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6150U - 입수, 정수 및 농축수 유로가 구비된 정수시스템용 힌지 및 이를 이용한 정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입수, 정수 및 농축수 유로가 구비된 정수시스템용 힌지 및 이를 이용한 정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6150U
KR20120006150U KR2020110001558U KR20110001558U KR20120006150U KR 20120006150 U KR20120006150 U KR 20120006150U KR 2020110001558 U KR2020110001558 U KR 2020110001558U KR 20110001558 U KR20110001558 U KR 20110001558U KR 20120006150 U KR20120006150 U KR 2012000615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inge
flow path
inlet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15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7519Y1 (ko
Inventor
허주송
공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코그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코그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코그램
Priority to KR20201100015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519Y1/ko
Publication of KR201200061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1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5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51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2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free carbon; comprising carbon obtained by carbonising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olog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수필터가 착탈되는 커넥터 후방에 결합되며 입수, 정수 및 농축수 유로가 구비된 힌지 및 이를 이용한 정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입수, 정수 및 농축수 유로가 구비된 정수 시스템용 힌지는,
정수필터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를 구비하는 정수 시스템용 힌지에 있어서,
커넥터 후방에 결합되어 커넥터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는,
외부로부터 입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입구와 연통되고 유입구를 통과하는 입수를 커넥터에 유입시키는 입수 유로와,
정수필터에 의해 여과된 정수가 배출되는 정수 유로와,
정수필터에 의해 여과된 농축수가 배출되는 농축수 유로와,
정수 유로와 연통되고 정수 유로를 통과하는 정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입수, 정수 및 농축수 유로가 구비된 정수시스템용 힌지 및 이를 이용한 정수 시스템{hinge of purification system having inlet water, purificated water and waste water line and purification system thereof}
본 고안은 입수, 정수 및 농축수 유로가 구비된 정수시스템용 힌지 및 이를 이용한 정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정수필터가 착탈되는 커넥터 후방에 힌지(hinge)를 결합하되, 입수, 정수 및 농축수 유로가 구비된 힌지를 이용한 정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때, "입수"는 외부로부터 정수필터에 유입되는 물을 의미하고, "정수"는 정수필터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의미하며, "농축수"는 RO멤브레인 필터를 경유하여 걸러진 폐수를 의미한다. "힌지"는 정수필터가 착탈되는 커넥터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입수, 정수 및 농축수 유로가 내부에 형성된 부재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정수 시스템은 커넥터에 대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세디먼트 필터(sediment filter), 프리 카본 필터(pre-carbon filter), RO 멤브레인 필터(RO membrane filter), 포스트 카본 필터(post-carbon filter)를 구비하여 이뤄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정수필터가 착탈되는 커넥터 좌,우측에 한 쌍의 힌지가 각각 장착되어 커넥터를 회동가능하게 지지 하므로, 부품수 증가로 인해 원가비용 및 조립비용이 증가되어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원수 유입용 호스가 커넥터를 지지하는 힌지 후방에 위치하는 원수 유입구에 결합되고, 정수수 배출용 호스가 커넥터를 지지하는 힌지 후방에 위치하는 정수수 배출구에 각각 결합된다.
이로 인해, 커넥터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가 장착된 프레임을 주방 등의 벽면에 고정시킬 경우 벽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프레임을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정수 시스템이 설치되는 위치 또는 공간에 제한을 받게 되고, 호스를 좌,우측 힌지에 각각 이음연결하는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정수필터가 착탈되는 커넥터를 단일 힌지에 의해 지지하여 부품수를 줄여 원가비용 및 조립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입수, 정수 및 농축수 유로가 구비된 정수 시스템용 힌지 및 이를 이용한 정수 시스템과 관련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입수, 정수 및 농축수 유로를 단일 힌지에 형성하여 구조 간단화로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입수, 정수 및 농축수 유로가 구비된 정수 시스템용 힌지 및 이를 이용한 정수 시스템과 관련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커넥터를 지지하는 힌지가 장착된 프레임을 벽면 등에 밀착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입수, 정수 및 농축수 유로가 구비된 정수시스템용 힌지 및 이를 이용한 정수 시스템과 관련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입수, 정수 및 농축수 유로가 구비된 정수 시스템용 힌지는,
정수필터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를 구비하는 정수 시스템용 힌지에 있어서,
커넥터 후방에 결합되어 커넥터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는,
외부로부터 입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입구와 연통되고 유입구를 통과하는 입수를 커넥터에 유입시키는 입수 유로와,
정수필터에 의해 여과된 정수가 배출되는 정수 유로와,
정수필터에 의해 여과된 농축수가 배출되는 농축수 유로와,
정수 유로와 연통되고 정수 유로를 통과하는 정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입수, 정수 및 농축수 유로가 구비된 힌지를 이용한 정수 시스템은,
안착부가 형성되는 프레임과,
안착부에 안착되어 체결되며, 한 쌍의 후크가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1홀더 내지 제4 홀더와,
제1홀더의 후크에 회동가능하게 끼워맞춤되고, 입수 유로, 정수 유로 및 농축수 유로가 형성되는 제1힌지와,
세디먼트 필터가 수용되는 제1정수필터를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킬 경우 플런저를 가압하여 입수 유로를 개방시키는 제1커넥터와,
제2홀더의 후크에 회동가능하게 끼워맞춤되고, 입수 유로, 정수 유로 및 농축수 유로가 형성되는 제2힌지와,
프리카본 필터가 수용되는 제2정수필터를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킬 경우 플런저를 가압하여 제2힌지의 입수 유로를 개방시키는 제2커넥터와,
제3홀더의 후크에 회동가능하게 끼워맞춤되고, 입수 유로, 정수 유로 및 농축수 유로가 형성되는 제3힌지와,
RO멤브레인 필터가 수용되는 제3정수필터를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킬 경우 플런저를 가압하여 제3힌지의 입수 유로를 개방시키는 제3커넥터와,
제4홀더의 후크에 회동가능하게 끼워맞춤되고, 입수 유로, 정수 유로 및 농축수 유로가 형성되는 제4힌지와,
포스트카본 필터가 수용되는 제4정수필터를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킬 경우 플런저를 가압하여 제4힌지의 입수 유로를 개방시키는 제4커넥터를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커넥터에 결합되는 정수필터가 세디먼트 필터, 프리카본 필터 및 포스트 카본 필터중 어느 하나의 정수필터일 경우, 힌지의 농축수 유로는 막히도록 형성된다.
전술한 힌지의 유입구 및 배출구는 좌,우 대칭형으로 형성된다.
전술한 커넥터에 결합되는 정수필터가 RO멤브레인 필터일 경우, 힌지의 농축수 유로는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전술한 커넥터에 결합되는 정수필터가 RO멤브레인 필터일 경우, 힌지의 농축수 유로는 입수 유로 및 정수 유로에 대해 T자형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전술한 힌지에 형성되는 입수 유로, 정수 유로, 농축수 유로는 커넥터 유로에 직각 방향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전술한 제1힌지 내지 제3힌지를 각각 직렬로 연통되게 이음연결하는 제1튜빙 내지 제2튜빙을 포함한다.
전술한 제1,2,4힌지에 형성되는 농축수 유로는 막히도록 형성된다.
전술한 제3힌지에 형성되는 농축수 유로는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제3힌지의 정수 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정수를 정수 저장탱크에 공급할 수 있도록 제3힌지의 배출구에 접속되는 제1포트와, 정수 저장탱크로부터의 정수를 제4정수필터에 공급할 수 있도록 제4힌지의 유입구에 접속되는 제2포트로서 이뤄지는 엘보우를 구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입수, 정수 및 농축수 유로가 구비된 정수시스템용 힌지 및 이를 이용한 정수 시스템은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정수필터가 착탈되는 커넥터를 단일 힌지에 의해 지지하여 부품수를 줄여 원가비용 및 조립비용이 절감되므로 가격 경쟁력을 갖는다.
또한, 입수, 정수 및 농축수 유로를 힌지에 형성하여 구조 간단화로 인해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를 지지하는 힌지가 장착된 프레임을 벽면 등에 밀착되도록 고정시킨 상태에서 원수 및 정수용 호스를 힌지에 이음연결하므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입수, 정수 및 농축수 유로가 힌지에 구비되며, 1단으로 이뤄지는 정수시스템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C-C선에서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입수, 정수 및 농축수 유로가 힌지에 구비되며, 다단으로 이뤄지는 정수시스템의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입수, 정수 및 농축수 유로가 힌지에 구비된 정수시스템의 요부분리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입수, 정수 및 농축수 유로가 힌지에 구비된 정수시스템의 횡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A-A선에서의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B-B선에서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입수, 정수 및 농축수 유로가 구비된 정수 시스템용 힌지는,
정수필터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를 구비하는 정수 시스템용 힌지에 있어서,
커넥터(a) 후방에 결합되어 커넥터(a)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b)는,
외부로부터 입수가 유입되는 유입구(5)와,
유입구(5)와 연통되고, 유입구(5)를 통과하는 입수를 커넥터(a)에 유입시키는 입수 유로(10)와,
정수필터(c)에 의해 여과된 정수가 커넥터(a)를 통하여 배출되는 정수 유로(11)와,
정수필터(c)에 의해 여과된 농축수가 커넥터(a)를 통하여 배출되는 농축수 유로(12)와,
정수 유로(11)와 연통되고, 정수 유로(11)를 통과하는 정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13)가 형성된다.
전술한 커넥터(a)에 결합되는 정수필터(c)가 세디먼트 필터(14), 프리카본 필터(15) 및 포스트 카본 필터(16)중 어느 하나의 정수필터일 경우, 힌지(b)의 농축수 유로(12)는 막히도록 형성된다(농축수 유로(12)의 출구가 막히도록 형성됨).
전술한 힌지(b)의 유입구(5) 및 배출구(13)는 좌,우 대칭형으로 형성된다.
전술한 커넥터(a)에 결합되는 정수필터(c)가 RO멤브레인 필터(17)일 경우, 힌지(28)의 농축수 유로(12)는 개방되도록 형성된다(도 7에 도시됨).
전술한 커넥터(a)에 결합되는 정수필터(c)가 RO멤브레인 필터(17)일 경우, 힌지(b)의 농축수 유로(12)는 입수 유로(10) 및 정수 유로(11)에 대해 T자형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전술한 힌지(b)에 형성되는 입수 유로(10), 정수 유로(11), 농축수 유로(12)는 커넥터 유로에 직각 방향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입수, 정수 및 농축수 유로가 구비된 힌지를 이용한 정수 시스템은,
주방, 싱크대 내의 벽면 등에 밀착상태로 고정되며, 안착부(18)가 형성되는 프레임(19)과,
안착부(18)에 각각 안착되어 체결되며, 한 쌍의 후크(20)가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1홀더 내지 제4 홀더(21,22,23,24)와,
제1홀더(21)의 후크(20)에 회동가능하게 끼워맞춤되고, 입수 유로(10), 정수 유로(11) 및 농축수 유로(12)가 형성되는 제1힌지(25)와,
세디먼트 필터(14)가 수용되는 제1정수필터(6)를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킬 경우 플런저(26)를 가압하여 제1힌지(25)의 입수 유로(10)를 개방시키는 제1커넥터(1)와,
제2홀더(22)의 후크(20)에 회동가능하게 끼워맞춤되고, 입수 유로(10), 정수 유로(11) 및 농축수 유로(12)가 형성되는 제2힌지(27)와,
프리카본 필터(15)가 수용되는 제2정수필터(7)를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킬 경우 플런저(26)를 가압하여 제2힌지(27)의 입수 유로(10)를 개방시키는 제2커넥터(2)와,
제3홀더(23)의 후크(20)에 회동가능하게 끼워맞춤되고, 입수 유로(10), 정수 유로(11) 및 농축수 유로(12)가 형성되는 제3힌지(28)와,
RO멤브레인 필터(17)가 수용되는 제3정수필터(8)를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킬 경우 플런저(26)를 가압하여 제3힌지(30)의 입수 유로(10)를 개방시키는 제3커넥터(3)와,
제4홀더(24)의 후크(20)에 회동가능하게 끼워맞춤되고, 입수 유로(10), 정수 유로(11) 및 농축수 유로(12)가 형성되는 제4힌지(29)와,
포스트카본 필터(16)가 수용되는 제4정수필터(9)를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킬 경우 플런저(26)를 가압하여 제4힌지(29)의 입수 유로(10)를 개방시키는 제4커넥터(4)를 구비한다.
전술한 제1,2,4힌지(25,27,29)에 형성되는 농축수 유로(12)는 막히도록 형성된다(농축수 유로(12)의 출구가 막히도록 형성됨).
전술한 제3힌지(28)에 형성되는 농축수 유로(12)는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전술한 제1힌지 내지 제3힌지(25,27,28)를 각각 직렬로 연통되게 이음연결하는 제1튜빙 내지 제2튜빙(31,32)을 포함한다.
제3힌지(28)의 정수 유로(11)를 통해 배출되는 정수를 정수 저장탱크(미도시됨)에 공급할 수 있도록 제3힌지(28)의 배출구에 접속되는 제1포트(30a)와, 정수 저장탱크로부터의 정수를 제4정수필터(9)에 공급할 수 있도록 제4힌지(29)의 유입구에 접속되는 제2포트(30b)로서 이뤄지는 엘보우(30)를 구비한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34는 커넥터 캡이고, 35는 프레임(19)에 제1홀더 내지 제4홀더(21,22,23,24)를 고정시키는 스크류이며, 36은 커넥터에 힌지를 고정시키는 스크류이며, 37은 제3정수필터(8)에 의해 여과된 농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농축수 배출구이며, 38은 제1정수필터 내지 제4정수필터(6,7,8,9) 상단에 장착되는 유로전환가이드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입수, 정수 및 농축수 유로가 구비된 정수 시스템용 힌지 및 이를 이용한 정수 시스템의 사용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가) 정수필터가 1단으로써 이뤄지는 정수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일 예로서 1단으로써 이뤄지는 정수 시스템이 도시됨), 주방의 벽면 또는 싱크대의 내측벽에 프레임(d)을 밀착상태로 고정한 후, 프레임(d)에 고정되는 후크(e)에 힌지(b)를 회동가능하게 억지끼워맞추어 결합한다. 정수필터(c)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a)를 힌지(b)에 일체형으로 끼워맞춘다. 힌지(b)에 형성된 유입구(5) 및 배출구(13)에 원수 유입용 호스 및 정수수 배출용 호스(미도시됨)가 각각 결합된다.
전술한 커넥터(a)에 결합되는 정수필터(c)로써 세디먼트 필터(14), 프리카본 필터(15), 포스트 카본 필터(16), RO멤브레인 필터(17)중 어느 하나의 정수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원수 유입용 호스를 통해 수돗물 등의 원수가 원수 유입용 호스를 통해 힌지(b)의 유입구(5) 및 입수 유로(10) - 커넥터(a)를 차례로 통과하여 정수필터(c)(일 예로서 세디먼트 필터로서 이뤄짐)에 유입된다(정수필터(c)에 유입되는 물을 "입수" 라고 정의함). 정수필터(c)에 의해 정수처리된 정수는 커넥터(a) - 힌지(b)의 정수 유로(11) 및 배출구(13) - 정수수 배출용 호스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정수필터(c)로써 세디먼트 필터(14), 프리카본 필터(15) 및 포스트 카본 필터(16)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경우에 힌지(b)의 농축수 유로(12)는 막혀 있다(힌지(b)의 농축수 유로(12)와 농축수 배출구(37)사이의 통로가 막혀 있음)(도 2에 도시됨). 한편 전술한 정수필터(8)로써 RO멤브레인 필터(17)가 사용될 경우에 힌지(b)의 농축수 유로(12)는 개방되어 있다(도 7에 도시됨).
전술한 바와 같이 1단으로 이뤄지는 정수 시스템의 정수필터(c)가 착탈되는 커넥터(a)를 이의 후방에서 하나의 힌지(b)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므로, 해당 부품수(종래에는 커넥터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한 쌍의 힌지가 좌,우측에 장착됨)를 줄여 원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나) 정수필터가 다단으로써 이뤄지는 정수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7에서와 같이(일 예로서 4단으로써 이뤄지는 정수 시스템이 도시됨), 전술한 정수필터(c)가 설치되는 장소 등에 따라 직렬로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2단, 3단, 4단, 5단의 다단으로써 이뤄지는 정수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주방의 벽면 또는 싱크대의 내측벽에 프레임(19)을 밀착상태로 고정하되, 제1홀더 내지 제4홀더(21,22,23,24)가 프레임(19)의 안착부(18)에 각각 안착되어 스크류(35)로써 고정된다.
전술한 제1홀더 내지 제4홀더(21,22,23,24) 각각의 후크(20)에 제1힌지 내지 제4힌지(25,27,28,29)를 회동가능하게 힌지 고정하되, 제1힌지 내지 제4힌지(25,27,28,29)에 제1 내지 제4커넥터(1,2,3,4)가 끼워맞춤된 후 스크류로써 체결된다. 제1커넥터 내지 제4커넥터(1,2,3,4)에 제1정수필터 내지 제4정수필터(6,7,8,9)이 착탈가능하게 끼워맞춤된다.
한편, 원수 유입용 호스(미도시됨)를 제1힌지(25)의 유입구(5)에 결합하고 정수수 배출용 호스(미도시됨)를 제4힌지(29)의 배출구(13)에 결합한다.
따라서, 수돗물 등의 원수가 원수 유입용 호스(미도시됨)를 통해 제1힌지(25)의 유입구(5) - 입수 유로(10)를 통과하여 제1커넥터(1) 내에 유입된 후, 제1정수필터(6)에 이동된다. 이로 인해 제1정수필터(6)의 세디먼트 필터(14)의 부직포에 의해 수돗물에 포함되는 녹, 부유되는 고형물 등이 여과된다. 세디먼트 필터(14)에 의해 여과된 정수는 제1힌지(25)의 정수 유로(11) - 배출구(13)를 통과하여 제1튜빙(31)을 따라 제2힌지(27)측으로 이동된다.
이로 인해, 제1튜빙(31)을 따라 제2힌지(27)의 유입구(5)에 유입되는 입수는 제2힌지(27)의 입수 유로(10)를 통과하여 제2커넥터(2) 내에 유입된 후, 제2정수필터(7)에 이동된다. 이로 인해 제2정수필터(7)의 프리카본 필터(15)의 활성탄에 의해 수중에 잔류되는 염소성분(트리할로메탄 등을 말함) 등이 제거된다. 프리카본 필터(15)에 의해 유기화학물질 등이 제거된 정수는 제2힌지(27)의 정수 유로(11) - 배출구(13)를 통과하여 제2튜빙(32)을 따라 제3힌지(28)측으로 이동된다.
한편, 제2튜빙(32)을 따라 제3힌지(28)의 유입구(5)에 유입되는 입수는 제3힌지(28)의 입수 유로(10)를 통과하여 제3커넥터(3) 내에 유입된 후, 제3정수필터(8)에 이동된다. 이로 인해 제3정수필터(8)의 RO멤브레인 필터(17)의 폴리아마이드 복합막에 의해 수중의 각종 오염물질, 세균, 무기물질, 중금속 등을 여과시킨다. RO멤브레인 필터(17)에 의해 중금속 등이 제거된 정수는 제3힌지(28)의 정수 유로(11) - 배출구(13)를 통과하여 제4힌지(29)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전술한 RO멤브레인 필터(17)에 의해 정수처리된 후 제3힌지(28)의 배출구(13)를 통해 배출되는 정수는, 제3힌지(28)에 접속된 엘보우(30)의 제1포트(30a)를 통하여 정수탱크(미도시됨)로 이동되도록 가이드 되며, 파우셋 등을 조작하여 정수수를 사용할 경우 정수탱크에 저장된 정수수가 배출되어 엘보우(30)의 제2포트(30b)를 통하여 제4힌지(29)측으로 이동된다.
즉, RO멤브레인 필터(17)의 특성상 정수처리되는 양이 폐수처리되는 농축수 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게 되므로, RO멤브레인 필터(17)에 의해 정수처리된 정수수를 곧바로 파우셋 등으로 배출시키지 않고, 정수탱크에 모은 후 필요할 때 마다 정수탱크로부터 정수수를 배출시켜 사용하게 된다.
한편, RO멤브레인 필터(17)에 의해 여과되어 폐수처리되는 농축수는 제3힌지(28)의 농축수 유로(12) - 농축수 배출구(37)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제2포트(30b)을 따라 제4힌지(29)의 유입구(5)에 유입되는 입수는 제4힌지(29)의 입수 유로(10)를 통과하여 제4커넥터(4) 내에 유입된 후, 제4정수필터(9)에 이동된다. 이로 인해 제4정수필터(9)에 의해 수중의 냄새, 가스 성분 등의 이물질이 정수처리된 정수수는 제4힌지(29)의 정수 유로(11) - 배출구(13)- 정수수 배출용 호스(미도시됨)를 통하여 파우셋 등으로 이동된다.
한편, 전술한 제1커넥터 내지 제4커넥터(1,2,3,4)에 대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정수필터 내지 제4정수필터(6,7,8,9)의 이탈을 방지하는 로킹수단과, 제1커넥터 내지 제4커넥터(1,2,3,4)에 제1정수필터 내지 제4정수필터(6,7,8,9,)을 결합시 원수 이동통로를 개방시키는 플런저(26)는 당해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 및 작동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입수, 정수 및 농축수 유로가 구비된 정수시스템용 힌지 및 이를 이용한 정수 시스템에 의하면, 정수필터가 착탈되는 커넥터를 단일 힌지(종래에는 커넥터에 대해 2개의 힌지가 사용됨)에 의해 지지할 수 있다. 입수, 정수 및 농축수 유로를 힌지에 형성하여 구조를 간단화할 수 있다. 커넥터를 지지하는 힌지가 장착된 프레임을 벽면 등에 밀착상태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원수,정수수용 호스를 힌지의 좌,우측에서 이음연결할 수 있다.
1; 제1커넥터
3; 제3커넥터
5; 유입구
7; 제2정수필터
9; 제4정수필터
11; 정수 유로
13; 배출구
15; 프리카본 필터
17; RO멤브레인 필터
19; 프레임
21; 제1홀더
23; 제3홀더
25; 제1힌지
27; 제2힌지
29; 제4힌지
31; 제1튜빙
a; 커넥터
b; 힌지
c; 정수필터

Claims (11)

  1. 정수필터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를 구비하는 정수 시스템용 힌지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후방에 결합되어 커넥터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는,
    외부로부터 입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고 유입구를 통과하는 입수를 커넥터에 유입시키는 입수 유로와,
    상기 정수필터에 의해 여과된 정수가 배출되는 정수 유로와,
    상기 정수필터에 의해 여과된 농축수가 배출되는 농축수 유로와,
    상기 정수 유로와 연통되고 정수 유로를 통과하는 정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수, 정수 및 농축수 유로가 구비된 정수시스템용 힌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는 정수필터가 세디먼트 필터, 프리카본 필터 및 포스트 카본 필터중 어느 하나의 정수필터일 경우, 상기 힌지의 농축수 유로는 막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수, 정수 및 농축수 유로가 구비된 정수 시스템용 힌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의 유입구 및 배출구는 좌,우 대칭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수, 정수 및 농축수 유로가 구비된 정수 시스템용 힌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는 정수필터가 RO멤브레인 필터일 경우, 상기 힌지의 농축수 유로는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수, 정수 및 농축수 유로가 구비된 정수 시스템용 힌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는 정수필터가 RO멤브레인 필터일 경우, 상기 힌지의 농축수 유로는 입수 유로 및 정수 유로에 대해 T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수, 정수 및 농축수 유로가 구비된 정수 시스템용 힌지.
  6.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에 형성되는 입수 유로, 정수 유로, 농축수 유로는 상기 커넥터 유로에 직각 방향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수, 정수 및 농축수 유로가 구비된 정수 시스템용 힌지.
  7. 안착부가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어 체결되며, 한 쌍의 후크가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1홀더 내지 제4 홀더와,
    상기 제1홀더의 후크에 회동가능하게 끼워맞춤되고, 입수 유로, 정수 유로 및 농축수 유로가 형성되는 제1힌지와,
    세디먼트 필터가 수용되는 제1정수필터를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킬 경우 플런저를 가압하여 상기 입수 유로를 개방시키는 제1커넥터와,
    상기 제2홀더의 후크에 회동가능하게 끼워맞춤되고, 입수 유로, 정수 유로 및 농축수 유로가 형성되는 제2힌지와,
    프리카본 필터가 수용되는 제2정수필터를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킬 경우 플런저를 가압하여 상기 제2힌지의 입수 유로를 개방시키는 제2커넥터와,
    상기 제3홀더의 후크에 회동가능하게 끼워맞춤되고, 입수 유로, 정수 유로 및 농축수 유로가 형성되는 제3힌지와,
    RO멤브레인 필터가 수용되는 제3정수필터를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킬 경우 플런저를 가압하여 상기 제3힌지의 입수 유로를 개방시키는 제3커넥터와,
    상기 제4홀더의 후크에 회동가능하게 끼워맞춤되고, 입수 유로, 정수 유로 및 농축수 유로가 형성되는 제4힌지와,
    포스트카본 필터가 수용되는 제4정수필터를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킬 경우 플런저를 가압하여 상기 제4힌지의 입수 유로를 개방시키는 제4커넥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수, 정수 및 농축수 유로가 구비된 정수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 내지 제3힌지를 각각 직렬로 연통되게 이음연결하는 제1튜빙 내지 제2튜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수, 정수 및 농축수 유로가 힌지에 구비된 정수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힌지의 정수 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정수를 정수 저장탱크에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제3힌지의 배출구에 접속되는 제1포트와, 정수 저장탱크로부터의 정수를 상기 제4정수필터에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제4힌지의 유입구에 접속되는 제2포트로서 이뤄지는 엘보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수, 정수 및 농축수 유로가 힌지에 구비된 정수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2,4힌지에 형성되는 농축수 유로는 막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수, 정수 및 농축수 유로가 힌지에 구비된 정수 시스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힌지에 형성되는 농축수 유로는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수, 정수 및 농축수 유로가 힌지에 구비된 정수 시스템.
KR2020110001558U 2011-02-24 2011-02-24 입수, 정수 및 농축수 유로가 구비된 정수시스템용 힌지 및 이를 이용한 정수 시스템 KR2004675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558U KR200467519Y1 (ko) 2011-02-24 2011-02-24 입수, 정수 및 농축수 유로가 구비된 정수시스템용 힌지 및 이를 이용한 정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558U KR200467519Y1 (ko) 2011-02-24 2011-02-24 입수, 정수 및 농축수 유로가 구비된 정수시스템용 힌지 및 이를 이용한 정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150U true KR20120006150U (ko) 2012-09-03
KR200467519Y1 KR200467519Y1 (ko) 2013-06-19

Family

ID=51389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1558U KR200467519Y1 (ko) 2011-02-24 2011-02-24 입수, 정수 및 농축수 유로가 구비된 정수시스템용 힌지 및 이를 이용한 정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519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0219A (ko) * 2014-10-29 2016-05-11 주식회사 피코그램 조립형 정수시스템
KR20160053863A (ko) * 2016-04-25 2016-05-13 주식회사 피코그램 측류 유동형 역삼투막 필터
KR20160061926A (ko) * 2016-04-25 2016-06-01 주식회사 피코그램 측류 유동형 역삼투막 필터
KR20190045880A (ko) * 2017-10-24 2019-05-03 주식회사 피코그램 유로를 최적화시킨 커넥터가 구비되는 정수기
KR101969098B1 (ko) * 2017-10-25 2019-08-13 주식회사 가람디자인컨설팅 정수 필터가 적용된 정수기와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수질관리 정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6363B1 (ko) * 2020-11-06 2022-08-25 김경석 불순물 제거용 필터 카트리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7233B1 (ko) * 2000-05-10 2003-01-10 이태희 정수기
KR200415015Y1 (ko) * 2005-12-26 2006-04-26 주식회사 피코그램 커넥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교체되는 역삼투막 필터, 및이를 이용한 정수시스템
KR100870572B1 (ko) * 2007-02-28 2008-11-27 주식회사 영우워터라인 회동형 커넥터를 가지는 정수기용 필터 어셈블리
KR20090007539U (ko) * 2008-01-22 2009-07-27 주식회사 피코그램 유로 변경이 가능한 정수기용 어댑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0219A (ko) * 2014-10-29 2016-05-11 주식회사 피코그램 조립형 정수시스템
KR20160053863A (ko) * 2016-04-25 2016-05-13 주식회사 피코그램 측류 유동형 역삼투막 필터
KR20160061926A (ko) * 2016-04-25 2016-06-01 주식회사 피코그램 측류 유동형 역삼투막 필터
KR20190045880A (ko) * 2017-10-24 2019-05-03 주식회사 피코그램 유로를 최적화시킨 커넥터가 구비되는 정수기
KR101969098B1 (ko) * 2017-10-25 2019-08-13 주식회사 가람디자인컨설팅 정수 필터가 적용된 정수기와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수질관리 정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7519Y1 (ko) 2013-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7519Y1 (ko) 입수, 정수 및 농축수 유로가 구비된 정수시스템용 힌지 및 이를 이용한 정수 시스템
KR100870572B1 (ko) 회동형 커넥터를 가지는 정수기용 필터 어셈블리
KR200432225Y1 (ko) 정수시스템용 필터카트리지 고정장치
KR200428894Y1 (ko) 어댑터를 이용하여 유로변경이 가능한 정수시스템
KR102620165B1 (ko) 유로를 최적화시킨 커넥터가 구비되는 정수기
KR102633170B1 (ko) 유로를 최적화시킨 정수기용 정수필터
KR100797051B1 (ko) 유로 변경이 가능한 정수기용 어댑터
KR20150057791A (ko) 입수, 정수 및 농축수 유로가 구비되는 컨넥터바디를 포함하는 정수 시스템
KR200459279Y1 (ko) 커넥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교체되는 원터치방식의 정수시스템
WO2009025413A1 (en) Water purifier filter having a filter washing function
KR100944226B1 (ko) 정수기용 필터 장치
CN218622428U (zh) 一种具有净水器的水槽结构
CN210764689U (zh) 水处理机
KR20100004228A (ko) 손잡이가 형성된 정수용 필터 조립체
JP3174016U (ja) 逆浸透膜式浄水器
KR101776256B1 (ko) 관로일체형 덮개가 구비되는 정수기
CN103112964A (zh) 污水处理系统及处理污水的工艺流程
KR102637384B1 (ko) 역세척 타입의 여과장치, 이를 포함하는 여과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KR102342293B1 (ko) 정수기용 필터 카트리지의 결합구조
KR200433977Y1 (ko) 유로변경이 가능한 어댑터가 장착된 정수시스템
WO2009022433A1 (ja) 八方弁
GB2490761A (en) A portable, filtration and purification system
KR20130021775A (ko) 일체형 다단계 정수장치
CN205740529U (zh) 水箱和滤瓶集成的净水系统
AU2018275027A1 (en) System and method for filtering 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5