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6762A - 전위 발치후 소켓을 위한 역테이퍼형 본체를 가지는 치아 임플란트 - Google Patents

전위 발치후 소켓을 위한 역테이퍼형 본체를 가지는 치아 임플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6762A
KR20190046762A KR1020197001039A KR20197001039A KR20190046762A KR 20190046762 A KR20190046762 A KR 20190046762A KR 1020197001039 A KR1020197001039 A KR 1020197001039A KR 20197001039 A KR20197001039 A KR 20197001039A KR 20190046762 A KR20190046762 A KR 20190046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implant
tooth
threaded
implant
out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1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그라함 알란 블랙비어드
스테픈 존 추
Original Assignee
사우던 임플란츠 (피티와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우던 임플란츠 (피티와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사우던 임플란츠 (피티와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46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67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4Consolidating natural teeth
    • A61C8/0006Periodontal tissue or bone re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61C8/0045Details of the shape with a stepped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diverging in the apical direction of the implant or abu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Healing ca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61C2008/0046Textured surface, e.g. roughness, micro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치아 임플란트는 바디와 나사부 표면을 포함한다. 바디는 상부 부분, 중간 부분, 및 하부 부분을 가진다. 바디의 상부 부분은 대체로 원통형 영역을 포함한다. 바디의 하부 부분은 대체로 내향 테이퍼형 영역을 포함한다. 바디의 중간 부분은 외향 연장 팽창부를 포함한다. 팽창부의 최대 외경은 (i) 상부 부분의 최대 외경 및 (ⅱ) 하부 부분의 최대 외경보다 크다. 나사부 표면은 적어도 바디의 상부 부분, 팽창부, 및 바디의 하부 부분 내의 바디 상에 있다.

Description

전위 발치후 소켓을 위한 역테이퍼형 본체를 가지는 치아 임플란트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6년 9월 22일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398,063호 및 2016년 6월 14일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349,816호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러한 것들의 각각은 그 전체에 있어서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통합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임플란트 치과학, 구강 외과학 및 치주학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전위 발치후 소켓(anterior post-extraction socket)에 유용한 역테이퍼형 본체(reverse-tapered main body)를 가지는 치아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높은 심미적인 요구와 표준에 의해 주도되는 치과의 시대에서, 경질 및 연질 조직 손실이 있는 무피부판절단 발치후 치아 임플란트 식립(flapless post-extraction dental implant placement)은 상당한 심미적, 외과적 및/또는 회복적 도전을 초래할 수 있다. 생체 내 연구는 발치후 소켓 내로 식립된 치아 임플란트들이 소켓의 상처 치유 및 리모델링 과정을 변경하지도 않고 특히 입술측 뼈 플레이트(labial bone plate)가 발치후 두께에서 약 0.5-1.0 ㎜인 구강의 전위 영역에서 입술측 뼈 플레이트를 보전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발치 소켓을 완전히 채우는 너무 넓거나 또는 입술측 뼈 플레이트에 너무 가까이 식립된 치아 임플란트들은 리모델링 다음에 순측골의 손실을 초래할 것이다. 이러한 치수 변화는 입술측 뼈 플레이트 손실로 인하여 이랑 붕괴(ridge collapse), 임플란트 주위 연질 조직의 박화(thinning), 및 잇몸 조직 변색으로 이어질 수 있다. 심미적 구역에서 무피부판절단 발치후 치아 임플란트를 관리할 때 적절한 경질 및 연질 조직 관리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무피부판절단 발치후 치아 임플란트 식립 및 조직 손실과 관련된 단점을 해소하는데 도움이 되는 몇몇 임상 절차가 제안되었다. 생체 내 연구는 치아 임플란트의 위치 결정 및 지름이 뼈 또는 경질 조직 이식편의 도움없이 전체 골융합(osseointegration)을 이용하여 입술측 뼈 플레이트 높이를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전의 전략은 발치 소켓 내에서의 입천장 치아 임플란트 위치 결정 및 치아 임플란트의 안면 표면(facial surface)과 잔류 입술측 뼈 플레이트 사이의 "갭 거리"이며, 이에 의해 혈전(blood clot)이 갭을 채우고 새로운 뼈를 형성하도록 사전 결정된 육아 조직(granulation tissue)으로 편성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후자의 전략은 입술측 혈전(labial blood clot)을 위한 유리한 갭 거리를 생성하기 위해 보다 작은 지름의 임플란트를 사용한다. 따라서, 새로운 입술측 뼈 플레이트 형성은 발치 소켓 내의 입천장 위치에 식립된 보다 작은 지름의 치아 임플란트의 사용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입술측 뼈 플레이트는 골융합이 달성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약 1.0 ㎜로 붕괴될 수 있다. 입술측 뼈 플레이트 붕괴를 최소화하는 것은 만족스러운 심미감을 달성하는데 중요하다. 연구는 갭을 이식한 뼈가 임상적으로 및 콘 빔 컴퓨터 단층 촬영(CBCT, cone beam computer tomography)에서 이랑 형상 변화량을 0.1 ㎜로 제한할 수 있다는 것이 보였다. 이종 이식 및 동종 이식이 이러한 연구에서 분석되었다. 그러므로, 발치후 소켓들 내로 식립된 치아 임플란트들의 결과를 최대화하도록 혈전 형성뿐만 아니라 골이식 식립(bone graft placement)을 위하여 치아 임플란트 식립 후에 갭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임상적으로 중요하다. 뼈 재료는 새로운 뼈 형성을 위한 혈전의 부피를 유지하기 위한 충전재 또는 발판으로서 작용한다.
보다 작은 지름의 치아 임플란트를 사용하는 것에 의한 하나의 문제점은, 상기 발치 소켓의 측면 주위 벽들이 전체적으로 거의 맞물리지 않기 때문에 치아 임플란트의 감소된 1차 안정성을 초래할 수 있거나 상기된 소켓 리모델링에 기인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발치 소켓에서의 치아 임플란트의 1차 안정성은 96%의 생존율에 도달하기 위해 삽입 토크의 최소 25 뉴턴-센티미터(Ncm)를 달성해야 한다. 적절한 1차 안정성(예를 들어, > 25 Ncm)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기술은 해부학적으로 코의 플로어(floor) 아래의 치근첨단-입천장뼈(apical-palatal bone)를 보다 작은 지름의 치아 임플란트와 결합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보다 긴 치아 임플란트 길이는, 이러한 보다 긴 치아 임플란트를 사용하는 것이 코의 베이스/플로어를 천공하는 위험을 증가시킬지라도 만족스러운 1차 안정성을 얻도록 요구된다(예를 들어, 15 ㎜). 발치 소켓에서 적절한 초기 1차 안정성을 달성하는 또 다른 전략은 치아 임플란트와 입술측 뼈 플레이트 사이의 감소된 갭 거리인 균형(trade-off)을 가지는 보다 넓은 지름의 임플란트를 사용하는 것이다.
종래의 치아 임플란트 디자인은 전형적으로 치관측(coronal)으로부터 치근첨단까지 테이퍼형 바디(tapered body)를 가지는 나사 또는 스크루 형상을 포함하며; 치아 임플란트 헤드의 치관측 외관(coronal aspect)은 치아 임플란트의 상부 부분에서의 보다 넓은 지름 대 베이스 또는 최하측 단부에서의 보다 좁은 지름이다. 이러한 전형적인 디자인은 형상 및 형태에 있어서, 환자의 구강에서의 자연 발치 소켓을 모방한다. 해부학적으로, 발치 소켓의 치근첨단 영역은 두꺼운 순측골을 가지고 있으며, 관상 동맥은 순측골은 치관상으로(coronally) 더 얇다. 전형적인 테이퍼형 치아 임플란트들의 치근첨단 영역은 지름이 작음에 따라서(예를 들어, 전형적인 치아 임플란트의 치관측 영역와 비교할 때), 치근첨단 영역은 설치될 때, 특히 코의 베이스/플로어를 천공하는 것이 없도록 감소된 임플란트 길이를 수반하는 외과적 전력을 사용할 때 적절한 1차 안정성을 달성하도록 충분한 표면적을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 아울러, 전형적인 테이퍼형 치아 임플란트들은 상부 부분(예를 들어, 치관상으로)에서 더욱 넓고, 이에 의해 치아 임플란트의 상부 부분 목부와 발치 소켓 사이의 갭 거리를 감소시킨다. 결과적으로, 보다 넓은 지름의 테이퍼형 치아 임플란트들은 치아 임플란트 1차 안정성을 증가시키도록 사용되며(예를 들어, 4 ㎜ 치아 임플란트 대신 5 ㎜ 치아 임플란트가 사용될 수 있음), 이에 의해 입술측 갭(labial gap) 거리를 감소시키며, 그러므로 뼈 이식으로 후속의 혈전 형성을 저해하며, 이러한 것은 치아 임플란트와 발치 소켓 사이의 새로운 입술측 뼈 플레이트를 형성하는데 이상적이다.
치아 임플란트 식립에 대한 치아 임플란트 디자인에서의 또 다른 인자는, 전형적인 테이퍼형 치아 임플란트가 상부 부분에서 더욱 넓은 것에 의해, 이러한 것이 입천장 식립(palatal placement)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치아 임플란트가 치근첨단에서(apically) 식립되고 발치 소켓 내로 구동됨에 따라서, 보다 넓은 목부가 입천장 뼈 플레이트(palatal bone plate)와 결합될 수 있고, 치아 임플란트를 발치 소켓의 안면 외관(facial aspect)으로 더욱 많이 튀게 하고(bounce)/이동시키거나 또는 각지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치아 임플란트의 불필요한 입술측 식립(labial placement) 및 모서리화(angulation)를 초래할 수 있고, 치아 임플란트와 발치 소켓의 안면 외관/측면 사이의 잠재적으로 감소된 갭 거리를 초래할 수 있다.
치아 임플란트 디자인에서의 또 다른 인자는 인접한 치아 또는 인접한 치아 임플란트들에 대한 치아 임플란트의 위치이다. 일부 연구는 인접한 치아 임플란트의 근접성(close proximity)이 인접 치간 부착(interproximal attachment)(예를 들어, 경질 및/또는 연질 조직의) 또는 미뢰 손실(papilla loss)을 유발하고, 결과적으로 치아 및/또는 치아 임플란트 사이에 검은 치간 삼각형(black interdental triangle)을 유발할 수 있다.
일부 이전의 치아 임플란트는, 치아 임플란트의 측면 부분을 제거하고 평탄 컷아웃 또는 절개 부분을 만드는 것에 의해 치아 임플란트의 치관측 부분과 절골 부위(osteotomy site) 또는 발치 소켓 사이의 세그먼트화된 불연속 갭을 제공하도록 시도하였다. 그러나, 설치 동안, 이러한 치아 임플란트들은 평탄 컷아웃이 예를 들어 환자의 구강에 있는 구강 뼈 플레이트(buccal bone plate)와 정렬되도록 소켓에 대해 특정 회전 위치로 설치되어야만 한다. 그렇지 않으면 치아 임플란트는 필요한 위치에서 뼈의 성장을 촉진하지 못할 것이다.
그러므로, 필요한 위치에서 뼈 성장을 촉진시키지만, 설치 동안 회전 배향 제한을 요구함이 없이 치아 임플란트의 1차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비교적 넓은 치근첨단 부분들을 구비한 치아 임플란트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다른 필요성을 해결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대체로 바디의 지름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예를 들어, 30% 내지 50%)가 치근첨단에서 증가하는(예를 들어, 치아 임플란트의 최하측 단부 또는 치근첨단 단부 또는 저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역테이퍼형 바디 구성을 가지는 치아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바디 구성은 치아 임플란트의 치근첨단 부분에서의 1차 안정성을 향상시키고(예를 들어, 균일한 방식으로 치근첨단에서 감소하는 통상적으로 테이퍼형 구성을 구비하는 치아 임플란트와 비교하여), 치아 임플란트의 치관측 부분과 발치 소켓 사이에서 치관상으로 갭 거리를 증가시킨다(예를 들어, 입술측 뼈 플레이트가 전형적으로 치아 임플란트를 수용하는 발치 소켓에서의 보다 치근첨단에서의 뼈와 비교하여 얇을 경우에). 갭 거리는 입술측 측면에서 비교적 큰 갭 거리(예를 들어, 입천장 측면(palatal side) 상의 갭 거리와 비교하여)를 달성하도록 치아 임플란트 식립에서의 융통성과 함께 치아 임플란트 주위로 360°연장된다. 아울러, 치아 임플란트의 비교적 좁은 지름의 목부는 설치 동안 및 원치 않는 안면 임플란트 모서리화(예를 들어, 심지어 의도된 입천장 식립 편향으로도) 동안 입천장 '바운스 효과(bounce effect)'를 제거 및/또는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서, 치아 임플란트는 심지어 치아 임플란트-교각치 연결의 플랫폼 스위칭없이도, 각각의 측면 상에 약 1.5 ㎜의 치아와 치아 임플란트 사이의 최소 인접 치간 거리(예를 들어, 총 3.0 ㎜)를 유지하는 것을 돕는 바디 시프팅 지름(body shift diameter)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서, 치아 임플란트의 치근첨단 부분에서 더욱 큰 1차 안정성(예를 들어, 균일한 방식으로 치근첨단에서 감소하는 전형적으로 테이퍼형 구성을 구비한 치아 임플란트와 비교하여)은 치아 임플란트의 전체 바디의 길이의 약 1/3 내지 약 1/2인 더욱 넓은 지름의 테이퍼형 치근첨단 영역을 통해 달성된다. 치아 임플란트의 치근첨단 부분은 치아가 발치된 직후에 발치 소켓과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서, 치아 임플란트는 적극적인 나사 피치를 가지는 매크로 나사부 구성(macro thread configuration)을 포함하며, 이러한 것은 치아 임플란트의 1차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돕는다. 이러한 실행에 따라서, 나사 피치는 약 0.6 ㎜이며, 나사 깊이는 약 0.4 ㎜이다. 일부 다른 이러한 실행에서, 나사 피치는 약 0.8 ㎜이고, 나사 깊이는 약 0.5 ㎜이다. 일부 실행에서, 나사 피치는 약 0.5 ㎜ 내지 2.5 ㎜이다. 다른 실행에서 나사 피치는 약 0.6 ㎜ 내지 약 2 ㎜이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서, 치아 임플란트는 치아 임플란트의 치관측 부분과 발치 소켓의 적어도 일부 사이의 비교적 증가된 입술측 갭 거리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경질 조직 유지 및 보전을 돕는다. 치아 임플란트는 전형적인 테이퍼형 치아 임플란트와 비교하여 치근첨단 부분으로부터 치관측 부분으로의 바디 지름에서의 시프팅을 포함하며, 이러한 것은, (i) 비교적 좁은 치관측 부분과 (ⅱ) 치아 임플란트의 치근첨단 부분에서 외측으로 확장된 팽창 특징부(팽창부 feature)를 초래한다. 이와 같이, 치아 임플란트의 치관측 부분은 치아 임플란트와 발치 소켓의 치관측 단부 가까이의 발치 소켓 사이의 비교적 큰 갭 거리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그 치관측 단부에서의 치아 임플란트의 비교적 작은 지름은 치아 임플란트가 발치 소켓에서 더욱 입천장에 위치될 때 입천장 '바운스(bounce) 효과'를 제거 및/또는 감소시킨다. 치아 임플란트의 비교적 작은 지름의 헤드 또는 연결부는 임플란트-접합 계면에서의 보철 구성 요소들의 용이한 피팅을 촉진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서, 치아 임플란트는 그 전체 원주에 대해 비교적 좁은 지름(치아 임플란트의 치근첨단 부분의 지름과 비교하여)을 가지는 치관측 부분을 포함한다(예를 들어, 치관측 부분은 대체로 원통형이다). 이와 같이, 치아 임플란트는 설치 동안 회전식으로 수축되지 않으며, 이에 의해 뼈 성장이 환자의 구강의 소켓에서의 정확한 위치에서 촉진되는 것을 보장한다(예를 들어, 입술측 뼈 플레이트 및/또는 구강 뼈 플레이트에 인접하여).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서, 치아 임플란트는 바디 및 나사부 표면을 포함한다. 바디는 상부 부분, 중간 부분 및 하부 부분을 가진다. 본체의 상부 부분은 대체로 원통형인 영역을 포함한다. 바디의 하부 부분은 대체로 내측으로 테이퍼진 영역을 포함한다. 바디의 중간 부분은 바깥쪽으로 확장된 팽창부를 포함한다. 팽창부의 최대 외경은 (i) 상부 부분의 최대 외경 및 (ⅱ) 하부 부분의 최대 외경보다 크다. 나사부 표면은 바디의 적어도 상부 부분, 팽창부, 및 바디의 하부 부분 내의 바디 상에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서, 환자의 구강에 있는 소켓에 설치하기 위한 치아 임플란트가 제공된다. 소켓은 뼈에 의해 형성된다. 치아 임플란트는 바디와 나사부 표면을 포함한다. 바디는 치관측 부분과 치근첨단 부분을 가진다. 치관측 부분은 치아 임플란트를 환자의 구강에 삽입한 후에 환자의 구강에서의 소켓의 뼈의 적어도 일부의 뼈 성장을 촉진하도록 크기화되고 구성된 외부 표면을 가진다. 치근첨단 부분은 환자의 구강에서의 소켓의 뼈에 치아 임플란트를 고정하도록 크기화되고 구성된 외부 표면을 가진다. 치관측 부분의 외부 표면은 대체로 원통형이다. 치근첨단 부분은 뼈에서 치아 임플란트의 고정을 돕는 바디의 치근첨단 부분에 팽창 특징부를 함께 형성하는 외향 테이퍼형 부분 및 내향 테이퍼형 부분을 포함한다. 나사부 표면은 적어도 치관측 부분과 팽창 특징부 내에서 바디 상에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서, 치아 임플란트는 바디, 내부 보어 및 비회전 특징부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는 환자의 뼈에 치아 임플란트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형 치관측 부분 및 나사형 치근첨단 부분을 가진다. 나사형 치관측 부분은 대체로 원통형이다. 나사형 치근첨단 부분은 나사형 외향 테이퍼형 부분 및 나사형 내향 테이퍼형 부분을 포함한다. 나사형 외향 테이퍼형 부분의 외경은 치근첨단에서 증가한다. 나사형 내향 테이퍼형 부분의 외경은 치근첨단에서 감소한다. 바디의 나사형 치관측 부분의 최대 외경은 (i) 나사형 외향 테이퍼형 부분의 최대 외경 및 (ⅱ) 나사형 내향 테이퍼형 부분의 최대 외경보다 작다. 내부 보어는 바디에 형성되고, 제거 가능하고 회복 가능한 형태로 치아 임플란트와의 결합 상태로 교각치를 홀딩도록 구성된 스크루를 수용하기 위한 나사 부분을 구비한다. 비회전 특징부는 비회전 형태로 교각치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비회전 특징부는 바디의 치근첨단 부분의 최하측 단부 반대편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서, 환자의 구강에서의 소켓에 설치하기 위한 치아 임플란트가 제공된다. 소켓은 뼈에 의해 형성된다. 치아 임플란트는 바디와 나사부 표면을 포함한다. 바디는 치관측 부분과 치근첨단 부분을 가진다. 치관측 부분은 소켓에서의 치아 임플란트의 설치 후에 환자의 구강에서의 소켓의 뼈의 적어도 일부의 뼈 성장을 촉진하도록 크기화되고 구성된 외부 표면을 가진다. 치근첨단 부분은 환자의 구강에서의 소켓의 뼈에 치아 임플란트를 고정하도록 크기화되고 구성된 외부 표면을 가진다. 치관측 부분의 섹션의 외부 표면은 대체로 원통형이며 거칠다. 치근첨단 부분은, 뼈에서 치아 임플란트의 고정을 돕는 뼈의 치근첨단 부분에서 제1 팽창 특징부를 함께 형성하는 제1 외향 테이퍼형 부분과 제1 내향 테이퍼형 부분을 포함한다. 바디의 나사부 표면은 제1 팽창 특징부 내에 있으며, 대체로 원통형이고 거친 치관측 부분의 섹션 내에 있지 않다. 일부 이러한 실행에서, 치근첨단 부분은 뼈에서 치아 임플란트의 고정을 추가로 돕는 바디의 치근첨단 부분에서의 제2 팽창 특징부를 함께 형성하는 제2 외향 테이퍼형 부분과 제2 내향 테이퍼형 부분을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이러한 실행에서, 제1 팽창 특징부는 제2 팽창 특징부보다 더욱 치근첨단에 있으며(apical), 제2 팽창 특징부의 최대 외경은 제1 팽창 특징부의 최대 외경보다 적어도 5% 더 크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서, 환자의 구강에서의 소켓에 설치하기 위한 치아 임플란트는, 교각치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상부 부분, 소켓 내의 뼈와 결합되기 위해 소켓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하부 부분을 가지는 바디를 포함한다. 바디는 상부 부분와 하부 부분 사이에 위치된 2개의 별개의 영역을 포함한다. 2개의 별개의 영역들의 각각은 상부 부분의 최대 외경 및 하부 부분의 최대 외경보다 큰 최대 외경을 가진다. 바디는 외부 나사부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술한 추가의 양태 및 실행은 도면을 참조하여 만들어진 다양한 실시예 및/또는 실행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고려하여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그 설명은 다음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전술한 장점 및 다른 장점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을 읽고 도면을 참조하여 명백해질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부 실행에 따른 직선 보어(straight-bore) 치아 임플란트의 사시도;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치아 임플란트의 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부 실행에 따른 각진 보어(angled-bore) 임플란트의 사시도;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치아 임플란트의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부 실행에 따른 도 1a의 치아 임플란트를 수용하는 발치 소켓을 가지는 환자의 구강의 부분 단면도;
도 3b는 도 3a 및 도 3b의 발치 소켓에 설치된 도 1a의 치아 임프란트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3c는 도 3a의 발치 소켓에 완전히 설치되고 부재와 결합될 준비가 된 도 1a의 치아 임플란트의 부분 단면도;
도 3d는 도 3a 및 도 3b의 발치 소켓에 완전히 설치된 도 1a의 치아 임플란트에 부착된 도 3c의 부재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 실행에 따른 3중 원뿔형 내부 연결부 및 3중 원뿔형 보스(triple cone boss)를 구비한 교각치를 구비한 치아 임플란트의 부분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실행에 따른 직선 보어 치아 임플란트의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일부 실행에 따른 직선 보어 치아 임플란트의 사시도; 및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치아 임플란트의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 및 대안적인 형태가 가능하지만, 특정 실행은 도면에서 예로서 도시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개시된 특정 형태로 한정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오히려,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 균등물, 및 대안을 커버하는 것이다.
대체로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치아 임플란트(100)는 환자의 구강에서의 소켓(예를 들어, 도 3a의 발치 소켓(309)) 내에 설치하기 위해 도시되어 있다. 치아 임플란트(100)는 바디(110), 내부 보어(160), 및 비회전 특징부(180)를 포함한다. 바디(110)는 치관측 부분(111a)와 치근첨단 부분((111b)을 가진다.
치아 임플란트(100)의 바디(110)는 주 중심축(Xmain)을 가진다. 주 중심축(Xmain)은 치아 임플란트(100)의 바디(110)의 적어도 치근첨단 부분((111b)의 기하학적 중심 및/또는 대칭축을 통과하는 직선 축/선으로서 정의된다. 치아 임플란트(100)의 바디(110)의 치근첨단 부분(111b)에 결합된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 임플란트(100)의 주 중심축(Xmain)은 또한 치아 임플란트(100)의 바디(110)의 치관측 부분(111a)의 기하학적 중심 및/또는 대칭축을 통과한다. 이러한 것은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각진 보어 치아 임플란트와는 대조적으로 직선 보어 치아 임플란트이다.
바디(110)의 치관측 부분(111a)은 환자의 구강에 치아 임플란트(100)의 설치 후에 환자의 구강에서 발치 소켓의 뼈(예를 들어, 구강 뼈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의 뼈 성장을 촉진하도록 크기화되고 구성된 외부 표면(114)을 가진다. 뼈 성장을 촉진하도록 크기화되고 구성되는 것에 의해, 이러한 것은 대체로 치관측 부분(111a)의 적어도 일부와 갭 소켓의 벽 사이에 갭(예를 들어, 도 3c에서의 갭(G))을 제공하도록 치관측 부분(111a)이 발치 소켓보다 비교적 좁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갭은 그 사이에서 혈액이 응고되도록 하며, 이러한 것은 새로운 뼈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물질을 이식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갭은 바람직하게 약 0.5 ㎜ 내지 약 3 ㎜의 폭을 가진다. 일부 실행에서, 갭은 약 1.5 ㎜의 폭을 가진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10)의 치관측 부분(111a)은 그 주위를 둘러싼 나사부(125)를 제외하면 대체로 일정한 외경(DMAX, coronal)을 가지는 대체로 원통 형상을 가진다. 예를 들어 외향 테이퍼, 내향 테이퍼, 만곡(오목, 볼록 등), 평탄, 삼각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육각형, 다각형, 또는 임의 그 조합과 같은 바디(110)의 치관측 부분(111a)의 다양한 다른 형상 및 크기가 고려된다.
바디(110)의 치근첨단 부분(111b)은 환자의 구강에 있는 소켓의 뼈에 치아 임플란트(100)를 고정하도록 크기화되고 구성되는 외부 표면(115)을 가진다. 치근첨단 부분(111b)은 바디(110)의 치근첨단 부분(111b)에서 팽창 특징부(120)를 함께 형성하는 외향 테이퍼형 부분(113a) 및 내향 테이퍼형 부분(113b)을 포함한다. 팽창 특징부(120)는 소켓의 뼈가 전형적으로 보다 두꺼운 치근첨단에서 바디(110)의 비교적 넓은 부분(예를 들어, 치관측 부분(111a)과 비교하여)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소켓의 뼈에 치아 임플란트(100)를 고정하는 것을 돕는다. 이와 같이, 치아 임플란트(100)는 이러한 팽창 특징부(120)를 구비하지 않는 치아 임플란트보다 충분한 및/또는 비교적 큰 1차 안정성으로 설치될 수 있다. 팽창 특징부(120)는 바디(110)의 치근첨단 부분((111b) 주위로 360°에 걸쳐서 바디(110)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다. 팽창 특징부(120)는 대체로 치아 임플란트(100)의 주 중심축(XMain)을 중심으로 대칭이다. 대체로 "대칭"은 치근첨단 부분((111b)의 외부 표면(115)이 대칭이지만, 팽창 특징부(120)를 둘러싸는 나사부(125)가 치아 임플란트(100)의 주 중심축(XMain)을 중심으로 정확히 대칭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예를 들어, 피치를 가지는 나사부(125)로 인해). 치근첨단 부분((111b)에서 팽창 특징부(120)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치관측 부분(111a)은 비교적 좁은 외경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것은 치관측 부분(111a)의 외부 표면(114)과 소켓의 벽 사이에, 치아 임플란트(100)가 그 안으로 설치되는 비교적 큰 갭이 가능하게 된다.
치근첨단 부분((111b)의 외향 테이퍼형 부분(113a)은 치근첨단 방향 및/또는 치근첨단 부분((111b)의 최하측 단부(150)를 향해(예를 들어, 화살표(A)의 방향으로) 외향 테이퍼형 부분(113a)을 따라서 증가하는 외경을 가지며, 상기 방향은 치아 임플란트(100)의 치관측 단부 또는 치관측 부분(111a)의 최상측 단부 반대편의 치아 임플란트(100)의 치근첨단 단부(150)로서 또한 지칭된다. 내향 테이퍼형 부분(113b)은 치근첨단 방향으로 및/또는 치근첨단 부분(111b)의 최하측 단부(150)를 향하여(예를 들어, 화살표(A)의 방향으로) 내향 테이퍼형 부분(113b)을 따라서 감소하는 외경을 가진다. 외향 테이퍼형 부분(113a)의 외부 표면(115)은 대체로 직선형 테이퍼를 형성한다. 대안적으로, 외향 테이퍼형 부분(113a)의 외부 표면(115)은 대체로 곡선화된 테이퍼(예를 들어, 볼록 곡선화된 테이퍼) 및/또는 직선 및 곡선 테이퍼의 조합을 형성할 수 있다. 내향 테이퍼형 부분(113b)의 외부 표면(115)은 대체로 직선형 테이퍼를 형성한다. 대안적으로, 내향 테이퍼형 부분(113b)의 외부 표면(115)은 대체로 곡선화된 테이퍼(예를 들어, 볼록 곡선화된 테이퍼) 및/또는 직선 및 곡선 테이퍼의 조합을 형성할 수 있다.
치관측 부분(111a)의 외부 표면(114)이 그 주위를 둘러싸는 나사부(125)의 적어도 일부를 가짐에 따라서, 치관측 부분(111a)은 나사형 치관측 부분(111a)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유사하게, 치근첨단 부분(111b)은 치근첨단 부분(111b)의 외부 표면(115)이 그 주위를 감싸는 나사부(125)의 적어도 일부를 가짐에 따라서 나사형 치근첨단 부분(111b)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나사부(125)는 단일 나사부(125)일 수 있거나, 또는 나사부(125)는 임의의 수의 피치 및/또는 나사 깊이를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시작부를 가지는 2개 이상의 나사부(예를 들어, 함께 혼합된 2개의 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행에서, 나사부(125)는 치관측 부분(111a)을 둘러싸는 제1 나사부와 치근첨단 부분(111b)을 둘러싸는 제2 나사부를 포함한다. 일부 이러한 실행에서, 제1 나사부는 마이크로 나사부이고, 제2 나사부는 매크로 나사부이다. 제1 나사부 및 제2 나사부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나사 피치(예를 들어, 연속 피크 사이의 길이 방향 거리, 마루간 거리(crest-to-crest distance), 골짜기간 거리(trough-to-trough distance)) 및/또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나사 깊이를 가질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관측 부분(111a)의 나사부(125)는 제1 나사 깊이(d1)를 가지며, 치근첨단 부분(111b)에서의 나사부(125)는 제2 나사 깊이(d2)를 가진다. 일부 실행에서, 제1 나사 깊이(d1)는 약 0.1 ㎜ 내지 약 0.7 ㎜(예를 들어, 약 0.1, 0.2, 0.3, 0.4, 0.5, 0.6, 0.7 ㎜)이다. 유사하게, 제2 나사 깊이(d2)는 약 0.1 ㎜ 내지 약 0.7 ㎜(예를 들어, 약 0.1, 0.2, 0.3, 0.4, 0.5, 0.6, 0.7 ㎜)이다. 일부 실행에서, 제1 나사 깊이(d1)는 약 0.1 ㎜ 내지 약 0.2 ㎜이고, 제2 나사 깊이(d2)는 약 0.4 ㎜ 내지 약 0.5 ㎜이다. 도 1b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다른 나사 깊이가 고려될 수 있을지라도, 제2 나사 깊이(d2)는 제1 나사 깊이(d1)보다 크다.
바디(110)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대체로 수직인 세로 홈(flute)(도시되지 않음) 및/또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나선형 세로 홈과 같은 하나 이상의 비수직 세로 홈(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세로 홈(570)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세로 홈들은 치아 임플란트(100)의 자기 태핑 작용(self-tapping action)을 돕도록 내향 테이퍼형 부분(113b)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10)의 치근첨단 부분(111b)의 최하측 단부(150)는 둥근 돔 형상으로 끝난다. 이러한 형상은 하나 이상의 세로 홈(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때 치아 임플란트(100)의 자기 태핑 작용을 제한하는 것을 돕는다. 자기 태핑 작용의 제한은 소켓에서 치아 임플란트의 설치 동안 코의 플로어의 부주의한 천공을 방지할 수 있다.
바디(110)는 치관측 부분(111b) 및 치근첨단 부분(111b)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다. 바디(110)는 또한 치관측 부분(111a) 위에 위치되는 칼라(130)를 포함한다. 칼라(130)는 나사부가 없으며(예를 들어, 나사부(125)가 칼라(130) 주위를 감싸지 않음), 대체로 평탄한 외부 표면을 가진다.
치아 임플란트(100)의 전체 길이(LI)는 예를 들어 약 10 ㎜ 내지 약 18 ㎜일 수 있다(예를 들어, 치아 임플란트(100)의 전체 길이(LI)는 10, 11, 12, 13, 14 , 15, 16, 17, 18 ㎜ 등이다). 치아 임플란트(100)의 길이는 치아 임플란트(100)가 설치되는 위치 및 치아 임플란트(100)를 수용하는 환자의 자연 발생 해부학 구조에 따라 선택된다.
팽창 특징부(120)는 예를 들어, 약 4 ㎜ 내지 약 9 ㎜일 수 있는 길이(LBulge)를 가진다(예를 들어, 팽창 특징부(120)의 길이(LBulge)는 약 4, 5, 6, 7, 8, 9 ㎜일 수 있다). 일부 실행에서, 팽창 특징부(120)의 길이(LBulge)는 치아 임플란트(100)의 전체 길이(LI)의 약 30% 내지 약 60%이다. 일부 다른 실행에서, 팽창 특징부(120)의 길이(LBulge)는 치아 임플란트(100)의 전체 길이(LI)의 약 40% 내지 약 50%이다. 예를 들어, 팽창 특징부(120)의 길이(LBulge)는 치아 임플란트(100)의 전체 길이(LI)의 약 30, 35, 40, 45, 50, 55 또는 60%이다.
치관측 부분(111a)은 예를 들어 약 1.5 ㎜ 내지 9 ㎜일 수 있는 길이(LCP)를 가진다(예를 들어, 치관측 부분(111a)의 길이(LCP)는 약 1.5, 2, 2.5, 3, 3.5, 4, 4.5, 5, 5.5, 6, 6.5, 7, 7.5, 8, 8.5, 9 ㎜일 수 있다). 일부 실행에서, 치관측 부분(111a)의 길이(LCP)는 치아 임플란트(100)의 전체 길이(LI)의 약 10% 내지 약 50%이다. 일부 다른 실행에서, 치관측 부분(111a)의 길이(LCP)는 치아 임플란트(100)의 전체 길이(LI)의 약 15% 내지 약 30%이다. 예를 들어, 치관측 부분(111a)의 길이(LCP)는 치아 임플란트(100)의 전체 길이(LI)의 약 10, 15, 20, 25, 30, 35, 40, 45, 50%이다.
치근첨단 부분(111b)은 예를 들어 약 6 ㎜ 내지 약 16 ㎜일 수 있는 길이(LAP)를 가진다(예를 들어, 치근첨단 부분(111b)의 길이(LAP)는 약 6, 6.5, 7, 7.5, 8, 8.5, 9, 9.5, 10, 10.5, 11, 11.5, 12, 12.5, 13, 13.5, 14, 14.5, 15, 15.5, 16 ㎜일 수 있다). 일부 실행에서, 치근첨단 부분(111b)의 길이(LAP)는 치아 임플란트(100)의 전체 길이(LI)의 약 50% 내지 약 90%이다. 일부 다른 실행에서, 치근첨단 부분(111b)의 길이(LAP)는 치아 임플란트(100)의 전체 길이(LI)의 약 70% 내지 약 85%이다. 예를 들어, 치근첨단 부분(111b)의 길이(LAP)는 치아 임플란트(100)의 전체 길이(LI)의 약 50, 55, 60, 65, 70, 75, 80, 85, 90%이다.
칼라(130)는 예를 들어 약 0.5 ㎜ 내지 약 3 ㎜일 수 있는 길이(LC)를 가진다(예를 들어, 칼라(130)의 길이(LC)는 약 0.5, 1.0, 1.5, 2, 2.5, 3 ㎜일 수 있다). 일부 실행에서, 칼라(130)의 길이(LC)는 치아 임플란트(100)의 전체 길이(LI)의 약 5% 내지 약 20%이다. 일부 다른 실행에서, 칼라(130)의 길이(LC)는 치아 임플란트(100)의 전체 길이(LI)의 약 15% 내지 약 20%이다. 예를 들어, 칼라(130)의 길이(LC)는 치아 임플란트(100)의 전체 길이(LI)의 약 5, 10, 15, 20%이다.
외향 테이퍼형 부분(113a)은 예를 들어 약 1 ㎜ 내지 약 5 ㎜일 수 있는 길이(Lot)를 가진다(예를 들어, 외향 테이퍼형 부분(113a)의 길이(Lot)는 약 1, 1.5, 2, 2.5 , 3, 3.5, 4, 4.5, 5 ㎜일 수 있다). 일부 실행에서, 외향 테이퍼형 부분(113a)의 길이(Lot)는 치아 임플란트(100)의 전체 길이(LI)의 약 10% 내지 약 30%이다. 일부 다른 실행에서, 외향 테이퍼형 부분(113a)의 길이(Lot)는 치아 임플란트(100)의 전체 길이(LI)의 약 15% 내지 약 25%이다. 예를 들어, 외향 테이퍼형 부분(113a)의 길이(Lot)는 치아 임플란트(100)의 전체 길이(LI)의 약 10, 15, 20, 25, 30%이다.
상기 내향 테이퍼형 부분(113b)은 예를 들어 약 4 ㎜ 내지 약 9 ㎜일 수 있는 길이(Lit)를 가진다(예를 들어, 내향 테이퍼형 부분(113b)의 길이(Lit)는 약 4, 4.5, 5, 5.5, 6, 6.5, 7, 7.5, 8, 8.5, 9 ㎜일 수 있다). 일부 실행에서, 내향 테이퍼형 부분(113b)의 길이(Lit)는 치아 임플란트(100)의 전체 길이(LI)의 약 30% 내지 약 80%이다. 일부 다른 실행에서, 내향 테이퍼형 부분(113b)의 길이(Lit)는 치아 임플란트(100)의 전체 길이(LI)의 약 40% 내지 약 50%이다. 예를 들어, 내향 테이퍼형 부분(113b)의 길이(Lit)는 치아 임플란트(100)의 전체 길이(LI)의 약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이다.
팽창 특징부(120)를 추가로 설명하도록, 치아 임플란트(100)의 바디(110)의 몇몇 외경 관계에 대하여 참조된다. 예를 들어, 팽창 특징부(120)의 최대 외경(DMAX,Bulge)은 (i) 치관측 부분(111a)의 최대 외경(DMAX,coronal) 및 칼라(130)의 최대 외경(DMAX,coiiar)보다 크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치관측 부분(111a)의 최대 외경(DMAX,coronal) 및 칼라(130)의 최대 외경(DMAX,coiiar)은 동일하거나 또는 거의 동일하다. 대안적으로, 치관측 부분(111a)의 최대 외경(DMAX,coronal) 및 칼라(130)의 최대 외경(DMAX,coiiar)은 칼라(130)가 치관측 부분(111a)의 최대 외경과 비교하여 보다 크거나 또는 보다 작은 최대 외경을 가지는 경우에 치아 임플란트가 플랫폼 시프팅을 가지면 다를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 특징부(120)의 최대 외경(DMAX, Bulge)은 치관측 부분(111a)의 최대 외경(DMAX,coronal)보다 약 20% 더 크다. 대안적으로, 팽창 특징부(120)의 최대 외경(DMAX, Bulge)은 치관측 부분(111a)의 최대 외경(DMAX,coronal)보다 약 20% 더 크다. 대안적으로, 팽창 특징부(120)의 최대 외경(DMAX, Bulge)은 치관측 부분(111a)의 최대 외경(DMAX,coronal)보다 약 10% 내지 30% 더 클 수 있다. 일부 실행에서, 치근첨단 부분((111b)의 약 30% 내지 약 50%(그 안에 팽창 특징부(120)를 포함하는)는 치관측 부분(111a)보다 큰 외경을 가진다.
또한, 일부 실행에서, 치근첨단 부분(111b)의 약 20% 내지 약 70%는 치관측 부분(111a)보다 큰 외경을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부 실행에서, 치근첨단 부분(111b)의 약 30% 내지 약 50%는 치관측 부분(111a)보다 큰 외경을 가진다.
또한, 일부 실행에서, 치관측 부분(111a)의 최대 외경(DMAX,coronal)은 (i) 팽창 특징부(120)의 최대 외경(DMAX,Bulge), (ⅱ) 외향 테이퍼형 부분(113a)의 최대 외경, (ⅲ) 내향 테이퍼형 부분(113b)의 최대 외경, 또는 (ⅳ) 그 임의의 조합보다 적어도 약 20% 작다. 대안적으로, 치관측 부분(111a)의 최대 외경(DMAX,coronal)은 (i) 팽창 특징부(120)의 최대 외경(DMAX, Bulge), (ⅱ) 외향 테이퍼형 부분의 최대 외경, (ⅲ) 내향 테이퍼형 부분(113b)의 최대 외경, 또는 (ⅳ) 그 임의의 조합보다 약 15% 내지 약 30% 작다.
치아 임플란트(100)의 내부 보어(160)는 바디(110)에 형성되고, 치아 임플란트(100)와 결합하여 교각치를 제거 가능하게 홀딩하는 보유 스크루를 수용하기 위한 나사 부분(165)을 가진다. 내부 보어(160)는 비회전 형태로 교각치의 대응하는 비회전 특징부와 비회전식으로 짝맞춤될 수 있는 육각형 소켓 특징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 비회전 특징부(180)를 그 안에 포함한다. 예를 들어, 4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소켓(도시하지 않음), 5면 다각형 소켓(도시하지 않음), 12면 다각형/별형 소켓(도시되지 않음), 3-피스 클로버 형상 소켓(도시되지 않음), 3각 원뿔 소켓(도 4에 도시되고 다음에 기술됨), 하나 이상의 스플라인/그루브(도시되지 않음) 등과 같은 다양한 대안적인 비회전 특징부들이 치아 임플란트(100)에 대해 고려된다. 또한 내부 소켓과 내부 연결 치아 임플란트인 비회전 특징부(180) 대신에, 비회전 특징부(180)는 내부 소켓을 가지는 내부 연결 치아 임플란트이고, 비회전 특징부(180)는 외부 보스(도시되지 않음)를 가지는 외부 연결 치아 임플란트일 수 있다. 비회전 특징부(180)(예를 들어, 양의 비회전 특징부를 구비한)를 포함하는 내부 보어(160)에 대한 대안으로, 내부 보어(160)는 교각치의 대응하는 원뿔 특징부와 짝맞춤되는 록킹 원뿔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원뿔 특징부들의 기하학적 구조가 자체가 상대 회전을 제한 및/또는 방지하는 포지티브 구조(positive structure)를 제공하지는 않지만, 록킹 원뿔 특징부는 상대적인 비회전 특징부를 제공하도록 치아 임플란트와 교각치 사이의 마찰 및 원뿔 특징부들의 모르스 테이퍼(morse taper) 기하학적 구조에 의지한다.
내부 보어(160)는 보어 중심축(Xbore)을 가진다. 보어 중심축(Xbore)은 치아 임플란트(100)의 적어도 내부 보어(160)의 기하학적 중심 및/또는 대칭축을 통과하는 직선 축/선으로서 정의된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보어(160)의 보어 중심축(Xbore)은 또한 치아 임플란트(100)의 바디(110)의 치근첨단 부분(111b)의 기하학적 중심 및/또는 대칭축을 통과한다. 이러한 것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각진 보어 치아 임플란트(200)와는 대조적으로 직선 보어 치아 임플란트이다.
치관측 부분(111a), 치근첨단 부분(111b), 및 칼라(130)를 가지는 것으로서 바디(110)를 기술하는 대신에, 바디(110)는 상부 부분(112a), 중간 부분(112b), 및 하부 부분(112c)을 가지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이러한 지정을 사용하여, 바디(110)의 상부 부분(112a)은, 예를 들어 치관측 부분(111a)(예를 들어, 나사부 표면을 가지는) 및/또는 칼라(130)(예를 들어 나사부 표면이 없는)를 포함하는 대체로 원통형인 영역을 포함하며; 바디(110)의 하부 부분(112c)은 대체로 내측으로 테이퍼진 영역(예를 들어, 화살표(A)의 방향으로 내측으로 테이퍼진)을 포함하며; 바디(110)의 중간 부분(112b)은 적어도 팽창 특징부(120)를 포함한다.
이제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설명되고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치아 임플란트(100)와 유사한, 바디(210)를 가지는 각진 치아 임플란트(200)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각진 치아 임플란트(200)는, 각진 치아 임플란트(200)의 각진 칼라(230) 및 각진 내부 보어(260)가 각진 치아 임플란트(200)의 주 중심축(Xmain)에 대해 각이 진다는 점에서 치아 임플란트(100)(도 1a 및 도 1b)와 대체로 다르다. 예를 들어, 보어 중심축(Xbore)은 주 중심축(Xmain)에 대해 약 7°내지 약 31°의 각도(θ)를 이룰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어 중심축(Xbore)은 주 중심축(Xmain)에 대해 약 12°의 각도(θ)를 이룬다.
각진 치아 임플란트(200)는 또한 비회전 특징부(280)가 소켓으로서 각진 칼라(230) 내로 연장되어 이를 통과함에 따라서 비회전 특징부(280)가 각진 치아 임플란트(200)의 주 중심축(Xmain)에 대해 각이진 것을 제외하면 비회전 특징부(180)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비회전 특징부(280)를 포함한다. 치아 임플란트(100)의 바디(110)와 마찬가지로, 바디(210)는, 팽창 특징부(120)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팽창 특징부(220)를 포함하는 치관측 부분(211a) 및 치근첨단 부분(211b)을 포함한다.
이제 도 3a를 참조하면, 환자의 구강(301)의 부분 단면도가 도시된다. 구강(301)은 그 안에 설치된 치아 임플란트(100)를 수용하도록 발치 소켓(309)(치아가 그 부위로부터 발치되는)을 형성하는 뼈(305) 및 연질 조직(307)(예를 들어, 잇몸)을 포함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뼈(305)는 발치 소켓(309)의 개구의 근방에서 비교적 얇고, 발치 소켓(309) 내로 보다 치근첨단에서 비교적 두껍다. 보다 구체적으로, 발치 소켓의 입술측 측면(310) 상의 뼈(305)(예를 들어, 구강 뼈 플레이트(312))는 발치 소켓(309)의 입천장 측면(315) 상의 뼈(305)(예를 들어, 혀측 뼈 플레이트(317))보다 더욱 얇다. 이와 같이, 예를 들어 입술측 측면(310) 상의 뼈(305)와 설치된 치아 임플란트(예를 들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에 갭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입술측 측면(310) 상의 뼈(305)의 성장을 조장하는 것이 유익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치아 임플란트(100)는 화살표(B)의 방향으로 발치 소켓(309) 내로 부분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3c는 발치 소켓(309) 내로 완전히 설치될 때의 치아 임플란트(100)를 도시한다. 치아 임플란트(100)가 발치 소켓(309) 내로 완전히 설치될 때, 입술측 측면(310) 상의 뼈(305)와 설치된 치아 임플란트(100) 사이의 갭(G)이 설정된다. 이러한 갭(G)은 전형적으로 약 1 ㎜ 내지 3 ㎜ 폭, 보다 구체적으로 약 1.5 ㎜ 내지 2 ㎜ 폭이다. 갭(G)은 치아 임플란트(100)의 바디(110)의 치관측 부분(111a) 주위로 360°연장된다. 일부 실행에서, 갭(G)은 치관측 부분(111a) 주위에 비교적 일정하다. 대안적으로, 갭(G)은 치관측 부분(111a)을 중심으로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갭(G)은 입술측 측면(310)에 인접하여 약 2 ㎜일 수 있고, 갭(G)은 입천장 측면(315)에 인접하여 약 0.5 ㎜일 수 있다. 일부 실행에서, 생물학적 이식 물질은 갭(G)에 식립될 수 있다. 생물학적 이식 물질의 제한적인 예는 경질 조직 동종 이식, 이종 이식, 자생종(autogenous) 및 합성골(alloplast)을 포함한다. 생물학적 이식 물질은 갭(G)을 채우고, 새로운 입술측 뼈 플레이트 형성을 위한 치유 동안 갭(G)의 체적을 유지하는 골격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치아 임플란트(100)가 완전히 설치되는 것으로(도 3c), 치아 임플란트(100)의 치관측 부분(111a) 내의 나사부(125)(도 1a 및 도 1b)는 발치 소켓(309)과 직접 결합되지 않는다. 오히려, 치아 임플란트(100)의 치근첨단 부분(111b)의 나사부(125)(예를 들어, 팽창 특징부(120) 상의)는 치아 임플란트(100)를 발치 소켓에 고정하도록 발치 소켓(309)과 결합되어, 설치된 치아 임플란트(100)의 1차 안정성을 제공한다.
치아 임플란트(100)가 완전히 설치된 후에,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재(350)는 치아 임플란트(100)에 부착될 수 있다(예를 들어, 비회전식으로). 부재(350)는 커버 스크루(예를 들어, 도 3c 및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유 교각치, 치유 캡, 임시 교각치, 영구 교각치, 부착 부재 등일 수 있다. 또한, 임시 또는 영구적인 크라운(crown)(도시되지 않음)은 회복 과정에서의 단계에 의존하여 교각치(350)에 부착될 수 있다. 치아 임플란트(100) 상에 식립되는 교각치(350)의 형태 및/또는 상이한 교각치(350)의 순서는 환자의 구강(301)에서의 상태, 골융합의 양, 및 임상의의 선호하는 치료 계획에 의존한다.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치아 임플란트는 비회전 특징부를 포함한다. 비회전 특징부는 치아 임플란트와 이에 부착된 교각치 사이의 상대 회전을 방지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 임플란트(400)는 3중 원뿔형 보스(460)를 가지는 교각치(450)와 비회전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3중 원뿔형 내부 연결부(480)인 비회전 특징부를 포함한다. 3중 원뿔형 내부 연결부(480)는, 서로 표개져 2개의 내부 수평 평탄부(490a,490b)를 생성하는 3개의 엇갈린 원뿔 형상 표면(485a, 485b, 485c)을 포함한다. 원뿔 형상 표면(485a, 485b, 485c)들은 대체로 둥근 프로파일을 가짐에 따라서, 이러한 것들 자체는 비회전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 오히려, 원뿔 형상 표면(485a, 485b, 485c)들의 각각은 교각치(450)의 대응하는 3중 원뿔형 보스(460) 상의 대응하는 키(475a, 475b, 475c)들과 결합되는 디보트(divot) 또는 키홈(495a, 495b, 495c)들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키-키홈 결합은 교각치(450)와 치아 임플란트(400)의 상대 회전을 방지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키홈(495a, 495b, 495c)들은 3중 원뿔형 내부 연결부(480)의 원주 둘레에서 이격되고, 원뿔 형상 표면(485a)들 중 제1 원뿔 형상 표면의 제1 키홈(495a)은 "10시 방향"에 위치되고, 원뿔 형상 표면(485b)들 제2 원뿔 형상 표면의 제2 키홈(495b)은 "12시 방향"에 위치되고, 원뿔 형상 표면(485c)들 중 제3 원뿔 형상 표면의 제3 키홈(495c)은 "2시 방향"에 위치된다. 키홈(495a, 495b, 495c)들에 대한 다양한 다른 위치가 고려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치아 임플란트(500)는 환자의 구강 내의 소켓(예를 들어, 도 3a의 발치 소켓(309)) 내로의 설치를 위해 도시되어 있다. 치아 임플란트(500)는 바디(510), 칼라(530), 내부 보어(560), 및 비회전 특징부(도시되지 않았지만, 비회전 특징부(180)와 동일하거나 유사)를 포함한다. 바디(510)는 치관측 부분(511a), 치근첨단 부분(511b), 및 팽창 특징부(520)를 가진다. 치아 임플란트(500)는 대체로, 치아 임플란트(500)의 팽창 특징부(520)가 치아 임플란트(100)의 팽창 특징부(120)와 비교하여 바디(510) 상의 상대적으로 하부에(예를 들어, 더욱 치근첨단에) 있다는 점에서 치아 임플란트(100)(도 1a 및 도 1b)와 대체로 다르다는 것 외에, 치아 임플란트(100)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예를 들어, 치아 임플란트(500)의 치관측 부분(511a)은 치아 임플란트(500)의 전체 길이의 약 30% 내지 약 40%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치아 임플란트(500)의 치관측 부분(511a)은 치아 임플란트(500)의 전체 길이의 약 35%이다. 또한, 치아 임플란트(500)는 치아 임플란트(500)가 하나 이상의 세로 홈(570)을 가진다는 점에서 치아 임플란트(100)(도 1a 및 도 1b)와 다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세로 홈(570)은 치아 임플란트(500)의 자기 태핑 작용을 돕기 위해 치근첨단 부분(511b)의 내향 테이퍼형 부분에 위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나 이상의 세로 홈(570)은 팽창 특징부(520)의 일부에 위치된다. 일부 실행에서, 하나 이상의 세로 홈(570)은 치근첨단 부분(511b)의 외향 테이퍼형 부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치아 임플란트(600)는 환자의 구강 내의 소켓(예를 들어, 도 3a의 발치 소켓(309))에 설치하기 위해 도시되어 있다. 치아 임플란트(600)는 바디(610), 칼라(630), 내부 보어(660), 및 비회전 특징부(680)를 포함한다. 바디(610)는 치관측 부분(611a), 치근첨단 부분(611b), 제1 팽창 특징부(620a) 및 제2 팽창 특징부(620b)를 가진다. 치아 임플란트(600)는, 치아 임플란트(600)가 치아 임플란트(100, 500)들의 단일 팽창 특징부(120, 520)들과 비교하여 2개의 팽창 특징부(620a, 620b)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치아 임플란트(600)가 대체로 치아 임플란트(100(도 1a 및 도 1b), 500(도 5))들과 다르다는 점 외에 치아 임플란트(100, 500)들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제1 및 제2 팽창 특징부(620a, 620b)들의 각각은 팽창 특징부(120, 220, 520)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팽창 특징부(620a, 620b)들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예를 들어, 동일한 지름, 동일한 길이, 동일한 곡률, 상이한 지름, 상이한 길이, 상이한 곡률 등, 또는 그 임의의 조합). 예를 들어, 제2 팽창 특징부(620b)보다 치근첨단에 있는 제1 팽창 특징부(620a)는 제2 팽창 특징부(620b)의 최대 외경(DMAX,Bulge2)(예를 들어, 5.5 ㎜)보다 작은 최대 외경(DMAX, Bulge1)(예를 들어, 4.5 ㎜)을 가지며; 제1 및 제2 팽창 특징부(620a, 620b)들은 각각 동일한 길이(LBulge1, LBulge2)(예를 들어, 약 3.5 ㎜)를 가진다.
상이한 크기 및 위치의 제1 및 제2 팽창 특징부들의 다양한 다른 조합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일부 대안에서, 제1 팽창 특징부(620a)의 길이(LBulge1)는 제2 팽창 특징부(620b)의 길이(LBulge2)보다 작거나 클 수 있거나(예를 들어, 5% 미만, 10% 미만, 20% 미만, 30% 이상, 5% 이상, 10% 이상, 20% 이상, 30% 이상 등) 또는 그 반대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일부 이러한 대안에서, 제1 팽창 특징부(620a)의 최대 외경(DMAX, Bulge1)은 제2 팽창 특징부(620b)의 최대 외경(DMAX, Bulge2)과 동일하거나 또는 작거나 또는 클 수 있다(예를 들어, 5% 미만, 10% 미만, 20% 미만, 30% 미만, 5% 이상, 10% 이상, 20% 이상, 30% 이상 등) 또는 그 반대일 수 있다.
일부 대안적인 실행에 따라서, 본 발명의 치아 임플란트들은 임의의 수의 팽창부, 예를 들어, 도 1a 내지 도 3d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나의 팽창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팽창부, 3개의 팽창부(도시되지 않음), 4개의 팽창부(도시되지 않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대안에서, 각각의 팽창부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크기(예를 들어, 최대 지름, 길이 등)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팽창부들의 위치는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행에서, 제1 가장 치근첨단의 팽창부는 제1 최대 지름을 가지며, 제2 중간 팽창부는 제2 최대 지름을 가지며, 제 3 최대의 치관측 팽창부는 제3 최대 지름을 가지며, 제2 팽창 특징부의 제2 최대 지름은 각각 제1 및 제3 팽창부들의 제1 및 제3 최대 지름 모두보다 작다(즉, 중간 팽창부는 가장 작은 최대 지름을 가진다). 다른 예로서, 일부 실행에서, 제1 가장 치근첨단의 팽창부는 제1 최대 지름을 가지며, 제2 중간 팽창부는 제2 최대 지름을 가지며, 제3 가장 치관측 팽창부는 제3 최대 지름을 가지며, 제1 최대 지름은 제2 및 제3 최대 지름보다 크고, 제3 최대 지름은 제2 최대 지름보다 크다.
치관측 부분(111a)(도 1a 및 도 1b)이 그 주위를 감싸는 나사부(125)의 적어도 일부를 가지는 나사형 치관측 부분(111a)으로서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일부 대안적인 실행에서, 치관측 부분(111a) 또는 치관측 부분(111a)의 섹션(예를 들어, 치관측 부분(111a)의 10%, 치관측 부분(111a)의 20%, 치관측 부분(111a)의 50%, 치관측 부분(111a)의 75%, 치관측 부분(111a)의 90% 등)은 나사부가 형성되지 않고, 그 주위를 감싸는 나사부(125)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대신에, 치관측 부분(111a)은 외부 표면(114)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링 및/또는 평행한 그루브들을 포함한다. 치관측 부분(211a)(도 2a 및 도 2b) 및 치관측 부분(511a)(도 5) 및 치관측 부분(611a)(도 6a 및 도 6b)은 마찬가지로 나사가 형성되는 대신에 하나 이상의 링 및/또는 평행한 그루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치관측 부분(111a)(도 1a 및 도 1b)은 그 주위를 감싸는 나사부(125)의 적어도 일부를 가지는 나사형 치관측 부분(111a)으로서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일부 대안적인 실행에서, 치관측 부분(111a) 또는 치관측 부분(111a)의 섹션(예를 들어, 치관측 부분(111a)의 10%, 치관측 부분(111a)의 20%, 치관측 부분(111a)의 50%, 치관측 부분(111a)의 75%, 치관측 부분(111a)의 90%)은 나사부가 형성되지 않고, 그 주위를 감싸는 나사부(125)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대신에, 치관측 부분(111a) 또는 치관측 부분(111a)의 섹션은 외부 표면(114) 상에 및/또는 외부 표면에 형성된 거친 표면 및/또는 질감화된 표면(texturized surface)을 포함한다. 또한, 칼라(130) 또는 칼라(130)의 일부는 동일한 거친 표면 및/또는 질감화된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거친 표면 또는 질감화된 표면은 예를 들어, 산 에칭/처리, 그릿 블라스팅(grit blasting)(예를 들어, 모래, 실리콘, 티타늄 등을 이용하는)과 같은 임의의 수의 공정, 또는 표면을 거칠게/질감화하는 임의의 다른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치관측 부분(111a)(또는 그의 섹션) 및/또는 칼라(130)(또는 그 섹션)의 거친 표면은 30 미크론을 넘지 않는 피크-골짜기 높이를 가지는 복수의 요철(irregularity)(예를 들어, 돌출부, 만입부, 골짜기, 노치 등)을 포함한다. 일부 실행에서, 정상-골짜기 높이는 1 내지 20 미크론이다. 일부 실행에서, 정상-골짜기 높이는 1 내지 10 미크론이다. 치관측 부분(211a)(도 2a 및 도 2b) 또는 그 섹션, 치관측 부분(511a)(도 5) 또는 그 섹션, 및 치관측 부분(611a)(도 6a 및 도 6b) 또는 그 섹션은 유사하게 나사부 대신에 거친 표면 및/또는 질감화된 표면을 포함한다.
치아 임플란트(100)(도 1a 및 도 1b)가 칼라(130)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일부 대안적인 실행에서, 치아 임플란트(100)는 칼라(130)를 가지지 않는다. 오히려, 이러한 대안에서, 치관측 부분(111a)은 교각치를 위한 테이블 또는 안착면이 위치되는 치아 임플란트(도시되지 않음)의 상단 가장자리까지 완전히 연장된다. 치아 임플란트(200)(도 2a 및 도 2b) 및 치아 임플란트(500)(도 5) 및 치아 임플란트(600)(도 6a 및 도 6b)는 각각 칼라(230, 530, 630)없이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치아 임플란트(100)가 대체로 원통형인 치관측 부분(111a) 및 칼라(130)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일부 대안적인 실행에서, 치아 임플란트(100)는 칼라를 가지지 않고 대체로 원통형인 치관측 부분을 가지지 않는다. 오히려, 이러한 대안에서, 외향 테이퍼형 부분(113a)은 교각치를 위한 테이블 또는 안착면이 위치되는 치아 임플란트(도시되지 않음)의 상단 가장자리까지 완전히 연장된다. 즉, 이러한 대안에서, 치아 임플란트(100)의 바디(110)는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최대 외경(예를 들어, DMAX, BULGE)을 가지는 팽창 특징부(120)의 부분까지 외측으로 테이퍼진다(예를 들어, 화살표(A)의 방향으로). 이러한 외향 테이퍼는 대체로 직선 또는 곡선/가변적일 수 있다(예를 들어, 오목 곡선화된 테이퍼). 치아 임플란트(200)(도 2a 및 도 2b), 치아 임플란트(500)(도 5), 및 치아 임플란트(600)(도 6a 및 도 6b)는 유사하게 칼라없이 그리고 대체로 원통형인 치관측 부분없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하나 이상의 특정 실시예 및 실행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많은 변경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들 및 실행의 각각 및 그 명백한 변형들은 이하의 청구항에 기술된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Claims (71)

  1. 치아 임플란트로서,
    상부 부분, 중간 부분, 및 하부 부분을 포함하는 바디로서, 상기 바디의 상부 부분이 대체로 원통형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의 하부 부분이 대체로 내향 테이퍼형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의 중간 부분이 외향 연장 팽창부를 포함하며, 상기 팽창부의 최대 외경이 (i) 상기 상부 부분의 최대 외경 및 (ⅱ) 상기 하부 부분의 최대 외경보다 큰, 상기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상부 부분의 적어도 일부, 상기 팽창부, 및 상기 바디의 하부 부분 내의 상기 바디 상의 나사부 표면을 포함하는, 치아 임플란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상부 부분은 소켓에서의 치아 임플란트의 설치 후에 환자의 구강에서 상기 소켓의 뼈의 적어도 일부의 뼈 성장을 촉진하도록 크기화되고 구성된 외부 표면을 가지는, 치아 임플란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는 환자의 구강에서 소켓의 뼈에 상기 치아 임플란트를 고정하도록 크기화되고 구성된 외부 표면을 가지는, 치아 임플란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상부 부분은 전체적으로 대체로 원통형인, 치아 임플란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중간 부분은 상기 외향 연장 팽창부를 함께 형성하는 외향 테이퍼형 부분 및 내향 테이퍼형 부분을 포함하는, 치아 임플란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향 연장 팽창부는 상기 바디의 중간 부분 주위로 360°연장되는, 치아 임플란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향 연장 팽창부는 상기 바디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대체로 대칭인, 치아 임플란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향 연장 팽창부는 상기 바디의 전체 길이의 약 30% 내지 약 50%를 따라서 연장되는, 치아 임플란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상부 부분의 최대 외경은 상기 팽창부의 최대 외경보다 적어도 약 20% 작은, 치아 임플란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상부 표면의 외부 표면은 상기 바디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대체로 대칭인, 치아 임플란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 부분은 나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나사부의 적어도 일부는 약 0.4 ㎜ 내지 약 0.5 ㎜의 나사 깊이를 가지는, 치아 임플란트.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하부 부분의 최하측 단부는 상기 치아 임플란트의 자기 태핑 작용을 제한하는 것을 돕도록 둥근 돔 형상으로 끝나는, 치아 임플란트.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중간 부분은 (i) 상기 상부 부분의 최대 외경 및 (ⅱ) 상기 하부 부분의 최대 외경보다 큰 최대 외경을 가지는 제2 외향 연장 팽창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치아 임플란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팽창부의 최대 외경은 상기 팽창부의 최대 외경보다 적어도 5% 큰, 치아 임플란트.
  15. 환자의 구강에 있는, 뼈로 형성된 소켓에서 설치하기 위한 치아 임플란트로서,
    치관측 부분 및 치근첨단 부분을 가지는 바디로서, 상기 치관측 부분은 상기 소켓에 상기 치아 임플란트의 설치 후에 환자의 구강에 상기 소켓의 뼈의 적어도 일부의 뼈 성장을 촉진하도록 크기화되고 구성된 외부 표면을 가지며, 상기 치근첨단 부분이 환자의 구강에 있는 상기 소켓의 뼈에 상기 치아 임플란트를 고정하도록 크기화되고 구성된 외부 표면을 가지며, 상기 치관측 부분의 외부 표면은 대체로 원통형이며, 상기 치근첨단 부분은 뼈에 상기 치아 임플란트의 고정을 돕는 팽창 특징부를 상기 바디의 치근첨단 부분에서 함께 형성하는 외향 테이퍼형 부분 및 내향 테이퍼형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바디; 및
    적어도 상기 치관측 부분 및 상기 팽창 특징부 내의 상기 바디 상의 나사부 표면을 포함하는, 치아 임플란트.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특징부는 상기 바디의 치근첨단 부분 주위로 360°연장되는, 치아 임플란트.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특징부는 상기 바디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대체로 대칭인, 치아 임플란트.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치근첨단 부분의 약 30% 내지 약 50%는 상기 치관측 부분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치아 임플란트.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특징부의 최대 외경은 상기 바디의 치관측 부분의 최대 외경보다 큰, 치아 임플란트.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치관측 부분의 최대 외경은 상기 팽창 특징부의 최대 외경보다 적어도 약 20% 작은, 치아 임플란트.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치관측 부분은 상기 바디의 전체 길이의 약 15% 내지 약 50%를 따라서 연장되며, 상기 팽창 특징부는 상기 바디의 전체 길이의 약 30% 내지 약 50%를 따라서 연장되는, 치아 임플란트.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치관측 부분의 외부 표면은 상기 바디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대체로 대칭인, 치아 임플란트.
  23.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 표면은 나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나사부의 적어도 일부는 약 0.4 ㎜ 내지 약 0.5 ㎜의 나사 깊이를 가지는, 치아 임플란트.
  24.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치근첨단 부분의 최하측 단부는 상기 치아 임플란트의 자기 태핑 작용을 제한하는 것을 돕도록 둥근 돔 형상으로 끝나는, 치아 임플란트.
  25.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치관측 부분의 최대 외경은 상기 바디의 외향 테이퍼형 부분의 최대 외경보다 작은, 치아 임플란트.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 형성된 내부 보어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내부 보어는 상기 치아 임플란트와의 결합으로 교각치를 제거 가능하게 홀딩하도록 구성된 유지 스크루를 수용하기 위한 나사 부분을 가지는, 치아 임플란트.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외향 테이퍼형 부분은 치근첨단 방향으로 상기 외향 테이퍼형 부분을 따라서 증가하는 외경을 가지며, 상기 내향 테이퍼형 부분은 상기 치근첨단 방향으로 상기 내향 테이퍼형 부분을 따라서 감소하는 외경을 가지는, 치아 임플란트.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교각치를 비회전 형태로 결합하도록 구성된 비회전 특징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비회전 특징부는 상기 바디의 치근첨단 부분의 최하측 단부 반대편에 위치되는, 치아 임플란트.
  2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치근첨단 부분은 뼈에 상기 치아 임플란트의 고정을 더욱 돕는 제2 팽창 특징부를 상기 바디의 치근첨단 부분에서 함께 형성하는 제2 외향 테이퍼형 부분 및 제2 내향 테이퍼형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2 팽창 특징부의 최대 외경은 상기 팽창 특징부의 최대 외경보다 적어도 5% 큰, 치아 임플란트.
  30. 치아 임플란트로서,
    환자의 뼈에 상기 치아 임플란트를 고정하기 위하여 나사형 치관측 부분 및 나사형 치근첨단 부분을 가지는 바디로서, 상기 나사형 치관측 부분은 대체로 원통형이며, 상기 나사형 치근첨단 부분은 나사형 외향 테이퍼형 부분 및 나사형 내향 테이퍼형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나사형 외향 테이퍼형 부분의 외경은 치근첨단에서 증가하며, 상기 나사형 내향 테이퍼형 부분의 외경은 치근첨단에서 감소하며, 상기 바디의 나사형 치관측 부분의 최대 외경은 (i) 상기 나사형 외향 테이퍼형 부분의 최대 외경 및 (ⅱ) 상기 나사형 내향 테이퍼형 부분의 최대 외경보다 작은, 상기 바디;
    상기 바디에 형성되며, 상기 치아 임플란트와의 결합으로 교각치를 제거 가능하게 홀딩하도록 구성된 스크루를 수용하기 위한 나사 부분을 가지는 내부 보어; 및
    비회전 형태로 상기 교각치를 결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바디의 치근첨단 부분의 최하측 단부 반대편에 위치되는 비회전 특징부를 포함하는, 치아 임플란트.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형 외향 테이퍼형 부분 및 상기 나사형 내향 테이퍼형 부분은 환자의 뼈에 상기 치아 임플란트를 고정하는 것을 돕는 팽창부를 상기 바디의 치근첨단 부분에서 집합적으로 형성하는, 치아 임플란트.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는 상기 바디의 치근첨단 부분 주위로 360°연장되는, 치아 임플란트.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는 상기 바디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대체로 대칭인, 치아 임플란트.
  34.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형 치근첨단 부분의 약 20% 내지 약 70%는 상기 나사형 치관측 부분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치아 임플란트.
  35.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형 치근첨단 부분의 약 30% 내지 약 50%는 상기 나사형 치관측 부분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치아 임플란트.
  36.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형 치관측 부분은 상기 바디의 전체 길이의 약 10% 내지 약 50%를 따라서 연장되며, 상기 나사형 치근첨단 부분은 상기 바디의 전체 길이의 약 50% 내지 약 90%를 따라서 연장되는, 치아 임플란트.
  37.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형 치관측 부분은 상기 바디의 전체 길이의 약 15% 내지 약 30%를 따라서 연장되며, 상기 나사형 치근첨단 부분은 상기 바디의 전체 길이의 약 70% 내지 약 85%를 따라서 연장되는, 치아 임플란트.
  38.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형 외향 테이퍼형 부분은 상기 바디의 전체 길이의 약 10% 내지 약 30%를 따라서 연장되며, 상기 나사형 내향 테이퍼형 부분은 상기 바디의 전체 길이의 약 30% 내지 약 80%를 따라서 연장되는, 치아 임플란트.
  39.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형 치관측 부분은 상기 바디의 전체 길이의 약 10% 내지 약 40%를 따라서 연장되며, 상기 나사형 외향 테이퍼형 부분은 상기 바디의 전체 길이의 약 10% 내지 약 30%를 따라서 연장되며, 상기 나사형 내향 테이퍼형 부분은 상기 바디의 전체 길이의 약 30% 내지 약 80%를 따라서 연장되는, 치아 임플란트.
  40.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형 외향 테이퍼형 부분의 외부 표면은 대체로 직선 테이퍼를 형성하며, 상기 나사형 내향 테이퍼형 부분의 외부 표면은 대체로 직선 테이퍼를 형성하는, 치아 임플란트.
  4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외부 표면은 상기 치아 임플란트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대체로 대칭인, 치아 임플란트.
  4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형 치관측 부분의 외부 표면은 제1 나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나사형 치근첨단 부분의 외부 표면은 제2 나사부를 포함하는, 치아 임플란트.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사부는 마이크로 나사부이며, 상기 제2 나사부는 메인 나사부인, 치아 임플란트.
  44.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사부는 제1 나사 피치 및 제1 나사 깊이를 가지며, 상기 제2 나사부는 제2 나사 피치 및 제2 나사 깊이를 가지는, 치아 임플란트.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사 피치는 상기 제2 나사 피치와 동일한, 치아 임플란트.
  46.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사 깊이는 상기 제2 나사 깊이보다 작은, 치아 임플란트.
  47.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나사 깊이는 약 0.3 ㎜ 내지 약 0.7 ㎜인, 치아 임플란트.
  48.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나사 깊이는 약 0.4 ㎜ 내지 약 0.5 ㎜인, 치아 임플란트.
  49.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사 깊이는 약 0.1 ㎜ 내지 약 0.2 ㎜이며, 상기 제2 나사 깊이는 약 0.4 ㎜ 내지 약 0.5 ㎜인, 치아 임플란트.
  50.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임플란트의 자기 태핑 작용을 돕도록 상기 나사형 내향 테이퍼형 부분에 있는 하나 이상의 세로 홈을 추가로 포함하는, 치아 임플란트.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치근첨단 부분의 최하측 단부는 상기 치아 임플란트의 자기 태핑 작용을 제한하도록 둥근 돔 형상으로 끝나는, 치아 임플란트.
  5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형 치관측 부분의 최대 외경은 상기 나사형 외향 테이퍼형 부분의 최대 외경보다 적어도 약 20% 작은, 치아 임플란트.
  5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형 치관측 부분의 최대 외경은 상기 나사형 외향 테이퍼형 부분의 최대 외경보다 약 15% 내지 약 30% 작은, 치아 임플란트.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형 치관측 부분의 최대 외경은 상기 나사형 내향 테이퍼형 부분의 최대 외경보다 약 15% 내지 약 30% 작은, 치아 임플란트.
  55.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비회전 특징부는 3중 원뿔형 소켓을 포함하는, 치아 임플란트.
  56.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보어의 보어 중심축은 상기 바디의 주 중심축에 대해 넌제로 각도(non-zero angle)인, 치아 임플란트.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넌제로 각도는 약 7°내지 약 31°인, 치아 임플란트.
  58. 환자의 구강에 있는, 뼈로 형성된 소켓에서 설치하기 위한 치아 임플란트로서,
    치관측 부분 및 치근첨단 부분을 가지는 바디로서, 상기 치관측 부분은 상기 소켓에서 상기 치아 임플란트의 설치 후에 환자의 구강에서 상기 소켓의 뼈의 적어도 일부의 뼈 성장을 촉진하도록 크기화되고 구성된 외부 표면을 가지며, 상기 치근첨단 부분은 환자의 구강에 있는 상기 소켓의 뼈에 상기 치아 임플란트를 고정하도록 크기화되고 구성된 외부 표면을 가지며, 상기 치관측 부분의 섹션의 상기 외부 표면은 대체로 원통형이고 거칠며, 상기 치근첨단 부분은 뼈에 상기 치아 임플란트의 고정을 돕는 제1 팽창 특징부를 상기 바디의 치근첨단 부분에서 함께 형성하는 제1 외향 테이퍼형 부분 및 제1 내향 테이퍼형 부분을 가지는, 상기 바디; 및
    상기 제1 팽창 특징부 내에 있지만 상기 대체로 원통형이고 거친 치관측 부분의 섹션 내에는 있지 않는, 상기 바디 상의 나사부 표면을 포함하는, 치아 임플란트.
  59.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치근첨단 부분은 뼈에서 상기 치아 임플란트의 고정을 추가로 돕는 제2 팽창 특징부를 상기 바디의 치근첨단 부분에서 함께 형성하는 제2 외향 테이퍼형 부분 및 제2 내향 테이퍼형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치아 임플란트.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팽창 특징부는 상기 제2 팽창 특징부보다 더 치근첨단에 있으며, 상기 제2 팽창 특징부의 최대 외경은 상기 제1 팽창 특징부의 최대 외경보다 적어도 5% 큰, 치아 임플란트.
  61.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상의 상기 나사부 표면은 또한 상기 제2 팽창 특징부 내에 있는, 치아 임플란트.
  62.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치관측 부분의 섹션의 거친 외부 표면은 30 미크론을 넘지 않는 피크-골짜기 높이를 가지는 복수의 요철을 포함하는, 치아 임플란트.
  63. 환자의 구강에 있는 소켓에서 설치를 위한 치아 임플란트로서,
    교각치를 결합하도록 구성된 상부 부분, 및 상기 소켓 내에서 뼈를 결합하도록 상기 소켓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하부 부분을 가지는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는 상기 상부 부분과 상기 하부 부분 사이에 위치된 2개의 별개의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2개의 별개의 영역들의 각각은 상기 상부 부분의 최대 외경 및 상기 하부 부분의 최대 외경보다 큰 최대 외경을 가지며, 상기 바디는 외부 나사부들을 포함하는, 치아 임플란트.
  6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별개의 영역은 상기 치아 임플란트의 축 방항 길이를 따라서 서로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치아 임플란트.
  65.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별개의 영역은 2개의 팽창부인, 치아 임플란트.
  66.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별개의 영역은 상기 외부 나사부들의 일부를 포함하는, 치아 임플란트.
  67.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별개의 영역의 최대 외경은 서로 다른, 치아 임플란트.
  68.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부분은 상기 바디의 전체 길이의 약 10% 내지 약 50%를 따라서 연장되는, 치아 임플란트.
  69.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부분은 상기 바디의 전체 길이의 약 20% 내지 약 50%를 따라서 연장되는, 치아 임플란트.
  70.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별개의 영역의 각각은 상기 바디의 전체 길이의 약 20% 내지 약 40%를 따라서 연장되는, 치아 임플란트.
  71.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별개의 영역의 각각은 상기 바디의 전체 길이의 적어도 20%를 따라서 연장되는, 치아 임플란트.
KR1020197001039A 2016-06-14 2017-06-09 전위 발치후 소켓을 위한 역테이퍼형 본체를 가지는 치아 임플란트 KR201900467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49816P 2016-06-14 2016-06-14
US62/349,816 2016-06-14
US201662398063P 2016-09-22 2016-09-22
US62/398,063 2016-09-22
PCT/IB2017/053440 WO2017216693A2 (en) 2016-06-14 2017-06-09 Dental implant having reverse-tapered main body for anterior post-extraction socke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762A true KR20190046762A (ko) 2019-05-07

Family

ID=59215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1039A KR20190046762A (ko) 2016-06-14 2017-06-09 전위 발치후 소켓을 위한 역테이퍼형 본체를 가지는 치아 임플란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10617492B2 (ko)
EP (2) EP3468501A2 (ko)
JP (2) JP2019517885A (ko)
KR (1) KR20190046762A (ko)
AU (1) AU2017286777C1 (ko)
BR (1) BR112018075711B1 (ko)
IL (1) IL263449B (ko)
WO (1) WO201721669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25708B2 (en) 2008-07-09 2015-09-08 Nobel Biocare Services Ag Medical implant and method of implantation
US20170252130A1 (en) * 2014-07-17 2017-09-07 Southern Implants (Pty) Ltd Overdenture Retention Implant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it
ES2685982B2 (es) * 2017-12-22 2019-08-09 Prado Keila Lovera Implante dental con aletas desplegables
IL276785B1 (en) * 2018-02-21 2024-03-01 Southern Implants Pty Ltd Asymmetric dental implant for the cheekbone with a partial microgroove
DE102018009128A1 (de) * 2018-11-20 2020-05-20 Matthias Karl GmbH Dentalimplantat
DE102019105182B4 (de) * 2019-02-28 2021-01-28 TRI Dental Implants Int. AG Zahnimplantat und Zahnprothese
EP3912590A1 (de) 2020-05-19 2021-11-24 Matthias Karl GmbH Dentalimplantat aus einem metall oder einer metalllegierung
EP4356869A1 (en) * 2022-10-19 2024-04-24 José Ignacio Gamborena Querejeta Dental implant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21387A (en) * 1953-07-13 1955-10-25 Edward S Ashuckian Artificial tooth
US3708883A (en) * 1971-01-04 1973-01-09 S Flander Dental implant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FR2508307A1 (fr) 1981-09-16 1982-12-31 Lonca Philippe Nouveaux implants dentaires et materiel ancillaire pour leur mise en place
US5573401A (en) 1989-12-21 1996-11-12 Smith & Nephew Richards, Inc. Biocompatible, low modulus dental devices
US5564926A (en) 1992-11-26 1996-10-15 Medevelop Ab Anchoring element for anchorage in bone tissue
US5489210A (en) * 1994-05-13 1996-02-06 Hanosh; Frederick N. Expanding dental implant and method for its use
FR2732890B1 (fr) * 1995-04-14 1997-10-31 Porte Michel Implant dentaire impacto-visse
DE19517459C2 (de) * 1995-05-12 2000-03-30 Ernst Bauer Kieferimplantat
US5759034A (en) 1996-11-29 1998-06-02 Daftary; Fereidoun Anatomical restoration dental implant system for posterior and anterior teeth
US6039568A (en) 1998-06-02 2000-03-21 Hinds; Kenneth F. Tooth shaped dental implants
JP2994635B1 (ja) * 1998-11-25 1999-12-27 有限会社トゥエンティワン 歯科用インプラント
KR100312542B1 (ko) * 1999-02-12 2001-11-03 정필훈 즉시 고정 가능한 팽창형 임플란트
KR100283988B1 (ko) * 1999-07-07 2001-02-15 현영근 골유착 인공치
IL156033A0 (en) 2003-05-21 2004-03-28 Ophir Fromovich Ophir Fromovic Dental implant
KR100473141B1 (ko) 2003-08-29 2005-03-14 주식회사 메가젠 치과용 임플란트
US20060194171A1 (en) * 2003-10-03 2006-08-31 Sargon Lazarof Bi-polar implant
US20060003290A1 (en) 2004-07-01 2006-01-05 Niznick Gerald A Endosseous one-piece screw-type dental implants
DE202005005421U1 (de) 2005-04-05 2006-08-10 Dinkelacker, Wolfgang, Dr.med.dent. Schraubenförmiges Dentalimplantat
US7806693B2 (en) 2007-04-23 2010-10-05 Nobel Biocare Services Ag Dental implant
WO2008157138A2 (en) 2007-06-14 2008-12-24 Southern Implants, Inc. Dental implant for asymmetrical abutment mounting
WO2008157137A1 (en) 2007-06-14 2008-12-24 Southern Implants, Inc. Dental implant system for use with coaxially non-aligned prosthesis
WO2009029711A1 (en) * 2007-08-30 2009-03-05 Zimmer Dental, Inc. Dental implant prosthetic device with improved osseointegration and shape for resisting rotation
KR100808500B1 (ko) * 2007-12-28 2008-02-29 (주)이비아이 부실한 치조골에 사용되는 임플란트 인공치근
US8066511B2 (en) 2008-03-18 2011-11-29 Woehrle Peter Asymmetrical dental implant
DE102008063397B4 (de) 2008-12-30 2019-02-21 Holger Zipprich Dentalimplantatsschraube
FR2943242B1 (fr) 2009-03-18 2011-04-29 Tekka Implant dentaire et ensemble prothetique comprenant un tel implant.
US20100316970A1 (en) * 2009-06-10 2010-12-16 Jeng-Kang Richard Shih Implant root for tooth implanting
IT1397255B1 (it) 2010-01-05 2013-01-04 Danza Struttura di impianto dentale perfezionato.
CN103037801A (zh) 2010-03-03 2013-04-10 路易斯·毛里西奥·奇奎洛佩雷斯 多锥度植入螺钉
US8486120B2 (en) * 2010-05-11 2013-07-16 Warsaw Orthopedic, Inc. Implant with deployable stabilizers
EP2407120A1 (en) 2010-07-14 2012-01-18 Nobel Biocare Services AG Implant system
US20120178048A1 (en) 2011-01-11 2012-07-12 Cottrell Richard D Dental implant with multiple thread patterns
TW201238570A (en) 2011-03-22 2012-10-01 Riemser Arzneimittel Ag Dental implant having a first conical screw part and a second cylindrical screw part
RU2612487C2 (ru) 2011-06-02 2017-03-09 Мис Имплантс Текнолоджис Лтд. Зубной имплантат
WO2012173577A1 (en) 2011-06-13 2012-12-20 Haydar Imad Oval section dental implant
US9387027B2 (en) * 2012-12-13 2016-07-12 Jonathon Yigal Yahav Implantable fixture
WO2014151580A1 (en) 2013-03-15 2014-09-25 Clarion University of Pennsylvania Surface modified dental implant
US20150017605A1 (en) * 2013-07-15 2015-01-15 Taiwan Shan Yin Int'l Co., Ltd. Dental implant with high combining stability
WO2015115692A1 (ko) 2014-01-28 2015-08-06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JP2017506122A (ja) 2014-02-20 2017-03-02 エムアイエス インプランツ テクノロジーズ リミテッド 歯科インプラント
MX2016013728A (es) 2014-04-22 2017-05-01 T A G Medical Devices - Agriculture Coop Ltd Implantes dentales.
WO2015168332A2 (en) 2014-04-30 2015-11-05 Osseodyne Surgical Solutions, Llc Osseointegrative surgical implant
BE1022228B1 (fr) * 2014-07-30 2016-03-03 Eric Rompen Implantologie Implant dentaire
WO2016033642A1 (en) 2014-09-05 2016-03-10 Greg Miller A dental implant
EP3389551B1 (en) 2016-03-30 2019-12-18 Southern Implants (Pty) Ltd. Angulated dental impl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35621A1 (en) 2022-08-03
BR112018075711A2 (pt) 2019-04-02
JP2023014093A (ja) 2023-01-26
WO2017216693A3 (en) 2018-02-01
EP4035621B1 (en) 2023-11-22
JP7318091B2 (ja) 2023-07-31
US10617492B2 (en) 2020-04-14
JP2019517885A (ja) 2019-06-27
BR112018075711B1 (pt) 2023-02-14
IL263449A (en) 2019-01-31
US20200078144A1 (en) 2020-03-12
AU2017286777C1 (en) 2022-04-14
AU2017286777A1 (en) 2019-01-17
IL263449B (en) 2022-09-01
EP4035621C0 (en) 2023-11-22
WO2017216693A2 (en) 2017-12-21
EP3468501A2 (en) 2019-04-17
US11523883B2 (en) 2022-12-13
US20170354485A1 (en) 2017-12-14
AU2017286777B2 (en) 2021-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6762A (ko) 전위 발치후 소켓을 위한 역테이퍼형 본체를 가지는 치아 임플란트
KR101646603B1 (ko) 소형 치과 임플란트
JP5647970B2 (ja) 非対称歯科用インプラント
KR101489345B1 (ko) 치아 임플란트
US8287279B2 (en) Tooth implant
AU2005209292B2 (en) Anchoring element for use in bone
KR102462085B1 (ko) 부분 마이크로 스레드/그루브를 갖는 비대칭 광대뼈의 치과용 임플란트
EP3107482B1 (en) Dental implant
JP2012521232A (ja) 骨固定具
RU2543294C2 (ru) Штифт имплантата с множественной конусностью
WO2001050972A2 (en) Dental implants and dental implant/prosthetic tooth systems
JP4280638B2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装置
US20140030674A1 (en) Prefabricated immediate no-drill dental implant
EP3453358B1 (en) Improved tissue level implant
KR20110101616A (ko) 임플란트용 픽스쳐
WO2009075459A1 (en) Dental implant fixture
KR100864085B1 (ko) 임플랜트시스템
KR101191257B1 (ko)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KR20120014187A (ko) 안락 헤드 미니 치아 임플란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