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6698A - 미러 캐비닛 장치와 싱크 캐비닛 장치를 포함하는 욕실용 편의장치 - Google Patents

미러 캐비닛 장치와 싱크 캐비닛 장치를 포함하는 욕실용 편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6698A
KR20190046698A KR1020180128551A KR20180128551A KR20190046698A KR 20190046698 A KR20190046698 A KR 20190046698A KR 1020180128551 A KR1020180128551 A KR 1020180128551A KR 20180128551 A KR20180128551 A KR 20180128551A KR 20190046698 A KR20190046698 A KR 20190046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hroom
control module
mirror
pow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8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호
김정윤
김종석
박대윤
양인형
조웅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46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66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05Mirror cabinets; Dressing-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2Cabinets for shaving tackle, medicin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2Portable toilet tables; Wash cabinets or st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2Cabinets for shaving tackle, medicines, or the like
    • A47B2067/025Cabinets for shaving tackle, medicines, or the like having safety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75Lighting
    • A47B2220/0077Lighting for furniture, e.g. cupboards and r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0Odou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0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or integrated in, furni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4Heater, e.g. gas burner, electric air he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욕실 가구와 욕실에서 사용되는 가전제품을 융합한 욕실용 편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욕실용 편의 장치는 욕실의 벽면에 부착되는 미러 캐비닛 장치와, 욕실의 바닥면에 거치되며 세면대를 포함하는 싱크 캐비닛 장치를 포함한다. 미러 캐비닛 장치는 소형 가전을 충전할 수 있는 충전 박스와 쿨러를 포함하며, 싱크 캐비닛 장치는 서랍형 수건 관리기와 서랍형 콘솔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미러 캐비닛 장치와 싱크 캐비닛 장치를 포함하는 욕실용 편의장치{BATHROOM APPLIANCE HAVING MIRROR CABINET APPRATUS AND SINK CABINET ASPPRATUS}
본 발명은 욕실 가구를 가전 제품과 일체화한 욕실용 편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면대를 포함하는 싱크 캐비닛 장치와, 벽면에 부착되는 미러 캐비닛 장치를 포함하는 욕실용 편의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면대와, 욕조, 샤워 부스 등을 구비하는 욕실 공간에서는 전동 칫솔, 전기 면도기, 헤어 드라이기 등 다양한 편의 제품들이 사용된다. 또한, 욕실 가구로는 벽면에 부착되는 미러 캐비닛과, 세면대를 포함하는 싱크 캐비닛이 있다.
현재까지는 욕실 가구와, 욕실에서 사용되는 편의 장치들은 별개로 취급되고 있었다. 전기 제품들의 전원은 욕실 벽면에 구비된 전원콘센트를 통해서 공급되고, 욕실 가구에는 단순히 수납 보관되고 있었다.
욕실에서 사용되는 가전 제품들의 종류가 다양해 지면서, 욕실 가구에 전원콘센트를 내장한 형태도 소개되고 있으나, 이러한 형태는 단순히 가구에 멀티탭을 매립 설치하는 수준이었다.
본 발명은 욕실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편의 장치들과 욕실 가구를 통합할 수 있도록 하는 욕실용 편의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으로 가구와 전자 제품으로 분리되어 있는 욕실 집기들을 일체화하여, 가구로서의 기능과 전자 제품으로서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욕실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욕실용 편의 장치들이 처음 설치되거나 추가되더라도 욕실용 편의 장치에 포함된 욕실 가전제품의 제어모듈들이 자동으로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욕실용 편의 장치의 무선 제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욕실용 편의 장치에 포함된 다수의 가전제품이 서로 연계되어 유기적으로 통합 제어 및 관리될 수 있도록 하는 욕실용 편의 장치의 무선 제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욕실용 편의 장치에 포함된 다수의 가전기기들이 음성인식 기반 인공지능 기기에 의해 서로 연계되어 유기적으로 통합 제어 및 관리될 수 있도록 하는 욕실용 편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욕실용 편의 장치에 포함된 전자제품들을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욕실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욕실용 편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욕실용 편의 장치에 각각 구성된 전자제품들과 콘센트들의 전력 사용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서로 연계시켜서 통합 관리함으로써, 누전 및 과부하 등에 따른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전원 관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욕실 내부의 환경을 감지하여 욕실이 항상 쾌적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욕실의 환경을 조절할 수 있는 욕실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욕실을 이용할 때 편의장치를 자동으로 구동하여 사용자가 항상 편하게 욕실을 이용할 수 있는 욕실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폰으로 수신되는 포이벤트를 욕실에 표시하여 욕실 내에서도 사용자가 폰이벤트를 실행할 수 있는 욕실 제어시스템 및 폰이벤트 표시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욕실 내의 각종 설비를 이용하여 폰이벤트의 수신을 욕실 내의 사용자에게 통보하고 상기 설비를 구동하여 폰이벤트 실행에 적합하도록 욕실 환경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욕실 제어시스템 및 폰이벤트 표시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욕실용 편의 장치는 외부 미러를 포함하는 미러 캐비닛 장치와, 세면대를 포함하는 싱크 캐비닛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미러 캐비닛 장치는 수용공간에 냉각 공간을 냉각하는 쿨러와, 전원플러그를 수납하는 충전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싱크 캐비닛 장치는 보관되는 수건을 가열 또는 건조하는 서랍형 수건 관리기와, 소형 가전제품들을 수납하는 서랍형 콘솔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욕실용 편의 장치는 상기 미러 캐비닛 장치와, 상기 싱크 캐비닛 장치가 유무선 통신으로 서로 연결되며, 이들이 통합 조작 스위치에 의하여 조작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욕실용 편의 장치의 무선 제어 장치는 미러 캐비닛 장치와 싱크 캐비닛 장치에 구비된 가전기기들의 제어모듈과 자동 접속되어 각 가전기기들을 제어하는 무선통신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무선통신 제어모듈은 미러 캐비닛 장치나 싱크 캐비닛 장치에 포함된 가전기기들의 제어모듈과 자동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각각의 전력기기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제어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욕실용 편의 장치는 외부 미러를 포함하는 미러 캐비닛 장치와, 세면대를 포함하는 싱크 캐비닛 장치를 포함한다. 이에, 욕실용 편의 장치의 무선 제어 장치는 미러 캐비닛 장치와 싱크 캐비닛 장치에 구비된 전력기기들의 제어모듈과 자동 페어링되어 각 전력기기들을 제어하는 무선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모듈은 미러 캐비닛 장치에 구성된 전력기기들의 제어모듈과 자동 페어링되어 전력기기들을 제어하는 제1 무선 제어모듈, 및 싱크 캐비닛 장치에 구성된 전력기기들의 제어모듈과 자동 페어링되어 전력기기들을 제어하는 제2 무선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제1 무선 제어모듈과 제2 무선 제어모듈은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각각의 전력기기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제어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욕실용 편의 장치는 싱크 캐비닛 장치와 미러 캐비닛 장치에 구비된 가전기기들과 자동으로 무선 접속되어 각 가전기기들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음성 인식에 기반해서 각 가전기기들을 제어하는 인공지능 기기를 포함한다. 인공지능 기기는 미러 캐비닛 장치나 싱크 캐비닛 장치에 포함된 가전기기들의 제어모듈과 지그비 등의 미리 설정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자동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인공지능 기기에 의해 욕실용 편의 장치에 구비된 가전기기들의 동작 여부가 확인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각각의 가전기기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제어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욕실용 편의 장치는 외부 미러를 포함하는 미러 캐비닛 장치와, 세면대를 포함하는 싱크 캐비닛 장치를 포함한다. 이에, 욕실용 편의 장치의 전원 관리 장치는 미러 캐비닛 장치와 싱크 캐비닛 장치에 구비된 전력기기들의 전원, 및 전원 콘센트의 과부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전원 공급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전원 관리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전원 관리 모듈은 미러 캐비닛 장치에 구성된 전력기기들과 제1 전원 콘센트의 전원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1 전원 관리부, 및 싱크 캐비닛 장치에 구성된 전력기기들과 제2 전원 콘센트의 전원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2 전원 관리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전원 관리부, 및 제2 전원 관리부에 의해 제어되는 전력기기들에 대한 전기적인 연결을 통합 관리하기 위한 통합 관리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전원 관리 모듈은 싱크 캐비닛 장치의 서랍형 콘솔에 구성된 전원 콘센트의 콘센트 커버 개방 여부를 확인하고, 제2 전원 콘센트의 콘센트 커버 개방 상태가 확인되면,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전력기기 전원을 순서대로 차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욕실 제어시스템에서는 욕실에 배치된 싱크 캐비닛 장치 및/또는 미러 캐비닛 장치에 설치된 각종 센싱부재에 의해 욕실의 내부 환경을 감지한 후, 내부 환경이 설정된 환경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욕실 내부에 구비된 편의장치를 구동하여 욕실의 환경을 설정된 환경으로 만든다.
욕실의 환경을 감지하는 센싱부재로는 욕실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 악취정도를 측정하는 악취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환경조절을 위해 구동하는 편의장치는 욕실 내부에 배치된 히터, 제습기, 환풍시스템 및 욕실 내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욕실 내에 디스플레이와 스피커 및 마이크를 설치하여 휴대폰에 수신된 폰이벤트를 욕실 내에서 사용자가 실행할 수 있게 된다.
폰이벤트는 욕실내에 사용자가 있을 때에만 전송되어야 하므로, 본 발명의 제어시스템에서는 욕실 내에 설치된 각종 감지수단에 의해 사용자가 욕실내에 있음을 감지하여 본이벤트를 욕실내에 전송할지를 결정한다.
욕실내에서의 사용자의 감지는 욕실의 세면대 수전 사용, 욕실의 욕조의 수전 사용, 샤워기의 사용, 인체감지센서에 의한 인체를 감지, 미용조명의 점등을 감지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욕실내의 사용자에게 폰이벤트의 수신 통보는 스피커나 디스플레이를 통한 통보, 세면대 수전이나 욕조 수전 또는 샤워기의 출수량 조절, 세면대 일측에 배치된 LED의 점등, 또는 욕실내에 배치된 조명의 밝기 조절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욕실용 장치는 욕실에서 사용되는 소형 가전과, 욕실의 실내 공기를 조절하는 장치들을 싱크 캐비닛 장치 또는 싱크 캐비닛 장치에 일체화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하고 공간 활용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에 따른 욕실용 편의 장치는 통합 조작 스위치를 통하여 미러 캐비닛 장치 및 싱크 캐비닛 장치가 조작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욕실 등의 근거리 공간에 욕실용 편의 장치들이 처음 설치되거나 추가되더라도 욕실용 편의 장치에 포함된 욕실 가전제품의 제어모듈들이 자동으로 무선 통신 접속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과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욕실용 편의 장치에 포함된 다수의 욕실 가전제품이 서로 연계되어 유기적으로 제어되거나 관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전제품들에 대한 전기적인 안정성을 높이고 편의 부분에서도 사용자의 만족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욕실용 편의 장치의 전원 관리 장치는 욕실 가구와 욕실 가전제품을 일체화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하고 공간 활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욕실용 편의 장치에 구비된 다수 전력기기들의 전원, 및 전원 콘센트의 과부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전원 공급 여부를 자동 제어함으로써, 전력기기들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그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욕실 내부의 환경을 감지한 후 필요에 따라 온도, 습도, 악취정도와 같은 환경을 최적의 상태로 자동으로 조절하므로, 사용자가 항상 최적의 상태의 욕실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샤워를 한 사용자의 자동건조, 수건의 자동건조, 미용조명의 자동점등, 욕실내 미러의 자동제상을 실행하므로, 사용자가 욕실을 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욕실용 편의 장치는 폰이벤트를 욕실내 표시하므로, 사용자가 휴대폰을 직접 욕실에 소지하지 않아도, 폰이벤트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습기가 많은 휴대폰을 욕실내에서 소지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불량이나 고장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욕실내에 존재함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폰이벤트를 수신을 욕실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통보하므로, 항상 정확하게 폰이벤트를 욕실내 사용자에거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 캐비닛 장치와 미러 캐비닛 장치를 포함하는 욕실용 편의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편의장치에 포함되는 미러 캐비닛 장치의 미러 도어와 쿨러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편의장치에 포함되는 미러 캐비닛 장치의 미러 도어와 충전 박스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편의장치에 포함되는 싱크 캐비닛 장치의 서랍형 수건 관리기를 인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편의장치에 포함되는 싱크 캐비닛 장치의 서랍형 콘솔을 인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편의장치에 포함되는 싱크 캐비닛 장치의 서랍형 콘솔의 내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조작 스위치가 싱크 캐비닛 장치에 부착된 욕실용 편의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욕실용 편의 장치의 무선통신 제어모듈과 제어모듈들의 접속 구조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무선통신 제어모듈의 자동 접속 방법을 순서대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욕실 공간 내의 다른 무선 제어모듈과 자동 접속하는 다른 방법을 순서대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다른 무선 제어모듈과 자동 접속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들을 각각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미러 캐비닛 장치에 구성된 제1 무선 제어모듈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도 13은 싱크 캐비닛 장치에 구성된 제2 무선 제어모듈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제1 무선 제어모듈의 자동 페어링 방법을 순서대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5는 욕실 공간 내의 다른 무선 제어모듈을 자동 페어링하는 다른 방법을 순서대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기반 인공지능 기기가 구비된 욕실용 편의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인공지능 기기과 제어모듈들의 접속 구조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인공지능 기기의 자동 접속 방법을 순서대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9는 욕실 공간 내의 다른 무선 제어모듈과 자동 접속하는 다른 방법을 순서대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싱크 캐비닛 장치 및 미러 캐비닛 장치에 구성된 전력기기들과 콘센트들의 전원을 관리하는 전원 관리 모듈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제2 전원 관리부의 전원 관리 방법을 순서대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싱크 캐비닛 장치와 미러 캐비닛 장치를 포함하는 욕실용 편의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는 싱크 캐비닛 장치에서 수건관리기를 인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싱크 캐비닛 장치에서 서랍형 콘솔을 인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욕실용 편의장치의 제어부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욕실용 편의장치의 제어부에 포함되는 감지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욕실용 편의장치의 제어부에 포함되는 판단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욕실용 편의장치의 제어부에 포함되는 구동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욕실 전체의 개략적인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30은 욕실의 환경을 조절하는 구체적인 조절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31 내지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시스템에서 욕실내에 설치된 편의장치를 구동하여 욕실을 제어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싱크 캐비닛 장치와 미러 캐비닛 장치를 포함하는 욕실용 편의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욕실 제어시스템의 제어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 내지 도 39는 본 발명에 따른 욕실 제어시스템에서의 폰이벤트 사용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 캐비닛 장치와 미러 캐비닛 장치를 포함하는 욕실용 편의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 캐비닛 장치와 미러 캐비닛 장치를 포함하는 욕실용 편의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편의 장치는 벽면에 부착되는 미러 캐비닛 장치(2000)와, 바닥면에 설치되며 세면대(1200)를 포함하는 싱크 캐비닛 장치(1000)와, 미러 캐비닛 장치(2000)를 포함한다.
미러 캐비닛 장치(2000)는 구조적인 강도를 제공하며 외관을 형성하는 미러 캐비닛 몸체(2100)와, 전면을 개폐하는 미러 도어(2300)를 포함한다.
미러 캐비닛 몸체(2100)는 내부에 수납 공간을 구비하여, 미러 도어(2300)를 개방하여 수납 공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미러 캐비닛 몸체(2100)의 내부에는 내용물을 저온으로 냉각하는 쿨러(도 2의 2400)와, 충전 박스(도 2의 250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미러 캐비닛 몸체(2100)의 측면에는 욕실 내부 공간을 조명하기 위한 무드 조명 패널(2200)이 구비될 수 있다.
싱크 캐비닛 장치(1000)는 구조적인 강도를 제공하며 외관을 형성하는 싱크 캐비닛 몸체(1100)와, 수전(1220)을 포함하는 세면대(1200)와, 수건을 보관하며 관리하는 서랍형 수건 관리기(1300)와, 헤어드라이어 등의 소형 가전을 수납할 수 있는 서랍형 콘솔(1400)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편의장치에 포함되는 미러 캐비닛 장치의 미러 도어와 쿨러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편의장치에 포함되는 미러 캐비닛 장치의 미러 도어와 충전 박스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러 캐비닛 장치(200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미러 캐비닛 몸체(2100)와, 미러 캐비닛 몸체(2100)의 일측에 연결되는 미러 도어(2300)를 포함한다.
미러 캐비닛 몸체(2100)는 양측면에 무드 조명 패널(2200)을 구비할 수 있다. 무드 조명 패널(2200)은 욕실 공간의 벽면에 은은한 빛의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무드 조명 패널(2200)은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면 조명이 켜지도록 하여 웰컴 라이팅 기능을 수행하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무드 조명 패널(2200)은 도시한 바와 같이 미러 캐비닛 몸체(2100)의 측면 전체를 덮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무드 조명 패널(2200)이 점등되었을 때의 미감이 우수하며, 측면 전체가 발광함으로써 조명 효과도 확보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는 미러 캐비닛 장치(200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싱크 캐비닛 장치(1000)에 구비된 센서를 이용할 수도 있다.
미러 도어(2300)는 닫힌 상태에서 외부면에 외부 미러를 구비한다. 또한, 미러 도어(2300)는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내부면에 내면 미러(2320)를 구비한다. 내면 미러(2320)의 주면에 미용 조명(2330)이 배치될 수 있다.
미러 도어(2300)는 외부 미러 또는 내면 미러(2320)를 가열하여 미러 표면에 물방을 제거하는 제상시트(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미용 조명(2330)이 내면 미러(2320)의 양측에 배치된 형태이나, 내면 미러(2320)의 상하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내면 미러(2320)의 안쪽에 배치될 수도 있다.
미용 조명(2330)은 색온도 조절 기능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화장을 할 때 내면 미러(2320)를 이용하게 된다. 사용자가 화장을 할 때, 사용자가 거울을 통해서 보는 화장된 얼굴의 색감은 조명의 상태(색온도, 밝기 등)에 따라서 다르게 보일 수 있다.
미용 조명(2330)은 조명의 색온도 또는 밝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조명 상태에서 화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미용 조명(2330)의 색온도 조절은 후술하는 통합 조작 스위치(3000)를 통하여 조작될 수 있다.
미러 캐비닛 몸체(2100)의 측면에 구비되는 무드 조명 패널(2200)과, 미러 도어(2300)의 내부면에 구비되는 미용 조명(2330)은 균일한 조명 효과를 얻기 위하여 면발광 조명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면 발광 조명은, 광원으로 LED와, 광원에서 발상된 빛을 균일화하기 위한 복수의 광학수단(확산시트, 도광판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미러 캐비닛 몸체(2100)의 내부에는 쿨러(2400)와 충전 박스(2500)가 배치될 수 있다.
쿨러(2400)는 화장품을 보관하는 용도, 음료 등을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쿨러(2400)는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내부 공간을 냉각하는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쿨러(2400)가 미러 캐비닛 몸체(2100)의 좌측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나, 쿨러(2400)의 배치위치가 이 부분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쿨러(2400)는 수용 공간(2402)을 형성하는 쿨러 몸체(2410)와, 상기 수용 공간(2402)을 개폐하는 쿨러 도어(2420)와, 상기 수용 공간(2402)을 냉각하는 냉각부(2430)를 포함한다. 냉각부(2430)는 냉매 싸이클을 이용하는 방식보다는 열전소자(peltier 소자)를 이용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
펠티어 소자는 전기가 인가되면, 일부 영역(냉각부)에서는 냉각이 이루어지고 다른 일부 영역(발열부)에서는 가열이 이루어지는 특성을 가지는 소자이다. 펠티어 소자를 이용하여 쿨러를 구성하는 경우 펠티어 소자의 냉각부의 냉기는 수용 공간(2402)의 내부에서 순환되도록 하고, 발열부의 열기는 미러 캐비닛 장치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발열부의 열기가 미러 캐비닛 장치의 내부 공간의 일부를 가열 또는 건조 시킨후 배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충전 박스(2500)는 전기 면도기, 전동 칫솔, 제모기, 마사지기 등 욕실에서 사용되는 소형 가전을 보관하며, 충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충전 박스(2500)는 외관을 이루는 충전 박스 몸체(2510)와, 상기 충전 박스 몸체(2510)의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전원콘센트(2530)와, 상기 전원콘센트(2530) 부분의 외관을 형성하는 충전 박스 도어(2520)를 포함한다.
전원콘센트(2530)는 충전박스 몸체(2510)의 내부에 요입된 공간에 배치되어, 충전박스 몸체(2510)의 내부에 소형가전 제품들의 플러그가 상기 전원콘센트(2530)에 접속된 상태에서 충전 박스 도어(2520)가 닫혀질 수 있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 박스 도어(2520)는 전원콘센트 부분을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플러그를 꽂거나 분리하기 위한 경우에는 충전 박스 도어(2520)를 개방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닫은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충전 박스 도어(2520)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투광창(window)을 구비할 수 있다.
충전 박스 도어(2520)는 외관으로 배선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미감 향상의 효과와, 전원콘센트(2530) 부분으로 수분이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충전 박스 몸체(2510)의 상판(2512)은 소형 가전 제품들이 올려질 수 있는 지지면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판(2512)의 일부분이 절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절개된 부분이 배선홀(2512a)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부면에 소형 가전 제품들을 올려두고 사용할 때, 전원선이 배선홀(512a)을 통과하여 전원콘센트(2530)가 배치된 충전 박스 몸체(2510)의 내부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외관상 전원선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충전 박스(2500)가 쿨러(2400)의 상부에 배치된 구조를 가진다. 충전 박스(2500)와 쿨러(2400)는 모두 전원공급이 필요한 전기제품으로 이들을 인접하게 배치함으로써 미러 캐비닛 장치(2000) 내부의 전기 배선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충전 박스(2500)와 쿨러(2400)를 인접하게 배치하며, 쿨러 몸체(2410)와 충전 박스 몸체(2510)를 일체화할 수도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충전 박스(2500)에는 무선 충전이 가능한 기기의 비접촉식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 급전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무선 급전부를 포함하면, 무선 급전부에 충전 대상물을 거치하는 것으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편의장치에 포함되는 싱크 캐비닛 장치의 서랍형 수건 관리기를 인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편의장치에 포함되는 싱크 캐비닛 장치의 서랍형 콘솔을 인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싱크 캐비닛 장치(1000)는 욕실 공간의 지면에 거치되는 형태로 설치되며 수전을 포함하는 세면대(1200)와 일체화된 구조를 가진다.
싱크 캐비닛 장치(1000)는 싱크 캐비닛 몸체(1100)와, 세면대(1200)와, 서랍형 수건 관리기(1300)와 서랍형 콘솔(1400)을 포함한다.
세면대(1200)는 세면대 몸체(1210)와, 수전(1220)과, 세면대 몸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팝업 밸브(1230)를 포함한다.
세면대 몸체(1210)는 투광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세면대 몸체(1210)를 투광성 재질로 제조하는 경우 세면대 몸체(1210)의 하부(또는 내부)에 세면대 조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세면대 조명은 세면대 몸체(1210)에서 도광되어 전체적으로 은은한 조명을 연출할 수 있다. 투광성 재질의 세면대 몸체(1210)가 광학적으로 빛을 안내하는 도광기능과 빛을 고르게 확산시키는 확산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세면대(1200)의 수전(1220)은 급수관에 연결되고, 팝업 밸브(1230)는 배수관에 연결된다. 수전(1220)이 연결되는 급수관은 냉수관과 온수관을 포함할 수 있다.
수전(1220)에 별도의 손잡이를 구비하여 손잡이의 조작에 따라 출수되는 수량과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수전(1220)을 제어하는 밸브를 전자식으로 구비하여, 수전(1220)을 통해서 공급되는 급수 온도와 급수량을 전자적으로 제어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하는 통합 조작 스위치에 의하여 이루어지거나, 별도의 감지 센서등을 통한 감지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싱크 캐비닛 장치(1000)의 좌측에 서랍형 수건 관리기(1300)가 배치되고, 우측에 서랍형 콘솔(1400)이 배치된 구성이나, 이들의 좌우 배치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싱크 캐비닛 장치(1000)의 좌우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에는 서랍형 수건 관리기(1300) 또는 서랍형 콘솔(1400)이 복수개 배치될 수 있으며, 수납 공간만을 제공하는 서랍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서랍형 수건 관리기(1300)는 보관되는 수건을 가열하거나 건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서랍형 수건 관리기(1300)는 캐비닛 몸체(1100)에 연결되어 서랍식으로 인출되는 수건 관리기 몸체(1310)와, 수건이 거치되는 거치대 역할을 수행하는 열전달판(1320)을 포함한다.
열전달판(1320)은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전달판(1320)은 내부가 비어있는 '∩'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열전달판(1320)의 내부로 가열된 공기가 공급되어 열전달판(1320)이 가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열전달판(1320)은 수건과 마주하는 면에 복수의 통공(132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통공(1322)을 통하여 열전달판(1320) 내부로 유입된 가열 공기가 수건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열전달판(1320)의 내부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히터와 송풍팬이 포함되어야 한다. 이 때, 히터와 송풍팬은 캐비닛 몸체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히터와 송풍팬은 서랍형 수건 관리기(1300)로 가열 공기를 공급하는 역할이외에 다른 부분으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열된 공기의 유로를 전환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여, 가열된 공기를 싱크 캐비닛 장치(1000)의 하부로 공급하여, 욕실의 바닥면 또는 욕실 바닥면에 놓여진 러그를 건조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가열된 공기를 싱크 캐비닛 장치(1000)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공급하여, 싱크 캐비닛 장치 앞에 위치한 사용자의 신체를 건조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편의장치에 포함되는 싱크 캐비닛 장치의 서랍형 콘솔의 내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서랍형 콘솔(1400)은 헤어 드라이기 또는 고데기 등과 같은 소형 가전 제품을 수납하여 보관하는 역할과, 소형 가전 제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서랍형 콘솔(1400)은 싱크 캐비닛 몸체(1100)에 서랍식으로 인출되는 콘솔 몸체(1410)와, 콘솔 몸체(1410)의 측면에 구비되는 전원콘센트(1430)와, 전원콘센트(1430)를 개폐하는 콘센트커버(1432)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콘센트(1430)는 전원플러그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상기 콘센트커버(1432)를 개방해야 하는 구조이다.
또한, 전원콘센트(1430)에 플러그가 꽂혀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서랍형 콘솔(1400)이 상기 싱크 캐비닛 몸체의 내부로 인입될 수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랍형 콘솔(1400)을 통해서 사용되는 헤어 드라이기 등의 제품은 많은 전류를 사용하는 전열 기구 이므로, 전열 기구를 켜 놓은 상태에서 서랍형 콘솔(1400)의 내부로 수납되면 과열로 인한 고장이나 화재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서랍형 콘솔(1400)을 인출하여 소형 가전을 사용하다가, 서랍형 콘솔을 다시 인입하기 위해서는 서랍형 콘솔(1400)에 꽂힌 전원플러그가 제거된 후에만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콘센트커버(1432)는 싱크 캐비닛 장치(1000)의 전원을 관리하는 전원관리부에 개폐신호를 전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상기 콘센트커버(1432)에 개폐감지 센서를 구비하여 콘센트커버(1432)가 개폐 상태를 상기 전원관리부에 전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싱크 캐비닛 장치(1000)는 내장된 건조기를 포함한다. 싱크 캐비닛 장치(1000)에 내장된 건조기도 많은 전류를 사용할 수 있다. 만일, 건조기와 헤어드라이어 등이 동시에 사용될 경우 과전류 사용으로 인하여 고장이나 화재의 가능성이 있다.
전원관리부는 이러한 과전류의 발생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원관리부는 콘센트커버(1432)가 개방된 것으로 감지되면 고전류 제품이 사용될 것을 예측하여 다른 고전류 제품(예를 들면, 건조기 또는 서랍형 수건 관리기)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싱크 캐비닛 장치는 사용자의 신체의 접근 또는 세면대 내부에서의 사용자의 손의 위치 등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욕실용 편의 장치는 미러 캐비닛 장치와 싱크 캐비닛 장치를 제어하고 조작하기 위한 통합 조작 스위치(3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조작 스위치가 싱크 캐비닛 장치에 부착된 욕실용 편의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통합 조작 스위치(3000)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조그 다이얼 형태일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통합 조작 스위치(3000)가 수직축을 가지는 조그 다이얼 형태로 싱크 캐비닛 장치(1000)에 부착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그러나, 통합 조작 스위치(3000)는 싱크 캐비닛 장치(1000)에서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평축을 가지는 조그 다이얼 형태로 벽면 또는 미러 캐비닛 장치에 부착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조작하고자 하는 대상을 선택하고, 다이얼을 돌려서 원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전의 출수량을 조절하는 경우 다이얼을 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출수량이 증가하는 방식으로 조절 될 수 있다. 수전에서 출수되는 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경우에는 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온도가 증가하는 방식으로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미용 조명의 색온도를 조절하는 경우도 유사한 방식으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다이얼을 돌려 조절 대상을 선택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통합 조작 스위치를 이용하여 건조기를 조작하는 경우, 건조기의 풍량 또는 건조기의 작동시간(타이머)을 조작하거나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러 캐비닛 장치(2000)와 싱크 캐비닛 장치(1000)는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싱크 캐비닛 장치(1000)와 미러 캐비닛 장치의 구성이 서로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미러 캐비닛 장치(2000)에 구비된 센서를 통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미러 캐비닛 장치(2000)에 접근하면 미러 캐비닛 장치(2000)의 무드 조명이 점등되도록 할 수 있다.
통합 조작 스위치(3000)는 싱크 캐비닛 장치의 수전을 제어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미러 캐비닛 장치의 미용 조명의 색온도를 조작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미러 캐비닛 장치(2000)의 조작과 싱크 캐비닛 장치(1000)의 조작이 통합 조작 스위치(3000)의 조작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구성의 조작을 위한 복잡한 스위치를 하나로 통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미려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욕실용 편의 장치의 무선 제어 장치는 미러 캐비닛 장치(2000), 및 싱크 캐비닛 장치(1000)에 각각 구비된 가전기기들의 제어모듈과 자동 접속되어 각각의 가전기기들을 모니터링 및 제어하기 위한 무선통신 제어모듈(4000)을 포함한다.
무선통신 제어모듈(4000)은 미러 캐비닛 장치(2000), 및 싱크 캐비닛 장치(1000)에 구비된 가전기기들의 제어모듈과 실시간으로 자동 접속되며, 접속 상태를 유지한다. 만일, 욕실이나 인접 공간에 미러 캐비닛 장치(2000)나 싱크 캐비닛 장치(1000)가 추가되더라도 추가된 미러 캐비닛 장치(2000)나 싱크 캐비닛 장치(1000)에 구비된 가전기기들의 제어모듈과 자동 접속된다.
무선통신 제어모듈(4000)은 미러 캐비닛 장치(2000)와 싱크 캐비닛 장치(1000)에 구비된 가전기기들의 제어모듈을 통해 각 가전기기들의 동작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한다. 그리고 미리 설정된 프로세서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각각의 가전기기들이 서로 호환해서 동작되거나 동작이 중단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미러 캐비닛 장치(2000)에 구비된 조명 등의 특정 가전기기가 사용되면, 싱크 캐비닛 장치(1000)에 구비된 조명 등의 가전기기들이 동작되지 않도록 하는 등의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통신 제어모듈(4000)은 적어도 어느 하나의 미러 캐비닛 장치(2000)나 싱크 캐비닛 장치(1000) 등에 구성될 수 있다. 즉, 무선통신 제어모듈(4000)은 적어도 하나의 미러 캐비닛 장치(2000)나 싱크 캐비닛 장치(1000)에 각각 내장되거나 외부의 어느 한 측면이나 전면에 실장될 수도 있다.
반면, 별도로 욕실 벽면에 구성될 수도 있고 이동식 모바일기기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통합 조작 스위치(3000)에 내장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미러 캐비닛 장치(2000)의 전면에 실장된 예를 설명하기로 하며, 무선통신 제어모듈(4000)의 세부 구성과 동작 특징에 대래서는 이후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욕실용 편의 장치의 무선통신 제어모듈과 제어모듈들의 접속 구조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러 캐비닛 장치(2000)의 무드 조명 패널(2200), 미용 조명(2330), 쿨러(2400), 발열시트(제상시트) 각각에 와이파이 통신을 수행하면서 전원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이 구성된다.
무선통신 제어모듈(4000)은 측면 조명패널 제어모듈(440a), 무드 조명 제어모듈(200a), 미용 조명 제어모듈(330a), 냉각 전원 제어모듈(400a), 발열 전원 제어모듈(450a)과 와이파이 통신 방식으로 자동 접속된다.
전원이 온(ON)되면, 측면 조명패널 제어모듈(440a), 무드 조명 제어모듈(200a), 미용 조명 제어모듈(330a), 냉각 전원 제어모듈(400a), 발열 전원 제어모듈(450a) 각각은 미리 설정된 패턴의 문자열로 이루어진 고유 아이디를 와이파이 신호로 송신한다. 이에, 무선통신 제어모듈(4000)은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와이파이 신호들의 고유 아이디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패턴의 문자열과 일치하는 경우 해당 제어모듈과 자동 접속한다.
무선통신 제어모듈(4000)은 와이파이 통신 반경 내에 다른 미러 캐비닛 장치(2000)가 추가되더라도 추가된 미러 캐비닛 장치(2000)의 제어모듈들과 자동 접속될 수 있다.
즉, 추가된 미러 캐비닛 장치(2000)의 측면 조명패널 제어모듈(440a), 무드 조명 제어모듈(200a), 미용 조명 제어모듈(330a), 냉각 전원 제어모듈(400a), 발열 전원 제어모듈(450a) 또한 전원이 온(ON)되면 미리 설정된 패턴의 문자열로 이루어진 고유 아이디를 와이파이 신호로 송신한다.
이때, 무선통신 제어모듈(4000) 또한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와이파이 신호들의 고유 아이디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패턴의 문자열과 일치하는 경우 해당 제어모듈과 자동 접속한다.
마찬가지로, 싱크 캐비닛 장치(1000)의 수건 관리기(1300), 서랍형 콘솔(1400),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 건조기 각각에는 와이파이 통신을 수행하면서 전원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이 구성된다. 이에, 무선통신 제어모듈(4000)은 수건 관리기 제어모듈(300a), 콘솔 전원 제어모듈(430a), 센서 제어모듈(220a), 및 건조기 제어모듈(600a)과 와이파이 통신 방식으로 자동 접속된다.
전원이 온(ON)되면, 수건 관리기 제어모듈(300a), 콘솔 전원 제어모듈(430a), 센서 제어모듈(220a), 및 건조기 제어모듈(600a) 또한 미리 설정된 패턴의 문자열로 이루어진 고유 아이디를 와이파이 신호로 송신한다. 이에, 무선통신 제어모듈(4000)은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와이파이 신호들의 고유 아이디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패턴의 문자열과 일치하는 경우 해당 제어모듈과 자동 접속한다.
무선통신 제어모듈(4000)은 와이파이 통신 반경 내에 다른 싱크 캐비닛 장치(1000)가 추가되면, 추가된 싱크 캐비닛 장치(1000)의 제어모듈들과도 자동 접속된다. 추가된 싱크 캐비닛 장치(1000)의 제어모듈들 또한 전원이 온(ON)되면 미리 설정된 패턴의 문자열로 이루어진 고유 아이디를 와이파이 신호로 송신한다. 이에 따라, 무선통신 제어모듈(4000) 또한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와이파이 신호들의 고유 아이디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패턴의 문자열과 일치하는 경우 해당 제어모듈과 자동 접속한다.
무선통신 제어모듈(4000)은 측면 조명패널(440), 무드 조명(200), 미용 조명(2330), 냉각 전원부(400), 발열시트, 수건 관리기(1300), 서랍형 콘솔(1400),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 건조기의 전원 온/오프 동작을 서로 연계시켜 제어하게 된다.
이를 위해, 무선통신 제어모듈(4000)은 표시부(4001), 와이파이 통신부(4002), 접속 제어부(4003), 시리얼 패턴 저장부(400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4001)는 각 가전기기들의 제어상태 및 통신 접속 상태를 영상이나 텍스트로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표시부(4001)는 LED 패널이나 OLED 패널 또는 액정 표시패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4001)는 접속 제어부(4003)의 제어에 따라 각 가전기기들의 제어 정보, 전력 사용량 및 와이파이 통신 접속 정보 등을 영상이나 텍스트로 표시한다.
와이파이 통신부(4002)는 전원이 온(ON) 되면 실시간으로 와이파이 통신 신호를 수신하여 접속 제어부(4003)로 전송한다.
시리얼 패턴 저장부(4004)는 미리 설정된 패턴의 문자열로 이루어진 와이파이 고유 아이디 즉, 고유 아이디의 문자열 패턴을 저장하고 이를 접속 제어부(4003)와 공유한다.
구체적으로, 시리얼 패턴 저장부(4004)는 전원이 온(ON)되면 미리 설정된 고유 아이디의 문자열 패턴을 접속 제어부(4003)로 전송한다. 와이파이 고유 아이디는 제조사별로 미리 설정된 패턴의 문자열로 생성되도록 하여, 다른 와이파이 통신기기들과 혼용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접속 제어부(4003)는 와이파이 통신부(4002)를 통해 수신되는 와이파이 통신 신호에 포함된 고유 아이디를 분석하여 자동 접속 동작을 수행하고,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의 프로세서에 따라 접속된 가전기기들의 전원 온/오프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접속 제어부(4003)는 전원이 온(ON)되면 와이파이 통신부(4002)를 통해 수신되는 와이파이 통신 신호의 고유 아이디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패턴의 문자열로 이루어진 고유 아이디인 경우에 자동으로 접속한다.
접속 제어부(4003)는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와이파이 통신 신호의 고유 아이디를 순차적으로 분석하여 자동으로 접속한다. 접속 제어부(4003)는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싱크 캐비닛 장치(1000), 및 미러 캐비닛 장치의 가전기기들이 서로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면, 미러 캐비닛 장치(2000)에 구비된 센서를 통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미러 캐비닛 장치(2000)에 접근하면 미러 캐비닛 장치(2000)의 무드 조명 등이 점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어, 미러 캐비닛 장치(2000)에 구비된 조명 등의 특정 가전기기가 사용되면, 싱크 캐비닛 장치(1000)에 구비된 조명 등의 가전기기들이 동작되지 않도록 하는 등의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무선통신 제어모듈의 자동 접속 방법을 순서대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전원이 온(ON)된 상태에서 각각의 제어모듈에서는 와이파이 통신을 위한 고유 아이디를 미리 설정된 패턴의 문자열 생성하고 와이파이 통신 신호로 송신한다.
무선통신 제어모듈(4000)의 와이파이 통신부(4002)에서는 실시간으로 주변의 와이파이 통신 신호를 수신하여, 접속 제어부(4003)로 전송한다.
이에, 접속 제어부(4003)는 전원이 온(ON)되면 와이파이 통신부(4002)를 통해 수신되는 와이파이 통신 신호의 고유 아이디를 확인하여, 미리 설정된 패턴의 문자열로 이루어진 고유 아이디(예를 들어, BathlabLower**)인 경우에 자동으로 접속한다. 이렇게, 자동 접속된 가전기기의 제어모듈은 고유 아이디를 등록한 후, 또 다른 제어모듈의 고유 아이디를 순서대로 분석한다.
이에, 접속 제어부(4003)는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와이파이 통신 신호의 고유 아이디를 순서대로 분석하여 자동으로 접속할 수 있다. 만일, 수신된 고유 아이디가 미리 설정된 문자열의 패턴(예를 들어, BathlabLower**)과 상이한 경우 해당 고유 아이디의 기기와는 접속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접속 제어부(4003)는 측면 조명패널 제어모듈(440a), 무드 조명 제어모듈(200a), 미용 조명 제어모듈(330a), 냉각 전원 제어모듈(400a), 발열 전원 제어모듈(450a)과 자동 접속된다. 그리고 수건 관리기 제어모듈(300a), 콘솔 전원 제어모듈(430a), 센서 제어모듈(220a), 및 건조기 제어모듈(600a)과도 와이파이 통신 방식으로 자동 접속된다.
도 10은 욕실 공간 내의 다른 무선 제어모듈과 자동 접속하는 다른 방법을 순서대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무선통신 제어모듈(4000)에서는 미리 설정된 기간 단위로 와이파이 신호를 수신하여 자동 접속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때, 어느 하나의 제어모듈로부터 와이파이 통신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패턴의 문자열로 이루어진 고유 아이디인 경우에 자동으로 접속한다.
무선통신 제어모듈(4000)에 다수의 와이파이 통신 신호가 수신되면, 순차적으로 자동 접속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는 순차적인 자동 접속 과정에서는 접속되는 제어모듈과의 접속 과정을 알리기 위해 미리 설정될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 제어모듈(4000)에서는 와이파이 통신 신호를 발생한 제어모듈과 와이파이 통신 방식으로 접속되면, 접속된 제어모듈에 미리 설정된 패턴의 사운드가 송출될 수 있도록 사운드 송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운드 송출 명령을 수신한 제어모듈에서는 자신이 제어하는 가전기기를 동작시켜 사운드가 송출되도록 하고 사운드 송출 명령 수행 완료 신호를 다시 무선통신 제어모듈(40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무선통신 제어모듈(4000)은 사운드 송출 명령 수행 완료 신호를 확인하여 해당 제어모듈과 접속되도록 한다.
도 11은 다른 무선 제어모듈과 자동 접속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들을 각각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순차적인 자동 접속 과정에서는 접속되는 제어모듈과의 접속 과정을 알리기 위해 사운드 송출 동작 외에도 다른 미리 설정될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무선통신 제어모듈(4000)에서는 와이파이 통신 신호를 발생한 제어모듈과 와이파이 통신 방식으로 접속되면, 접속된 제어모듈에 미리 설정된 색상의 조명이 발광되도록 발광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발광 명령을 수신한 제어모듈에서는 자신이 제어하는 가전기기를 동작시켜 특정 색상의 조명이 발광되도록 하고 발광 동작 수행 완료 신호를 다시 무선통신 제어모듈(40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무선통신 제어모듈(4000)은 발광 동작 수행 완료 신호를 확인하여 해당 제어모듈과 접속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무선통신 제어모듈(4000)에서는 와이파이 통신 신호를 발생한 제어모듈과 와이파이 통신 방식으로 접속되면, 접속된 제어모듈에 센싱 동작을 수행하도록 센싱 명령을 전송할 수도 있다.
이에, 센싱 명령을 수신한 제어모듈에서는 자신이 제어하는 센서를 동작시켜 센싱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고, 센싱 수행 완료 신호를 다시 무선통신 제어모듈(40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무선통신 제어모듈(4000)은 센싱 수행 완료 신호를 확인하여 해당 제어모듈과 접속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미러 캐비닛 장치(2000)에 제1 무선 제어모듈(4000a)이 구비되고, 싱크 캐비닛 장치(1000)에 제2 무선 제어모듈(3000a)이 배치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미러 캐비닛 장치에 구성된 제1 무선 제어모듈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무선 제어모듈(4000a)은 측면 조명패널 제어모듈(440a), 무드 조명 제어모듈(200a), 미용 조명 제어모듈(330a), 냉각 전원 제어모듈(400a), 발열 전원 제어모듈(450a)과 블루투스 통신 방식으로 자동 페어링된다.
제1 무선 제어모듈(4000a)은 측면 조명패널 제어모듈(440a), 무드 조명 제어모듈(200a), 미용 조명 제어모듈(330a), 냉각 전원 제어모듈(400a), 발열 전원 제어모듈(450a)과 실시간으로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한다.
전원이 온(ON)되면, 측면 조명패널 제어모듈(440a), 무드 조명 제어모듈(200a), 미용 조명 제어모듈(330a), 냉각 전원 제어모듈(400a), 발열 전원 제어모듈(450a) 각각은 미리 설정된 패턴의 문자열로 이루어진 고유의 통신 아이디를 블루투스 신호로 송신한다.
제1 무선 제어모듈(4000a)은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블루투스 신호들의 통신 아이디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패턴의 문자열과 일치하는 경우 해당 제어모듈과 자동 페어링한다.
제1 무선 제어모듈(4000a)은 블루투스 통신 반경 내에 미러 캐비닛 장치(2000)가 추가되면, 추가된 미러 캐비닛 장치(2000)의 제어모듈들과 자동 페어링된다. 즉, 제1 무선 제어모듈(4000a)은 추가된 미러 캐비닛 장치(2000)의 측면 조명패널 제어모듈(440a), 무드 조명 제어모듈(200a), 미용 조명 제어모듈(330a), 냉각 전원 제어모듈(400a), 발열 전원 제어모듈(450a)과 자동 페어링될 수 있다.
제1 무선 제어모듈(4000a)은 제2 무선 제어모듈(3000a)과 연계하여, 각각의 제어모듈을 통해 측면 조명패널(440), 무드 조명(200), 미용 조명(2330), 냉각 전원부(400), 발열시트의 전원 온/오프 동작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1 무선 제어모듈(4000a)은 표시부(4001), 제1 시리얼 패턴부(4004), 제1 통신부(4002), 및 제1 제어부(4003)를 포함한다.
표시부(4001)는 각 전력기기들의 제어상태 및 통신 페어링 상태를 영상이나 텍스트로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표시부(4001)는 LED 패널이나 OLED 패널 또는 액정 표시패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4001)는 제1 제어부(4003)의 제어에 따라 각 전력기기들의 제어 상태 및 통신 페어링 상태를 영상이나 텍스트로 표시한다.
제1 시리얼 패턴부(4004)는 미리 설정된 패턴의 문자열로 블루투스 통신 아이디를 랜덤하게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제1 시리얼 패턴부(4004)는 전원이 온(ON)되면 미리 설정된 패턴의 문자열로 블루투스 통신 아이디를 랜덤하게 생성하여 제1 제어부(4003)로 전송한다. 블루투스 통신 아이디는 제조사별로 미리 설정된 패턴의 문자열로 생성되도록 하여, 다른 블루투스 통신기기들과 혼용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제1 통신부(4002)는 실시간으로 블루투스 통신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랜덤하게 생성된 블루투스 통신 아이디를 블루투스 통신 신호로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제1 통신부(4002)는 전원이 온(ON) 되면 실시간으로 외부의 블루투스 통신 신호를 수신하거나, 자체의 블루투스 통신 아이디를 블루투스 통신 신호로 송신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제1 제어부(4003)는 제1 통신부(4002)를 통해 수신되는 블루투스 통신 신호에 포함된 통신 아이디를 분석하여 자동 페어링 동작을 수행하고,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페어링된 전력기기들의 전원 온/오프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부(4003)는 전원이 온(ON)되면 제1 통신부(4002)를 통해 수신되는 블루투스 통신 신호의 통신 아이디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패턴의 문자열로 이루어진 통신 아이디인 경우에 자동으로 페어링한다. 이때, 제1 제어부(4003)는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블루투스 통신 신호의 통신 아이디를 순차적으로 분석하여 자동으로 페어링한다. 만일, 제1 통신부(4002)에서 송신된 자체의 블루투스 통신 아이디를 제2 무선 제어모듈(3000a)에서 먼저 수신하여 페어링한 경우, 제2 무선 제어모듈(3000a)이 마스터 모드로 동작하고, 제1 무선 제어모듈(4000a)은 슬레이브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제1 무선 제어모듈(4000a)의 제1 제어부(4003)에서 제2 무선 제어모듈(3000a)의 통신 아이디를 수신하여 페어링한 경우에는 제1 무선 제어모듈(4000a)이 마스터 모드로 동작하여, 제2 무선 제어모듈(3000a)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무선 제어모듈(4000a)은 제2 무선 제어모듈(3000a)까지 페어링하여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싱크 캐비닛 장치(1000), 및 미러 캐비닛 장치의 전력기기 구성 요소들이 서로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면, 미러 캐비닛 장치(2000)에 구비된 센서를 통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미러 캐비닛 장치(2000)에 접근하면 미러 캐비닛 장치(2000)의 무드 조명 등이 점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어, 미러 캐비닛 장치(2000)에 구비된 조명 등의 특정 전력기기가 사용되면, 싱크 캐비닛 장치(1000)에 구비된 조명 등의 전력기기들이 동작되지 않도록 하는 등의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3은 싱크 캐비닛 장치에 구성된 제2 무선 제어모듈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 캐비닛 장치(1000)의 수건 관리기(1300), 서랍형 콘솔(1400),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 건조기 각각에는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면서 전원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이 구성된다. 이에, 제2 무선 제어모듈(3000a)은 수건 관리기 제어모듈(300a), 콘솔 전원 제어모듈(430a), 센서 제어모듈(220a), 및 건조기 제어모듈(600a)과 블루투스 통신 방식으로 자동 페어링된다.
전원이 온(ON)되면, 수건 관리기 제어모듈(300a), 콘솔 전원 제어모듈(430a), 센서 제어모듈(220a), 및 건조기 제어모듈(600a) 각각은 미리 설정된 패턴의 문자열로 이루어진 통신 아이디를 블루투스 신호로 송신한다. 이에, 제2 무선 제어모듈(3000a)은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블루투스 신호들의 통신 아이디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패턴의 문자열과 일치하는 경우 해당 제어모듈과 자동 페어링한다.
제2 무선 제어모듈(3000a)은 블루투스 통신 반경 내에 다른 싱크 캐비닛 장치(1000)가 추가되면, 추가된 싱크 캐비닛 장치(1000)의 제어모듈들과 자동 페어링된다. 즉, 제2 무선 제어모듈(3000a)은 추가된 싱크 캐비닛 장치(1000)의 수건 관리기 제어모듈(300a), 콘솔 전원 제어모듈(430a), 센서 제어모듈(220a), 및 건조기 제어모듈(600a)과 자동 페어링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무선 제어모듈(3000a)은 제1 무선 제어모듈(4000a)과 연계하여, 각각의 제어모듈을 통해 수건 관리기(1300), 서랍형 콘솔(1400),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 건조기의 전원 온/오프 동작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2 무선 제어모듈(3000a)은 제2 시리얼 패턴부(3003), 제2 통신부(3002), 및 제2 제어부(3002)를 포함한다.
제2 시리얼 패턴부(3003)는 전원이 온(ON)되면 미리 설정된 패턴의 문자열로 블루투스 통신 아이디를 랜덤하게 생성하여 제2 제어부(3002)로 전송한다.
제2 통신부(3001)는 전원이 온(ON) 되면 실시간으로 외부의 블루투스 통신 신호를 수신하거나, 자체의 블루투스 통신 아이디를 블루투스 통신 신호로 송신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제2 제어부(3002)는 전원이 온(ON)되면 제2 통신부(3001)를 통해 수신되는 블루투스 통신 신호의 통신 아이디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패턴의 문자열로 이루어진 통신 아이디인 경우에 자동으로 페어링한다. 이때, 제2 제어부(3002)는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블루투스 통신 신호의 통신 아이디를 순차적으로 분석하여 자동으로 페어링한다. 만일, 제2 통신부(3001)에서 송신된 자체의 블루투스 통신 아이디를 제1 무선 제어모듈(4000a)에서 먼저 수신하여 페어링한 경우, 제1 무선 제어모듈(4000a)이 마스터 모드로 동작하고, 제2 무선 제어모듈(3000a)은 슬레이브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제2 무선 제어모듈(3000a)의 제2 제어부(3002)에서 제1 무선 제어모듈(4000a)의 통신 아이디를 수신하여 페어링한 경우에는 제2 무선 제어모듈(3000a)이 마스터 모드로 동작하여, 제1 무선 제어모듈(4000a)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제1 무선 제어모듈의 자동 페어링 방법을 순서대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전원이 온(ON)된 상태에서 각각의 제어모듈에서는 미리 설정된 패턴의 문자열로 블루투스 통신 아이디를 랜덤하게 생성하여 블루투스 통신 신호로 송신한다. 이때, 제1 무선 제어모듈(4000a) 또한 미리 설정된 패턴의 문자열로 블루투스 통신 아이디를 랜덤하게 생성하여 제1 제어부(4003)로 전송한다.
제1 통신부(4002)에서는 실시간으로 외부의 블루투스 통신 신호를 수신하거나, 자체의 블루투스 통신 아이디를 블루투스 통신 신호로 송신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에, 제1 제어부(4003)는 전원이 온(ON)되면 제1 통신부(4002)를 통해 수신되는 블루투스 통신 신호의 통신 아이디를 확인하여, 미리 설정된 패턴의 문자열로 이루어진 통신 아이디인 경우에 자동으로 페어링한다. 자동 페어링된 전력기기의 제어모듈은 등록하고 다시 다른 제어모듈 등의 통신 아이디를 분석한다. 이에, 제1 제어부(4003)는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블루투스 통신 신호의 통신 아이디를 순차적으로 분석하여 자동으로 페어링할 수 있다. 만일, 수신된 통신 아이디가 미리 설정된 문자열의 패턴과 상이한 경우 해당 통신 아이디의 기기와는 페어링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제어부(4003)는 측면 조명패널 제어모듈(440a), 무드 조명 제어모듈(200a), 미용 조명 제어모듈(330a), 냉각 전원 제어모듈(400a), 발열 전원 제어모듈(450a)과 자동 페어링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부(4003)는 제2 무선 제어모듈(3000a)의 제2 통신부(3001)에서 송신되어, 제1 통신부(4002)를 통해서 수신되는 블루투스 통신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분석하여, 자동으로 페어링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제어부(4003)에 의해 제1 무선 제어모듈(4000a)는 마스터 제어모듈로 동작할 수 있다.
도 15는 욕실 공간 내의 다른 무선 제어모듈을 자동 페어링하는 다른 방법을 순서대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1 무선 제어모듈(4000a) 또는 제2 무선 제어모듈(3000a)에서는 미리 설정된 기간 단위로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하여 자동 페어링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때, 어느 하나의 제어모듈로부터 블루투스 통신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패턴의 문자열로 이루어진 통신 아이디인 경우에 자동으로 페어링한다.
그러나 다수의 블루투스 통신 신호가 수신되면 순차적으로 자동 페어링 동작을 수행한다. 순차적인 자동 페어링 과정에서는 페어링되는 제어모듈과의 페어링 과정을 알리기 위해 미리 설정될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1 무선 제어모듈(4000a)에서는 블루투스 통신 신호를 발생한 제어모듈과 블루투스 통신 방식으로 접속되면, 접속된 제어모듈에 미리 설정된 패턴의 사운드가 송출될 수 있도록 사운드 송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운드 송출 명령을 수신한 제어모듈에서는 자신이 제어하는 전력기기를 동작시켜 사운드가 송출되도록 하고 사운드 송출 명령 수행 완료 신호를 다시 제1 무선 제어모듈(4000a)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제1 무선 제어모듈(4000a)은 사운드 송출 명령 수행 완료 신호를 확인하여 해당 제어모듈과 페어링되도록 한다.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음성인식 기반 인공지능 기기가 구비된 욕실용 편의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기반 인공지능 기기가 구비된 욕실용 편의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편의 장치는 욕실의 벽면에 부착되는 미러 캐비닛 장치(2000), 욕실의 바닥면과 벽면에 설치되는 싱크 캐비닛 장치(1000), 및 음성인식 기반 인공지능 기기(5000)를 포함한다.
통합 조작 스위치(3000)는 미러 캐비닛 장치(2000)와 싱크 캐비닛 장치(1000)를 조작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는 싱크 캐비닛 장치(1000)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인공지능 기기(5000)는 미러 캐비닛 장치(2000), 및 싱크 캐비닛 장치(1000)에 각각 구비된 가전기기들의 제어모듈과 자동 접속되면, 음성 인식에 기반하여 각각의 가전기기들을 모니터링 및 제어한다.
인공지능 기기(5000)는 미러 캐비닛 장치(2000), 및 싱크 캐비닛 장치(1000)에 구비된 가전기기들의 제어모듈과 실시간으로 무선 접속되며, 무선 접속 상태를 유지한다. 만일, 욕실이나 인접 공간에 미러 캐비닛 장치(2000)나 싱크 캐비닛 장치(1000)가 추가되더라도 추가된 미러 캐비닛 장치(2000)나 싱크 캐비닛 장치(1000)에 구비된 가전기기들의 제어모듈과 무선으로 자동 접속된다.
인공지능 기기(5000)는 미러 캐비닛 장치(2000)와 싱크 캐비닛 장치(1000)에 구비된 가전기기들의 제어모듈을 통해 각 가전기기들의 동작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한다. 그리고 음성 인식에 따른 제어 명령과 미리 설정된 프로세서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각각의 가전기기들이 서로 호환해서 동작되거나 동작이 중단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인식에 따른 제어 명령에 따라 미러 캐비닛 장치(2000)와 싱크 캐비닛 장치(1000)에 구비된 가전기기들이 선택적으로 동작하거나 작동이 중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미리 설정된 프로세서에 따라 미러 캐비닛 장치(2000)에 구비된 조명 등의 특정 가전기기가 사용되면, 싱크 캐비닛 장치(1000)에 구비된 조명 등의 가전기기들이 동작되지 않도록 하는 등의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인공지능 기기(5000)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미러 캐비닛 장치(2000)나 싱크 캐비닛 장치(1000) 등에 구성될 수 있다. 즉, 인공지능 기기(5000)는 적어도 하나의 미러 캐비닛 장치(2000)나 싱크 캐비닛 장치(1000)에 각각 내장되거나 외부의 어느 한 측면이나 전면에 구성될 수도 있다. 반면, 별도로 욕실 벽면에 구성될 수도 있고 이동식 모바일기기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통합 조작 스위치(3000)에 내장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싱크 캐비닛 장치(1000)의 상부 어느 한 외곽부에 구성된 예를 설명하기로 하며, 인공지능 기기(5000)의 세부 구성과 동작 특징에 대해서는 이후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인공지능 기기과 제어모듈들의 접속 구조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지능 기기(5000)는 측면 조명패널 제어모듈(440a), 무드 조명 제어모듈(200a), 미용 조명 제어모듈(330a), 냉각 전원 제어모듈(400a), 발열 전원 제어모듈(450a)과 지그비 등의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자동 접속된다.
측면 조명패널 제어모듈(440a), 무드 조명 제어모듈(200a), 미용 조명 제어모듈(330a), 냉각 전원 제어모듈(400a), 발열 전원 제어모듈(450a) 등은 엔드 디바이스(End Device)로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인공지능 기기(5000)는 일종의 코디네이터 디바이스(Coordinator Device)로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원이 온(ON)되면, 측면 조명패널 제어모듈(440a), 무드 조명 제어모듈(200a), 미용 조명 제어모듈(330a), 냉각 전원 제어모듈(400a), 발열 전원 제어모듈(450a) 각각은 미리 설정된 패턴의 문자열로 이루어진 고유 아이디(예를 들어, Extended PAN ID)를 지그비 신호로 송신한다.
인공지능 기기(5000)는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지그비 신호들의 고유 아이디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패턴의 문자열과 일치하는 경우 해당 제어모듈과 자동 접속한다.
인공지능 기기(5000)는 지그비 통신 반경 내에 다른 미러 캐비닛 장치(2000)가 추가되더라도 추가된 미러 캐비닛 장치(2000)의 제어모듈들과 자동 접속될 수 있다. 즉, 추가된 미러 캐비닛 장치(2000)의 측면 조명패널 제어모듈(440a), 무드 조명 제어모듈(200a), 미용 조명 제어모듈(330a), 냉각 전원 제어모듈(400a), 발열 전원 제어모듈(450a) 또한 전원이 온(ON) 되면 미리 설정된 패턴의 문자열로 이루어진 고유 아이디를 지그비 신호로 송신한다.
이때, 인공지능 기기(5000) 또한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지그비 신호들의 고유 아이디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패턴의 문자열과 일치하는 경우 해당 제어모듈과 자동 접속한다.
마찬가지로, 싱크 캐비닛 장치(1000)의 수건 관리기(1300), 서랍형 콘솔(1400),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 건조기 각각에는 지그비 통신을 수행하면서 전원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이 구성된다. 이에, 인공지능 기기(5000)는 수건 관리기 제어모듈(300a), 콘솔 전원 제어모듈(430a), 센서 제어모듈(220a), 및 건조기 제어모듈(600a)과 지그비 등의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자동 접속된다.
인공지능 기기(5000)가 코디네이터 디바이스(Coordinator Device)로 동작하기 때문에, 수건 관리기 제어모듈(300a), 콘솔 전원 제어모듈(430a), 센서 제어모듈(220a), 및 건조기 제어모듈(600a) 또한 엔드 디바이스(End Device)로 동작한다.
이에, 전원이 온(ON) 되었을 때, 수건 관리기 제어모듈(300a), 콘솔 전원 제어모듈(430a), 센서 제어모듈(220a), 및 건조기 제어모듈(600a) 또한 미리 설정된 패턴의 문자열로 이루어진 고유 아이디(예를 들어, Extended PAN ID)를 지그비 신호로 송신한다. 이에, 인공지능 기기(5000)는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지그비 신호들의 고유 아이디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패턴의 문자열과 일치하는 경우 해당 제어모듈과 자동 접속한다.
인공지능 기기(5000)는 지그비 통신 반경 내에 다른 싱크 캐비닛 장치(1000)가 추가되면, 추가된 싱크 캐비닛 장치(1000)의 제어모듈들과도 자동 접속된다. 추가된 싱크 캐비닛 장치(1000)의 제어모듈들 또한 전원이 온(ON) 되면 미리 설정된 패턴의 문자열로 이루어진 고유 아이디를 지그비 신호로 송신한다. 이에 따라, 인공지능 기기(5000) 또한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지그비 신호들의 고유 아이디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패턴의 문자열과 일치하는 경우 해당 제어모듈과 자동 접속한다.
인공지능 기기(5000)는 측면 조명패널(440), 무드 조명(200), 미용 조명(2330), 냉각 전원부(400), 발열시트, 수건 관리기(1300), 서랍형 콘솔(1400),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 건조기의 전원 온/오프 동작을 서로 연계시켜 제어하게 된다.
이를 위해, 인공지능 기기(5000)는 표시부(5001), 근거리 통신부(5002), 무선접속 제어부(5003), 시리얼 패턴 저장부(5004), 음성 인식부(5005), 통합 제어부(500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5001)는 각 가전기기들의 제어상태 및 통신 접속 상태를 영상이나 음성(오디오)로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표시부(5001)는 LED 패널이나 OLED 패널 또는 액정 표시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오디오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5001)는 통합 제어부(5006)의 제어에 따라 각 가전기기들의 제어 정보, 전력 사용량 및 지그비 통신 접속 정보 등을 영상이나 음성으로 표시한다.
근거리 통신부(5002)는 전원이 온(ON) 되면 실시간으로 지그비 통신 신호를 수신하여 접속 제어부(5003)로 전송한다. 그리고 통합 제어부(5006)로부터의 제어신호를 해당 제어모듈로 전송하기도 한다.
시리얼 패턴 저장부(5004)는 미리 설정된 패턴의 문자열로 이루어진 지그비 고유 아이디 즉, 고유 아이디의 문자열 패턴을 저장하고 이를 무선접속 제어부(5003)와 공유한다. 구체적으로, 시리얼 패턴 저장부(5004)는 전원이 온(ON)되면 미리 설정된 고유 아이디의 문자열 패턴을 무선접속 제어부(5003)로 전송한다. 지그비 고유 아이디는 제조사별로 미리 설정된 패턴의 문자열로 생성되도록 하여, 다른 지그비 통신기기들과 혼용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무선접속 제어부(5003)는 근거리 통신부(5002)를 통해 수신되는 지그비 통신 신호에 포함된 고유 아이디를 분석하여 자동 접속 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접속 제어부(5003)는 전원이 온(ON)되면 근거리 통신부(5002)를 통해 수신되는 지그비 통신 신호의 고유 아이디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패턴의 문자열로 이루어진 고유 아이디인 경우에 자동으로 접속한다.
접속 제어부(5003)는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지그비 통신 신호의 고유 아이디를 순차적으로 분석하여 자동으로 접속한다. 음성 인식부(5005)는 사용자의 음성을 실시간으로 인식하여 음성에 대응되는 코드 데이터들을 통합 제어부(5006)로 전송한다. 이에, 통합 제어부(5006)는 사용자의 음성에 따라 싱크 캐비닛 장치(1000), 및 미러 캐비닛 장치(2000)의 가전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들을 생성 및 출력한다.
통합 제어부(5006)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 이외에도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의 프로세서에 따라 접속된 가전기기들의 전원 온/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통합 제어부(5006)는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싱크 캐비닛 장치(1000), 및 미러 캐비닛 장치(2000)의 가전기기들이 서로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면, 미러 캐비닛 장치(2000)에 구비된 센서를 통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미러 캐비닛 장치(2000)에 접근하면 미러 캐비닛 장치(2000)의 무드 조명 등이 점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어, 미러 캐비닛 장치(2000)에 구비된 조명 등의 특정 가전기기가 사용되면, 싱크 캐비닛 장치(1000)에 구비된 조명 등의 가전기기들이 동작되지 않도록 하는 등의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인공지능 기기의 자동 접속 방법을 순서대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전원이 온(ON)된 상태에서 각각의 제어모듈에서는 지그비 통신을 위한 고유 아이디를 미리 설정된 패턴의 문자열 생성하고 지그비 통신 신호로 송신한다.
인공지능 기기(5000)의 근거리 통신부(5002)에서는 실시간으로 주변의 지그비 통신 신호를 수신하여, 무선접속 제어부(5003)로 전송한다.
이에, 무선접속 제어부(5003)는 전원이 온(ON)되면 근거리 통신부(4002)를 통해 수신되는 지그비 통신 신호의 고유 아이디를 확인하여, 미리 설정된 패턴의 문자열로 이루어진 고유 아이디(예를 들어, Bathlab Lower**)인 경우에 자동으로 접속한다.
이렇게, 자동 접속된 가전기기의 제어모듈은 고유 아이디를 등록한 후, 또 다른 제어모듈의 고유 아이디를 순서대로 분석한다. 이에, 무선접속 제어부(5003)는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지그비 통신 신호의 고유 아이디를 순서대로 분석하여 자동으로 접속할 수 있다.
만일, 수신된 고유 아이디가 미리 설정된 문자열의 패턴(예를 들어, Bathlab Lower**)과 상이한 경우 해당 고유 아이디의 기기와는 접속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무선접속 제어부(5003)는 측면 조명패널 제어모듈(440a), 무드 조명 제어모듈(200a), 미용 조명 제어모듈(330a), 냉각 전원 제어모듈(400a), 발열 전원 제어모듈(450a)과 자동 접속된다. 그리고 수건 관리기 제어모듈(300a), 콘솔 전원 제어모듈(430a), 센서 제어모듈(220a), 및 건조기 제어모듈(600a)과도 지그비 통신 방식으로 자동 접속된다.
도 19는 욕실 공간 내의 다른 무선 제어모듈과 자동 접속하는 다른 방법을 순서대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인공지능 기기(5000)에서는 미리 설정된 기간 단위로 지그비 신호를 수신하여 자동 접속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때, 어느 하나의 제어모듈로부터 지그비 통신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패턴의 문자열로 이루어진 고유 아이디인 경우에 자동으로 접속한다.
인공지능 기기(5000)에 다수의 지그비 통신 신호가 수신되면, 순차적으로 자동 접속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는 순차적인 자동 접속 과정에서는 접속되는 제어모듈과의 접속 과정을 알리기 위해 미리 설정될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인공지능 기기(5000)에서는 지그비 통신 신호를 발생한 제어모듈과 지그비 통신 방식으로 접속되면, 접속된 제어모듈에 미리 설정된 패턴의 사운드가 송출될 수 있도록 사운드 송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운드 송출 명령을 수신한 제어모듈에서는 자신이 제어하는 가전기기를 동작시켜 사운드가 송출되도록 하고 사운드 송출 명령 수행 완료 신호를 다시 인공지능 기기(50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인공지능 기기(5000)는 사운드 송출 명령 수행 완료 신호를 확인하여 해당 제어모듈과 접속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욕실용 편의 장치는 욕실 가구와 욕실 가전기기들을 일체화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공간 활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욕실 등의 근거리 공간에 욕실용 편의 장치들이 처음 설치되거나 추가되더라도 욕실용 편의 장치에 포함된 욕실 가전기기의 제어모듈들이 자동으로 무선 통신 접속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과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욕실용 편의 장치와 음성인식 기반 인공지능 기기가 연동될 수 있도록 하여, 다수의 욕실 가전기기들이 서로 연계되어 유기적으로 제어되거나 스마트하게 관리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각각의 가전기기들에 대한 전기적인 안정성을 높이고 편의 부분에서도 사용자의 만족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싱크 캐비닛 장치 및 미러 캐비닛 장치에 구성된 전력기기들과 콘센트들의 전원을 관리하는 전원 관리 모듈을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전원 관리 모듈(1490)은 제1 전원 관리부(1491), 제2 전원 관리부(1492), 및 통합 관리부(1493)를 포함한다.
제1 전원 관리부(1491)는 쿨러 전원부(400a), 충전박스 전원부(또는, 제1 전원 콘센트(500a), 측면 조명패널 전원부(440a), 무드 조명 전원부(200a), 미용 조명 전원부(330a), 냉각부의 전원부(480a), 발열시트의 전원부(450a), 및 무선 급전부의 전원부(550a)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각 전력기기들의 전원부는 플러그를 통해 전원을 입력받는 전력 입력단이다.
제1 전원 관리부(1491)는 미러 캐비닛 장치(2000)에 구성된 각 전력기기들의 전원부를 통해 각 전력기기들의 전력 사용여부 및 전력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감지한다.
그리고 쿨러(2400), 충전박스(2500), 무드 조명 패널(2200), 미용 조명(2330), 냉각부, 발열시트, 및 무선 급전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전력기기와 제1 전원 콘센트 중 적어도 하나의 전력 사용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 전력 사용량 이상 높아지면, 과전류나 과부하 위험 상태로 판단한다. 이어, 과전류나 과부하로 판단되는 경우, 전력 사용량이 높은 전력기기의 전원부나 제1 전원 콘센트(500a)의 순서대로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제2 전원 관리부(1492)는 싱크 캐비닛 장치(1000)에 구성된 수건 관리기(1300), 제2 전원 콘센트를 포함하는 콘솔 전원부(430a), 건조기, 센서, 및 조명 중 적어도 하나의 전력기기와 제2 전원 콘센트(430)로 공급되는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2 전원 관리부(1492)는 수건 관리기 전원부(300a), 제2 전원 콘센트를 포함하는 콘솔 전원부(430a), 센서의 전원부(220a), 및 건조기의 전원부(600a)와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전력기기들의 전원부는 플러그를 통해 전원을 입력받는 전력 입력단이다.
제2 전원 관리부(1492)는 싱크 캐비닛 장치(1000)에 구성된 각 전력기기들의 전원부를 통해 각 전력기기들의 전력 사용여부 및 전력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감지한다. 그리고 수건 관리기(1300), 건조기, 센서, 및 조명 중 적어도 하나의 전력기기와 제2 전원 콘센트(430) 중 적어도 하나의 전력 사용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 전력 사용량 이상 높아지면, 과전류나 과부하 위험 상태로 판단한다. 이어, 과전류나 과부하로 판단되는 경우, 전력 사용량이 높은 전력기기의 전원부나 제2 전원 콘센트(430)의 순서대로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통합 관리부(1493)는 제1 전원 관리부(1491), 및 제2 전원 관리부(1492)에 의해 제어되는 각 전력기기들에 대한 전기적인 연결(온/오프)을 통합 관리한다. 구체적으로, 통합 관리부(1493)는 미러 캐비닛 장치(2000)에 구성된 각 전력기기들의 전력 사용량을 제1 전원 관리부(1491)를 통해 입력받는다. 그리고 싱크 캐비닛 장치(1000)에 구성된 각 전력기기들의 전력 사용량은 제2 전원 관리부(1492)를 통해 입력받는다. 이에, 통합 관리부(1493)는 미러 캐비닛 장치(2000)에 구성된 각 전력기기들과 싱크 캐비닛 장치(1000)에 구성된 각 전력기기들의 통합 전력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 그리고 과전류나 과부하 위험 상태로 판단되면,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선택적으로 미러 캐비닛 장치(2000)에 구성된 각 전력기기들과 싱크 캐비닛 장치(1000)에 구성된 각 전력기기들의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통합 관리부(1493)는 미러 캐비닛 장치(2000)에 구성된 각 전력기기들의 전력 사용량 정보, 및 싱크 캐비닛 장치(1000)에 구성된 각 전력기기들의 전력 사용량 정보를 통합 조작 스위치(270)로 전송한다. 또한, 미러 캐비닛 장치(2000)에 구성된 각 전력기기들과 싱크 캐비닛 장치(1000)에 구성된 각 전력기기들의 통합 전력 사용량 정보를 통합 조작 스위치(27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통합 관리부(1493)는 통합 조작 스위치(270)의 디스플레이부에 통합 전력 사용량 정보가 표시되도록 지원한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제2 전원 관리부의 전원 관리 방법을 순서대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싱크 캐비닛 장치(1000)에 구성된 수건 관리기(1300), 건조기 등은 고전류를 사용하는 가전제품이다. 그리고 서랍형 콘솔(1400)의 제2 전원 콘센트(430a)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 헤어드라이기나 발열기기 등도 모두 고전류 이용 제품들이다. 이에, 싱크 캐비닛 장치(1000)에 구성된 전력기기들과 고전류의 가전기기들이 동시에 사용될 경우 과전류 및 과부하 발생 위험이 있으므로, 전력 사용량 관리가 더욱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제2 전원 관리부(1492)는 서랍형 콘솔(1400), 및 제2 전원 콘센트(도 6의 1430)의 콘센트 커버(도 6의 1432)의 열림 여부를 가장 먼저 확인한다. 이는 제2 전원 콘센트(1430)의 콘센트 커버(1432)가 개방되면, 고전류 제품이 사용될 것으로 예측하여 수건 관리기(1300)나 건조기 등의 전력기기 전원을 순서대로 차단하기 위함이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랍형 콘솔(1400), 및 제2 전원 콘센트(1430)의 콘센트 커버(1432)가 개방된 상태라면, 가장 먼저 급수 사용 여부를 확인한다. 급수 사용시에는 누전 등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급수 사용시 제2 전원 콘센트(430)의 콘센트 커버(1432)가 개방되었거나 제2 전원 콘센트(430)를 통해 전기 제품이 사용중이면, 제2 전원 콘센트(430)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반면, 콘센트 커버(1432)가 열린 상태에서 급수 사용중이 아니라면, 수건 관리기(1300)의 전력 사용 여부를 확인한다. 이는 고전류 제품이 사용될 것으로 예측하여 수건 관리기(1300)의 과전류 또는 과부하를 감지하고, 선택적으로 수건 관리기(1300)의 전원을 차단시키기 위함이다.
제2 전원 콘센트(1430)가 다수 구성되어 콘센트 커버(1432) 또한 다수 구비된 경우, 각각의 콘센트 커버(1432) 열림 여부에 따라서도 상기의 선택적인 전력기기 전원 치단 동작은 동일하게 수행된다.
즉, 콘센트 커버(1432) 또한 다수 구비되더라도, 제2 전원 관리부(1492)는 각각의 콘센트 커버(1432) 개방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함과 동시에, 제2 전원 콘센트(1430)의 전력 사용 여부, 및 수건 관리기(1300), 및 건조기 등의 사용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그리고, 수건 관리기(1300), 및 건조기 등의 사용 중에 적어도 하나의 콘센트 커버(1432)가 개방되면, 수건 관리기(1300)나 건조기 등의 전력기기 전원을 미리 설정된 순서대로 차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욕실용 편의 장치의 전원 관리 장치는 욕실 가구와 욕실 가전제품을 일체화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하고 공간 활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욕실용 편의 장치에 구비된 다수 전력기기들의 전원, 및 전원 콘센트의 과부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전원 공급 여부를 제어함으로써, 전력기기들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그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고전류의 전력기기가 주료 사용되는 싱크 캐비닛 장치의 전원 콘센트 커버를 실시간으로 센싱하고 확인하여, 누전 및 과부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전원 콘센트의 전원을 자동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누전이나 과부하에 따른 위험성을 줄이고 사용자 만족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싱크 캐비닛 장치와 미러 캐비닛 장치를 포함하는 욕실용 편의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욕실용 편의장치는 욕실의 벽면에 부착되는 미러 캐비닛 장치(2000)와, 욕실 바닥면에 설치되고 세면대(1200)를 포함하는 싱크 캐비닛 장치(1000)와, 상기 미러 캐비닛 장치(2000)와 싱크 캐비닛 장치(1000)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상기 미러 캐비닛 장치(2000)는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미러 캐비닛 몸체(2100)와, 상기 미러 캐비닛 몸체(2100)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미러캐미닛몸체(2100)를 개폐하는 미러도어(2300)를 포함한다. 이후 설명되지만, 상기 미러 캐비닛 몸체(2100)의 내부에는 내용물을 저온으로 냉각하는 쿨러와 충전박스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미러 캐비닛 몸체(2100)의 측면에는 욕실내부, 특히 미러 캐비닛 장치(2000)의 정면 일부 영역을 특수한 휘도 및 색감으로 조명하는 무드조명패널(22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미러 캐비닛 몸체(2100)의 일측 영역에는 제어부가 배치된다. 상기 제어부는 미러 캐비닛 장치(2000)와 싱크 캐비닛 장치(1000)를 제어하여 욕실을 항상 쾌적하고 청결한 상태로 유지하고 미러 캐비닛 장치(2000)와 싱크 캐비닛 장치(1000)를 자동으로 구동하여 사용자가 욕실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는 콘솔박스 형태로 미러 캐비닛 몸체(2100)의 내부 공간의 일측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고 미러 캐비닛 몸체(2100)에 직접 매립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싱크 캐비닛 장치(1000)에 설치될 수도 있고 미러 캐비닛 장치(2000) 및 싱크 캐비닛 장치(1000) 외부의 장소, 예를 들면 욕실 벽면 도는 거실내 벽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싱크 캐비닛 장치(1000)는 싱크 캐비닛 몸체(1100)와, 상기 싱크 캐비닛 몸체(1100) 상부에 설치되고 수전(1220)을 포함하는 세면대(1200)와, 상기 싱크 캐비닛 몸체(1100) 내부에 설치되어 수건을 보관하고 관리하는 수건관리기(1300)와, 상기 싱크 캐비닛 몸체(1100)에 설치되어 헤어드라이어나 면도기 등의 소형 가전을 수납하는 콘솔(1400)을 포함한다.
상기 싱크 캐비닛 몸체(1100)의 전면에는 욕실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110), 욕실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1120), 욕실 내부의 악취정도를 측정하는 악취센서(1130), 싱크 캐비닛 장치(1000)의 전면으로 사용자가 접근하는 지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140)가 배치된다.
이때, 상기 온도센서(1110), 습도센서(1120), 악취센서(1130) 및 인체감지센서(140)는 모두 싱크 캐비닛 장치(1000)가 아니라 미러 캐비닛 장치(2000)에 설치될 수도 있고, 일부 센서는 싱크 캐비닛 장치(1000)에 설치될 수도 있고 일부 센서는 미러 캐비닛 장치(2000)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온도센서(1110), 습도센서(1120) 및 악취센서(1130)는 미러 캐비닛 장치(2000) 및/또는 싱크 캐비닛 장치(1000)가 아니라 욕실의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온도센서(110) 및 습도센서(1120)는 욕실 내부의 벽면이나 천정에 설치될 수 있고 악취센서(1130)는 악취가 가장 심한 변기 근처에 설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온도센서(1110), 습도센서(1120) 및 악취센서(1130)가 미러 캐비닛 장치(2000) 및/또는 싱크 캐비닛 장치(1000)가 아니라 욕실의 구조물에 설치되는 경우, 센서를 설치하기 위해 기존의 벽면이나 천정에 센서를 부착하는 등의 별개의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반면에, 상기 온도센서(1110), 습도센서(1120) 및 악취센서(1130)가 미러 캐비닛 장치(2000) 및/또는 싱크 캐비닛 장치(1000)에 배치되는 경우, 별도의 작업없이 미러 캐비닛 장치(2000)와 싱크 캐비닛 장치(1000)를 배치함으로써 욕실의 환경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미러 캐비닛 장치(2000)와 싱크 캐비닛 장치(1000)는 블루투스와 같은 내부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제어부와 센서가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 센서에서 감지된 정보가 내부 통신망을 통해 제어부로 전달된다.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편의장치의 싱크 캐비닛 장치(100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23는 싱크 캐비닛 장치(1000)에서 수건관리기를 인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4는 싱크 캐비닛 장치(1000)에서 서랍형 콘솔을 인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싱크 캐비닛 장치(1000)는 욕실의 지면에 설치되며 수전(1220)을 포함하는 세면대(1200)와 일체화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싱크 캐비닛 장치(1000)는 싱크 캐비닛 몸체(1100)와, 상기 싱크 캐비닛 몸체(1100) 상부에 배치되는 세면대(1200)와, 상기 싱크 캐비닛 몸체(1100) 내부에 설치되는 서랍형으로 이루어진 수건관리기(1300) 및 서랍형으로 이루어진 콘솔(1400)과, 싱크 캐비닛 몸체(1100)의 하부에 배치되어 가열된 열풍을 배출하는 열풍공급기(15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세면대(1200)는 세면대몸체(1210)와, 수전(1220)과, 세면대몸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팝업 밸브(1230)를 포함한다. 상기 세면대(1200)의 수전(1220)은 급수관에 연결되고 팝업 밸브(1230)는 배수관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고 배출한다. 이때, 상기 수전(1220)이 연결되는 급수관은 냉수관과 온수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전(1220)에는 별도의 손잡이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손잡이를 조작함에 따라 출수되는 수량과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전(1220)을 제어하는 밸브를 전자식으로 구비하여, 수전(1220)을 통해서 공급되는 급수 온도와 급수량을 전자적으로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싱크 캐비닛 몸체(1100)에는 인체감지센서(1140)가 구비되어 싱크 캐비닛 몸체(1100)의 전면에 사용자가 위치하는지를 감지한다. 상기 인체감지센서(1140)로는 PSD(Position Sensing Device)나 적외선센서가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인체감지센서(1140)는 미러 캐비닛 장치(20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미러 캐비닛 장치(2000)는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설치되므로, 미러 캐비닛 장치(2000)에 설치되는 인체감지센서(1140) 역시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설치된다. 따라서, 인체감지센서(1140)가 미러 캐비닛 장치(2000)에 설치되는 경우, 어린아이와 같이 키가 작은 사용자를 인체감지센서(1140)가 감지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인체감지센서(1140)는 싱크 캐비닛 몸체(110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건관리기(1300)와 콘솔(1400)은 싱크 캐비닛 몸체(1100)에 설치된다. 도면에서는 상기 수건관리기(1300)와 콘솔(1400)이 각각 싱크 캐비닛 몸체(1100)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되지만, 상기 수건관리기(1300)와 콘솔(1400)은 특정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수건관리기(1300)와 콘솔(1400)은 각각 싱크 캐비닛 몸체(1100)의 우측 및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대형 싱크 캐비닛 장치(1000)의 경우에는 수건관리기(1300) 또는 콘솔(1400)을 복수개 배치하거나 별도의 수납용 서랍을 적어도 하나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수건관리기(1300)와 콘솔(1400)은 서랍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수건관리기(1300)는 보관되는 수건을 가열하고 건조한다. 상기 수건관리기(1300)는 싱크 캐비닛 몸체(1100)에 연결되어 인출되는 수건관리기몸체(1310)와, 수건이 거치되고 수건에 열을 전달하는 열전달판(1320)을 포함한다.
상기 열전달판(1320)은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구성되고 내부가 비어있는 '∩' 단면 형상으로 구성되어, 가열된 공기가 열전달판(1320)의 내부로 공급되어 상기 열전달판(1320)이 가열된다. 또한, 열전달판(1320)에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열전달판(1320)의 내부로 유입된 가열된 공기가 열전달판(1320)에 거치된 수건에 공급되어 수건이 원활하게 건조되도록 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싱크 캐비닛 몸체(1100)의 내부에는 히터와 송풍기가 배치된다. 이때, 상기 히터 및 송풍기와 열전달판(1320)의 사이에는 제1유로(도면표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히터에서 가열된 열풍을 상기 열전달판(1320)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수건관리기(1300)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켜 수건을 건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건관리기(1300)에는 수건습도센서(134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건습도센서(1300)는 수건관리기(1300)에 수납되는 수건의 습도를 측정하여, 싱크 캐비닛 몸체(1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히터와 송풍기를 구동 및 정지시킨다. 즉, 수건관리기(1300) 내부의 수건의 습도가 설정된 습도 이상인 경우, 히터와 송풍기를 구동하여 수건을 건조하며, 수건의 습도가 설정된 습도 이하인 경우 수건이 완전히 건조되었으므로 히터와 송풍기의 구동을 정지한다.
도면에서는 상기 수건습도센서(1340)가 열전달판(1320)의 하부에 배치되지만, 이러한 위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수건관리기(1300) 내부에 수납되는 수건의 습도를 정확히 측정할 수만 있다면, 상기 수건습도센서(1340)는 수건관리기(1300) 내부의 어떠한 위치에도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수건습도센서(1340)는 열전달판(1320)의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고 수건관리기(1300)의 벽면에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싱크 캐비닛 몸체(1100)의 하부에 배치된 열풍공급기(1500)는 열풍을 욕실 내부의 바닥을 향해 배출하여 욕실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거나 샤워부스에서 샤워를 하고 나온 사용자의 젖은 몸을 건조한다. 이때, 상기 열풍공급기(1500)는 제2유로를 통해 싱크 캐비닛 몸체(1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히터와 송풍기와 연결되어 상기 히터에서 가열된 열풍이 송풍기에 의해 열풍공급기(1500)로 공급된다.
상기 열풍공급기(1500)는 샤워가 끝난 사용자의 젖은 몸을 건조하므로, 싱크 캐비닛 장치(1000)에 샤워가 끝난 사용자에게만 열풍을 공급하고 샤워를 하지 않은 사용자에게는 열풍을 공급하지 않아야 한다. 싱크 캐비닛 몸체(1100)에 접근하는 사용자가 샤워를 한 사용자인지는 샤워기 구동의 감지와 싱크 캐비닛 몸체(1100)에 배치된 인체감지센서(1140)의 감지에 의해 이루어진다. 사용자의 샤워시 물이 공급관을 통해 샤워기에 공급된다. 따라서, 샤워기의 공급관에 설치된 밸브의 구동을 감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샤워 실행을 감지하며, 샤워후 설정 시간 이내에 인체감지센서(1140)에 의해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면, 샤워를 끝낸 사용자가 싱크 캐비닛 장치(1000)로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열풍공급기(1500)에서는 샤워를 끝낸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면, 열풍을 공급하여 사용자의 젖은 몸을 건조한다.
샤워수 공급관 밸브의 구동이 감지되지 않고 인체감지센서(1140)의 사용자의 접근만이 감지되면, 샤워를 끝내 사용자가 아니라 단순히 욕실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접근이므로, 열풍공급기(1500)에서는 열풍을 배출하지 않는다.
상기 열풍은 사용자의 젖은 몸이 건조될 수 있는 시간 동안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젖은 몸의 건조시간은 다양한 조건하에서 산출되어 열풍공급시간을 결정한다. 또한, 열풍은 사용자의 젖은 몸의 건조기간보다 약간 더 공급되도록 설정되어, 젖은 몸을 건조함과 동시에 젖은 몸에서 떨어진 수분에 의해 젖은 바닥이나 러그(rug)를 건조할 있게 된다.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수건관리기(1300)에 열풍을 공급하는 제1유로와 열풍공급기(1500)에 열풍을 공급하는 제2유로는 모두 싱크 캐비닛 몸체(1100)의 내부에 설치된 히터와 송풍기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1유로 및 제2유로 각각에는 전자밸브가 설치되어 제1유로 및 제2유로를 통로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즉, 수건습도센서(1340)의 수건의 습도 감지결과에 따라 수건관리기(1300)를 구동할 때에는 제1유로의 전자밸브를 열고 제2유로의 전자밸브를 닫아 수건관리기(1300)에 열풍을 공급한다. 또한, 샤워를 끝낸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면, 제1유로의 전자밸브를 닫고 제2유로의 전자밸브를 열어 열풍공급기(15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열풍을 공급한다.
콘솔(1400)은 헤어드라이기 또는 고데기 등과 같은 소형 가전제품을 수납하여 보관하고 소형 가전제품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콘솔(1400)은 싱크 캐비닛 몸체(1100)로부터 콘솔몸체(1410)와 상기 콘솔몸체(1410)의 측면에 구비되는 전원콘센트(1430)를 포함한다.
상기 미러 캐비닛 장치(2000)의 미러 캐비닛 몸체(2100)에는 제어부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는 싱크 캐비닛 장치(1000)에 배치된 센서를 통해 욕실 내부의 환경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미러 캐비닛 몸체(2100)와 싱크 캐비닛 장치(1000)를 구동하여 욕실 내부를 항상 청결하고 쾌적하게 유지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편의장치를 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어부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등과 같이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양한 제어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운영체제(OS) 및 상기 운영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와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 포함된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온도와 습도와 같은 욕실 내부의 환경을 조절할 뿐만 아니라 욕실에 배치되는 편의장치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쾌적한 환경에서 편하게 욕실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어부는 욕실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여 욕실 내부를 항상 설정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도록 하며, 싱크 캐비닛 장치(1000)와 미러 캐비닛 장치(2000)를 필요에 자동으로 구현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욕실의 상태 및 욕실용 편의장치의 상태를 모니터링한 후,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즉, 제어부는 온도 및 습도와 같은 욕실의 환경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디스플레이나 휴대폰과 같은 특정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욕실용 편의장치의 현재 상태, 예를 들어 편의장치의 작동현황 등을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욕실 제어시스템에서는 욕실 내부의 환경 및 편의장치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욕실 내부의 환경을 조절하고 편의장치를 구동함으로써, 사용자가 욕실을 최적의 상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욕실용 편의장치의 제어부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는 욕실 내부에 배치된 센서에 의해 욕실 내부의 환경, 사용자의 욕실 사용, 편의장치의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3100)와, 욕실의 사용을 위해 사용자가 명령을 직접 입력하는 입력부(3200)와, 상기 감지부(3100)와 입력부(3200)로부터 입력되는 정보 및 명령에 따라 욕실의 환경조절 및 편의장치의 사용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3400)와, 상기 판단부(3600)의 판단에 따라 욕실내의 각종 설비를 구동하는 구동부(3600)와, 욕실 내부의 환경 및 편의장치의 작동상태 등의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표시부(3800)로 구성된다.
상기 감지부(3100)는 욕실내에 배치된 각종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기초로 욕실의 온도와 습도 및 악취정도와 같은 환경, 사용자의 존재, 사용자의 샤워여부, 수건관리기(1300) 내부의 습도와 작동상태, 충전박스(2500)의 작동상태, 화장품용 쿨러(2400)의 개폐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입력부(3200)에는 사용자의 명령이 직접 입력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욕실 이용계획 및 이용예정시간을 입력할 수도 있고 욕실내 편의장치의 작동개시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입력부(3200)는 욕실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욕실과 이격된 거실 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3200)는 사용자의 휴대폰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사용자가 휴대폰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다.
상기 판단부(3200)는 감지부(3100)에서 감지된 각종 정보를 기초로 온도와 습도 및 악취정도와 같은 욕실 내부의 환경을 조절할지, 싱크 캐비닛 장치(1000)와 미러 캐비닛 장치(2000)와 같은 욕실 내부의 편의장치를 구동할지를 결정한다. 이때, 상기 판단부(3200)는 감지된 정보, 즉 측정값을 내부에 저장된 설정값과 비교하여 욕실내부의 환경조절 및 편의장치의 구동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상기 판단부(3400)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욕실내부의 환경조절 및 편의장치의 구동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샤워를 하기 위해 욕실사용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판단부(3400)에서는 욕실내에 배치된 온도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욕실의 온도정보에 기초하여 욕실의 히터를 작동할 것인지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판단부(3400)는 수건관리기(1300) 내에 배치된 수건습도센서(1340)로부터 입력되는 수건관리기(1300)의 수건의 습도를 기초로 이 수건이 샤워후 사용자의 사용에 적절한지를 판단하여 수건관리기(1300)의 작동여부를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판단부(3400)는 샤워를 끝낸 사용자를 젖은 몸을 건조할지를 결정하고 사용자의 화장을 위한 미용조명을 점등할지를 결정한다.
상기 구동부(3600)는 판단부(3400)의 결정에 따라 욕실 내부의 히터, 제습기, 환풍시스팀, 수건건조기, 열풍공급기, 충전기, 미용조명 등을 구동한다.
상기 표시부(3600)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이러한 정보를 알려준다. 상기 표시부(3600)에 표시되는 정보는 상기 감지부(3100)에서 감지된 욕실 내부의 환경 및 편의장치에 대한 각종정보, 사용자의 명령내용, 사용자의 유무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3600)는 욕실 내부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예를 들면 미러 캐비닛 몸체(2100)의 전면의 미러도어(2300)일 수 있으며, 거실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일 수도 있고 사용자의 휴대폰일 수도 있다. 또한, 표시부(3600)는 정보를 경고음이나 합성음성으로 알려주는 스피커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어부의 각 구성요소를 좀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26은 본 발명의 욕실용 편의장치의 제어부에 포함되는 감지부(3100)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의 감지부(3100)는 욕실 내부에 배치된 센서에 의해 욕실 내부의 환경을 감지하는 욕실환경 감지부(3110)와, 상기 수건관리기(1300)에 배치된 수건습도센서(1340)에 의해 수건관리기(1300)에 수납된 수건의 습도를 감지하는 수건관리기 감지부(3130)와, 샤워기의 밸브구동에 따라 사용자의 샤워여부를 감지하는 샤워감지부(3150)와, 싱크 캐비닛 장치(1000)(또는 미러 캐비닛 장치(2000))에 설치된 인체감지센서(1120)에 의해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사용자접근 감지부(3170)와, 화장품용 쿨러(2400)의 개폐를 감지하는 개폐센서에 의해 쿨러(2400)의 상태를 감지하는 쿨러감지부(3190)으로 구성된다.
상기 욕실환경 감지부(3110)는 욕실 내부의 온도, 습도, 악취를 감지한다. 상기 욕실의 온도, 습도, 악취는 욕실 내부에 설치된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악취센서에 의해 각각 감지된다. 상기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악취센서는 특정 센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현재 알려진 모든 센서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샤워감지부(3150)는 샤워급수관을 통해 물이 공급됨을 감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샤워실행을 감지한다. 샤워급수관에는 급수관을 개폐하는 밸브와 상기 밸브의 구동을 감지하는 밸브구동 감지센서가 배치된다. 따라서, 샤워감지부(3150)는 상기 밸브구동 감지센서를 통해 밸브의 열림을 검출하여 샤워기로의 물공급을 감지하함으로써, 사용자의 샤워진행을 감지한다.
상기 사용자접근 감지부(3170)는 인체감지센서(1140)를 통해 싱크 캐비닛 장치(1000)(또는 미러 캐비닛 장치(2000))로의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한다. 이때, 상기 인체감지센서(1140)는 설정된 거리 이내에서만 인체를 감지하므로, 사용자가 싱크 캐비닛 장치(1000)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로 들어서야만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사용자접근 감지부(3170)에서 감지된 결과는 단독으로 사용되기 보다는 샤워감지부(3150)의 감지결과와 함께 사용된다. 즉, 사용자접근 감지부(3170)의 역할은 샤워를 끝낸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것이므로, 단독으로는 사용될 때에는 접근이 인지된 사용자가 샤워를 한 사용자인지 샤워를 하지 않은 사용자인지 판단하지 못한다. 따라서, 샤워감지부(3150)에서 사용자의 샤워를 감지하고 연속적으로(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사용자접근 감지부(3170)에서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해야만, 샤워를 끝낸 사용자의 접근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쿨러감지부(3190)는 쿨러(2400)에 배치된 개폐센서(2440)에 의해 쿨러(2400)의 열림과 닫힘을 감지한다. 화장품용 쿨러(2400)가 열린다는 것은 사용자가 화장품을 사용한다는 의미, 즉 사용자가 화장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쿨러감지부(3190)에 의한 쿨러(2400)의 개폐감지는 사용자가 화장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판단부(340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의 판단부(3400)는 욕실환경 감지부(3110)에서 입력되는 정보에 의해 욕실환경의 조절여부를 판단하는 욕실환경조절 판단부(3420)와, 상기 욕실환경 감지부(3110)에서 입력되는 습도 정보를 기초로 미러 캐비닛 장치(2000)의 외부미러와 내면미러의 제상시트의 구동을 결정하는 제상기구동 판단부(3430)와, 수건관리기 감지부(3130)으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기초로 수건관리기(1300)의 구동을 결정하는 수건관리기구동 판단부(3440)와, 샤워감지부(3150) 및 사용자접근 감지부(3170)으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샤워를 끝낸 사용자와 욕실 바닥 및 러그의 건조를 결정하는 건조판단부(3460)와, 쿨러감지부(3190)으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화장시 필요한 미용조명의 구동을 결정하는 미용조명구동 판단부(3480)로 구성된다.
상기 욕실환경조절 판단부(3420)에는 욕실환경 감지부(3100)에서 입력되는 욕실의 온도, 습도 및 악취정도가 설정된 온도, 습도 및 악취정도를 초과하면 욕실환경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여 욕실환경의 조절을 결정한다.
상기 제상기구동 판단부(3420)에서는 욕실환경 감지부(3100)에서 입력되는 욕실의 습도를 설정된 습도, 즉 미러에 김서림이나 물방울이 생기는 정도의 습도보다 큰 경우 내면미러와 외부미러의 김이나 물방울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하여 제상기의 구동을 결정한다.
상기 건조판단부(3460)에서는 샤워를 끝낸 사용자의 젖은 몸을 건조시킬지를 결정할 뿐만 아니라 젖은 몸에서 떨어진 물방울에 의해 젖은 바닥 및/또는 러그를 건조할지도 결정한다. 이때, 건조판단부(3560)는 샤워감지부(3150)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샤워감지 결과와 사용자접근 감지부(3170)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접근감지 결과에 의해 젖은 몸과 바닥/러그의 건조를 결정한다.
상기 미용조명구동 판단부(3480)에서는 쿨러감지부(3190)에서 입력되는 쿨러(2400)의 열림정보에 의해 사용자가 화장을 시작할 의도가 있음을 판단하고 화장을 위한 미용조명의 구동을 결정한다.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구동부(3600)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3600)는 욕실내 설치되는 히터를 구동하여 욕실의 온도를 조절하는 욕실히터 구동부(3610)와, 싱크 캐비닛 장치(1000)의 열풍공급기(1500)를 구동하는 열풍공급기 구동부(3630)와, 욕실내에 설치된 제습기를 구동하는 제습기구동부(3640)와, 욕실을 환기시키는 환기시스템을 구동하는 환기시스템 구동부(3650)와, 미러에 배치된 제상시트를 구동하는 제상기 구동부(3660)와, 수납된 수건을 건조하는 수건관리기(1300)를 구동하는 수건관리기 구동부(3670)와, 미러 캐비닛 장치(2000)의 미용조명(2330)을 구동하는 미용조명 구동부(3690)으로 구성된다.
상기 욕실히터 구동부(3610)는 욕실환경조절 판단부(3420)의 명령에 따라 욕실내의 히터를 가동하여 욕실 내부의 온도를 설정된 온도까지 상승시킨다. 또한, 상기 열풍공급기 구동부(3630)도 욕실환경조절 판단부(3420)의 명령에 따라 욕실 내부에 열풍을 공급하여 욕실 내부의 온도를 설정된 온도까지 상승시킨다. 다시 말해서, 상기 욕실히터 구동부(3610) 또는 열풍공급기 구동부(3630)는 단독으로 욕실 히터 또는 열풍공급기(1500)를 구동하여 욕실 온도를 설정된 온도까지 상승시킬 수 있으며, 상기 욕실히터 구동부(3610) 및 열풍공급기 구동부(3630)는 동시에 욕실 히터 및 열풍공급기(1500)를 구동하여 욕실 온도를 설정 온도까지 신속하게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열풍공급기 구동부(3630)는 건조판단부(3460)의 명령에 따라 열풍공급기(1500)를 구동하여 싱크 캐비닛 장치(1000)에 근접한 사용자에 열풍을 공급하여 사용자의 젖은 몸, 젖은 욕실 바닥과 러그를 건조한다.
상기 제상기 구동부(3660)는 제상기구동 판단부(3430)의 명령에 따라 제상시트를 구동한다. 상기 제상시트는 미러 캐비닛 장치(2000)의 내면미러 또는 외부미러의 내측에 부착된 열전도시트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상기 구동부(3660)에 의해 상기 제상시트에 설정된 크기의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제상시트의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내면미러 및 외부미러에 발생한 김이나 물방울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건관리기 구동부(3670)는 수건관리기구동 판단부(3440)의 명령에 따라 수건관리기(1300)를 구동한다. 상기 수건관리기(1300)는 싱크 캐비닛 몸체(1100)의 내부의 히터와 송풍기로부터 열전달판(1320) 내부로 열풍이 공급됨에 따라 수건을 건조하므로, 상기 수건관리기(1300)를 구동하는 것은 싱크 캐비닛 몸체(1100)의 내부의 히터와 송풍기의 구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수건관리기(1300)는 싱크 캐비닛 몸체(1100)의 내부의 히터와 송풍기로부터 제1유로를 통해 열전달판(1320) 내부로 열풍이 공급됨에 따라 수건을 건조하게 된다. 또한, 열풍공급기(1500) 역시 싱크 캐비닛 몸체(1100)의 내부의 히터와 송풍기로부터 제2유로를 통해 열풍이 유입된다. 따라서, 열풍공급기 구동부(3630)에 의한 열풍공급기(1500)의 구동 및 수건관리기 구동부(3670)에 의한 수건관리기(1300)의 구동은 싱크 캐비닛 몸체(1100)의 내부의 히터와 송풍기을 구동함과 더불어 제1유로의 전자밸브와 제2유로의 전자밸브를 오픈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욕실의 편의장치는 욕실 내부의 환경을 감시하고 항상 설정된 환경으로 조절하는 제어부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욕실 내부를 쾌적하고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욕실에 배치된 싱크 캐비닛 몸체(1100)와 미러 캐비닛 장치(2000)의 구동상태를 감시(모니터링)하고 자동적으로 이들 장치를 구동함으로써 사용자가 욕실을 최대한 편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욕실의 제어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욕실 전체의 개략적인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욕실 내부에 배치된 싱크 캐비닛 몸체(1100)에 배치된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악취센서에서 욕실 내부의 온도, 습도 및 악취와 같은 욕실환경을 감지한다(S101).
감지된 욕실환경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즉 욕실온도가 설정된 온도보다 낮거나, 습도가 설정된 습도보다 높거나, 악취정도가 설정된 악취정도 보다 큰 경우, 욕실내부 환경에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인지하여(S102), 욕실 내부에 배치된 각종 설비(예를 들면, 히터와 열풍공급기, 제습기, 환풍시스템 등)을 구동하여 내부 환경을 설정된 환경으로 조절한다(S103).
또한, 사용자가 욕실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 감지되면(S104), 욕실내부의 각종설비를 구동하여 사용자가 사용하기 적합한 욕실 환경을 만든 후 사용자가 욕실을 사용한다(S105,S106).
이때, 사용자의 욕실 사용 감지는 사용자의 욕실사용 명령, 인체감지센서(1140)의 감지, 수전 및 샤워기의 사용 등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도 30은 욕실의 환경을 조절하는 구체적인 조절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욕실의 싱크 캐비닛 장치(1000)에 설치된 온도센서(1110), 습도센서(1120) 및 악취센서(1140)에 의해 욕실 내부의 온도, 습도 및 악취정도를 측정한다(S201).
이어서, 측정된 욕실 온도가 설정된 온도보다 낮은 경우(S202), 욕실에 설치된 히터와 싱크 캐비닛 장치(1000) 하부에 배치된 열풍공급기(1500)를 구동하여 온도를 설정된 온도로 상승시킨다(S203).
측정된 욕실의 습도가 설정된 습도보다 높은 경우(S204), 욕실 내부에 설치된 제습기를 구동하여 습도를 설정된 습도 보나 낮게 한다(S205).
또한, 측정된 욕실의 악취정도가 설정된 악취정도보다 높을 경우(S206), 욕실에 설치된 환풍시스템의 구동에 의해 욕실 내부를 환풍시켜 악취를 제거함으로써 욕실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S207,S208).
한편, 도면 및 상술한 설명에서는 욕실의 온도제어, 습도제어 및 악취제거의 순서로 욕실환경을 조절하지만, 본 발명의 욕실환경 제어는 상기 순서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3개의 제어과정이 다양한 순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1 내지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시스템에서 욕실내에 설치된 편의장치를 구동하여 욕실을 제어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때, 도 31 내지 도 34는 각각 다른 제어방법을 나타내지만, 이들 제어방법의 두개 또는 그 이상의 제어방법이 합쳐져 하나의 연속적인 또는 동시적인 제어방법(2가지 이상의 제어를 연속적으로 또는 동시에 실행하는 제어방법)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1 내지 도 34에 도시된 제어방법의 단계가 각각 별개의 순서로 부여된 것이 아니라 연속적인 순서로 부여되었다.
도 31은 사용자가 샤워를 했을 때 욕실의 편의장치를 제어하여 자동으로 사용자의 젖은 몸 또는 욕실바닥/러그를 건조시키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사용자가 욕실 사용을 직접 입력하거나 사용자가 욕실을 사용함을 인식하면(S301), 샤워기에 물을 공급하는 샤워수 공급관에 설치된 밸브의 구동여부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현재 샤워중임을 감지한다(S302).
이후, 샤워를 종료한 사용자가 인체감지센서(1140)에 감지되면 샤워를 끝낸 사용자가 싱크 캐비닛 장치(1000)에 접근함을 인식하여(S303), 열풍공급기(1500)를 구동하여 사용자에게 열풍을 공급하여, 사용자의 젖은 몸과 젖은 욕실바닥/러그를 건조한다(S304,S305).
사용자가 샤워를 하지 않으면 사용자를 건조할 필요가 없으므로 열풍공급기(1500)를 구동하지 않으며, 샤워를 한 사용자가 싱크 캐비닛 장치(1000)에 접근하지 않거나 일정 시간 내에 접근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열풍건조기에 의해 젖은 몸을 건조할 의도가 없다고 판단하여 열풍공급기(1500)를 구동하지 않는다.
도 32은 본 발명에 따른 욕실 제어시스템에서 미러 캐비닛 장치(2000)의 외부미러와 내면미러에 발생하는 김과 물방울을 제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 캐비닛 장치(1000)에 설치된 습도센서(1120)에 의해 욕실 내부의 습도를 측정한다(S307).
이어서, 측정된 습도를 설정된 습도와 비교한다(S308). 이때, 설정된 습도는 욕실 내부의 설정된 최적 습도가 아니라 외부미러와 내면미러에 김서림이나 물방울이 발생할 정도의 습도를 의미한다.
측정된 습도가 설정된 습도보다 큰 경우, 미러 캐비닛 장치(2000)의 외부미러와 내면미러에는 김서림이나 물방울이 발생할 것을 예측하여 외부미러와 내면미러에 구비된 제상시트를 구동하여 외부미러와 내면미러를 제상한 후(S309), 제상된 외부미러와 내면미러를 사용한다(S310).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욕실 제어시스템에서 수건관리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수건관리기(1300) 내부에 배치된 수건습도센서(1340)에 의해 수건관리기(1300)에 수납된 수건의 습도를 측정한다(S311).
이어서, 측정된 습도를 설정된 습도와 비교한다(S312). 이때, 설정된 수건의 습도는 사용자가 수건을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을 정도의 습도를 의미한다.
측정된 수건의 습도가 설정된 수건의 습도보다 높은 경우, 수건이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못함을 판단하여, 수건관리기(1500)를 구동하여 수납된 수건을 건조하고 건조된 수건을 사용한다(S313,S314) 이때, 상기 수건관리기(1500)의 구동은 싱크 캐비닛 장치(1000)의 하부에 배치된 히터와 송풍기에 의해 열풍을 공급받음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욕실 제어시스템에서 미용조명을 점등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쿨러(2400)에 설치된 개폐센서(2440)에 의해 쿨러(2400)가 열렸는지를 감지한다(S315).
쿨러(2400)가 열렸을 경우, 사용자가 쿨러(2400)에 수납된 화장품을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사용자가 화장을 진행한다고 판단하여 화장을 위한 미용조명(2330)을 점등하고(S317), 점등된 미용조명(2330)하에서 화장을 한다(S318).
쿨러(2400)가 열리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화장할 의사가 없음을 판단하여 미용조명(2330)을 점등하지 않는다(S319).
도 31 내지 도 34에 도시된 제어방법은 개별적으로 진행되어 욕실의 편의장치를 제어하지만, 연속적으로 또는 동시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1에 도시된 샤워를 한 사용자의 건조단계(S306) 후, 이어서 도 32에 도시된 제상을 위한 욕실습도 측정단계(S307)가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젖은 몸을 건조하기 위한 단계들(S301-S306)과 제상을 위한 단계들(S307-S310)이 동시에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싱크 캐비닛 장치와 미러 캐비닛 장치를 포함하는 욕실용 편의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욕실용 편의장치는 욕실의 벽면에 부착되는 미러 캐비닛 장치(2000)와, 욕실 바닥면에 설치되고 세면대(1200)를 구비한 싱크 캐비닛 장치(1000)로 구성된다.
상기 미러 캐비닛 장치(2000)는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미러 캐비닛 몸체(2100)와, 상기 미러 캐비닛 몸체(2100)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머리캐미닛몸체(2100)를 개폐하는 도어(2300)를 포함한다. 이후 설명되지만, 상기 미러 캐비닛 몸체(2100)의 내부에는 내용물을 저온으로 냉각하는 쿨러와 충전박스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미러 캐비닛 몸체(2100)의 측면에는 욕실내부, 특히 미러 캐비닛 장치(2000)의 정면 일부 영역을 특수한 휘도 및 색감으로 조명하는 무드조명패널(220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미러 캐비닛 몸체(2100)의 양측에는 스피커(2340)가 배치된다. 상기 스피커(2340)는 욕실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욕실 내부에서 음악 등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피커(2340)는 욕실내에서 폰이벤트의 실행시 음성 등을 출력한다.
도면에서는 상기 스피커(2340)가 미러 캐비닛 몸체(2100)의 양측면에 설치되지만, 상기 스피커(2340)의 설치장소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미러 캐비닛 몸체(2100)의 상면이나 하면에 설치될 수도 있고 싱크 캐비닛 장치(1000)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피커(234)는 욕실의 벽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미러 캐비닛 몸체(2100)의 하단 영역에는 제1인체감지센서(2350)가 배치된다. 상기 제1인체감지센서(2350)는 PSD(Position Sensing Device)나 적외선센서로 구성되어 미러 캐비닛 장치(2000) 측으로 사용자가 접근하는 것을 감지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재 욕실 내에 있는 지를 검출한다. 도면에서는 상기 제1인체감지센서(2350)가 미러 캐비닛 몸체(2100)의 특정 영역에 배치되지만, 미러 캐비닛 몸체(2100)의 배치 위치가 이 영역에만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미러 캐비닛 몸체(2100)의 다양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미러 캐비닛 장치(2000)의 도어(2300)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2320)가 배치되어 도어(2300)가 닫힌 상태에서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2320)는 액정표시장치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와 같은 평판표시장치로 구성되어, 영화나 TV 드라마 등의 영상, 욕실의 환경 등과 같은 각종 정보, 휴대폰의 폰이벤트시 폰이벤트의 알림과 폰이벤트의 내용 등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2320)는 구동모드에 따라 광을 전반사하도록 구성되어 미러의 역할을 한다. 또한, 도어(2300) 전면의 일정 영역에는 미러를 배치하고 다른 영역에는 디스플레이를 별개로 배치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2320)는 터치패널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을 직접 터치함으로써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싱크 캐비닛 장치(1000)는 싱크 캐비닛 몸체(1100)와, 상기 싱크 캐비닛 몸체(1100) 상부에 설치되고 수전(1220)을 포함하는 세면대(1200)와, 상기 싱크 캐비닛 몸체(1100) 내부에 설치되어 수건을 보관하고 관리하는 수건관리기(1300)와, 상기 싱크 캐비닛 몸체(1100)에 설치되어 헤어드라이어나 면도기 등의 소형 가전을 수납하는 콘솔(1400)을 포함한다.
상기 싱크 캐비닛 몸체(1100)의 전면에는 제2인체감지센서(1120)이 배치된다. 상기 제2인체감지센서(1120)는 PSD나 적외선 센서로 구성되어 사용자를 감지한다. 특히, 상기 제2인체감지센서(1120)는 단순히 사용자를 감지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의사결정을 알리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휴대폰의 폰이벤트의 욕실 내에서의 상용을 사용자에게 문의할 때, 사용자가 특정 작업(예를 들면 세면대의 이용이나 화장 등)을 하고 있으면, 디스플레이(2320)의 터치패널을 조작할 수 없게 되어 사용여부의 의사결정을 즉각적으로 통보할 수 없다. 이때, 제2인체감지센서(1120)를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온오프(즉, 감지 및 미감지)시킴으로써 폰이벤트의 응답에 대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싱크 캐비닛 몸체(1100)의 세면대(1200)의 적어도 일측면에는 LED(1160)가 배치된다. 상기 LED(1160)는 세면대(1200)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 예를 들면 폰이벤트를 알려주기 위한 것이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싱크 캐비닛 몸체(1100)에는 욕실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욕실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 욕실 내부의 악취정도를 측정하는 악취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악취센서는 욕실내의 환경을 감지하고 이 내용을 디스플레이(2320)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상기 미러 캐비닛 장치(2000)와 싱크 캐비닛 장치(1000)는 블루투스와 같은 내부 통신망으로 연결된다.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욕실 제어시스템의 제어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욕실 제어시스템의 제어부제어부통신되는 통신부(3100)와, 욕실 내에 사용자가 있는지 또는 욕실이 사용중인지를 감지하는 욕실사용 감지부(3200)와, 폰이벤트 발생시 사용자가 욕실내에서 폰이벤트를 응답할지 거절할지를 입력하는 입력부(3400)와, 상기 욕실사용 감지부(3200)에서 입력된 결과를 휴대폰으로 전송하여 휴대폰으로부터 폰이벤트를 수신할지를 판단하고 입력부(3400)를 통한 사용자의 결정에 기초하여 폰이벤트를 욕실내에 표시할지를 결정하는 판단부(3600)와, 상기 판단부(3600)의 결정에 따라 욕실내의 각종 설비를 구동하여 사용자에게 폰이벤트를 통보함과 동시에 욕실의 환경을 폰이벤트를 실행하기 위한 최적의 상태로 만드는 구동부(3800)로 구성된다.
상기 통신부(3100)는 제어시스템을 휴대폰과 통신하여 음성신호, 화상신호, 음성 및 화상 호신호,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3100)는 무선인터넷 모듈 및 근거리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인터넷모듈로는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Bro(Wireless Broadband)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인터넷모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거리통신모듈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Wi-Fi(Wireless-Fidelity)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욕실사용 감지부(3200)는 욕실내에 설치된 각종 센서 및 욕실 내의 편의장치 및 설비의 구동상태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욕실내에 있는지 또는 사용자가 욕실을 사용중인지를 감지한다.
욕실내에는 제1인체감지센서(2350) 및 제2인체감지센서(1120)가 배치되므로, 사용자가 욕실내에 있을 때 상기 제1인체감지센서(2350) 및 제2인체감지센서(1120)에 사용자가 감지된다. 또한, 욕실 내의 세면대 수전(1220), 욕조의 수전, 샤워기의 공급관에는 각각 밸브가 구비되므로, 욕실사용 감지부(3200)에서는 이들 밸브의 구동을 검출함으로써 사용자가 욕실을 사용하고 있음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욕실에 설치되는 미러 캐비닛 장치(2000)와 싱크 캐비닛 장치(1000)에 구비된 미용조명(2330)의 점등, 쿨러(2400)의 열림, 열풍공급기(1500)의 구동은 사용자가 욕실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장치를 사용한다는 의미이므로, 욕실사용 감지부(3200)에서는 상기 미용조명(2330)의 점등, 쿨러(2400)의 열림, 열풍공급기(1500)의 구동을 검출함으로써 사용자가 욕실을 사용되고 있음을 감지한다.
상기 판단부(3600)에서는 욕실사용 감지부(3200)에서 감지되는 감지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욕실을 사용하는 지를 판단한다. 사용자가 욕실을 사용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상기 통신부(3100)를 통해 휴대폰으로부터 수신된 폰이벤트가 욕실내에 전달하지 않는다. 사용자가 욕실을 사용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통신부(3100)를 통해 휴대폰으로부터 전성되는 폰이벤트를 욕실로 전달하여 표시한다.
또한, 상기 판단부(3600)는 욕실 내에 표시되는 폰이벤트를 사용자가 사용할지, 사용할지 않할지를 판단한다.
상기 입력부(3400)는 폰이벤트에 응답할지에 대한 사용자의 의사결정을 입력한다. 즉, 사용자가 욕실 내에 위치하여 욕실에 폰이벤트가 전달되는 경우, 사용자가 이 폰이벤트에 응답할지 거절할지를 결정하고 이 의사결정 결과를 입력부(3400)를 통해 입력한다.
상기 입력부(3400)는 욕실내의 미러 캐비닛 장치(2000)의 도어(2300) 전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2320)가 될 수도 있고 싱크 캐비닛 장치(1000)에 배치된 제2인체감지센서(1120)일 수도 있다. 또한, 욕실내에 설치된 마이크일 수도 있다.
상기 구동부(3800)는 폰이벤트의 진행시 욕실 내의 각종 설비를 구동하여 욕실 내부의 사용자에게 휴대폰으로부터 폰이벤트가 수신되었음을 사용자에게 통보하고 욕실 내부를 폰이벤트를 실행하기 위한 최적의 환경으로 만든다.
이때, 상기 구동부(3800)는 세면대 수전의 출수량, 욕조 수전의 출수량, 샤워기의 출수량, 세면대에 설치된 조명의 밝기, 미러 캐비닛 장치(2000)의 무드조명패널(2200)의 밝기, 미용조명(2330)의 밝기 등을 조절하여 사용자에게 폰이벤트의 수신을 통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3800)는 세면대 수전의 출수량의 감소, 욕조 수전의 출수량의 감소, 샤워기의 출수량의 감소, 열풍공급기(1500)의 강도저하나 종료, 욕실 환풍시스템의 강도저하나 종료, 스피커의 볼륨저하나 종료 등을 실행하여 욕실 내부를 정숙하게 만들어 사용자가 최적의 환경에서 폰이벤트를 실행할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휴대폰의 폰이벤트를 욕실 내부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욕실 내에서도 폰이벤트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폰이벤트를 통보하고 폰이벤트를 실행하기에 최적의 조건으로 욕실의 환경을 자동적으로 조절하므로, 사용자가 편안하고 안락하게 폰이벤트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욕조 제어시스템에서의 폰이벤트 사용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7 내지 도 39는 본 발명에 따른 욕실 제어시스템에서의 폰이벤트 사용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은 발생된 폰이벤트를 욕실내에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8은 사용자가 폰이벤트에 응답하고 폰이벤트를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9는 사용자가 폰이벤트를 거절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욕실로의 폰이벤트 전송이 등록된 휴대폰에 폰이벤트, 예를 들어 음성통화수신, 화상통화수신, 메세지수신 및 SNS수신이 발생하면, 휴대폰에서는 발생한 폰이벤트를 욕실 제어시스템(3000)의 통신부(3100)를 통해 판단부(3600)로 전송한다(S501).
상기 판단부(3600)에서는 폰이벤트가 수신되면, 욕실사용 감지부(3200)의 감지결과를 기초로 사용자가 욕실 내에 있는 지를 판단한다(S502).
이때, 상기 욕실사용 감지부(3200)에서는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제1인체감지센서(2350) 및 제2인체감지센서(1120), 세면대 수전(1220)과 욕조의 수전 및 샤워기의 공급관의 밸브 구동, 미용조명(2330)의 점등, 쿨러(2400)의 열림, 열풍공급기(1500)의 구동을 감지하므로써, 사용자가 욕실내에 있음을 감지한다.
표 1은 욕실내 사용자의 위치별 감지수단을 나타낸다. 여기서 '0'는 해당 감지수단으로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음을 의미하고 'X'는 해당 감지수단으로 사용자를 감지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사용자위치 인체감지
센서 감지
샤워기
출수
미용조명
점등
세면대수전출수 욕조수전
출수
열풍공급기
구동
세면대 0 X X 0 X X
욕조 X X X X 0 X
샤워부스 X 0 X X X X
미러 캐비닛 장치 0 X 0 X X 0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세면대를 이용하는 경우, 세면대(1200)의 수전(1220)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사용하므로, 이 수전(1220)의 출수를 감지함으로써(정확하게 말해서 수전에 물을 공급하는 밸브의 구동을 감지함으로써) 사용자가 세면대, 즉 욕실내에 있는 것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세면대(1200)는 싱크 캐비닛 장치(1000)에 상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세면대(1200)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싱크 캐비닛 장치(1000) 및 미러 캐비닛 장치(2000)의 전면에 위치하므로, 제1인체감지센서(2350) 및 제2인체감지센서(1120)에 의해 사용자가 욕실내에 있음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사용자가 욕조를 이용하는 경우, 욕조의 수전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사용하므로, 이 수전의 출수를 감지함으로써(즉, 욕조 수전에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의 밸브의 구동을 감지함으로써) 사용자가 욕조, 즉 욕실내에 있는 것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샤워부스(또는 욕조와 분리된 샤워기)를 이용하는 경우, 샤워기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사용하므로, 이 샤워기의 출수(즉, 샤워기에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의 밸브의 구동을 감지함으로써)를 감지함으로써 사용자가 샤워부스, 즉 욕실내에 있는 것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미러 캐비닛 장치(2000)를 이용하는 경우, 즉 사용자가 화장을 하거나 젖은 몸을 건조하는 경우, 사용자는 싱크 캐비닛 장치(1000) 및 미러 캐비닛 장치(2000)의 전면에 위치하므로, 제1인체감지센서(2350) 및 제2인체감지센서(1120)에 의해 사용자가 욕실내에 있음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미용조명(2330)이 점등되는 경우, 사용자가 욕실 내에서 쿨러(2400)를 열어 화장을 하고 있음을 감지한다. 그리고, 열풍공급기(1500)가 구동하는 경우 사용자가 욕실 내에서 젖은 몸을 건조하고 있음을 감지한다.
사용자가 욕실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폰이벤트를 욕실 내에 표시할 필요없이 휴대폰으로 폰이벤트를 실행한다(S503).
사용자가 욕실 내에 위치하는 경우, 판단부(3600)는 구동부(3800)를 통해 사용자에게 폰이벤트가 수신되었음을 알린다(S504).
사용자가 사용중인 욕실은 세면대 수전의 출수, 욕조 수전의 출수, 샤워기의 출수 등의 소음이 발생하므로, 스피커를 통한 소리에 의해 폰이벤트의 수신을 사용자에게 명확하게 전달할 수 없다. 또한, 사용자가 세면, 샤워, 목욕 등을 수행하는 경우 디스플레이(2320)를 통한 폰이벤트의 표시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3800)에서는 욕실 내의 각종 설비를 구동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폰이벤트의 수신을 알린다.
표 2는 욕실내 사용자의 위치별 폰이벤트의 통보수단을 나타낸다. 여기서 0는 해당 통보수단으로 사용자에게 폰이벤트의 수신을 통보할 수 있음을 의미하고 X는 해당 통보수단으로 사용자에게 폰이벤트의 수신을 통보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사용자
위치
세면대
LED
무드조명
밝기조절
스피커
알림
디스플레이
알림
수전
출수조절
욕조수전
출수조절
샤워기
출수조절
세면대 0 X 0 X 0 X X
욕조 X 0 0 X X 0 X
샤워부스 X X 0 X X X 0
미러 캐비닛
장치
X 0 0 0 X X X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세면대를 이용하는 경우, 세면대(1200)의 일측에 배치된 LED(1160)을 점등함으로써, 폰이벤트가 욕실에 수신을 알려준다. 또한, 욕실내에 배치된 스피커(2340)를 통해 폰이벤트가 욕실에 수신됨을 알려준다. 이때, 스피커(2340)를 통한 폰이벤트의 알림은 경고음이거나 합성음일 수 있으며, 음악이 재생중인 경우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정도로 음악의 볼륨을 낮추거나 볼륨을 제거함으로써 폰이벤트의 수신을 알릴 수 있다.그리고, 사용자가 세면대에서 수전(1220)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사용하므로, 이 수전(1220)의 출수량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정도로 조절함으로써(감소시키거나 증가시킬 수 있음) 폰이벤트의 수신을 알릴 수 있다.
사용자가 욕조를 이용하는 경우, 욕실내에 배치된 스피커(2340)를 통해 폰이벤트가 욕실에 표시됨을 알릴 수 있으며, 욕조 수전으로 배출되는 물의 출수량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정도로 조절함으로 폰이벤트의 수신을 알릴 수 있다. 또한, 무드조명패널(2200)의 밝기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정도로 변화시킴으로써(밝기를 높이거나 저하하거나, 조명을 깜빡거림으로써) 폰이벤트가 욕실에 수신됨을 알릴 수 있다.
사용자가 샤워부스를 이용하는 경우, 실내에 배치된 스피커(2340)를 통해 폰이벤트의 수신을 알릴 수 있으며, 샤워기에서 배출되는 물의 출수량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정도로 조절함으로 폰이벤트의 수신을 알릴 수 있다.
사용자가 미러 캐비닛 장치(2000)를 이용하는 경우, 실내에 배치된 스피커(2340)를 통해 폰이벤트가 욕실에 표시됨을 알릴 수 있으며 무드조명패널(2200)의 밝기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정도로 변화시킴으로써 폰이벤트가 욕실에 수신됨을 알릴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미러 캐비닛 장치(2000)의 전면에 위치하므로, 미러 캐비닛 장치(20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2320)를 통해 사용자에게 폰이벤트가 욕실에 수신됨을 알릴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욕실 내 위치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폰이벤트의 표시를 알리며, 더욱이 복수의 통보 수단에 의해 폰이벤트의 표시를 알리므로, 사용자가 항상 정확하게 폰이벤트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폰이벤트의 수신이 통보되면, 사용자에게 이 폰이벤트를 이용할지에 의사결정을 요청한다(S505).
사용자는 의사결정의 요청에 대해 응답 및 거절할 수 있다(S506,S507). 응답은 폰이벤트를 사용한다는 의사결정이고 거절은 폰이벤트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의사결정이다. 이때, 응답에 대한 입력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폰이벤트의 수신을 알림과 동시에 디스플레이(2320)에 응답에 대한 의사결정란이 표시되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2320)에 터치와 같이 직접 의사결정을 입력함으로써 응답 및 거절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마이크를 통해 응답 및 거절을 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2320)의 터치나 음성으로 대답을 할 수 없는 경우, 욕실 내에 구비된 센서에 의해 요청에 대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폰이벤트에 대한 사용자의 요청이 있을 경우, 사용자가 싱크 캐비닛 장치(1000)에 설치된 제2인체감지센서(1120)에 의도적으로 자신의 신체를 감지시킴으로써 폰이벤트에 응답의사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일정시간 동안 제2인체감지센서(1120)에 자신의 신체를 감지시키지 않음으로써 폰이벤트에 대한 거절의사를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세면대(1200)를 이용하거나 화장중이라 터치나 음성에 의한 의사표시가 불가능한 경우에도 폰이벤트에 대한 응답 및 거절 표시를 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와 같은 폰이벤트에 대한 사용자의 의사표시가 특정 센서에만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센서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폰이벤트를 이용한다는 응답을 입력하면(S506), 구동부(3800)가 사용자가 폰이벤트를 사용하기 위한 최적의 환경을 만들기 위해 욕실내의 설비를 구동한다(S508).
폰이벤트는 음성통화나 화상통화, 메세지전송, SNS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음성통화나 화상통화의 경우, 상대방과 대화하기 위해서는 조용한 상태를 유지해야만 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욕실을 이용할 때에는 다양한 소음, 예를 들어 수전 및 샤워기를 통한 물의 출수소음, 열풍공급기의 구동소음, 욕실의 환풍시스템의 소음과 같은 각종 소음이 발생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음성통화나 화상통화와 같은 폰이벤트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없게 된다.
상기 구동부(3800)는 욕실의 시설 및 편의장치를 구동하여 이러한 소음을 제거함으로써 사용자가 욕실의 환경을 폰이벤트를 실행하기 최적으로 상태로 만든다. 즉, 사용자가 폰이벤트에 응답하여 폰이벤트를 실행하는 의사표시를 하게 되면, 구동부(3800)는 세면대(1200)의 수전(1220)의 출수량, 욕조 수전의 출수량 및 샤워기의 출수량을 감소시키거나 정지하여 출수에 따른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3800)는 열풍공급기(1500)의 송풍기의 구동의 세기를 감소하거나 정지함으로써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욕실의 환풍시스템의 세기를 저하하거나 정지함으로써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스피커를 통해 재생중인 음악의 볼륨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함으로써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 후, 상기 미러 캐비닛 장치(2000)의 도어(2300) 전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2320)에 폰이벤트를 표시하고 스피커 및 마이크를 연결하여 사용자가 폰이벤트에 대응하도록 한다(S509,S510).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폰이벤트의 거절의사를 표시하면(S507), 상기 구동부(3800)가 폰이벤트 실행을 위한 욕실 내의 설비나 편의장치를 구동하지 않으므로, 욕실내의 환경이 그대로 유지되며(S511), 휴대폰으로 거절의사를 전달하여 폰이벤트가 욕실내로 전송되지 않도록 한다(S512).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휴대폰에 폰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이를 욕실내의 디스플레이와 스피커 등에 전송하여 사용자가 욕실 내에서도 폰이벤트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욕실내에서 폰이벤트를 실행할 경우, 욕실의 환경을 폰이벤트를 실행할 최적의 환경으로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폰이벤트 만족도를 최대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0 : 싱크 캐비닛 장치
1100 : 캐비닛 몸체
1200 : 세면대
1300 : 서랍형 수건 관리기
1400 : 서랍형 콘솔
2000 : 미러 캐비닛 장치
2100 : 미러 캐비닛 몸체
2200 : 무드 조명 패널
2300 : 미러 도어
2400 : 쿨러
2500 : 충전 박스
3000 : 통합 조작 스위치

Claims (19)

  1. 내부에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캐비닛 몸체와,
    상기 캐비닛 몸체의 수용 공간을 개폐하는 미러 도어와,
    상기 캐비닛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저장 공간을 냉각하는 쿨러와,
    상기 캐비닛 몸체의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전원콘센트를 구비하고, 전원콘센트에 접속되는 전원플러그를 수납하는 충전박스를 포함하는 미러 캐비닛 장치;와,
    세면대를 포함하는 싱크 캐비닛 장치;를 포함하는 욕실용 편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도어는 외부면에 외면 미러를 구비하고,
    내부면에 내면 미러와 미용 조명을 포함하는 욕실용 편의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미용 조명은 조명의 색온도 조절이 가능한 욕실용 편의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쿨러와 상기 충전박스는 인접하게 배치되어, 쿨러 몸체와 충전 박스 몸체가 일체로 형성된 욕실용 편의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쿨러는 냉각부와 발열부를 구비하는 펠티어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부의 냉기는 상기 쿨러 내부의 내용물수납공간으로 순환하고,
    상기 발열부의 열기는 미러 캐비닛 장치의 외부로 배출되는 욕실용 편의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도어의 잠금 해제를 조절하는 전자식 잠금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자식 잠금 장치는 음성 명령 또는 사용자 인식으로 잠금 해제의 조절이 가능한 욕실용 편의 장치.
  7. 내부에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캐비닛 몸체와, 상기 캐비닛 몸체의 수용 공간을 개폐하는 미러 도어를 포함하는 미러 캐비닛 장치;와,
    외관을 형성하는 싱크 캐비닛 몸체와,
    상기 싱크 캐비닛 몸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세면대와,
    상기 싱크 캐비닛 몸체에서 인입 입출도록 배치되어, 보관되는 수건을 가열 또는 건조하는 서랍형 수건 관리기와,
    상기 싱크 캐비닛 몸체에서 인입 입출되도록 배치되어 수납 공간을 제공하는 서랍형 콘솔을 포함하는 싱크 캐비닛 장치;를 포함하는 욕실용 편의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형 수건 관리기는
    상기 싱크 캐비닛 몸체에서 인입 입출되는 수건 관리기 몸체와,
    상기 수건 관리기 몸체에 결합되어 가열 공기가 공급되는 유로를 제공하며 거치된 수건을 가열하는 열전달판을 포함하는 욕실용 편의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형 콘솔은
    상기 싱크 캐비닛 몸체에서 인입 입출되며 수납 물품의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콘솔 몸체와,
    상기 콘솔 몸체에 구비되는 전원콘센트를 포함하는 욕실용 편의 장치.
  10. 내부에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캐비닛 몸체와, 상기 캐비닛 몸체의 수용 공간을 개폐하는 미러 도어를 포함하는 미러 캐비닛 장치;
    수전과 세면대를 포함하는 싱크 캐비닛 장치;
    상기 싱크 캐비닛 장치를 조작하는 통합 조작 스위치; 및
    상기 미러 캐비닛 장치, 및 상기 싱크 캐비닛 장치에 각각 구비된 가전기기들의 제어모듈과 무선통신 방식으로 자동 접속되어 상기 각 가전기기들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및 제어하는 무선통신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욕실용 편의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캐비닛 장치는
    쿨러, 충전박스, 충전박스의 콘센트, 측면 조명패널, 무드 조명, 미용 조명, 발열시트, 및 무선 급전부 중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에 구성된 각각의 전원 입력단에는 와이파이 무선 통신을 수행하면서 상기 무선통신 제어모듈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전원 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욕실용 편의 장치.
  12. 제 11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제어모듈은
    와이파이 통신 반경 내에 다른 미러 캐비닛 장치가 추가되면, 상기 추가된 미러 캐비닛 장치에 포함된 측면 조명패널 제어모듈, 무드 조명 제어모듈, 미용 조명 제어모듈, 냉각 전원 제어모듈, 발열 전원 제어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모듈과 자동으로 접속되는 욕실용 편의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제어모듈은
    와이파이 통신 반경 내에 다른 싱크 캐비닛 장치가 추가되면, 상기 추가된 싱크 캐비닛 장치의 수건 관리기 제어모듈, 콘솔 전원 제어모듈, 센서 제어모듈, 및 건조기 제어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모듈과 자동으로 접속되는 욕실용 편의 장치.
  14. 싱크 캐비닛 장치와 미러 캐비닛 장치를 포함하는 욕실용 편의 장치에 각각 구비된 전력기기들의 제어모듈과 자동 페어링되어 상기 각 전력기기들을 제어하는 무선 통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무선 통신모듈은
    상기 미러 캐비닛 장치에 구성된 전력기기들의 제어모듈과 블루투스 무선 통신 방식으로 자동 페어링되어, 상기 미러 캐비닛 장치에 구성된 전력기기들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제1 무선 제어모듈; 및
    상기 싱크 캐비닛 장치에 구성된 전력기기들의 제어모듈과 블루투스 무선 통신 방식으로 자동 페어링되어, 상기 싱크 캐비닛 장치에 구성된 전력기기들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제2 무선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욕실용 편의 장치.
  15. 내부에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캐비닛 몸체와, 상기 캐비닛 몸체의 수용 공간을 개폐하는 미러 도어를 포함하는 미러 캐비닛 장치;
    수전과 세면대를 포함하는 싱크 캐비닛 장치;
    상기 싱크 캐비닛 장치를 조작하는 통합 조작 스위치; 및
    상기 미러 캐비닛 장치, 및 상기 싱크 캐비닛 장치에 각각 구비된 가전기기들과 자동으로 무선 접속되어 상기 각 가전기기들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음성 인식에 기반해서 상기 각 가전기기들의 전원 온/오프를 제어하는 인공지능 기기;를 포함하는 욕실용 편의 장치.
  16. 내부에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캐비닛 몸체와, 상기 캐비닛 몸체의 수용 공간을 개폐하는 미러 도어를 포함하는 미러 캐비닛 장치;
    수전을 포함하는 세면대를 포함하는 싱크 캐비닛 장치; 및
    상기 미러 캐비닛 장치와 상기 싱크 캐비닛 장치에 구비된 전력기기들의 전원, 및 전원 콘센트의 과부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전원 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전원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욕실용 편의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캐비닛 장치는
    쿨러, 충전박스, 측면 조명패널, 무드 조명, 미용 조명, 냉각부, 발열시트, 및 무선 급전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전력기기와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원 콘센트를 포함하고,
    상기 싱크 캐비닛 장치는
    수건 관리기, 제2 전원 콘센트를 포함하는 콘솔 전원부, 건조기, 센서, 및 조명 중 적어도 하나의 전력기기;를 포함하는 욕실용 편의 장치.
  18. 욕실 내부에 구비된 미러 캐비닛 장치 및 싱크 캐비닛 장치;
    욕실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센싱부재; 및
    휴대폰으로부터 폰이벤트의 수신시 사용자 감지부재에 의해 감지되는 욕실내 사용자의 유무에 따라 욕실내에 폰이벤트를 표시하고, 폰이벤트의 실행에 대응하여 욕실 내부 환경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욕실용 편의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휴대폰과 통신되는 통신부;
    욕실 내에 사용자의 유무를 감지하는 욕실사용 감지부;
    폰이벤트 발생시 사용자의 의사결정을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욕실사용 감지부에서 입력된 결과를 휴대폰으로 전송하여 휴대폰으로부터 폰이벤트를 수신할지를 판단하고 사용자의 의사결정에 기초하여 폰이벤트를 욕실내에 표시할지를 결정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의 결정에 따라 욕실내의 각종 설비를 구동하여 사용자에게 폰이벤트를 통보함과 동시에 욕실의 환경을 폰이벤트를 실행하기 위한 최적의 상태로 만드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욕실용 편의 장치.
KR1020180128551A 2017-10-25 2018-10-25 미러 캐비닛 장치와 싱크 캐비닛 장치를 포함하는 욕실용 편의장치 KR201900466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39211 2017-10-25
KR1020170139211 2017-10-25
KR20170147301 2017-11-07
KR1020170147301 2017-11-07
KR20170150762 2017-11-13
KR1020170150762 2017-11-13
KR20170152517 2017-11-15
KR1020170152517 2017-11-15
KR1020170152518 2017-11-15
KR20170152518 2017-11-15
KR1020170153364 2017-11-16
KR20170153364 2017-11-16
KR20170155156 2017-11-20
KR1020170155156 2017-11-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698A true KR20190046698A (ko) 2019-05-07

Family

ID=66247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8551A KR20190046698A (ko) 2017-10-25 2018-10-25 미러 캐비닛 장치와 싱크 캐비닛 장치를 포함하는 욕실용 편의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672338B2 (ko)
EP (1) EP3702687A4 (ko)
KR (1) KR20190046698A (ko)
WO (1) WO201908331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3104A (ko) * 2017-10-17 2019-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그 다이얼 방식의 조작 스위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싱크 캐비닛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05423B2 (en) * 2018-03-20 2021-12-21 Gojo Industries, Inc. Restroom maintenance systems having a voice activated virtual assistant
CN110101320A (zh) * 2019-05-10 2019-08-09 山东欧盛建材有限公司 一种具有手势识别功能的led镜柜及其使用方法
US11118794B1 (en) * 2020-07-15 2021-09-14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Air conditioner units and methods for heater assembly protection
US11940088B2 (en) * 2021-08-20 2024-03-26 Rahi Systems Inc. Universal hardware mount
CN117055424B (zh) * 2023-09-11 2024-02-02 东莞莱姆森科技建材有限公司 一种用于卫浴镜的智能化控制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49207A (en) * 1945-05-07 1948-09-14 Hugh S Wertz Sound deadener drawer
US3732702A (en) * 1969-12-22 1973-05-15 K Desch Cooling cosmetic cabinets for bathroom
US4663621A (en) * 1984-03-30 1987-05-05 Field David J Medicine cabinet
US5577819A (en) * 1994-05-02 1996-11-26 Olsen; Danny H. Bathroom appliance cabinet
KR19990046113A (ko) * 1999-03-24 1999-06-25 유항근 음성인식자동문개폐화장대
DE10305311A1 (de) * 2003-02-10 2004-08-26 Hailo-Werk Rudolf Loh Gmbh & Co. Kg Installationen verschiedener Art aufnehmender Unterschrank
KR20030094161A (ko) 2003-11-11 2003-12-11 이강오 주방용품 살균소독 건조기
KR200423138Y1 (ko) * 2006-04-27 2006-08-03 주식회사 그라스텍 화장품냉장고 일체형 수납장
WO2008137179A1 (en) * 2007-05-07 2008-11-13 Robern, Inc. Medicine cabinet with cold storage region
JP5118901B2 (ja) 2007-06-28 2013-01-16 クリナップ株式会社 厨房家具
JP2009131433A (ja) * 2007-11-30 2009-06-18 Toto Ltd ミラーキャビネット
JP5448027B2 (ja) * 2008-07-02 2014-03-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引出し型乾燥装置
US9675172B2 (en) * 2009-04-23 2017-06-13 Robern, Inc. Medicine cabinet
KR101844211B1 (ko) 2011-12-28 2018-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기기의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네트워크 설정 방법
JP2014214594A (ja) 2013-04-30 2014-11-17 株式会社Nttファシリティーズ トイレシステム
JP6524581B2 (ja) * 2015-06-12 2019-06-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化粧台
US20170038058A1 (en) * 2015-08-07 2017-02-09 American Glasscrafters, Inc. Vertical Linear Cabinet Lights
US10582769B2 (en) * 2015-12-28 2020-03-10 Robern, Inc. Cabinet system including accessory
CN205638004U (zh) * 2016-05-27 2016-10-12 中山市富深家用制品有限公司 一种利用铰链导电的金属柜
US20190098996A1 (en) * 2017-04-26 2019-04-04 Monica Kuhn Bathroom appliance storage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3104A (ko) * 2017-10-17 2019-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그 다이얼 방식의 조작 스위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싱크 캐비닛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347585A1 (en) 2020-11-05
WO2019083310A1 (ko) 2019-05-02
US11672338B2 (en) 2023-06-13
EP3702687A4 (en) 2021-08-04
EP3702687A1 (en) 2020-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6698A (ko) 미러 캐비닛 장치와 싱크 캐비닛 장치를 포함하는 욕실용 편의장치
KR102602911B1 (ko) 미러 캐비닛 장치
KR102339976B1 (ko) 욕실관리기
CN108107853A (zh) 一种浴室控制系统、浴镜柜、浴室柜及智能坐便器
CN206239281U (zh) 一种智能集成浴室柜的热水器
US10667605B2 (en) Bathroom management apparatus
KR102484778B1 (ko) 세면대 하부장
EP3960053A1 (en) Drying apparatus
EP3960023B1 (en) Drying apparatus
EP3960024A1 (en) Drying apparatus
EP3960050A1 (en) Drying apparatus
CN203576371U (zh) 智能集成浴室柜
KR102389874B1 (ko) 욕실관리기
KR101821244B1 (ko) 다용도 융합형 휴지걸이
JP2019146697A (ja) 洗面化粧台
KR20080031711A (ko) 벽걸이 드라이기 장치
EP3960052A1 (en) Drying apparatus
JP2021069437A (ja) 洗面化粧台及び洗面空間システム
JP2502917B2 (ja) 風呂装置
CA3052569A1 (en) Electrical power and control unit for work areas
WO2018020740A1 (ja) 設備コア構造物及び設備ユニットの施工方法
JP7393733B2 (ja) 洗面化粧台
CN215216424U (zh) 一种安全性高的红外自启动暖风机
JP2018015223A (ja) 浴槽装置
JP7345732B2 (ja) 洗面化粧台及び洗面空間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