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1103B1 - 비정형 물품 이송이 가능한 드론 - Google Patents

비정형 물품 이송이 가능한 드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1103B1
KR102371103B1 KR1020200168130A KR20200168130A KR102371103B1 KR 102371103 B1 KR102371103 B1 KR 102371103B1 KR 1020200168130 A KR1020200168130 A KR 1020200168130A KR 20200168130 A KR20200168130 A KR 20200168130A KR 102371103 B1 KR102371103 B1 KR 102371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wire
article
net
loading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8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남
안성만
Original Assignee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68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11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1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1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32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 B64C25/52Skis or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00Dropping, ejecting, releasing, or receiving articles, liquids, or the like, in flight
    • B64D1/02Dropping, ejecting, or releas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32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 B64C2025/325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specially adapted for helicopters
    • B64C2201/12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비정형 물품 이송이 가능한 드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비정형 물품 이송이 가능한 드론은, 상부에 복수개의 프로펠러(120)가 구비되고, 하부에 랜딩레그(130)가 구비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하부에 상기 랜딩레그(130) 사이에 배치되어 상면에 물품이 적재되는 물품적재그물(140)과; 상기 물품적재그물(140)이 펼쳐지거나 오무려지도록 상기 물품적재그물(140)의 형상을 조절하는 그물형상조절부(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랜딩레그(130)는, 상기 본체(110)의 좌우에 각각 구비된 두 쌍의 수직기둥(131)과; 상기 두 쌍의 수직기둥(131)의 하단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수평바(1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물형상조절부(150)는, 상기 물품적재그물(140)의 네 모서리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두 쌍의 수직기둥(131)의 내부를 통해 상기 본체(110) 내부로 공급되는 메인와이어(151)와;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되며 상기 메인와이어(151)가 권취되거나 풀려지게 지지하는 와이어권취드럼(155,155a)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비정형 물품 이송이 가능한 드론{Drone capable of transporting atypical goods}
본 발명은 드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비정형 물품의 안전한 이송이 가능한 드론에 관한 것이다.
드론은 원격 조종과 자동 비행이 가능한 무인 비행체로서, 본체의 하부에 촬영장비나, 방제장비, 구급장비, 탑재장치 등과 같은 각종 추가 기기가 장착되어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드론은 물품을 목적지까지 배송해 주는 택배 서비스에도 널리 활용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택배드론의 일례가 공개실용신안 제20-2019-0003060호 "택배 물품 정보 확인 및 택배 물품 운반 드론"에 개시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 택배드론(1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택배드론은 본체의 가운데에 택배 물품 보관을 위한 택배물품보관함(11)이 위치된다. 그런데, 종래 택배드론(10)은 택배물품보관함(11)이 사각함체 형태로 구비되므로, 사각함체 내부에 수용되는 크기의 물품이 아닌 경우, 또는 사각형이 아닌 비정형 형상의 물품은 운반할 수 없는 제약이 있었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공개실용신안 제20-2019-0003060호, "택배 물품 정보 확인 및 택배 물품 운반 드론" 문헌 2.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 제10-2114338호, "다기능 물품탑재 기능을 갖는 드론"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비정형 물품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드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비정형 물품 이송이 가능한 드론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드론은, 상부에 복수개의 프로펠러(120)가 구비되고, 하부에 랜딩레그(130)가 구비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하부에 상기 랜딩레그(130) 사이에 배치되어 상면에 물품이 적재되는 물품적재그물(140)과; 상기 물품적재그물(140)이 펼쳐지거나 오무려지도록 상기 물품적재그물(140)의 형상을 조절하는 그물형상조절부(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랜딩레그(130)는, 상기 본체(110)의 좌우에 각각 구비된 두 쌍의 수직기둥(131)과; 상기 두 쌍의 수직기둥(131)의 하단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수평바(1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물형상조절부(150)는, 상기 물품적재그물(140)의 네 모서리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두 쌍의 수직기둥(131)의 내부를 통해 상기 본체(110) 내부로 공급되는 메인와이어(151)와;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되며 상기 메인와이어(151)가 권취되거나 풀려지게 지지하는 와이어권취드럼(155,155a)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드론은 물품이 수용될 공간이 특정형상을 갖는 형태가 아니고 형상이 가변되는 물품적재그물로 구비된다. 물품적재그물은 물품이 적재되기 전에는 랜딩레그의 하부에 수평하게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고, 물품이 적재되면 물품형상조절부에 의해 물품의 외부를 감싸게 형상이 조절된다.
이에 의해 비행시간 동안 물품적재그물이 물품을 감싸 물품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형상이 가변되는 물품적재그물을 이용하여 물품을 적재하므로, 정해진 형상의 물품 뿐만 아니라 비정형 물품도 이송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택배드론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에 물품이 적재되지 않은 상태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에 물품이 적재된 상태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저면구성을 도시한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본체 하부로 보조와이어가 삽입되는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결합고리를 고리결합부재에 고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1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100)에 물품적재그물(140)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100)에 물품(A)이 적재되어 물품적재그물(140)이 오무려진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드론(100)은 본체(110)와, 본체(110)의 상부에 구비된 복수개의 프로펠러(120)와, 본체(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랜딩레그(130)와, 본체(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물품적재그물(140)과, 물품적재그물(140)을 펼치거나 오무려 물품(A)을 감싸 고정할 수 있게 물품적재그물(140)의 형상을 조절하는 그물형상조절부(1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드론(100)은 물품적재그물(140)의 상부에 다양한 형상의 비정형 물품(A)이 적재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물형상조절부(150)를 이용해 물품적재그물(140)이 물품(A)을 감싸도록 형상을 조절하여 비행 중 물품(A)이 물품적재그물(140)로부터 낙하되지 않고 물품(A)의 위치가 고정되게 하여 안정적으로 물품을 이송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형상의 제한 없이 다양한 형상의 물품을 이송할 수 있으며, 본체(110)의 하부의 전체 공간을 물품 이송에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드론(100)은 무인으로 구동된다. 본체(110)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통신부(미도시)가 구비된다. 사용자는 원거리에서 리모콘(미도시)을 통해 무선으로 본체(110)의 이동방향과 고도 등을 조정하게 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체(110)의 전방에는 카메라(미도시)가 구비되어 본체(110)의 비행위치를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본체(110)의 양측에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노출공(111)이 형성된다. 와이어노출공(111)은 그물형상조절부(150)의 메인와이어(151)와 보조와이어(153)를 외부로 노출시킨다.
본체(110)의 하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한 쌍의 보조와이어삽입공(113)이 형성된다. 한 쌍의 보조와이어삽입공(113)은 그물형상조절부(150)의 보조와이어(153)를 본체(110) 내부로 안내한다. 보조와이어삽입공(113)은 본체(110)의 내측을 향해 일정길이 길이를 갖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적재그물(140)에 물품(A)이 적재되었을 때, 보조와이어(153)가 본체(110)의 내측으로 이동되며 물품적재그물(140)의 전후단이 물품(A)의 외부를 밀착하며 감쌀 수 있게 한다.
프로펠러(120)는 본체(110)의 상부에 복수개 구비되어 본체(110)가 비행할 수 있게 추진력을 발생시킨다.
랜딩레그(130)는 본체(110)가 이착륙할 때 본체(110)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게 지지한다. 랜딩레그(130)는 좌우에 한 쌍이 구비된다. 한 쌍의 랜딩레그(130)는 각각 한 쌍의 수직기둥(131)과, 한 쌍의 수직기둥(131)의 하부를 수평하게 연결하는 수평바(133)를 포함한다.
한 쌍의 랜딩레그(130)에 구비된 두 쌍의 수직기둥(131)은 본체(110)의 전후좌우에 네 개가 구비되며, 본체(110)의 하부에 물품적재그물(140)에 의해 물품(A)이 적재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두 쌍의 수직기둥(131)은 후술할 그물형상조절부(150)의 메인와이어(151)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의 역할을 수행한다.
도 5는 드론(100)의 하부 구성을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 6은 드론(100)의 하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기둥(131)과 수평바(133)의 결합영역에는 메인와이어(151)를 수직기둥(131) 내부로 안내하는 메인와이어삽입공(132)이 형성된다.
메인와이어삽입공(132)은 수직기둥(131)의 하부에서 일정길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수직안내홈(132b)과, 수직안내홈(132b)의 하부에 수평바(133)를 따라 일정길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수평오픈홈(132a)이 연통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수직안내홈(132b)은 물품적재그물(140)에 적재되는 물품의 형상에 따라 메인와이어(151)가 수직기둥(131)의 내측으로 이동하며 물품적재그물(140)이 충분히 물품(A)의 외면을 감쌀 수 있도록 수직기둥(131)의 1/2이상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4의 (a)와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적재그물(140)에 물품(A)이 적재된 상태에서 수직안내홈(132b)의 길이가 짧을 경우 물품적재그물(140)의 테두리 영역이 길이가 짧은 수직안내홈(132b)의 상단에 위치되어 물품(A)의 측면을 감싸지 못하고 물품(A)의 표면과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이 경우, 물품적재그물(140)이 물품(A)을 감싸지 못해 드론(100)의 비행시에 물품(A)이 물품적재그물(14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직안내홈(132b)은 수직기둥(131)의 1/2이상의 길이로 형성되어 물품적재그물(140)이 메인와이어(151)를 따라 수직기둥(131)을 따라 충분히 올라와 물품(A)의 측면을 감쌀 수 있게 형성된다.
수평오픈홈(132a)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기둥(131)과 수평바(133)의 경계영역에 수평바(133)에 수평방향으로 일정 길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수평오픈홈(132a)은 수직안내홈(132b)과 연통되게 형성된다.
수평오픈홈(132a)은 도 3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적재그물(140)에 물품이 적재되지 않은 상태에서 물품적재그물(140)이 한 쌍의 랜딩레그(130) 사이에 펼쳐질 수 있게 메인와이어(151)를 지지한다.
수평오픈홈(132a)이 수평바(133)에 수평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므로, 메인와이어(151)가 수평오픈홈(132a)을 따라 좌우로 이동되며 물품적재그물(140)이 수평바(133)의 하부로 펼쳐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수평바(133)의 가운데 영역에는 그물형상조절부(150)의 결합고리(157,157a)가 걸림결합되는 고리결합부재(135)가 구비된다.
물품적재그물(140)은 본체(11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부에 물품(A)이 적재된다. 물품적재그물(140)은 한 쌍의 랜딩레그(130) 사이의 면적에 대응되는 크기로 구비되며, 그물형상조절부(150)에 의해 형상이 조절되며 상면에 적재된 물품(A)을 감싼다.
그물형상조절부(150)는 물품적재그물(140)에 물품이 적재되는지 여부에 따라 물품적재그물(140)의 형상을 조절하여 물품적재그물(140)이 물품을 고정하게 한다. 그물형상조절부(150)는 도 3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적재그물(140)의 네 모서리 영역에 구비된 메인와이어(151)와, 물품적재그물(140)의 양측에 구비된 보조와이어(153)와, 본체(110) 내부에 구비되어 메인와이어(151)와 보조와이어(153)가 권취되는 와이어권취드럼(155,155a)과, 메인와이어(151)와 보조와이어(153)의 단부에 구비되는 결합고리(157,157a)를 포함한다.
메인와이어(151)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적재그물(140)의 네 모서리 영역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두 쌍의 수직기둥(131)을 통해 본체(110) 내부로 안내된다.
메인와이어(151)는 메인와이어삽입공(132)을 통해 수직기둥(131)으로 삽입되고, 수직기둥(131)의 내부를 통해 본체(110)로 안내된다. 메인와이어(151)는 와이어권취드럼(155,155a)에 권취된다. 메인와이어(151)의 일단은 물품적재그물(140)의 모서리에 고정되고, 타단은 결합고리(157,157a)에 결합된다.
와이어권취드럼(155,155a)에 권취된 메인와이어(151)의 타단은 본체(110)의 와이어노출공(11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노출된 타단에는 결합고리(157,157a)가 고정결합된다.
보조와이어(153)는 본체(110)의 전후단에 대응되는 물품적재그물(140)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본체(110) 내부로 안내된다. 보조와이어(153)의 일단은 물품적재그물(140)에 고정되고, 타단은 메인와이어(151)와 함께 본체(110)의 와이어노출공(11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노출된 타단에는 결합고리(157,157a)가 고정결합된다.
보조와이어(15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보조와이어삽입공(113)을 통해 본체(110) 내부로 안내된다. 본체(110) 내부로 삽입된 보조와이어(153)는 와이어권취드럼(155,155a)에 권취된다.
여기서, 네 개의 메인와이어(151)와, 한 쌍의 보조와이어(153)는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다.
와이어권취드럼(155,155a)은 도 3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내부에 한 쌍이 구비되어 메인와이어(151)와 보조와이어(153)가 권취되며 물품(A)의 외부를 감싸도록 한다.
제1와이어권취드럼(155)은 도 3의 (a)를 기준으로 본체(110)의 왼편에 구비된 한 쌍의 메인와이어(151)와 보조와이어(153)를 함께 권취한다. 제2와이어권취드럼(155a)은 본체(110)의 오른편에 구비된 한 쌍의 메인와이어(151)와 보조와이어(153)를 함께 권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와이어권취드럼(155,155a)만 구비되었으나, 경우에 따라 메인와이어(151)와 보조와이어(153)의 개수에 맞게 또는 방향에 맞게 그 수가 증가될 수 있다.
각 와이어권취드럼(155,155a)의 외주연에는 메인와이어(151)와 보조와이어(153)가 권취되고, 권취된 메인와이어(151)와 보조와이어(153)의 타단은 본체(110)의 와이어노출공(11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작업자가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외부로 노출된 결합고리(157,157a)를 하부로 당기면, 결합고리(157,157a)를 당기는 힘에 의해 와이어권취드럼(155,155a)이 회전되며 메인와이어(151)와 보조와이어(153)가 와이어권취드럼(155,155a)에 권취된다.
메인와이어(151)와 보조와이어(153)가 와이어권취드럼(155,155a)에 권취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와이어(151)는 수직기둥(131) 상부로 당겨져 이동되고, 보조와이어(153)는 본체(110) 하부의 보조와이어삽입공(113)으로 당겨져 이동된다.
이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딩레그(130) 하부에 펼쳐져 있는 물품적재그물(140)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A)의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오무려지게 형상이 조절되며, 물품(A)을 고정하게 된다.
이 때, 메인와이어(151)와 보조와이어(153)는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므로 메인와이어(151)와 보조와이어(153)는 물품(A)의 형상에 관계없이 탄성적으로 신장되며 물품적재그물(140)을 지지하게 된다.
결합고리(157,157a)는 메인와이어(151)와 보조와이어(153)의 타단에 함께 결합되어 작업자가 한번에 메인와이어(151)와 보조와이어(153)를 당겨 권취할 수 있게 한다. 결합고리(157,157a)는 와이어노출공(111) 보다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와이어노출공(111)을 통해 본체(110) 내부로 삽입되지 않게 구비된다.
결합고리(157,157a)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A)이 적재되기 전에는 와이어노출공(111)에 위치되고, 물품(A)이 적재되면,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에 의해 당겨져 수평바(133)의 고리결합부재(135)에 걸림결합된다.
결합고리(157,157a)가 고리결합부재(135)에 걸림결합되므로 물품(A)과 물품적재그물(140)의 결합상태가 안정적으로 구속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드론(100)은 메인와이어(151)와 보조와이어(153)를 작업자가 손으로 결합고리(157,157a)를 당겨 본체(110)로 당기거나 랜딩레그(130) 측으로 풀려지게 한다. 그러나, 이는 일례일 뿐이며 경우에 따라 본체(110) 내부에 메인와이어(151)와 보조와이어(153)를 권취하는 권취모터(미도시)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리모컨으로 인가하는 신호에 따라 정역회전하며 자동으로 메인와이어(151)와 보조와이어(153)가 감기거나 풀려지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결합고리(157,157a)와 고리결합부재(135) 없이도 메인와이어(151)와 보조와이어(153)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100)을 이용한 물품 이송과정을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드론(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착륙한 상태에서 물품적재그물(140)에 물품(A)을 적재하게 된다. 물품(A)이 적재되기 전에 물품적재그물(140)은 도 2와 도 3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랜딩레그(130) 사이의 하부 공간에 펼쳐져서 위치된다.
이 때, 물품적재그물(140)의 모서리 영역으로부터 연장형성된 네 개의 메인와이어(151)는 각각 두 쌍의 수직기둥(131)의 수평오픈홈(132a) 내에 위치된다. 한 쌍의 보조와이어(153)는 메인와이어(151)와 동일한 높이로 풀려져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물품적재그물(140)의 상면에 물품(A)이 적재되면, 작업자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외부로 노출된 결합고리(157,157a)를 당겨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바(133)의 결합고리(157,157a)에 고정시킨다.
이 때, 작업자가 결합고리(157,157a)를 당기면 메인와이어(151)와 보조와이어(153)가 함께 당겨진다. 이에 의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와이어(151)가 와이어권취드럼(155,155a)에 감겨지며 수직안내홈(132b)을 통해 수직기둥(131) 상부로 당겨진다. 이에 의해 물품적재그물(140)의 네 모서리 영역이 수직안내홈(132b)을 따라 상부로 이동되며 물품(A)의 외부를 감싸게 된다.
또한, 보조와이어(153)가 당겨지면서 보조와이어(153)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와이어삽입공(113)으로 이동된다. 이 과정에서 도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적재그물(140)의 전방과 후방 영역이 본체(110) 측을 향해 당겨지면서 물품(A)의 외부를 감싸게 된다.
메인와이어(151)와 보조와이어(153)는 물품(A)의 형상에 관계없이 본체(110) 내부로 당겨지고, 이에 따라 물품적재그물(140)은 물품(A)의 외부를 감싸게 되므로 물품(A)의 형상에 관계없이 물품적재그물(140) 상에 적재될 수 있다.
또한, 메인와이어(151)와 보조와이어(153)가 탄성을 갖는 소재로 구비되므로 물품(A)의 크기와 관계없이 물품적재그물(14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드론(100)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적재그물(140)에 물품(A)의 고정이 완료되면, 프로펠러(120)를 구동하여 이륙하고, 물품의 배송지로 비행한다. 물품의 배송지에 도착하면, 작업자는 결합고리(157,157a)를 고리결합부재(135)로부터 분리하여 물품(A)을 감싸고 있던 물품적재그물(140)을 도 3의 (a)와 같이 하부로 펼쳐지게 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물품(A)을 물품적재그물(140)로부터 하역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은 물품이 수용될 공간이 특정형상을 갖는 형태가 아니고 형상이 가변되는 물품적재그물로 구비된다. 물품적재그물은 물품이 적재되기 전에는 랜딩레그의 하부에 수평하게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고, 물품이 적재되면 물품형상조절부에 의해 물품의 외부를 감싸게 형상이 조절된다.
이에 의해 비행시간 동안 물품적재그물이 물품을 감싸 물품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형상이 가변되는 물품적재그물을 이용하여 물품을 적재하므로, 정해진 형상의 물품 뿐만 아니라 비정형 물품도 이송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 몇 가지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00 : 드론 110 : 본체
111 : 와이어노출공 113 : 보조와이어삽입공
120 : 프로펠러 130 : 랜딩레그
131 : 수직기둥 132 : 메인와이어삽입공
132a : 수평오픈홈 132b : 수직안내홈
133 : 수평바 135 : 고리결합부재
140 : 물품적재그물 150 : 그물형상조절부
151 : 메인와이어 153 : 보조와이어
155,155a : 와이어권취드럼 157,157a : 결합고리
A : 물품

Claims (3)

  1. 삭제
  2. 상부에 복수개의 프로펠러(120)가 구비되고, 하부에 랜딩레그(130)가 구비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하부에 상기 랜딩레그(130) 사이에 배치되어 상면에 물품이 적재되는 물품적재그물(140)과;
    상기 물품적재그물(140)이 펼쳐지거나 오무려지도록 상기 물품적재그물(140)의 형상을 조절하는 그물형상조절부(150)를 포함하며,
    상기 랜딩레그(130)는,
    상기 본체(110)의 좌우에 각각 구비된 두 쌍의 수직기둥(131)과;
    상기 두 쌍의 수직기둥(131)의 하단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수평바(133)를 포함하며,
    상기 그물형상조절부(150)는,
    상기 물품적재그물(140)의 네 모서리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두 쌍의 수직기둥(131)의 내부를 통해 상기 본체(110) 내부로 공급되는 메인와이어(151)와;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되며 상기 메인와이어(151)가 권취되거나 풀려지게 지지하는 와이어권취드럼(155,155a)을 포함하며,
    상기 랜딩레그(130)는,
    상기 수직기둥(131)의 높이방향으로 상기 메인와이어(151)를 상기 본체(110)로 안내하는 일정길이의 수직안내홈(132b)이 구비되며,
    상기 수평바(133)에는 상기 수직안내홈(132b)과 연통되며 수평방향으로 점차 넓이가 넓어지게 확장되는 수평오픈홈(132a)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형 물품 이송이 가능한 드론.
  3. 상부에 복수개의 프로펠러(120)가 구비되고, 하부에 랜딩레그(130)가 구비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하부에 상기 랜딩레그(130) 사이에 배치되어 상면에 물품이 적재되는 물품적재그물(140)과;
    상기 물품적재그물(140)이 펼쳐지거나 오무려지도록 상기 물품적재그물(140)의 형상을 조절하는 그물형상조절부(150)를 포함하며,
    상기 랜딩레그(130)는,
    상기 본체(110)의 좌우에 각각 구비된 두 쌍의 수직기둥(131)과;
    상기 두 쌍의 수직기둥(131)의 하단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수평바(133)를 포함하며,
    상기 그물형상조절부(150)는,
    상기 물품적재그물(140)의 네 모서리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두 쌍의 수직기둥(131)의 내부를 통해 상기 본체(110) 내부로 공급되는 메인와이어(151)와;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되며 상기 메인와이어(151)가 권취되거나 풀려지게 지지하는 와이어권취드럼(155,155a)을 포함하며,
    상기 그물형상조절부(150)는,
    상기 물품적재그물(140)의 전후방향의 가운데 영역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본체(110)의 하부를 통해 상기 본체(110) 내부로 공급되는 보조와이어(15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형 물품 이송이 가능한 드론.
KR1020200168130A 2020-12-04 2020-12-04 비정형 물품 이송이 가능한 드론 KR102371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130A KR102371103B1 (ko) 2020-12-04 2020-12-04 비정형 물품 이송이 가능한 드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130A KR102371103B1 (ko) 2020-12-04 2020-12-04 비정형 물품 이송이 가능한 드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1103B1 true KR102371103B1 (ko) 2022-03-10

Family

ID=80816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8130A KR102371103B1 (ko) 2020-12-04 2020-12-04 비정형 물품 이송이 가능한 드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11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4809A (ko) 2022-10-19 2024-04-26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드론용 다지점 배송 적재함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02405B2 (en) * 2012-07-18 2015-08-11 Princetel Inc. Cable-tethered helicopter surveillance system
US20170029099A1 (en) * 2015-03-31 2017-02-02 Zhuhai Yuren Agricultural Aviation Co., Ltd. Multifunctional flying platform
WO2019030832A1 (ja) * 2017-08-08 2019-02-14 中国電力株式会社 無人飛行体、及び受電コイルユニット
KR20190003060U (ko) 2018-06-01 2019-12-11 박세훈 택배 물품 정보 확인 및 택배 물품 운반 드론
US20200071001A1 (en) * 2015-04-07 2020-03-05 John Alcorn Unmanned aerial vehicle docking system
KR102114338B1 (ko) 2019-02-19 2020-06-17 주식회사 이노컨 다기능 물품탑재 기능을 갖는 드론
KR102192769B1 (ko) * 2020-05-26 2020-12-21 하상균 드론을 이용한 고기잡이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02405B2 (en) * 2012-07-18 2015-08-11 Princetel Inc. Cable-tethered helicopter surveillance system
US20170029099A1 (en) * 2015-03-31 2017-02-02 Zhuhai Yuren Agricultural Aviation Co., Ltd. Multifunctional flying platform
US20200071001A1 (en) * 2015-04-07 2020-03-05 John Alcorn Unmanned aerial vehicle docking system
WO2019030832A1 (ja) * 2017-08-08 2019-02-14 中国電力株式会社 無人飛行体、及び受電コイルユニット
KR20190003060U (ko) 2018-06-01 2019-12-11 박세훈 택배 물품 정보 확인 및 택배 물품 운반 드론
KR102114338B1 (ko) 2019-02-19 2020-06-17 주식회사 이노컨 다기능 물품탑재 기능을 갖는 드론
KR102192769B1 (ko) * 2020-05-26 2020-12-21 하상균 드론을 이용한 고기잡이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rone delivery allowed, if the delivery comes down from the sky.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4504645&memberNo=724 (2016.06.21.)* *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4504645&memberNo=724 드론 택배 허용, 하늘에서 택배가 내린다면(2016.06.21.)*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4809A (ko) 2022-10-19 2024-04-26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드론용 다지점 배송 적재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76573B2 (ja) セルフサービスパーセルキャビネット
EP3841013B1 (en) External containment apparatus for unmanned aerial vehicle
US11898368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housing including deployable landing pads
US5344203A (en) Aerodynamically-stabilized collapsible personnel and cargo basket for helicopters
KR102371103B1 (ko) 비정형 물품 이송이 가능한 드론
WO2018072654A1 (zh) 自动卸货载具及无人机
US4881601A (en) Apparatus for deployment of aerial-drop units
WO2017117291A1 (en) Tethered unmanned aerial system
KR102006171B1 (ko) 드론 탈착형 적재함
CN108513559B (zh) 机架及多旋翼无人机
KR102106717B1 (ko) 드론과 풍선을 이용한 무선통신 중계 장치
JP3204086U (ja) 空中撮影装置
US3356316A (en) Hinged spar flexible wing glider
KR101860723B1 (ko) 드론용 제품상자
KR20190046197A (ko) 드론을 이용한 크레인 게임장치
KR102371104B1 (ko) 관측장비 높이 조절이 가능한 드론
CN217649657U (zh) 一种无人机起落平台
KR102265865B1 (ko) 다수 물품을 배송하기 위한 원격 다지점 배송용 드론 적재함, 이를 구비하는 드론, 드론 시스템 및 원격 다지점 배송 방법
JP2021079735A (ja) ドローン荷受け装置
NL2018752B1 (en) Landing station for UAVs, and container comprising the landing station
US20240150016A1 (en) Payload Receiver Apparatus for Use With a UAV
KR20230166024A (ko) Ufo식 드론
KR20230131976A (ko) Ufo식 드론
JP2023001713A (ja) 荷処理施設及び荷処理方法
KR20230021223A (ko) Ufo식 드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