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5880A - 유로를 최적화시킨 커넥터가 구비되는 정수기 - Google Patents

유로를 최적화시킨 커넥터가 구비되는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5880A
KR20190045880A KR1020180127460A KR20180127460A KR20190045880A KR 20190045880 A KR20190045880 A KR 20190045880A KR 1020180127460 A KR1020180127460 A KR 1020180127460A KR 20180127460 A KR20180127460 A KR 20180127460A KR 20190045880 A KR20190045880 A KR 20190045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housing
connector
passage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7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0165B1 (ko
Inventor
공종호
이동희
신현섭
이은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코그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코그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코그램
Publication of KR20190045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5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수돗물 등의 원수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유로를 최적화시킨 커넥터가 구비되는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를 최적화시킨 커넥터가 구비되는 정수기는
좌,우측에 제1,2공간수용부가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일측에 끼워맞춤되고,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 유입용 호스 및 정수가 배출되는 정수 배출용 호스가 연결되는 입,출수용 사이드 힌지;
상기 제1수용부에 안착되고, 상기 입,출수측 사이드 힌지에 의해 일측이 임의각도내에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원수 유입용 호스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를 정수처리하기 위한 제1필터하우징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커넥터;
상기 프레임 중간측에 끼워맞춤되고, 상기 제1커넥터 타측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센터 힌지;
상기 제2수용부에 안착되고, 상기 센터 힌지에 의해 일측이 임의각도내에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1필터하우징을 통과하는 정수(전처리수)를 정수처리하기 위한 제2필터하우징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커넥터;
상기 프레임 타측에 끼워맞춤되고, 상기 제2필터하우징에 의해 여과되는 농축수가 배출되는 농축수 배출용 호스가 연결되며, 상기 제2커넥터 타측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농축수용 사이드 힌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를 최적화시킨 커넥터가 구비되는 정수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로를 최적화시킨 커넥터가 구비되는 정수기{a water purifier having connector with optimization fluid}
본 명세서는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돗물 등의 원수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유로를 최적화시킨 커넥터가 구비되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원수는 외부로부터 정수필터에 유입되는 수돗물, 또는 지하수 등의 물을 의미하고, 정수는 정수필터에 의해 여과된 후 배출되는 음용가능한 물을 의미하며, 농축수는 RO필터에 의해 여과된 폐수를 의미한다.
입,출수용 사이드 힌지는 원수 유입용 호스 및 정수 배출용 호스가 결합되고 일반(전처리 및 후처리 필터용) 커넥터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프레임에 결합되고, 센터 힌지는 일반 커넥터 및 RO 커넥터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프레임에 결합되며, 농축수용 사이드 힌지는 농축수 배출용 호스가 결합되고 RO 커넥터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프레임에 결합되는 힌지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환경오염으로 인해 수돗물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면서 정수기 사용량이 점차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정수기는 수돗물, 또는 지하수(이하, 원수 라고 함)를 여과하기 위한 장치로서, 원수를 다양한 종류의 필터를 통과시켜 원수 중에 포함되는 인체에 유해한 이물질, 중금속 등을 여과시킴에 따라 깨끗한 정수를 음용할 수 있게 된다.
최근에는 1인 가족, 소형 가족 증가로 인해 정수기의 소형화, 슬림화, 복합화 추세로 변화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최소 2종 이상의 정수용 소재가 하나의 필터하우징 내에 형성되는 복합필터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도면에는 미 되었으나, 종래 기술에 의한 커넥터가 구비되는 정수기는
주방 등의 벽면에 고정되는 프레임과,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 유입용 호스가 결합되고, 원수를 정수처리하는 제1필터하우징이 결합되는 제1커넥터를 지지하는 입수측 사이드 힌지와,
제1필터하우징을 통과하는 정수를 정수처리하는 제2필터하우징이 결합되는 제2커넥터를 지지하는 중간측 한 쌍의 힌지와,
제2필터하우징을 통과하는 정수 맛을 개선하기 위한 제3필터하우징이 결합되는 제3커넥터를 지지하고, 정수가 배출되는 정수 배출용 호스가 결합되는 출수측 사이드힌지를 구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정수기는 프레임에 결합되는 입수측 사이드 힌지 및 출수측 사이드 힌지를 고정하기 위해 스크류 등의 부품을 사용하게 되므로 부품수가 증가되어 원가비용이 상승되고, 작업공수 증가로 인해 인건비용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또한, 제1,2,3커넥터 및 제1,2,3필터하우징이 직렬형으로 연통되도록 이음연결됨에 따라 이들을 포함하는 정수기의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대형화된다. 이로 인해 협소한 공간의 주방 등에 사이즈가 큰 정수기를 설치할 경우 정수기로 인해 주방 등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326805호에 정수기 필터 케이스용 커넥터가 게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정수기가 설치되는 주방 벽면에 고정되는 프레임에 커넥터 및 힌지를 끼워맞춤식으로 조립하여 조립하는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유로를 최적화시킨 커넥터가 구비되는 정수기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정수필터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를 2단형으로 형성(종래 정수기는 커넥터 및 정수필터가 직렬형 3단형으로 이루어짐)하여 주방 등에서 정수기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유로를 최적화시킨 커넥터가 구비되는 정수기와 관련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좌,우측에 제1,2수용부가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일측에 끼워맞춤되고,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 유입용 호스 및 정수가 배출되는 정수 배출용 호스가 연결되는 입,출수용 사이드 힌지;
상기 제1수용부에 안착되고, 상기 입,출수측 사이드 힌지에 의해 일측이 임의각도내에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원수 유입용 호스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를 정수처리하기 위한 제1필터하우징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커넥터;
상기 프레임 중간측에 끼워맞춤되고, 상기 제1커넥터 타측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센터 힌지;
상기 제2수용부에 안착되고, 상기 센터 힌지에 의해 일측이 임의각도내에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1필터하우징을 통과하는 정수(전처리수)를 정수처리하기 위한 제2필터하우징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커넥터;
상기 프레임 타측에 끼워맞춤되고, 상기 제2필터하우징에 의해 여과되는 농축수가 배출되는 농축수 배출용 호스가 연결되며, 상기 제2커넥터 타측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농축수용 사이드 힌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를 최적화시킨 커넥터가 구비되는 정수기를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정수기가 설치되는 주방 등의 벽면에 고정되는 프레임에 커넥터 및 힌지(입,출수용 사이드 힌지, 센터 힌지 및 농축수용 사이드 힌지를 말함)를 끼워맞춤식으로 조립하여, 스크류 등이 불필요하여 조립하는 작업공수를 줄임에 따라 원가비용이 절감되어 제품의 가격을 낮출 수 있어 동업종분야에서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정수필터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를 2단형(전처리 및 후처리필터용 커넥터 및 RO 커넥터로 이루어짐)으로 형성하여 협소한 주방에서 정수기가 차지하는 공간을 축소시킴에 따라 실용성 및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로를 최적화시킨 커넥터가 구비되는 정수기에서, 커넥터 및 필터하우징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의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커넥터의 평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의 사용상태도,
도 5(a,b)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에 결합되는 정수필터의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커넥터의 분리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로를 최적화시킨 커넥터가 구비되는 정수기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로를 최적화시킨 커넥터가 구비되는 정수기는
주방 등의 싱크대 벽면에 고정되고, 좌,우측에 제1,2수용부(10,11)가 형성되는 프레임(12);
프레임(12) 일측에 끼워맞춤되고, 수돗물, 지하수 등의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 유입용 호스(미 도시됨) 및 정수가 배출되는 정수 배출용 호스(미 도시됨)가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입,출수용 사이드 힌지(13);
제1수용부(10)에 안착되고, 입,출수측 사이드 힌지(13)에 의해 일측이 임의각도내에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원수 유입용 호스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를 정수처리하기 위한 제1필터하우징(14)(일 예로서, 전처리필터(45)와 후처리필터(46)로 이루어짐)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커넥터(15);
프레임(12) 중간측에 끼워맞춤되고, 제1커넥터(15) 타측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센터 힌지(16);
제2수용부(11)에 안착되고, 센터 힌지(16)에 의해 일측이 임의각도내에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제1필터하우징(14)을 통과하는 정수(전처리수)를 정수처리하기 위한 제2필터하우징(17)(제1필터하우징(14)으로부터 유입되는 전처리수를 정수와 농축수로 정수처리하는 RO필터(51)가 설치됨)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커넥터(18);
프레임(12) 타측에 끼워맞춤되고, 제2필터하우징(17)의 RO필터(51)에 의해 여과되는 농축수가 배출되는 농축수 배출용 호스(미 도시됨)가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제2커넥터(18) 타측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농축수용 사이드 힌지(19);를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센터 힌지(16)는
제1필터하우징(14)에 의해 정수처리된 후 제2필터하우징(17)에 유입되는 정수(전처리수) 압력을 임의압력으로 높일 수 있도록 제1필터하우징(14)에 의해 정수처리된 정수(전처리수)를 펌프(20)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제1튜브(21);
펌프(20)에 의해 승압된 정수(전처리수)를 센터 힌지(16)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제2튜브(22);를 구비한다.
프레임(12)의 좌측에 대향되게 형성되고, 입,출수용 사이드 힌지(13)의 좌,우측에 형성되는 플랜지(23)와, 제1커넥터(15)의 일측에 형성되는 플랜지(24)를 압착지지함에 따라, 제1필터하우징(14) 내에 설정압을 초과하는 과압 발생시 제1커넥터(15)로부터 입,출수용 사이드 힌지(13)의 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제1클램프(25);
프레임(12)의 중간측에 대향되게 형성되고, 제1,2커넥터(15,18)의 일측에 형성되는 플랜지(26,27)와, 센터 힌지(16)의 좌,우측에 형성되는 플랜지(28)를 압착지지함에 따라, 제1필터하우징(14) 또는 제2필터하우징(17) 내에 설정압을 초과하는 과압 발생시 제1,2커넥터(15,18)로부터 센터 힌지(16)의 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제2클램프(29);
프레임(12)의 우측에 대향되게 형성되고, 농축수용 사이드 힌지(19)의 좌,우측에 형성되는 플랜지(30)와, 제2커넥터(18)의 일측에 형성되는 플랜지(27)를 압착지지함에 따라, 제2필터하우징(17) 내에 설정압을 초과하는 과압 발생시 제2커넥터(18)로부터 농축수용 사이드 힌지(19)의 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제3클램프(31);를 구비한다.
전술한 입,출수용 사이드 힌지(13)는
원수 유입용 호스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가 이송되는 제1이송관(32);
제1이송관(32)에 동심원을 이루어 외측으로 형성되고, 제1필터하우징(14)을 통과하는 정수(후처리수)를 정수 배출용 호스로 이송하기 위한 제2이송관(33)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전술한 센터 힌지(16)는
제1필터하우징(14)으로부터 배출되는 정수(전처리수)를 센터 힌지(16)의 제1튜브(21)로 이송하기 위한 제1통로(34)와, 제1통로(34)와 단절되고 제1통로(34)에 동축상으로 형성되며 센터 힌지(16)의 제2튜브(22)를 통해 복귀되는 승압된 정수(전처리수)를 제2필터하우징(17)에 이송하기 위한 제2통로(35)와, 제2필터하우징(17)으로부터 배출되는 정수(RO수)를 제1필터하우징(14)에 이송하기 위한 제3통로(36)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전술한 농축수용 사이드 힌지(19)는
제2필터하우징(17)으로부터 여과되어 배출되는 농축수를 농축수 배출용 호스(미 도시됨)로 이송하기 위한 제3튜브(37)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제1커넥터(15)는
입,출수용 사이드 힌지(13)의 제1이송관(32)을 통해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 유입통로(38);
원수 유입통로(38)의 외측으로 형성되고, 제1필터하우징(14)으로부터 정수(전처리수)가 배출되는 전처리수 배출통로(39);
제2필터하우징(17)으로부터 정수처리된 RO수가 유입되는 RO수 유입통로(40);
제1필터하우징(14)으로부터 정수처리된 정수(후처리수)가 배출되는 후처리수 배출통로(41);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제2커넥터(18)는
센터 힌지(16)의 제2통로(35)를 통해 정수(전처리수)가 유입되는 전처리수 유입통로(42);
전처리수 유입통로(42)의 외측으로 동심원으로 이루어 형성되고, 제2필터하우징(17)으로부터 정수(RO수)가 배출되는 RO수 배출통로(43);
RO수 배출통로(43) 외측으로 동심원으로 이루어 형성되고, 제2필터하우징(17)으로부터 농축수가 배출되는 농축수 배출통로(44);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제1필터하우징(14)의 개구부에 설치되고, 제1커넥터(15)의 원수 유입통로(38)를 통과하는 원수가 전처리필터(45)에 유입되는 원수 유입통로(39)와, 전처리필터(45)를 통과한 전처리수가 제1필터하우징(14)으로부터 배출되는 전처리수 배출통로(39)와, 제2필터하우징(17)으로부터 배출되는 RO수가 제1필터하우징(14)의 후처리필터(46)에 유입되는 RO수 통로(40)와, 후처리필터(46)를 통과한 후처리수가 제1필터하우징(14)으로부터 배출되는 후처리수 배출통로(41)가 형성되는 제1유로전환가이드(48);를 더 구비한다.
제2필터하우징(17)의 개구부에 설치되고, 제1필터하우징(14)의 전처리필터(45)를 통과한 전처리수가 유입되는 전처리수 유입통로(42)와, 제2필터하우징(17)의 RO필터(51)를 통과한 RO수가 배출되는 RO수 배출통로(43)와, RO필터(51)를 통과한 농축수가 배출되는 농축수 배출통로(44)가 동심원을 이루어 형성되는 제2유로전환가이드(49);를 더 구비한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47은 프레임(12)의 요홈(미 도시됨)에 개폐가능하게 요철결합되어 조립되고, 입,출수용 사이드 힌지(13), 센터 힌지(16) 및 농축수용 사이드 힌지(19)를 감싸 지지하는 커버이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를 최적화시킨 커넥터가 구비되는 정수기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수돗물, 지하수 등의 원수가 원수 유입용 호스(미 도시됨)를 통해 입,출수용 사이드 힌지(13)의 제1이송관(32)에 유입된다.
제1이송관(32)에 유입된 원수는 제1커넥터(15)의 원수 유입통로(38)를 통과한 후, 제1필터하우징(14)의 개구부에 설치된 제1유로전환가이드(48)의 원수 통로(도면부호 미 표기)를 통과하여 제1필터하우징(14)의 밑으로 이동된다.
이로 인해, 제1필터하우징(14)에 유입된 원수 중에 포함된 먼지, 흙 등의 부유물질을 제1필터하우징(14)의 하측에 설치된 전처리필터(45)(일 예로서, 세디먼트필터 또는 프리카본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에 의해 여과하게 된다.
이때, 전처리필터(45)에 의해 원수 중 부유물질 등을 여과하는 기술내용은 당해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처리필터(45)를 통과한 전처리수는 후처리필터(46)의 중앙에 형성된 코어(50)를 따라 도면상,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필터하우징(14)의 개구부에 설치된 제1유로전환가이드(48)의 전처리수 통로(도면부호 미 표기)를 통과함에 따라 제1커넥터(15)의 전처리수 배출통로(39)로 이동된다.
전처리수 배출통로(39)에 이동된 전처리수는 센터 힌지(16)의 제1통로(34)에 이동된 후, 제1통로(34)와 연통된 센터 힌지(16)의 제1튜브(21)를 통해 펌프(20)측으로 배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처리필터(45)에 의해 정수처리된 전처리수가 제1유로전환가이드(48)를 통과하여 제1필터하우징(14)으로부터 배출된 후, 제1커넥터(15) 및 센터 힌지(16)를 차례로 통과하여 펌프(20)에 이동됨에 따라, 펌프(20)에 의해 전처리수를 임의압력으로 승압시키게 된다.
펌프(20)에 의해 승압된 전처리수는 센터 힌지(16)의 제2튜브(22)를 통해 센터 힌지(16)로 복귀된다.
이때, 전처리필터(45)에 의해 정수처리된 전처리수를 제1튜브(21)에 의해 센터 힌지(16)로부터 펌프(20)에 공급하고, 펌프(20)에 의해 임의압력으로 승압된 전처리수를 제2튜브(22)에 의해 센터 힌지(16)로 복귀시키는 기술내용은 당해분야에서 사용되는 구성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펌프(20)로부터 센터 힌지(16)의 제2통로(35)에 복귀된 전처리수는 제2커넥터(18)의 전처리수 유입통로(42)에 이동된 후, 제2필터하우징(17)의 개구부에 설치된 제2유로전환가이드(49)의 전처리수 통로(도면부호 미 표기)를 통과하여 제2필터하우징(17)에 유입된다.
제2필터하우징(17)에 유입된 전처리수 일부가 RO필터(51) 또는 UF필터(미 도시됨)를 통과하게 되므로 전처리수 중에 포함된 미세한 이물질, 중금속 등을 정수처리하게 된다. 이때 RO필터(51)에 의해 전처리수 중 중금속 등을 정수처리하는 기술내용은 당해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RO필터(51) 또는 UF필터를 통과하여 정수처리된 정수(RO수)는 RO필터(51)의 중앙에 형성된 코어(52)에 집수된 후, 제2필터하우징(17)의 개구부에 설치된 제2유로전환가이드(49)의 정수 통로(도면부호 미 표기)를 통과한 후, 제2커넥터(18)의 RO수 유입통로(43)로 이동된다.
이와 동시에, RO필터(51)에 의해 여과된 농축수는 제2유로전환가이드(49)의 농축수 통로(도면부호 미 표기)를 통과한 후, 제2커넥터(18)의 농축수 배출통로(44)로 이동된다.
농축수 배출통로(44)에 이동된 농축수는 농축수용 사이드 힌지(19)에 연통되도록 연결된 농축수 배출용 호스를 통해 싱크대(미 도시됨)의 계수대에 배출된다.
한편, RO필터(51)에 의해 정수처리된 후 제2필터하우징(17)으로부터 제2커넥터(18)에 이동된 정수(RO수)는 제2커넥터(18)의 RO수 유입통로(43)를 따라 이동되어 센터 힌지(16)의 제3통로(36)에 이동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센터 힌지(16)의 제3통로(36)에 이동된 정수(RO수)는 제1커넥터(15)의 RO수 유입통로(40)를 통과한 후, 제1필터하우징(14)의 제1유로전환가이드(48)의 RO수 통로(도면부호 미 표기)를 통해 제1필터하우징(14)에 유입된다.
제1필터하우징(14)에 유입된 정수(RO수)는 제1필터하우징(14) 상부에 내설된 후처리필터(46)를 도면상,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필터하우징(14)에 유입된 정수(RO수)를 후처리필터(46)를 통과시킴에 따라 정수 물맛을 개선시키는 기술내용은 당해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후처리필터(46)를 통과한 정수(후처리수)는 중앙에 형성된 코어(50)와 후처리필터(46)사이의 통로에 집수된 후, 도면상 상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유로전환가이드(48)의 RO수 통로(도면부호 미 표기)를 통과하여 제1필터하우징(14)으로부터 배출된다.
제1유로전환가이드(48)의 RO수 통로를 통과한 정수(후처리수)는 제1커넥터(15)의 RO수 유입통로(40)를 따라 입,출수용 사이드 힌지(13)쪽으로 이동된다.
즉, 제1커넥터(15)로부터 입,출수용 사이드 힌지(13)의 제2이송관(33)에 이동된 정수(후처리수)는 정수 배출용 호스를 통해 미 도시된 정수기의 파우셋, 코크 등으로 이동된다.
한편, 프레임(12)의 좌측에 대향되게 형성된 제1클램프(25)에 의해 입,출수용 사이드 힌지(13)의 좌,우측에 형성되는 플랜지(23)와, 제1커넥터(15)의 일측에 형성되는 플랜지(24)를 압착지지함에 따라, 제1필터하우징(14) 내에 설정압을 초과하는 과압이 발생되는 경우 제1커넥터(15)로부터 입,출수용 사이드 힌지(13)의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2)의 중간측에 대향되게 형성된 제2클램프(29)에 의해 제1,2커넥터(15,18)의 일측에 형성되는 플랜지(26,27)와, 센터 힌지(16)의 좌,우측에 형성되는 플랜지(28)를 압착지지함에 따라, 제1필터하우징(14) 또는 제2필터하우징(17) 내에 설정압을 초과하는 과압이 발생되는 경우 제1,2커넥터(15,18)로부터 센터 힌지(16)의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2)의 우측에 대향되게 형성된 제3클램프(31)에 의해 농축수용 사이드 힌지(19)의 좌,우측에 형성되는 플랜지(30)와, 제2커넥터(18)의 일측에 형성되는 플랜지(27)를 압착지지함에 따라, 제2필터하우징(17) 내에 설정압을 초과하는 과압이 발생되는 경우 제2커넥터(18)로부터 농축수용 사이드 힌지(19)의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명세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제1수용부
12; 프레임
14; 제1필터하우징
16; 센터 힌지
18; 제2커넥터
20; 펌프
22; 제2튜브
24; 플랜지
26; 플랜지
28; 플랜지
30; 플랜지
32; 제1이송관
34; 제1통로
36; 제3통로
38; 원수 유입통로
40; RO수 유입통로
42; 전처리수 유입통로
44; 농출수 배출통로

Claims (9)

  1. 좌,우측에 제1,2공간수용부가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일측에 끼워맞춤되고,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 유입용 호스 및 정수가 배출되는 정수 배출용 호스가 연결되는 입,출수용 사이드 힌지;
    상기 제1수용부에 안착되고, 상기 입,출수측 사이드 힌지에 의해 일측이 임의각도내에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원수 유입용 호스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를 정수처리하기 위한 제1필터하우징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커넥터;
    상기 프레임 중간측에 끼워맞춤되고, 상기 제1커넥터 타측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센터 힌지;
    상기 제2수용부에 안착되고, 상기 센터 힌지에 의해 일측이 임의각도내에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1필터하우징을 통과하는 정수(전처리수)를 정수처리하기 위한 제2필터하우징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커넥터;
    상기 프레임 타측에 끼워맞춤되고, 상기 제2필터하우징에 의해 여과되는 농축수가 배출되는 농축수 배출용 호스가 연결되며, 상기 제2커넥터 타측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농축수용 사이드 힌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를 최적화시킨 커넥터가 구비되는 정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힌지는
    상기 제1필터하우징에 의해 정수처리되고 상기 제2필터하우징에 유입되는 정수 압력을 임의압력으로 높일 수 있도록 상기 제1필터하우징에 의해 정수처리된 정수를 펌프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제1튜브;
    상기 펌프에 의해 승압된 정수를 상기 센터 힌지로 복귀시키기 위한 제2튜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를 최적화시킨 커넥터가 구비되는 정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좌측에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입,출수용 사이드 힌지의 좌,우측에 형성되는 플랜지와, 상기 제1커넥터의 일측에 형성되는 플랜지를 압착지지하여 상기 제1커넥터로부터 상기 입,출수용 사이드 힌지의 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제1클램프;
    상기 프레임의 중간측에 대향되게 형성되고, 제1,2커넥터의 일측에 형성되는 플랜지와, 상기 센터 힌지의 좌,우측에 형성되는 플랜지를 압착지지하여 제1,2커넥터로부터 상기 센터 힌지의 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제2클램프;
    상기 프레임의 우측에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농축수용 사이드 힌지의 좌,우측에 형성되는 플랜지와, 상기 제2커넥터의 일측에 형성되는 플랜지를 압착지지하여 상기 제2커넥터로부터 상기 농축수용 사이드 힌지의 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제3클램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를 최적화시킨 커넥터가 구비되는 정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수용 사이드 힌지는
    상기 원수 유입용 호스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가 이송되는 제1이송관;
    상기 제1이송관에 동심원을 이루어 외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필터하우징을 통과하는 정수(후처리수)를 상기 정수 배출용 호스로 이송하기 위한 제2이송관;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를 최적화시킨 커넥터가 구비되는 정수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힌지는
    상기 제1필터하우징으로부터 배출되는 정수(전처리수)를 상기 제1튜브로 이송하기 위한 제1통로;
    상기 제1통로와 단절되고 상기 제1통로에 동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튜브를 통해 복귀되는 승압된 정수(전처리수)를 상기 제2필터하우징에 이송하기 위한 제2통로;
    상기 제2필터하우징으로부터 배출되는 정수(RO수)를 상기 제1필터하우징에 이송하기 위한 제3통로;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를 최적화시킨 커넥터가 구비되는 정수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수용 사이드 힌지는
    상기 제2필터하우징으로부터 배출되는 농축수를 상기 농축수 배출용 호스로 이송하기 위한 제3튜브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를 최적화시킨 커넥터가 구비되는 정수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제1이송관을 통해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 유입통로;
    상기 원수 유입통로의 외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필터하우징으로부터 정수(전처리수)가 배출되는 전처리수 배출통로;
    상기 제2필터하우징으로부터 RO수가 유입되는 RO수 유입통로;
    상기 제1필터하우징으로부터 정수(후처리수)가 배출되는 후처리수 배출통로;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를 최적화시킨 커넥터가 구비되는 정수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센터 힌지의 제2통로를 통해 정수(전처리수)가 유입되는 전처리수 유입통로;
    상기 전처리수 유입통로의 외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필터하우징으로부터 정수(RO수)가 배출되는 RO수 배출통로;
    상기 RO수 배출통로 외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필터하우징으로부터 농축수가 배출되는 농축수 배출통로;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를 최적화시킨 커넥터가 구비되는 정수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터하우징은
    상기 제1필터하우징의 개구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커넥터의 원수 유입통로를 통과하는 원수가 전처리필터에 유입되는 원수 유입통로와, 상기 전처리필터를 통과한 전처리수가 상기 제1필터하우징으로부터 배출되는 전처리수 배출통로와, 상기 제2필터하우징으로부터 배출되는 RO수가 상기 제1필터하우징의 후처리필터에 유입되는 RO수 통로와, 상기 후처리필터를 통과한 후처리수가 상기 제1필터하우징으로부터 배출되는 후처리수 배출통로가 형성되는 제1유로전환가이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필터하우징은
    상기 제2필터하우징의 개구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필터하우징의 전처리필터를 통과한 전처리수가 유입되는 전처리수 유입통로와, 상기 제2 필터하우징의 RO필터를 통과한 RO수가 배출되는 RO수 배출통로와, 상기 RO필터를 통과한 농축수가 배출되는 농축수 배출통로가 동심원을 이루어 형성되는 제2유로전환가이드;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를 최적화시킨 커넥터가 구비되는 정수기.
KR1020180127460A 2017-10-24 2018-10-24 유로를 최적화시킨 커넥터가 구비되는 정수기 KR1026201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38224 2017-10-24
KR1020170138224 2017-10-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5880A true KR20190045880A (ko) 2019-05-03
KR102620165B1 KR102620165B1 (ko) 2024-01-04

Family

ID=66582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7460A KR102620165B1 (ko) 2017-10-24 2018-10-24 유로를 최적화시킨 커넥터가 구비되는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16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3310A1 (en) * 2021-04-08 2022-10-1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ilter head, filter and filter assembly
USD987772S1 (en) 2020-07-02 2023-05-30 Qingdao Ecopure Filter Co., Ltd. Water filter
US11872510B2 (en) 2021-07-01 2024-01-16 Qingdao Ecopure Filter Co., Ltd Water filter
USD1016970S1 (en) 2021-09-03 2024-03-05 Qingdao Ecopure Filter Co., Ltd Water filter
USD1019884S1 (en) 2021-08-03 2024-03-26 Qingdao Ecopure Filter Co., Ltd. Water filter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6150U (ko) * 2011-02-24 2012-09-03 주식회사 피코그램 입수, 정수 및 농축수 유로가 구비된 정수시스템용 힌지 및 이를 이용한 정수 시스템
KR20150057791A (ko) * 2013-11-20 2015-05-28 주식회사 피코그램 입수, 정수 및 농축수 유로가 구비되는 컨넥터바디를 포함하는 정수 시스템
KR20150094904A (ko) * 2014-02-12 2015-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필터장치
KR20160050219A (ko) * 2014-10-29 2016-05-11 주식회사 피코그램 조립형 정수시스템
KR20160112902A (ko) * 2015-03-20 2016-09-28 주식회사 피코그램 사이드 어댑터의 벌어짐 방지장치가 구비되는 정수기
KR20160115577A (ko) * 2015-03-27 2016-10-06 주식회사 피코그램 Asv가 내장되는 힌지를 구비하는 정수기
KR20170070644A (ko) * 2015-12-14 2017-06-22 주식회사 피코그램 선택적 소재 사용이 가능한 정수기용 필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6150U (ko) * 2011-02-24 2012-09-03 주식회사 피코그램 입수, 정수 및 농축수 유로가 구비된 정수시스템용 힌지 및 이를 이용한 정수 시스템
KR20150057791A (ko) * 2013-11-20 2015-05-28 주식회사 피코그램 입수, 정수 및 농축수 유로가 구비되는 컨넥터바디를 포함하는 정수 시스템
KR20150094904A (ko) * 2014-02-12 2015-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필터장치
KR20160050219A (ko) * 2014-10-29 2016-05-11 주식회사 피코그램 조립형 정수시스템
KR20160112902A (ko) * 2015-03-20 2016-09-28 주식회사 피코그램 사이드 어댑터의 벌어짐 방지장치가 구비되는 정수기
KR20160115577A (ko) * 2015-03-27 2016-10-06 주식회사 피코그램 Asv가 내장되는 힌지를 구비하는 정수기
KR20170070644A (ko) * 2015-12-14 2017-06-22 주식회사 피코그램 선택적 소재 사용이 가능한 정수기용 필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87772S1 (en) 2020-07-02 2023-05-30 Qingdao Ecopure Filter Co., Ltd. Water filter
WO2022213310A1 (en) * 2021-04-08 2022-10-1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ilter head, filter and filter assembly
US11872510B2 (en) 2021-07-01 2024-01-16 Qingdao Ecopure Filter Co., Ltd Water filter
USD1019884S1 (en) 2021-08-03 2024-03-26 Qingdao Ecopure Filter Co., Ltd. Water filter
USD1016970S1 (en) 2021-09-03 2024-03-05 Qingdao Ecopure Filter Co., Ltd Water fi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0165B1 (ko) 2024-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5880A (ko) 유로를 최적화시킨 커넥터가 구비되는 정수기
KR20190045881A (ko) 유로를 최적화시킨 정수기용 정수필터
CN204097252U (zh) 一种双出水节水型反渗滤家用净水机
NZ583583A (en) Water treatment and bypass system with prevents untreated water flowing back into the treatment chamber
US2017002835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water filtration
CN203916257U (zh) 一种前置反冲防垢过滤器
KR20190081761A (ko) 필터하우징이 턴 타입으로 교체되는 커넥터를 구비한 정수기
KR20080094679A (ko) 모듈형 역삼투 수 처리 시스템
CN209636004U (zh) 集成水路系统及净水机
KR200467519Y1 (ko) 입수, 정수 및 농축수 유로가 구비된 정수시스템용 힌지 및 이를 이용한 정수 시스템
JP2006289334A (ja) 廃棄水及び浄水を利用可能な逆浸透膜純水装置
KR20150057791A (ko) 입수, 정수 및 농축수 유로가 구비되는 컨넥터바디를 포함하는 정수 시스템
US6969462B2 (en) Pipe mounting apparatus for water filter
KR20170000573U (ko) 수도꼭지에 연결 가능한 정수 장치
CN108439503A (zh) 一种市政污水处理一体化装置
US20060213825A1 (en) Modular water treatment unit
KR20160109967A (ko) 역삼투막 시트의 어셈블리 및 이를 수용하는 역삼투막 필터
KR200191316Y1 (ko) 정수기의 필터 조립체
CN205740529U (zh) 水箱和滤瓶集成的净水系统
KR20160112902A (ko) 사이드 어댑터의 벌어짐 방지장치가 구비되는 정수기
WO201914004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leaning water filtration systems
US7048129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liquid
JP2012532009A (ja) 液体処理化学反応器
CN220520311U (zh) 具有自清洁循环功能的水路集成装置
KR102391180B1 (ko) 정수 장치용 역류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