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6919A - 린텔 - Google Patents

린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6919A
KR20190046919A KR1020197009183A KR20197009183A KR20190046919A KR 20190046919 A KR20190046919 A KR 20190046919A KR 1020197009183 A KR1020197009183 A KR 1020197009183A KR 20197009183 A KR20197009183 A KR 20197009183A KR 20190046919 A KR20190046919 A KR 20190046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tel
protrusions
side legs
base member
elong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9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0434B1 (ko
Inventor
위 벵 엔지
게리 도날드 와트
Original Assignee
2이엘엠에스 피티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2이엘엠에스 피티이. 엘티디. filed Critical 2이엘엠에스 피티이.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90046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6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0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0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3/06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substantially solid, i.e. unapertured, web
    • E04C3/07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substantially solid, i.e. unapertured, web at least partly of bent or otherwise deformed strip- or sheet-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2003/023Lint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08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assembly or the cross-section
    • E04C2003/0421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assembly or the cross-section comprising one single unitary par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4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substantial shape of the cross-section
    • E04C2003/0473U- or C-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 Insulator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Revetment (AREA)
  • Floor Finish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린텔(100)이 여기에 개시되어 있다. 기술된 실시예에서, 린텔(100)은 세장형 린텔 몸체(106)를 포함하고, 세장형 린텔 몸체(106)는 세장형 베이스 부재(110) 및 세장형 베이스 부재로부터 연장되어 그들 사이에 세장형 채널을 한정하는 측부 레그(112, 114)를 포함한다. 세장형 린텔 몸체(106)는 석조물 요소(206)를 지지하기 위해 각각의 측부 레그(112, 114)로부터 돌출하는 립 부재(118, 120) 형태의 부하 지지 요소, 지지 구조체(202, 204)와 맞물리기 위한, 린텔 몸체의 단부에 있는 단부 부분(102, 104), 및 적어도 단부 부분에 배치된 복수의 돌출부(122)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린텔
본 발명은 린텔(lintel)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인 채널 린텔은 수평 베이스를 포함하는데, 수평 베이스의 양 측부를 따라 직립 측부 레그가 있다. 지지되는 석조물(masonry)은 채널 내에, 즉 측부 레그들 사이에, 그리고 수평 베이스 상에 위치한다. 그러나, 그러한 배열은 구조적으로 효율적이지 않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단점 중 적어도 하나를 해결하는 린텔을 제공하는 것 및/또는 대중에게 유용한 선택지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양태에서, 지지 구조체에 의해 한정된 개구부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린텔을 제공하고, 린텔은 세장형 린텔 몸체를 포함하고, 세장형 린텔 몸체는 세장형 베이스 부재; 세장형 베이스 부재로부터 연장되어 그들 사이에 세장형 채널을 한정하는 측부 레그들; 석조물 요소를 지지하기 위해 측부 레그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돌출하는 부하 지지 요소; 지지 구조체와 맞물리기 위한, 린텔 몸체의 단부에 있는 단부 부분; 및 적어도 단부 부분에 배치된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한다.
기술된 실시예는 돌출부로 인해 린텔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부하 지지 요소가 석조물 요소를 지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채널을 충전하기 위해 석조물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재료를 절감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돌출부는 서로 이격되며 린텔 몸체의 길이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돌출부 중 일부는 베이스 부재에 배치되고 다른 돌출부들은 측부 레그에 배치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돌출부는 세장형일 수도 있으며, 린텔 몸체의 종축을 횡단하는 돌출부 종축을 가질 수도 있다. 유리하게는, 각각의 돌출부는 채널 쪽으로 내측을 향하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부하 지지 요소는 측부 레그의 각 에지로부터 돌출하며 채널의 종축을 따르는 립 부재(lip member)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립 부재는 석조물 요소를 지지하도록 배열된다.
린텔은 복수의 천공부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천공부는 복수의 돌출부의 각각과 교차 배치될 수도 있다. 천공부는 원형 또는 다른 형상일 수도 있다.
다른 양태는 제 1 양태의 린텔을 제조하는 방법(예컨대, 엠보싱에 의해 린텔의 돌출부를 제조하는 방법), 또는 제 1 양태의 린텔을 사용하여 석조 벽체를 구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일 수도 있다.
하나의 양태와 관련된 특징들이 또한 다른 양태들과 관련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이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하기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에 걸쳐 있는 린텔의 간략도이다;
도 2는 린텔의 일부를 더 자세히 도시하기 위한 도 1의 A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석조물을 나타내지 않은 도 2의 린텔의 일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린텔의 B-B 방향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린텔의 C 방향에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은 개구부(200)에 걸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린텔(100)을 도시한다. 린텔(100)은 개구부(200)를 한정하는 지지 구조체(202, 204)에 의해 지지되는 단부 부분(102, 104)을 갖는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린텔(100)은 개구부(200) 위의 부하(206)를 지탱하도록 배열되며, 본 실시예에서, 부하(206) 및 지지 구조체(202, 204)는 벽돌, 콘크리트 유닛, 건축용 석재 등의 석조물로 형성된다.
도 2는 린텔(100)의 일부를 더 자세히 도시하기 위한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3은 지지 구조체를 나타내지 않은 도 2의 일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린텔의 B-B 방향에서의 단면도인 반면에, 도 5는 도 3의 린텔(100)의 C 방향에서의 부분 단면도이다.
린텔(100)은 일반적으로 조립식이며, 바람직하게는 강 또는 다른 금속으로 제조된다. 린텔(100)은 개구부(200)에 걸쳐 있는 종축(108)을 갖는 세장형 린텔 몸체(106)를 포함하고, 린텔 몸체(106)는 대체로 편평한 세장형 베이스 부재(110)를 포함한다. 린텔 몸체(106)는 베이스 부재(110)의 각각의 측부를 따라 수직으로 돌출하여 대체로 U자형의 채널(116)을 한정하는 측부 레그(112, 114)를 더 포함한다(도 4 참조).
린텔(100)은 석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부하 지지 요소를 더 포함하고, 부하 지지 요소는 측부 레그(112, 114)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돌출하도록 배열된다. 본 실시예에서, 부하 지지 요소는 측부 레그(112, 114)에 대해 대략 직각으로 서로를 향해 내향으로 돌출하는 립 부재(118, 120)를 포함한다. 대향하는 립 부재(118, 120)의 각각은 약 10mm의 폭(W)을 갖는다.
린텔(100)은 린텔 몸체(106)의 구조적 강도를 강화 또는 보강하도록 배열된 복수의 돌출부(122)를 더 포함한다. 돌출부(122)는 린텔 몸체(106)에 형성되고, 린텔 몸체(106)의 종축(108)을 따라 규칙적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인접한 돌출부들 사이의 중심 간 거리는 약 30mm이다. 돌출부(122)는 베이스 부재(110) 및 측부 레그(112, 114)에 형성되어 돌출부 세트를 형성하는데, 각 세트(122a)는 베이스 부재(110) 및 측부 레그(112, 114) 각각 위에 하나씩의 돌출부(122)를 가지며 이들은 공통 평면을 따라 정렬된다.
각각의 돌출부(122)는 세장형이고, 유한 길이의 스트립 및 돌출부 종축(124)을 가지며, 본 실시예에서, 돌출부(122)는 돌출부 종축(124)이 린텔 몸체(106)의 길이 또는 종축(108)을 횡단하도록 배열된다. 돌출부(122)는 반원형 단부를 형성하도록 약 4mm의 단부 반경을 갖는 약 8mm의 돌출부 폭(Pw)을 갖는다(도 5 참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22)는 약 1 mm 또는 2mm 깊이의 오목한 오목부를 형성하도록 바람직하게는 엠보싱에 의해 채널(116)을 향하여 내향으로 형성된다. 말할 필요도 없이, 다른 치수들도 가능하다.
린텔 몸체(106)는 일련의 천공부를 더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서, 천공부는 열(raw)을 이루어 배열되며 복수의 세장형 돌출부 사이에 교차 배치된 원형 구멍(126)이다. 각 열은 베이스 부재(110) 및 측부 레그(112, 114) 각각에 2개씩의 원형 구멍(126)을 갖는다. 이들 원형 구멍(126)은 린텔(100)과 린텔(100)에 적용된 모래-시멘트 회반죽 마감재 사이의 보다 큰 접합을 허용하기 위해 모르타르를 수용하도록 배열된다.
사용시, 린텔(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200)에 걸치도록 배열된다. 그러나, 석조물이 채널(116) 내에 배열되는 대신에, 석조물(또는 부하)(206)은 립 부재(118, 120) 상에 놓이며, 그에 따라, 립 부재(118, 120)가 린텔(100) 상부의 부하(206)의 중량을 지지하도록 배열된다. 립 부재(118, 120)에 작용하는 부하(206)는 린텔 몸체(106)를 거쳐서(측부 레그(112, 114) 및 베이스 부재(110)를 거쳐서) 그리고 린텔 몸체의 단부 부분(102, 104)을 거쳐서 지지 구조체(202, 204)로 점진적으로 전달된다.
돌출부(122)의 존재로 인해 베이스 부재(110) 및 측부 레그(112, 114)가 강화되어, 지지 구조체(202, 204)와 접촉해 있는 베이스 부재(110)에서의 부하로 인한 베이스 부재(110)의 뒤틀림 및/또는 측부 레그(112, 114)의 휨 또는 굽힘의 가능성이 감소하며, 이는 보다 효율적인 부하 전달을 초래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돌출부(122)의 사용은 또한 이러한 파손 모드를 처리하기 위해 린텔(100)의 두께 또는 제조 재료 응력 등급을 증가시킬 필요를 없애고, 그에 따라 재료의 보다 경제적인 사용이 달성될 수 있다.
실제로, 돌출부(122)는 특히 개구부(200)의 폭이 더 좁은 상황(따라서, 린텔(100)이 그에 대응하여 더 짧아질 수도 있음)에서 린텔(100)이 더 많은 부하를 지지할 수 있게 한다.
린텔(100)이 (채널(116) 내에서가 아니라) 립 부재(118, 120)에서 부하(206)를 지지하므로, 하기와 같은 장점이 제공된다:
ⅰ) 채널(116) 내에 석조물을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석조물의 중량 및 사용이 간접적으로 절약되는 것(또는 석조물의 사용이 감소되는 것); 및
ⅱ) 3mm 정도로 얇은 회반죽(예컨대, 스킴 코트(skim coat) 상황)이 석조물 유닛에 사용될 수도 있는 것. 이는 종래의 채널 린텔에서는 불가능한데, 그러한 린텔의 측부 레그는 석조물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립 부재(118, 120)는 린텔(100)의 부하 용량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예컨대, 10mm 립 부재(118, 120)를 갖는 60mm×60mm(즉, 폭 및 높이) 린텔(100)의 강성은 립 부재가 없는 유사 크기의 린텔보다 약 30% 더 크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측부 레그(112, 114) 상의 돌출부(122)는 짧은 스팬(span)에 대한 부하 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에 도움을 주며, 또한 회반죽 부착(keying) 또는 접합(bonding)을 돕는다. (돌출부(122)가 "블라인드 홀"이고 관통 구멍이 아니기 때문에) 돌출부(122)는 더 많은 모르타르가 관통하여 더 잘 접합될 수 있게 하는 천공부(126)만큼 우수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돌출부는 모르타르가 돌출부(122)(의 외측)를 충전할 수 있기 때문에 접합 공정에 도움이 된다.
기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예컨대, 기술된 실시예에서, 돌출부(122)는 세장형 유한 스트립의 형상으로 형성되지만, 다른 형상이 고려된다. 또한, 돌출부(122)는 최대의 효과를 얻기 위해 이들의 돌출부 종축(124)이 베이스 부재(110)의 폭을 가로질러 그리고 측부 레그(112, 114) 위로 연장되도록 배열되지만, 돌출부(122)는, 그것이 바람직하지는 않더라도, 린텔 몸체(106)의 길이 또는 종축(108)에 평행한 것과 같은 다른 배향(orientation) 또는 방향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기술된 실시예에서, 돌출부(122)는 제조의 용이함을 위해 서로 이격되며 린텔 몸체(106)의 전체 길이를 따라 배치된다. 이것은 또한, 지지 구조체(202, 204)를 지지하거나 또는 지지 구조체(202, 204)에 놓이는 린텔(100)의 단부 부분(102, 104)의 양이 통상적으로 린텔 및 개구부(200)의 길이 등에 기초하여 현장에서 결정되기 때문에 유익하다. 그러나, 돌출부(122)는 부하 전달 효율의 이점을 얻기 위해 지지 구조체(202, 204)에 놓이는 린텔 몸체(106)의 단부 부분(102, 104)에 또는 그 근처에 형성되기만 하면 좋으므로, 돌출부(122)는 린텔 몸체(106)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마찬가지로, 양 측부 레그(112, 114)에 돌출부(12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는 필수적이지 않을 수도 있으며, 특정 응용예에서는, 돌출부(122)가 측부 레그(112, 114) 중 단지 하나에만 형성되거나, 또는 측부 레그(112, 114)에는 형성되지 않고 오직 베이스 부재(110)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기술된 실시예에서, 돌출부(122)는 채널(116) 쪽으로 내측을 향하도록 형성되지만, 돌출부(122)는 외측으로, 즉 채널(11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게 될 수도 있다.
립 부재(118, 120)의 형상 및 치수는 변경될 수도 있다. 예컨대, 기술된 실시예는 제조를 보다 용이하게 하는, 린텔 몸체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연속적인 립 부재(118, 120)를 도시하지만, 립 부재(118, 120)는 서로 이격된 일련의 개별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립 부재(118, 120)의 치수는 린텔(100)의 크기 및 응용예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립 부재 치수에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립 부재(118, 120)가 너무 작으면 효과 및 이점이 제한될 수 있는 반면에, 립 부재(118, 120)가 너무 크면 부하 전달이 효율적이지 않을 수도 있다. 실제로, 립 부재(118, 120)의 폭(W)은 특정 부하 전달 효율을 달성하기 위해 측부 레그(112, 114)의 강 두께 및 크기의 함수로서 바뀔 수도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예컨대, 10mm 폭의 립 부재(118, 120)는 최적 부하 전달 효율을 달성하기 위해 약 1mm의 린텔 몸체(106)의 두께에 유용할 수 있다.
립 부재(118, 120)는 기술된 실시예에서 서로를 향해 돌출하지만, 립 부재(118, 120)는 서로 멀어지게 외측을 향할 수도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기술된 실시예의 린텔(100)은 대체로 U자형의 채널(116)을 포함하지만, 채널(116)의 형상은 바뀔 수도 있다. 실제로, 기술된 실시예의 양태는 부하 지지 요소가 채널(116)을 폐색할 수 있는 "상자형 린텔(box lintel)"에 사용될 수도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예컨대, 부하 지지 요소는 측부 레그(112, 114) 중 일방의 측부 레그의 하나의 에지로부터 돌출하며 타방의 측부 레그(112, 114)까지 가로질러 연장하여, 부하가 부하 지지 요소 상에 여전히 잔존하는 상자형 린텔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제 본 발명을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그에 대한 많은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9)

  1. 지지 구조체에 의해 한정된 개구부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린텔(lintel)에 있어서,
    세장형 린텔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린텔 몸체는,
    (ⅰ) 세장형 베이스 부재;
    (ⅱ) 상기 세장형 베이스 부재로부터 연장되어 그들 사이에 세장형 채널을 한정하는 측부 레그들;
    (ⅲ) 석조물 요소(masonry element)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측부 레그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돌출하는 부하 지지 요소;
    (ⅳ) 상기 지지 구조체와 맞물리기 위한, 상기 린텔 몸체의 단부에 있는 단부 부분; 및
    (ⅴ) 적어도 상기 단부 부분에 배치된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린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서로 이격되며 상기 린텔 몸체의 길이를 따라 배치되는
    린텔.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 중 일부는 상기 베이스 부재에 배치되고, 다른 돌출부들은 상기 측부 레그에 배치되는
    린텔.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돌출부는 세장형이며, 상기 린텔 몸체의 종축을 횡단하는 돌출부 종축을 갖는
    린텔.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돌출부는 상기 채널 쪽으로 내측을 향하도록 배열되는
    린텔.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지지 요소는, 상기 측부 레그의 각각의 에지로부터 돌출하며 상기 채널의 종축을 따르는 립 부재(lip member)를 포함하고, 상기 립 부재는 상기 석조물 요소를 지지하도록 배열되는
    린텔.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천공부를 더 포함하는
    린텔.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천공부는 상기 복수의 돌출부의 각각과 교차 배치되는
    린텔.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부는 원형인
    린텔.
KR1020197009183A 2016-09-09 2017-08-29 린텔 KR1024704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G10201607534S 2016-09-09
SG10201607534SA SG10201607534SA (en) 2016-09-09 2016-09-09 A lintel
PCT/SG2017/050425 WO2018048347A1 (en) 2016-09-09 2017-08-29 A lint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919A true KR20190046919A (ko) 2019-05-07
KR102470434B1 KR102470434B1 (ko) 2022-11-23

Family

ID=61562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9183A KR102470434B1 (ko) 2016-09-09 2017-08-29 린텔

Country Status (23)

Country Link
EP (1) EP3510213B1 (ko)
KR (1) KR102470434B1 (ko)
CN (1) CN109790714A (ko)
AR (1) AR109601A1 (ko)
AU (1) AU2017325512A1 (ko)
BR (1) BR112019004453A2 (ko)
CA (1) CA3036210A1 (ko)
CL (1) CL2019000570A1 (ko)
CO (1) CO2019003106A2 (ko)
DO (1) DOP2019000054A (ko)
EA (1) EA037062B1 (ko)
EC (1) ECSP19024061A (ko)
IL (1) IL265161A (ko)
JO (1) JOP20170171B1 (ko)
MA (1) MA46201A (ko)
MX (1) MX2019002721A (ko)
PE (1) PE20190772A1 (ko)
PH (1) PH12019500490A1 (ko)
SG (1) SG10201607534SA (ko)
TW (1) TW201812162A (ko)
UY (1) UY37395A (ko)
WO (1) WO2018048347A1 (ko)
ZA (1) ZA20190171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06192B (zh) * 2019-06-13 2020-10-09 西安建筑科技大学 一种夯土墙体洞口过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60938B1 (en) * 1999-10-18 2003-05-13 John Powers, Jr. Box lintel
KR100942819B1 (ko) * 2009-09-18 2010-02-18 (주)종합건축사사무소에이그룹 건축 공사용 인방 결합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71725A (en) * 1980-03-14 1981-09-23 Gorzelany H System of construction or composite structural members with various captive infilling materials
DE3346171C2 (de) * 1983-12-21 1986-08-07 Profil-Vertrieb Gmbh, 7560 Gaggenau Als Leichtbauprofil ausgebildete Profilleiste, insbesondere Deckentrageprofil
GB2226346A (en) * 1988-12-24 1990-06-27 Metsec Plc Lintel
MY108779A (en) * 1991-02-04 1996-11-30 Uniframes Holdings Pty Ltd Improvements in metal frame
CN2228506Y (zh) * 1995-01-03 1996-06-05 昆山冠钧钢梁有限公司 超强耐压钢梁
US6367209B1 (en) * 1999-10-18 2002-04-09 John Powers, Jr. Box lintel
GB2371816B (en) * 2001-01-31 2005-09-07 Hong Liang Ng Building material
SG134196A1 (en) * 2006-01-27 2007-08-29 Dyntek Pte Ltd A lintel
CN201915556U (zh) * 2010-04-09 2011-08-03 锦宸集团有限公司 槽形钢过樑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60938B1 (en) * 1999-10-18 2003-05-13 John Powers, Jr. Box lintel
KR100942819B1 (ko) * 2009-09-18 2010-02-18 (주)종합건축사사무소에이그룹 건축 공사용 인방 결합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790714A (zh) 2019-05-21
ZA201901715B (en) 2020-11-25
PE20190772A1 (es) 2019-06-06
EP3510213B1 (en) 2024-03-27
KR102470434B1 (ko) 2022-11-23
ECSP19024061A (es) 2019-04-30
CA3036210A1 (en) 2018-03-15
EP3510213C0 (en) 2024-03-27
DOP2019000054A (es) 2019-05-31
EA037062B1 (ru) 2021-02-01
AU2017325512A1 (en) 2019-04-11
AR109601A1 (es) 2018-12-26
MX2019002721A (es) 2019-07-22
BR112019004453A2 (pt) 2019-05-28
EP3510213A1 (en) 2019-07-17
JOP20170171A1 (ar) 2019-01-30
UY37395A (es) 2018-03-23
EA201990662A1 (ru) 2019-08-30
IL265161A (en) 2019-05-30
TW201812162A (zh) 2018-04-01
WO2018048347A1 (en) 2018-03-15
SG10201607534SA (en) 2018-04-27
EP3510213A4 (en) 2020-05-27
MA46201A (fr) 2019-07-17
CO2019003106A2 (es) 2019-06-19
JOP20170171B1 (ar) 2022-03-14
CL2019000570A1 (es) 2019-05-17
PH12019500490A1 (en) 2019-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1534B2 (en) Formed steel beam for steel-concrete composite beam and slab
EP2556200B2 (en) Open web grid runner
CA2459936A1 (en) Building wall element
KR101222206B1 (ko) 절곡강판형 강재 보와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KR20190046919A (ko) 린텔
KR101222208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와 데크플레이트의 합성보
JP2006511745A (ja) 中空ガラスの建築部材を使用した壁構造
KR20120028764A (ko) ㄷ자형 부재와 역티자형 부재를 조립한 강재 보와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US2913078A (en) Girder structure
JP3375322B2 (ja) コンクリート製アーチ型構造物
RU2239029C2 (ru) Система профильных балок для проведения бетонных работ (варианты)
KR20130065667A (ko) 철근트러스 일체형 합성 데크플레이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708274B1 (ko) 중공슬래브용 일체형 중공부재 및 이를 이용한 중공 슬림 플로어와 중공 무량판 구조
KR100255380B1 (ko) 콘크리트 옹벽의 치장벽돌 조적구조
KR20190007806A (ko) 역삼각 트러스 거더 삽입형 데크
RU2002104426A (ru) Многоэтажное здание
KR200231033Y1 (ko) 조립식 천정판의 설치구조물
KR100669863B1 (ko) 토목구조용 교량 콘크리트 슬래브
GB2071728A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concrete structures for floors
RU27616U1 (ru) Профильная балка для проведения бетонных работ и система профильных балок (варианты)
JP2757080B2 (ja) 長スパン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梁
RU27615U1 (ru) Профильная балка для проведения бетонных работ
JPH068178Y2 (ja) 屋 根
RU2275477C2 (ru) Решетчатый элемент стенового ограждения
KR100456227B1 (ko) 조립식 물탱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