701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 B66C23/707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guiding devices for telescopic j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82Luff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크레인을 위한 연장 가능한 격자 타입 크레인 붐, 상기 붐은 격자 타입 베이스 붐 섹션과, 적어도 하나의 격자 타입 텔레스코픽 붐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격자 타입 텔레스코픽 붐 섹션은, 상기 텔레스코픽 붐 섹션이 실질적으로 상기 베이스 붐 섹션의 내부에 있는 수축 위치와, 상기 텔레스코픽 붐 섹션이 실질적으로 상기 베이스 붐 섹션의 외부에 있는 연장 위치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 붐 섹션에 대해 조정 가능하고, 적어도 상기 연장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 붐 섹션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텔레스코픽 붐 섹션을 고정하는 고정 시스템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시스템은 복수 개의 핀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핀은, 상기 붐의 적어도 연장 위치에서 연장하고, 상기 베이스 붐 섹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텔레스코픽 붐 섹션 중 하나에 제공된 대응 핀 수용 구멍을 부분적으로 통과한다.

Description

고정 시스템을 갖는 연장 가능한 붐과 크레인의 연장 가능한 붐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
본 발명은 고정 시스템을 갖는 연장 가능한 붐과 크레인의 연장 가능한 붐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크레인을 위한 연장 가능한 격자 타입 붐에 관한 것이다. 건설 및 유지 보수의 많은 분야에서 증가하는 높이들에서 하중을 끌어올릴 수 있는 더 큰 크레인들에 대한 요구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더 긴 붐, 또는 지브와 같은 붐에 부착된 연장부가 요구된다. 붐의 길이를 늘리면 필연적으로 크레인의 운송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텔레스코픽 붐을 갖는 크레인은 상대적으로 큰 들어올림 높이를 달성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붐을 운반 가능한 치수로 신속하게 수축할 수 있다. 이러한 텔레스코픽 붐은 일반적으로 치수가 감소하는 2개 이상의 섹션을 가지고, 큰 섹션은 작은 섹션의 삽입된 부분을 둘러싸고 있다. 붐의 무게와 후크 하중(hook load)과 같은 붐에 가해지는 하중은 붐에서 그리고 섹션들 사이에서 굽힘 또는 전복 모멘트(overturning moment)를 초래할 것이며, 이로 인해 큰 힘이 텔레스코핑 섹션들 사이의 가이드(guide)를 통해 전달되므로, 가이드들에서 중요한 재료 강도(significant material strength)가 요구되게 된다.
일반적으로 더 긴 붐은 크레인의 더 큰 범위에 후크 하중에 의해 유발되는 증가된 힘 및 굽힘 모멘트뿐만 아니라 자체 무게 증가를 견딜 수 있도록 보다 무거운 구조를 요구한다. 종래의 관형 타입 텔레스코픽 붐의 길이를 증가시키면, 이러한 관형 붐은 가이드에서 필요한 재료 강도를 고려할 때, 해상과 같은 특정 적용들에 비해 너무 무겁게 될 수 있다.
격자 타입 붐의 적용은 관형 타입 붐의 중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 격자 타입 단면을 갖는 텔레스코핑 붐이 개시되었지만, 텔레스코픽 붐 단면을 연결 및/또는 고정하는 것은 여전히 문제가 있다. 또한, 텔레스코픽 붐 섹션으로 하중 전달이 어려울 수 있다.
풍력 터빈 설치 분야에서 탑 꼭대기에 터빈을 설치하는데 필요한 상승 높이는 가까운 장래에 140-160m 또는 그 이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텔레스코픽 붐이 있는 통상적인 이동식 크레인이 사용되는 풍력 터빈들의 육상 설치의 경우, 이 리프팅 높이에는 추가적인 격자 지브(lattice jib) 및 러핑 시스템(luffing system)들이 있는 가장 큰 가용 모바일 텔레스코픽 크레인들이 요구된다.
풍력 터빈들의 해상 설치의 경우, 붐 끌어올림 와이어들을 갖는 격자 붐 타입 크레인들을 지지하는 잭-업 플랫폼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향후 설치 시 예상되는 들어올림 높이는 기존 설치 잭-업 플랫폼에서 사용 가능한 크레인들의 현재 기능을 능가한다. 이와 같은 격자 붐 타입 크레인의 격자 붐이 추가적인 단면으로 확장되면, 더 긴 붐은 운송 위치의 원래의 붐 레스트에서 돌출되어 크레인 블록이 원래 지지에 맞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해 운송 중 붐에 굽힘 모멘트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돌출된 붐은 더 이상 잭-업 플랫폼의 풋 프린트 내에 맞지 않을 수 있고, 그 바깥쪽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이는 플랫폼의 이동 중에 안정성 문제를 야기할 수 있고 및/또는 붐에서 증가된 굽힘 모멘트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튀어 나온 붐은, 헬리콥터 플랫폼을 차단하는 붐과 같이, 플랫폼 자체에 로지스틱 문제(logistic problem)들을 야기할 수 있다.
전술한 단점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제거하는 연장 가능한 격자 붐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제 1 항의 특징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텔레스코픽 붐 섹션 및 베이스 붐 섹션을 포함하는 크레인을 위한 연장 가능한 격자 타입 붐이 개시된다. 연장 가능한 격자 타입 크레인 붐은 격자 타입 베이스 붐 섹션 및 적어도 하나의 격자 타입 텔레스코픽 붐 섹션을 포함한다. 격자 타입 붐 섹션은 일반적으로 트러스와 상호 연결된 복수 개의 길이 방향 코드들을 포함한다. 코드들은 일반적으로 붐들의 횡단면 코너들을 형성하며, 삼각형,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또는 임의의 다른 원하는 일반적으로는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격자 타입 텔레스코픽 붐 섹션은, 텔레스코픽 붐 섹션이 실질적으로 베이스 붐 섹션의 내부에 있는 수축 위치와, 텔레스코픽 붐 섹션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베이스 붐 섹션의 외부에 있는 연장 위치 사이에서, 베이스 붐 섹션에 대해 조정 가능하다. 연장 위치는 최대로 연장된 위치일 수 있으며, 베이스 붐 섹션 및 텔레스코픽 붐 섹션 사이에 최소한의 오버랩 만이 존재하며, 또는 다른 임의의 중간 연장 위치일 수 있으며, 이 경우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더 큰 부분은 여전히 베이스 붐 섹션 내부에 있다. 연장 가능한 크레인 붐은 적어도 연장 위치에서 베이스 붐 섹션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텔레스코픽 붐 섹션을 고정하도록 구성된 고정 시스템을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 시스템은 복수 개의 핀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핀은 적어도 붐의 연장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 붐 섹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텔레스코픽 붐 섹션 중 하나에 제공된 대응 핀 수용 구멍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한다. 발명적인 방식으로, 상기 핀 수용 구멍 중 적어도 하나의 크기는 상기 핀 수용 구멍에 수용되는 상기 복수 개의 핀들 중 대응하는 하나의 단면 치수보다 실질적으로 더 크다.
핀 수용 구멍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둥근 구멍, 또는 슬롯 구멍, 또는 계란형 구멍,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 방향으로 다양한 형상의 구멍을 가질 수 있고, 구멍의 치수는 연결부에서 충분한 공극(play)을 제공하기 위해 대응하는 핀의 단면보다 실질적으로 크다.
특히, 핀 수용 구멍의 적어도 하나의 반경 방향에서, 핀 수용 구멍의 치수는 핀의 단면보다 실질적으로 크다. 예를 들어, 핀 수용 구멍은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즉 구멍의 길이 방향으로, 핀의 단면보다 실질적으로 크다. 실질적으로 더 큰 것은 핀이 홀에서 수용될 수 있도록 허용하는 통상의 공차보다 더 큰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추가 치수, 즉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추가적인 공극을 가져오는 핀의 횡단면보다 큰 핀 수용 구멍의 크기는 약 10mm 내지 약 40mm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핀 수용 구멍의 길이와 특정 방향으로의 핀의 단면 사이의 부가적인 치수 또는 크기의 차이는, 핀이 구멍에 삽입되는 위치에서 핀의 양측에 제공되어 용이한 삽입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추가적인 치수는 각각의 측부에서 약 10mm 내지 약 40mm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부가적인 치수는 약 15mm 내지 약 35mm일 수 있다. 부가적인 치수는 유리하게는 핀의 크기 및/또는 단면 형상, 예를 들어 원형 또는 사각형과 무관하며, 크기 및/또는 단면 형상과는 독립적인 용이한 삽입을 가능하게 한다. 부가적인 치수는 일 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결과적으로 슬롯형 구멍 또는 타원형 구멍 또는 계란형 구멍을 초래할 수 있고, 또는 핀의 단면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반경 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구멍의 모든 반경 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고, 핀의 단면 치수에 대하여 확대된 구멍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연장 가능한 크레인 붐이 얻어질 수 있으며, 이는 상대적으로 빠르고 쉬운 방식으로 연장 위치에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고, 또한 수축 가능하고 비교적 경략인 구조이므로 여전히 운반 가능하다. 또한, 베이스 붐 섹션으로부터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고정 및/또는 고정 해제는 비교적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후속 작업들 사이의 시간을 감소시킨다. 특히, 연장 가능한 크레인 붐을 갖는 크레인이 풍력 발전소 공원과 해상의 후속 설치 사이트들에서 작동하는 잭-업 플랫폼에 설치될 때, 텔레스코픽 붐의 비교적 짧은 수축 및/또는 연장은 후속 설치 사이트들 사이에 소요 시간을 줄이는 데 유리하다.
바람직하게는, 대응 제 1 핀 수용 구멍에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핀과, 대응 제 2 핀 수용 구멍에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핀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핀들은 먼저 대응 구멍들에 삽입될 수 있다. 대응 제 1 핀 수용 구멍은 바람직하게는 슬롯 형 또는 계란 형이거나, 물방울 형상일 수 있고, 핀이 계란 형상 구멍의 더 큰 부분에서 수용될 수 있고, 연결부를 추가로 고정시키면 핀은 구멍 내에서 핀을 고정시키고 정렬하기 위해, 계란 형상 구멍의 더 작은 부분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 및 정렬을 위해, 계란 형상 구멍은 구멍의 길이 방향에 대해 비스듬한 측부(oblique side)들을 가지며, 구멍의 길이 방향에 대해 약 2도 내지 10도 사이의 각도로 대략적으로 연장한다. 제 1 핀 및 대응하는 제 1 핀 수용 구멍은, 베이스 붐 섹션 및 텔레스코픽 섹션의 상부 코드에 제공되고, 및/또는 베이스 붐 섹션 및 텔레스코픽 섹션의 하부 코드에 제공된다. 따라서, 핀은 계란 형상 또는 물방울 형상 구멍의 보다 작은 부분에 견고하게 수용될 수 있고, 하중, 예를 들어 충 방향 또는 횡 방향 하중이 이송될 수 있다. 붐 끌어올림 와이어들이 텔레스코픽 섹션에 연결될 때, 이러한 제 1 핀들은 상부 코드에 제공될 수 있다. 하중 전달을 최적화하기 위해, 계란 형상 구멍의 더 작은 부분의 형상은 주로 구멍에 수용되는 핀의 단면 형상에 대응한다. 일 실시 예에서, 붐 끌어올림 와이어들이 텔레스코픽 붐 섹션에 연결될 때, 제 1 핀들은 하부 코드에도 제공된다. 이러한 제 1 핀들은 하중 방향에만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들 제 1 핀들은 예를 들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대응하는 핀 수용 구멍은 핀의 단면 치수보다 실질적으로 큰 크기를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핀 수용 구멍은 2개의 수직 치수들, 즉, 삽입의 용이함을 위해 약 10mm 내지 약 40mm의 부가적인 치수를 갖는 핀의 횡단면 보다 큰 직사각형의 양 측부들에서 직사각형의 측부들을 가로지른다. 사용 시, 핀의 측부는 하중 전달을 허용하기 위해 구멍의 측부에 접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핀 수용 구멍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핀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핀은 붐 끌어올림 와이어들이 텔레스코픽 섹션에 연결될 때 하부 코드에도 제공될 수 있다. 제 2 핀은 축 방향 하중만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 2 핀은 유리하게는 대응하는 직사각형 형상 핀 수용 구멍을 갖는 직사각형 단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핀은 이 실시 예에서 하부 코드의 제 1 핀과 함께 텔레스코픽 붐 섹션을 갖는 베이스 붐 섹션의 축 방향 고정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 및 조합들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붐 끌어올림 와이어들은 베이스 붐 섹션 및 텔레스코픽 섹션에 연결될 수 있다. 이 실시 예에서, 대응하는 핀 수용 구멍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고정 핀들은 베이스 붐 섹션 및 텔레스코픽 섹션의 하부 코드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핀 및 대응하는 핀 수용 구멍은 함께 축 방향 고정을 제공하여 하부 코드에 제공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1 핀 및 대응하는 핀 수용 구멍이 베이스 붐 섹션 및 텔레스코픽 섹션의 상부 코드들에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붐 끌어올림 와이어들은 텔레스코픽 섹션에만 연결된다. 이 실시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 2 핀 및 대응하는 핀 수용 구멍이 이전 실시 예와 유사하게 하부 코드에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붐 끌어올림 와이어들은 베이스 섹션에만 연결된다. 이 실시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 2 핀 및 대응하는 핀 수용 개구가 상부 코드들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코드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 1 핀 및 대응 제 1 핀 수용 구멍이 제공되어, 베이스 붐 섹션 및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축 방향 고정을 제공한다. 대응 제 1 핀 수용 구멍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핀이 하부 코드들에 제공된다. 상기 고정 시스템은 복수 개의 핀들이 연장되는 지지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구조는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붐 섹션의 원위 단부에 제공된다. 대안적으로, 지지 구조는 또한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근위 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핀들은 베이스 붐 섹션 내에 대응하는 구멍들에 수용되도록 외측으로 연장된다. 전자의 경우, 핀들은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대응하는 구멍들에 수용되도록 내측으로 연장된다. 지지 구조는 크레인 붐의 단면과 유사한 형상, 예를 들어 직사각형 형상 또는 임의의 다른 원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지 구조의 코너들은 붐의 길이 방향 코드들과 일치할 수 있다. 지지 구조는, 예를 들어 하중들을 핀들로부터 코드들 또는 트러스들로 운송하기 위해, 예를 들어 솔리드 및 보강 구조(solid and reinforced structure), 또는 대안적으로 국부적 보강 요소들을 갖는 트러스들 및 코드들을 포함하는 개방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구조는 연장 가능한 붐의 비교적 견고한 고정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연장 가능한 붐의 고정 시스템의 견고함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대응 핀 수용 구멍은 바람직하게는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코드에, 바람직하게는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근위 단부에, 더욱 바람직하게는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모든 코드의 근위 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연장 가능한 붐의 경우, 고정 시스템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4개의 제 1 핀 수용 구멍들로 연장되는 4개의 제 1 핀들을 포함할 수 있고,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4개의 길이 방향 코드 중 각각에 있는 하나의 구멍은 4개의 제 1 핀들 중 하나를 각각 수용한다. 상기 4개의 구멍들 중 적어도 하나의 크기는 수용될 핀의 단면보다 크고, 바람직하게는 4개의 구멍들 모두의 크기는 수용될 핀의 단면보다 크다.
더 유리하게, 고정 시스템은 제 2 핀들의 세트와, 베이스 붐 섹션 및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하부 측에 제공되는 대응 핀 수용 구멍들을 포함할 수 있고, 핀 수용 구멍들 중 적어도 하나는 수용될 대응하는 핀의 단면 치수보다 실질적으로 더 큰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핀들에 대한 핀 수용 구멍들은, 제 1 핀들을 수용하기 위한 대응 핀 수용 구멍과 동일하거나 그 일부이거나, 별도의 핀 수용 구멍들일 수 있다. 제 2 핀을 위한 핀 수용 구멍과, 제 2 핀을 위한 핀 수용 구멍이 동일할 때, 실제로 제 1 핀 및 제 2 핀이 수용될 수 있는 큰 구멍이 제공된다. 제 1 핀 및 제 2 핀은 결합된 제 1 핀 및 제 2 핀 수용 구멍들의 대향하는 단부들에 각각 제공되어 축 방향 또는 코드 방향의 고정을 제공한다.
연장 가능한 붐의 하부 측은 연장 가능한 붐이 수축될 때 및 운송 위치에 있을 때 아래로 향하는 측이다. 크레인의 일부인 확장 가능한 붐이 작동 위치로 이동되면, 이는 실질적으로 직립이지만 붐의 약간 경사진 위치이며, 상기 하부 측은 또한 하중들이 끌어올려질 수 있는 측부이다. 상기 핀들의 제 2 세트 및 대응 구멍들은 실질적으로 공극 없이 텔레스코픽 붐 섹션을 베이스 붐 섹션에 단단히 고정할 수 있고, 베이스 붐 섹션에 대한 코드들을 통한 하중 전달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연장 가능한 격자 타입 크레인 붐은 베이스 붐 섹션을 따라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시스템은 예를 들어 가이드 레일들 및 가이드 레일들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 요소들, 또는 다른 임의의 가이드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시스템은 유리하게는 붐의 상부 또는 하부 측에 대하여 소정 각도, 바람직하게는 45º 이하로 베이스 붐 섹션 및/또는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코드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각도는, 상대적으로 컴팩트할 수 있는 효율적인 가이드 시스템을 허용한다. 가이드 시스템의 예시가 도면들에서 보다 상세히 논의될 것이다.
연장 가능한 격자 타입 크레인 붐은 상기 베이스 붐 섹션에 대해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측정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 시스템은 예를 들어 육안 검사용 카메라, 폐쇄 회로 TV 시스템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측정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측정 시스템은 측정 값에 대한 피드백을 제어 시스템에 전송할 수 있으며, 연장 가능한 붐의 연장 또는 수축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자동화된 방식으로, 또는 조작자에 의해 제어되게 할 수 있다.
연장 가능한 격자 크레인 붐은 상기 수축 위치 및 상기 연장 위치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텔레스코픽 붐 섹션을 조정하도록 마련된 텔레스코픽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텔레스코픽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리빙 시스템(reeving system)을 포함할 수 있다. 리빙 시스템은 윈치를 갖는 와이어 로프 태클 시스템(wire rope tackle system)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로프는 베이스 붐 섹션 내부에 장착된 시브들과, 텔레스코픽 붐 섹션에 장착된 시브들 사이에 놓일 리브(reeve)될 수 있다. 윈치로 와이어 로프를 잡아 당기는 것은, 예를 들어, 텔레스코픽 붐 섹션이 베이스 붐 섹션으로부터 뽑히게 함으로써, 가이드들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붐을 연장시킬 수 있다. 텔레스코픽 붐 섹션을 후퇴시키는 동안, 와이어 로프를 풀기 위해, 위치를 작동시켜, 텔레스코픽 붐 섹션이 베이스 붐 섹션 내부로 이동하도록 허용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 중력의 결과로 아래로 내려간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텔레스코픽 시스템은 리빙 시스템 대신에 유압 실린더 또는 랙 & 피니언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텔레스코픽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붐 섹션의 대향하는 측부들 상에 각각 제공되는 2개의 리빙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붐 섹션의 측부들에 배치되어, 균형 잡히 하중 분배에 유리하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리빙 시스템들을 위한 단일 윈치가 존재하여, 2개의 리빙 시스템들은 실제로 베이스 붐 섹션의 양 측부들에 제공된 단일 결합된 텔레스코픽 시스템을 형성한다.
또한, 청구항 11의 특징을 포함하는 연장 가능한 격자 타입 크레인 붐을 위한 고정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러한 고정 시스템은 적어도 연장 위치에서 연장 가능한 붐의 견고한 고정을 제공할 수 있고, 작동이 비교적 쉽고 빠르다. 연장 가능한 격자 타입 크레인 붐은 또한 복수 개의 텔레스코픽 붐 섹션들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텔레스코픽 붐 섹션은 이러한 고정 시스템을 통해 인접한 텔레스코픽 붐 섹션과 고정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더 크고 및/또는 연장 가능한 크레인 붐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청구항 13-15의 특징들에 따라 크레인이 개시된다, 크레인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연장 가능한 격자 타입 크레인 붐을 포함한다. 상기 격자 타입 크레인 붐은, 상기 격자 타입 붐이 실질적으로 수축되고 실질적으로 수평 위치에 있는 운송 위치(transit position)와, 격자 타입 붐이 연장된 작업 위치(working position)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크레인은 또한 연장 가능한 격자 타입 붐이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는 크레인 베이스를 포함하고, 크렝니 붐은 운송 위치 및 작업 위치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수평인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크레인 베이스는 선택적으로 또한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크레인은 상기 운송 위치와 상기 작업 위치 사이에서 연장 가능한 붐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붐 끌어올림 시스템과, 하중을 끌어올리도록 구성된 하중 끌어올림 시스템을 포함한다. 붐 끌어올림 시스템은 양호하게는 비교적 안정되고 균형 잡혀 있고 신뢰성 있는 크레인을 제공할 수 있는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원위 단부 뿐만 아니라 베이스 붐 섹션의 원위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붐 끌어올림 시스템은 또한 베이스 붐 섹션의 원위 단부 및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원위 단부 중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붐 끌어올림 시스템은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텔레스코픽 시스템을 따르는 텔레스코픽 시스템의 작동 중에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텔레스코픽 시스템은 마스터 시스템의 역할을 하는 반면, 붐 끌어올림 시스템은 텔레스코픽 시스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마스터 시스템의 작동을 따르는 슬레이브 시스템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크레인 작업자는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이동을 용이하게 g기 위해, 붐 끌어올림 시스템이 자동으로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되는 동안 텔레스코픽 시스템을 작동시킬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텔레스코픽 작동 동안 크레인 붐의 약 80º의 최적 각도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텔레스코픽 작동 중에, 마스터 시스템에 종속 시스템으로서 붐 끌어올림 시스템을 제공하면, 작업자가 텔레스코픽 리빙 시스템들만 작동해야 하므로, 크레인 작업자가 크레인을 보다 쉽게 작동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실패들이나 실수들로 인한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유리하게는, 측정 시스템은 베이스 붐 섹션에 대한 텔레스코픽 크레인 붐 섹션의 실제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특정은 크레인 작업자가 해당 정도에 크레인 작업들을 적용할 수 있는 실제 위치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측정 시스템은 원하는 연장 위치에 접근할 때, 텔레스코픽 시스템의 속도 감소를 제어할 수 있다. 이는 크레인 운전자가 원하는 연장 위치에 접근하는 것을 도울 수 있으며, 실패나 손상에 대한 위험을 줄일 수 있다.
텔레스코픽 리빙 시스템의 작동에 의존하여 붐 끌어올림 시스템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은, 별도의 제어 유닛으로서 제공될 수 있는 측정 시스템의 일부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크레인의 작동들을 제어하고, 출력 유닛으로의 텔레스코픽 붐 속도와 같은, 측정된 파라미터들에 대한 출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측정 시스템이 제공되며, 예를 들어 크레인 작업자의 유저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크레인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크레인 베이스는 잭 업 플랫폼의 레그 주위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크레인은 혹독한 해상 환경에서도 비교적 작지만 효율적인 크레인을 제공할 수 있다. 크레인 베이스는 선회 베어링(slewing bearing) 장치를 갖는 표준 받침대에 장착될 수도 있다. 그러나, 크레인 베이스를 잭-업 플랫폼의 레그(leg) 주위에 제공하는 것은, 잭-업 플랫폼의 데크 상에 공간을 사용하기 위한 공간 효율적인 솔루션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청구항 16-22에, 연장 가능한 격자 타입 크레인 붐을 작동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전술한 장점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청구항 23-24의 특징들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크레인을 포함하는 잭 업 플랫폼을 개시하며, 전술한 장점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베이스 붐 섹션 및 적어도 하나의 텔레스코픽 붐 섹션을 갖는 연장 가능한 또는 텔레스코픽 붐이 제안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섹션들은 정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가능한 삼각형 단면을 갖는 격자형 구조이고, 트러스들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단면이 각 코너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코드들이 있다. 텔레스코픽 섹션은 베이스 붐 섹션과 비교하여 더 작은 횡단면 치수들을 가지며, 베이스 붐 섹션은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삽입된 부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붐을 연장하거나 줄이기 위해 텔레스코픽 섹션을 베이스 붐 섹션에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텔레스코픽 붐 섹션은 베이스 붐 섹션에 대해, 텔레스코픽 붐 섹션이 실질적으로 베이스 붐 섹션 내부에 있는 수축 위치와, 텔레스코픽 붐 섹션이 실질적으로 베이스 붐 섹션의 실질적으로 외부에 있는 연장 위치 사이에서 조정 가능하다. 텔레스코픽 붐 섹션은 바람직하게 적어도 연장 위치에서 베이스 붐 섹션에 대해 고정되지만, 중간 위치 및 수축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연장 가능한 붐은, 끌어올림 시스템이 장착되고 크레인 베이스에 연결 가능한, 바람직하게는 크레인 베이스에 윈치되는(winch) 끌어올림 요소들이 제공된다. 장착 위치에서, 붐이 크레인 베이스에 장착될 때, 붐의 하나 이상의 코드들은 붐에 끌어올림 요소들이 제공되는 측부에서 상부 코드들이다. 그 대향하는 측부들에 장착된 것은 하부 코드들이다.
연장 가능한 붐은 또한 감소하는 치수들, 바람직하게는 감소하는 단면 치수들, 및/또는 유사하거나 감소하는 길이 방향 치수들 갖는 다수의 텔레스코픽 붐 섹션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은 붐을 연장 또는 수축시키기 위해 다른 것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베이스 붐 섹션을 따라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들이 제공된다.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코드들 상에 가이드 레일들이 제공될 수 있고, 대응 가이드들을 베이스 붐 섹션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가이드들은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코드들 상에 제공될 수 있고, 대응 가이드 레일들은 베이스 붐 섹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연장 가능한 붐이 다수 섹션들을 갖는 경우, 동일한 가이드 구성이 각각의 연속 섹션 사이에 적용된다. 가이드들은 베이스 붐 섹션에 대해 각각의 텔레스코픽 붐 섹션, 또는 선행하는 붐 섹션을 이동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연장 가능한 붐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텔레스코픽 붐 섹션을 연장 또는 수축하도록 구성된 텔레스코픽 시스템을 구비하고 및/또는 이전의 텔레스코픽 붐 섹션 또는 베이스 붐 섹션으로 이동한다. 텔레스코픽 시스템은, 이전에 설명한 것 처럼 리빙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붐에 다수의 텔레스코픽 붐 섹션들이 있는 경우, 각각의 텔레스코픽 붐 섹션에는 텔레스코픽 붐 섹션들 사이에 추가적인 텔레스코픽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으며, 또는 단일 텔레스코픽 시스템은 다수의 텔레스코픽 붐 섹션을 연장 또는 수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텔레스코핑 시스템은 텔레스코픽 붐 섹션들을 동시에 및/또는 순차적으로 연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장 가능한 붐에는 바람직하게는 텔레스코핑 부분의 코드들을 베이스 붐 섹션, 또는 선행하는 텔레스코픽 붐 섹션에 연결 및/또는 고정하도록 마련된 고정 시스템이 제공되며, 붐 하중이 코드들을 통해 전달될 수 있도록 각각의 텔레스코픽 붐 섹션들 사이에 견고한 연결을 제공한다. 고정 시스템은 베이스 붐 섹션 또는 선행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원위 단부에 지지 구조를 포함할 수 있고, 지지 구조에는 고정 핀들이 제공된다. 고정 핀들은 베이스 붐 섹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코드들에 있는 구멍들과 정렬되도록 위치된다. 텔레스코픽 붐 섹션에는 고정 핀들을 수용하기 위해 코드들에 마련되거나 통합된 구멍들이 제공된다. 고정 핀들은 유압 또는 전기 작동 수단과 결합될 수 있다. 지지 구조는 베이스 붐 섹션의 원위 단부에 제공될 수 있고, 베이스 붐 섹션의 원위 단부에 연결되고 그로부터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코드를 향해 연장하는 고정 핀들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지지 구조는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근위 단부에 제공될 수 있고,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근위 단부에 연결되고 그로부터 베이스 붐 섹션의 코드, 또는 선행하는 텔레스코픽 붐 섹션을 향해 연장하는 고정 핀들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지지 구조는 베이스 붐 섹션의 원위 단부에 제공될 수 있고, 텔레스코픽 붐 섹션, 예를 들어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코드들에 연결되고, 그로부터 지지 구조를 향해 연장하는 고정 핀들을 가질 수 있다.
텔레스코픽 붐 섹션은 적어도 연장 위치에서 베이스 붐 섹션에 대해 고정도리 수 있다. 그러나, 수축 위치 및/또는 중간 위치들에서 고정이 또한 가능할 수 있다. 수축 위치에서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고정에 대한 대안으로, 텔레스코픽 붐 섹션이 수축 위치에서 위치하도록 텔레스코픽 붐 섹션이 접할 수 있는 정지 요소가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위치들에서 고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텔레스코픽 붐 섹션에는 고정 시스템으로부터 고정 핀을 수용하도록 마련된 다수의 구멍들이 제공될 수 있다.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구멍들은 바람직하게는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요구되는 위치에서 고정 핀을 수용할 수 있도록 코드들의 미리 결정된 위치들에 제공된다.
고정 핀들은 베이스 붐 섹션에 대해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수축 및/또는 연장 및/또는 중간 위치에서 결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고정 핀이 결합되면, 가이드들은 가이드 레일들로부터 회수되어, 가이드들과 가이드 레일들 사이의 접촉을 해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붐 하중은 코드를 통해 고정 핀들을 통해 직접적으로 전달될 수 있고, 하중 전달이 없거나 최소인 가이드 시스템의 가이드들을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레일들은 붐의 연장 위치에서 하중을 지지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보강재가 덜 또는 감소될 필요가 있는 붐의 기계적 구조에 유리하며, 기계 구조가 종래 기술들의 구조에 비해 가벼워지게 한다. 고정 핀들이 결합되면, 텔레스코픽 시스템은 더 이상 작동될 필요가 없으므로, 가이드들 아래 사항들을 주장해달라.및/또는 텔레스코픽 시스템을 통하는 대신, 코드들을 통해 이러한 고정 핀들을 통해 하중 전달이 주로 이루어진다. 기본적으로, 가이드들 및/또는 텔레스코픽 시스템은 연장 위치에서 붐 하중을 받지 않을 수 있다.
붐이 다수의 텔레스코픽 붐 섹션들을 갖는 경우, 연속적인 텔레스코픽 붐 섹션 사이의 각각의 전환 시에 고정 시스템이 제공되고, 각각의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상부 단부에 지지 구조 및 고정 핀이 있다.
예를 들어, 연장 가능한 크레인은 붐 칩에 연결된 붐 끌어올림 와이어들을 가질 수 있다. 상부 코드들, 즉 끌어올림 요소들이 제공된 붐 섹션들의 측부에 있는 붐 섹션들의 코드들은 압축된 상태일 수 있다. 고정 핀들을 수용하기 위한 상부 코드의 구멍들은 연장 동안 상부 고정 핀들의 용이한 삽입을 허용하기 위한 슬롯 구멍들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붐 끌어올림 와이어들을 베이스 붐 섹션에 연결할 수 있다. 텔레스코픽 부분은 이제 추가적인 굽힘 모멘트의 영향을 받아 더 하부 코드들, 즉 상부 코드들의 반대 측에 있는 붐 섹션들의 코드가 압축 상태에 있다. 이 경우, 하부 고정 핀들을 수용하기 위한 하부 코드들의 구멍들은 연장 동안 용이한 삽입을 위해 슬롯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수축 위치에 대응하는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코드들 상에 마련된 구멍들은 연장 동안, 수축 위치에서 고정이 제공될 경우, 고정 핀들의 용이한 삽입을 제공하기 위한 슬롯 구멍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텔레스코픽 붐 섹션 상의 핀 수용 구멍 내로 고정 핀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베이스 붐 섹션 및 텔레스코픽 붐 섹션은 적절하게 정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 붐 섹션에 대한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연장 및/또는 수축 동안, 가이드들은 텔레스코픽 운동 중에 텔레스코픽 붐 섹션을 안내하기 위해 가이드 레일들과 접촉한다. 가이드들과 가이드 레일들의 접촉으로 인해, 붐의 굽힘 모멘트는 텔레스코핑 동안 가이드들을 통해 텔레스코픽 붐 섹션으로 전달된다. 고정 핀을 갖는 고정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연속적인 섹션들의 코드들은 코드들을 통한 핀들을 통해 붐 하중들을 전달하기 위해 연결되고 고정될 수 있다. 고정 핀들의 고정 시, 가이드들과 가이드 레일들 사이의 접촉이 해제될 수 있고, 고정 핀들을 통해 하중을 전달하기 위해 가이드들이 하중 해제(unload)되도록 할 수 있다.
연장 가능한 붐에는 유익하게는 텔레스코픽 붐 섹션을 베이스 붐 섹션과 정렬하도록 마련된 정렬 시스템이 제공되고, 결정된 위치에서 베이스 붐 섹션에 대해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적절한 고정을 가능하게 한다. 정렬 시스템은,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근위 단부에서, 길이 방향 코드 방향으로 텔레스코픽 붐 섹션을 밀거나 당기도록 마련되고,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길이 방향 중심 선은 베이스 붐 섹션의 길이 방향 중심 선과 정렬된다. 정렬 동안, 멈춤부(stop)는 정렬 시스템의 반대 단부에 제공될 수 있고, 텔레스코픽 붐 섹션이 접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멈춤부는 정렬 후에 복구될 수 있고(retrievable), 텔레스코픽 붐 섹션과 접촉하지 않는다. 정렬 시스템은 적어도 유압 실린더 또는 전기 액츄에이터와 같은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베이스 붐 섹션 또는 텔레스코픽 붐 섹션에 장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연장 위치에서 측부에 장착될 수 있고, 베이스 붐 섹션 및/또는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굽힘 모멘트로 인해 섹션들 사이의 접촉이 있다. 정렬 시스템, 예를 들어, 액츄에이터는 가이드들과 가이드 레일들 사이의 접촉을 해제하기 위해 가이드들로부터 멀리 떨어진 텔레스코픽 붐 섹션을 밀기 또는 당길 수 있다. 이 방법으로 가이드들은 하중 해제할 수 있고,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중심선은 베이스 붐 섹션의 중심선과 정렬될 수 있다.
베이스 붐 섹션에 대한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정렬로 인해, 텔레스코픽 붐 섹션은 그 중심선을 횡단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정 핀이 이미 결합되었을 때,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정렬 회전을 허용하기 위한 슬롯 구멍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구멍이 제공된다. 정렬이 완료되면, 대향 고정 핀은 대응하는 구멍에 결합될 수 있다. 대향하는 핀-구멍 세트는 핀이 구멍에 밀접하게 끼워지도록 치수가 맞을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코드들에서 모든 구멍들은 밀접하게 맞는 구멍이 아니다.
앞서, 텔레스코픽 붐 섹션은 베이스 붐 섹션에 대해 연장 가능하고 및/또는 수축 가능한 것으로 설명되었다. 이해해야 할 점은, 붐이 다수의 텔레스코픽 붐 섹션들을 갖는 경우, 보다 원위 텔레스코픽 붐 섹션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식으로 그 이전의 텔레스코픽 붐 섹션에 대해 연장 및/또는 수축 가능하다.
붐에 다수의 텔레스코픽 붐 섹션들이 있는 경우, 정렬 시스템은 연속하는 텔레스코픽 붐 섹션들 사이의 각각의 전이에 제공되고, 정렬 시스템은 이전에 텔레스코픽 붐 섹션에 장착되고, 그 이전에 텔레스코픽 붐 섹션에 대해 원위의 텔레스코픽 붐 섹션을 정렬하도록 마련된다.
연장 가능한 붐을 작동시키는 방법이 제안된다.
제 1 방법은 붐의 연장 동안 일련의 작동 단계들을 포함하고, 슬롯 구멍들의 형상을 가질 수 있는 고정 핀들 수용하기 위한 구멍들이 갖는 상부 코드들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텔레스코픽 붐 섹션과 붐 팁에 부착되는 붐 끌어올림 와이어들을 갖는 크레인을 포함하는 고정 시스템을 사용하고, 이하 단계들을 포함한다.
- 와이어 로프를 당김으로써 텔레스코픽 시스템으로 텔레스코픽 부분을 연장하는 단계
- 상부 고정 핀들은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상부 코드들에 마련된 대응 슬롯 구멍에 삽입하는 단계
- 하부 코드들에서 가이드들이 베이스 붐 섹션 내부의 가이드들에 의해 지지되는 동안, 텔레스코픽 붐 섹션이 상부 고정 핀들에 놓일 때까지 텔레스코픽 시스템을 하강하는 단계
- 텔레스코픽 붐 섹션이 상부 고정 핀들 주위로 회전하는 동안 정렬 시스템을 사용하여 가이드들로부터 텔레스코픽 부분을 밀어냄으로써, 텔레스코픽 붐 섹션을 베이스 붐 섹션에 정렬시킴으로써, 하부 고정 핀을 텔레스코픽 섹션의 하부 코드들 상에 마련된 구멍들 위에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단계
- 하부 고정 핀들을 하부 코드들 상에 마련된 대응 구멍들 내에 삽입하는 단계
제 2 방법은 붐을 연장하는 동안 일련의 작동 단계들을 포함하고, 슬롯 구멍들의 형상을 갖는 고정 핀들을 수용하기 위한 구멍들이 제공된 적어도 하부 코드들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텔레스코픽 붐 섹션과 베이스 붐 섹션의 탑에 부착되는 붐 끌어올림 와이어들을 갖는 크레인을 포함하는 고정 시스템을 사용하고, 이하 단계들을 포함한다.
- 텔레스코픽 시스템의 와이어 로프를 당김으로써 텔레스코핑 시스템으로 텔레스코픽 파트를 연장하는 단계
-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하부 코드들에 마련된 대응 슬롯 구멍들에 하부 고정 핀들을 삽입하는 단계
- 상부 코드들에서 가이드들이 베이스 붐 섹션 내부로 가이드들에 의해 지지되는 동안, 텔레스코픽 붐 섹션이 하부 고정 핀들이 놓일 때까지 텔레스코핑 시스템을 하강하는 단계
- 텔레스코픽 붐 섹션이 하부 고정 핀들 주위로 회전하는 동안 정렬 시스템을 사용하여 가이드들로부터 텔레스코픽 부분을 밀어냄으로써, 텔레스코픽 붐 섹션을 베이스 붐 섹션에 정렬시킴으로써, 상부 고정 핀을 텔레스코픽 섹션의 상부 코드들 상에 마련된 구멍들 위에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단계
- 상부 고정 핀들을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상부 코드들 상에 마련된 대응 구멍들 내에 삽입하는 단계
제 3 방법은 붐을 수축하는 동안 일련의 작동 단계들을 포함하고,
- 붐의 연장 동안 핀들이 마지막으로 삽입되는 측부들에서 고정 핀들을 수축하는 단계
- 정렬 시스템을 해제하여, 텔레스코픽 붐 섹션 및 베이스 붐 섹션 사이의 가이드들 사이의 접촉을 다시 설정하는 단계
- 나머지 고정 핀들을 수축하는 단계
- 텔레스코픽 붐 섹션이 수축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텔레스코핑 시스템을 하강하는 단계
- 수축 위치의 고정이 제공될 경우,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수축 위치에 대응하는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코드들에 마련된 구멍들에 고정 핀들을 삽입하는 단계. 바람직하게는, 고정 핀들을 수축하기 전에, 수축될 고정 핀이 먼저 핀을 수축할 수 있도록 하중 해제된다. 고정 핀을 하중 해제하기 위해, 텔레스코픽 시스템은 텔레스코픽 붐을 조정하여 상기 고정 핀을 하중 해제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이는 각각의 고정 핀들이 수축될 때, 또는 동시에 고정 핀들 세트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고정 핀들은 삽입될 때 역순으로 수축된다.
붐이 다수의 텔레스코픽 붐 섹션들을 갖는 경우, 연속적인 텔레스코픽 붐 섹션 각각 마다 이 방법이 반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비-제한적인 설명 및 예시에 의해 주어진 예시적인 실시 예들에 기초하여 더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은 비-제한적인 예로서 주어진 예들에 개략적인 표현들임을 유의해야 한다. 설명된 특징들의 다양한 조합 뿐만 아니라, 다양한 수정, 변형 및 대안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 도면 및 예는 제한적인 의미가 아니라, 예시적인 의미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비-제한적인 예로서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수축 위치 및 연장 위치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연장 가능한 크레인 붐을 포함하는 크레인의 제 1 실시 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수축 위치 및 연장 위치에 있는 도 1의 크레인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a는 도 1의 크레인에서 연장 가능한 붐의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상부 측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b는 도 1의 크레인에서 연장 가능한 붐의 베이스 붐 섹션 및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1의 크레인에서 연장 가능한 붐의 베이스 붐 섹션 및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a 내지 도 5e는 상기 연장 가능한 크레인 붐을 작동시키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 1의 연장 가능한 붐의 일부에 대한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6a는 수축 위치에 있는 텔레스코픽 붐 섹션을 갖는 연장 가능한 붐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장치의 제 2 실시 예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6b는 연장 위치에 있는 텔레스코픽 붐 섹션을 갖는 도 6a의 크레인 장치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6의 크레인 장치의 고정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연장 또는 수축 동안 가이드 접점(guide contact)들을 갖는 도 6a의 크레인 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연장 위치에서 도 6의 크레인 장치의 텔레스코픽 붐 섹션을 고정하는데 요구되는 일련의 단계들을 나타내는 고정 시스템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9a는 단계 1: 상부 핀의 삽입을 도시한다.
도 9b는 단계 2: 텔레스코픽 부분의 정렬을 도시한다.
도 9c는 단계 3: 하부 핀의 삽입을 도시한다.
도 10은 연장 위치에 있는 텔레스코픽 부분을 갖는 연장 가능한 붐과, 연장 가능한 붐의 피봇 부분에 연결된 붐 끌어올림 와이어들을 포함하는 크레인 장치의 제 3 실시 예이다.
도 11은 연장 위치에서 도 10의 크레인 장치의 텔레스코픽 붐 섹션을 고정하기 위해 요구되는 일련의 단계들을 나타내는 고정 시스템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1a는 단계 1: 하부 핀의 삽입을 도시한다.
도 11b는 단계 2: 텔레스코픽 부분의 정렬을 도시한다.
도 11c는 단계 3: 상부 핀의 삽입을 도시한다.
도 12는 고정-핀 박스 구조와 일체화된 연장 가능한 붐의 피봇 부분의 상부에 메인 끌어올림(main hoist)과, 붐 팁에 보조 끌어올림(auxiliary hoist)을 갖는 크레인 장치의 제 4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수축 위치 및 연장 위치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연장 가능한 크레인 붐(2)을 포함하는 크레인(1)의 제 1 실시 예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크레인(1)은 연장 가능한 격자 타입 붐(2)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크레인 베이스(3)를 포함한다. 크레인 베이스(3)는 잭 업 플랫폼의 레그(4) 둘레에 장착될 수 있지만, 이와 달리 예를 들어 선회 베어링(slewing bearing)을 갖는 표준 받침대 상에 장착될 수도 있고, 잭 업 플랫폼 또는 이러한 타입의 크레인이 필요한 다른 구조 상에 장착될 수도 있다. 크레인 베이스(3)는 잭 업 플랫폼의 레그(4) 주위에 장착될 수 있다. 격자 타입 붐(2)은, 상기 격자 타입 붐(2)이 실질적으로 수축되고 실질적으로 수평인 위치에 있는 운송 위치(transit position, 미도시)와, 격자 타입 붐이 연장 가능한 작업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크레인 붐의 상기 이동을 수행하기 위해, 크레인(1)은, 연장 가능한 붐(2)을 상기 운송 위치와 상기 작업 위치 사이로 이동시키기 위한 붐 끌어올림 시스템(5, boom hoisting system)을 포함한다. 상기 붐 끌어올림 시스템은 크레인 베이스 상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2개의 붐 끌어올림 윈치(11)들을 포함한다. 붐 끌어올림 시스템(5)은 연장 가능한 붐의 원위 단부 및/또는 베이스 붐 섹션(2a)의 원위 단부에 연결된 2개의 평행한 와이어 로프 및 시브 시스템(sheaves system)들을 포함할 수 있다. 크레인(1)은 하중을 끌어올리기 위한 하중 끌어올림 시스템(6, load hoisting system)을 더 구비한다. 상기 하중 끌어올림 시스템(6)은, 적어도 하나의 메인 끌어올림 윈치(10)와, 연장 크레인 붐(2)의 원위 단부에 장착된 헤드 어셈블리(7)와, 보조 끌어올림 윈치를 포함하는 선택적인 제 2 끌어올림 시스템(8)을 포함하고, 보조 끌어올림 윈치는 메인 끌어올림 시스템 보다 더 높이 그리고 더 신속하게 더 작은 하중들을 끌어올릴 수 있다. 메인 끌어올림 시스템은 예를 들어 지상/갑판 위 대략 115m의 높이까지 대략 2500톤까지의 하중을 끌어올릴 수 있고, 또는 지상/갑판 위 대략 156m의 대략 1250톤까지의 하중을 끌어올릴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최대 대략 16MW의 해상 풍력 터빈의 설치를 허용한다. 이것은 단지 예시일 뿐이며, 더 작거나 더 큰 구성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연장 가능한 붐(2)은 격자 타입 베이스 붐 섹션(2a) 및 적어도 하나의 격자 타입 텔레스코픽 붐 섹션(2b)을 포함한다. 격자 타입 베이스 붐 섹션(2a) 및 격자 타입 텔레스코픽 붐 섹션(2b)은, 각각 트러스(16)들과 상호 연결된 붐 섹션(2a, 2b)의 각각의 코너에 길이 방향 코드(15)들, 특히 4개의 코드(15)들을 포함한다. 베이스 붐 섹션(2a)의 코드(15a)들의 직경은 통상적으로 텔레스코픽 붐 섹션(2b)의 코드(15b)들의 직경보다 크다. 텔레스코픽 붐 섹션(2b)은 실질적으로 베이스 붐 섹션(2a)에 대해, 텔레스코픽 붐 섹션(2b)이 베이스 붐 섹션(2a)의 실질적으로 내부에 있는 수축 위치(도 1a)와, 텔레스코픽 붐 섹션(2b)이 베이스 붐 섹션(2a)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부에 있는 연장 위치(도 1b) 사이에서 조정 가능하다. 앞서 언급한 2500톤까지 하중을 끌어올릴 수 있는 끌어올림 시스템의 예에서, 전체 붐 길이는 예를 들어 수축 위치에서 약 95m일 수 있고, 가장 연장된 위치에서 총 붐의 길이는 약 135m 또는 그보다 길거나 더 짧을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도 1의 크레인에 대한 수축 위치 및 연장 위치를 도시한다. 붐 끌어올림 시스템(5)은 베이스 붐 섹션(2a)의 원위 단부 뿐만 아니라 텔레스코픽 붐 섹션(2b)의 원위 단부, 보다 구체적으로 텔레스코픽 붐 섹션(2b)의 헤드 어셈블리(7)의 헤드 어셈블리(7) 및 베이스 붐 섹션(2a)의 원위 단부 상에 지지 구조(9)에 연결된다. 작동 위치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 가능한 붐(2)이 연장될 수 있을 때, 크레인 붐(2)은 크레인 붐(2)의 실질적으로 수평인 운송 위치와 대략 75˚ - 85˚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2˚의 허용 오차를 갖고 대략 80˚의 각도(α)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위치는 연장 가능한 붐(2)의 가이드 시스템(도 3 참조) 상에 가능한 많은 하중들을 감소시키는 것을 허용한다. 운송 및 작업 위치들은 또한 연장 가능한 붐(2)의 상부 측(17) 및 하부 측(18)을 정의할 수 있게 하고, 하부 측(18)은 연장 가능한 붐(2)의 측부이고, 연장 가능한 붐(2)의 상부 측(17)은 하부 측(18)의 반대 측이다. 붐 끌어올림 시스템(5)은 연장 가능한 붐(2)의 상부 측(17) 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착되는 반면, 하중들은 연장 가능한 붐(2)의 하부 측(18)을 따라 끌어올려진다. 연장 가능한 크레인 붐(2)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텔레스코픽 붐 섹션(2b)을 상기 수축 위치 및 상기 연장 위치 사이에서 조정하도록 마련된 텔레스코픽 시스템(12)을 포함한다. 상기 텔레스코픽 시스템(12)은 베이스 붐 섹션(2a)의 반대 측,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붐 섹션(2a)의 옆 측(lateral side)들 상에 각각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리빙 시스템, 바람직하게는 2개의 리빙 시스템들을 포함한다(도 4 참조). 텔레스코픽 시스템(12)은 연장 가능한 붐(2)을 수축 위치(도 2a)로부터 연장 위치(도 2b)로 비교적 신속하게 연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텔레스코픽 시스템(12)은 적어도 하나의 텔레스코픽 윈치(13)를 포함한다. 리빙 시스템은 와이어 로프(14)를 윈치(13)로 당겨서, 예를 들어 텔레스코픽 붐 섹션(2b)이 베이스 붐 섹션(2a)으로 끌어 당겨지게 할 수 있고, 따라서 가이드 시스템을 따라 움직이는 동안 붐을 연장할 수 있다. 텔레스코픽 붐 섹션(2b)의 수축 동안, 윈치(13)는 와이어 로프(14)를 해제하여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게 하고, 일반적으로 중력의 결과로 아래로 움직인다.
도 3a는 도 1의 크레인(1)의 연장 가능한 붐(2)의 텔레스코픽 붐 섹션(2b)의 상부 측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b는 도 1의 크레인(1)의 연장 가능한 붐(2)의 텔레스코픽 붐 섹션(2b) 및 베이스 붐 섹션(2a)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베이스 붐 섹션(2a) 내외로 텔레스코픽 붐 섹션(2b)의 원활한 연장 및/또는 수축을 개선하기 위해, 연장 가능한 붐은 가이드 레일들과 가이드 레일들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 요소들을 포함하는 가이드 시스템을 포함한다. 텔레스코픽 붐 섹션(2b)은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레일(19)을 구비할 수 있고, 가이드 레일은 텔레스코픽 붐 섹션(2b)의 상부 측(17) 상의 코드(15b) 상에 바람직하게 위치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텔레스코픽 붐 섹션(2b)의 상부 측(17) 상의 2개의 코드(15b)들 각각 상에 위치된다. 상부 가이드 레일(19)은 바람직하게는 연장 가능한 붐(2)의 상부 측(17)과 약 45˚의 각을 이루도록 위치된다. 상부 가이드 레일(19)들 상에 가이드되는 상부 가이드 요소(20)는, 베이스 붐 섹션(2a) 상에,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붐 섹션(2a)의 원위 단부 상에 장착되는, 예를 들어 베이스 붐 섹션(2a)의 원위 단부 상에 지지 구조(9) 상에 장착되는 슬라이딩 패드일 수 있다. 상부 가이드 요소(20)는 가이드 레일(19)의 상부 표면 상에서 가이드 레일(19)과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 상부 표면은 연장 가능한 붐(2)의 상부 측(17)과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상부 가이드 레일(19)은 가이드 레일(19)의 상부 표면의 측부를 따라 제 2 상부 가이드 요소(미도시)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측부는 상기 상부 표면과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룬다. 베이스 붐 섹션(2a)은 적어도 하나의 하부 가이드 레일(21), 바람직하게는 연장 가능한 붐(2)의 하부 측(18) 상의 코드(15a) 상에 각각 제공된 2개의 가이드 레일(21)들이 제공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 측(18)과 45°의 각도를 이루도록 내측으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다. 하부 가이드 레일(21)들 상에 가이드되는 하부 가이드 요소(22)들은 예를 들어 텔레스코픽 붐 섹션(2b)에 장착된, 바람직하게는 텔레스코픽 붐 섹션(2b)의 하부 측(18) 상에 코드(15b)들의 근위 단부 상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딩 패드일 수 있다. 하부 가이드 요소(22)들은 가이드 레일(21)의 결합 표면 상에서 하부 가이드 레일(21)들에 결합되고, 이 표면은 연장 가능한 붐(2)의 하부 측과 대략 45˚의 각도로 경사지고, 상부 각도 가이드 결합(upper angles guiding engagement)과는 대조적으로 더 낮은 반경 방향 가이드 결합(lower radial guiding engagement)을 제공한다. 요약하면, 베이스 붐 섹션(2a)에는 하부 가이드 레일(21)들과 상부 가이드 요소(20)들이 제공되고, 텔레스코픽 붐 섹션(2b)에는 상부 가이드 레일(19)들 및 하부 가이드 요소(22)들이 제공된다. 가이드 시스템 또는 다른 가이드 시스템의 다른 설치가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모든 가이드 레일들(19, 21)은 예를 들어 강철, 바람직하게는 기름칠된 강철로 제조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가이드 레일들(19, 21)은 예를 들어 텔레스코픽 붐 섹션(2b) 또는 베이스 붐 섹션(2a) 각각의 코드를 따라 약 45-50m의 길이로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연장 가능한 붐의 전체 길이 및 상기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길이에 의존한다.
도 4는 도 1의 크레인의 연장 위치에 있는 연장 가능한 붐의 일부의 사시도이다. 연장 가능한 붐(2)은 적어도 연장 포지션에서 베이스 붐 섹션(2a)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텔레스코픽 붐 섹션(2b)을 고정하도록 구성된 고정 시스템(23)을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 시스템(23)은 복수 개의 핀(24)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핀(24)은, 적어도 붐의 연장 포지션에서 연장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베이스 붐 섹션(2a) 및 적어도 하나의 텔레스코픽 붐 섹션(2b) 중 하나에 제공되는 대응 핀 수용 구멍(25, corresponding pin receiving aperture)을 통해 연장된다. 상기 핀 수용 구멍(25)들 중 적어도 하나의 크기는 핀 수용 구멍(25)에 결합하기 위한 상기 복수 개의 핀(24)들 중 대응하는 하나의 단면 치수보다 실질적으로 크다.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고정 시스템(23)은 복수 개의 핀(24)들이 연장되는 지지 구조(9)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 구조(9)는 베이스 붐 섹션(2a)의 원위 단부에 제공된다. 대응 핀 수용 구멍(25)들은 텔레스코픽 붐 섹션(2b)의 코드(15b)에 제공되고, 특히 텔레스코픽 붐 섹션(2b)의 근위 단부에 제공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붐 섹션(2b)의 모든 코드(15b)에 제공된다. 도 4의 실시 예의 고정 시스템은 4개의 1차 핀들을 포함하고, 각각은 텔레스코픽 붐 섹션(2b)의 대응하는 구멍(25) 내로 연장된다. 고정 시스템(23)은 또한 연장 가능한 붐(2)의 하부 측(18) 상의 코드(15)들에 제공되는 핀 수용 구멍들과, 핀(26)들의 제 2 세트를 포함한다. 핀 수용 구멍들 중 적어도 하나는 수용될 대응되는 핀의 단면 치수보다 실질적으로 큰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핀(24)들은 텔레스코픽 붐 섹션(2b)의 코드(15b)들과 베이스 붐 섹션(2a)의 코드(15a)들 사이의 직접적인 연결을 얻도록 적용된다. 텔레스코픽 붐 섹션(2b)은 핀 수용 구멍(25)들의 위치에서 국소적으로 단조되거나(forge) 용접되는 구조(2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e는 도 1의 연장 가능한 붐(2)의 일 부분의 측면도이고, 상기 크레인(1)을 작동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이 방법은 붐 끌어올림 시스템(5)을 작동시켜 연장 가능한 격자 타입 붐(2)을 운송 위치로부터 작업 위치로 가져오는 제 1 단계(미도시)를 포함하고, 실질적으로 수형 및 수축 위치로부터, 연장 가능한 크레인 붐(2)이 실질적으로 수평인 운송 위치에 대해 대략 80˚의 크레인 붐 각도를 포함하는 위치까지 이동한다. 도 5a에 도시된 다음 단계로서, 텔레스코픽 시스템(12)을 조작하여 베이스 붐 섹션(2a)에 대한 텔레스코픽 붐 섹션(2b)을, 신축 가능한 붐 섹션(2b)은 실질적으로 베이스 붐 섹션(2a)의 내부에 있는 수축 위치로부터, 텔레스코픽 붐 섹션(2b)이 베이스 붐 섹션(2a)의 실질적으로 외부에 있는 연장 위치로 조정하도록 작동된다. 베이스 붐 섹션(2a)에 대한 텔레스코픽 붐 섹션(2b)을 연장 또는 수축시키는 텔레스코픽 시스템(12)의 작동 동안, 붐 끌어올림 시스템(5)은 텔레스코픽 붐 섹션(2b)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이 실시 예에서 별도의 정렬 시스템이 요구되지 않는다. 텔레스코픽 시스템(12)의 작동 동안, 측정 시스템(28)은 베이스 붐 섹션(2a)에 대한 텔레스코픽 붐 섹션(2b)의 실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측정 시스템은 결정된 실제 위치의 출력을 출력 모듈에 제공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자동으로 텔레스코픽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다. 원하는 위치에 접근할 때, 즉 핀(24)들이 대응 핀 수용 구멍(25)들과 마주하는 고정 위치에 접근할 때, 측정 시스템(27)은 텔레스코픽 시스템(12)의 속도 감소를 제어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이전 속도의 대략 10%까지의 속도 감소, 즉 상기 고정 위치 전에 0.5m로부터 초당 5mm 속도 감소로 제어될 수 있다. 텔레스코픽 시스템(12)은 텔레스코픽 붐 섹션(2b)이 원하는 고정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자동으로 정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텔레스코픽 붐 섹션(2b)의 정확한 위치는 다시 점검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폐쇄 회로 TV 시스템을 사용하는 조작자에 의해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운영자는 핀 삽입을 위한 신호를 줄 수 있으며, 이는 도 5b에서와 같이 방법의 다음 단계이다. 베이스 붐 섹션(2a)에 대한 텔레스코픽 붐 섹션(2b)의 위치를 실질적으로 결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4개의 제 1 핀(24)들 모두가 대응하는 핀 수용 구멍(25)을 통해 삽입된다. 핀들은 예를 들어 유압식으로 작동되거나, 다른 공지된 방법으로 작동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 수용 구멍(25)들은 핀 수용 구멍(25)에 결합되기 위한 복수 개의 핀(24)들 중 대응하는 하나의 단면 치수보다 실질적으로 크다, 즉 구멍(25)들 내로 삽입되는 동안 핀 (24)들의 둘레 공간은 적어도 10mm이고, 바람직하게는 코드들의 길이 방향으로 훨씬 많이 클 수 있어서, 삽입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고, 핀(24)들이 걸리지 않을 수 있다. 연장 가능한 붐(2)의 상부 측(17) 상의 코드(15b)의 대응하는 구멍 내로 삽입되는 제 1 핀(24)들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둥근 단면을 갖는 핀들이며, 연장 가능한 붐(2)의 하부 측(18) 상의 코드(15b)의 대응하는 구멍 내로 삽입되는 핀들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핀 수용 구멍(25)들은 예를 들어 물방울 형상일 수 있다. 도 5c에 도시된 다음 단계에서, 베이스 붐 섹션(2a)에 대한 텔레스코픽 붐 섹션(2b)의 각위치(angular position)는 제 2 핀 수용 구멍(25b)이 제 2 핀(26)에 대응될 때까지 맞춘다(adapt). 제 2 핀 수용 구멍(25b)은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핀 수용 구멍(25)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보다 큰 단일 수용 구멍의 일부일 수 있지만, 그 상부 섹션은 제 1 핀(24)을 수용하도록 구성하고, 하부 섹션은 제 2 핀(26)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각도 위치의 적응은 텔레스코픽 시스템(12)을 작동시킴으로써, 붐(2)의 상부 측(17) 상의 제 1 핀(24)들이 대응 핀 수용 구멍(25)의 엣지와 접촉할 때까지, 텔레스코픽 붐 섹션(2b)을 하강시킨다. 붐(2)의 하부 측(18) 상의 가이드 시스템, 특히 하부 가이드 레일(21)들이 여전히 접촉되고 하중이 걸려있는 동안, 붐(2)의 상부 측(17) 상의 가이드 시스템, 특히 상부 가이드 레일(19)은 자유롭고 하중은 이제 상기 핀들을 통해 전달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 붐(2)의 하부 측(18) 상의 제 1 핀(24)들이 대응 핀 수용 구멍(25)의 상부 엣지와 접촉할 때까지 텔레스코픽 붐 섹션(2b)은 더욱 하강된다. 여기서, 상부 가이드 레일(19)들 및 하부 가이드 레일(21)들은 모두 하중 해제된다. 상부 측(17) 상의 핀(24)들은 전단 또는 축 방향 하중을 받고, 크레인 붐(2)의 하부 측(18) 상의 핀(24)들은 축 방향 하중만을 받는다. 마지막으로,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2개의 제 2 핀(26)들이 대응 핀 수용 구멍에 삽입되고, 바람직하게는 크레인 붐(2)의 하부 측(18) 상에만 제공된다. 제 2 핀(26)들은 대응 핀 수용 구멍(25b)의 하부 엣지와 접촉하고, 텔레스코픽 붐 섹션(2b)을 베이스 붐 섹션(2a)에 대해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서, 고정 붐 파트로 알려져 있으며, 베이스 붐 섹션(2a)을 갖는 연장 가능한 크레인(1')의 제 2 실시 예와, 하나의 텔레스코픽 섹션(2b)이 수축 위치 및 연장 위치 각각으로 제공된다. 붐 끌어올림 시스템(5)의 붐 끌어올림 와이어들 또는 러핑 와이어들은 텔레스코픽 부분의 상부에 연결된다. '와이어'는 '와이어 로프', '로프' 또는 '케이블'을 의미할 수도 있다. 연장 가능한 붐은 받침대 크레인의 일부로 도시되나, 붐 끌어올림 와이어들을 갖는 어떠한 타입의 크레인일 수 있다.
붐(2)은 원위 텔레스코픽 붐 섹션(2b)들이 베이스 붐 섹션(2a)에 저장될 때 수축 위치에 있다. 수축 위치에서 붐(2)은 붐 끌어올림 시스템(5)에 의해 거꾸로 뒤집힐 수 있다(upend). 정상적인 들어올림 목적들을 위해, 크레인(1')은 수축 위치에서 사용될 수 있고, 크레인이 연장 붐(2) 보다 강력하고 (더 많은 용량) 및/또는 보다 유연하고 사용이 쉽기 때문이다. 뒤집어진 또는 작업 위치에서, 붐(2)은 들어올린 높이가 요구될 때, 예를 들어 타워 꼭대기에 풍력 터빈을 설치할 때, 연장될 수 있다.
도 7은 고정 시스템(23')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격자 구조는 이 실시 예에서 4개의 코드(15)들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붐 끌어올림 요소들이 제공되는 측부에 코드(15)들은 '상부 코드들'로 표시된다. 반대 측 코드들은 '하부 코드들'로 표시된다. 텔레스코픽 붐 섹션(2b)은 베이스 붐 섹션(2a)에 끼워 맞춰질 수 있다. 텔레스코픽 시스템(12)에 대하여, 텔레스코픽 붐 섹션(2b) 및 베이스 붐 섹션(2a) 사이에 장착된 멀티-폴 리빙 시스템(multi-falls reeving system)이 제공된다. 홀링 부분(hauling part)은 선회 플랫폼에 위치한 윈치로 간다.
가이드 레일(19')들은 텔레스코픽 붐 섹션(2b)의 코드(15)들 상에 연결된다. 베이스 붐 섹션(2a)에는 하부 및 상부 가이드(20')들이 장착된다. 가이드 시스템은 예를 들어 붐 섹션(2a) 상의 가이드 레일(19') 및 텔레스코픽 붐 섹션(2b) 상의 가이드(20')들과 마찬가지로 마련될 수 있다.
고정 시스템(23')은 베이스 붐 섹션(2a)의 헤드에 제공되는 지지 구조(9')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 구조(9')는 보강된 '박스형' 구조로 구현되고, 그 측부들은 고정 핀들이 장착되는 판 구조로서 제공된다. 편의상 측 판들은 도 7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박스 구조는 고정 핀들의 하중을 국부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추가 보강재들을 갖는다. 지지 구조(9')는 붐이 연장되고 고정된 위치에 있을 때, 핀 하중이 고정 부분의 코드들에 추가적인 모멘트들을 초래하지 않는다. 따라서, 고정 부분의 코드들은 압축(또는 인장)으로만 하중이 가해지는 것이 유리하다.
도 8에는 붐(2)이 텔레스코픽 붐 섹션(2b)에 연결된 붐 끌어올림 시스템(5)이 러핑 와이어(붐 끌어올림 와이어)들을 갖는 연장 가능한 붐 크레인(1')이 도시된다. 텔레스코픽 가이드들이 접촉하는 위치들은 화살표(30)들로 표시된다. 이는 붐(2)이 완전히 연장되고 후크에 하중이 없는 상황이다. 붐의 자체 중량과 러핑 와이어들의 위치 때문에, 붐은 굽힘 모멘트가 발생하고 아래쪽으로 약간 구부러진다. 도 8에서 붐의 휨은 과장되어 있다. 실제로, 베이스 붐 섹션(2a) 및 텔레스코픽 붐 섹션(2b)의 가이드 사이에는 비교적 작은 움직임 만이 존재한다. 기본적으로 상부 코드(15)들은 압축 상태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 거기에 슬롯-구멍 연결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코드(15)에 고정 핀(24)을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다. 베이스 붐 섹션(2a)에 대한 텔레스코픽 붐 섹션(2b)의 정렬 후에, 고정 핀(26)은 하부 코드의 구멍(25b)에 삽입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끼워 맞춤 구멍에 삽입될 수 있다. 하부 코드들은 인장 하에서 뿐만 아니라 압축 하에서 훅에서의 하중으로 하중이 걸릴 수 있고, 하부 코드에서 고정 핀 연결은 상부 코드의 슬롯 연결과는 반대로 끼워맞춤 연결(fitting connection)인 것이 바람직하다.
붐 상부에 연결된 붐 끌어올림 와이어들이 있는 연장 가능한 붐을 작동하는 과정이 도 9a-9c에 도시되어 있다.
단계 1: 텔레스코픽 시스템의 윈치를 사용하여 텔레스코픽 붐 섹션(2b)이 연장될 수 있다. 텔레스코픽 붐 섹션(2b)은 조금 "너무" 연장될 수 있다. 상부 핀(24)은 슬롯 구멍(25)에 쉽게 삽입될 수 있다. 붐 자체 무게 굽힘 모멘트는 가이드 시스템에 의해 여전히 전달될 수 있다. 상부 핀 삽입 후, 텔레스코픽 시스템(!2)은 상부 핀(24)이 텔레스코픽 붐 섹션(2b)의 대응 슬롯 구멍(25)과 접촉할 때까지 텔레스코픽 붐 섹션(2b)을 조금 더 낮출 수 있다. 텔레스코픽 시스템(12)은 더 이상 작동될 필요가 없으며, 액츄에이터는 텔레스코픽 시스템으로부터 디커플링 및/또는 하중 해제될 수 있으므로, 텔레스코픽 시스템은 연장 위치에서 하중을 전달하지 않는다. 슬롯 구멍 치수들은 압축 하중을 인계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되나, 정렬 후에는 텔레스코픽 붐 섹션을 정렬하고 상부 가이드들을 하중 해제할 수 있다.
단계 2: 정렬 시스템의 유압 잭(31)들을 이용하여, 텔레스코픽 붐 섹션(2b)은, 하부 가이드(20')를 대응하는 가이드 레일(19')로부터 접촉을 해제하기 위해, 상부 핀 연결부에 대해 작은 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 텔레스코픽 붐 섹션(2b)은 이제 베이스 붐 섹션(2a)과 정확히 정렬될 수 있다. 텔레스코픽 붐 섹션(2b) 및 베이스 붐 섹션(2a)이 일직선 상에 있을 때, 하부 핀(26)과 하부 파트의 구멍(25b)은 일직선 사에 있게 되고, 하부 핀(26)은 삽입될 수 있다.
단계 3: 최종 단계는 하부 고정 핀(26)을 삽입하고 정렬 시스템의 유압 잭(31)들을 해제하는 것일 수 있다. 모든 가이드(20')들은 이제 각각의 가이드 레일과의 부하 전달 접촉으로부터 복구되지 않는다. 붐 하중은 고정 핀들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고정 핀들이 결합되면, 텔레스코픽 시스템의 윈치가 언로드되어 모든 고정 장치가 이 고정 핀들을 통해 전달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도 10에는 베이스 붐 섹션(2a)에 연결된 붐 끌어올림 시스템(5)의 러핑 와이어들을 갖는 연장 가능한 붐 크레인(1'')이 도시된다. 텔레스코픽 가이드들이 접촉하는 위치들은 화살표(30)들로 다시 표시된다. 하중은 도 8에 도시된 상황과 비교할 때 반대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는 크레인이 완전히 연장되고, 후크에 하중이 없는 상황이다. 붐의 자체 중량과 러핑 와이어들의 위치로 인해, 붐은 굽힘 모멘트의 영향을 받아 위쪽으로 구부러진다. 도 10에서 붐의 굽힘은 과장되었다. 실제로는 베이스 붐 섹션 및 텔레스코픽 붐 섹션 사이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움직임 만이 있다. 이 경우,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하중 모멘트는 항상 같은 방향이다. 상부 코드들은 장력 하에 하중이 인가되고, 하부 코드들은 압축 하에 하중이 인가된다. 따라서 하중 방향은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부 및 하부 구멍들 모두가 슬롯 구멍들로 제공될 수 있다. 고정 절차는 덜 중요하지만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뒤집힘으로 인한 추가 하중 모멘트로 인해, 이 실행에서, 핀 하중이 훨씬 더 높다. 끼워맞춤 핀과 구멍의 연결은 필요 없지만 상부 코드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1a-11c에 도시된 베이스 붐 섹션의 상부에 연결된 붐 끌어올림 와이어들(러핑 와이어들)이 있는 연장 가능한 붐 크레인(1'')을 작동하는 절차는 다음과 같다.
단계 1: 텔레스코핑 시스템의 윈치로 텔레스코픽 붐 섹션(2b)은 연장될 수 있다. 텔레스코픽 붐 섹션(2b)은 약간 "너무" 연장될 수 있다. 하부 핀(24)은 슬롯 구멍(25)에 쉽게 삽입될 수 있다. 붐의 자체 무게 모멘트는 가이드 시스템에 의해 계속 전달된다. 하부 핀 삽입 후, 텔레스코픽 시스템(12)은 상부 핀(24)이 텔레스코픽 붐 섹션(2b)의 대응 구멍(25)과 접촉할 때까지 텔레스코픽 붐 섹션(2b)을 약간 하강시킬 수 있다. 텔레스코픽 시스템의 액츄에이터를 하중 해제할 수 있으므로, 텔레스코픽 시스템의 부하 전달을 완화할 수 있다. 슬롯 구멍 치수들은 바람직하게는 압축 부하를 대신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되지만 또한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정렬을 허용할 수 있다.
단계 2: 정렬 시스템의 유압 잭들을 이용하여, 상부 가이드 및 대응 가이드 레일 사이에 하중 전달 연결을 해제하기 위해, 텔레스코픽 붐 섹션(2b)이 하부 핀 연결부에 대해 작은 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 텔레스코픽 붐 섹션(2b)은 이제 베이스 붐 섹션(2a)과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다. 텔레스코픽 붐 섹션(2b) 및 베이스 붐 섹션(2a)이 일직선 상에 있을 때, 상부 파트의 구멍(25b)과 핀(26)은 일직선이 되어 상부 핀(26)이 삽입될 수 있다.
단계 3: 마지막 단계는 상부 고정 핀(26)을 삽입하고 정렬 시스템의 유압 잭들을 해제하는 것이다. 모든 가이드들에는 대응 가이드 레일이 없으므로, 가이드와 가이드 레일 사이의 하중 전달이 방지될 수 있다. 가이드와 가이드 레일은 더 이상 접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붐 하중은 고정 핀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고정 핀들이 맞물릴 때 텔레스코픽 시스템의 액츄에이터를 하중 해제하여 모든 하중 전달이 텔레스코픽 시스템을 통하지 않고 이러한 고정 핀들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2는 레그(4) 주위의 크레인(1''')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하고, 연장 가능한 붐(2)을 갖는 해상 잭-업 플랫폼들 상에 주로 사용된다. 고정 핀(24)들이 장착된 베이스 붐 섹션(2a)의 상부에 있는 지지 구조(9)는 이제 메인 끌어올림(32)에 통합되어 있다. 정상 작동 시, 텔레스코핑 섹션(2b)은 수축되고, 베이스 붐 섹션(2a)에서 메인 끌어올림(32)이 사용될 것이다. 큰 들어올림 높이가 필요할 때, 풍력 터빈이 타워 상부에 설치될 때와 같이, 또는 블레이드들이 풍력 터빈에 부착될 때, 크레인(1''')이 연장되고 보조 끌어올림(8)이 사용될 것이다.
격자 타입 섹션들을 포함하는 연장 가능한 붐(2)을 갖는 크레인(1)은 해상 설치 잭-업 플랫폼에 사용될 때 몇 가지 이점들을 갖는다. 운송 위치에 있을 때 크레인 붐(2)은 수축될 수 있는데, 풍력 터빈의 설치에 요구되는 대형 들어올림 높이가 가능한 붐은 붐 레스트(boom rest)로부터 돌출하지 않을 수 있고, 이는 더 긴 고정 붐을 이용할 때 생기는 문제점을 제거한다.
도면들은 비-제한적인 예로서 주어진 본 발명의 실시 양태의 개략적인 표현에 불과하다는 것을 유의 하여야 한다. 명확성 및 간략한 설명을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동일한 또는 개별 실시 예의 일부로서 특징이 설명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특징 전부 또는 일부의 조합을 갖는 실시 예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포함하는'이라는 단어는 청구항에 나열된 것 이외의 다른 기능 또는 단계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하나의'라는 단어는 '단지 하나'로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대신 '적어도 하나'라는 의미로 사용되며, 복수를 배제하지 않는다. 어떤 특징들이 열거된다는 단순한 사실은 이러한 특징들의 조합이 유리하게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많은 변형 예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모든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24)

  1. 크레인을 위한 연장 가능한 격자 타입 크레인 붐에 있어서,
    상기 붐은 격자 타입 베이스 붐 섹션과, 적어도 하나의 격자 타입 텔레스코픽 붐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텔레스코픽 붐 섹션은, 상기 텔레스코픽 붐 섹션이 실질적으로 상기 베이스 붐 섹션의 내부에 있는 수축 위치와, 상기 텔레스코픽 붐 섹션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베이스 붐 섹션의 외부에 있는 연장 위치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 붐 섹션에 대해 조정 가능하고,
    적어도 상기 연장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 붐 섹션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텔레스코픽 붐 섹션을 고정하는 고정 시스템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시스템은 복수 개의 핀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핀은, 상기 붐의 적어도 연장 위치에서 연장하고, 상기 베이스 붐 섹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텔레스코픽 붐 섹션 중 하나에 제공된 대응 핀 수용 구멍을 부분적으로 통과하고,
    상기 핀 수용 구멍들 중 적어도 하나의 크기는 상기 핀 수용 구멍에 결합하기 위한 상기 복수 개의 핀들 중 대응하는 하나의 단면 치수보다 실질적으로 더 큰 연장 가능한 격자 타입 크레인 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시스템은 지지 구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핀들은 상기 지지 구조로부터 연장하는 연장 가능한 격자 타입 크레인 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는 상기 베이스 붐 섹션의 원위 단부에 제공되는 연장 가능한 격자 타입 크레인 붐.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핀 수용 구멍은 상기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코드, 바람직하게는 상기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근위 단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모든 코드의 근위 단부에 제공되는 연장 가능한 격자 타입 크레인 붐.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시스템은, 상기 베이스 붐 섹션 및 상기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하부 측에 제공되는, 핀들 및 대응 핀 수용 구멍들의 제 2 세트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핀 수용 구멍들 중 적어도 하나는 수용되는 대응하는 핀의 단면 치수보다 실질적으로 더 큰 크기를 갖는 연장 가능한 격자 타입 크레인 붐.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붐 섹션을 따라 상기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시스템을 포함하는 연장 가능한 격자 타입 크레인 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시스템은, 상기 베이스 붐 섹션 및/또는 상기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코드 상에, 상기 붐의 상부 또는 하부 측에 대해 실질적으로 45˚ 각도 이하로 제공되는 연장 가능한 격자 타입 크레인 붐.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붐 섹션에 대한 상기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위치를 검출하는 측정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연장 가능한 격자 타입 크레인 붐.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텔레스코픽 붐 섹션을 상기 수축 위치 및 상기 연장 위치 사이에서 조정하도록 마련된 텔레스코픽 시스템을 더 포함하고,
    상기 텔레스코픽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리빙 시스템을 포함하는 연장 가능한 격자 타입 크레인 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스코픽 시스템은 2개의 리빙 시스템들을 포함하고, 각각은 상기 베이스 붐 섹션의 반대 측,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 붐 섹션의 옆 측 상에 제공되는 연장 가능한 격자 타입 크레인 붐.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연장 가능한 격자 타입 크레인 붐을 위한 고정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고정 시스템은, 적어도 상기 붐의 연장 위치에서, 상기 연장 가능한 붐의 인접한 텔레스코픽 붐 섹션에 대해 상기 연장 가능한 붐의 텔레스코픽 붐 섹션 또는 베이스 붐 섹션을 고정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고정 시스템은 복수 개의 핀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핀은, 적어도 상기 붐의 연장 위치에서 연장하고, 상기 인접한 텔레스코픽 붐 섹션에 제공되는 대응 핀 수용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통과하고,
    상기 핀 수용 구멍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면은, 상기 복수 개의 핀들 중 대응하는 하나의 단면보다 실질적으로 더 큰 고정 시스템.
  12.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에 있어서,
    복수 개의 텔레스코픽 붐 섹션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텔레스코픽 붐 섹션은 제 11 항에 따른 고정 시스템을 통해 인접한 텔레스코픽 붐 섹션과 고정 가능한 연장 가능한 격자 타입 크레인 붐.
  13. - 제 1 항 내지 제 10 항 또는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연장 가능한 격자 타입 크레인 붐 -상기 격자 타입 붐은, 상기 격자 타입 붐이 실질적으로 수축되고 실질적으로 수평 위치에 있는 운송 위치와, 상기 격자 타입 붐이 연장 가능한 작업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함-;
    - 상기 연장 가능한 격자 타입 붐이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는 크레인 베이스;
    - 상기 운송 위치 및 상기 작업 위치 사이에서 상기 연장 가능한 붐을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붐 끌어올림 시스템; 및
    - 하중을 끌어올리는 하중 끌어올림 시스템을 포함하는 크레인.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붐 끌어올림 시스템은 상기 베이스 붐 섹션의 원위 단부 뿐만 아니라 상기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원위 단부에 연결되는 크레인.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 베이스는 잭 업 플랫폼의 레그 주위에 장착 가능한 크레인.
  16. 연장 가능한 격자 타입 크레인 붐, 바람직하게는 제 1 항 내지 제 10 항 및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붐을 포함하는 크레인, 바람직하게는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크레인을 작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장 가능한 격자 타입 붐은, 격자 타입 베이스 붐 섹션과, 적어도 하나의 격자 타입 텔레스코픽 붐 섹션을 포함하고,
    - 연장 가능한 격자 타입 붐을 운송 위치로부터 작업 위치로 가져오기 위해 붐 끌어올림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단계;
    - 상기 베이스 붐 섹션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텔레스코픽 붐 섹션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텔레스코픽 붐 섹션이 실질적으로 상기 베이스 붐 섹션의 내부에 있는 수축 위치로부터, 상기 텔레스코픽 붐 섹션이 상기 베이스 붐 섹션의 실질적으로 외부에 있는 연장 위치로 텔레스코픽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단계;
    - 상기 베이스 붐 섹션에 대한 상기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위치를 실질적으로 결정하기 위해 대응하는 핀 수용 구멍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주 핀을 삽입하는 단계;
    - 제 2 핀 수용 구멍이 제 2 핀과 대응할 때까지, 상기 베이스 붐 섹션에 대해 상기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각위치(angular position)를 맞추는 단계; 및
    - 대응하는 제 2 핀 수용 구멍에 적어도 하나의 제 2 핀을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붐 섹션에 대해 상기 텔레스코칙 붐 섹션을 연장 또는 수축시키는 상기 텔레스코픽 시스템의 작동 동안, 상기 붐 끌어올림 시스템은 상기 텔레스코픽 붐 섹션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텔레스코픽 시스템을 따르도록 제어되는 방법.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스코픽 시스템의 작동 동안, 크레인 붐 각도는 약 80도인 방법.
  19. 제 16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스코픽 시스템의 작동 동안, 측정 시스템은 상기 베이스 붐 섹션에 대한 상기 텔레스코픽 크레인 붐 섹션의 실제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시스템은 결정된 실제 위치를 출력 모듈에 제공하는 방법.
  21. 제 16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하는 연장 위치에 접근할 때, 상기 측정 시스템은 상기 텔레스코픽 시스템의 속도 감소를 제어하는 방법.
  22. 제 16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하는 연장 포지션에 도달할 때, 작업자에 의한 육안 검사 후 및/또는 측정 시스템에 의한 핀 수용 구멍의 최종 위치의 결정 후, 적어도 하나의 제 1 핀은 적어도 하나의 제 1 구멍에 삽입되는 방법.
  23.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크레인을 포함하는 잭 업 플랫폼.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 베이스는 상기 잭 업 플랫폼의 레그 주위에 장착되는 잭 업 플랫폼.
KR1020197011084A 2016-09-19 2017-06-06 고정 시스템을 갖는 연장 가능한 붐과 크레인의 연장 가능한 붐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 KR201900470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2017498 2016-09-19
NL2017498 2016-09-19
PCT/NL2017/050370 WO2018052283A1 (en) 2016-09-19 2017-06-06 Extendable boom with a locking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n extendable boom of a cra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7077A true KR20190047077A (ko) 2019-05-07

Family

ID=59227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1084A KR20190047077A (ko) 2016-09-19 2017-06-06 고정 시스템을 갖는 연장 가능한 붐과 크레인의 연장 가능한 붐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542130B2 (ko)
EP (1) EP3515851B1 (ko)
JP (1) JP6983894B2 (ko)
KR (1) KR20190047077A (ko)
CN (1) CN109982958B (ko)
DK (1) DK3515851T3 (ko)
ES (1) ES2949161T3 (ko)
PL (1) PL3515851T3 (ko)
WO (1) WO20180522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19511B1 (en) * 2017-09-08 2019-03-19 Mammoet Eng B V Crane comprising first mast with tiltable first mast upper part
NL2021383B1 (en) * 2018-07-24 2020-01-30 Mammoet Holding B V Crane, method for assembling a crane and method for disassembling a crane
WO2020022881A1 (en) * 2018-07-24 2020-01-30 Mammoet Holding B.V. Crane, method for assembling a crane and method for disassembling a crane
NL2021625B1 (en) * 2018-09-13 2020-05-06 Gustomsc Resources Bv Controlling movement of a cantilever structure of an offshore platform
EP3980363B1 (en) * 2019-06-07 2023-09-06 Itrec B.V. Hoisting crane for use on an offshore vessel and method of operation
NL2024203B1 (en) * 2019-11-08 2021-07-20 Gustomsc B V Extendable lattice type crane boom, and method for operating a crane including an extendable boom.
NL2024512B1 (en) * 2019-12-19 2021-09-02 Itrec Bv Offshore vessel crane
CN111908356B (zh) * 2020-07-30 2022-06-14 杭州瑞林机械有限公司 一种可伸缩式的施工塔吊臂
USD1019048S1 (en) * 2021-07-01 2024-03-19 Liebherr-Werk Biberach Gmbh Crane
SE545505C2 (en) * 2021-09-03 2023-10-03 Bassoe Tech Ab Method for arranging a crane machine on a wind power station
DE102022128653A1 (de) 2022-10-28 2024-05-08 Liebherr-Werk Ehingen Gmbh Fahrbarer Kran mit Gittermastausleger, Gittermastausleger sowie Verfahren zur Montage eines solchen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30376A (en) * 1973-02-16 1974-08-20 Harnischfeger Corp Telescopic jib and bearing means therefor
JPS51145173U (ko) * 1974-11-29 1976-11-22
US4053058A (en) 1976-05-27 1977-10-11 Fmc Corporation Suspended extensible boom
JPS59116396U (ja) 1983-01-26 1984-08-06 日立建機株式会社 ラチス式伸縮ブ−ム
JPS628996A (ja) 1985-07-04 1987-01-16 近畿イシコ株式会社 伸縮折畳み式クレ−ン
JPS63183188U (ko) 1987-01-28 1988-11-25
JPS63119590U (ko) * 1987-01-28 1988-08-02
JPH07109091A (ja) 1993-10-15 1995-04-25 Sumitomo Constr Mach Co Ltd タワークレーンのジブ装置
JP3065560B2 (ja) * 1997-05-16 2000-07-17 住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ピン結合装置
US6523491B1 (en) * 1999-11-12 2003-02-25 Textron Inc. Lift boat
US7344037B1 (en) * 2002-11-18 2008-03-18 Mi-Jack Products, Inc. Inventory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and method with guidance for load-handling vehicle
JP4287667B2 (ja) 2003-02-17 2009-07-01 株式会社タダノ ブーム伸縮機構の制御装置
FR2853891B1 (fr) 2003-04-17 2006-05-19 Potain Sa Dispositif d'assemblage demontable des elements de fleche d'une grue a tour
EP2516753A4 (en) * 2009-12-22 2013-05-22 Total Marine Services Inc SUBMERSIBLE POSITIONABLE MOUNT FOR SEA INSTALLATION
DE202010014105U1 (de) 2010-10-08 2012-01-10 Liebherr-Werk Ehingen Gmbh Auslegerelement, Teleskopausleger, Verbolzsystem sowie Baufahrze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3515851T3 (da) 2023-07-10
CN109982958B (zh) 2021-09-24
US20190218075A1 (en) 2019-07-18
EP3515851A1 (en) 2019-07-31
JP6983894B2 (ja) 2021-12-17
PL3515851T3 (pl) 2023-08-07
EP3515851B1 (en) 2023-06-07
JP2019529293A (ja) 2019-10-17
ES2949161T3 (es) 2023-09-26
US11542130B2 (en) 2023-01-03
WO2018052283A1 (en) 2018-03-22
CN109982958A (zh) 2019-07-05
WO2018052283A9 (en) 2018-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7077A (ko) 고정 시스템을 갖는 연장 가능한 붐과 크레인의 연장 가능한 붐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
US20240109758A1 (en) Extendable lattice type crane boom, and method for operating a crane including an extendable boom
US9732726B2 (en) Component handling, in particular wind turbine component handling
CN112424472B (zh) 用于安装风力涡轮机部件的装置和使用所述装置的安装方法
US20170370068A1 (en) Pile upending system
CN111094169A (zh) 包括具有可倾斜的第一桅杆上部的第一桅杆的起重机
CN114174209A (zh) 具有吊机连接元件的风力涡轮机塔架和具有塔架凸缘连接元件的吊机
US10875748B2 (en) Marine crane vessel and method of operation
JP7434335B2 (ja) 風力タービンを海上の下部構造体の上に設置するための多機能クランプ、システム及び方法
CN109626238B (zh) 具有将悬臂锁定在升高构造中的装置的俯仰悬臂起重机
EP4077197B1 (en) Offshore vessel crane
WO2020225157A1 (en) Compact jib crane
EP3260604A1 (en) Top part of a base construction
EP3980363B1 (en) Hoisting crane for use on an offshore vessel and method of operation
US10994971B2 (en) Crane, method for assembling a crane and method for disassembling a cra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