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6197A - 드론을 이용한 크레인 게임장치 - Google Patents

드론을 이용한 크레인 게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6197A
KR20190046197A KR1020170139487A KR20170139487A KR20190046197A KR 20190046197 A KR20190046197 A KR 20190046197A KR 1020170139487 A KR1020170139487 A KR 1020170139487A KR 20170139487 A KR20170139487 A KR 20170139487A KR 20190046197 A KR20190046197 A KR 20190046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rone
drones
crane game
d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9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천
Original Assignee
김규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천 filed Critical 김규천
Priority to KR1020170139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6197A/ko
Publication of KR20190046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61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30Capturing games for grabbing or trapping objects, e.g. fish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03Driving vehicles or craft, e.g. cars, airplanes, ships, robots or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86Type of games
    • G07F17/3297Fairground games, e.g. Tivoli, coin pusher machines, cra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17Driving on land or water; Fl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의 상품들이 수납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적어도 일면에는 투시창이 마련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서 비행하여 위치 이동이 가능하고, 하부에는 피킹 부재가 탑재된 드론; 상기 복수개의 상품들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품 쪽으로 상기 드론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조작부; 및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드론에 의해 피킹되어 이동된 상품을 상기 본체의 외부로 유도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드론을 이용한 크레인 게임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드론을 이용한 크레인 게임장치{CRANE GAME MACHINE USING DRONE}
본 발명은 크레인 게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 내에 수납된 복수개의 상품들 중에서 이용자가 원하는 상품을 뽑는 크레인 게임에 사용되는 크레인 게임장치에 관한 것이다.
크레인 게임장치는 인형 등과 같은 소정 상품의 뽑기 게임에 사용되는 장치로서, 통상적으로 전후구동 가이드 레일, 좌우구동 가이드레일 및 승강 크레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크레인 게임장치는 예컨대,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크레인 게임장치는 전후좌우 구동에 의한 직각 좌표 이동과 크레인의 승강운동에 의해 상품을 뽑아내는 동작이 이루어지므로 크레인의 움직임이 단조롭고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으로 크레인을 이동시키는 조작이 정교하게 이루어지기 어려운 취약점이 있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0-138880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상품을 뽑는 기구가 본체의 내부공간에서 비행하여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크레인 게임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품들이 수납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적어도 일면에는 투시창이 마련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서 비행하여 위치 이동이 가능하고, 하부에는 피킹 부재가 탑재된 드론; 상기 상품들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품 쪽으로 상기 드론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조작부; 및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드론에 의해 피킹되어 이동된 상품을 상기 본체의 외부로 유도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드론을 이용한 크레인 게임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드론은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으로 연장된 줄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줄은, 스풀에 감긴 상태로 상기 본체의 천장을 통해 내부로 연장되고, 상기 드론의 위치 이동과 연동하여 감기거나 풀려서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줄을 권상하여 상기 드론의 상승력을 보강하는 상승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본체의 상부에서 회전축이 수직 방향이 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턴테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드론 및 상기 줄의 어셈블리는 상기 턴테이블의 둘레를 따라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드론은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서 무선으로 비행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드론 착륙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피킹 부재는 그리퍼 또는 자성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크레인 게임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상품을 뽑는 피킹 부재가 본체의 내부공간에서 드론과 함께 비행하여 이동함에 따라 크레인을 이동시키는 조작이 쉽고 정교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드론의 이동과 연동하여 자동으로 길이 조절이 되는 줄을 이용해 드론의 비행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잡아줌으로써 드론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드론의 상승력을 보강하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초소형의 드론을 이용하더라도 비교적 크기가 큰 상품을 집어 올릴 수 있다.
넷째, 턴테이블을 이용해 복수개의 드론을 순차적으로 순환시킴으로써 드론의 성능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게임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게임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게임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게임장치는 본체(100)와, 본체(100)의 내부공간에 위치하고 하부에는 피킹 부재(120)가 탑재된 드론(110)과, 본체(100)의 외부에 설치되어 드론(110)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조작부(140)와, 상품(1)을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13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내부공간을 가진 함체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일면에는 유리판이나 아크릴판 등의 소재로 구성된 투시창이 마련되어 내부의 투시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체(100)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체(100)의 내부공간 바닥에는 예컨대, 인형이나 각종 경품으로 제공되는 다양한 종류의 상품(1)들이 수납된다.
드론(110)은 본체(100)의 내부공간에서 비행하여 위치 이동이 가능한 무인비행체이다. 드론(110)은 원격 조종과 무인 자동 비행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제어장치와 통신장치, 전원장치, 센서, 로터 등을 포함한다. 드론(110)을 구성하는 기술적 수단으로는 통상의 기술이 채용 가능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피킹 부재(120)는 드론(110)의 하부에 탑재되어 상품(1)을 피킹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피킹 부재(120)로는 모터에 의해 작동되어 집게 동작을 수행하는 그리퍼(Gripper), 또는 갈고리 형태의 그리퍼가 채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 피킹 부재(120)로는 영구자석이나 전자석으로 이루어진 자성체가 채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피킹 부재(120)가 자성체로 구성되는 경우 각 상품(1)은 그 자체가 자성체에 붙을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거나, 몸체 일부에 자성체와 붙을 수 있는 철편과 같은 부재가 미리 부착되어야 한다.
피킹 부재(120)는 직접적으로 드론(110)의 몸체 하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수 cm 정도의 짧은 길이를 가진 와이어 로프를 매개로 피킹 부재(120)의 하부에 매달리는 것도 가능하다.
조작부(140)는 드론(110)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드론(110)의 상승 및 하강, 전후좌우 조종과 피킹 부재(120)를 조종하기 위해 본체(100)의 외부에 설치된 레버나 버튼들을 구비한다. 대안으로, 조작부(140)는 소정의 스마트폰 앱을 이용해 원격으로 조종이 가능하도록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본체(100)의 일측에는 내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가 부가될 수 있다.
배출부(130)는 본체(100)의 내부 일측으로부터 외부와 연통되는 별도의 수납공간이나 통로 형태로 마련되어 드론(110)에 의해 피킹되어 이동된 상품(1)이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되게 유도한다.
드론(110)의 추락 방지를 위해 드론(110)은 본체(100)의 내부공간으로 연장된 줄(101)과 연결되어 있다. 줄(101)은 예컨대, 파라코드와 같은 얀 소재나, 와이어 로프와 같은 강선 소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줄(101)은 소정의 스풀(102)에 감긴 상태로 설치되어 본체(100)의 천장 중심부를 통해 내부로 연장되고, 드론(110)의 위치 이동과 연동하여 감기거나 풀려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인출된 줄(101)이 소정의 코일형 스프링에 의해 자동으로 되감길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통상의 자동 리드줄(101)에 사용되는 기술적 수단이 채택 가능하다.
드론(100)이 비행중에 본체(100)의 내벽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줄(101)의 최대 인출 길이는 드론(110)이 본체(100)의 내벽에 접촉하지 않는 범위로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풀(102)에는 줄(101)을 권상하여 드론(110)의 상승력을 보강하는 상승 제어부(103)가 구비된다. 상승 제어부(103)는 피킹 부재(120)가 상품(1)을 피킹한 상태에서 줄(101)을 권상하여 드론(110)을 끌어 올리는 힘을 가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드론(110)에 비해 상품(1)의 크기나 하중이 비교적 큰 경우에 드론(110)에 걸리는 부하를 실질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줄(101)은 드론(110) 및/또는 피킹 부재(120)에 대하여 전원 또는 제어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지거나 별도의 전선이 부가될 수 있다.
대안으로, 드론(110)은 본체(100)에 상단이 고정된 소정의 코일 케이블과 연결되어 전원이나 제어신호를 공급받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코일 케이블은 줄(101)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줄(101)과 일체로 코일 케이블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움직이는 줄(101)이 본체(100)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마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줄(10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부가적으로, 본체(100)의 상부에는 회전축이 수직 방향이 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원반 형태의 턴테이블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드론(110) 및 줄(101)의 어셈블리는 상기 턴테이블의 둘레를 따라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턴테이블을 이용해 복수개의 드론(110)을 순차적으로 순환시킴으로써 드론(110)의 성능 열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미사용 상태의 드론(110)이 대기상태에서 배터리의 충전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게임장치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드론(110)은 본체(100)의 내부공간에서 무선으로 비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본체(100)의 내부에는 드론(110)의 일부와 자력이나 기계적인 착탈결합으로 커플링이 가능한 랜딩 스테이션(150)이 구비된다. 부가적으로, 랜딩 스테이션(150)에는 드론(110)을 충전하기 위한 커넥터나 무접점 충전기와 같은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크레인 게임장치는 본체(100) 내에서 드론(110)을 비행시켜서 이용자가 원하는 상품(1)으로 드론(110)을 이동시키는 동작과, 피킹 부재(120)를 작동시켜서 해당 상품(1)을 피킹하는 동작과, 드론(110)을 배출부(130)로 이동시킨 후 피킹 상태를 해제하여 상품(1)을 배출부(130)로 전달하는 동작을 차례대로 진행하여 뽑기 게임을 수행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상품 100: 본체
101: 줄 102: 스풀
103: 상승 제어부 110: 드론
120: 피킹 부재 130: 배출부
140: 조작부 150: 랜딩 스테이션

Claims (6)

  1. 상품들이 수납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적어도 일면에는 투시창이 마련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서 비행하여 위치 이동이 가능하고, 하부에는 피킹 부재가 탑재된 드론;
    상기 상품들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품 쪽으로 상기 드론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조작부; 및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드론에 의해 피킹되어 이동된 상품을 상기 본체의 외부로 유도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드론을 이용한 크레인 게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은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으로 연장된 줄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크레인 게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줄은,
    스풀에 감긴 상태로 상기 본체의 천장을 통해 내부로 연장되고, 상기 드론의 위치 이동과 연동하여 감기거나 풀려서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크레인 게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줄을 권상하여 상기 드론의 상승력을 보강하는 상승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드론을 이용한 크레인 게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은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서 무선으로 비행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랜딩 스테이션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크레인 게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킹 부재는 그리퍼 또는 자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게임장치.
KR1020170139487A 2017-10-25 2017-10-25 드론을 이용한 크레인 게임장치 KR201900461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487A KR20190046197A (ko) 2017-10-25 2017-10-25 드론을 이용한 크레인 게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487A KR20190046197A (ko) 2017-10-25 2017-10-25 드론을 이용한 크레인 게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197A true KR20190046197A (ko) 2019-05-07

Family

ID=66656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9487A KR20190046197A (ko) 2017-10-25 2017-10-25 드론을 이용한 크레인 게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61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0904A (ko) * 2019-05-13 2020-11-23 김현기 크레인 게임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803B1 (ko) 2012-02-28 2014-04-23 권영선 경품 뽑기 게임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803B1 (ko) 2012-02-28 2014-04-23 권영선 경품 뽑기 게임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0904A (ko) * 2019-05-13 2020-11-23 김현기 크레인 게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638769B (zh) 无人飞行器的外部容纳装置
CN109496193B (zh) 无人机的运送物品装载设备
CN106005462A (zh) 用于系留无人机的收放系统及用其收放系留无人机的方法
WO2009105254A3 (en) Aerial camera system
JP2015042539A (ja) ヘリコプタ、ヘリコプタ用バッテリ交換装置、及び、ヘリコプタシステム
CN110027949A (zh) 井道检查装置
CN110759284B (zh) 一种具有缓冲功能的智能物流机器人
KR20170104186A (ko)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도킹스테이션과 도킹 충전식 무인항공기 및 그 운용시스템
AU2004285932A1 (en) A mounting system reeved to move an object in two-dimensions and methods relating to same
CN115052811A (zh) 使用无人航空载具投递包裹的多升降机投递系统
CN110167841A (zh) 用于对接浮空器的系统和方法,以及为此目的配备的浮空器和接收结构
KR101918287B1 (ko) 가스기구를 구비한 유선 드론
KR20190046197A (ko) 드론을 이용한 크레인 게임장치
JP6889565B2 (ja) 無人飛行システム、無人飛行装置、および着陸方法
CN108082522B (zh) 无人机发射装置及方法
CN108482610A (zh) 一种散货船舱壁清洗装置
CN208021753U (zh) 一种无人机带电作业投放装置
KR20190117956A (ko) 드론을 이용한 상품 획득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상품 획득 장치
KR102371103B1 (ko) 비정형 물품 이송이 가능한 드론
US7510169B2 (en) Aircraft 400 HZ cable hoist
CN210377685U (zh) 一种垂钓式饰品售货机
CN209522488U (zh) 一种铸造用电磁吸盘显示系统
CN218094985U (zh) 船舱内可伸缩式摄像头吊装装置
JP7472648B2 (ja) 飛行体の給電装置及び給電方法
CN218662368U (zh) 一种无人机自动升降索吊机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